포르피리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르피리오는 3세기 로마 제국 시대의 철학자로, 페니키아의 티로스에서 태어났다. 아테네에서 롱기누스에게 문법과 수사학을 배우고, 로마에서 플로티노스에게 신플라톤주의를 배운 후 스승의 저작을 편집하고 보급하는 데 힘썼다. 그는 채식주의를 옹호하고 기독교를 비판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과 신플라톤주의를 결합한 《이사고게》를 저술했다. 또한 호메로스, 유클리드, 플라톤, 피타고라스 등에 대한 저술을 남겼으며, 신플라톤주의, 채식주의, 종교, 기독교 비판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라톤주의자 - 플루타르코스
플루타르코스는 46년에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작가이자 전기 작가로, 『플루타르코스 영웅전』과 『모랄리아』 등의 저서를 통해 서양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플라톤주의자 - 스페우시포스
스페우시포스는 아테네 출신의 철학자이자 플라톤의 조카이자 제자였으며, 플라톤의 후계자로서 아카데미를 이끌었고, 이데아론을 비판하며 수 체계를 통해 진리를 탐구했으며, 윤리학에서는 쾌락을 선으로 여기지 않고, 인식론에서는 감각적 지각과 이성적 인지를 구별했다. - 3세기 철학자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는 3세기 전반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의 전기 작가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을 다룬 《그리스 철학자 열전》을 저술하여 고대 철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3세기 철학자 - 갈레노스
갈레노스는 로마 제국의 의사이자 철학자, 문헌학자로, 그의 방대한 저술은 서구 및 이슬람 의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해부학적 관찰과 동물 실험을 통해 히포크라테스의 4체액설을 발전시키고 인체의 기능과 질병에 대한 이론을 구축하여 의학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 플루타르코스
플루타르코스는 46년에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작가이자 전기 작가로, 『플루타르코스 영웅전』과 『모랄리아』 등의 저서를 통해 서양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는 3세기 전반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의 전기 작가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을 다룬 《그리스 철학자 열전》을 저술하여 고대 철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포르피리오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포르피리오스 |
다른 이름 | 해당 사항 없음 |
출생 | 기원후 234년경 |
출생지 | 티레, 페니케 시리아, 로마 제국 (현재의 레바논) |
사망 | 기원후 305년 |
사망지 | 로마, 로마 제국 |
영향 받은 사상가 | 테오프라스토스, 플로티노스, 중기 플라톤주의,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
영향을 준 사상가 | 얌블리코스, 율리아누스, 보에티우스, 에우세비우스, 오리게네스, 아우구스티누스, 소시아누스 히에로클레스, 스콜라 철학 및 아랍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에이사고게》를 통해), 후기 신플라톤주의 |
철학적 배경 | |
지역 | 서양 철학 |
시대 | 고대 철학 |
학파 | 신플라톤주의 |
주요 관심사 | 형이상학, 점성술 |
주요 사상 | 포르피리오스의 나무, 기독교 비판, 채식주의 |
주요 저서 | |
주요 저서 | 《범주론 입문》 (Εἰσαγωγή; Introductio in Praedicamenta or Isagoge et in Aristotelis Categorias commentarium) 《피타고라스의 생애》(Πυθαγόρου βίος; Vita Pythagorae) 《동물성 음식 기피에 관하여》 (Περὶ ἀποχῆς ἐμψύχων; De Abstinentia ab Esu Animalium) 《오디세이아의 님프 동굴에 관하여》 (Περὶ τοῦ ἐν Ὀδυσσείᾳ τῶν Νυμφῶν Ἄντρου; De Antro Nympharum) 《프톨레마이오스의 테트라비블로스 입문》(Εἰσαγωγὴ εἰς τὴν Ἀποτελεσματικὴν τοῦ Πτολεμαίου) 《프톨레마이오스의 하모니카 주석》(Εἰς τὰ ἁρμονικὰ Πτολεμαίου ὑπόμνημα) 《플로티노스의 생애와 그의 작품 배열에 관하여》(Περὶ τοῦ Πλωτίνου βίου καὶ τῆς τάξεως τῶν βιβλίων αὐτοῦ; Vita Plotini) 《지성에 이르는 출발점》(Ἀφορμαὶ πρὸς τὰ νοητά; Sententiae ad intelligibilia ducentes) 《신탁에서 얻은 철학》(Περὶ τῆς ἐκ λογίων φιλοσοφίας; De Philosophia ex Oraculis Haurienda) 《기독교 반박》(Κατὰ Χριστιανῶν; Adversus Christianos) |
2. 생애
포르피리오스는 페니키아의 무역도시 티로스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아테네에서 롱기누스에게 수학한 후 로마로 건너가 플로티노스의 제자가 되었다. 스승의 논문을 정리하여 《엔네아데스》를 편집하고 그의 학설을 널리 알리는 데 힘썼다. 채식주의자였던 그는 《육식의 기피(忌避)에 관하여》를 저술했으며, 기독교를 비판하는 《기독교에 대한 반론》을 썼다(단, 그리스도를 적대시한 것은 아니다[42]).
2. 1. 출생과 교육
페니키아의 무역도시 티로스에서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2][3][4][5] 부모는 그에게 말코스(Malkos) 또는 말쿠스(Malchus)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는데, 이는 아람어 말카(malkā)로 ‘왕’을 뜻한다. 그는 나중에 "바실레우스"(Basileus) 즉 "왕"으로 이름을 바꾸고, 인생 후반에는 "포르피리오스"(Porphyrius), 즉 "자주색 옷을 입은 자"라는 별명을 사용했다.[7] 아테네에서 카시우스 롱기누스에게 문법과 수사학을 배우며 중기 플라톤주의에 친숙해졌다.[7]2. 2. 플로티노스와의 만남, 그리고 로마
페니키아의 무역도시 티로스에서 태어난 포르피리오스는 아테네에서 롱기누스에게 배운 후, 로마로 가서 플로티노스를 만나 그의 문하생이 되었다.[7] 262년, 플로티노스의 명성에 이끌려 로마로 간 그는 6년 동안 신플라톤주의를 실천했다.[8] 이 시기 동안 그는 식단을 엄격하게 바꾸었고, 한때 자살 충동을 느끼기도 했다. 플로티노스의 조언에 따라 시칠리아에서 5년 동안 정신 건강을 회복한 후,[8] 로마로 돌아와 철학 강의를 하고, (사망한) 플로티노스의 저술을 편집하고 그의 스승의 전기를 완성했다.[8]2. 3. 플로티노스 사후 활동
262년에 플로티노스의 명성에 이끌려 로마로 갔으며, 6년 동안 신플라톤주의를 실천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식단을 엄격하게 바꾸었고, 한때 자살 충동을 느끼기도 했다. 플로티노스의 조언에 따라 그는 정신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5년 동안 시칠리아에 머물렀다. 로마로 돌아온 그는 철학 강의를 하고, (사망한) 플로티노스의 저술을 편집하고 그의 스승의 전기를 완성했다. 이암블리쿠스는 고대 신플라톤주의 저술에서 그의 제자로 언급되지만, 이는 그가 포르피리오스의 뒤를 잇는 차세대 철학자들 중 가장 중요한 인물이었음을 나타내는 것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8] 두 사람은 테우르기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의견이 달랐다.후년에 그는 일곱 자녀를 둔 미망인이자 철학도인 마르첼라와 결혼했다.[9] 포르피리오스의 이름과 관련된 저술은 약 60편이 있으며, 일부는 단편으로 남아 있거나 소실되었다. 그의 작품 일부는 오늘날에도 재구성되고 있다.[10]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 이상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사망 연도도 불확실하다.
2. 4. 결혼과 말년
포르피리오스는 만년에 여섯 아이를 가진 미망인 마르켈라와 결혼하였으나, 그녀에게 보낸 서간에는 그의 이교(異敎)의 제신(諸神)에 대한 경건한 심정이 나타나 있다.[42] 그는 호메로스의 시 해석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관계 저서의 주해와 입문서를 저술하기도 했다.[9]3. 주요 저작 및 사상
포르피리오스는 신플라톤주의의 기본 개요인 『지성을 위한 준비』(Ἀφορμαὶ πρὸς τὰ νοητά; Sententiae ad Intelligibilia Ducentes)를 저술하는 등 철학에 공헌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Categories)』에 대한 주석으로 알려진 『범주론 서설(Introductio in Praedicamenta)』(이사고게)도 중요한 저작이다.
기독교에 반대하고 이교를 옹호한 것으로도 유명하며, 그의 종교관은 세 권으로 구성된 《신탁으로부터 얻은 철학》(Περὶ τῆς ἐκ λογίων φιλοσοφίας|페리 테스 에크 로기온 필로소피아스grc; ''De Philosophia ex Oraculis Haurienda'')의 단편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피타고라스처럼 영적, 윤리적 이유로 채식주의를 옹호했으며, 동물 섭취에 반대하는 《동물성 식품 금욕에 관하여》(Περὶ ἀποχῆς ἐμψύχων; ''De Abstinentia ab Esu Animalium'')를 저술하여 채식주의 문헌에 긍정적으로 인용되고 있다.
시칠리아 은퇴 중에 15권으로 구성된 『그리스도교를 반박하여』(Κατὰ Χριστιανῶν; ''Adversus Christianos'')를 저술했으나, 테오도시우스 2세의 명령으로 소각되어 현재는 단편만이 남아있다.
그 외에도 음악 이론,[13] 점성술, 종교, 철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 대해 저술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화성론''에 대한 주석 (''Eis ta Harmonika Ptolemaiou hypomnēma'')은 고대 화성 이론의 역사에 중요한 자료이며, 호머에 대한 저술도 남아있다.
3. 1. 이사고게 (Εἰσαγωγή)
포르피리오스는 철학에 대한 공헌, 특히 『범주론 서설(Introductio in Praedicamenta 또는 Isagoge et in Aristotelis Categorias Commentarium)』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이 책은 매우 짧은 저술로, 종종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Categories)』에 대한 주석으로 여겨지기도 한다.[25] 하지만, 바네스(Barnes, 2003)에 따르면, 정확한 제목은 단순히 『서설(Εἰσαγωγή Isagoge)』이며, 이 책은 『범주론』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논리학에 대한 서론으로, 술어, 정의, 증명에 대한 이론을 포함한다.[25]『서설』은 사물에 귀속되는 속성을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지 설명하며, 철학적 실체 개념을 '종', '종류', '차이', '성질', '우연'의 다섯 가지 구성 요소로 분류한다. 포르피리오스의 '우연'에 대한 논의는 ''우연''과 ''본질''에 대한 오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26]
『서설』은 압드 알라 이븐 알-무카파에 의해 시리아어판에서 아랍어로 번역되었다. 아랍어 이름인 『이사구지(إيساغوجي)』로 오랫동안 이슬람 세계에서 표준적인 서론 논리 교과서로 남아 있었고, 신학, 철학, 문법, 법학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이 작품의 각색과 요약 외에도, 이슬람 철학자들의 많은 독립적인 논리 작품에 이사구지라는 제목이 붙었다.
3. 1. 1. 포르피리오스의 나무 (Arbor porphyriana)
포르피리오스의 철학에 대한 가장 영향력 있는 공헌은 『범주론 서설』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를 신플라톤주의와 결합시켰다. 특히 존재의 범주(카테고리)를 실체(후대 철학에서는 "보편")라는 관점에서 해석한 교리를 통합했다. 보에티우스의 『서설』은 포르피리오스의 『서설』을 라틴어로 번역한 것으로, 유럽의 학교와 대학교에서 표준적인 중세 교과서가 되었으며, 논리와 보편 문제에 대한 중세 철학-신학적 발전의 기반을 마련했다. 중세 교과서에서 매우 중요한 『포르피리오스 나무(Arbor porphyriana)』는 그의 실체에 대한 논리적 분류를 보여준다. 오늘날까지도 분류학은 살아있는 유기체를 분류하는 데 있어 포르피리오스의 나무에 있는 개념으로부터 이익을 얻고 있다(분지학 참조).[25] 포르피리오스가 "포르피리오스의 나무"를 고안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에 대해 만들어진 최초의 적절한 주석으로 여겨진다.
3. 2. 신플라톤주의
포르피리오스는 그의 제자 야누블리쿠스의 신비주의에 반대했다. 프랑스 철학자 피에르 아도는 포르피리오스에게 있어 영적 수련은 영적 성장의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주장한다.[12]포르피리오스는 피타고라스와 마찬가지로 영적, 윤리적 이유로 채식주의를 옹호했다. 그는 동물의 섭취에 반대하는 내용의 ''동물성 식품 금욕에 관하여''를 저술했으며, 현재까지 채식주의 문헌에서 긍정적으로 인용되고 있다.[12]
포르피리오스는 음악 이론[13], 점성술, 종교, 철학에 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다. 그는 그의 스승 플로티누스의 생애를 포함한 철학자들의 ''전기''(vitae)가 담긴 ''철학사''(''Philosophos Historia'')를 저술했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의 인용을 통해서만 알려진 그의 플라톤 전기(4권)는 일부만 남아있다. 그의 피타고라스에 관한 저서 ''피타고라스의 일생''은 야누블리쿠스가 저술한 같은 이름의 책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그의 프톨레마이오스의 ''화성론''에 대한 주석 (''Eis ta Harmonika Ptolemaiou hypomnēma'')는 고대 화성 이론의 역사에 중요한 자료이다.
포르피리오스는 철학적 업적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신플라톤주의의 기본적인 문헌인 『이해로 이끄는 입문(Sententiae Ad Intelligibilia Ducentes)』의 저술 외에도,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의 주석이라고 생각되는 『범주에 대한 입문』으로 평가받고 있다.[25] 그러나, 이 책은 『범주』가 아니라 『오르가논』 전체에 대한 입문이며, 명제, 정의, 증명의 이론을 내용으로 한다. 이 입문에서는 사물에 속하는 속성이 "종류", "종", "종차", "고유성", "부수성"의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고 논의한다.
포르피리오스의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적 업적은 『범주에 대한 입문』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을 신플라톤주의와 결합시킨 것이다. 특히 범주라는 개념을 실체적으로 이해한 점이 중요하다. 보에티우스의 『입문』 라틴어 번역본은 중세 유럽의 학교와 대학교에서 표준적인 교과서가 되었고, 중세의 논리학과 보편 논쟁이 철학적·신학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입문』에 나오는 "포르피리오스의 나무(Arbor porphyriana)"는 그의 논리학에서 실체의 분류를 도식화한 것이다.
『입문』은 이븐 알-무카파에 의해 시리아어판에서 아랍어로 번역되었다. 아랍어화된 제목인 「이사구지(إيساغوجي)」라는 이름으로 이슬람권에서 오랫동안 논리학 입문서로서 표준적인 교과서로 취급되었으며, 신학, 철학, 문법학, 법철학에 영향을 미쳤다.[26]
3. 3. 종교관
포르피리오스는 기독교에 반대하고 이교를 옹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종교관은 세 권으로 구성된 《신탁으로부터 얻은 철학》(Περὶ τῆς ἐκ λογίων φιλοσοφίας|페리 테스 에크 로기온 필로소피아스grc; ''De Philosophia ex Oraculis Haurienda'')의 단편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책은 디오클레티아누스와 갈레리우스 치하의 기독교 박해 시기에 가깝게 쓰여졌다는 주장이 있지만, 그의 젊은 시절에 쓰여졌다는 주장도 있어 논쟁이 있다.락탄티우스의 《신의 제도》(Divine Institutes)에 등장하는 이교 철학자가 포르피리오스인지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논쟁이 있었다. 《신탁으로부터 얻은 철학》의 단편들은 에우세비우스, 테오도레토스,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기독교인들에 의해서만 인용된다. 이 단편들은 제사 절차, 점성술적 운명, 3세기 그리스-로마 종교와 관련된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이 저술이 동물 희생을 피하라는 그의 채식주의 옹호와 모순되는지에 대해서도 논쟁이 있다.[10]
포르피리오스는 점성술, 종교, 철학, 음악 이론 등 광범위한 분야에 대해 저술했다.
3. 3. 1. 채식주의 옹호
포르피리오스는 피타고라스와 마찬가지로 영적, 윤리적 이유로 채식주의를 옹호했다.[12] 이 두 철학자는 고대에서 가장 유명한 채식주의자들 중 하나일 것이다. 그는 동물의 섭취에 반대하는 내용의 Περὶ ἀποχῆς ἐμψύχων|페리 아포케스 엠프시콘grc(''De Abstinentia ab Esu Animalium'')을 저술했으며, 현재까지 채식주의 문헌에서 긍정적으로 인용되고 있다. 그는 모든 것이 상호 이익을 위해 창조되었으며, 채식주의는 자연의 보편적 조화를 유지하는 한 방법이라고 믿었다.[12]포르피리오스는 피타고라스와 마찬가지로 영적·윤리적 근거에서 채식주의 지지자였다. 이 두 사람은 아마도 고대 그리스에서 가장 유명한 채식주의자일 것이다. 포르피리오스는 『절제론(De Abstinentia)』, 『금육식론(De Non Necandis ad Epulandum Animantibus)』과 같은 저서를 통해 동물을 식량으로 소비하는 것에 반대했다. 이 때문에 그는 오늘날까지 채식주의 관련 저술에서 호의적으로 언급된다.
3. 3. 2. 기독교 비판
포르피리오스는 기독교를 적대시했지만, 그리스도를 적대시 한 것은 아니라고 한다.[42] 그는 《기독교에 대한 반론》을 저술하였다.포르피리오스는 기독교의 반대자이자 이교의 옹호자로도 알려져 있다. 그의 전통 종교에 대한 철학적 접근은 원래 세 권으로 구성된 「신탁으로부터 얻은 철학」(Περὶ τῆς ἐκ λογίων φιλοσοφίας; ''De Philosophia ex Oraculis Haurienda'')의 단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시칠리아에서 은퇴 생활을 보내는 동안 포르피리오스는 15권으로 구성된 『그리스도교를 반박하여』(Κατὰ Χριστιανῶν; ''Adversus Christianos'')를 저술했다. 메토디오스 올림피우스, 에우세비우스, 아폴리나리스 라오디케아, 아우구스티누스, 예로니무스 등 약 30명의 기독교 변증가들이 그의 주장에 반박했다. 포르피리오스의 주장에 대해 알려진 모든 것은 이러한 반박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는 테오도시우스 2세가 서기 435년과 448년에 모든 사본을 소각하도록 명령했기 때문이다.[10]
아우구스티누스와 5세기 교회사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크라테스는 포르피리오스가 한때 기독교인이었다고 주장한다.[31] 그러나 포르피리오스는 기독교와 관련을 맺었지만, 기독교를 믿지는 않았다고 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포르피리오스를 두고 "가장 박식한 철학자이자 기독교의 가장 격렬한 적"이라고 말했다.[11]
락탄티우스의 『신성한 교리(De Divinis Institutionibus)』에 등장하는 이교 철학자이자 적대자가 포르피리오스인지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논쟁이 있어 왔다. 그의 15권에 달하는 『반기독교론』(Adversus Christianos)은 단편만이 남아 있으며, 반박의 대상으로 인용의 형태로 제시된다.[29][30]
포르피리오스가 다니엘서를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 시대(기원전 2세기) 인물의 저술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 히에로니무스에 의해 알려져 있다.
3. 3. 3. 이교 옹호
포르피리오스는 기독교에 반대하고 이교를 옹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그의 전통 종교에 대한 철학적 접근은 세 권으로 구성된 「신탁으로부터 얻은 철학」(Περὶ τῆς ἐκ λογίων φιλοσοφίας|페리 테스 에크 로기온 필로소피아스grc)의 단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책이 그의 젊은 시절에 쓰여졌는지, 아니면 디오클레티아누스와 갈레리우스 치하의 기독교 박해 시기에 가까운 시기에 쓰여졌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락탄티우스의 「신의 제도」(Divine Institutes)에서 이교 철학자의 반대자가 포르피리오스였는지 여부는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다. 「신탁으로부터 얻은 철학」의 단편들은 에우세비우스, 테오도레토스, 아우구스티누스, 필로포누스의 요한과 같은 기독교인들에 의해서만 인용된다. 이 단편들은 적절한 제사 절차, 점성술적 운명의 본질, 그리고 3세기 그리스-로마 종교와 관련된 다른 주제들을 확인하는 신탁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저술이 동물 희생을 피하라고 철학자에게 경고한 채식주의 옹호 논문과 모순되는지 여부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있다.[10]
포르피리오스는 기독교에 반대하고 이교를 옹호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그의 전통적인 종교 옹호론인 『託宣からの哲学(De Philosophia ex Oraculis Haurienda)』은 디오클레티아누스와 갈레리우스의 기독교 박해 이전에 쓰여졌으며, 그들에게 박해의 근거를 제공하게 되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하기도 하였다.
"어찌 그들을 용서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는가? 그들은 예전에는 그리스인과 야만인뿐만 아니라, 황제, 입법자, 철학자, 모든 지성인들이 믿어왔던 신으로부터 배반한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불경건과 무신론을 선택함으로써, 서로 사랑해 왔던 인간들 사이에서도 그렇게 한 것이다.[27] 어떤 고문을 받으면 그들은 그들이 말하는 아버지로부터 도망칠까?"[28]
박해받던 시기에 쓰인 락탄티우스의 『신성한 교리(De Divinis Institutionibus)』에 등장하는 이교 철학자이자 적대자가 포르피리오스인지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논쟁이 있어 왔다. 『託宣からの哲学(De Philosophia ex Oraculis Haurienda)』의 기독교판은 에우세비우스에 의해 포르피리오스에게 돌려졌고, 테오도레토스와 같은 교부들이 선전했다.
3. 4. 기타 저술 활동
포르피리우스는 음악 이론,[13] 점성술, 종교, 철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 대해 저술했다.[33] 그의 프톨레마이오스의 ''화성론''에 대한 주석[34] (''Eis ta Harmonika Ptolemaiou hypomnēma'')는 고대 화성 이론의 역사에 중요한 자료이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의 인용을 통해서만 알려진 그의 플라톤 전기(4권)는 일부만 남아있다.[33]그는 호머에 대해서도 저술했다. 다른 저자들의 인용을 통해서만 알려진 여러 편의 분실된 저술 외에, 적어도 상당 부분이 남아 있는 두 편의 저술이 있다. ''호머 문제''(''Homēriká zētḗmata'', 주로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아''에 대한 문헌학적 주석)와 ''오디세이아의 님프 동굴에 관하여''(''Peri tou en Odysseia tōn nymphōn antrou'')이다.
포르피리오스의 유클리드의 ''원론''에 대한 주석은 알렉산드리아의 파푸스가 자료로 사용했다.
참조
[1]
서적
Christianity, Empire, and the Making of Religion in Late Antiqu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3-04-23
[2]
웹사이트
Porphyry
https://www.cs.uky.e[...]
[3]
서적
Three Books of Occult Philosophy
https://books.google[...]
Llewellyn Worldwide
1993
[4]
웹사이트
Porphyry {{!}} Neoplatonism, Logic, Commentarie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7-10
[5]
서적
20. The Byzantine Empire
https://books.opened[...]
Publications scientifiques du Muséum
2024-07-10
[6]
웹사이트
The Enneads of Plotinus: Porphyry: On the Life of Plotinus and the Arrangement of his Work
https://www.sacred-t[...]
2022-10-30
[7]
서적
Porphyry
Plato's Encyclopedia
[8]
서적
Iamblichus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9]
서적
Porphyry, the philosopher, to his wife, Marcella;
https://archive.org/[...]
London : G. Redway
[10]
서적
Porphyry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11]
서적
Augustine's Porphyry and the Universal Way of Sal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The Ethics of Diet
https://ivu.org/hist[...]
2023-04-25
[13]
백과사전
Porphyry
https://www.oxfordmu[...]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9-25
[14]
서적
In Aristotelis Categorias commentarium
[15]
서적
Clidophorus, or of the Exoteric and Esoteric Philosophy, that is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Doctrine of the Ancients: the one open and public, accommodating to the popular prejudices and established Religions, the other private and secret, wherein, to the few capable and discrete, was taught the real truth stript of all disguises, in Tetradamus.
Brotherton and Meadows (London)
[16]
문서
Porphyry's biographical information
[17]
문서
Porphyry's Works
[18]
문서
Isagoge clarification
[19]
문서
[20]
문서
[21]
웹사이트
Porphyry Malchus
http://www-history.m[...]
[22]
문서
West Semitic MLK connotations
[23]
서적
Lives of the Philosophers
[24]
서적
Inventions et decouvertes au Moyen-Age
[25]
문서
Isagoge history
[26]
백과사전
Araz (accident)
[27]
문서
Refusal of offerings to gods and emperors
[28]
문서
Fragment reassignment
[29]
문서
Banning and burning of Porphyry's works
[30]
문서
Letter of Constantine
[31]
문서
Historia Ecclesiastica III.23
[32]
서적
Philosophy as a Way of Life
Blackwells
[33]
문서
Porphyry's Life of Plato
1940-07
[34]
웹사이트
Τοξόλυρος - Εις τα αρμονικα Πτολεμαιου υπομνηματα - φιλοσοφικό Ακαδημίας
http://www.toxolyros[...]
[35]
문서
[36]
서적
Beutler (1894-1980)
null
[37]
서적
Barnes 2003
[38]
서적
Barnes 2003
[39]
웹사이트
Porphyry Malchus
http://www-history.m[...]
2016-06-07
[40]
서적
Digeser 1998
null
[41]
웹사이트
De antro nympharum
http://www.tertullia[...]
null
[42]
논문
Adversus Christianos (Against the Christians)
SPCK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