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낭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낭섬은 면적 295km²로 말레이시아에서 네 번째로 큰 섬이자, 2020년 기준 인구 79만 명 이상으로 가장 인구가 많은 섬 도시이다. 섬 중앙의 페낭힐은 페낭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며, 2021년 유네스코 세계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토지 부족으로 인해 매립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2개의 다리로 본토와 연결되어 있다. 동서 무역의 요충지로서 자유 무역항으로 번영했으며, 2008년 조지 타운이 말라카와 함께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다. 관광지로서, 조지 타운과 해변을 중심으로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며, 외국인의 장기 체류도 많은 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피낭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로마자 표기 | Pulau Pinang |
중국어 표기 | 槟岛 (Bīn dǎo) |
![]() | |
좌표 | 5.37° N, 100.26° E |
위치 | 말라카 해협(서쪽), 페낭 해협(동쪽) |
군도 | 말레이 군도 |
행정 구역 | |
국가 | 말레이시아 |
주 | 페낭 주 |
시 | 조지타운 |
지리 | |
면적 | 295 km² |
최고봉 | 페낭 힐 |
인구 통계 | |
인구 (2020년) | 794,313명 |
인구 밀도 | 2,596명/km² |
2. 지리
피낭섬은 2020년 기준 인구 794,313명으로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섬 도시이다.[1] 섬 전체는 "페낭섬 시"를 형성하며, 2020년 기준 인구는 79만 1200명이다.[11] 조지타운 지역의 인구는 약 15만 명이다. 주민 중 화교의 비율이 높고, 말레이계, 인도계 타밀인이 그 뒤를 잇는다. 이슬람교, 불교(대승 불교·상좌부 불교 등), 도교, 힌두교, 가톨릭, 성공회, 시크교 등 다양한 종교 시설이 집중되어 있다.[12]
말레이 반도와는 Penang Bridge|페낭 대교영어(13.5km)와 Sultan Abdul Halim Muadzam Shah Bridge|페낭 제2대교영어(24km)로 연결되어 있으며, 페리가 자주 운행된다(소요 시간 약 20분). 쿠알라룸푸르에서는 북서쪽으로 약 350km 떨어져 있다.
2. 1. 지형
면적이 295km2인 피낭섬은 방기섬, 브루이트섬, 랑카위섬에 이어 말레이시아에서 네 번째로 큰 섬이다. 섬의 지형은 불규칙하며 언덕이 많고 대부분 숲으로 덮여 있다. 해안 평야는 좁으며, 가장 넓은 평야는 북동쪽 곶에 위치해 있는데,[2] 초기 조지타운의 개발은 이 곶에서 시작되어 결국 동쪽 해안을 따라 뻗어 나갔다. 맹그로브 늪은 섬의 서쪽 해안선을 따라 널리 분포한다. 섬 중앙의 언덕과 결합하여 섬의 서쪽 절반에 걸쳐 도시화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833m 높이의 섬 중앙에 있는 페낭힐은 페낭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 섬의 언덕 중심부는 중요한 수자원 확보 지역 역할을 하며 1억 3천만 년 이상 된 열대 우림의 터전이기도 하다.[3] 2021년, 12481ha 규모의 페낭힐 생물권 보전 지역은 페낭힐의 생물 다양성과 보호된 산림 보호 구역으로서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유네스코의 세계 생물권 보전 지역 네트워크에 등록되었다.[4]
섬의 면적은 295제곱킬로미터이며, 동서 12킬로미터, 남북 24킬로미터이다. 전체적으로 산지가 많고 평지는 섬의 동쪽에 치우쳐 있다. 섬의 최고봉은 북부에 있는 해발 833m의 페낭힐이다. 섬의 산지에는 디프테로카르푸스과의 산림이 있으며, 연안부에는 저지대와 말레이시아에서 몇 안 되는 해안 우림 외에도 맹그로브, 습지, 사빈, 산호초 등 다양한 생태계가 있다. 섬과 부근 해역에는 참돌고래, 말레이사슴벌레와 철새가 서식하고, 사빈은 바다거북의 산란지이다. 2021년에 페낭힐을 중심으로 한 지역은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13]
2. 2. 토지 매립
토지 부족으로 인해 탄중토콩, 젤루통, 바투 마웅 및 거니 드라이브와 같은 수요가 높은 지역에서 토지 매립 사업이 진행되었다.[5][6][7] 2023년, 첨단 기술 제조 및 상업의 새로운 허브로 구상된 920ha 규모의 실리콘 아일랜드 건설을 위한 대규모 매립 사업이 섬의 남쪽 해안선에서 시작되었다.[8] 이는 섬 북쪽 해안에 있는 안다만섬 조성에 추가되는 것이다. 한편, 거니 드라이브 해안선은 "페낭의 새로운 상징적인 해안가 명소"를 목표로 거니 베이로 변모하고 있다.[9][10]2. 3. 기후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C) | 31.6 | 32.2 | 32.2 | 31.9 | 31.6 | 31.4 | 31.0 | 30.9 | 30.4 | 30.4 | 30.7 | 31.1 | 31.3 |
평균 기온 (°C) | 26.9 | 27.4 | 27.6 | 27.7 | 27.6 | 27.3 | 26.9 | 26.8 | 26.5 | 26.4 | 26.5 | 26.7 | 27.0 |
최저 기온 (°C) | 23.2 | 23.5 | 23.7 | 24.1 | 24.2 | 23.8 | 23.4 | 23.4 | 23.2 | 23.3 | 23.3 | 23.4 | 23.5 |
강우량 (mm) | 68.7mm | 71.7mm | 146.4mm | 220.5mm | 203.4mm | 178mm | 192.1mm | 242.4mm | 356.1mm | 383mm | 231.8mm | 113.5mm | 2407.6mm |
비 오는 날 (≥ 1mm) | 5 | 6 | 9 | 14 | 14 | 11 | 12 | 14 | 18 | 19 | 15 | 9 | 146 |
일조 시간 | 248.8 | 233.2 | 235.3 | 224.5 | 203.6 | 202.4 | 205.5 | 188.8 | 161.0 | 170.2 | 182.1 | 209.0 | 2464.4 |
[22]
동서 무역의 요충지인 말라카 해협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예로부터 교역선의 기항지로서 번영했다.
3. 역사
1786년, 케다 왕국의 지배 하에 있던 피낭 섬은 영국에 할양되어 자유 무역항이 되었다. 피낭은 싱가포르, 말라카와 함께 "해협 식민지"의 일각이 되어, 관세를 부과했던 바타비아 등을 꺼리는 교역선이 빈번하게 기항하게 되었다. 그러나 1832년에 해협 식민지의 거점이 피낭에서 싱가포르로 옮겨지면서, 해협 무역의 중심지 지위를 싱가포르에 넘겨주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때인 1914년 독일 순양함엠덴이 통상 파괴 활동의 일환으로 기습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에는 1941년에 일본군의 말레이 작전의 일환으로, 1945년 종전까지 점령되었고, 이후 인도양에서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에 이르는 일본 해군의 중요한 작전 거점이 되었다. 또한 독일 해군의 잠수함(유보트)이나 이탈리아 해군의 잠수함도 통상 파괴 활동의 기지로 삼았다.
전후에는 일본의 원양 어업에 종사하는 어선의 기항지 중 하나가 되었지만, 1976년에는 기항 중인 참치 어선이 도적의 습격을 받는 등 치안 악화도 두드러졌다.[14]
2008년, 말라카 해협의 역사적 도시군으로서 말라카와 함께 조지 타운이 세계 유산에 등록되었다.[15]
3. 1. 영국 식민지 시대
말라카 해협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예로부터 교역선의 기항지로서 번영했다.
1786년, 케다 왕국의 지배 하에 있던 피낭 섬은 영국에 할양되어 자유 무역항이 되었다. 피낭은 싱가포르, 말라카와 함께 "해협 식민지"의 일각이 되어, 관세를 부과했던 바타비아 등을 꺼리는 교역선이 빈번하게 기항하게 되었다. 그러나 1832년에 해협 식민지의 거점이 피낭에서 싱가포르로 옮겨지면서, 해협 무역의 중심지 지위를 싱가포르에 넘겨주게 되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때 독일 순양함엠덴이 통상 파괴 활동의 일환으로 기습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
3. 2.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때 독일 순양함엠덴이 통상 파괴 활동의 일환으로 기습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에는 1941년에 일본군의 말레이 작전의 일환으로, 1945년 종전까지 점령되었고, 이후 인도양에서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에 이르는 일본 해군의 중요한 작전 거점이 되었다. 또한 독일 해군의 잠수함(유보트)이나 이탈리아 해군의 잠수함도 통상 파괴 활동의 기지로 삼았다.
3. 3. 전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피낭섬은 일본의 원양 어업에 종사하는 어선의 기항지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1976년에는 기항 중인 참치 어선이 도적의 습격을 받는 등 치안 악화도 두드러졌다.[14]
2008년, 말라카 해협의 역사적 도시군으로서 말라카와 함께 조지 타운이 세계 유산에 등록되었다.[15]
3. 4. 세계 유산 등재
2008년, 말라카 해협의 역사적 도시군으로서 말라카와 함께 조지 타운이 세계 유산에 등록되었다.[15]
4. 인구
페낭섬 전체는 "페낭섬 시"라는 자치체를 형성하고 있다. 2020년 기준 인구는 79만 1200명이며,[11] 구시가지인 조지타운 지역의 인구는 약 15만 명이다.
4. 1. 민족 구성
2020년 기준 페낭섬의 인구는 79만 1200명이다.[11] 주민 중 화교의 비율이 높으며, 말레이계, 인도계 타밀인 순으로 많다. 이슬람교, 불교(대승 불교, 상좌부 불교 등), 도교, 힌두교, 가톨릭, 성공회, 시크교 등 매우 다양한 종교 시설이 집중되어 있다.[12]5. 교통
피낭섬은 철도가 없기 때문에 섬 내 대중교통은 버스가 중심이다.
주로 코무타와 버터워스행 페리 터미널 부근(제티 또는 웰드 부두)의 두 터미널에서 많은 버스가 출발하고 도착하며, 여기서 해변 리조트인 탄중붕아 지역, 공항, 페낭힐 등 섬 내 각지로 이동할 수 있다.
버스 승차 시 운전기사에게 목적지를 알리고 요금을 미리 내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택시보다 저렴하여 자가용이 없는 현지인이나 관광객들이 많이 이용한다.
말레이시아 각지와도 여러 버스 회사를 통해 장거리 버스로 연결되어 있다. 쿠알라룸푸르에서 피낭섬까지는 5~6시간이 소요된다.[18] 춘절(화교 설)이나 하리 라야(말레이시아의 오봉) 등의 성수기에는 빈자리가 부족할 수 있지만, 평소에는 자리가 넉넉한 편이다. 이전에는 코무타 부근에 장거리 버스 터미널이 있었지만, 일부를 제외하고 교외의 순가이니본 지역으로 이전되어, 페리를 이용하여 버터워스의 버스 터미널을 이용하는 것이 더 편리할 수 있다.
버터워스의 버스 터미널은 페리 터미널과 버터워스역에 인접해 있으며, 조지타운 출발/도착 버스보다 목적지 행선 수가 더 많다. (말레이시아 각지와 연결하는 버스 중에는 버터워스 종착으로 페낭 섬 내까지 들어오지 않는 경우도 많다.)
현재 이 부근에는 페낭 센트럴이라는 교통 터미널이 정비 중이며, 앞으로 페낭 주에서 철도, 항만, 버스, 고속도로 IC 등을 연결하는 거대한 허브가 될 예정이다.
5. 1. 항공
일본과의 직항편은 없으므로, 쿠알라룸푸르, 싱가포르, 방콕, 홍콩 등 주변 공항에서 환승이 필요하다.[17]5. 2. 철도
섬 내에는 철도가 존재하지 않지만, 맞은편 버터워스에 말레이 철도의 버터워스역이 있다.[18] 여기서 남쪽으로는 쿠알라룸푸르, 싱가포르로 갈 수 있으며, 북쪽으로는 방콕 등으로 갈 수 있다.또한 공항과 탄중 톡콩 지역을 잇는 모노레일 건설 계획도 존재하지만, 예산 동결로 인해 보류된 상태이다.
5. 3. 도로
피낭섬은 본토와 두 개의 도로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페낭 대교는 섬의 게루고르에서 시작하여 본토의 페라이에서 끝나며, 술탄 압둘 할림 무아잠 샤 대교는 바투 마웅과 본토의 바투 카완을 연결한다.섬의 도로는 잘 정비되어 있지만, 인구와 차량 증가, 그리고 영국 통치 시대 그대로의 도로 폭 문제로 인해 중심부나 페낭 대교 양쪽 끝 부근 등에서 교통 체증이 심하고 사고와 문제도 많아 버스나 택시 등의 지연 원인이 되고 있다.[20] 이러한 이유로 두 번째 다리나 바이패스 도로 등이 계획되었다.[20] 페낭 제2대교는 페낭섬 남동부의 공항 부근과 본토 바투 카완 지구를 연결하며 2014년 3월 1일에 개통되었다.[21]
또한 다수의 관광용 인력거가 존재하지만, 각각 번호판을 가지고 있으며, 페낭섬 내에서는 자동차보다 우선적으로 운행하도록 되어 있다.
5. 4. 해상 교통
말레이 반도와 페낭섬은 Penang Bridge|페낭 대교|한국어 발음=페낭 브리지영어(길이 13.5km)와 Sultan Abdul Halim Muadzam Shah Bridge|술탄 압둘 할림 무아잠 샤 대교|한국어 발음=술탄 압둘 할림 무아잠 샤 브리지영어(길이 24km)라는 두 개의 큰 다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페리가 자주 왕래한다(소요 시간은 약 20분).[18] 페낭섬 맞은편의 버터워스를 연결하는 페리가 이른 아침부터 심야까지 약 20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다. 2019년 현재 소요 시간은 20~30분이며, 페낭섬으로 가는 경우 요금은 1.2MYR이고, 페낭섬에서 버터워스로 가는 경우에는 무료이다.[18][19]랑카위섬이나 인도네시아의 메단 등과의 장거리 페리 터미널도 근처에 있다.
6. 관광
'''동양의 진주'''(The Pearl of The Orient)라고 불리는 말레이시아 최고의 관광지이다.[12]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록된 역사 도시 조지 타운과 섬 북부의 고급 리조트 호텔이 즐비한 해변이라는 두 가지 관광지 측면을 가지고 있다.[12]
주택, 백화점, 쇼핑몰, 호텔, 병원, 관공서 등 시민 생활에 필요한 시설 및 설비가 충실하여, 외국인의 장기 체류자가 많다.
6. 1. 주요 관광지
말레이시아 최고의 관광지로, '''동양의 진주'''(The Pearl of The Orient)라고 불린다.[12]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록된 역사 도시 조지 타운과 섬 북부의 바투 페링기, 텔룩 바항 등 고급 리조트 호텔이 즐비한 해변이라는 두 가지 관광지 측면을 가지고 있다.[12] 일본인 관광객의 모습도 많이 보인다.6. 2. 장기 체류
페낭 섬은 주택, 백화점, 쇼핑몰, 호텔, 병원, 관공서 등 시민 생활에 필요한 시설 및 설비가 잘 갖추어져 있어, 외국인의 장기 체류자가 많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장기 체류자에 대한 우대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장기 비자 지급 규제 완화 등[16]), 구미 선진국이나 일본 등에서 정년 퇴직한 사람들이 "제2의 인생" 또는 "낙원에서의 여생"을 즐기거나, 추운 곳에서 겨울 동안만 페낭 섬에서 지내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장기 체류하고 있다.7. 출신 유명인
- P. 람리(싱어송라이터)
참조
[1]
서적
Key Findings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Malaysia 2020: Pulau Pinang
https://newss.statis[...]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022-05-29
[2]
간행물
TSS Mapping Using THEOS Imagery over Penang Island, Malaysia
2011
[3]
간행물
Penang Green Agenda 2030: Biodiversity and Natural Ecosystems
https://www.pgc.com.[...]
2020-06
[4]
웹사이트
Penang Hill Biosphere Reserve
https://en.unesco.or[...]
2023-11-13
[5]
뉴스
Gurney Drive's reclamation project will transform the seaside promenade
http://www.star2.com[...]
2017-05-26
[6]
뉴스
E & O gains more time to finish Seri Tg Pinang reclamation
https://www.thestar.[...]
2016-01-21
[7]
뉴스
Cover Story: IJM Land to unveil two much-awaited projects
http://www.theedgema[...]
2017-05-26
[8]
웹사이트
Penang CM: Preliminary works on man-made Silicon Island starts today
https://www.malaymai[...]
2023-10-26
[9]
웹사이트
Gurney Wharf is now officially called Gurney Bay
https://www.buletinm[...]
2023-10-26
[10]
웹사이트
GURNEY WHARF - A Penang State Project
https://www.stp2.my/[...]
2020-05-04
[11]
웹사이트
The STAR
https://www.thestar.[...]
2023-07-05
[12]
웹사이트
【東南アジア】シンガポールからマレー半島を北上しマレーシア、タイへ。多様な歴史と文化に彩られた国々を巡り、感動の連続を体験する『地球の歩き方』らしさにあふれた旅
https://www.arukikat[...]
地球の歩き方書籍編集部
2022-11-26
[13]
웹사이트
Penang Hill Biosphere Reserve
https://en.unesco.or[...]
2023-02-09
[14]
뉴스
日本漁船に七人組の賊
朝日新聞
1976-08-17
[15]
문서
지구의 걸어가는 방법 편집실(2019) p.130
[16]
웹사이트
長期滞在したい国8年連続1位 マレーシア・ペナン島の観光戦略
http://www.projectde[...]
月刊事業構想オンライン
2014-11-14
[17]
문서
지구의 걸어가는 방법 편집실(2019) p.132
[18]
문서
지구의 걸어가는 방법 편집실(2019) p.133
[19]
웹사이트
エリア情報 ペナン
https://www.tourismm[...]
マレーシア政府観光局
2022-11-26
[20]
문서
우타카(2008) p.15
[21]
뉴스
페낭 제2대교 통행요금, 4월 1일부터 8.50링깃에
http://www.malaysia-[...]
2014-04-17
[22]
웹인용
Penang/Bayan Lepas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