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마쓰초역은 일본 도쿄도 미나토구에 있는 철도역으로,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의 야마노테선, 게이힌 도호쿠선과 도쿄 모노레일의 하네다 공항선을 이용할 수 있다. JR 동일본의 경우 섬식 승강장 2면 4선 구조로 야마노테선과 게이힌 도호쿠선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며, 도쿄 모노레일은 하네다 공항행 열차가 시종착한다. 주변에는 오피스 빌딩이 밀집해 있으며, 세계 무역 센터 빌딩, 도쿄 타워 등이 위치한다. 2026년에는 북쪽에 교상 개찰구가 개설될 예정이며, 주변 지역의 개발 계획도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하마마쓰초 - 분카 방송 분카 방송은 가톨릭 재단에서 시작하여 재계 지원으로 주식회사로 재편된 일본의 민영 라디오 방송국으로, AM/FM 방송 운영, 애니메이션 및 게임 관련 프로그램 제작, NRN 키국 역할 수행, 스포츠 중계 등에 집중하고 있으며 AM 방송 폐지 여정을 앞두고 있다.
하마마쓰초 - 다이몬역 (도쿄도) 도쿄도 미나토구에 위치한 다이몬역은 도영 지하철 아사쿠사선과 오에도선 환승역으로, 하마마쓰초역과 인접하며 조조지, 세계 무역 센터 빌딩, 미나토구청 등 주요 시설이 주변에 있고 2021년 아사쿠사선에 "하마마쓰초" 부역명이 도입되었다.
미나토구 (도쿄도)의 철도역 - 아카바네바시역 아카바네바시역은 도쿄 도 미나토구에 있는 도영 오에도 선의 지하역으로,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갖추고 있으며 도쿄 타워, 시바 공원 등 주요 시설과 인접해 있고 다이몬역과 아자부주반역 사이에 위치한다.
미나토구 (도쿄도)의 철도역 - 노기자카역 노기자카역은 도쿄 메트로 지요다 선의 역으로 1972년 개업하여 2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역 발차 멜로디로 아이돌 그룹 노기자카46의 노래가 사용되고, 국립신미술관, 도쿄 미드타운과 인접해 있다.
야마노테선 - 도쿄역 도쿄역은 도쿄도 치요다구에 위치한 일본 최대 규모의 철도역이자 랜드마크로서, 신칸센과 재래선, 지하철 노선이 연결되는 교통 중심지이며, 복구 및 재건을 거쳐 마루노우치 역사가 복원되었고, 현재는 복합시설과 상업 시설, 호텔이 조성되어 있으며, 향후 노선 연장 계획이 진행 중이다.
야마노테선 - 신주쿠역 신주쿠역은 1885년 개업하여 JR 동일본, 게이오 전철 등 5개 회사의 노선이 운행되는 도쿄도 신주쿠구의 주요 철도역으로, 하루 평균 347만 명이 이용하는 세계적인 터미널역이다.
system1: JR 동일본 line1: 야마노테 left1: 다마치 note-left1: JY27 right1: 신바시 note-right1: JY29 to-left1: 다음 시계 방향 to-right1: 다음 반시계 방향 line2: 게이힌-도호쿠 left2: 다마치 note-left2: JK22 note-mid2: 급행 right2: 도쿄 note-right2: JK26 line3: 게이힌-도호쿠 left3: 다마치 note-left3: JK22 note-mid3: 일반 right3: 신바시 note-right3: JK24 system4: 도쿄 모노레일 line4: 하네다 공항 right4: 하네다 공항 제3터미널 note-right4: MO08 note-mid4: 하네다 익스프레스 line5: 하네다 공항 right5: 덴노즈 아일 note-right5: MO02 note-mid5: 급행/일반
JR 동일본의 역은 선로 명칭상 도카이도 본선에 속해 있지만, 실제 운행은 전철선을 이용하는 게이힌 도호쿠 선과 야마노테 선 전철만 정차한다. 도카이도선 열차는 이 역에 정차하지 않으며, 여객 안내 시에도 "도카이도선"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도쿄 화물 터미널역 방향으로 이어지는 도카이도 화물선의 기점이기도 하지만, 현재 해당 구간의 열차 운행은 중단된 상태이다. JR 동일본 역에는 "HMC"라는 3자 코드가 부여되어 있다.
도쿄 모노레일 역의 정식 명칭은 '''모노레일 하마마쓰초 역'''(モノレール浜松町駅|모노레루 하마마쓰초에키일본어)이며, 하네다 공항으로 연결되는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선의 시종착역 역할을 한다.
이 역은 JR의 특정 도구 내 제도에 따라 "도쿄 도구 내" 및 "도쿄 야마노테선 내" 구역에 포함된다.
3. 역 구조
하마마쓰초역은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의 노선과 도쿄 모노레일 노선이 운행되는 환승역이다. JR 동일본 역과 도쿄 모노레일 역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JR 동일본 역은 섬식 승강장 2면 4선을 갖춘 지상역으로, 일부는 교상 역사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역에는 자동 발권기, 다기능 발권기, 지정석 발권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44] 출입구는 총 세 곳으로, 신바시역 방면 지상에 위치한 북쪽 출구, 승강장과 연결된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를 통해 올라갈 수 있는 교상 역사 내의 중앙 출구와 남쪽 출구가 있다. 중앙 출구와 남쪽 출구가 있는 교상 역사를 통해 도쿄 모노레일 역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도쿄 모노레일 역은 JR역 서쪽, 세계 무역 센터 빌딩에 인접한 별도의 모노레일 빌딩 내에 위치한 고가역이다. 두단식 승강장 2면 1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공식 명칭은 モノレール浜松町駅|모노레-루 하마마쓰초에키일본어이다.
두 역 간의 환승은 주로 JR 중앙 출구 및 남쪽 출구 쪽 교상 역사 개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개찰구는 세계 무역 센터 빌딩과의 연락 통로와 연결되어 도쿄 모노레일 역으로 이어진다. 2002년 JR 동일본이 도쿄 모노레일을 인수한 후, 환승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에스컬레이터 증설, 엘리베이터 신설, 모노레일 역과 직접 연결되는 연락 통로 및 출구 전용 개찰구 신설 등의 공사가 진행되었다.
현재 지상에 있는 북쪽 출구는 미나토구가 정비하는 동서 자유 통로와 연결되는 교상 역사로 개량될 예정이며, 2019년 9월에 착공하여 2028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47][48]
3. 1. JR 동일본
JR 동일본 역은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49]야마노테선(2, 3번 승강장)과 게이힌-토호쿠선(1, 4번 승강장) 간의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운행하는 노선은 선로 명칭상 도카이도 본선 하나뿐이지만, 실제로는 게이힌-토호쿠선과 야마노테선 전철만 정차하며, 도카이도선 열차는 정차하지 않는다. 여객 안내에서도 "도카이도선"으로 안내되지 않는다. 또한, 도쿄 화물 터미널역 방면으로의 도카이도 화물선 기점이기도 하지만, 현재 해당 구간은 운행이 중지된 상태이다.
JR 동일본 역에는 "HMC"라는 3자리 역 코드가 부여되어 있다. 각 노선의 역 번호는 다음과 같다.
게이힌-토호쿠선: '''JK 23''' (도카이도 본선 및 도호쿠 본선의 단거리 전철 운행. 요코하마역에서 네기시선 직통 운행)
3번과 4번 승강장(야마노테선 외선 순환 및 게이힌-토호쿠선 남행)의 다마치 방면에는 "오줌싸개 동상"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동상은 계절마다 옷을 갈아입는 것으로 유명하여 이용객들에게 소소한 즐거움을 선사한다.
동상의 유래는 1952년 철도 개통 80주년을 기념하여 당시 하마마쓰초역장이었던 시이노 에이자부로가 신바시역의 치과의사 고바야시 히카루에게 자문을 구하면서 시작되었다. 고바야시는 자신의 장남 탄생 기념으로 만든 흰 도자기 오줌싸개 동상을 기증했다. 당시 해당 승강장은 사용되지 않았으나, 1956년 야마노테선과 게이힌-토호쿠선 분리 운전 시작과 함께 사용되기 시작했다. 1955년 승강장 개수 공사 중 고바야시가 새로 청동으로 만든 동상을 기증했다.
처음에는 옷을 입지 않았으나, 추운 날 한 소녀가 털모자를 씌워준 것을 계기로 옷을 입히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하마마쓰초 회사에 근무하던 타나카 에이코라는 여성이 30여 년간 200벌 이상의 옷을 만들어 입혔으나, 그녀의 사망 후 다시 옷을 입지 않게 되었다.
1986년도쿄 소방청 시바 소방서의 요청으로 미나토구의 수예 그룹 "수국"이 소방복을 만들어 입힌 것을 계기로, 같은 해 11월부터 "수국"이 매달 새로운 옷을 만들어 입히고 있다. 동상은 고정되어 있어 옷을 입힐 때는 현장에서 직접 꿰매는 방식으로 작업한다.
초기 동상의 모델이 된 고바야시 히카루의 장남 고바야시 미츠미치는 현재도 역 근처 세계 무역 센터 빌딩에서 치과 병원을 운영하고 있다.[50][51]
2009년 개업 100주년을 기념하여 개찰구 밖 콘코스에 오줌싸개 동상의 모자이크 릴리프가 설치되었다.
3. 2. 도쿄 모노레일
도쿄 모노레일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공항선의 시종착역으로, 역 번호는 '''MO 01'''이다. 공식 명칭은 モノレール浜松町駅|모노레-루 하마마쓰초에키일본어이지만[18], 역이나 열차 내 안내에서는 단순히 '하마마쓰초'로 표기되기도 한다.
모노레일 역은 JR역 서쪽, 세계 무역 센터 빌딩에 인접한 별도의 고가 구조물인 모노레일 빌딩에 있다. 두단식 홈 2면 1선 구조이며, 동쪽 승강장은 승차용, 서쪽 승강장은 하차용으로 사용된다.[54]
모노레일 하마마쓰초역 중앙 출구 (2016년 6월)
도쿄 모노레일 승강장 (2016년 6월)
출입구는 중앙 출구와 남쪽 출구 두 곳이 있으며, 중앙 개찰구에는 정기 승차권 매표소가 있다. JR 동일본 역과는 3층 연락 통로와 개찰구를 통해 환승할 수 있다. 2002년 JR 동일본이 도쿄 모노레일을 인수한 후 환승 편의를 위해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가 증설되었다.
과거에는 '''MCAT'''(모노레일 시티 에어 터미널)에서 하네다 공항 국내선 항공편 체크인 및 발권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2010년 9월 30일부로 영업을 종료했다.[36][37] MCAT 자리에는 엘리베이터와 상업 시설 등이 들어섰다. 역 빌딩 1, 2층의 상업 시설 '모노레 하마마쓰초'는 2021년 3월 31일부로 모두 폐점했으며, 현재는 코인 로커와 음료자동 판매기만 운영 중이다.
역 빌딩은 모노레일 빌딩과 세계 무역 센터 빌딩 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노레일 빌딩에는 주로 플랫폼과 개찰 시설이 있고, 역 사무실은 별관에 있다. 모노레일 빌딩 지붕은 반원형의 가마보코형 지붕이 연속된 형태가 특징이다.
세계 무역 센터 빌딩 재건축 계획에 따라 모노레일 역도 현재의 2면 1선 구조에서 2면 2선(복선) 구조로 확장하고 역 빌딩도 재건축될 예정이다.[53]
하마마쓰초역 부근에서는 일본 철도 개업 당시부터 열차 운행이 이루어졌지만, 역이 개설된 것은 시가지 고가선이 부분 개통되면서 철도성 도카이도 본선의 시나가와역 - 신바시역 구간이 개통된 1909년(메이지 42년) 12월 16일이었다. 당시 도카이도 본선의 기점이었던 구 신바시역(후의 시오도메역)과 도쿄 북쪽으로 철도망을 뻗어 있던 일본 철도의 터미널역인 우에노역 사이를 잇는 고가 철도 건설 과정에서, 하마마쓰초역 부근에서 기존 선로에서 분기하는 형태로 고가교가 건설되었다. 개업 당시에는 야마노테선 전철만 정차하는 역이었으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에 승강장 길이는 약 93.6m였다. 역 동쪽에는 다케시바나 시바우라 등 도쿄항의 부두가 있어 이즈 제도 방면 항로 등과의 연계 역할도 했다.[14][15]
1914년(다이쇼 3년) 12월 20일도쿄역이 개업하면서 도쿄역을 기점으로 하는 시가지 고가선이 도카이도 본선이 되었고, 하마마쓰초역도 도카이도 본선상의 역이 되었다. 도카이도 본선 장거리 열차 운행도 시작되었지만, 장거리 열차용 승강장이 없어 계속 근거리 전철만 정차했다. 도쿄역 개업에 맞춰 게이힌선 전철(현 게이힌 도호쿠선) 운행이 시작되어 하마마쓰초역에도 정차하게 되었다.[14]
야마노테선과 게이힌 도호쿠선은 다마치 - 다바타 구간에서 선로를 공유했지만, 승객 증가로 선로 증설 및 분리 공사가 이루어져 1956년(쇼와 31년) 11월 19일부터 분리 운행을 시작했다. 이로써 하마마쓰초역의 JR 승강장은 현재와 같은 섬식 승강장 2면 4선 구조가 되었다.[16]
과거에는 도카이도 신칸센 선로보다 바다 쪽에 도쿄 화물 터미널역으로 이어지는 화물선(통칭 오시오선)이 지나갔으나, 도영 지하철 오에도선 공사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 또한, 1990년(헤이세이 2년)부터 1998년(헤이세이 10년)까지 행락 시즌에는 화물선 상에 설치된 임시 승강장에서 규슈나 홋카이도 방면으로 가는 카트레인이 발착하기도 했다(이전에는 에비스역에서 발착).
하마마쓰초역 주변은 대기업부터 중소기업의 사무실이 밀집해 있는 도쿄의 주요 오피스 거리 중 하나이다. 역 서쪽에는 세계 무역 센터 빌딩이 인접해 있고, 동쪽에는 구 시바리큐 은사 정원이 있다. 북쪽 출구는 시오도메 시오사이트의 남쪽 입구 역할을 하며, 대형 오피스 빌딩인 시오도메 시바리큐 빌딩과 시오도메 빌딩이 완공되면서 역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다.
도쿄도 교통국(도영 지하철)의 다이몬역(아사쿠사선, 오에도선)이 가까이 있으며, 부역명으로 '하마마쓰초'가 사용된다. 일부 노선도에서는 환승역으로 표시되지 않지만, 도보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약 1분 거리의 이동 경로는 안내 표지판이 잘 설치되어 있어 찾기 쉽다. 남쪽 방면에서 열차를 타고 도착할 경우, 열차 앞쪽 칸이 다이몬역 출구와 가장 가깝다.[10]
역은 도쿄 세계 무역 센터(World Trade Center (Tokyo))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직접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즈 제도나 오가사와라 제도로 향하는 정기선이 출항하는 다케시바 부두, 수상 버스나 해상 버스가 출발하는 히노데 부두와 가깝다. 도쿄 타워, 시바 공원, 조조지, 미나토구청 등도 도보로 접근 가능한 거리에 있다.
주요 시설 및 명소는 다음과 같다.
다이몬 역
도쿄타워
문화방송
미나토 구청
증상사 (增上寺)
액티 시오도메(Acty Shiodome): 일본에서 네 번째로 높은 주거용 건물로, 북쪽으로 도보 3분 거리에 있다.[11]
일본생명보험, 시세이도 재팬, 아이리스 오야마 도쿄 본부, 시노켄 그룹 도쿄 본사, 아사히 방송 그룹 홀딩스 도쿄 오피스 (아사히 방송 텔레비전 도쿄 오피스, 아사히 방송 라디오 도쿄 지사, 스카이 A 도쿄 지사, ABC 프론티어, 에이・비・시 개발 도쿄 지사), 오릭스 부동산 사업 본부 (오릭스 부동산, 오릭스 크레딧), 도쿄 가스 디지털 이노베이션 전략부 (도쿄 가스 i 넷), 미쓰이스미토모 은행 하마마쓰초 지점
아토레 다케시바 (제Ⅰ기 2020년 6월 17일 개업[225][218], 제Ⅱ기 2020년 8월 7일 개업[219]), 메즘 도쿄, 오토그래프 컬렉션 (2020년 4월 27일 개업[223]), JR 동일본 사계 극장[봄]・[가을]・자유 극장 ([가을] 2020년 10월 24일 개업[224][225][226], [봄] 2021년 1월 10일 개업[224][225][226])
가장 가까운 버스 정류장은 역 앞 도로에 있는 '''하마마쓰초역 앞'''과 국도 15호선에 있는 '''다이몬역 앞'''이며, 도쿄도 교통국에서 운행한다. 세계 무역 센터 빌딩에 병설되어 있던 '''하마마쓰초 버스 터미널'''은 2020년 9월 30일에 영업을 종료했다.[228]
역 주변은 도시재생긴급정비지역으로 지정되어, 국토교통성, 도쿄도, 미나토구, JR 동일본, 도쿄 모노레일 5개 주체가 하마마쓰초 주변 지구의 교통 시설 정비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2008년 1월 완료된 시오도메 재개발 (시오도메 시오사이트)과 2010년10월 21일 하네다 공항 국제선 정기편 취항 및 하네다공항 제3터미널역 개업에 따른 승객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미나토구는 교통 결절 기능 강화를 위해 역 북쪽 출구에서 시오도메 방면으로 이어지는 약 75m 길이, 약 20m 폭의 "하마마쓰초역 동서 자유 통로" 정비를 계획하고 있다. 이 통로는 게이힌 도호쿠선, 야마노테선,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신칸센을 가로지르며, 세계 무역 센터 빌딩 데크, 문화 방송 측 보도교, 시오도메 보행자 데크, 다케시바 부두까지 이어지는 다케시바 포트 데크와 연결된다. 또한 구 카트레인 하마마쓰초역 부지(도카이도 화물선 부지)와 고가와를 건너 시바우라로 이어지는 시바우라 데크(가칭) 및 보도와도 연결될 예정이다. 시바우라 데크와 보도는 2025년에서 2030년 사이에 준공될 신하마초 빌딩 BLUE FRONT SHIBAURA까지 이어져 미나토구 특별구도 제196호와 연결된다. 미나토구는 2009년도 내에 JR 동일본과 사업비 부담 협정을 맺고 개략 설계에 착수할 예정이었다. 이와 함께 고가와를 건너기 전 우회하여 선로 밑을 지나 카네스기 다리 방면으로 가는 미나토마치 가도교도 개수한다.
JR 동일본은 역 북쪽에 역사 등 관련 시설을 정비할 계획이며, 이는 이전 도쿄 모노레일 신역 예정지에 설치될 예정이다. 도쿄 모노레일 역시 현재 역 위치에서 궤도를 하나 더 늘려 복선화(2면 2선)하고 콘코스를 넓혀, 시간당 최대 운행 횟수를 현재 18회에서 24회로 늘릴 계획이다.
2012년 10월에는 역 주변 교통 시설 정비 계획의 개요가 발표되었다. 이에 따라 콘코스를 대폭 확장하고, 2014년도부터 세계 무역 센터 빌딩 재건축을 시작하여 2024년도에 완공하는 등의 계획이 추진된다. 또한, 역 남쪽의 기존 인도교(남쪽 출구 자유 통로)도 재가설하여 신하마바시 데크(도쿄 가스 본사 빌딩 등 연결) 및 신 세계 무역 센터 빌딩 남관과 직접 연결하고, 시바우라 데크와도 합류시킨다.[229]2013년 2월 JR 동일본 정례 회견에서는 JR역과 모노레일 하마마쓰초역 전체를 개축한다고 발표했다.[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