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민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胡)는 동아시아에서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서방의 페르시아계 민족을 지칭하거나, 춘추 시대부터 한나라 시대까지 내몽골 동부에 거주하던 민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는 중국의 오랑캐, 여진족, 두만강 북부의 여진족 등을 의미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청나라를 멸시하여 '호국'으로 칭하고 청나라 사람들을 '호로'로 폄하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호'는 성씨로도 존재하며, '호'가 들어가는 다양한 단어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비 - 발흐
발흐는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고대 도시로, 인도-이란 민족이 건설한 최초의 도시 중 하나이며, 조로아스터교 중심지이자 실크로드 요충지로서 다양한 문화와 종교의 영향을 받은 역사적인 도시이다. - 선비 - 모용부
모용부는 3세기부터 5세기 초 화북 지역에서 활동한 선비족의 한 부족으로, 요서 지역에서 유목과 농경을 병행하며 세력을 키워 여러 국가를 건국하고 토욕혼을 건국하기도 했으나, 5세기 초 북위의 화북 통일 과정에서 쇠퇴하였다. - 흉노 - 훈육
훈육은 고대 중국 역사서에 등장하는 유목민족 명칭으로, 흉노와의 관계에 대해 학계에서 논쟁이 있으며, 흉노의 다른 이름, 전신 또는 관련 부족, 별개의 민족 등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고, 명칭의 연관성 및 역사적 위치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흉노 - 험윤
험윤은 서주 시대부터 한나라 시대에 걸쳐 중국 북방에 존재했던 유목 민족으로, 주나라를 위협하며 잦은 충돌을 일으켰고, 진나라 시기에는 북쪽으로 이동했으며, 흉노의 선대 민족으로 여겨지기도 하고, 청동기 문화를 사용하며 전차를 활용한 군사적 움직임을 보였으며, 고조선과 부여를 포함한 한반도 국가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호 (민족) | |
---|---|
개요 | |
명칭 | 호 (胡) |
지칭 대상 | 한족 외의 북방 및 서방 민족 |
어원 | 말 또는 기마 유목민, 특히 흉노 또는 흉노의 영향권 내에 있는 민족 |
역사적 맥락 | |
사용 시기 | 선진 시대부터 한나라, 진나라 시대 |
의미 변화 | 선진 시대: 주로 흉노 지칭 한진 시대: 흉노, 선비, 갈, 저, 강 등 다양한 북방 및 서방 민족을 포괄 |
특징 | |
외형 묘사 | 코가 높고 눈이 깊으며 뾰족한 모자를 쓴 모습 (산둥성에서 발견된 한나라 시대 호인 석상 묘사 기준) |
문화적 특징 | 스키타이 문화와 관련 가능성, 월지 또는 그 이전 민족과의 연관성 추정 |
기타 | |
지칭 대상의 변화 | 북방에서 서부로 점차 확대 |
관련 유물 | 산둥성 린이시 우바이좡 한나라 시대 무덤에서 발견된 호인 석상 기둥 |
2. 어원 및 의미 변화
'호(胡)'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의미가 변해온 단어이다. 중국에서는 시대에 따라 북방 민족, 흉노, 페르시아계 민족 등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고, 내몽골 동부 지역의 민족을 지칭하는 동호라는 용어도 있었다. 한국어에서는 오랑캐, 여진족 등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청을 오랑캐로 여기는 대청관이 존재했다.[18][19][15][16][17]
2. 1. 중국
'호'는 중국 전국 시대 내몽골 지역의 민족을 가리키는 말로, 북적(北狄)이라고도 불렸다. 진, 한 시대에는 특히 흉노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았다. 당나라 시대에는 실크로드를 통한 왕래가 활발해지면서 서쪽의 페르시아계 민족(소그드인)을 가리키는 '서호(西胡)'라는 말이 사용되기도 했다. 이들이 투르키스탄에서 당나라로 가져온 문물과 풍속은 '호풍'이라 불리며 인기를 얻었고, 호복, 호적, 호무 등이 중국 문화에 영향을 주었다.내몽골 동부에 있었던 민족은 춘추 시대부터 동호라고 불렸다. 퉁구스의 음역이라고도 하나, 일반적으로 호(흉노)가 동쪽에 살던 이들을 지칭한 것이다. 몽골 (또는 투르크)과 퉁구스 계통의 연합으로 한때 흉노를 압도하기도 했으나, 이후 흉노에 복속되었다. 오환, 선비, 거란 등이 동호의 후예로 거론된다.
2. 1. 1. 서호(西胡)
당나라 시대에 실크로드 왕래가 활발해지면서, "호"는 특히 '''서호(西胡)'''라고도 불리며 서쪽의 페르시아계 민족(소그드인)을 가리키게 되었다. 이들이 투르키스탄에서 당나라에 가져온 문물과 풍속은 "호풍 취미"로 애호되었고, 호복(胡服), 호적(胡笛), 호무(胡舞) 등이 중국에서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았다.2. 1. 2. 동호(東胡)
춘추 시대부터 한대에 걸쳐 내몽골 동부에 있던 유목 수렵 민족으로, 호(흉노)의 동쪽에 살았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14] 몽골 (또는 튀르크)과 퉁구스의 혼혈이며, 진 시대에는 한때 흉노를 압도했지만, 묵특 선우에 의해 멸망했다.[14] 오환과 선비는 그 후예라고 한다.[14]2. 2. 한국
한국어에서 '호(胡)'는 "중국에서 오랑캐를 부르는 말"[15], "여진족, 중국 동북의 야만인"[16], "두만강 북부에 살던 여진족"[17] 등을 의미한다. 또한, 조선에서는 청을 호로 간주하여[18] "호국(胡國)"으로 칭하기도 했다.2. 2. 1. 조선 시대의 대청관(對淸觀)
조선은 청나라를 '호국(胡國)'이라 칭했으며, 위정척사 관점에서 인륜적, 문화적으로 오랑캐, 즉 호로(胡虜)로 여기는 대청관이 일관되게 흘렀다[19]. 이러한 배경에는 주자학의 명분론에 근거하여 명을 숭상하고 청을 멸시하는 풍조[20], 중화 문명의 전통이 청나라에 의해 오랑캐화되었다고 멸시하며, 그 사람들을 "호로"나 "개양(犬羊)"으로 폄하하고 중화의 정통을 잇는 것은 조선뿐이라는 소중화 사상이 있었다[21].3. 성씨
한자 문화권에는 예로부터 "호"라는 성씨가 존재하며, 영태후의 아버지 호국진, 북송의 유학자 호안국, 중국 공산당 총서기 후진타오, 베트남의 국부 호찌민 (호지명) 등이 있다.[1]
그 기원은 화인으로 동화된 이민족 출신이 한풍의 성씨를 붙인 것이 시작이라고도 하며, 통지의 씨족략이 전하는 바에 따르면, 춘추 시대 진나라의 초대 군주 호공에서 유래했으며, 진나라 멸망 후에 진나라 유민이 칭한 것이 시작이라고 쓰여 있다.[1]
백가성에서 "호" 성씨는 13대 성씨 중 하나로 꼽힌다.[1]
4. '호(胡)'가 들어가는 단어
참조
[1]
논문
The hybrid origin of the dragon-wrapped column in Han dynasty China
https://doi.org/10.1[...]
2023
[2]
논문
Upper Xiajiadian
https://www.academia[...]
1999
[3]
서적
Through the Jade Gate to Rome: A Study of the Silk Routes during the Later Han Dynasty, First to Second Centuries CE
BookSurge
2009
[4]
서적
Northern Frontier in Pre-Imperial China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https://www.academ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5]
논문
山东发现的汉代大型胡人石雕像再研究
http://www.kaogu.cn/[...]
2017
[6]
서적
Rome, China, and the Barbarians: Ethnographic Traditions and the Transformation of Empir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4-23
[7]
서적
Rome, China, and the Barbarians: Ethnographic Traditions and the Transformation of Empir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4-23
[8]
서적
Art, Religion, and Politics in Medieval China The Dunhuang Cave of the Zhai Famil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9]
서적
The Silk Road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eoul Selection
[10]
웹사이트
Retracing the Sounds of Sogdiana
https://sogdians.si.[...]
2021-09-11
[11]
간행물
Ji Hu: Indigenous Inhabitants of Shaanbei and Western Shanxi
https://cedar.wwu.ed[...]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1994
[12]
서적
東方中国語辞典
東方書店/北京商務印書館共同編集
2004
[13]
웹사이트
http://www.zdic.net/[...]
[14]
서적
とうこ 東胡 Dōng hú
平凡社
2007-09-01
[15]
서적
エッセンス韓日辞典 机上版
民衆書林
1989-01-20
[16]
서적
最新漢韓辞典
民衆書林
1989-01-20
[17]
서적
朝鮮語大辞典
角川書店
1986-02-20
[18]
서적
朝鮮人の日本観: 歴史認識の共有は可能か
総和社
2002
[19]
서적
近代朝鮮の社会と思想
未来社
1981
[20]
서적
人物・近代朝鮮思想史
雄山閣
1984
[21]
서적
朝鮮実学者の見た近世日本
ぺりかん社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