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흑군 (헝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흑군(헝가리)은 15세기 헝가리 왕국의 국왕 마차시 1세가 창설한 용병 중심의 상비군이다. 흑군은 헝가리 군대의 징집 구조를 개혁하여 왕권 강화에 기여했으며, 다양한 병종과 전술을 활용하여 보헤미아 전쟁, 오스만 제국과의 전투 등에서 활약했다. 흑군은 용병 중심의 운영으로 인해 급여 문제로 인한 반란과 1490년 마차시 1세 사후의 혼란으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녀디가 - 마차시 1세
    마차시 1세는 1458년 헝가리 국왕으로 즉위하여 르네상스 문화를 진흥하고 강력한 중앙 집권 정책과 군사 개혁을 통해 헝가리를 강대국으로 성장시켰으며, 오스만 제국에 맞서 헝가리의 독립을 지키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후사를 남기지 못했다.
  • 후녀디가 - 후녀디 야노시
    후녀디 야노시는 15세기 헝가리의 귀족이자 군사 지도자로, 트란실바니아 공작과 헝가리 왕국 섭정을 지내며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맞서 헝가리를 방어했고, 특히 베오그라드 공방전 승리로 유럽에 명성을 떨치며 헝가리의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흑군 (헝가리)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헝가리 흑군의 깃발
흑군 깃발
존속 기간1458년–1494년
국가헝가리 왕국
소속헝가리, 체코 (보헤미아, 모라비아, 실레시아), 폴란드,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왈라키아, 바이에른, 오스트리아, 스위스
병과기병, 보병, 포병, 공성 무기
규모약 28,000명
상징색이 특징적인 갈라진 꼬리 깃발은 필로스트라투스 연대기의 삽화를 재구성한 것으로, 마차시 1세 왕의 아들인 야노시 코르비누스가 1485년 에 입성하는 장면을 묘사한다. 필로스트라투스 연대기에서 깃발의 겉보기 검은색은 흰색(argent)이었으나, argent 페인트가 산화되었다. 재구성은 원래 색상을 보존한다.
상징색 설명문장학
마스코트큰까마귀
해체1494년 (자금 부족과 용병 반란으로 인해)
지휘관
마차시 1세
주요 지휘관키니지 팔, 벌러주 마자르, 임레 자폴야, 요한 기스크라, 요한 하우그비츠, 프란티셰크 하그, 부크 그르구레비치, 도르제 브란코비치
전투
참전 전투신성 로마 제국, 보헤미아, 폴란드, 세르비아, 보스니아, 몰다비아, 왈라키아, 이탈리아

2. 헝가리 흑군의 기원과 명칭

괴를리츠 구 시청의 코르비누스 문장. 흑군 기사가 문장을 지키고 있으며, 이는 괴를리츠가 마차시 왕 치하의 헝가리 왕국에 속했음을 나타낸다(1488)


상: 흑군 기사가 오스만 제국 기병과 싸우는 모습. 하: 기사 훈련 모습. 투로치 연대기(1488)의 판화


흑군(黑軍)이라는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머자슈 코르비누스가 통치하던 시기에는 군대를 공식적으로 '흑군'이라고 불렀다는 명확한 기록은 찾아보기 어렵다.[99] '검은(흑)'이라는 묘사가 처음으로 기록에 등장한 것은 마차시 1세가 사망한 직후의 일이다. 당시 급여를 제때 받지 못한 군대의 남은 병력들이 헝가리와 오스트리아의 여러 마을을 약탈하면서 이러한 부정적인 별칭으로 불리기 시작했다.[6]

몇 가지 주요 가설은 다음과 같다.

  • 요한 하우그비츠 설: 군대의 대위 중 한 명이었던 '검은' John Haugwitz|요한 하우그비츠영어의 별명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그의 별명이 워낙 유명해져 군대 전체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굳어졌다는 것이다.[6][99]
  • 애도 표시 설: 마차시 1세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병사들이 어깨에 검은색 완장을 둘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추측도 있다.[99]
  • 프란치셰크 하그 설: 또 다른 가설은 흑군의 저명한 지휘관 중 한 명이었던 Francis Hag|프란치셰크 하그영어가 입었던 검은 갑옷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99]


이탈리아의 중세 역사가 보르피니는 단순히 "강인한 숙련병들이 대열을 이루고 있었다"고만 묘사했다.[99] 신뢰할 만한 기록에 따르면, 마차시의 군대가 임무를 수행할 당시에는 '흑군'이라는 명칭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얀 이스크라 즈 브란디사를 비롯한 여러 뛰어난 지휘관들의 활약은 이 군대의 명성을 드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99]

3. 징병 제도 개혁



마차시 1세 통치 초기, 헝가리 왕국의 군대 징집 구조는 선대 왕인 지기스문트 황제의 제도를 기반으로 했다. 군대의 주력은 귀족들이 제공하는 반돈(bandon, 봉건 군대 단위)[6]과 영지 민병대(Militia Portalis) 소속 병사들이었다.[14] 당시 법령에 따르면, 귀족은 자신이 소유한 20개의 농노 부지(포르타, porta)당 궁수 한 명을 징집하여 왕에게 제공해야 했다. 그러나 이후 이 의무는 완화되어, 33개 영지당 궁수 한 명, 100개 영지당 기마 궁수 세 명으로 기준이 변경되었다. 농노는 없지만 영지를 소유한 귀족은 전쟁 시 해당 지역 백작의 군대에 합류해야 했다. 마차시 1세 통치 초기에는 용병이 군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았다. 일례로 1463년 야누스 파노니우스가 기록한 야이체 포위 공격 보고서에는 용병에 대한 언급이 없다.

국가 비상사태 시에는 왕이 최후의 수단으로 모든 국민을 동원할 수 있는 '인서렉티오'(insurrectio, 귀족 봉기) 제도가 있었다. 사회 계급에 상관없이 모든 귀족은 무장하고 개인 경호원들과 함께 직접 참전해야 했다.[6] 하지만 이들은 소집되더라도 복무 기간이 15일로 제한되었고, 활동 범위도 헝가리 국경 내로 한정되었다. '인서렉티오'는 구시대적인 징집 형태였지만, 참전 귀족에게 세금 면제 혜택이 있었기 때문에 1809년 라브 전투 때까지 유지되었다. 마차시 1세는 점차 이 제도의 활용을 줄여나갔고, 왕권 강화를 위해 상비군인 흑군의 역할을 증대시켰다.[15]

1459년 세게드에서 열린 의회에서 마차시 1세는 징병 제도를 개혁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 기존의 부지 기준 대신 인원수를 기준으로 하여, 20명의 농노당 궁수 한 명을 징집하도록 기준을 다시 강화했다. 또한, 남작들이 이끌던 영지 민병대(Militia Portalis)를 더 이상 지역 귀족의 지휘 아래 두지 않고, 왕이 직접 임명한 대장이 지휘하는 국왕 직속 군대에 편입시켰다. 이로써 이들 병력도 국외 원정에 동원될 수 있게 되었다. 동시에 '인서렉티오'의 복무 기간도 기존 15일에서 3개월로 연장했다.[16] 이러한 개혁은 봉건 귀족의 군사적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왕권에 직속된 강력한 상비군을 육성하려는 마차시 1세의 의지를 보여준다.

4. 용병 중심의 상비군으로 전환

마차시 1세는 즉위 초부터 기존의 봉건 귀족 중심 군사 체제에서 벗어나 왕권에 직속된 강력한 상비군을 육성하고자 했다. 당시 헝가리 군대는 선대 왕 지기스문트 시대의 유산인 귀족들의 사병(연대)과 장원 단위로 징집되는 의용군(Militia Portalis)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98] 마차시는 이러한 귀족 세력의 군사적 영향력을 줄이고 국왕의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적인 용병을 적극적으로 고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용병 중심 군대로의 전환은 1458년 시작되었다. 마차시는 국내 경쟁 귀족들에 맞서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보헤미아의 이르지 왕으로부터 후스파 전쟁 경험이 풍부한 중기병 500명을 빌렸다. 이는 전통적인 귀족 군대에서 벗어나 숙련된 용병을 활용하는 중요한 변화의 시작이었으며, 이들 후스파 용병의 전술은 이후 흑군에 의해 채택되기도 했다.[15][99]

더 많은 정예 병력을 확보하기 위해, 마차시는 당시 헝가리 북부에서 활동하던 체코 용병대장 얀 이스크라가 이끄는 부대를 받아들였다. 1463년 빈 노이슈타트 평화 조약을 통해 이스크라에게는 왕실 사면과 함께 솔리모스(Solymos, 현재의 쇼이무슈)와 리파(Lippa, 현재의 리포바) 두 개의 성이 주어졌고, 그의 병사들에게는 급여로 가 지급되었다. 이스크라의 부대는 이후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을 위해 보스니아에 배치되었다.[17][106]

마차시는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더 큰 규모의 용병 군대를 구상했다. 1462년에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재정 지원을 전제로 8,000명의 기병을 고용하여 성전을 시작할 계획을 세웠으나, 베네치아의 자금 지원이 원활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18][107]

본격적인 용병 중심의 상비군, 즉 흑군의 핵심이 형성된 것은 보헤미아 전쟁(1468-1478) 기간이었다. 이 시기 마차시는 6,000명에서 8,000명에 달하는 대규모 용병을 고용하여 왕실 친위 부대의 주력으로 삼았으며, 이들이 흑군의 핵심 전력이 되었다. '흑군'이라는 명칭 자체도 이 시기에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8][107]

이러한 용병 고용 확대와 함께 기존 군사 제도에 대한 개편도 이루어졌다. 1459년 세게드에서 열린 의회에서는 장원 의용군(Militia Portalis) 징집 방식을 변경하고 왕의 직접적인 통제 하에 두어 국외 파병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귀족들의 비상 동원 의무(insurrectio) 기간을 15일에서 3개월로 늘리는 법령을 통과시켰다.[100] 그러나 점차 전문 용병으로 구성된 흑군이 군사력의 중심이 되면서, 전통적인 귀족 동원 체제의 중요성은 점차 약화되었다.[99]

4. 1. 재정 지원

마차시 1세흑군과 같은 상비 용병 군대를 유지하기 위해 안정적인 재정 확보에 힘썼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세금 제도를 개혁하고 다양한 재원을 활용했다.[18]

마차시는 우선 농노에 대한 세금을 인상했다. 또한 과세 기준을 전통적인 '포르타'(Porta, 토지 단위)에서 가구 단위로 전환하여 과세 대상을 확대하고 징수 효율을 높였다. 전쟁 시에는 필요에 따라 1년에 두 번 왕실 세금을 징수하기도 했다.[18][108]

세금 외에도 다양한 수입원을 확보했다. 왈라키아, 몰다비아 등 봉신국으로부터 받는 조공, 서방 국가들의 기여금, 지역 귀족들이 부담하는 전쟁 비용, 십일조, 도시에서 걷는 세금 등이 주요 재원이었다.[18][108] 이러한 노력 덕분에 마차시의 연간 수입은 약 65만 플로린에 달했다. 이는 당시 강력한 경쟁자였던 오스만 제국의 연간 수입(약 180만 플로린)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상당한 규모였다.[18][108] 일부 역사가들은 마차시 통치 절정기의 좋은 해에는 연간 수입이 80만 플로린에 이르렀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100만 플로린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했을 것으로 추정한다.[19][108]

1467년에는 화폐 시스템 개혁을 단행하여 세금 징수를 용이하게 하고 재정 관리를 효율화했다. 이 개혁을 통해 은 함량(500‰)을 높이고 무게를 0.5g으로 개선한 새로운 디나르 은화를 도입했다. 또한 금 1플로린 당 은 100디나르의 교환 비율을 재설정했는데, 이 비율은 16세기 중반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될 정도로 성공적이었다.[20][109]

확보된 재정은 주로 용병 고용 및 유지에 사용되었다. 용병 급여는 병과에 따라 차등 지급되었다. 기병은 말 한 마리당 월 3플로린을 받았고, 파비스로 무장한 중보병은 기병의 두 배에 달하는 급여를 받았다. 궁수, 경보병, 그리고 아르케부스와 같은 초기 화승총으로 무장한 총병(주로 체코인, 독일인, 폴란드인) 역시 각각 다른 급여를 받았다.

중세 시대에 화약은 매우 비쌌기 때문에, 마차시는 비용 효율적인 전술을 선호했다. 그는 후스파의 전술, 즉 마차 방벽(왜건부르크)이나 큰 방패(파비스) 뒤에 보병을 배치하여 방어선을 구축하고, 기병대를 이용해 적을 끊임없이 견제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또한, 브라쇼브와 같은 트란실바니아 지역 도시들의 사격술 장인들이 화기 생산을 가능하게 하면서, 헝가리인들이 주도하는 원거리 보병 운용 비용이 점차 저렴해졌다.[15][21][22][16][99][110][111][100]

한편, 도시들은 군대에 필요한 기술 인력이나 무기 생산을 제공하는 대가로 전쟁 관련 세금을 면제받기도 했다. 귀족들의 경우, 전쟁 참여에 대한 금전적 보상이 확실해지기 전까지는 군사적 기여가 적극적으로 요구되지 않았다.

4. 2. 강함대 개선

흑군의 강선대(flottilahu 또는 naszádhu)는 나무 갤리선, 노를 젓는 배(나중에 포격선으로 개조됨), 그리고 다뉴브강, 티서강, 사바강을 항해할 수 있는 더 작은 선박들로 구성되었다. 강함대의 중요성은 1456년 벨그라드 포위전에서 크게 부각되었다. 당시 흑군은 포위된 도시를 구원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의 강 봉쇄를 돌파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는 마차시 코르비누스 왕이 더 크고 잘 갖춰진 함대를 건설하도록 독려하는 계기가 되었다.

강함대는 주로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 등 남슬라브인들이 운용했으며, 주요 작전 기지는 벨그라드와 샤바츠에 위치했다. 1475년에는 야전포가 도입되면서 강 바지선에 포병을 설치하라는 명령이 내려졌고, 약 45.36kg에서 약 90.72kg 범위의 포탄을 발사할 수 있는 폭격포도 갖추게 되었다. 1479년에는 함대의 규모가 크게 확장되어, 총 360척의 다양한 함선에 2,600명의 선원과 10,000명의 병력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16][23]

5. 병종, 전술, 장비

흑군은 중기병, 경기병, 보병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병종은 고유한 역할과 장비를 갖추었다.

중기병은 여전히 강력한 돌파력을 지녔으나[41], 그 중요성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였다. 이들의 장비는 국왕이 직접 관리했다.[41]

경기병은 후사르를 기반으로 조직되었으며[28][29], 정찰, 교란, 기습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정예 부대로 성장했다.[28][29]

보병은 군대의 안정적인 기반을 제공했으며[31], 다양한 민족과 병종으로 구성되었다.[32] 이들은 파비스 방패를 활용한 방어 진형 구축에 능숙했고[30], 다양한 원거리 및 근접 무기를 사용했다.[41][114]

5. 1. 전술

마차시 1세는 1480년대에 장인인 나폴리의 페르디난도 1세 국왕에게 보낸 편지에서 흑군의 보병 전술 원칙을 설명했다.[24] 그는 중장갑 보병을 결코 자리를 포기하지 않는 벽으로 간주했으며, 마지막 한 명이 쓰러질 때까지 방어선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보병은 필요에 따라 돌파를 감행하고, 적의 저항이 거세거나 위험을 감지하면 중장갑 보병 뒤로 후퇴하여 전열을 가다듬고 힘을 모은 뒤 다시 공격에 나섰다. 모든 보병과 사수(궁수, 총병 등)는 파비스(큰 방패)를 서로 이어 원형으로 세워 마치 요새 벽과 같은 방어 진형을 구축했다. 이 방어 진형 안에서 병사들은 참호 뒤에서 싸우는 것처럼 안전하게 전투를 수행했으며, 때때로 방어선 밖으로 돌파를 시도했다.[24]

흑군의 전성기에도 중기병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점차 그 중요성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중기병은 강력한 타격력과 지원 없이도 돌격할 수 있는 능력을 바탕으로 많은 전장에서 결정적인 승패를 가를 잠재력을 지녔다. 중기병은 주로 사각형 진형으로 배치되었으며, 단독으로 전개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1479년에 벌어진 빵밭 전투는 중기병 운용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주력 부대로서 중기병은 통상 1개에서 6개의 부대와 기사 용병들로 구성되었다. 귀족 부대를 제외한 중기병의 장비는 품질이 우수했으며, 이는 병사 개인이 소유한 것이 아니라 국왕으로부터 대여받은 것이었다.

5. 2. 중기병

15세기 중반, 중기병은 전성기를 누렸지만 동시에 쇠퇴의 조짐도 보이고 있었다. 중기병은 강력한 공격력지원 없이 단독으로 돌격할 수 있는 능력을 바탕으로 대부분의 전투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단독으로 배치될 때는 사각형 대형을 이루어 전투에 임했다.[41]

1479년 빵야전투는 중기병 운용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중기병은 전체 군대의 약 6분의 1을 차지했으며, 용병 기사들이 주축을 이루었다. 이들의 장비는 왕으로부터 대여받았으며, 귀족 연대의 장비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품질이 우수했다.[41]

5. 2. 1. 무장


  • : 창은 기병의 주요 공격 무기였다. 길이는 최대 4m에 달했으며, 다양한 형태의 창날을 사용했다. 긴 창날이 달린 고전적인 유형(종종 동물의 꼬리, 깃발 등으로 장식됨)과 중장갑을 관통하기 위한 짧은 원뿔형 창날이 달린 유형이 있었다. 손과 팔을 보호하기 위해 방패와 유사한 앞가리개를 사용했으며, 기병의 흉갑 측면에 고정 고리(lance-arret프랑스어)를 달아 안정성을 높였다.[41][114]
  • : 당시 가장 흔했던 검은 남유럽에서 유래한 형태로, 길이는 약 1m였다. 주로 베는 데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으며(끝이 둥근 형태), S자형 칼자루를 가졌다. 무거운 칼자루는 칼날의 균형을 잡는 동시에 근접전에서 타격용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15세기 후반에는 칼날 쪽으로 구부러진 칼날 받침이 달린 변형된 형태도 인기를 끌었는데, 이는 적의 칼날을 부러뜨리거나 붙잡기 위한 것이었다. 130cm에서 140cm 길이의 배스터드 소드(한손 반 검)도 사용되었다. 보조 무기로는 톱니 모양 또는 불꽃 모양 칼날을 가진 단검(둘 다 링 가드 포함)과 미제리코르디아(마무리용 단검)가 지급되었다.[41][114]
  • 기타 무기: 이 외에도 고딕 양식 메이스, 플랜지드 메이스(헝가리인들이 철제 삼각뿔 머리를 덧붙여 개량), 도끼, 석궁( balistrero ad cavallola), 그리고 파비스와 유사한 디자인의 직사각형 짧은 방패(스쿠툼, petit pavois프랑스어)와 같은 보조 무기들을 휴대했다.[41][114]

5. 3. 경기병

마차시 1세 치하에서 전통적인 후사르가 도입되었고, 이후 경기병은 huszárhun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이름은 헝가리어로 '스무 명'을 뜻하는 húszhun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귀족이 소유한 농노 20명당 기병 1명을 무장시켜야 하는 징병 제도와 관련이 있다.[28][29] 1397년 티미쇼아라 의회 이후, 이 경기병은 군대의 정식 부대로 자리 잡았다.[28][29]

경기병은 주로 militia portalis|문호병lat라 불리는 병력에서 모집되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insurrectios|봉기군 또는 징집병lat였다. 또한 몰다비아인과 트란실바니아인도 포함되었는데, 몰다비아인은 주로 장비가 부족한 농노였고, 트란실바니아인은 뛰어난 기마 궁수로 여겨졌다.[28] 이들은 25명 단위의 부대(turmalat)로 나뉘어 대장(capitaneus gentium levis armaturelat)의 지휘를 받았다.[28][29]

경기병의 주요 임무는 정찰, 지역 확보, 수색, 적 보급선 차단, 그리고 전투 중 적진 교란 등 다방면에 걸쳐 있었다. 또한 기동성을 활용하여 강력한 중기병 부대의 측면을 공격하는 역할도 수행했다.[28][29] 역사가 안토니오 본피니에 따르면, 이 경무장 기병대(expeditissimus equitatuslat)는 정규 전투 대형 밖에 별도로 배치되어 선봉에서 적 지역을 파괴하고 공포를 심는 역할도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28]

하지만 중세 헝가리의 문헌들은 전반적으로 경기병을 기사 계급인 중기병에 비해 낮게 평가하고 경시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전투에서의 명예나 용기는 주로 중기병에게 돌려졌다.[29]

5. 3. 1. 무장

흑군의 병사들은 다양한 무기로 무장했다. 기본적인 무장으로는 투구, 사슬 갑옷(또는 쐐기 형태의 갑옷 상의), , 그리고 타지(targe, 둥근 작은 방패) 등이 있었다.[29] 주요 무기는 다음과 같다.

  • '''사브르''' (szablyahun): 초기에는 남유럽의 장검 전통을 따른 S자형 가드를 가진 형태였으나, 점차 동방(특히 튀르키예)의 영향을 받아 구부러진 형태의 혼합형 사브르로 변화했다. 다른 종류로는 huszárszablyahun(후사르 사브르)가 있었는데, 이는 폭 40mm의 여러 겹 칼날을 3~6개의 리벳으로 고정한 형태였다.[29]
  • '''활''': 전통적인 마자르인 복합궁이 사용되었으며, 동방의 강한 영향으로 인해 더욱 강력한 터키-타타르식 활도 도입되었다.[29]
  • '''도끼''' (fokoshun 또는 유사 형태): 경기병의 전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을 수 있다. 주로 짧은 자루가 달린 한 조각의 금속으로 만들어졌으며, 투척용으로도 사용되었다. 칼날의 호가 거의 평평하거나 약간 구부러진 형태는 '헝가리형 도끼'라고 불렸다. 때로는 곡괭이(pickaxe) 형태를 보조하는 무기로 사용되었으며, 관통력을 높이기 위해 부리처럼 튀어나온 모서리를 가지기도 했다.[41]

5. 4. 보병

보병은 기병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여겨졌지만, 군대의 통합을 유지하는 안정적인 기반을 형성했다.[31] 흑군의 보병은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었으며, 중보병, 방패병, 경보병, 총병 등 여러 병종으로 나뉘었다.[32] 이들은 판금 갑옷과 사슬 갑옷을 조합하여 착용하고 파비스라 불리는 대형 방패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었으며,[30] 마차시 코르비누스는 특히 스위스 창병을 높이 평가했다.[31] 중보병은 주로 중무장한 창병, 할버드병, 검병으로 구성되었다.[32]

5. 4. 1. 무장

보병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했지만 군대의 통합을 위한 안정적인 기반을 형성했다. 보병은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었으며, 중보병, 방패병, 경보병, 총병으로 나뉘었다. 이들의 특징은 판금 갑옷과 사슬 갑옷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파비스 방패를 활용했다는 점이다. 파비스는 버드나무로 만든 대형 방패로, 종종 가죽과 리넨으로 덮고 장식을 했으며[30], 적의 공격을 막고, 뒤에서 사격하는 원거리 보병(총병이 먼저 교전하고 궁수가 지속적으로 사격)을 엄호하며, 이동 가능한 후스파 스타일의 타보르(헝가리어: tábor|타보르hu)를 구축하는 등 여러 목적으로 사용되었다.[31] 마차시 코르비누스는 스위스 창병을 매우 높이 평가했으며,[31] 흑군의 중장 보병은 중장 창병, 중장 할버드병, 중장 검병으로 구성되었다.[32]

1481년, 마차시 코르비누스가 에게르 주교 가브리엘레 랑고니에게 보낸 편지에는 흑군 보병의 편제와 전술이 다음과 같이 묘사되어 있다.[33]

:군대의 세 번째 형태는 보병으로, 다양한 계층으로 나뉜다: 일반 보병, 중장 보병, 그리고 방패병... 중장 보병과 방패병은 종자나 하인 없이는 갑옷과 방패를 휴대할 수 없으며, 그들에게 종자를 제공해야 하므로 각 갑옷과 방패당 한 명의 종자와 두 배의 보상금이 필요하다. 그 다음은 사수들이다... 이들은 매우 실용적이며, 군대가 교전하기 전에 전투 초기에 방패병 뒤에 배치되고, 방어에 사용된다. 거의 모든 보병과 아르부시에는 중장병과 방패병으로 둘러싸여 마치 요새 뒤에 서 있는 것과 같다. 원형으로 함께 배치된 대형 방패는 요새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보병과 그들 중 모든 사람이 마치 요새 벽이나 성벽 뒤에서 싸우는 것처럼 방어하며 주어진 순간에 그 안에서 돌파한다.

흑군은 다양한 무기를 사용했다. 활, 석궁, 아르케부스(초기 화승총)와 같은 다양한 원거리 무기, 할버드, 파이크, 송곳-파이크(Ahlspiess) 등 모든 종류의 근접 무기, 투석기와 플레일과 같은 후스파/농민 무기, 모닝스타와 워해머 같은 휴대용 무기, 그리고 고전적인 검과 세이버를 사용했다.

  • '''근접 무기''': 코르세크, 글레이브, 파르티잔, 프리울 창, 할버드 등은 보병의 사회 계급과 국적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15세기형 할버드는 도끼 날과 송곳-파이크를 결합한 과도기적 형태로, 때로는 기사를 말에서 끌어내리거나 갑옷 관통력을 높이기 위한 갈고리("부리")가 부착되기도 했다. 칼날이 부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자루 옆면에 금속 보강대(랭글렛)를 덧대었다.
  • '''궁술''': 가장 가치 있는 궁수는 석궁병이었다. 마차시 코르비누스 휘하의 석궁병 수는 1470년대에 4,000명에 달했다. 이들은 보조 무기로 세이버를 사용했는데, 이는 당시 보병에게는 흔치 않은 일이었다. 석궁의 주된 장점은 중장갑을 관통할 수 있다는 것이었지만, 재장전 시 방어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 '''아르케부스병''': 이 화약 부대는 전투 초기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당시 아르케부스는 명중률이 낮고 가격이 비쌌으며, 총 자체가 폭발할 위험도 있어 특히 소규모 교전이나 백병전에서는 효과적이지 못했다. 헝가리군의 독특한 특징은 총기를 안정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Y자형 받침대(포크) 대신 파비스 방패 위나 수레의 난간에 총을 거치했다는 점이다. 초기 형태의 권총인 schioppi|스키오피it와 좀 더 대형인 arquebus à croc|아르크뷔스 아 크로크프랑스어(대포와 혼동 주의) 두 가지 유형이 동시에 사용되었다. 총기는 "수염 달린" 경총, 포크 달린 총, 그리고 어깨 견착용 개머리판이 달린 초기 형태의 머스킷 등 세 종류로 구분되었다. 구경은 16mm에서 24mm 사이였다.[41][114]


흐론스키 베네딕트 교회(1470년대 건설, 당시 가람센트베네데크)의 예수 그리스도 무덤 고대 "로마 근위병" 묘사. 당시 헝가리 왕국 보병의 모습을 보여준다.




플랜지드 메이스


농민용 플레일


바스타드 소드 (한손반검)

6. 반란

용병을 정기적 또는 일시적으로 고용하는 것의 단점은 급여가 제때 지급되지 않으면 단순히 전장을 떠나거나, 심한 경우 반란을 일으킨다는 점이었다. 이는 여러 차례 발생했으며, 반란군은 헝가리 깃발 아래 싸웠던 숙련된 지휘관들이 이끌었기 때문에 진압하기 어려웠다. 때로는 부대 전체가 이탈하여 흑군이 수적 열세에 놓이기도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휘관에게 봉사의 대가로 토지나 성을 저당 잡히는 경우도 있었다(예: 흐리초프스키 흐라드(Hričovský hrad)와 비치(Bytča) 요새를 프란티셰크 하그(František Hag)에게 저당 잡힘).

대규모 탈영의 예로는 1481년, 300명의 기병대가 적대적인 신성 로마 제국군에 합류한 사건이 있다.

기록된 반란 중 하나는 1465년 얀 슈베흘라(Jan Švehla)가 일으킨 것이다. 그는 마차시 코르비누스를 따라 오스만 제국을 격파하기 위해 슬라보니아로 갔으나, 자그레브에 접근했을 때 재정적 어려움을 이유로 용병들과 함께 공식적으로 공격 중단을 요청했다. 그의 요청이 거부되자, 슈베흘라와 두 명의 부관은 연대를 이끌고 왕의 진영을 떠났다.

이탈 후, 슈베흘라는 포데브라디의 게오르크의 비밀 지원을 받아 니트라 군과 코스톨라니 요새를 점령했다. 이 반란군은 게오르크와 프리드리히 3세 밑에서 복무했던 보헤미아-모라비아 출신 전문가들, 민병대, 그리고 후스파 Bratriks|브라트릭스sk("형제들") 및 Žebraks|제브락스sk("거지들")와 같은 종교적 망명자들로 구성되었다.[34] 슈베흘라는 임시 요새를 세우고 Jorig Lichtenburger와 Vöttau를 군의 comeses|코메세스la로 임명했다. 이 요새와 약탈자들은 바흐니트라 계곡에서 오스트리아 동부 지방까지 영향력을 미쳤다.

마차시는 이 위협을 인지하고 그의 지휘관 스테판 자폴랴(Stephen Zápolya)와 라디슬라우스 포드마니츠키(Ladislaus Podmanitzky)에게 코스톨라니 포위를 명령했다. 슬라보니아에서 돌아온 왕 자신도 포위 공격에 합류했다. 프리드리히 3세는 지휘관 울리히 폰 그라페넥(Ulrich von Grafeneck)이 이끄는 중무장 기병대를 보내 마차시를 도왔고, 포존(브라티슬라바)에서는 기사 게오르크 포텐도르퍼(Georg Pottendorfer)가 600명의 십자군 기병대를 이끌고 합류했다. 총 8,000명에서 10,000명에 달하는 병력이 1467년 1월 1일 공격을 시작했다. 흑군의 주요 지휘관들(미하엘 오르사그, 얀 이스크라(Jan Jiskra), 얀 하우그위츠(Jan Haugwitz), 발라즈 머자르(Balázs Magyar), 팔 키니지, 니콜라우스 우일라키(Nicholas Újlaki), 피터 소비(Peter Szobi) 등)이 모두 이 진압 작전에 참여했으며, 피터 소비는 공격 중 사망했다.

포위 공격 전, 마차시는 슈베흘라에게 무조건 항복을 조건으로 다시 복무할 기회를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 혹독한 겨울 날씨에도 불구하고 포위와 포격이 시작되었다. 슈베흘라와 그의 2,500명 병력은 저항했지만, 식량이 바닥나고 돌파 시도도 실패하자 항복을 결심했다. 슈베흘라는 정면 돌파를 가장하며 수로를 통해 후방으로 탈출하려 했으나, 지친 2,000명의 보병대는 발라즈 머자르와 팔 키니지에게 체이테 (차흐티체) 요새 근처에서 따라잡혀 거의 전멸당하고 250명만 포로로 잡혔다. 슈베흘라 자신은 다시 탈출했지만 싸울 힘이 없어 농민들에게 붙잡혔다.

마차시는 슈베흘라와 남은 포로들을 교수형에 처하도록 선고했다. 이는 마차시 코르비누스 통치 기간 중 비교적 가혹한 조치였다. 다음 날인 1467년 1월 31일, 처형을 목격한 코스톨라니 요새 수비대는 자비를 구했고, 마차시는 이를 받아들였다. 마차시는 반란군 장교였던 프란티셰크 하그(František Haugwitz)의 능력을 인정하여 그에게 흑군 대장직을 제안하기도 했다.

또 다른 사례로, 1474년 프란티셰크 하그가 임금 부족 문제로 반란을 일으켰으나, 이 갈등은 무력 충돌 없이 해결되었고 그는 사망할 때까지 마차시의 신하로 남았다.[15][35][36]

7. 해체

국왕 마차시의 사후 흑군의 행동


1490년 4월 6일 마차시 1세가 사망하기 전, 그는 자신의 아들 코르비누스 야노시에게 왕위를 계승시키기 위해 귀족과 흑군 지휘관들에게 충성 맹세를 요구했다. 야노시는 당시 헝가리 최대 영주였고 흑군을 지휘하고 있었지만, 그의 계모인 나폴리의 베아트리체 왕비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와 폴란드 왕자 얀 1세 올브라흐트부다로 초청하여 왕위 계승 문제를 논의했다. 막시밀리안 1세는 비너 노이슈타트 조약을, 얀 1세 올브라흐트는 혈연관계를 근거로 왕위 계승권을 주장했다. 여기에 더해 헝가리 귀족들은 보헤미아의 국왕이자 얀 올브라흐트의 형인 블라디슬라프 2세를 세 번째 후보로 내세웠다. 귀족들이 야노시 코르비누스를 외면하자, 그는 수도를 떠나 페치로 향하던 중 사바톤에서 기습 공격을 받아 패배했다. 당시 흑군의 주력 부대는 실레시아와 슈타이어마르크에 주둔하고 있어 이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흑군의 유명한 지휘관이었던 머저르 벌러시와 파울 키니시마저 각각 얀 올브라흐트와 블라디슬라프 2세를 지지하며 분열했고, 결국 블라디슬라프 2세가 새로운 국왕으로 선출되었다.[37]

마차시 1세 사후 혼란을 틈타, 막시밀리안 1세는 1490년 오스트리아의 옛 영토를 되찾기 위해 즉시 공격을 시작했다. 흑군은 서부 국경의 점령된 요새들을 방어했지만, 대부분의 요새는 전투 없이 계략, 뇌물, 시민 반란 등으로 몇 주 만에 함락되었다. 용병 대장 빌헬름 테타우어가 엔스강을 따라 구축한 방어선만이 한 달가량 버텼다. 급여를 제때 받지 못한 흑군 용병 중 일부(주로 체코인)는 막시밀리안 1세 측으로 넘어가 20,000명의 신성 로마 제국군에 합류하여 헝가리를 침공했다. 이들은 헝가리 중심부까지 진격하여 세케슈페헤르바르를 점령하고 약탈했으며, 그곳에 안치되어 있던 마차시 1세의 무덤까지 훼손했다. 그의 란츠크네흐트 용병들은 약탈에 만족하여 부다까지 진격하지는 않았다. 막시밀리안 1세는 12월 말 본국으로 돌아갔지만, 점령한 헝가리 도시와 성에는 수백 명의 병력을 남겨두었다.[38]

헝가리 귀족들은 국가 평의회를 열어 빼앗긴 도시, 특히 세케슈페헤르바르를 되찾기로 결정했다. 에게르에 예비군으로 배치되었던 흑군은 또다시 4.6만헝가리 포린트의 급여가 밀리자 주변 수도원, 교회, 농민 영지를 약탈했다. 급여가 지급된 후, 임명된 지휘관 이슈트반 바토리는 40,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1491년 6월 세케슈페헤르바르 포위를 시작하여 한 달간 지속했다. 몇몇 작은 도시들을 되찾자, 독일 귀족의 추가 지원을 받지 못한 막시밀리안 1세는 협상에 응했고, 1491년 프레스부르크 평화 조약이 체결되어 실레시아 영토를 넘겨주게 되었다.[38] 그러나 흑군의 실레시아 주둔군 지휘관 얀 하우그비츠는 이 조약을 인정하지 않고 계속해서 실레시아 지역을 점유했다.[39]

한편, 왕위 계승에 실패한 얀 1세 올브라흐트는 1490년 헝가리 동부 국경에서 군대를 모아 코시체와 토카이 근방을 공격했다. 코르비누스 야노시는 블라디슬라프 2세를 자신의 군주로 인정하고 대관식을 도왔다. 블라디슬라프 2세는 과부 베아트리체 왕비와 결혼하여 그녀의 자산 50만헝가리 포린트를 확보했다. 이 자금으로 모라바와 상부 실레시아에 주둔한 흑군의 유지비와 얀 올브라흐트의 폴란드 군대로부터 상부 헝가리를 방어하기 위한 수송 비용을 충당할 수 있었다.[38] 얀 필리페츠는 블라디슬라프 2세를 대신하여 실레시아의 흑군 지휘관 얀 하우그비츠에게 10만헝가리 포린트를 지급하고 복귀를 설득했다. 18,000명의 헝가리-체코 연합군(흑군 주력)은 1491년 12월 프레쇼프에서 폴란드 군대와 맞붙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39] 얀 올브라흐트는 폴란드로 물러나 왕위 주장을 포기했다.

이후 흑군은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맞서기 위해 남부 지역으로 보내졌다. 하지만 급여 지급이 또다시 지연되자, 흑군 병사들은 인근 마을을 약탈하기 시작했다. 국가 평의회는 파울 키니시에게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약탈을 중단시키라고 명령했다. 키니시는 1492년 8월 말 세게드니크-할라스팔루에 도착하여 얀 하우그비츠가 이끌던 흑군을 해산시켰다. 해산된 8,000명 중 2,000명은 서부 슈타이어마르크로 도망쳐 약탈을 계속했다.[39] 포로로 잡힌 병사들은 부다로 이송되어 공식적으로 해산되었고, 다시 돌아와 급여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국외로 떠나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들은 오스트리아에 있던 잔존 부대와 합류했다.[56] 그러나 이들마저 1493년 5월 7일 타야 강변에서 게오르그 아이크징거 백작의 군대에게 패배하여 모두 죽거나 체포되어 고문 끝에 사망했다. 마지막 남은 흑군 용병들은 빌헬름 테타우어의 형제인 발타자르 테타우어의 지휘 아래 베오그라드 수비대 등 지역 수비대에 통합되었다. 하지만 열악한 재정 상황에 불만을 품은 베오그라드 수비대는 오스만 제국의 미할로글루 알리 베이와 내통하여 요새를 술탄 바예지드 2세에게 넘기려 했다. 이 계획이 발각되자, 파울 키니시는 1494년 5월 반란 시도 전에 개입하여 반역 혐의로 발타자르 테타우어와 그의 부하들을 체포하고 굶겨 죽였다.[56] 이로써 한때 강력했던 흑군은 완전히 해체되었다.

8. 흑군(헝가리)의 전투 및 해당 지휘관 목록

아돌프 리브셔: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 마차시의 포위 공격을 지켜보다.


미콜라시 알레시: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와 마차시 코르비누스의 만남


클루지나포카에 있는 마차시 왕과 그의 장군들의 동상. 왼쪽부터: 펄 키니지, 벌러즈 머저르, 마차시, 이슈트반 서폴러이, 이슈트반 바토리


벌러즈 머저르의 초상


빵밭 전투


헝가리 방어(및 포위) 전략의 특징인 전형적인 마차 부대 형성을 묘사한 바이아 전투 계획. 마차시는 화살에 맞아 등에 부상을 입었다.


바슬루이 전투 계획




1477년 오스트리아 영토


캠페인 색상 코드
style="background:#f9da00;" |체코 공화국 상대
style="background:#6facbf;" |신성 로마 제국 상대
style="background:#cffcff;" |오스만 제국 상대
style="background:#af7291;" |몰다비아 상대
style="background:#119c94;" |교황령 상대
style="background:#7cf97c;" |작센 상대
style="background:#e9ddaf;" |베네치아 공화국 상대
style="background:#ec9d3d;" |폴란드 왕국 상대
style="background:#bed731;" |후스파 상대



{| class="wikitable"

|-

! 전쟁 상대 !! 날짜 !! 위치 !! 지휘관 !! 결과

|-

| 체코 || 1488년 || 그워구프, 실롱스크 공국 || --|]] 요한 하우그비츠[40], --|]]|]] 빌헬름 테타우어, --|]]|]]|]]|]]|]]|]]|]]|]]|]]|]]|]]|]]|]]|]]|]]|]]|]]|]]|]]|]]|]]|]]|]]|]]|]]|]]|]]|]]|]]|]]|]]|]]|]]|]]|]]|]]|]]|]]|]]|]]|]]|]]|]]|]]|]]|]]|]]|]]|]]|]]|]]|]]|]]|]]|]]|]]|]]|]]|]] 프란치스 하라스티[41]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신성 로마 제국 || 1484년 || 라이처스도르프, 오스트리아 대공국 || -- 이슈트반 다비드하지, --|]]--|]] 토비아스 폰 보스코비츠 운트 체르나호라[25]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라이처스도르프 전투)

|-

| 신성 로마 제국 || 1484년 || 코르노이부르크, 오스트리아 대공국 || -- 이슈트반 다비드하지[47], --|]]|]]--|]]|]] 토비아스 폰 보스코비츠 운트 체르나호라[25]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폴란드/체코 || 1474년 || 브로츠와프, 실롱스크 공국 || -- 마차시 코르비누스[42], --|]]|]] 멜키오르 뢰벨, --|]] 얀 2세 데 부르르[43]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체코 || 1468년 || 올로모우츠, 모라바 변경백국 || -- 마차시 코르비누스[44]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체코 || 1469년 || 흐라디슈테, 모라바 변경백국 || -- 마차시 코르비누스[44] || style="background:#ffa07a;"|패배

|-

| 신성 로마 제국 || 1485년 || , 오스트리아 대공국 || -- 마차시 코르비누스[25]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빈 포위전)

|-

| 신성 로마 제국 || 1487년 || 비너노이슈타트, 오스트리아 대공국 || -- 마차시 코르비누스, -- 에머리크 서폴러이[45], -- 빌헬름 테타우어[62], ----|]] 바르토로뮤 드라기, -- 야곱 세클러, ----|]]|]] 라디슬라우스 카니자이, -- 페테르 게레브 오브 빙가드, -- 마차이아스 게레브 오브 빙가드, --|]]|]]|]]|]]--|]]|]]|]]|]]|]]|]]|]]|]]|]] 이슈트반 바토리[91]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비너노이슈타트 포위전)

|-

| 신성 로마 제국 || 1480년 || 라드케르스부르크, 슈타이어 공국 || -- 이슈트반 서폴러이[46], -- 야곱 세클러[48]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신성 로마 제국 || 1482년 || 라인부르크, 오스트리아 대공국 || -- 이슈트반 서폴러이, -- 빌헬름 테타우어[47] || style="background:#ffa07a;"|패배 (1차 라인부르크 포위전)

|-

| 신성 로마 제국 || 1482년 || 라인부르크, 오스트리아 대공국 || -- 마차시 코르비누스, -- 이슈트반 서폴러이[34]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라인부르크 2차 포위전)

|-

| 신성 로마 제국 || 1482년 || 쾨세그, 헝가리 왕국 || -- 발타자르 바티아니[121]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오스만 제국 || 1479년 || 빵밭, 헝가리 왕국 || -- 펄 키니지, ---- 이슈트반 바토리, --|]]|]]|]]|]]|]] 부크 그르구레비치, --|]] 바사라브 라이오타 첼 바트린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빵밭 전투)

|-

| 몰다비아 || 1467년 || 바이아, 몰다비아 공국 || -- 마차시 코르비누스, ---- 이슈트반 바토리 || style="background:#ffa07a;"|패배 (바이아 전투)

|-

| 오스만 제국 || 1475년 || 바슬루이, 몰다비아 공국 || -- 미카엘 판츠[48] (주요 몰다비아 핵심 세력에 대한 소규모 무장 지원)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바슬루이 전투)

|-

| 오스만 제국 || 1463년 || 자이체, 보스니아 || -- 마차시 코르비누스, -- 요한 칼레이 V., -- 조지 팔라기, -- 폴 칼레이 I.[49], -- 수도원장 가스파르 박 오브 베렌드[50], 마차이아스 게레브 오브 빙가드[51]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자이체 포위전)

|-

| 오스만 제국 || 1464년 || 자이체, 보스니아 || -- 에머리크 서폴러이[52], -- 야곱 세클러[53]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오스만 제국 || 1464년 || 스레브레니크, 보스니아 || -- 마차시 코르비누스, -- 에머리크 서폴러이[54]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오스만 제국 || 1464년 || 즈보르니크, 보스니아 || -- 마차시 코르비누스, -- 에머리크 서폴러이, -- 백작 지그문트 센트규르기, -- 베르톨드 엘더바흐 모니오르케레키, -- 니콜라스 세켈리 센트규르기, ---- 라디슬라우스 카니자이[54] || style="background:#ffa07a;"|패배

|-

| 오스만 제국 || 1476년 || 샤바츠, 보스니아 후작령 || -- 조지 마투치나이, ---- 이슈트반 바토리, ---- 프란티세크 하그[54], -- 부크 그르구레비치, --|]] 블라드 체페슈[55], --|]] 리차드 참플린 경[56]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오스만 제국 || 1481년 || 오트란토, 나폴리 왕국 || -- 벌러즈 머저르[57]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오트란토의 오스만 제국 침공)

|-

| 교황령 || 1488년 || 나폴리, 나폴리 왕국 || 나폴리 왕 페르디난도 1세를 위한 지원군[57]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작센 || 1487년 || 장크트푈텐, 오스트리아 대공국 || -- 마차시 코르비누스[58]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비너노이슈타트 포위전)

|-

| 신성 로마 제국 || 1459년 || 쾨르멘드, 헝가리 왕국 || -- 시몬 너지 센트마르토니, -- 마이클 로즈고니[59] || style="background:#ffa07a;"|패배

|-

| 신성 로마 제국 || 1459년 || 상부 판노니아, 헝가리 왕국 || -- 시몬 너지 센트마르토니[59]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신성 로마 제국 || 1484년 || 부르크, 오스트리아 대공국 || -- 이슈트반 다비드하지[62]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오스만 제국 || 1484년 || 티미쇼아라, 헝가리 왕국 || -- 펄 키니지[63]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오스만 제국 || 1463년 || 티미쇼아라, 헝가리 왕국 || -- 라디슬라우스 퐁라츠[66]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오스만 제국 || 1476년 || 판체보, 세르비아 전제공국 || -- 벨라 너지, -- 앰브러스 너지, -- 페터 도치, -- 라디슬라우스 도치, -- 프란시스 도치, -- 에머리크 니포, -- 얀 체펠리, -- 부크 그르구레비치[66][64], -- 데메테르 약식, -- 프란시스 아리프티, -- 얀 아데이, -- 세바스찬 아브라함, -- 마이클 페트세이, -- 마르쿠스 헤네이, -- 라디슬라우스 헤네이[65]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오스만 제국 || 1482년 || 즈레냐닌, 세르비아 전제공국 || -- 펄 키니지, -- 페터 도치, -- 부크 그르구레비치[134] || style="background:#98fb98;"|승리

|-

| 체코 || 1469년 || 빌레모프, 모라바 변경백국 || -- 마차시 코르비누스 (포로) || style="background:#ffa07a;"|패배

|-

| 체코 || 1469년 || 우헤르스키 브로트, 모라바 변경백국 || -- 마차시 코르비누스[136] || style="background:#ffa

9. 이름 표기

마차시 키랄리 (Mátyás Király)Mat(t)hias Rex, Mat(t)hias Corvin, Mat(t)hias Corvinus, Mat(t)hias Hunyadi, Mat(t)hias Korwin체코어: Matyáš Korvín, 크로아티아어: Matijaš Korvin, 독일어: Matthias Corvinus, 중세 라틴어: Mattias Corvinus, 폴란드어: Maciej Korwin, 루마니아어: Matia/Matei/Mateiaş Corvin, 세르비아어: Matija Korvin / Матија Корвин, 슬로바키아어: Matej Korvín, 슬로베니아어: Matija Korvin, 러시아어: Матьяш Корвин / Matyash Corvin머저르 벌러시 (Magyar Balázs)Balázs/Balazs Magyar, Blaž the Magyar크로아티아어: Blaž Mađar, 슬로바키아어: Blažej Maďar, 스페인어: Blas Magyar, 독일어: Blasius Magyar, 이탈리아어: Biagio Magiaro키니지 팔 (Kinizsi Pál)Paul/Pál Kinizsi루마니아어: Pavel Chinezul, 슬로바키아어: Pavol Kiniži, 스페인어: Pablo Kinizsi자폴여이 임레 ((S)Zápolya(i) Imre)
시포여이 임레 (Szipolyai Imre)Emeric Zapolya, Emeric Zapolyai, Emeric Szapolya, Emeric Szapolyai, Emrich of Zapolya폴란드어: Emeryk Zápolya, 슬로바키아어: Imrich Zápoľský, 스페인어: Emérico Szapolyai (de Szepes), 독일어: Stefan von Zips기스크라 야노시 (Gis(z)kra János)John Giskra, John Jiskra체코어: Jan Jiskra z Brandýsa, 독일어: Johann Giskra von Brandeis, 이탈리아어: Giovanni Gressa, 슬로바키아어: Ján Jiskra z Brandýsa뢰블 메니헤르트 (Löbl Menyhért)Melchior Löbel, Melchior Loebel, Melchior Löbl, Melchior Loebl독일어: Melchior Löbel하우그비츠 야노시 (Haugwitz János)John Haugwitz독일어: Johann Haugwitz, 체코어: Hanuš Haugvic z Biskupic바토리 이슈트반 (Báthory István, Báthori István)Stephen V Báthory, Stephen Báthory of Ecsed루마니아어: Ștefan Báthory, 독일어: Stephan Báthory von Ecsed, 이탈리아어: Stefano Batore, 슬로바키아어: Štefan Bátory추포르 미클로시 (Csupor Miklós)Nicolaus Chiupor, Nicolaus Csupor루마니아어: Nicolae Ciupor약시치 데메테르 (Jaksics Demeter)
닥시치 데메테르Demetrius Jaksic세르비아어: Dmitar Jakšić / Дмитар Јакшић우이락 미클로시 (Újlaki Miklós)Nicholaus of Ujlak, Nicholaus Iločki크로아티아어: Nikola Iločki하그 페렌츠 (Hag Ferenc)František Hag독일어: Franz von Hag, 체코어: František z Háje테타우어 빌모시 (Tettauer Vilmos)Wilhelm Tettauer체코어: Vilém Tetour z Tetova


참조

[1] 간행물 Hungary's Philosopher King: Matthias Corvinus 1458–90 http://www.historyto[...] 1994
[2]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Medieval Warfare and Military Technology, Volume I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8-10
[3] 웹사이트 A thousand years of the Hungarian art of war http://www.hungarian[...] Rakoczi Press 2010-10-11
[4] 서적 Warhistory
[5] 서적 A History of Weaponry Recontre and Edito Service
[6] 서적 The Hunyadis and the Jagello age (1437–1526) Encyclopaedia Humana Association 2011-06-25
[7]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Medieval Warfare and Military Technology, Volume 1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 백과사전 Zürich, Siege of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A History of the Habsburg Empire 1273–1700 Routledge
[10] 서적 Hungary and the fall of Eastern Europe 1000–1568 https://books.google[...] Osprey 2009-10-04
[11] 서적 From Nicopolis to Mohács: A History of Ottoman-Hungarian Warfare, 1389–1526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12] 서적 The origins of political order: from prehuman times to the French Revolution Profile Books
[13] 서적 Hungary: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14] 웹사이트 The Militia Portalis http://www.warfareea[...] British Historical Games Society 2010-10-04
[15] 서적 Mátyás, a reneszánsz király http://static.polc.h[...] Officina Kiadó 2010-10-01
[16] 서적 Armies of the Middle Ages, Volume 2 Wargames research group 2017-12-28
[17] 간행물 The role of John Jiskra in the history of Slovakia http://www.humanaffa[...] Institute of Historical Studies, Slovak Academy of Sciences 2010-10-01
[18] 서적 The realm of St. Stephen: a history of medieval Hungary, 895–1526 https://books.google[...] I. B. Tauris 2010-10-01
[19] 서적 Hunyadi Mátyás, a király. Hagyomány és megújulás a királyi udvarban 1458–1490 Budapest History Museum
[20] 서적 The history of coins in Romania (ca. 1500 BC – 2000 AD) Editura Enciclopedică 2010-10-04
[21] 웹사이트 Braşov (Kronstadt) in the Defence against the Turks (1438–1479) http://www.kakanien.[...] Kakanien revisited 2009-07-23
[22] 웹사이트 Wargaming and Warfare in Eastern Europe (1350 AD to 1500 AD ) http://www.warfareea[...] British Historical Games Society 2010-10-04
[23] 웹사이트 Matthias I., Hunyadi
[24] 웹사이트 Mátyás király levelei: külügyi osztály http://mek.oszk.hu/0[...] 2023-05-26
[25] 서적 Mátyás Király fekete serege Zrínyi Katonai Kiadó
[26] 지도 Történelmi világatlasz Kartográfiai Vállalat
[27] 웹사이트 Frescoes in the Póniky (Pónik) Roman Catholic Church, Slovakia https://warfare.6te.[...] 1478
[28] 간행물 A magyar huszárság eredete http://mtda.hu/books[...] István Tisza Scientific Society of Debreceni
[29] 서적 A huszárok eredetéről http://epa.oszk.hu/0[...]
[30] 웹사이트 The Gradual of King Matthias Corvinus of Hungary https://warfare.6te.[...] 2014-11-04
[31] 웹사이트 A Fekete Sereg előadás http://aregmultajele[...]
[32] 서적 From Nicopolis to Mohács: A History of Ottoman-Hungarian Warfare, 1389–1526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33]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Medieval Warfare and Military Technology
[34] 서적 Pallas Nagylexikon http://mek.niif.hu/0[...] Pallas Irodalmi és Nyomdai Rt 2010-10-06
[35] 서적
[36] 서적 Slovak history: chronology & lexicon Bolchazy-Carducci Publishers 2010-10-05
[37] 서적 A magyar nemzet hadtörténelme http://mek.oszk.hu/0[...] Grill Károly Könyvkiadó vállalata 2011-06-16
[38] 서적 A magyar nemzet hadtörténelme http://mek.oszk.hu/0[...] Grill Károly Könyvkiadó vállalata 2011-06-16
[39] 서적 Magyar életrajzi lexikon 1000–1990 http://mek.niif.hu/0[...] Akadémiai Kiadó 2011-06-16
[40] 서적 Mátyás király idegen zsoldosserege http://mek.niif.hu/0[...] Stádium Sajtóvállalat Rt. 2010-10-02
[41] 서적 Mátyás király katonai Libra Kiadó
[42] 서적 Viator: Mediaeval and Renaissance Studies Volume 4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10-02
[43] 웹사이트 Johann II., Herzog in Schlesien http://www.deutsche-[...] 2010-10-13
[44]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volume 2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010-10-02
[45] 서적 Irodalomtörténeti Közlemények http://epa.oszk.hu/0[...] Országos Széchényi Könyvtár 2010-10-02
[46] 서적 Szapolyai - Lexikon :: http://www.kislexiko[...] 2010-10-02
[47] 웹사이트 Hunyadi Mátyás nyugati politikája és hadjáratai http://www.napkut.hu[...] Napkút Kiadó 2010-10-25
[48] 서적 Historiai értekezés a' nemes székely nemzet' eredetéről: hadi és polgári intézeteiről a régi időkben https://books.google[...] Fiedler Gottfried 2010-10-09
[49] 서적 Magyarország családai czimerekkel és nemzékrendi táblákkal, volume 2. https://books.google[...] Ráth Mór, Helikon Kiadó (reprint) 2010-10-03
[50] 서적 A magyar nemzet hadtörténelme http://mek.oszk.hu/0[...] Grill Károly Könyvkiadó vállalata 2011-06-27
[51] 서적 A magyar nemzet hadtörténelme http://mek.oszk.hu/0[...] Grill Károly Könyvkiadó vállalata 2011-06-27
[52] 서적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A Guide to 8,500 Battles from Antiquity through the Twenty-first Century, Volume 2, F–O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0-10-21
[53] 서적 A magyar nemzet hadtörténelme http://mek.oszk.hu/0[...] Grill Károly Könyvkiadó vállalata 2011-06-30
[54] 서적 Jajcza (bánság, vár és város) története 1450–1527 https://archive.org/[...] Hornyánszky Viktor cs. és kir. udv. könyvnyomdája., Históriaantik Könyvesház Kiadó (reprint) 2010-10-03
[55] 간행물 The 1476 campaign in Serbia and Bosnia - Vlad's sequel 2021
[56] 웹사이트 Mátyás király idegen zsoldos serege http://www.matyaseve[...] Municipality of Budavár 2011-06-15
[57] 서적 A magyar nemzet története, 5. kötet Athenaeum Irod. és Nyomdai Rt 2010-10-04
[58] 문서
[59] 웹사이트 Hollószárnyak a Rába fölött http://www.vasnepe.h[...] Vas Népe Kiadói Kft. 2010-10-04
[60] 서적 Magyarország történeti kronológiája I /A kezdetektől 1526-ig/ Akadémiai Kiadó
[61] 서적 Ispánok, bárók, kiskirályok Magvető Könyvkiadó
[62] 서적 A magyar nemzet története regényes rajzokban http://mek.niif.hu/0[...] Tóth Könyvkereskedés és Kiadó 2010-10-04
[63]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volume 1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010-10-04
[64] 서적 Mehmed the Conqueror and His Tim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10-19
[65] 서적 Magyar krónika, 2. kötet https://books.google[...] ICON Group International (reprint) 2010-10-21
[66] 서적 Az Osztrák-Magyar Monarchia Irásban és Képben http://www.tankonyvt[...] Kempelen Farkas Digitális Tankönyvtár 2010-10-04
[67] 서적 Az Osztrák-Magyar Monarchia írásban és képben http://www.tankonyvt[...]
[68] 웹사이트 George of Podebrady http://icv.vlada.cz/[...] Government Information Center of the CR 2010-10-06
[69] 서적 Slovak history: chronology & lexicon Bolchazy-Carducci Publishers 2010-10-06
[70] 웹사이트 Spilberk Castle http://www.spilberk.[...] Muzeum města Brna 2010-10-06
[71] 서적 Magyarország története 895–1301 http://lexikon.katol[...] Osiris Kiadó 2010-10-08
[72] 서적 Mátyás és a humanizmus Osiris Kiadó
[73] 서적 Rerum Hungaricum Decades http://www.bkiado.hu[...] Balassi Kiadó (reprint) 2010-10-09
[74] spoken word (mp3) A magyarok krónikája és Siralmas ének (Rogerius mester) http://mek.oszk.hu/0[...] Osiris Kiadó (reprint) 2010-10-09
[75] 서적 Historiae Polonicae liber XIII.et ultimus
[76] 서적 Krónika az magyaroknak dolgairól http://osbuda.hu/cor[...] Magyar Helikon (reprint) 2010-10-09
[77] 웹사이트 Salgótarján, Salgóvár http://jupiter.elte.[...] ELTE 2010-09-11
[78] 웹사이트 Kezdőlap http://jupiter.elte.[...] 2010-10-10
[79] 웹사이트 A jászói vár http://www.jasov.sk/[...] 2010-10-21
[80] 웹사이트 Vita del re Mattio Corvino http://www.epa.oszk.[...] von Hase & Koehler Verlag 2010-10-26
[81] 웹사이트 Vlad the Impaler, the second reign – Part 4 http://www.exploring[...] 2010-01-11
[82] 서적 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1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10-12
[83] 서적 A váradi püspökség története (''Epistolario di Pier Paolo Vergerio'') http://mek.niif.hu/0[...] Episcopate of Várad 2010-10-20
[84] 서적 A magyar nemzet hadtörténelme http://www.mek.sk/09[...] Grill Károly Könyvkiadó vállalata 2011-06-27
[85] 웹사이트 Palocsa – vár Sáros vármegye http://jupiter.elte.[...] ELTE 2011-06-27
[86] 서적 A magyar nemzet hadtörténelme http://mek.oszk.hu/0[...] Grill Károly Könyvkiadó vállalata 2011-06-27
[87] 서적 A magyar nemzet hadtörténelme http://mek.oszk.hu/0[...] Grill Károly Könyvkiadó vállalata 2011-06-28
[88] 서적 A Hunyadiak Dicsősége https://www.scribd.c[...] Apáczai Kiadó 2011-06-30
[89] 웹사이트 Schloss Forchtenstein http://www.marktgeme[...] Marktgemeinde Neumarkt 2011-06-30
[90] 웹사이트 Zeleny (Selene), ungarischer Hauptmann http://regesten.reg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und der Literatur 2011-06-30
[91] 서적 Rerum Hungaricum Decades http://tortenelmunk.[...] Balassi Kiadó (reprint) 2011-06-30
[92] 웹사이트 Austro-Hungarian War, 1479–1491 http://www.zum.de/wh[...] Korean Minjok Leadership Academy 2011-06-30
[93] 웹사이트 Geschichte Chronik 987–2009 http://www.baderlach[...] Marktgemeinde Bad Erlach 2011-06-30
[94] 문서 漆黒の甲冑装備にちなんで名付けられた可能性が高い。[[黒軍 (ハンガリー)#黒軍の観点とその指揮官]]を参照。
[95] 웹사이트
[96] 서적 Hungary and the fall of Eastern Europe 1000-1568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09-10-04
[97] 웹사이트 A thousand years of the Hungarian art of war http://www.hungarian[...] Rakoczi Press 2010-10-11
[98] 웹사이트 The Militia Portalis http://www.warfareea[...] British Historical Games Society 2010-10-04
[99] 서적 Mátyás, a reneszánsz király http://static.polc.h[...] Officina Kiadó 2010-10-01
[100] 서적 Armies of the Middle Ages, Volume 2 http://www.scribd.co[...] Wargames research group
[101] 서적 The Medieval Military Revolution: State, Society and Military Change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Society http://www.deremilit[...] I.B. Tauris 2010-10-01
[102] 서적 A History of Venice Alfred B. Knopf
[103] 서적 Le grandi battaglie della storia bresciana
[104] 서적 Italian Militiaman 1260-1392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0-10-21
[105] 간행물 Angol lovagok a nikápolyi csatában http://delfin.klte.h[...] Hadtörténeti Intézet és Múzeum 2010-10-21
[106] 논문 The role of John Jiskra in the history of Slovakia http://www.humanaffa[...] Institute of Historical Studies, Slovak Academy of Sciences 2010-10-01
[107] 서적 The realm of St. Stephen: a history of medieval Hungary, 895-1526 https://books.google[...] I. B. Tauris 2010-10-01
[108] 서적 Hunyadi Mátyás, a király. Hagyomány és megújulás a királyi udvarban 1458-1490 Budapesti Történeti Múzeum
[109] 서적 The history of coins in Romania (cca. 1500 B.C. – 2000 AD) http://monederomanes[...] Editura Enciclopedică 2010-10-04
[110] 웹사이트 Braşov (Kronstadt) in the Defence against the Turks (1438–1479) http://www.kakanien.[...] Kakanien revisited 2010-10-11
[111] 웹사이트 Wargaming and Warfare in Eastern Europe (1350 AD to 1500 AD ) http://www.warfareea[...] British Historical Games Society 2010-10-04
[112] 서적 Slovak history: chronology & lexicon https://books.google[...] Bolchazy-Carducci Publishers 2010-10-05
[113] 서적 Mátyás király idegen zsoldosserege http://mek.niif.hu/0[...] Stádium Sajtóvállalat Rt. 2010-10-02
[114] 서적 Mátyás király katonai Libra Kiadó
[115] 서적 http://www.napkut.hu[...]
[116] 서적 Viator: Mediaeval and Renaissance Studies Volume 4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10-02
[117] 웹사이트 Johann II., Herzog in Schlesien http://www.deutsche-[...] 2010-10-13
[118]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volume 2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010-10-02
[119] 서적 Irodalomtörténeti Közlemények http://epa.oszk.hu/0[...] Országos Széchényi Könyvtár 2010-10-02
[120] 웹사이트 Hunyadi Mátyás nyugati politikája és hadjáratai http://www.napkut.hu[...] Napkút Kiadó 2010-10-25
[121] 웹사이트 Kora reneszánsz (1475–1541) http://szabadbolcses[...] ELTE 2010-10-02
[122] 서적 Historiai értekezés a' nemes székely nemzet' eredetéről: hadi és polgári intézeteiről a régi időkben https://books.google[...] Fiedler Gottfried 2010-10-09
[123] 서적 Magyarország családai czimerekkel és nemzékrendi táblákkal, volume 2. https://books.google[...] Ráth Mór, Helikon Kiadó (reprint) 2010-10-03
[124] 서적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A Guide to 8,500 Battles from Antiquity through the Twenty-first Century, Volume 2, F-O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0-10-21
[125] 서적 Jajcza (bánság, vár és város) története 1450-1527 https://archive.org/[...] Hornyánszky Viktor cs. és kir. udv. könyvnyomdája., Históriaantik Könyvesház Kiadó (reprint) 2010-10-03
[126] 서적 A magyar nemzet története, 5. kötet http://mek.niif.hu/0[...] Athenaeum Irod. és Nyomdai Rt 2010-10-04
[127] 웹사이트 Hollószárnyak a Rába fölött http://www.vasnepe.h[...] Vas Népe Kiadói Kft. 2010-10-04
[128] 서적 Magyarország történeti kronológiája I /A kezdetektől 1526-ig/ Akadémiai Kiadó
[129] 서적 Ispánok, bárók, kiskirályok Magvető Könyvkiadó
[130] 서적 A magyar nemzet története regényes rajzokban http://mek.niif.hu/0[...] Tóth Könyvkereskedés és Kiadó 2010-10-04
[131]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volume 1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010-10-04
[132] 서적 Mehmed the Conqueror and His Tim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10-19
[133] 서적 Magyar krónika, 2. kötet https://books.google[...] ICON Group International (reprint) 2010-10-21
[134] 서적 Az Osztrák-Magyar Monarchia Irásban és Képben http://www.tankonyvt[...] Kempelen Farkas Digitális Tankönyvtár 2010-10-04
[135] 웹사이트 George of Podebrady http://icv.vlada.cz/[...] Government Information Center of the CR 2010-10-06
[136] 서적 Slovak history: chronology & lexicon https://books.google[...] Bolchazy-Carducci Publishers 2010-10-06
[137] 웹사이트 Spilberk Castle http://www.spilberk.[...] Muzeum města Brna 2010-10-06
[138] 서적 Magyarország története 895-1301 http://lexikon.katol[...] Osiris Kiadó 2010-10-08
[139] 웹사이트 Croatia http://fmg.ac/Projec[...] Foundation for Medieval Genealogy 2010-10-08
[140] 서적 Mátyás és a humanizmus Osiris Kiadó
[141] 서적 Rerum Hungaricum Decades http://www.bkiado.hu[...] Balassi Kiadó (reprint) 2010-10-09
[142] 서적 A magyarok krónikája és Siralmas ének (Rogerius mester) http://mek.oszk.hu/0[...] Osiris Kiadó (reprint) 2010-10-09
[143] 서적 Historiae Polonicae liber XIII.et ultimus
[144] 서적 Krónika az magyaroknak dolgairól http://osbuda.hu/cor[...] Magyar Helikon (reprint) 2010-10-09
[145] 웹사이트 Salgótarján, Salgóvár http://jupiter.elte.[...] ELTE 2010-10-10
[146] 웹사이트 A jászói vár http://www.jasov.sk/[...] 2010-10-21
[147] 웹사이트 Vita del re Mattio Corvino http://www.epa.oszk.[...] von Hase & Koehler Verlag 2010-10-26
[148] 웹사이트 Vlad the Impaler, the second reign - Part 4 http://www.exploring[...] 2010-10-18
[149] 서적 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1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01-27
[150] 서적 A váradi püspökség története (''Epistolario di Pier Paolo Vergerio'') http://mek.niif.hu/0[...] Episcopate of Várad 2010-10-20
[151] 웹인용 Mátyás király idegen zsoldos serege http://www.matyaseve[...] Municipality of [[Buda Castle|Budavár]] 2011-06-15
[152]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Medieval Warfare and Military Technology, Volume I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8-10
[153] 웹인용 A thousand years of the Hungarian art of war http://www.hungarian[...] Rakoczi Press 2010-10-11
[154] 문서 Vajna-Naday, Warhistory
[155] 문서 Courtlandt Canby: A History of Weaponry Recontre and Edito Service
[156] 서적 The Hunyadis and the Jagello age (1437–1526) Encyclopaedia Humana Association 2011-06-25
[157]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Medieval Warfare and Military Technology, Volume 1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58]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Medieval Warfare and Military Technology: Mercenaries - Zürich, Siege of : 596 S, Volume 3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8-10
[159] 서적 Hungary and the fall of Eastern Europe 1000–1568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09-10-04
[160] 문서 Jean Berenger: A History of the Habsburg Empire 1273-1700 Routledge
[161] 서적 The origins of political order : from prehuman times to the French Revolution https://archive.org/[...] Profile Books
[162] 웹인용 A Country Study: Hungary http://geography.abo[...] Geography.about.com 2010-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