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령은 8세기부터 1870년까지 이탈리아 반도에 존재했던 교황의 세속적 영토를 의미한다. 기독교가 공인된 이후 교회의 재산이 증가하면서 로마 교황은 영적 권위와 함께 점차 세속적 권력을 확장했다. 8세기 롬바르드족의 위협 속에서 교황은 프랑크 왕국과 동맹을 맺어 교황령을 성립시켰으며, 이후 신성 로마 제국, 아비뇽 유수, 종교 개혁 등을 거치며 권력의 변화를 겪었다. 19세기 이탈리아 통일 과정에서 교황령은 소멸되었고, 1929년 라테란 조약을 통해 바티칸 시국이 독립 국가로 성립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천주교 박해와 관련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대한민국은 바티칸 시국과 외교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티칸 시국 - 바티칸 시국의 소유지
    바티칸 시국의 소유지는 바티칸 시국 영토 외에 로마 시내외, 이스라엘 등에 있는 종교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부동산 및 시설들을 포함하며, 일부는 바티칸 법률이 적용되는 비치외법권 지역으로 지정된다.
  • 바티칸 시국 - 오를란디 실종사건
    1983년 6월 22일 바티칸 시민 에마누엘라 오를란디가 실종된 오를란디 실종사건은 마피아, 은행 파산, 교황 암살 미수범, 바티칸 스캔들 등 다양한 의혹과 음모론을 낳으며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 이탈리아의 기독교사 - 라테라노 조약
    라테라노 조약은 1929년 이탈리아 왕국과 교황청 간에 체결되어 "로마 문제"를 해결하고 바티칸 시국을 건립하여 교황청의 독립적인 주권을 보장하는 조약으로, 1984년 개정을 통해 가톨릭교회가 이탈리아 국가의 유일한 종교라는 조항이 삭제되었다.
  • 이탈리아의 기독교사 - 로마 공화국 (1849년~1850년)
    로마 공화국은 1848년 혁명으로 교황이 로마를 탈출한 후 1849년 2월에 수립되어 삼두 집정관 체제로 운영되었으나, 프랑스의 공격으로 1849년 7월에 멸망했다.
  • 교황령 - 파엔차
    파엔차는 이탈리아 라벤나현 남서부에 위치한 코무네로, 에밀리아 가도 상의 이몰라와 포를리 사이에 있으며, 마욜리카 도자기 생산, 역사적 건축물, 자연 명소, 국제적인 도자기 행사 및 전통 축제로 유명하고, 모터스포츠 팀의 본거지이다.
  • 교황령 -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은 콘스탄티누스 1세가 교황에게 로마와 서방 제국을 넘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위조된 문서로, 교황권 강화에 이용되다가 르네상스 시대에 위조임이 밝혀졌다.
교황령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및 위치 정보
1789년 교황령의 위치
이탈리아 남부의 베네벤토, 폰테코르보, 프랑스 남부의 코멧 베네신, 아비뇽을 포함하는 1789년 교황령 지도 (녹색)
기본 정보
공식 명칭 (이탈리아어)Patrimonio di San Pietro / Stato Pontificio
공식 명칭 (라틴어)Patrimonium Sancti Petri / Status Ecclesiasticus
통칭교황령
존속 기간756년 ~ 1870년
수도로마
공용어라틴어
이탈리아어
로마냐어
국교로마 가톨릭교회
교황령 국기 (1808년 이전)
교황령 국기 (가장 오랫동안 사용)
교황령 국기 (1870년)
교황령 국기 (마지막 사용)
교황령 문장 (르네상스 시대)
교황령 문장 (15세기 ~ 19세기)
교황 문장
교황 방패
국가 (1857년~1870년)마르시아 트리온팔레
국가 (번역)위대한 승리의 행진
정치
정치 체제봉건제 (756년–1798년; 1800년–1809년)
신권 정치 (756년–1798년; 1800년–1809년)
선거 군주제 (756년–1798년; 1800년–1809년)
절대 군주제 (756년–1798년; 1800년–1809년)
단일 신권 선거 절대 군주제 (1814년–1848년; 1850년–1870년)
단일 신권 선거 반헌법적 군주제 (1848년)
통치자 칭호교황
첫 번째 교황스테파노 2세 (756년–757년)
마지막 교황비오 9세 (1846년–1870년)
국무원 장관지롤라모 단디니 (1551년–1555년, 최초)
자코모 안토넬리 (1848년–1870년, 마지막)
총리가브리엘레 페레티 (1847년–1848년, 최초)
카를로 에마누엘레 무차렐리 (1848년–1849년, 마지막)
입법부의회 (1848년)
역사
주요 사건피핀의 기증 (756년)
법전화 (781년)
베네치아 조약 (주권 재확인, 1177년)
교황 헌법 발표 (1357년)
로마 공화국 수립 (1798년 2월)
쉔브룬 궁전 선언 (1809년 5월 17일)
로마 점령 (1870년 9월 20일)
이후바티칸 시국 (1929년 2월 11일)
인구 통계
인구 (1853년)3,124,668 명
통화
통화로마 스쿠도 (1866년까지)
교황령 리라 (1866년–1870년)
현재 국가
현재 국가프랑스
이탈리아
바티칸 시국

2. 역사적 배경

기독교3세기 초만 해도 법외 조직이었기 때문에 재산을 소유하거나 양도할 수 없었다. 초기 교회는 유복한 신자의 넓은 방에 군중이 모이는 형식이었으며, 초기 로마 교회의 상당수는 교회의 후원자들로부터 헌납받은 고대 로마의 변두리 인근에 건축하였다. 321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교회에 대한 규제를 철폐한 이후 신앙심이 깊은 부자들의 기부를 통해 교회의 사유 재산은 급속히 증가하였다. 라테라노 궁전은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교황에게 선물로 준 것이다.[11] 이내 교회는 이탈리아 본토뿐만 아니라 속주에서도 기증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이 당시만 해도 교회는 개인 지주로서 땅을 갖고 있었지만, 통치자로 군림하지는 않았다.

5세기 이탈리아반도오도아케르동고트 왕국의 지배를 거쳐 이탈리아 교회와 교회의 우두머리인 로마의 주교, 곧 교황의 지배 아래 복종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교황은 영적 수위권과 더불어 세속적 주권을 주장하기 시작하였다. 군주제 국가로서 교황령의 시초는 6세기에 세워졌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있는 동로마 제국은 10년에 걸쳐 나라의 정치와 경제 구조를 파탄시킨 이탈리아 재정복에 착수하였다. 당시 랑고바르드족은 북쪽에서 이탈리아반도로 들어와 수많은 지방을 정복하였다.

7세기까지 라벤나로부터 사나운 공격을 받으면서 동로마의 권위는 황제의 대리인 또는 총독이 있는 로마와 남쪽의 나폴리로 크게 한정되었다. 이에 동로마가 북동 끝에 군사력을 집중하면서 상대적으로 소홀해진 로마 시에 대한 지배권이 무력해져 갔다. 이에 로마 주교는 이탈리아 영토의 한 부분을 소유한 영주로서 힘이 실리면서 차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명목상 여전히 동로마의 영토로 남은 로마 공국이 교황의 영향 아래 놓이게 되면서 교회에 의해 지배받는 독립국과 같은 모습을 갖게 되었다.

교회의 독립과 관계하여 이탈리아에서 교황권에 대한 대중의 지지도가 올라가면서, 교황들은 이제 동로마 황제의 뜻을 거스르는 행위도 가능해졌다. 교황 그레고리오 2세는 동로마 황제 레오 3세를 파문하기까지 하였다. 그렇지만, 교황과 총독은 이탈리아에서 점차 세력을 키워가는 랑고바르드족을 제어하려고 손을 잡았다. 동로마의 힘이 약해지더라도, 교황은 보통 협박과 뇌물의 외교술을 통해 랑고바르드족으로부터 로마를 지키는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교황들은 동로마 제국의 노쇠 탓에 강성해지고 있는 랑고바르드족을 섬기면서 달래는 데 더 집중하였다.

728년 교황 그레고리오 2세와 랑고바르드의 리우트프란트가 경계선을 구체화하기 위한 ‘수트리 기증’ 협정을 맺으면서 교황령 창건을 위한 결정적인 순간이 도래하게 된다.[44]

2. 1. 로마 공국과 교황권의 성장

476년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 이탈리아반도는 혼란에 빠졌지만, 로마 교회는 점차 영향력을 확대해 나갔다. 특히, 교황 그레고리오 1세(재위 590년-604년)는 행정, 외교, 군사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며 교황의 권위를 높였다.[44]

5세기 후반, 로마의 중앙 권위가 붕괴되면서 이탈리아 반도에 대한 통제권은 여러 차례 바뀌었다. 473년에는 아리우스주의를 따르는 오도아케르의 지배를 받았으며, 493년에는 동고트족의 왕인 테오도리크의 지배를 받았다. 동고트족 왕들은 554년까지 이탈리아의 많은 지역을 계속 통치했다. 로마 교회는 불가피하게 그들의 주권에 복종했지만, 전체 기독교 세계에 대한 영적 수위를 주장했다.[13]

535년부터 비잔틴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이탈리아를 동고트족으로부터 빼앗기 위한 일련의 원정을 시작했으며, 이는 554년까지 계속되어 이탈리아의 정치 및 경제 구조를 황폐화시켰다. 유스티니아누스는 라벤나 총독부를 설립했는데, 그 행정 구역 중 하나가 오늘날의 라치오와 대략 일치하는 로마 공국이었다. 568년 롬바르드족은 북쪽에서 반도로 들어와 자신들만의 이탈리아 왕국을 세웠고, 그 후 2세기 동안 비잔틴이 최근에 회복한 이탈리아 영토의 대부분을 정복했다. 7세기까지 비잔틴의 권위는 주로 황제의 대리인, 즉 ''총독''이 있던 라벤나에서 로마와 나폴리 남쪽으로, 그리고 해안의 월경지를 대략 잇는 대각선 띠로 제한되었다.[14][15][16]

이 영토의 북동쪽 끝에 효과적인 비잔틴 권력이 집중되면서, 교황은 이탈리아에서 가장 큰 토지 소유주이자 가장 권위 있는 인물로서 비잔틴이 로마시 주변 지역에서 행사할 수 없었던 통치 권한의 대부분을 기본적으로 떠맡게 되었다.[17] 교황은 법적으로 비잔틴 권위 아래 "로마 신민"으로 남아 있었지만, 실제적으로 로마 공국은 독립 국가가 되었다.

교황 그레고리오 2세는 성상 파괴 논쟁 기간 동안 황제 레오 3세를 파문했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황과 총독은 여전히 이탈리아에서 롬바르드족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협력했다. 그러나 비잔틴의 권력이 약해지면서 교황청은 롬바르드족으로부터 로마를 보호하는 데 점점 더 큰 역할을 맡게 되었지만, 상당한 군사 자산을 직접 통제하지 못했기 때문에 교황은 주로 외교에 의존하여 최대한의 성과를 거두었다.[19]

교황령의 설립에서 결정적인 순간은 롬바르드족 왕 리우트프란드가 교황 그레고리오 2세에게 한 ''수트리 기증''(728)에 포함된 경계에 관한 합의였다.[20]

그레고리오 1세는 나폴리 주교를 해임하고, 멜리타 주교를 강등시키고, 타렌툼, 칼리아리, 살로나의 고위 성직자를 비판하며, 주교좌에 대한 지배를 철저히 했다. 비잔틴 제국에 대해서는 일정 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종래 교황의 지도권이 미치던 일리리쿰에서는 교리에 관해서도 무력했다.

2. 2. 피핀의 기증과 프랑크 왕국과의 동맹

751년 랑고바르드족라벤나 총독부를 함락시키면서, 로마 공국동로마 제국에서 사실상 고립되었다. 교황 스테파노 2세는 랑고바르드족의 위협을 피하고자 중립을 선언하는 한편, 프랑크 왕국의 단신왕 피핀에게 비밀리에 도움을 요청했다. 교황 자카리아의 재촉을 받은 피핀은 메로빙거 왕조의 힐데리히 3세를 폐위하고 왕위에 올랐다.[45] 스테파노 2세는 이후 피핀에게 ‘로마 총독’ 칭호를 내렸다.

피핀의 기증


피핀은 754년과 756년, 군대를 이끌고 이탈리아로 진격하여 랑고바르드족을 격퇴하고, 과거 라벤나 총독부의 영토를 교황에게 기증했다. 이를 피핀의 기증이라 부른다. 781년 샤를마뉴는 교황이 다스릴 영토 범위를 성문화하여, 로마 공국을 중심으로 라벤나, 베네벤토, 토스카나, 코르시카, 롬바르디아 등 이탈리아 도시 상당수가 교황령에 편입되었다. 800년, 교황 레오 3세는 샤를마뉴에게 ‘로마 황제(Augustus Romanorum)’ 칭호를 부여하는 대관식을 거행하여, 교황과 카롤링거 왕가의 우호 관계는 최고조에 달했다.

2. 3. 신성 로마 제국과의 관계

프랑크 왕국이 분열된 후, 교황령은 신성 로마 제국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10세기 중엽, 독일 국왕 오토 1세는 이탈리아 북부를 정복하고 교황 요한 12세로부터 황제 대관을 받았다. 그 대가로 교황령의 독립을 보장했지만, 이후 2세기 동안 교황과 황제는 여러 문제로 갈등을 겪었다. 독일 국왕 및 황제들은 이탈리아에 군사력을 투입할 때 교황령을 자신의 영토처럼 취급하기도 했다.[21]

11세기 후반, 그레고리오 개혁은 교황령 행정이 황제의 간섭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에 중요한 동기를 부여했다. 호엔슈타우펜 왕가가 멸망한 후, 독일 황제들은 이탈리아 문제에 거의 간섭하지 않았다. 1177년 베네치아 조약은 교황령이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1300년경 교황령은 다른 이탈리아 공국들과 함께 실질적인 독립을 이루었다.

2. 4. 아비뇽 유수와 교황권의 쇠퇴

1305년부터 1378년까지 교황들은 프랑스 왕의 영향력 아래 프로방스에 둘러싸인 교황령 아비뇽에서 거주했다.[22] 이 시기는 "아비뇽 유수" 또는 "바빌론 유수"로 알려졌다.[23] 아비뇽 유수 동안, 지역 전제 군주들은 교황이 부재한 틈을 타 명목상 교황령 도시에서 자신들의 지위를 확립했다. 볼로냐의 페폴리, 포를리오르델라피, 파엔차의 만프레디, 리미니의 말라테스타 모두 명목상 교황에게 복종하며 교회의 대리인으로 선포되었다.

로마 자체에서는 오르시니와 콜론나가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며 도시의 구역을 분할했다. 그 결과 도시의 귀족적 무정부 상태는 1347년 인민의 호민관으로 추대된 콜라 디 리엔초의 환상적인 보편적 민주주의의 꿈을 위한 배경이 되었고, 1354년 10월 초 콜론나 가문의 지지자들에게 암살당하며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했다. 많은 사람들에게 그는 고대 로마 호민관이 부활한 것이 아니라 권력 장악을 위해 로마 부활과 재건에 대한 수사를 이용하는 또 다른 폭군이 되었다. 귀도 루지에로가 말했듯이, "페트라르카의 지원을 받더라도, 그의 최초의 시대로의 복귀와 고대 로마의 부활은 결코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다."

리엔초 사건은 부재 중인 교황청이 무너져가는 교황령에 질서를 재확립하려는 노력을 다시 불러일으켰고, 그 결과 교황 특사로 임명된 추기경 알보르노스와 그의 콘도티에리가 이끄는 소규모 용병 부대가 군사적 진전을 이루었다. 밀라노의 조반니 비스콘티 대주교의 지원을 받은 그는 비테르보의 영주 조반니 디 비코를 물리치고 리미니의 갈레오토 말라테스타, 포를리오르델라피, 우르비노몬테펠트로, 라벤나의 다 폴렌타, 세니갈리아안코나의 도시들을 공격했다. 완전한 교황 지배에 대한 마지막 저항 세력은 파엔차의 조반니 만프레디와 포를리의 프란체스코 2세 오르델라피였다. 알보르노스는 소환 직전인 1357년 4월 29일 모든 교황 대리인과의 회의에서 지역 법률의 모자이크와 축적된 전통적인 '자유'를 균일한 민법으로 대체하는 ''교황령 법전''을 공포했다. 이 ''아에기디안 헌법'' (비공식적으로 알려짐)은 교황령의 법적 역사에서 분수령을 이루었으며, 1816년까지 효력을 유지했다. 교황 우르바노 5세는 1367년 이탈리아로 돌아가려 했지만, 시기상조였고, 그는 죽기 직전인 1370년 아비뇽으로 돌아갔다.

이후 교황의 아비뇽 유수(1309년 - 1377년)가 일어나자, 교황에 의한 교황령에 대한 지배가 약해지고, 각지를 지배하는 대관이 참주(시뇨리아)로서 독립 군주처럼 행동하게 되었다.

3. 르네상스와 교황령의 재건

르네상스 시대 알렉산데르 6세율리오 2세의 통치 아래 교황령은 크게 확장되었다.[24] 이 시기 교황들은 다른 나라와 조약을 맺고 전쟁도 치르는 등 교회의 수장일 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세속 통치자 중 한 사람이었다. 당시 교황령의 많은 지역은 단지 명목상으로만 교황의 지배를 받았을 뿐, 실제로는 소규모 군주들이 다스리고 있었다. 교황들은 자신의 지배권을 확고히 하고자 군소 영주들과 크고 작은 다툼을 벌였으며, 실제로 16세기에 들어서야 교황청은 모든 영토에 대한 진정한 통제권을 확립했다.

4. 종교 개혁과 교황령의 위기

종교 개혁은 1517년에 시작되었다. 종교 개혁은 가톨릭 교회와 교황의 권위에 큰 타격을 주었다. 1527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에게 충성하는 군대는 로마를 약탈하고 교황 클레멘스 7세를 투옥했다.[25] 이로 인해 클레멘스 7세는 파르마, 모데나 및 여러 작은 영토를 포기해야 했다.[25]

5.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시대

프랑스 혁명은 가톨릭 교회와 교황령의 세속 영토에 큰 영향을 미쳤다. 1791년, 콩타 베네생과 아비뇽이 프랑스에 병합되었다.[35] 1796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끄는 프랑스군의 이탈리아 침공으로 교황령 북부 영토인 레가치오니가 점령되어 치살피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1798년, 프랑스군은 교황령의 남은 지역을 침공했고,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 장군은 로마 공화국을 선포했다. 교황 비오 6세시에나를 거쳐 프랑스 발랑스에서 망명 중 사망했다.

1799년 10월, 나폴리의 페르디난트 1세 휘하 군대가 로마 공화국을 침공하여 교황령을 복원했다. 프랑스군은 신속하게 나폴리 군을 몰아내고 교황령을 재점령했지만, 나폴리로 계속 진격하여 파르테노페 공화국을 세웠다. 1800년 6월, 프랑스 통령 정부는 점령을 공식적으로 종결하고 교황령을 복원하여 새롭게 선출된 교황 비오 7세가 로마에 거주하게 되었다. 그러나 1808년 나폴레옹 휘하의 프랑스 제1 제국이 다시 침공했고, 1809년 5월 17일, 교황령의 남은 영토가 프랑스에 합병되어 티브르 및 트라시메네 데파르트망을 형성했다.

1814년 프랑스 제1 제국이 붕괴된 후, 빈 회의는 교황령의 이탈리아 영토를 바티칸의 통제하에 복원했지만 콩타 베네생이나 아비뇽은 복원하지 않았다. 교황령에 주권이 반환되자 비오 7세는 봉건 제도를 폐지하고, 나폴레옹 점령 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폐지되었던 모든 귀족 작위를 영토 특권과 분리된 명예 작위로 전환했다.

6. 이탈리아 통일과 교황령의 소멸

19세기, 나폴레옹 시대에 싹튼 이탈리아 민족주의빈 회의 이후 오스트리아의 지배 아래 분열되었다. 1848년 유럽 전역에 걸친 혁명의 물결 속에서 1849년 로마 공화국이 선포되자, 교황 비오 9세는 로마에서 탈출해야 했다.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국내 가톨릭 여론을 의식하여 오스트리아와 함께 로마에 군대를 보내 교황의 통치를 부활시켰다. 비오 9세는 로마 귀환 후 과거의 자유주의적 성향을 버리고 더욱 억압적인 보수 정책을 펼쳤다.

이탈리아 민족주의자들은 교황령을 통일의 주요 장애물로 여겼다. 나폴레옹 3세는 사르데냐와 동맹을 맺으면서도 교황 보호를 명분으로 로마에 프랑스군을 주둔시키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다.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이후 이탈리아 북부가 사보이 왕가 아래 통합되었고, 주세페 가리발디의 천인대원정으로 양시칠리아 왕국이 무너졌다. 사르데냐는 가리발디가 남쪽에 공화정을 세울 것을 우려하여 나폴레옹 3세에게 로마를 침범하지 않는 조건으로 출병 승인을 요청했다. 1860년, 교황령 내 여러 지역에서 폭동이 일어났고, 사르데냐군은 교황령을 가로질러 남하하여 이탈리아 남부를 장악했다. 같은 해 11월, 볼로냐, 페라라, 움브리아, 마르케, 베네벤토, 폰테코르보가 이탈리아 왕국에 통합되었고, 교황령은 로마 부근의 라티움으로 축소되었다.

교황 비오 9세, 그의 치세에 교황령이 몰락하여 세속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된다.


1861년 3월, 이탈리아 의회는 로마를 통일 이탈리아의 수도로 정할 것을 결의했다. 그러나 나폴레옹 3세가 프랑스군을 로마에 주둔시켜 교황을 보호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탈리아 정부는 로마를 점령할 수 없었다. 1870년 7월,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이 발발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나폴레옹 3세는 프랑스 방어를 위해 로마 주둔군을 철수해야 했고, 스당 전투 패배로 프랑스 제2제정이 붕괴하자 이탈리아는 로마를 점령할 기회를 얻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교황의 체면을 세워주고자 이탈리아군이 교황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로마에 무혈입성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비오 9세는 이를 격렬히 거부했다. 1870년 9월 10일, 이탈리아는 교황령에 선전포고했고, 9월 11일 이탈리아군이 로마로 진격했다. 9월 19일, 이탈리아군은 로마를 포위했고, 결국 9월 20일 로마는 이탈리아군에 함락되었다. 이로써 로마와 라티움은 이탈리아 왕국에 흡수되었고, 교황령은 천년만에 멸망하였다.

이후 교황은 바티칸에 스스로 유폐되어 '바티칸의 죄수'를 자처하며 이탈리아 정부와 대립했다.

6. 1. 라테란 조약과 바티칸 시국

비오 9세는 스스로를 "바티칸의 죄수" (1870년 - 1929년)라고 칭하며, 레오 13세, 비오 10세, 베네딕토 15세 등 여러 교황들에 걸쳐 이탈리아 정부와의 협상을 거부했다. 비오 11세 시대에 이탈리아 정부와 바티칸 사이의 화해가 모색되어, 1929년에 라테란 조약이 체결되어 세계에서 가장 작은 독립국인 바티칸 시국이 성립되었다.[1]

7. 한국의 관점: 교황령과 한반도

교황령과 한반도는 직접적인 외교 관계는 없었으나, 조선 시대 천주교 전래와 박해 과정에서 간접적으로 연관되었다.

7. 1. 조선과 교황령의 관계

조선과 교황령은 직접적인 외교 관계를 맺지 않았지만, 천주교 박해 과정에서 간접적으로 관련되었다. 조선 정부는 천주교를 서학(西學)이라 하여 금지하고 신자들을 박해했다. 프랑스 선교사들은 조선에 천주교를 전파하려 노력했고, 이 과정에서 조선 정부와 갈등을 빚었다. 특히 1866년 병인박해는 프랑스 함대의 침공(병인양요)을 초래했다.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는 천주교 박해를 종교 자유 억압 사건으로 평가하며, 프랑스 선교사들의 희생을 기린다.

참조

[1] 웹사이트 Storia della Bandiera dello Stato della Città del Vaticano https://www.vatican.[...] 2000-12-31
[2] 웹사이트 Bandiera pontificia https://web.archive.[...] Estado de la Ciudad del Vaticano 2024-03-09
[3] 뉴스 Vaticano, la bandiera di Porta Pia ritorna dopo 141 anni https://www.lastampa[...] 2011-09-29
[4] 웹사이트 Inno Pontificio e la sua storia https://web.archive.[...] Statto della città del Vaticano 2021-08-26
[5] 서적 Statistica della popolazione dello Stato pontificio dell'anno 1853 https://web.archive.[...] Ministero del commercio e lavori pubblici 2018-03-01
[6] 논문 The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ligion, Tradition, and Law in Latin America https://scholarship.[...] 1995-11
[7] 웹사이트 Status Ecclesiasticus et Magnus Ducatus Thoscanae https://web.archive.[...] 2018-03-06
[8] 웹사이트 Papal States https://www.britanni[...] 2021-08-11
[9] 웹사이트 Papal States historical region, Italy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1-11-21
[10] 서적 Mitchell's geographical reader https://archive.org/[...] Thomas, Cowperthwait & Co.
[11] 간행물 States of the Church https://web.archive.[...] Robert Appleton Company 2014-07-16
[12]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Early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A&C Black 2020-09-26
[13] 웹사이트 Ostrogoths https://www.catholic[...] Catholic Online 2020-12-09
[14] 서적 The Penguin Atlas of Medieval History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20-09-26
[15] 서적 Egypt, Greece, and Rome: Civilizations of the Ancient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20-11-18
[16] 서적 The Popes and the Papacy in the Early Middle Ages: 476–752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1-18
[17] 서적 Medieval Italy : an encyclopedia. Volume 1, A to K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04
[18] 웹사이트 St. Gregory II – Saints & Angels https://www.catholic[...] Catholic Online 2020-12-09
[19] 웹사이트 Pope St. Gregory II https://www.catholic[...] Catholic Online 2020-12-09
[20] 웹사이트 Sutri https://web.archive.[...] 2012-08-27
[21] 서적 L'église au pouvoir des laïques Paris
[22] 서적 The Greenwood Dictionary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6
[23] 서적 Cengage Advantage Books: Western Civilization: Beyond Boundarie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20-11-18
[2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apal States https://web.archive.[...] Korean Minjok Leadership Academy 2013-03-07
[25] 서적 The Renaissance https://archive.org/[...]
[26] 웹사이트 Papal States in the 16th Century https://web.archive.[...] 2021-08-26
[27] 서적 The Renaissance https://archive.org/[...]
[28] 웹사이트 Il 'triumvirato rosso' https://web.archive.[...] 2021-05-29
[29] 서적 The Mediterranean in History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 2020-11-18
[30] 서적 The Pope's Soldiers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11
[3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ontifical Swiss Guard https://web.archive.[...] 2016-08-30
[32] 서적 L'Esercito Pontificio da Castelfidardo a Porta Pia Intergest
[33] 서적 The Pope's Legion: The Multinational Fighting Force that Defended the Vatican Palgrave Macmillan
[34] 성경 마태복음 16.18-19 신공동역
[35] 문서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1803
[36] 서적 森田 イタリア史
[37] 웹사이트 世界の歴史まっぷ 教皇領 https://sekainorekis[...]
[38] 서적 森田 イタリア史
[39] 웹인용 Storia della Bandiera dello Stato della Città del Vaticano https://www.vatican.[...] 2000-12-31
[40] 웹인용 Bandiera pontificia https://web.archive.[...] Estado de la Ciudad del Vaticano 2024-03-09
[41] 영상인용 Vaticano, la bandiera di Porta Pia ritorna dopo 141 anni https://www.lastampa[...] 2011-09-29
[42] 웹인용 Inno Pontificio e la sua storia https://web.archive.[...] Statto della città del Vaticano 2021-08-26
[43] 서적 Mitchell's geographical reader http://books.google.[...] Thomas, Cowperthwait & Co
[44] 웹인용 Sutri http://www.romeartlo[...] 2012-08-27
[45] 논문 L'église au pouvoir des laïques Par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