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섬은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에 위치한 특정도서로, 모밀잣밤나무가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림이며 남해안 식물대와 해조류 군집의 전형을 보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특정도서는 생물다양성 보전, 해양 영토 주권 강화, 지속가능한 이용을 목표로 지정되며, 2019년까지 257개의 섬이 지정되어 있다.
진섬은 모밀잣밤나무가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림으로, 식물구계학적으로 남해안 식물대를 대표하며, 남해안 해조류 군집의 전형을 보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지정번호는 제55호이며, 면적은 164,107m2이고,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월양리 산372에 위치한다.
2. 특정도서 지정 현황
2019년 12월 23일까지 259개의 섬이 특정도서로 지정되었으며, 그 중 2개가 해제되어 현재 257개가 지정되어 있다.
2. 1. 광역지방자치단체별
2. 1. 1.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관할의 섬은 '''남형제도''', '''북형제도''', '''생도''' 등이 있다.
2. 1. 2. 인천광역시
진섬은 인천광역시에 속하는 여러 섬들을 포함한다. 이 섬들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1. 3. 경기도
2. 1. 4. 충청남도
곳도, 나무섬(상목도), 나무섬(하목도), 납작도, 대길산도, 대청도, 동격렬비도, 묘도, 무명도2, 변도, 북격렬비도, 서격렬비도, 석도, 소길산도, 솔섬, 아랫노랑이섬, 오도, 오력도, 옥도, 외횡견도, 윗노랑이섬, 중수도, 질마도, 추도(기름암 포함), 횡견도, 흑어도 등
2. 1. 5. 전라북도
내조도, 달루도, 대형제도, 딴정금도, 보농도, 석도, 세항도, 소횡경도, 십이동파도, 외조도, 외치도(큰딴치도), 횡경도
2. 1. 6. 전라남도
모밀잣밤나무가 분포하여 식물구계학적으로 남해안 식물대를 대표하며, 남해안 해조류 군집의 전형을 보여주어,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가덕도 (여수시), 가덕도 (완도군), 각거도, 각흘도 (진도군), 갈도, 갈마도, 갈매기섬, 갈매섬, 개린도, 고여 (경호동), 고여 (화정면), 곡두도, 골도, 구도 (신안군), 구도 (완도군), 국흘섬(국혈도), 납태기도(서대기도), 내매물도, 다라도, 다라지도(낙타섬), 대마도, 대병풍도, 대사도, 대삼도, 대섬, 대술개도, 대정섬, 대칠기도, 대항도, 두리도, 둔북섬, 매물도, 매섬, 목도, 문어남도, 문어북도, 밀매도, 바람막이도, 밖다리섬, 밖목섬, 백야도, 법고섬, 병풍도, 보든아기섬, 복생도, 부남섬, 부도 (여수시), 불근도, 불무기도, 비도 (완도군), 상방고도, 섬어두지(어두도), 소다랑도, 소덕우도, 소사도(거북섬), 소송도 (여수시), 소연포초도, 소정섬, 소칠기도, 소평여도, 소허사도, 소화도, 솔섬, 송도 (금일읍), 송도 (생일면), 송도 (해남군), 아랫돈배섬, 안매도, 안목섬, 역도, 오도 (신안군), 외엽산도(무명도), 왼섬, 원도2(두롱섬), 원도, 육각도, 육산도, 잠도, 장구도, 장구섬, 재도, 저도, 족도, 죽도 (신안군), 죽도 (여수시), 중갈매기섬, 중결도, 중방고도, 중칠기도, 중화도, 지마도, 진목도, 진섬, 진지외도, 탄항도, 토도, 하방고도, 해1도, 해2도, 행금도, 혈도 (완도군), 형제도, 형제도1, 호감섬, 화도, 흰여
2. 1. 7. 경상북도
독도는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6번지에 위치해 있다.
2. 1. 8. 경상남도
경상남도에는 갈도(갈곳도), 갈도쌍여, 갈산도1, 갈산도2, 고도, 곰섬(웅도), 네바위, 녹운도, 농가도, 대구을비도, 대병대도, 대혈도, 대호도, 돌거칠리도, 등대섬, 딴독섬, 마도, 마안도, 막도, 목도(부도), 문래섬, 백사도, 사도, 상비사도, 상장도, 샛개끝, 세존도, 소구을비도, 소다포도, 소덕도, 소마도, 소목과도, 소병대도, 소지도, 소첨도, 소초도, 소치도, 소치섬, 솔섬(악도), 솔여도, 송도, 악도(장구섬), 안거칠리도, 어유도, 오동도, 외부지도, 우무섬(우무도), 윗대호섬, 자사리제도(5), 장도, 적도, 좌사리도(자사리도), 죽암도(미도), 채도, 춘복도(충복도), 토도(토끼섬), 하비사도, 하서도(수렁여), 학섬(학도), 향기도, 혈도, 홍도 등의 섬이 있다.
2. 1. 9. 제주특별자치도
진섬은 역사적으로 보론섬, 수령섬, 염섬, 직구도, 청도, 흑검도 등으로도 불렸다.
3. 특정도서 지정의 의의
3. 1. 생물다양성 보전
3. 2. 해양 영토 주권 강화
3. 3. 지속가능한 이용
4. 관련 법률
5. 향후 과제
5. 1. 지속적인 조사 및 모니터링
5. 2. 지역 사회와의 협력 강화
5. 3. 국민 인식 제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