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첩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첩선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특별히 건조된 선박으로, 초기에는 화물선이 개조되어 사용되었으며 냉전 시대에 들어서면서 주요 강대국들이 운용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통신 도청, 적 함대 감시, 핵 실험 및 미사일 발사 감시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특히 잠수함의 소음 패턴을 수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간첩선은 일반적으로 국제 해역에서 활동하며, 전자 장비를 통해 해상 및 항공 교통, 라디오 및 레이더 주파수를 감시하고 암호화된 통신을 해독하려 시도한다. 주요 국가로는 미국, 소련/러시아, 중국 등이 있으며, 각국은 다양한 종류의 간첩선을 운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첩보 기술 - 방첩
방첩은 적대 세력의 스파이 활동, 파괴 행위, 전복, 테러 등을 방지하고 무력화하는 활동이며, 수사, 작전, 정보 수집, 분석 등을 통해 자국 내 취약점을 파악하고 적대 세력의 시도를 차단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 첩보 기술 - 방범
방범은 개인, 지역사회, 국가 차원에서 범죄를 예방하고 사회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활동으로, 물리적/사회적 환경 개선, 기술 활용 시스템 도입, 제도적 노력, 홍보 활동 등을 포함한다. - 첩보 - 방첩
방첩은 적대 세력의 스파이 활동, 파괴 행위, 전복, 테러 등을 방지하고 무력화하는 활동이며, 수사, 작전, 정보 수집, 분석 등을 통해 자국 내 취약점을 파악하고 적대 세력의 시도를 차단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 첩보 - 공개출처정보
공개출처정보(OSINT)는 특정 정보 요구 사항 해결을 위해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정보로부터 정보를 수집, 활용 및 배포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양한 정보원과 방법론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국가 정보기관, 민간 부문 등에서 활용한다. - 선박의 종류 - 소방선
소방선은 해상 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설계된 선박이며, 방수총, 소화 설비 등을 갖추고 항만, 하천 등에서 운용되며, 대한민국에서는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24시간 선박 및 연안 화재, 수난구조 등에 출동한다. - 선박의 종류 - 프리깃
프리깃은 대항해시대의 빠른 범선 군함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대잠전, 대공 방어,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유도 미사일과 헬리콥터 등을 탑재하여 각국 해군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간첩선 | |
---|---|
개요 | |
유형 | 군함 |
역할 | 정보 수집 |
상세 정보 | |
설명 |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 |
2. 역사
간첩선은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운용되는 특수 선박을 의미한다. 초기에는 상선이나 어선 등을 개조하여 정보 수집 활동에 투입하는 방식도 있었으나,[2][3] 정보 수집 임무만을 위해 특별히 건조된 현대적 의미의 간첩선은 냉전 시기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주요 강대국들을 중심으로 운용되며 발전해왔다.
간첩선과 유사한 임무를 수행하는 함선으로는 탄도 미사일이나 로켓 발사를 추적·감시하는 미사일 추적함, 잠수함의 음향 정보 수집을 수행하는 음향 측정함, 해양 관측을 수행하는 해양 관측함, 측량함 등이 있다.
2. 1. 초기 역사
초기 형태의 간첩선은 상선이나 어선 등을 개조하여 정보 수집 활동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민간 화물선 USS 골드 스타를 들 수 있다. 이 배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화물과 승객을 싣고 일본 제국, 중국, 필리핀 등지를 자주 오갔다.[2] 1933년부터는 기지 선박으로 지정되어, 통신 감청 요원 3명과 무선 통신 주임 1명이 장교의 감독 아래 일본 해군의 내부 통신 주파수 감청 및 방향 탐지 활동을 수행했다. ''골드 스타''와 지상 기지는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 공격 이전에 상당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정보 수집 임무만을 위해 특별히 건조된 현대적 의미의 간첩선은 냉전 초기에 등장했으며, 이후 모든 주요 강대국에서 운용하고 있다. 이들 간첩선은 통신 도청이나 적 함대의 이동 감시 외에도 핵 실험과 미사일 발사, 특히 잠재적인 ICBM 발사를 감시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특히 1960년대 냉전 시기 간첩선 함대의 중요한 임무 중 하나는 잠수함의 고유한 소음 패턴, 즉 "신호"를 수집하는 것이었다. 이는 특정 종류의 잠수함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어 대잠수함 작전에 매우 유용했다. 당시 미국은 약 80척의 간첩선을 운용했는데, 이들은 종종 "환경 연구" 선박으로 분류되었다. 소련 역시 약 60척의 간첩선을 보유했으며, 이는 주로 개조된 트롤 어선이나 수로 조사 선박 형태였다.[4]
1980년대 후반에는 소련의 어업 함대가 주목받았다. 수천 척에 달하는 이들 선박에는 정교한 SIGINT 및 ELINT 장비가 장착되어, 서방 해군 선박과 전자 통신을 추적하는 보조적인 간첩선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이들 선박의 주된 기능은 여전히 상업적인 어업 활동이었다.[5]
2. 2. 냉전 시대
현대적인 의미의 정보 수집 전용 간첩선은 냉전 초기에 등장하여 모든 주요 강대국에서 사용되었다. 이들 함선은 단순히 통신을 도청하고 적 함대의 이동을 감시하는 것을 넘어, 핵 실험과 미사일 발사, 특히 잠재적인 ICBM 발사를 감시하는 임무를 수행했다.특히 1960년대 냉전 시기 간첩선 함대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잠수함의 "신호" - 즉, 특정 유형의 잠수함을 식별할 수 있는 소음 패턴을 수집하는 것이었다. 이는 대잠수함 작전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였다. 당시 미국은 약 80척의 관련 선박을 운용했는데, 이들은 종종 "환경 연구" 선박으로 위장했다. 반면 소련은 약 60척의 선박을 보유했으며, 이들은 주로 개조된 트롤 어선이나 수로 조사 선박 형태를 띠었다.[4]
1960년 미국 해군이 탄도 미사일 잠수함을 배치하기 시작하자, 소련은 UGM-27 폴라리스 미사일의 성능과 이를 탑재한 잠수함의 위치 파악에 더욱 집중했다. 소련 해군은 더 정교한 함정을 원했지만, 실제로는 정교한 센서와 통신 장비를 갖춘 어선, 이른바 траулеры|트라울레리ru가 이 임무에 투입되었다. 외관상 평범한 이 어선들에는 매우 유능한 승무원이 배치되었다. 이들은 미국 해군 기지 외곽에 배치되어 미국 군함과 보조 함정의 출입을 사진으로 촬영하고 보고했다. 또한, 유사한 외형의 다른 어선들은 미국 해군이 현대 무기 시험 발사를 하는 해역을 순찰하며 각 무기 시스템의 소나, 수색 레이더, 사격 통제 레이더, 유도 및 지휘 전자 장치의 음향 및 전자기 신호를 기록했다.[10] 미국 해군은 이 소련 선박들을 공식적으로 보조 일반 정보함(Auxiliary, General Intelligence, AGI)으로 분류했으며, 비공식적으로는 "밀고자(tattletales)"라고 불렀다.[11]
AGI는 한 번의 임무에 최대 6개월 동안 특정 해역에 머물렀다. 이 배들은 대부분의 군함보다 느렸지만, 때로는 지중해의 미국 제6함대나 서태평양의 미국 제7함대 소속 항공모함 주변, 또는 탄도 미사일 잠수함의 예상 순찰 경로에 모여들어 항공 작전을 감시하기도 했다.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미국 합동참모본부는 'AGI 대응 프로그램'을 승인했다. 이 프로그램에 따라 미국 구축함들은 AGI에 접근하여 충돌 위협을 가하거나, 강철 그물을 던져 프로펠러를 엉키게 하고, 고출력 전자기파를 방사하여 전자 센서를 무력화시키는 등의 작전을 펼쳤다. 이에 맞서 AGI 승무원들은 뛰어난 조함술로 구축함의 방해를 회피하기도 했다. 이러한 공해상에서의 위험한 대치는 1972년 미국-소련 해상 사건 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계속되었다.[10]
1972년, 미국과 영국이 공동으로 운영하던 레이더 기지 코브라 미스트는 많은 소련 첩보 어선들의 주요 감시 대상이 되었다.[12] 그러나 이 레이더 기지는 운영 1년 만에 원인 불명의 심각한 간섭 문제로 폐쇄되었는데, 일각에서는 소련의 전자 방해 공작이 원인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13]
1980년대 후반에는 소련의 방대한 어업 함대 중 수천 척이 정교한 SIGINT 및 ELINT 장비를 탑재하여 서방 해군 함정과 전자 통신을 추적하는 보조 간첩선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이 선박들의 주된 목적은 여전히 상업적 어업 활동이었다.[5]
냉전 시대의 간첩선들은 주로 전자전의 일환으로 SIGINT, ELINT, COMINT 수집과 같은 전자 정보 수집 임무를 수행했다. 이는 전자 정찰기와 유사한 임무지만, 함선은 항공기보다 장기간 감시가 가능하고 지표파 수집 능력에서 우위를 가진다. 간첩선은 정찰 위성, 정찰기와 연계하여 타국의 정보를 수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평시에도 간첩선은 활발히 활동하며, 적국의 레이더 기지의 전파 도달 거리를 측정하여 방공 능력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었다. 타국의 정보 수집함이 자국 연안에 나타나면, 해당 국가는 레이더 주파수나 탐지 거리 등 민감한 전자 정보를 숨기기 위해 레이더 가동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았다. 때로는 정보 수집함이 의도적으로 항공기를 저공 침투시켜 상대국을 스크램블 상태로 유도함으로써 방공 능력을 노출시키기도 했다. 이처럼 간첩선은 평시부터 이루어지는 정보전의 강력한 수단이었다.
2. 3. 냉전 이후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내용을 뒷받침할 정보가 부족합니다.)3. 운용 방식
간첩선은 일반적으로 특정 국가의 영해를 직접 침범하지 않고 국제 해역[6][7]에 머물며 활동한다. 이곳에서 전자 장비를 활용하여 해상 및 항공 교통 정보, 라디오 및 레이더[4] 주파수, 통신 내용 등을 감시하고 수집하는 것이 주된 운용 방식이다.[8][9] 이러한 활동은 평시에도 이루어지며, 정보전의 일환으로 수행된다. 간첩선은 감시 대상에 가까이 접근할 수 있다는 이점을 활용하여 때로는 고정 시설이나 정찰 위성보다 더 효율적인 정보 수집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해군 소속이지만 실제 운용은 정보 기관이 담당하는 경우도 있으며, 임무에 따라 다른 군 인력이 탑승하기도 한다.
3. 1. 정보 수집 방법

간첩선은 주로 국제 해역[6][7], 즉 특정 국가의 영해 밖에 머물면서 정보를 수집한다. 이는 영토 국경을 직접 침범하지 않으면서 활동하기 위함이다. 정보 수집 방식은 크게 수동적인 방법과 능동적인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수동적 정보 수집은 주로 전자 장비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해상 및 항공 교통 정보, 라디오 및 레이더[4] 주파수를 감시하고, 암호화된 라디오 또는 전화 통신을 가로채 해독을 시도한다. 이러한 활동에는 라디오 수신기나 수동 음파 탐지기 등이 사용된다.
능동적 정보 수집은 항공기, 미사일, 선박 또는 기타 차량이나 병력의 움직임을 탐지하기 위해 레이더나 음파 탐지기를 직접 사용하는 방식이다.[8][9] 하지만 이 경우, 전파나 음파를 방출하기 때문에 간첩선 자체의 위치나 목적이 드러날 위험이 있다.
간첩선은 감시 대상 지역의 고정된 시설보다 훨씬 가까이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수집의 효율성이 높다. 특정 상황에서는 정찰 위성보다 더 효과적인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추적 선박 또한 첩보선의 일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자국 정부에 의해 관리되기 때문에 적의 미사일 시험을 추적하는 등 유사한 목적으로 간헐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간첩선의 주요 임무는 시긴트(SIGINT), 엘린트(ELINT), 코민트(COMINT) 수집과 같은 전자전 수행이다. 이는 전자 정찰기와 유사한 임무지만, 함선은 항공기보다 장기간 동안 한 지역에 머물며 감시할 수 있고, 지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지표파 수집 능력에서 우위를 가진다. 간첩선은 정찰 위성, 정찰기와 함께 운용되어 타국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하는 데 활용된다.
비무장인 경우도 많지만, 한 국가의 해군에 소속된 군함이며 해군 군인의 지휘 하에 있다. 다만, 실제 운용은 정보 기관이 수행하거나 해군이 아닌 정보 기관 직속인 경우도 있다. 또한, 탄도 미사일 추적 등 임무에 따라 공군 군인이 탑승하는 경우도 있다.
평시에도 간첩선은 활발히 활동한다. 예를 들어, 적국의 레이더 기지에서 발신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국가의 방공 능력을 파악할 수 있다. 만약 특정 국가의 연안 해역에 타국의 간첩선이 나타나면, 해당 국가는 레이더 주파수나 탐지 거리 등의 전자 정보 노출을 막기 위해 레이더 가동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간첩선 운용 국가는 의도적으로 자국 항공기를 저공으로 침투시켜 상대방의 스크램블(긴급 발진)을 유도함으로써 방공 능력을 노출시키기도 한다. 이처럼 간첩선은 평시 정보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유사한 임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탄도 미사일이나 로켓 발사를 추적·감시하는 미사일 추적함, 잠수함의 음향 정보 수집을 수행하는 음향 측정함, 해양 관측을 수행하는 해양 관측함, 측량함 등이 있다.
3. 2. 위장
간첩선은 자신의 정체와 정보 수집 목적을 숨기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위장하여 활동한다. 대표적으로 국제 해역[6][7]이나 대상 국가의 영해 밖에 머무르며 활동하는데, 이는 합법적인 해상 활동처럼 보이게 하여 의심을 피하고 국경 침범 문제를 회피하기 위함이다.정보 수집 방식 또한 은폐에 중점을 둔다. 주로 라디오 수신기나 수동 음파 탐지기와 같은 수동적 전자 장비를 사용하여 해상 및 항공 교통 정보, 라디오 및 레이더[4] 주파수를 감시하고 암호화된 통신을 가로채 해독하려 시도한다. 이러한 수동적 방식은 간첩선 자신의 전파 방출을 최소화하여 탐지될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적인 위장 수단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항공기, 미사일, 선박 등의 움직임을 탐지하기 위해 레이더나 능동 음파 탐지기를 사용하기도 하지만,[8][9] 이는 전파나 음파를 방출하여 간첩선의 존재와 목적을 드러낼 위험이 크기 때문에 신중하게 사용된다.
또한, 공식적으로는 다른 임무를 수행하는 선박을 위장에 활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탄도 미사일이나 로켓 발사를 추적하는 미사일 추적함, 잠수함의 음향 정보를 수집하는 음향 측정함, 해양 관측 임무를 수행하는 해양 관측함이나 측량함 등이 본래 임무를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면서 실제로는 정보 수집 활동을 병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간첩 활동을 합법적인 연구나 조사 활동으로 위장하는 전략이다.
4. 주요 국가별 간첩선
간첩선은 주로 시긴트(SIGINT), 엘린트(ELINT), 코민트(COMINT) 수집과 같은 전자전 임무를 수행한다. 이는 전자 정찰기와 유사한 임무이지만, 함선은 항공기보다 장기간 감시가 가능하고 지표파 수집 능력에서 우위를 가진다. 간첩선은 정찰위성, 정찰기와 연계하여 타국의 정보를 수집하는 데 활용된다.
대부분의 간첩선은 비무장 상태인 경우가 많지만, 해당 국가의 해군에 소속된 정식 군함이며 해군 군인의 지휘를 받는다. 다만 실제 운용은 정보기관이 맡거나, 해군이 아닌 정보기관 직속으로 운영되기도 한다. 또한, 탄도 미사일 추적과 같은 특정 임무를 위해 공군 군인이 탑승하는 경우도 있다.
간첩선은 평시에도 활발하게 활동한다. 예를 들어, 적국의 레이더 기지의 전파 도달 거리를 측정하여 방공 능력을 파악할 수 있다. 만약 타국의 정보 수집함이 자국 연안 해역에 나타나면, 해당 국가는 레이더 주파수나 전파 거리 등의 전자 정보를 숨기기 위해 레이더 가동을 중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스크램블을 유도하여 방공 능력을 노출시키도록 만들기도 한다. 이처럼 간첩선은 평시 정보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유사한 임무를 수행하는 함선으로는 탄도 미사일이나 로켓 발사를 추적·감시하는 미사일 추적함, 잠수함의 음향 정보를 수집하는 음향측정함, 해양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해양관측함, 해저 지형 등을 측정하는 측량함 등이 있다. 이러한 함선들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정보 수집 및 감시 임무를 수행하며, 미국, 러시아, 중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종류의 정보 수집 및 특수 임무 함선을 운용하고 있다.
4. 1. 미국
미국 해군은 냉전 시기부터 다양한 종류의 정보 수집 및 정찰 임무를 수행하는 함선들을 운용해왔다. 이들 중 일부는 기술 조사함(AGTR)이나 환경 조사함(AGER)으로 분류되었으며, 특히 환경 조사함 명칭은 실제 임무를 위장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했다. 대표적인 예로 리버티호(AGTR-5)와 푸에블로호(AGER-2)가 있다. 리버티호는 기술 조사 임무 중 이스라엘 군에 의해 피격되었고, 푸에블로호는 환경 조사를 명목으로 활동하다 북한에 나포되었다.
다음은 미국 해군이 운용한 주요 정보 수집 관련 함선 목록이다.
함선명 | 함번 | 비고 |
---|---|---|
옥스퍼드 | AGTR-1 | 기술 조사함 |
조지타운 | AGTR-2 | 기술 조사함 |
제임스타운 | AGTR-3 | 기술 조사함 |
벨몬트 | AGTR-4 | 기술 조사함 |
리버티 | AGTR-5 | 기술 조사함 (1967년 피격) |
배너 | AGER-1 | 환경 조사함 (위장 명칭) |
푸에블로 | AGER-2 | 환경 조사함 (위장 명칭, 1968년 나포) |
팜 비치 | AGER-3 | 환경 조사함 (위장 명칭) |
프라이빗 호세 F. 발데즈 | T-AG-169 | |
LT. 제임스 E. 로빈슨 | T-AG-170 | |
Sgt. 조셉 E. 뮬러 | T-AG-171 | |
스핑크스 | ARL-24 | 상륙정 수리함 (정보 수집 임무에도 투입) |
4. 2. 소련/러시아
미국 해군이 1960년대에 탄도 미사일 잠수함을 배치하기 시작하자, 소련은 UGM-27 폴라리스 미사일의 성능과 발사 잠수함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소련 해군은 정교한 함정 대신, 향상된 센서와 통신 장비를 갖춘 어선 형태의 선박, 이른바 '트롤선'(trawler)을 정보 수집 임무에 투입했다. 겉보기에는 평범한 이 어선들에는 매우 유능한 승무원이 배치되었다.[10]이 선박들은 미국 해군 기지 외곽에 머물며 미군 함정과 보조 함정의 출입을 사진으로 기록하고 보고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또한, 미국 해군이 무기 시험을 진행하는 해역을 순찰하며 각 무기 시스템의 소나, 수색 레이더, 사격 통제 레이더, 유도 및 지휘 체계에서 발생하는 음향 및 전자기 신호를 수집했다.[10] 미국 해군은 이 선박들을 공식적으로 '보조 일반 정보함'(Auxiliary, General Intelligence, AGI)으로 분류했으며, 비공식적으로는 "밀고자"(tattletales)라고 불렀다.[11]
AGI는 한 번의 임무에 최대 6개월 동안 특정 해역에 머물렀다. 속도가 느려 대부분의 군함을 따라잡기는 어려웠지만, 때로는 지중해의 미국 제6함대나 서부 태평양의 미국 제7함대 소속 항공모함 전투단 근처나 탄도 미사일 잠수함의 예상 활동 구역에 모여 항공 작전 등을 감시하기도 했다.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미국 합동참모본부는 'AGI 대응 프로그램'을 승인하여 미국 구축함이 AGI에 접근해 밀어내거나, 강철 그물로 프로펠러를 얽거나, 고출력 전자기파를 방사하여 전자 센서를 무력화시키는 등의 작전을 펼쳤다. 그러나 AGI 승무원들은 뛰어난 조함 능력으로 이러한 방해를 회피하기도 했다. 이러한 공해상에서의 신경전은 1972년 미국-소련 해상 사건 협정이 체결되면서 일단락되었다.[10]
1972년, 미국과 영국이 공동으로 운영하던 레이더 기지 코브라 미스트는 다수의 소련 첩보 어선들의 주요 감시 대상이 되었다.[12] 이 기지는 운영 1년 만에 원인 불명의 간섭 문제로 폐쇄되었는데, 일각에서는 소련의 전자 방해 공작이 원인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13]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 해군은 이러한 정보 수집 능력을 계승하여 다수의 정보 수집함을 운용하고 있다.
다음은 소련 및 러시아 해군이 운용했거나 운용 중인 주요 정보 수집함 목록이다.
- 참고: 러시아 해군 함정 목록#특수 목적 함선
4. 3. 중국
- 중국 해군은 다음과 같은 간첩선 및 정보 수집함을 운용하고 있다.
- 813형 첩보선
- 814A형 첩보선
- 815형 첩보선
- 위안왕급 추적선
- 옌빙급 정보 수집함
- 둥탸오급 정보 수집함
- 다디에급 정보 수집함
- 샹양홍급 정보 수집함
- 분투급 해양 조사선
- 관찰급 해양 조사선
4. 4. 일본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4. 5. 기타 국가
- '''아르헨티나 해군'''
- * Narwal
- '''중국 해군'''
- * 813형 첩보선
- * 814A형 첩보선
- * 815형 첩보선
- * 위안왕급 추적선
- * 옌빙급 정보 수집함
- * 둥탸오급 정보 수집함
- * 다디에급 정보 수집함
- * 샹양홍급 정보 수집함
- * 분투급 해양 조사선
- * 관찰급 해양 조사선
- '''핀란드 해군'''
- * Kustaanmiekka (퇴역)
- '''프랑스 해군'''
- * 뒤피 드 롬 (A759)
- '''독일 해군'''
- * 오스테급
- '''인도 해군'''
- * INS Anvesh
- * INS Dhruv[14]
- '''이탈리아 해군'''
- * Elettra (A5340)
- '''노르웨이 해군'''
- * ''Marjata'' (1992)[15][16]
- * ''Marjata'' (2014)[17]
- '''파키스탄 해군'''
- * PNS Rizwan[18]
- '''폴란드 해군'''
- * ORP Nawigator
- * ORP Hydrograf
- * ORP Henryk Zygalski[19]
- '''러시아 해군''' (및 소련 해군)
- * 참고: 러시아 해군 함정 목록#특수 목적 함선
- * 프리모리예급
- * 발잠급
- * 유리 이바노프급
- * 비슈냐급
- * 얀타르[20]
- * 카푸스타급 정보 수집함
- * 마셜 네델린급 미사일 추적함
- * 프로젝트 394B 정보 수집함
- * 밤부크급 정보 수집함
- * 모마급 정보 수집함
- * 알피니스트급 정보 수집함
- * 오케안급 정보 수집함
- * 우랄
- * 18280형 (건조 중)
- '''스페인 해군'''
- * Alerta
- '''스웨덴 해군'''
- * HSwMS Artemis
- * HSwMS Orion (A201)
- * HSwMS Carlskrona (P04) (정보 수집 임무 수행)
- '''터키 해군'''
- * TCG Ufuk
- '''우크라이나 해군'''
- * A505 ''Simferopol''
- * A512 ''Pereyaslav''
- '''미국 해군'''
- * 옥스퍼드급 기술연구함 (AGTR)
- ** USS Oxford (AGTR-1)
- ** USS Georgetown (AGTR-2)
- ** USS Jamestown (AGTR-3)
- ** USS Belmont (AGTR-4)
- ** USS Liberty (AGTR-5)
- * 배너급 환경연구함 (AGER) - "환경 연구"는 위장 명칭
- ** USS Banner (AGER-1)
- ** USS Pueblo (AGER-2)
- ** USS Palm Beach (AGER-3)
- * 볼스터급 구난함 개조 정보수집함 (T-AG)
- ** USNS Private Jose F. Valdez (T-AG-169)
- ** USNS Lt. James E. Robinson (T-AG-170)
- ** USNS Sgt. Joseph E. Muller (T-AG-171)
- * 기타
- ** USS Sphinx (ARL-24) (상륙정 수리함으로 분류되었으나 정보 수집 임무 수행)

5. 한국의 관점
간첩선은 시긴트(SIGINT), 엘린트(ELINT), 코민트(COMINT) 수집 임무를 수행하며, 주로 전자 정보 수집과 같은 전자전을 담당한다. 전자 정찰기와 거의 동일한 임무를 수행하지만, 함선은 항공기보다 장기간 감시 능력이나 지표파 수집 능력에서 더 우수하다. 간첩선은 정찰 위성, 정찰기와 연계하여 다른 국가의 정보를 수집하는 데 활용된다.
간첩선은 비무장인 경우도 많지만, 일반적으로 특정 국가의 해군에 소속된 군함이며 해군 군인의 지휘를 받는다. 그러나 실제 운용은 정보 기관이 맡거나, 해군이 아닌 정보 기관 직속으로 운영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탄도 미사일 추적과 같은 특정 임무 수행을 위해 공군 군인이 탑승하기도 한다.
간첩선은 평시에도 활동하며, 적국의 레이더 기지에서 발신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국가의 방공 능력을 파악할 수 있다. 만약 타국의 정보 수집함이 자국 연안 해역에 나타나면, 해당 국가는 레이더 기지의 주파수나 전파 거리 등의 전자 정보를 숨기기 위해 레이더 작동을 중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항공기를 저공으로 침투시켜 해당 국가를 스크램블 상태로 유도하면 방공 능력이 노출될 수 있다. 이처럼 정보 수집함은 평시부터 이루어지는 정보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도구이다.
유사한 임무를 수행하는 함선으로는 탄도 미사일이나 로켓 발사를 추적하고 감시하는 미사일 추적함, 잠수함의 음향 정보를 수집하는 음향 측정함, 해양 환경을 관측하는 해양 관측함, 해저 지형 등을 측정하는 측량함 등이 있다.
참조
[1]
뉴스
Suspected Spy Ship Salvaged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2018-01-31
[2]
서적
USS Gold Star - Flagship of the Guam Navy
http://www.usni.org/[...]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roceedings
2012-05-24
[3]
웹사이트
The Origination and Evolution of Radio Traffic Analysis - The Period between the Wars
http://www.nsa.gov/p[...]
National Security Agency
2014-06-04
[4]
간행물
The Ferret Fleets
http://www.time.com/[...]
2018-01-31
[5]
논문
Moscow's South Pacific Fishing Fleet Is Much More Than It Seems
http://www.heritage.[...]
The Heritage Foundation
1988-09-06
[6]
뉴스
Legislative group says fishermen are spying for Beijing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03-08-16
[7]
뉴스
Spy Ship Off L.I. Awaits Trident Sub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2018-01-31
[8]
뉴스
Soviet Spy Ship Waiting to Observe Trident Test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2018-01-31
[9]
뉴스
Don't Arm Serbs, US Warns
http://news.bbc.co.u[...]
BBC
2018-01-31
[10]
웹사이트
Cold War Warriors: Spy Ships - Theirs and Ours
http://www.emmitsbur[...]
Emmitsburg News-Journal
2016-09-14
[11]
논문
Their Tattletales (Our Problems)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12]
웹사이트
The eerie emptiness of 'Britain's Area 51'
https://www.bbc.com/[...]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Future
2023-01-09
[13]
웹사이트
The eerie emptiness of 'Britain's Area 51'
https://www.bbc.com/[...]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Future
2023-01-09
[14]
뉴스
India commissions secretive nuclear missile tracking vessel
https://economictime[...]
2021-03-16
[15]
뉴스
Norge får to spionskip - satser store summer på "Eger"
https://www.vg.no/ny[...]
VG
2017-10-19
[16]
뉴스
Spy ship changes name and continues intelligence mission
https://thebarentsob[...]
The Independent Barents Observer
2017-10-19
[17]
뉴스
New spy vessel to keep track with "unpredictable" Russia
http://barentsobserv[...]
Barentsobserver
2017-10-19
[18]
웹사이트
Pakistan gets spy ship from China to track ballistic missiles
https://thenewsmill.[...]
2024-03-18
[19]
웹사이트
Ruszyła budowa 2. okrętu rozpoznania elektronicznego dla Marynarki Wojennej
https://www.bbn.gov.[...]
2024-07-30
[20]
뉴스
Russian Ships Near Data Cables Are Too Close for U.S. Comfort
https://www.nytimes.[...]
2015-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