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릉선 KTX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릉선 KTX는 서울역과 강릉역을 잇는 KTX 노선으로, 2017년 경강선 KTX로 운행을 시작하여 2018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중앙선 서원주역에서 영동선 강릉역까지 준고속선로를 사용하며, KTX-이음 열차가 시속 250km/h로 운행한다. 2020년 정동진, 동해역까지 노선이 연장되었으며, 2023년에는 중앙선 KTX와 복합열차 운행을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강선 - 수도권 전철 경강선
    수도권 전철 경강선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총 57.0km의 노선으로, 12개의 역을 가지고 있으며, 2016년 성남~여주 구간이 개통되었고, 2024년 성남역이 개통되었으며, 4량 편성의 전동차가 운행되고, 2029년부터 월곶-판교선과 직결 운행될 예정이다.
  • 경강선 - 남강릉신호장
    남강릉신호장은 2017년 10월 2일에 신설된 신호장이다.
  • 한국고속철도 - 경부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는 서울과 부산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90년 건설 계획 결정 후 3단계에 걸쳐 건설되어 2015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프랑스 TGV 기술 도입으로 서울-부산 간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KTX 열차 운행을 통해 전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핵심 교통망이 되었다.
  • 한국고속철도 - 호남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는 수도권과 호남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노선으로, 오송역에서 분기하여 공주, 익산, 정읍, 광주송정, 나주, 목포역을 경유하며, 건설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과 지역 갈등을 겪었고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동시에 사회적 문제도 야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ITX-새마을
    ITX-새마을은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중앙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며, 2013년에 총 23편성이 도입되었다.
강릉선 KTX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노선 이름강릉선 KTX
로마자 표기Gangneungseon KTX
한자 표기江陵線 KTX
노선 길이 (서울 - 강릉)223.2km
노선 길이 (서울 - 동해)259.9km
최고 영업 속도250km/h
역 개수15
궤간1,435mm
노선 종류고속철도
노선 번호(미정)
기점행신역
종점강릉역
동해역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노선 체계KTX
노선 경로경의선
경부선
경원선
중앙선
경강선
영동선
개통일2017년 12월 22일
전철화 방식가공전차선, 교류 25,000V
선로2
기타 정보
신호 방식ATS, ATP

2. 연혁

2017년 12월 22일, 경강선 개통과 함께 경강선 KTX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2018년 4월 16일, 명칭을 강릉선 KTX로 변경하였다. 2020년 3월 2일에는 강릉삼각선이 완공되어 정동진을 경유하여 동해역까지 가는 노선이 신설되었다. 2021년 8월 1일부터 모든 열차가 KTX-이음으로 운행된다. 2022년 3월 31일에는 강릉역에서 출발하는 KTX-이음 1일 1회 행신역 연장 운행을 시작했다. 2022년 7월 31일부터 주말에 한하여 일부 열차가 덕소역에 추가로 정차하기 시작하였다. 2023년 11월 21일에는 중앙선과의 복합열차 운행 시운전을 하였고,[4], 2023년 12월 29일에 중앙선 KTX와 복합열차 운행을 개시하였다.

3. 역 목록

거리(km)영업
거리(km)접속 노선소재지비고경의선행신Haengsin幸信--14.9경기도고양시경부선서울Seoul-0.0 (행신기점 14.9)0.0경부고속선
경부선
경의선



서울특별시용산구중앙선청량리Cheongnyangni淸凉里15.915.9경원선
중앙선


경춘선

동대문구상봉Sangbong上鳳4.019.9
경춘선
중랑구망우역 연결덕소Deokso德沼13.233.1경기도남양주시양평Yangpyeong楊平30.763.8경기도양평군서원주Seowonju西原州38.5102.3중앙선강원특별자치도원주시경강선만종Manjong萬鍾5.4107.7횡성Hoengseong橫城18.3126.0횡성군둔내Dunnae屯內20.6146.6평창Pyeongchang平昌20.0166.6평창군진부(오대산)Jinbu(Odaesan)珍富(五臺山)16.3182.9강릉Gangneung江陵40.3223.2강릉시영동선정동진Jeongdongjin正東津48.1231.0style="border-top-width: 3px;"|묵호Mukho墨湖22.9253.9동해시동해Donghae東海6.0259.9영동선


3. 1. 주요 역 정보

3. 2. 전체 역 목록

거리(km)영업
거리(km)접속 노선소재지비고경의선행신Haengsin幸信--14.9경기도고양시경부선서울Seoul-0.0 (행신기점 14.9)0.0경부고속선
경부선
경의선



서울특별시용산구중앙선청량리Cheongnyangni淸凉里15.915.9경원선
중앙선


경춘선

동대문구상봉Sangbong上鳳4.019.9
경춘선
중랑구망우역 연결덕소Deokso德沼13.233.1경기도남양주시양평Yangpyeong楊平30.763.8경기도양평군서원주Seowonju西原州38.5102.3중앙선강원특별자치도원주시경강선만종Manjong萬鍾5.4107.7횡성Hoengseong橫城18.3126.0횡성군둔내Dunnae屯內20.6146.6평창Pyeongchang平昌20.0166.6평창군진부(오대산)Jinbu(Odaesan)珍富(五臺山)16.3182.9강릉Gangneung江陵40.3223.2강릉시영동선정동진Jeongdongjin正東津48.1231.0style="border-top-width: 3px;"|묵호Mukho墨湖22.9253.9동해시동해Donghae東海6.0259.9영동선



노선역 이름역간
거리(km)
영업
거리(km)
접속 노선소재지
한국어한글영어
경의선행신역행신Haengsin--14.9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기도고양시
경부선서울역서울Seoul0.00.0경부고속선
경부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특별시용산구
중앙선청량리역청량리Cheongnyangni15.915.9경원선
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동대문구
상봉역상봉Sangbong4.019.9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중랑구
덕소역덕소Deokso13.233.1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기도남양주시
양평역양평Yangpyeong30.763.8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양평군
서원주역서원주Seowonju38.5102.3중앙선강원특별자치도원주시
경강선만종역만종Manjong5.4107.7
횡성역횡성Hoengseong18.3126.0횡성군
둔내역둔내Dunnae20.6146.6
평창역평창Pyeongchang20.0166.6평창군
진부역
(오대산)
진부
(오대산)
Jinbu
(Odaesan)
16.3182.9
강릉역강릉Gangneung40.3223.2강릉시
영동선정동진역정동진Jeongdongjin48.1231.0
묵호역묵호Mukho22.9253.9동해시
동해역동해Donghae6.0259.9영동선


4. 운행 정보

wikitext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른 강릉선 KTX 정기열차 운행 빈도 (단위: 회/일, 편도, 주중)
운행구간선로용량고속열차일반여객화물열차운행총계
서원주 - 남강릉165200020
남강릉 - 강릉60159024


4. 1. 운행 현황

wikitable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른 강릉선 정기열차 운행 빈도 (단위: 회/일, 편도, 주중)
운행구간선로용량고속열차일반여객화물열차운행총계
서원주 - 남강릉165200020
남강릉 - 강릉60159024


5. 특징

중앙선 서원주역영동선 강릉역을 잇는 구간은 준고속선으로, KTX가 시속 250km/h로 운행한다.[5] 기존 태백선영동선 운행 계통이 청량리역을 시종착역으로 한 것과 달리 이 운행계통은 서울역을 시종착역으로 한다. 일부 열차는 청량리역 착발로 단축 운행한다.[5] 2018년 동계 올림픽 기간 동안 KTX는 편도 51회 운행되었으며, 당시 인천공항2터미널역부터 진부역까지 97분이 소요되었다.[5] 전 구간 중 62.5%인 75.5km 구간이 터널 구간으로 터널 구간 중 대관령터널은 길이 21.755km로 대한민국에서 2번째로 긴 터널이며, 2015년 11월 30일 관통되었다.[5] 강릉역을 제외한 5개 역사 여객안내표지에 숲, 나뭇잎을 모티브로 갈색이 적용되었다.[2] 2018년 동계 올림픽 기간 동안 인천국제공항발 KTX와 연계되어 올림픽 관광객의 수송 수단이 되었다.[5] KTX의 수혜 지역을 강원도 영동 지역으로 확장하였다. 2020년에는 정동진과 동해시까지 포함되었다.[5]

6. 각주

참조

[1] 뉴스 서울~강원 동해안 1시간대 시대 열린다 http://www.ytn.co.kr[...] YTN 2015-02-21
[2] 뉴스 더 스마트해진 발권기로 KTX 승차권 끊는다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7-12-14
[3] 뉴스인용 서울~강원 동해안 1시간대 시대 열린다 http://www.ytn.co.kr[...] 2015-02-21
[4] 뉴스인용 연말부터 영주·안동서 KTX로 서울역까지 간다 https://www.imaeil.c[...] 2023-11-22
[5] 뉴스인용 더 스마트해진 발권기로 KTX 승차권 끊는다 https://www.edaily.c[...] 2017-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