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남고속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남고속철도는 서울에서 목포를 잇는 고속철도로, 2006년 기본 계획 수립 후 2015년 오송-광주송정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9년 착공하여 2015년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고, 2025년 2단계 구간(광주송정-목포)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건설 과정에서 노선 선정, 공사 입찰 담합 등의 논란이 있었으며, 서대전역 경유 문제, 광주광역시 내 KTX 정차역 문제 등이 주요 쟁점이었다. 호남고속철도 개통으로 서울과 목포 간 이동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향후 교통 분담률 변화가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고속철도 - 경부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는 서울과 부산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90년 건설 계획 결정 후 3단계에 걸쳐 건설되어 2015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프랑스 TGV 기술 도입으로 서울-부산 간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KTX 열차 운행을 통해 전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핵심 교통망이 되었다.
  • 한국고속철도 - 부산행
    《부산행》은 2016년 연상호 감독의 좀비 재난 영화로, KTX 열차 안에서 좀비 바이러스가 퍼지면서 벌어지는 생존을 위한 사투와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그린다.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ITX-새마을
    ITX-새마을은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중앙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며, 2013년에 총 23편성이 도입되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ITX-새마을
    ITX-새마을은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중앙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며, 2013년에 총 23편성이 도입되었다.
호남고속철도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호남고속철도
원어 이름호남고속철도
원어 이름 (언어)ko
노선도
노선 종류고속철도
노선 번호102 (KR)
노선 상태운영 중
국가대한민국
노선 시작점오송역, 청주시
노선 종점목포역, 전라남도
(광주송정역, 광주광역시)
개통일2015년 4월 1일
소유주한국철도공단
운영자한국고속철도
사용 차량KTX-I, KTX-산천, SRT
노선 길이230.99km
선로 수2
궤간1,435mm
전철화 방식25 kV/60 Hz 가공선
최고 속도305km/h
한국어 이름 정보
한글 이름호남고속선
한자 이름湖南高速線
로마자 표기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Honam Gosokseon
매큔-라이샤워 표기법Honam Kosoksŏn
일본어 이름 정보
노선 이름 (일본어)湖南高速線
노선도
나라대한민국
기점오송역
종점임성리역
역 수8 (분기점, 조차장 제외)
(1단계 구간 역 수는 5)
개업2015년 4월 2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위임: 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거리247.1 km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복선 (좌측 통행)
전철화 방식교류 25kV, 60Hz
최대 구배25‰
최소 곡선 반지름7,000m
보안 장치ATS, ATC, TVM-430
최고 속도300km/h
노선 정보
노선 이름호남고속선
한글 이름호남고속선
한자 이름湖南高速線
영어 이름Honam High Speed Railway Line
기타 정보
다른 뜻서울 - 목포를 잇는 고속철도 운행 계통
이 운행 계통이 주로 이용하는 철도 노선
다른 뜻 (2)서울과 목포를 잇는 고속철도 운행 계통
충청남도 논산시와 전라남도 순천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의 지선으로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논산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
철도 노선 정보
노선 이름호남고속철도
한국고속철도 노선도
그림 설명한국고속철도 노선도
나라대한민국
종류운행 계통
체계KTX, SRT
상태영업 중
기점행신역, 용산역, 수서역
종점광주송정역, 목포역, 여수엑스포역
경유 노선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호남선, 전라선
개통일2015년 4월 2일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SR
차량 기지호남철도차량정비단
차량KTX, KTX-산천, SRT
영업 거리183.8km
궤간1,435mm
궤도표준궤
선로복선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복선 구간전 구간
신호 방식TVM430, ATS, ATP
영업 최고 속도305km/h
설계 최고 속도430km/h
구글 지도

2. 연혁

2006년 8월 28일대한민국 정부는 2015년까지 오송-광주송정 간, 2017년까지 광주송정-임성리 간 호남고속철도를 개통하는 기본계획을 수립했다.[50] 총 사업비는 10조 5,417억 원으로 책정되었다.[50] 2009년 4월 2일 1단계 구간인 오송역~광주송정역 구간이 착공되었으며,[50] 2015년 4월 2일 개통되었다.[50]

2007년 7월 11일, 당시 이명박 서울시장은 대통령 선거 공약으로 1단계 구간을 2년 앞당겨 2012년에 개통하겠다고 약속했다.[32] 그러나 2008년 9월 7일, 국회 예산정책처는 이 공약의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분석했다.[33]

2009년 4월 13일, 정부는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 수정안'을 발표하며 오송-광주 구간 개통을 1년 앞당긴 2014년으로, 광주-목포 구간은 2017년으로 변경하고, 총 사업비를 11조 3,382억 원으로 증액했다.[34] 그러나 무안국제공항 경유안은 반영되지 않았다.[34] 같은 해 5월 22일 오송역익산역이 착공되었고,[50] 7월 24일에는 익산역 착공식이 열렸다.

2011년 9월 1일에는 달성터널 붕괴 사고가 발생했고,[35] 12월 7일에는 차량 입찰이 유찰되기도 했다.[36] 2012년 2월 20일, 현대로템은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부터 KTX-산천 22편성을 수주했다.[37] 3월 20일에는 노선 내 최장 터널인 계룡산터널(7,240m)이 관통되었다.[38]

2012년 7월 4일, 2014년 개통이 어렵다는 전망이 나왔다.[39] 새로운 제어 시스템(TVM-430-SEI) 도입 지연, 교각-교대 연결 부품 문제, 차량 수령 계획 변경 등이 이유였다.[39] 8월 2일에는 2단계 구간(광주-목포 간) 기본계획이 변경되어 나주까지 기존 노선을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되었다.[40]

2013년 1월 6일 달성터널(1,360m)이 관통되었고,[42] 4월에는 궤도 공사가 시작되었다.[43] 7월 2일에는 노령터널(4,300m)이 관통되었다.[44] 2014년 10월 21일, 신형 차량(120000계)으로 1단계 구간 시운전이 시작되었다.[47]

2015년 4월 1일, 개통식이 열렸고, 4월 2일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50] 9월 1일에는 2단계 구간(광주-목포 간) 기본계획이 다시 변경되어 광주송정-고막원 간 기존선 고속화 구간을 2018년 12월 완공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48][49] 2019년 12월 2단계 광주송정역~목포역 구간이 착공되었다.[31]

3. 건설 과정 및 논란

호남고속선 건설을 위한 기본 설계는 2006년 11월부터 시작되어 2008년 11월 완료되었다.[52] 2008년 11월부터 8개 설계 공구에 대한 실시 설계가 진행되어 2009년 완료되었다. 익산역에서 2009년 7월 24일 착공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오송역, 익산역 구간은 2008년 공사시행업자를 턴키설계로 확정해 공사를 시행하였다. 4개의 시공 공구에 대해서는[52] 2009년 8월 대안설계공고 이후 10월경 사업자를 선정해 광주송정역에서 2009년 12월 4일 착공, 2015년 4월 2일 정식 개통하였다.

호남고속선은 현재 2015년 4월 2일 1단계로 오송 ~ 광주송정 구간이 우선 개통되었고, 2025년 2단계로 광주송정 ~ 목포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2단계 사업 중 광주송정 ~ 고막원 구간은 기존 호남선을 고속화하고, 고막원 ~ 목포 구간은 무안국제공항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건설될 예정이다.[53]

=== 사업 추진 배경 ===

호남고속철도는 서울에서 대한민국 남서부의 목포를 잇는 고속철도로, KTX 1단계에서 개통된 기존 노선의 서비스를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되었다.[1] 2003년 최초 타당성 조사에서는 수요를 고려했을 때 전 구간 건설이 어렵다는 결론이 나와 2단계 건설이 제안되었다.[1] 1단계는 서울 동남쪽의 두 번째 종착역에서 경부고속철도와 연결하고, 경부고속철도에서 익산까지 기존 호남선과 평행하게 지선을 건설하는 것이었다.[1] 2단계는 경부고속철도와 평행한 구간에 별도의 선로를 건설하고, 익산에서 광주와 목포까지 기존 호남선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포함했다.[1]

2005년 1월 14일, 이회창 국무총리는 광주 지역 대표들과 만나 사업 조기 시행을 요청받았으나, KTX 1단계 이용객 예상치 미달을 이유로 수익성에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했다.[2] 그러나 같은 해 12월, 정부는 입장을 바꿔 2015년까지 광주까지 사업을 완료하기로 합의했다.[3]

2006년 8월 공식 발표된 계획[4]에서는 비용편익비율(B/C)이 1 미만이었음에도 불구하고,[5] 오송역에서 광주까지 182.75km 1단계 구간 예산은 8조 5,695억 원으로 책정되었다.[1] 목포까지 남은 48.74km 2단계 구간은 2,002억 2천만 원의 예산으로 2017년까지 완료될 예정이었다.[5] 총 230.99km, 10조 5,717억 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으로 서울-목포 간 여행 시간은 1시간 46분으로 단축될 예정이었다.[5]

2007년 대선에서 당선된 이명박 대통령은 사업 기간을 3년 단축하겠다고 공약했다.[32] 관련 부처는 이 기한이 비현실적이라고 판단했지만,[6] 2009년 1월 1년 단축이 발표되었다.[6] 1단계의 오송-익산 구간은 차량 개발을 위한 고속 시험선로로도 사용될 예정이다.[7] 사업 자금은 정부 직접 자금 50%와 차입금 50%로 조달된다.[10][31]

1990년 4월부터 9월까지 국토연구원에서 호남고속철도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고,[31] 1994년 9월부터 1995년 말까지 한국교통연구원에서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 수립 조사를 진행했다.[31] 1999년 12월에는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사업성 조사를 실시했다.[31] 2001년 5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한국교통연구원 및 건설교통부에서 조사 위탁 연구를 실시했고, 2004년 10월에는 건설교통부 및 국토연구원에서 호남고속철도 계획 조사 연구 보완 업무를 수행했다.[31]

2005년 6월 30일 분기역이 오송역으로 결정되었고,[31] 2006년 8월 28일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이 수립되었다.[31] 2009년 4월 13일에는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 수정안이 발표되었는데, 오송-광주 구간 개통을 2014년으로 1년 앞당기고, 광주-목포 구간은 2017년으로 유지하며, 총 사업비는 7,965억 원 증액된 11조 3,382억 원으로 결정되었다.[34] 무안국제공항 경유안은 반영되지 않았다.[34]

=== 1단계 구간 (오송-광주송정) ===

2006년 11월부터 호남고속선 건설을 위한 기본 설계가 시작되어 2008년 11월에 완료되었다.[52] 실시 설계는 2009년에 완료되었고, 2009년 7월 24일 익산역에서 착공을 선언하였다.[52] 그러나 오송역익산역 구간은 2008년에 이미 공사시행업자가 턴키설계로 확정되어 공사가 진행 중이었다.[52] 2009년 8월에는 4개의 시공 공구에 대한 대안설계공고가 이루어졌고, 10월경 사업자가 선정되었다.[52] 2009년 12월 4일, 광주송정역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기공식이 거행되었으며,[9] 1단계 구간(오송-광주송정)은 2015년 4월 2일 정식 개통되었다.[52]

2004년 KTX 운행 시작과 함께 전라북도와 전라남도의 요청으로 기존 호남선에도 KTX가 운행되었지만, 용산역-목포역 구간 소요시간이 서울역-부산역 구간보다 길어 호남선과 병행하는 고속 신선 건설이 결정되었다. 1단계 구간 개통으로 용산역-광주송정역 구간 소요시간은 1시간 33분으로 단축되었다.[31]

1990년 4월부터 9월까지 국토연구원에서 호남고속철도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고, 1994년 9월부터 1995년 말까지 한국교통연구원에서 기본계획 수립 조사를 진행했다. 이후 1999년 12월 사업성 조사, 2001년 5월 조사 위탁 연구 (2003년 11월까지), 2004년 10월 호남고속철도 계획 조사 연구 보완 업무를 거쳐, 2005년 6월 30일 분기역이 오송역으로 결정되었다.

2006년 8월 28일,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이 수립되어 2015년 오송-광주송정 간, 2017년 광주송정-임성리 간 개통을 목표로 총 사업비 10조 5,417억 원이 책정되었다.[34] 2007년 7월 11일,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은 대통령 선거 공약으로 1단계 구간 개통을 2012년으로 앞당기겠다고 공약했지만,[32] 2008년 9월 7일 국회 예산정책처는 이 공약의 실현이 불가능하다고 분석했다.[33]

2009년 4월 13일,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 수정안」'''이 발표되어 오송-광주 구간 개통은 2014년으로, 광주-목포 구간은 2017년으로 유지되었고, 총 사업비는 7,965억 원 증액된 11조 3,382억 원으로 변경되었다.[34] 그러나 무안국제공항 경유안은 반영되지 않았다.[34]

2011년 9월 1일 달성(달성)터널 붕괴 사고,[35] 2011년 12월 7일 현대로템 단독 응찰로 인한 차량 입찰 유찰,[36] 2012년 7월 4일 신형 제어 시스템(TVM-430-SEI) 도입 지연 및 KTX-산천 수령 계획 변경 등의 이유로 2014년 개통이 어렵다는 전망이 나왔다.[39]

2012년 8월 2일, 2단계 구간(광주-목포 간) 기본계획이 변경되어 총 사업비가 8조 7,283억 원으로 조정되었고, 전 구간 개통 시기는 1단계 2014년, 2단계 2017년으로 유지되었다.[40]

2013년 1월 6일 달성터널(1,360m) 관통,[42] 4월 궤도 공사 착수,[43] 7월 2일 노령(노령)산맥을 관통하는 노령터널(4,300m) 관통,[44] 8월 9일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갈산리의 갈산(갈산)터널(총연장 3,027m) 완공 등 공사가 진행되었다.[46]

2014년 10월 21일, 본 노선에 투입될 신형 차량(120000계)으로 1단계 구간 전 구간(오송-광주송정 간) 시운전이 시작되었고,[47] 2015년 4월 1일 개통식을 거쳐 4월 2일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48][49]

=== 2단계 구간 (광주송정-목포) ===

2006년 11월부터 호남고속선 건설을 위한 기본 설계가 시작되어 2008년 11월에 완료되었다.[52] 2009년 7월 24일 익산역에서 착공을 선언하였고, 광주송정역에서는 2009년 12월 4일 착공하여 2015년 4월 2일 1단계 구간(오송역~광주송정역)이 개통되었다.[52][53]

2단계 구간인 광주송정~목포역 구간은 2025년 개통될 예정이다.[53] 광주송정~고막원역 구간은 기존 호남선을 230km/h급 준고속선으로 개량하고, 고막원~목포 구간은 무안국제공항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건설될 예정이다.[53][65]

2006년에 입안된 기본계획에는 광주송정-목포 직결 신선 건설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이 노선안은 폐기되었다. 이후 무안국제공항을 경유하는 노선(2안)과 기존선 개량 및 함평역과 무안공항을 지선으로 연결하는 방안(3안)이 검토되었다.[65] 2안은 광주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무안공항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지만, 선형이 휘어져 KTX가 제 속도를 내지 못할 가능성이 있었다. 3안은 사업비가 적고 나주와 무안공항을 모두 연결할 수 있지만, 시간이 늘어나 고속철도의 취지에 맞지 않았다.

2017년 11월 30일, 문재인 정부는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의 합의를 통해 나주 이남 구간에 무안국제공항을 경유하는 43.9km의 신선 건설안을 확정했다.[28][29] 2020년 착공하여 2025년 완공을 예정하고 있으며,[28][29]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이후 바른미래당) 양당 원내 대표도 합의에 도달하여 입법 및 행정적 장애는 적어졌다.[30]


  • 광주-목포(임성리) 노선의 2009년 4월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31]


노선거리최고 속도임성리까지 소요 시간(무안공항까지)사업비B/C
현행 호남선광주-나주-목포59.5㎞160km/h26분--
국토해양부직선 노선(전 구간 신선)48.6㎞300km/h13분2조 3,200억 원0.51
전라남도무안공항 경유(전 구간 신선)64.9㎞300km/h16분(11분)3조 1,400억 원0.40
나주시광주송정-나주(기존선) + 이남 신선50.9㎞-32분2조 100억 원0.55
노선선정평가위원회
평가단 결정안
기존선 고속화
+함평-무안공항 신선
76.1㎞230km/h19분(16분)9,700억 원0.81



※임성리역-목포역은 4분 추가 소요.

2015년 9월 1일, 2단계 구간(광주-목포 간) 기본계획이 재변경되어,[48][49] 광주송정-고막원 간 26.4km의 기존선 고속화 구간을 2016년 10월에 우선 착공, 2018년 12월 완공하고, 중간 정차역은 나주역을 활용하기로 확정했다. 고막원 이남은 무안국제공항 경유를 포함하여 지속 협의하기로 하고, 그때까지는 현행 노선을 경유하기로 했다.

=== 노선 선정 논란 ===

호남고속철도의 노선 선정 과정에서는 여러 논란이 있었다. 서대전역 경유 문제, 공주역 위치 및 역명 선정 논란, 익산역 위치 논란, 광주광역시 내 KTX 정차역 문제, 광주송정역~목포역 구간 노선 선정 문제 등이 대표적이다.

서대전역 경유 문제는 2015년 4월 오송역~광주송정역 간 고속 신선 개통 이후에도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측이 기존선 병행 운행을 요구하면서 불거졌다.[54]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는 기존선 경유 시 45분 추가 소요를 이유로 반대했으며, 충청북도 역시 오송역 기능 약화를 우려해 반대했다.[54]

공주역 위치는 세종시내, 공주시내, 현 위치, 논산시내 4개 안이 검토되었으나, 인접 시군(공주, 부여, 논산) 중간 위치라는 이유로 현 위치로 선정되었다.[55] 그러나 한국교통연구원 관계자는 정치적 결정이었다고 비판했다.[55] 역명 확정 후 논산시부여군은 3개 시군을 아우르는 '''백제역'''을 주장하며 반발했다.[56]

익산역2007년 전주 등 5개 시·군 중심의 김제시 지역 이전 주장이 제기되면서 익산시와 대립하기도 했다.[57] 2014년에는 KTX혁신역사 추진위원회가 김제시 지역 이전을 주장하며 논란이 재점화되었다.[57]

광주광역시 내 KTX 정차역은 광주역광주송정역으로 이원화되어 있었으나, 국토교통부가 1도시 1정차역 기준을 세우면서 광주송정역만 정해졌다.[58] 광주광역시 북구 의회는 광주역 KTX 정차를 주장하며 반발했고, 광산구 주민들은 광주송정역 복합환승센터 기능 축소를 우려하며 반대했다.[59] 국토교통부는 한국교통연구원 용역 결과 타당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지만,[60] 광주광역시광주송정역 일원화하되 일부 열차를 광주역으로 연장하는 안을 제출했다.[61] 결국 2015년 1월, 한국철도공사와 국토교통부는 스위치백 운행 안전 문제로 광주역 진입을 제외하고 광주송정역을 시종착역으로 최종 결정했다.[62]

광주송정역~목포역 구간은 2006년 기본계획에서 직결 신선 건설 예정이었으나 폐기되었다. 이후 나주(고막원)~목포 신선, 무안국제공항 경유 신선, 기존선 개량 후 함평역·무안공항 지선 연결 3개 안이 검토되었고, 2017년 11월 무안국제공항 경유 노선으로 결정되었다.[65]

경부고속철도 분기역 선정 당시에도 천안아산역, 오송역, 대전역 3개 안을 두고 경쟁이 벌어졌으나, 최종 평가에서 오송역 분기가 결정되었다.[26]

개통으로 인해 서대전역 경유 KTX 폐지 또는 감축이 예상되면서 대전·충청북도 주민과 전라북도 주민 간 갈등이 심화되었다.[27] 2015년, 국토교통부는 서대전역 경유 KTX를 하루 9회 운행하기로 발표했으나, 운행 구간이 익산역까지 단축되어 대전·충청남도 자치단체가 반발했다.

2004년 개업 이후 광주광역시 내 KTX 발착 기지는 광주역광주송정역으로 분산되어 있었다. 북구는 광주역 유지를, 광산구광주송정역 기지화를 지지하며 대립했고, 광주광역시는 국토교통부에 4가지 방안을 제안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는 광주역 진입이 어렵다고 발표했고, 2015년 2월 고속선 개통으로 광주역 발착 KTX는 폐지, 광주송정역으로 일원화되었다.

=== 공사 입찰 담합 논란 ===

2015년 8월 4일 공정거래위원회는 호남고속철도 건설공사 입찰에서 담합한 5개 건설사에 과징금 총 129억 9,200만원을 부과했다고 밝혔다.[66] 대림산업은 입찰 공고가 뜨자 입찰사를 찾아가 영천상주고속도로 공사에 하도급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들러리를 선 대가를 지불했다. 이런 방법으로 대림산업은 일반 낙찰률 70%에 비해 높은 수치인 공사예정금액의 82.76%인 2,223억 원에 공사를 따냈다.[67]

3. 1. 사업 추진 배경

호남고속철도는 서울에서 대한민국 남서부의 목포를 잇는 고속철도로, KTX 1단계에서 개통된 기존 노선의 서비스를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되었다.[1] 2003년 최초 타당성 조사에서는 수요를 고려했을 때 전 구간 건설이 어렵다는 결론이 나와 2단계 건설이 제안되었다.[1] 1단계는 서울 동남쪽의 두 번째 종착역에서 경부고속철도와 연결하고, 경부고속철도에서 익산까지 기존 호남선과 평행하게 지선을 건설하는 것이었다.[1] 2단계는 경부고속철도와 평행한 구간에 별도의 선로를 건설하고, 익산에서 광주와 목포까지 기존 호남선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포함했다.[1]

2005년 1월 14일, 이회창 국무총리는 광주 지역 대표들과 만나 사업 조기 시행을 요청받았으나, KTX 1단계 이용객 예상치 미달을 이유로 수익성에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했다.[2] 그러나 같은 해 12월, 정부는 입장을 바꿔 2015년까지 광주까지 사업을 완료하기로 합의했다.[3]

2006년 8월 공식 발표된 계획[4]에서는 비용편익비율(B/C)이 1 미만이었음에도 불구하고,[5] 오송역에서 광주까지 182.75km 1단계 구간 예산은 8조 5,695억 원으로 책정되었다.[1] 목포까지 남은 48.74km 2단계 구간은 2,002억 2천만 원의 예산으로 2017년까지 완료될 예정이었다.[5] 총 230.99km, 10조 5,717억 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으로 서울-목포 간 여행 시간은 1시간 46분으로 단축될 예정이었다.[5]

2007년 대선에서 당선된 이명박 대통령은 사업 기간을 3년 단축하겠다고 공약했다.[32] 관련 부처는 이 기한이 비현실적이라고 판단했지만,[6] 2009년 1월 1년 단축이 발표되었다.[6] 1단계의 오송-익산 구간은 차량 개발을 위한 고속 시험선로로도 사용될 예정이다.[7] 사업 자금은 정부 직접 자금 50%와 차입금 50%로 조달된다.[10][31]

1990년 4월부터 9월까지 국토연구원에서 호남고속철도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고,[31] 1994년 9월부터 1995년 말까지 한국교통연구원에서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 수립 조사를 진행했다.[31] 1999년 12월에는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사업성 조사를 실시했다.[31] 2001년 5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한국교통연구원 및 건설교통부에서 조사 위탁 연구를 실시했고, 2004년 10월에는 건설교통부 및 국토연구원에서 호남고속철도 계획 조사 연구 보완 업무를 수행했다.[31]

2005년 6월 30일 분기역이 오송역으로 결정되었고,[31] 2006년 8월 28일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이 수립되었다.[31] 2009년 4월 13일에는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 수정안이 발표되었는데, 오송-광주 구간 개통을 2014년으로 1년 앞당기고, 광주-목포 구간은 2017년으로 유지하며, 총 사업비는 7,965억 원 증액된 11조 3,382억 원으로 결정되었다.[34] 무안국제공항 경유안은 반영되지 않았다.[34]

3. 2. 1단계 구간 (오송-광주송정)

2006년 11월부터 호남고속선 건설을 위한 기본 설계가 시작되어 2008년 11월에 완료되었다.[52] 실시 설계는 2009년에 완료되었고, 2009년 7월 24일 익산역에서 착공을 선언하였다.[52] 그러나 오송역익산역 구간은 2008년에 이미 공사시행업자가 턴키설계로 확정되어 공사가 진행 중이었다.[52] 2009년 8월에는 4개의 시공 공구에 대한 대안설계공고가 이루어졌고, 10월경 사업자가 선정되었다.[52] 2009년 12월 4일, 광주송정역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기공식이 거행되었으며,[9] 1단계 구간(오송-광주송정)은 2015년 4월 2일 정식 개통되었다.[52]

2004년 KTX 운행 시작과 함께 전라북도와 전라남도의 요청으로 기존 호남선에도 KTX가 운행되었지만, 용산역-목포역 구간 소요시간이 서울역-부산역 구간보다 길어 호남선과 병행하는 고속 신선 건설이 결정되었다. 1단계 구간 개통으로 용산역-광주송정역 구간 소요시간은 1시간 33분으로 단축되었다.[31]

1990년 4월부터 9월까지 국토연구원에서 호남고속철도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고, 1994년 9월부터 1995년 말까지 한국교통연구원에서 기본계획 수립 조사를 진행했다. 이후 1999년 12월 사업성 조사, 2001년 5월 조사 위탁 연구 (2003년 11월까지), 2004년 10월 호남고속철도 계획 조사 연구 보완 업무를 거쳐, 2005년 6월 30일 분기역이 오송역으로 결정되었다.

2006년 8월 28일,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이 수립되어 2015년 오송-광주송정 간, 2017년 광주송정-임성리 간 개통을 목표로 총 사업비 10조 5,417억 원이 책정되었다.[34] 2007년 7월 11일,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은 대통령 선거 공약으로 1단계 구간 개통을 2012년으로 앞당기겠다고 공약했지만,[32] 2008년 9월 7일 국회 예산정책처는 이 공약의 실현이 불가능하다고 분석했다.[33]

2009년 4월 13일,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 수정안」'''이 발표되어 오송-광주 구간 개통은 2014년으로, 광주-목포 구간은 2017년으로 유지되었고, 총 사업비는 7,965억 원 증액된 11조 3,382억 원으로 변경되었다.[34] 그러나 무안국제공항 경유안은 반영되지 않았다.[34]

2011년 9월 1일 달성(달성)터널 붕괴 사고,[35] 2011년 12월 7일 현대로템 단독 응찰로 인한 차량 입찰 유찰,[36] 2012년 7월 4일 신형 제어 시스템(TVM-430-SEI) 도입 지연 및 KTX-산천 수령 계획 변경 등의 이유로 2014년 개통이 어렵다는 전망이 나왔다.[39]

2012년 8월 2일, 2단계 구간(광주-목포 간) 기본계획이 변경되어 총 사업비가 8조 7,283억 원으로 조정되었고, 전 구간 개통 시기는 1단계 2014년, 2단계 2017년으로 유지되었다.[40]

2013년 1월 6일 달성터널(1,360m) 관통,[42] 4월 궤도 공사 착수,[43] 7월 2일 노령(노령)산맥을 관통하는 노령터널(4,300m) 관통,[44] 8월 9일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갈산리의 갈산(갈산)터널(총연장 3,027m) 완공 등 공사가 진행되었다.[46]

2014년 10월 21일, 본 노선에 투입될 신형 차량(120000계)으로 1단계 구간 전 구간(오송-광주송정 간) 시운전이 시작되었고,[47] 2015년 4월 1일 개통식을 거쳐 4월 2일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48][49]

3. 3. 2단계 구간 (광주송정-목포)

2006년 11월부터 호남고속선 건설을 위한 기본 설계가 시작되어 2008년 11월에 완료되었다.[52] 2009년 7월 24일 익산역에서 착공을 선언하였고, 광주송정역에서는 2009년 12월 4일 착공하여 2015년 4월 2일 1단계 구간(오송역~광주송정역)이 개통되었다.[52][53]

2단계 구간인 광주송정~목포역 구간은 2025년 개통될 예정이다.[53] 광주송정~고막원역 구간은 기존 호남선을 230km/h급 준고속선으로 개량하고, 고막원~목포 구간은 무안국제공항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건설될 예정이다.[53][65]

2006년에 입안된 기본계획에는 광주송정-목포 직결 신선 건설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이 노선안은 폐기되었다. 이후 무안국제공항을 경유하는 노선(2안)과 기존선 개량 및 함평역과 무안공항을 지선으로 연결하는 방안(3안)이 검토되었다.[65] 2안은 광주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무안공항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지만, 선형이 휘어져 KTX가 제 속도를 내지 못할 가능성이 있었다. 3안은 사업비가 적고 나주와 무안공항을 모두 연결할 수 있지만, 시간이 늘어나 고속철도의 취지에 맞지 않았다.

2017년 11월 30일, 문재인 정부는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의 합의를 통해 나주 이남 구간에 무안국제공항을 경유하는 43.9km의 신선 건설안을 확정했다.[28][29] 2020년 착공하여 2025년 완공을 예정하고 있으며,[28][29]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이후 바른미래당) 양당 원내 대표도 합의에 도달하여 입법 및 행정적 장애는 적어졌다.[30]

  • 광주-목포(임성리) 노선의 2009년 4월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31]


노선거리최고 속도임성리까지 소요 시간(무안공항까지)사업비B/C
현행 호남선광주-나주-목포59.5㎞160km/h26분--
국토해양부직선 노선(전 구간 신선)48.6㎞300km/h13분2조 3,200억 원0.51
전라남도무안공항 경유(전 구간 신선)64.9㎞300km/h16분(11분)3조 1,400억 원0.40
나주시광주송정-나주(기존선) + 이남 신선50.9㎞-32분2조 100억 원0.55
노선선정평가위원회
평가단 결정안
기존선 고속화
+함평-무안공항 신선
76.1㎞230km/h19분(16분)9,700억 원0.81



※임성리역-목포역은 4분 추가 소요.

2015년 9월 1일, 2단계 구간(광주-목포 간) 기본계획이 재변경되어,[48][49] 광주송정-고막원 간 26.4km의 기존선 고속화 구간을 2016년 10월에 우선 착공, 2018년 12월 완공하고, 중간 정차역은 나주역을 활용하기로 확정했다. 고막원 이남은 무안국제공항 경유를 포함하여 지속 협의하기로 하고, 그때까지는 현행 노선을 경유하기로 했다.

3. 4. 노선 선정 논란

호남고속철도의 노선 선정 과정에서는 여러 논란이 있었다. 서대전역 경유 문제, 공주역 위치 및 역명 선정 논란, 익산역 위치 논란, 광주광역시 내 KTX 정차역 문제, 광주송정역~목포역 구간 노선 선정 문제 등이 대표적이다.

서대전역 경유 문제는 2015년 4월 오송역~광주송정역 간 고속 신선 개통 이후에도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측이 기존선 병행 운행을 요구하면서 불거졌다.[54]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는 기존선 경유 시 45분 추가 소요를 이유로 반대했으며, 충청북도 역시 오송역 기능 약화를 우려해 반대했다.[54]

공주역 위치는 세종시내, 공주시내, 현 위치, 논산시내 4개 안이 검토되었으나, 인접 시군(공주, 부여, 논산) 중간 위치라는 이유로 현 위치로 선정되었다.[55] 그러나 한국교통연구원 관계자는 정치적 결정이었다고 비판했다.[55] 역명 확정 후 논산시부여군은 3개 시군을 아우르는 '''백제역'''을 주장하며 반발했다.[56]

익산역2007년 전주 등 5개 시·군 중심의 김제시 지역 이전 주장이 제기되면서 익산시와 대립하기도 했다.[57] 2014년에는 KTX혁신역사 추진위원회가 김제시 지역 이전을 주장하며 논란이 재점화되었다.[57]

광주광역시 내 KTX 정차역은 광주역광주송정역으로 이원화되어 있었으나, 국토교통부가 1도시 1정차역 기준을 세우면서 광주송정역만 정해졌다.[58] 광주광역시 북구 의회는 광주역 KTX 정차를 주장하며 반발했고, 광산구 주민들은 광주송정역 복합환승센터 기능 축소를 우려하며 반대했다.[59] 국토교통부는 한국교통연구원 용역 결과 타당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지만,[60] 광주광역시광주송정역 일원화하되 일부 열차를 광주역으로 연장하는 안을 제출했다.[61] 결국 2015년 1월, 한국철도공사와 국토교통부는 스위치백 운행 안전 문제로 광주역 진입을 제외하고 광주송정역을 시종착역으로 최종 결정했다.[62]

광주송정역~목포역 구간은 2006년 기본계획에서 직결 신선 건설 예정이었으나 폐기되었다. 이후 나주(고막원)~목포 신선, 무안국제공항 경유 신선, 기존선 개량 후 함평역·무안공항 지선 연결 3개 안이 검토되었고, 2017년 11월 무안국제공항 경유 노선으로 결정되었다.[65]

경부고속철도 분기역 선정 당시에도 천안아산역, 오송역, 대전역 3개 안을 두고 경쟁이 벌어졌으나, 최종 평가에서 오송역 분기가 결정되었다.[26]

개통으로 인해 서대전역 경유 KTX 폐지 또는 감축이 예상되면서 대전·충청북도 주민과 전라북도 주민 간 갈등이 심화되었다.[27] 2015년, 국토교통부는 서대전역 경유 KTX를 하루 9회 운행하기로 발표했으나, 운행 구간이 익산역까지 단축되어 대전·충청남도 자치단체가 반발했다.

2004년 개업 이후 광주광역시 내 KTX 발착 기지는 광주역광주송정역으로 분산되어 있었다. 북구는 광주역 유지를, 광산구광주송정역 기지화를 지지하며 대립했고, 광주광역시는 국토교통부에 4가지 방안을 제안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는 광주역 진입이 어렵다고 발표했고, 2015년 2월 고속선 개통으로 광주역 발착 KTX는 폐지, 광주송정역으로 일원화되었다.

3. 5. 공사 입찰 담합 논란

2015년 8월 4일 공정거래위원회는 호남고속철도 건설공사 입찰에서 담합한 5개 건설사에 과징금 총 129억 9,200만원을 부과했다고 밝혔다.[66] 대림산업은 입찰 공고가 뜨자 입찰사를 찾아가 영천상주고속도로 공사에 하도급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들러리를 선 대가를 지불했다. 이런 방법으로 대림산업은 일반 낙찰률 70%에 비해 높은 수치인 공사예정금액의 82.76%인 2,223억 원에 공사를 따냈다.[67]

4. 노선

오송역에서는 하행선이 고가로 경부고속선을 횡단하여 남서쪽으로 노선을 취해 익산역에서 호남선과 연결된다. 익산역 남쪽에서 호남선에서 분기하여[25] 광주송정역까지 거의 병행하는 노선을 통과한다.

경부고속선 천성산터널 건설 당시 반대 운동이 일어났던 교훈에 따라, 계룡산 국립공원을 우회하도록 노선이 정해졌다.

4. 1. 경유 노선

경부고속선을 경유해 호남고속선을 이용하는 운행 계통이다.[51] 서대전 경유 열차는 용산부터 익산까지 각각 경부고속철도 호남선을 경유하여 운행한다.



오송에서는 하행선이 고가로 경부고속선을 횡단하여 남서쪽으로 노선을 취해 익산역에서 호남선과 연결된다. 익산역 남쪽에서 호남선에서 분기하여[25] 광주송정역까지 거의 병행하는 노선을 통과한다.

경부고속선 천성산터널 건설 당시 반대 운동이 일어났던 교훈에 따라, 계룡산 국립공원을 우회하도록 노선이 정해졌다.

5. 역 목록

wikitext

노선 거리서울로부터의 거리(모든 역 정차) 소요 시간(일부 역 정차) 소요 시간
오송역0.00 km121.4 km0시간 49분-
공주역43.8 km165.2 km1시간 06분-
익산역89.8 km211.2 km1시간 23분1시간 01분
정읍역131.9 km253.3 km1시간 40분-
광주송정역182.4 km303.8 km1시간 58분1시간 30분
나주역198.2 km319.6 km2시간 08분-
목포역249.2 km370.6 km2시간 35분-



열차는 노선을 따라 7개 역에 정차한다.[5]

5. 1. 경의 - 경부(고속선) - 호남(고속선) 운행 계통

경의선 행신역 또는 경부선 용산역에서 출발하여 경부고속선을 거쳐 호남고속선으로 운행되는 계통이다. 2004년 4월 1일 호남고속철도 개통으로 수도권과 목포 간 최단 철도 여행 시간은 4시간 32분에서 2시간 58분으로, 서울과 광주 간은 3시간 53분에서 2시간 38분으로 단축되었다.[5]

대부분의 호남고속철도는 경부고속철도의 종착역인 서울역이 아닌 용산역에서 종착한다.[11] 용산역에서 목포역까지의 거리는 404.4km이다. 일부 열차는 용산역을 지나 서울역을 통과하여 경의선을 따라 14.9km 더 운행하여 KTX 차량기지가 있는 행신역에서 종착한다.[12]

호남고속철도는 대전까지 경부고속선을 이용하고, 오송역에서 분기하여 공주역, 익산역, 정읍역을 거쳐 광주송정역에 이른다. 이후 호남선을 이용하여 나주역을 지나 목포역까지 운행한다.[13][14]

2004년 초기 일일 34회였던 운행 횟수는 단계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 11월 1일 시간표 변경 이후 평일 최소 38회, 주말 최대 40회로 변경되었다.[13]

역명운행거리[14]
행신역0.0 km-
용산역18.1 km0.0 km
광명역36.9 km18.8 km
천안아산역110.9 km92.8 km
오송역139.5 km121.4 km
공주역175.7 km157.6 km
익산역257.9 km239.8 km
정읍역301.4 km283.3 km
광주송정역367.7 km349.6 km
나주역371.5 km353.4 km
목포역422.5 km404.4 km


5. 2. 호남선 서대전 · 계룡 · 논산 경유

2004년 4월 1일 호남고속철도 운영 개시 이후, 수도권과 목포 간 최단 철도 여행 시간은 4시간 32분에서 2시간 58분으로, 서울과 광주 간에는 3시간 53분에서 2시간 38분으로 단축되었다.[5] 2004년 12월 15일부터 대부분의 호남고속철도는 경부고속철도서울역이 아닌 용산역에서 종착한다.[11] 일부 열차는 행신역까지 운행한다.[12]

호남고속철도는 대전까지 경부고속철도를 이용하고, 이후로는 개량된 호남선을 이용한다.[13][14] 호남고속철도 운행 횟수는 2004년 초기 일일 34회에서 2010년 11월 1일 이후 평일 최소 38회, 주말 최대 40회로 변경되었다.[13]

호남선을 경유하는 KTX는 서대전역, 계룡역, 논산역을 경유한다. 노선 건설 당시, 서대전역을 경유하는 기존선 경유 KTX 폐지 또는 감축 예상으로 대전·충청북도 주민과 전라북도 주민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27] 2015년, 국토교통부는 서대전 경유 KTX를 하루 9회 운행하기로 발표했지만, 익산역까지만 운행하여 광주 방면으로 가려면 환승해야 하므로 대전·충남 지역 자치단체는 반발하고 있다.

호남선 경유 KTX 정차역과 운행거리는 다음과 같다.[14]

역명운행거리[14]
행신역0.0 km-
용산역18.1 km0.0 km
광명역36.9 km18.8 km
천안아산역110.9 km92.8 km
오송역139.5 km121.4 km
세종시역175.7 km157.6 km
계룡역195.4 km177.3 km
논산역220.8 km202.7 km
익산역257.9 km239.8 km
김제역275.6 km257.5 km
정읍역301.4 km283.3 km
장성역333.8 km315.7 km
광주송정역
(지선)
367.7 km349.6 km
나주역371.5 km353.4 km
목포역422.5 km404.4 km


5. 3. 전라선 운행 계통

2004년 4월 1일 호남고속철도 운영 개시 이후, 수도권과 목포 간 최단 철도 여행 시간은 4시간 32분에서 2시간 58분으로, 서울광주 간에는 3시간 53분에서 2시간 38분으로 단축되었다.[5]

2004년 12월 15일 시간표 변경 이후, 대부분의 호남고속철도는 경부고속철도의 종착역인 서울역이 아닌 용산역에서 종착한다.[11] 용산역에서 목포역까지의 거리는 404.4km이다. 일부 열차는 용산역을 지나 서울역을 통과하여 경의선을 따라 14.9km 더 운행하여 KTX 차량기지가 있는 행신역에서 종착한다.[12]

호남고속철도는 대전까지 경부고속철도를 이용하고, 그 이후로는 개량된 호남선을 이용한다.[13][14] 호남고속철도 운행 횟수는 2004년 초기 일일 34회에서 단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10년 11월 1일 시간표 변경 이후 평일 최소 38회, 주말 최대 40회로 변경되었다.[13]

전라선의 경우 익산역에서 분기하여 여수엑스포역까지 이어진다. 주요 정차역은 익산역, 전주역, 남원역, 곡성역, 구례구역, 순천역, 여천역, 여수엑스포역이다.

노선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공주역, 논산역 방면
전라선익산Iksan益山호남고속선
호남선
장항선
46.0211.2전북특별자치도익산시
전주Jeonju全州25.5236.7전주시
남원Namwon南原54.0290.7남원시
곡성Gokseong谷城17.6308.3전라남도곡성군
구례구Guryegu求禮口20.3328.6순천시
순천Suncheon順天28.2356.8
여천Yeocheon麗川25.3382.1여수시
여수EXPOYeosu-EXPO麗水EXPO9.5391.6


6. 효과 및 전망

호남고속철도의 예상 1년차 일일 평균 이용객 수는 1999년 11월 추산치 22,818명에서 2003년 8월 최종 예측치 36,085명으로 증가했다.[16] 실제 이용객 수는 초기 추산치의 절반 정도였지만, 2년차와 3년차에 크게 증가했다.[15]

일일 이용객수[15]
200411,667
200515,113
200617,257
200717,270
200817,599



운영 첫해에 경부고속철도에 비해 좌석 점유율이 저조했으며[16], 2005년에는 호남선에서 이용률이 저조한 노선에 대해 KTX 요금이 선택적으로 인하되었다.[5]

성인 편도 표준석 요금 (원)
요금 체계서울~...용산~...
익산광주목포익산광주목포
2004년 초 계획[17]28,60038,20042,900(28,300)(37,900)(42,600)
2004년 4월 1일부터 적용[18][19]27,00036,60041,40026,70036,30041,100
2005년 4월 25일부터 적용[19]---25,50033,30038,000



역 접근성 문제로 택시 이용이 잦았다.


요금 전반적인 인상과 주중 및 주말 요금 분리 이후, 2010년 11월 기준 서울~목포 편도 표준석 요금은 주중 40,500원, 주말 43,300원이지만, 새롭게 도입된 비지정석은 할인이 상당하다.[14] 초기 몇 달 동안 실시된 승객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또 다른 문제는 역 접근성과 버스 연결편의 수용력 부족으로 택시 이용이 잦았다는 점이다.[20]

개통 후 1년 동안 기존 호남선과 상당한 거리에 있는 노선에서 운영된 결과, 시장 점유율은 대부분 기존 열차를 희생시키면서 얻은 반면, 일부 노선에서는 철도의 총 점유율은 정체되었다.[5] 2008년까지 용산과 호남선 중간 도시 간 철도의 총 교통 분담률은 50%를 넘었으며,[21] 용산과 호남고속철도 종착역인 목포와 광주 간에는 항공 및 승용차를 희생시키면서 상당한 성장을 보였다.[21]

호남고속철도가 운행되는 특정 노선의 교통 분담률 변화


2011년 4월부터 새로운 전라 KTX 서비스는 익산까지 호남 KTX와 선로를 공유하다가 그곳에서 갈라져 전라선을 따라 여수에 도착할 예정이다.[22] 또한 코레일은 2012년부터 인천국제공항까지 인천공항철도 노선을 이용하는 일부 KTX 직통 서비스를 운영할 계획이며,[23] 인천국제공항과 광주 사이의 예상 소요 시간은 3시간이다.[24]

2014년부터 호남 KTX 노선은 경부고속철도 오송과 광주송정 사이의 호남고속철도로 이전될 예정이며. 2017년까지는 목포까지 남은 구간도 신선으로 이전될 예정이다.

7. 각주

참조

[1] 논문 Plan for Honam High-Speed Railway http://168.126.177.5[...]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6-07-01
[2] 웹사이트 http://www.moodeungi[...] Moodeung Ilbo 2005-01-15
[3] 웹사이트 Seoul–Honam Bullet Train Set for Completion by 2015 http://www.investkor[...] Invest KOREA 2005-12-08
[4] 웹사이트 High-Speed Train to Extend Southwest Route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06-08-23
[5] 논문 High Speed Rail Construction of Korea and Its Impact http://168.126.177.5[...]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6] 웹사이트 High-speed railway pushed forward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09-01-12
[7] 웹사이트 Research underpins Korail's drive to be a global player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07-05-01
[8] 웹사이트 Skepticism Lingers Over Honam KTX Line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9-12-06
[9] 웹사이트 Railway to the future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09-12-05
[10] 웹사이트 호남고속철도 http://www.krnetwork[...]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11] 웹사이트 Train Routes to Be Split Between Seoul, Yongsan Stations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04-11-12
[12] 논문 Launch of Korean High-Speed Railway and Efforts to Innovate Future Korean Railway http://www.jrtr.net/[...] 2007-08-01
[13] 웹사이트 KTX Time Table 2010.11.01 http://info.korail.c[...] Korail
[14] 웹사이트 KTX 2010.11.01 http://info.korail.c[...] Korail
[15] 웹사이트 High Speed Rail in Korea http://cleanairiniti[...]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0-05-25
[16] 논문 EFFECTS OF THE KOREAN TRAIN EXPRESS (KTX) OPERATION ON THE NATIONAL TRANSPORT SYSTEM http://www.easts.inf[...]
[17] 웹사이트 http://www.ohmynews.[...] OhmyNews 2004-02-15
[18] 논문 http://www.irail.net[...] 2004-03-01
[19] 웹사이트 KTX 운임 및 예매기간 조정 알림 http://info.korail.c[...] Korail 2005-04-30
[20] 웹사이트 One year later, KTX faces rider shortfalls, complaints http://joongangdaily[...] Korea JoongAng Daily 2005-03-25
[21] 웹사이트 KTX 개통 5주년 보도자료 http://www.railsafet[...] Rail Safety Information System 2009-04-01
[22] 웹사이트 http://issue.chosun.[...] The Chosun Ilbo 2010-05-12
[23] 웹사이트 Bullet trains coming to a town near you by 2020 http://joongangdaily[...] Korea JoongAng Daily 2010-09-02
[24] 웹사이트 공항철도, KTX, 지하철 9호선과 직결 활성화 시킨다 http://www.electimes[...] Electimes 2010-09-30
[25] 웹사이트 호남고속철, 선로 용량 최대 73회 늘어난다···고속·일반 선로 http://www.ikld.kr/n[...]
[26] 웹사이트 湖南高速鉄道建設事業の推進現況と計画 http://www.krri.re.k[...]
[27] 웹사이트 全北商工、湖南高速鉄道路線当初どおりに履行要求 http://www.domin.co.[...]
[28] 뉴스 `1조 추가' KTX 무안공항 경유 노선 확정…내년 예산 규모 '주목' http://www.newsis.co[...] Newsis 2017-11-30
[29] 뉴스 호남KTX 2단계 노선, 무안공항 경유…"2025년 개통" https://news.naver.c[...] Moneytoday/Naver 2017-11-30
[30] 뉴스 호남KTX 목포 노선 무안공항 경유 합의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7-11-29
[31] 웹사이트 국토해양부 http://www.mltm.go.k[...]
[32] 웹사이트 "湖南高速鉄道の開通2年前倒ししたい" http://kjdaily.com/r[...]
[33] 웹사이트 朱昇鎔"湖南高速鉄2012完工不可能" http://news.hankooki[...]
[34] 웹사이트 호남고속철 2012년 완공 '물거품' http://www.jnilbo.co[...]
[35] 웹사이트 호남고속철 터널 붕괴현장 매몰자 숨진채 발견 http://article.joins[...]
[36] 뉴스 湖南高速鉄道車両の選定、また入札流れ http://www.seoul.co.[...]
[37] 뉴스 湖南高速鉄道車両の提供者として、現代ロテム選定 http://news.naver.co[...]
[38] 뉴스 湖南高速鉄道最長鶏龍トンネル20日貫通する http://economy.hanko[...]
[39] 뉴스 湖南·首都圏高速鉄道2014年に開通困難 制御システムなど工程に支障 http://www.seoul.co.[...]
[40] 뉴스 湖南高速鉄道光州松汀~木浦間の基本計画変更 http://newswire.seou[...]
[41] 뉴스 대한전선, 철도연 공동으로 세계 최초 400Km/h급 고속전차선 개발 http://www.newswire.[...]
[42] 뉴스 호남고속철도 최대 난구간 뚫렸다 http://www.gwangnam.[...]
[43] 뉴스 철도시설公, 호남고속철도 궤도공사 본격 추진(鉄道施設公、湖南高速鉄道軌道工事本格的に推進) http://news.naver.co[...]
[44] 뉴스 호남고속철도 전남·북 연결 노령터널 관통 http://www.yonhapnew[...]
[45] 뉴스 철도시설공단, 호남고속철도 고속분기기 계약(鉄道施設公団、湖南高速鉄道高速分岐器契約) http://www.asiae.co.[...]
[46] 뉴스 호남고속철도 최대 난공사구간 갈산터널 완공(湖南高速鉄道最大の難工事区間葛山トンネル完成) http://view.asiae.co[...]
[47] 뉴스 철도공단, 호남고속선에서 신형 고속열차 본격 시운전 착수(鉄道公団、湖南高速線で新型高速列車本格試運転開始) http://www.ajunews.c[...]
[48] 뉴스 国土部、湖南高速鉄道松亭〜鼓膜ウォン建設計画告示 -2015.9.8/ノーカットニュース http://www.nocutnews[...]
[4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649호
[50] 뉴스인용 호남고속철 착공..익산서 '첫 삽' https://news.naver.c[...] 2009-07-24
[51] 기타
[52] 기타
[53] 웹사이트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 변경 고시문 http://www.molit.go.[...] 2018-08-03
[54] 뉴스인용 호남선KTX '서대전역 경유 요구' 광주도 반발 https://news.naver.c[...] 2013-01-02
[55] 뉴스인용 [현장추적] KTX 공주역, 정치권 입김에 ‘유령역’ 우려 https://news.kbs.co.[...] 2014-10-09
[56] 뉴스인용 호남고속철도 ‘공주역’ 명칭 놓고 논란 http://view.asiae.co[...] 2014-05-14
[57] 뉴스인용 KTX 익산역, 역사 추가 신설문제로 다시 ‘시끌’ http://ilyo.co.kr/?a[...] 2014-10-01
[58] 뉴스인용 광주송정역으로 확정 http://news.donga.co[...] 2011-02-15
[59] 뉴스인용 호남고속철 KTX 광주권 정차역 논란 가중 https://news.naver.c[...] 2011-04-07
[60] 뉴스인용 KTX 광주역 진입 물건너 가나…'타당성 낮다' 용역결과 https://news.naver.c[...] 2013-04-23
[61] 뉴스인용 국토부 "KTX 광주역 진입 방식 2014년 하반기 결정 https://news.naver.c[...] 2013-07-14
[62] 뉴스인용 코레일 외면’ 호남고속철 광주역 진입 빨간불 http://www.gjdream.c[...] 2015-01-12
[63] 뉴스인용 '서대전 경유 KTX 광주역까지 연장' 건의…국토부는 "불가" http://www.yonhapnew[...] 2015-02-16
[64] 뉴스인용 반재신 광주시의원 "KTX 광주역 진입방안 없으면 폐쇄해야" http://news1.kr/arti[...] 2015-02-12
[65] 웹인용 호남고속철도 2단계 무안공항 경유노선으로 추진 http://www.molit.go.[...] 2017-11-30
[66] 기타
[67] 뉴스 호남고속철도 입찰 담합 또 적발…과징금 130억원 https://news.naver.c[...] 뉴시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