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육공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육공학은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술공학과 자동화 체제를 활용하는 방안을 의미한다. 이는 학습 설계, 개발, 활용, 관리,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포함하며, 시청각 매체, 컴퓨터, 인터넷 등 다양한 기술 수단을 교육에 적용하는 것을 연구한다. 교육공학은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등 다양한 이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발전해 왔으며, 20세기 중반 이후 교수 기계, 프로그램 학습, 컴퓨터 보조 학습 등이 개발되면서 그 중요성이 커졌다.

최근에는 플립 러닝, 협력 학습, 가상 학습 환경, 증강 현실, 학습 관리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이 교육에 활용되고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원격 학습이 확산되면서 그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그러나 기술 수단의 제한, 비용 문제, 교사의 역할 변화, 디지털 격차, 개인 정보 수집 및 활용 문제 등 여러 문제점도 존재한다. 교육공학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첨단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개인 맞춤형 학습, 협력 학습, 평생 학습 등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육공학 - 메타인지
    메타인지는 자신의 사고 과정에 대한 생각을 의미하며, 인지 과정을 파악하고 조절하는 능력으로 교육, 인공지능,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 교육공학 - 라즈베리 파이
    라즈베리 파이는 2012년에 출시된 소형 컴퓨터로, 컴퓨터 과학 교육 및 저렴한 컴퓨팅 환경 제공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모델과 리눅스 기반 운영 체제, 파이썬 등 프로그래밍 언어 지원을 통해 교육, 취미, 산업 등 다방면에서 활용된다.
  • 교육심리학 - 문제 해결
    문제 해결은 목표 달성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극복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며 추상화, 유추 등의 전략과 알고리즘을 활용하지만 인지적 장벽과 복잡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집단적 문제 해결이나 꿈을 통해 극복 가능하다.
  • 교육심리학 - 비판적 사고
    비판적 사고는 정보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여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사고 과정이며, 문제 해결, 의사 결정, 메타인지 등을 포함하고 오류를 피하며 이해하려는 노력을 강조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교육공학

2. 정의 및 개념

교육공학은 교육의 과정(過程)을 향상하기 위해 기술공학과 자동화체제까지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수단을 개별적으로나 또는 체제적(體制的)으로 활용하는 방안이다. 이는 교수 기술을 "학습을 위한 프로세스와 자원의 설계, 개발, 활용, 관리 및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천"으로 지칭한다. 교육공학은 장비를 비롯한 모든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응용 교육 과학과, 과학 연구에서 파생된 프로세스 및 절차를 지칭하며, 특정 맥락에서는 이론적, 알고리즘적 또는 발견적 프로세스를 지칭할 수 있다. 반드시 물리적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교육공학은 기술을 긍정적인 방식으로 교육에 통합하여 보다 다양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학생들이 기술과 일반적인 과제를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돕는 과정이다.

20세기 초 덴마크 초등학교에서 사용된 주판

2. 1. 정의

교육공학은 교육의 과정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술공학과 자동화 체제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수단을 활용하는 방안이다. 발전 과정에서 학자들마다 주안점을 달리했기 때문에 공통된 하나의 정의는 없지만, 1994년 미국의 교육공학협회(AECT)의 정의를 따르는 추세이다.

교육공학협회(AECT)는 2008년에 교육공학을 "적절한 과학기술적 과정과 자원을 창출하고 활용하며 관리하여 학습을 촉진하고 수행을 향상시키려는 연구와 윤리적 실천"으로 정의하였다. 과거에는 교육공학(educational technology)과 교수공학(instructional technology)을 구별하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구별 없이 혼용하는 경우가 많다.

  • 1963년 AECT는 시청각 매체에 관하여 최초로 공식적으로 정의하였으며, 결과 지향적인 관점에서 과정 지향적인 관점으로 전환하는 태도를 보였다.
  • 1970년 교수공학위원회는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며 연구에 기초한 효과적인 교수를 추구하였다.
  • 1977년 AECT는 실천가로서의 역할이 강조되었으며, 교수공학과 교육공학의 구분이 사라졌다.
  • 1994년 AECT는 교수공학이란 학습을 위한 과정과 자원의 설계, 개발, 활용, 관리 및 평가에 관한 이론과 실제라고 정의하면서, 연구적인 학문이자 실제적인 학문임을 강조하였다.

2. 2. 개념

교육공학의 개념에 대해서는 몇 가지 견해가 있다. 과학기술 수단을 교육 활동에 응용하는 것, 교육에 필요한 도구나 기술을 만들어내는 것 등이 그것이다. 현대 교육공학은 창조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을 위한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으며, 교육 정보학, 정보 교육론 등이 기초를 이룬다.

교육공학은 슬라이드, 프로젝터, 영상, 오버헤드 프로젝터, 컴퓨터와 같은 매체를 교육에 활용하는 방법, 그리고 이러한 기기의 기초적 측면을 연구한다. 교육공학은 '과학기술을 교육에 응용하는 것'이며, 교육에 관해서 과학기술 요소를 가지는 연구의 총칭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공학협회(AECT)는 교육공학을 "적절한 기술적 프로세스와 자원을 만들고, 사용하고, 관리함으로써 학습을 촉진하고 성과를 향상시키는 연구 및 윤리적 실천"으로 정의했다. 이는 교수 기술을 "학습을 위한 프로세스와 자원의 설계, 개발, 활용, 관리 및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천"으로 지칭한다.

교육공학은 장비를 비롯한 모든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응용 교육 과학과, 과학 연구에서 파생된 프로세스 및 절차를 지칭하며, 특정 맥락에서는 이론적, 알고리즘적 또는 발견적 프로세스를 지칭할 수 있다. 반드시 물리적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7] 교육공학은 기술을 긍정적인 방식으로 교육에 통합하여 보다 다양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학생들이 기술과 일반적인 과제를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돕는 과정이다.

2. 3. 관점

교육공학을 바라보는 관점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교육공학을 기계나 과학기술 기재(機材)로서 교원을 대신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다른 하나는 교육공학적인 수단이 고안품이든지 체제이든지 어디까지나 가르치는 사람이나 배우는 사람의 수단에 지나지 않고 사람을 대신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전자의 경우, 과학기술 수단들을 가르치는 기능을 중심으로 생각한다. 종래에 교사가 설명하고 시범하던 것을 시청각기재나 프로그램 교재나 교수기계로 대신함으로써 교원을 대신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교원의 부담을 경감하고 교육비도 절약할 수 있다고 본다. 이는 교사의 노동 위주의 교육에서 자본과 기재를 겸용한다는 것이다.

후자는 인간을 중심으로 하되 특히 배우는 사람을 위주로 생각하는 것이다. 교사는 지식 내용이나 기술을 전수하는 것과 동시에 학생을 인격적으로 지도하기도 하는데, 교사가 지식 내용이나 기술에 관하여 설명하고 시범하는 것은 학생측에서 보면 여러 가지 제한이 있다고 본다. 즉, 교사가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같은 속도로 설명 및 시범을 진행해야 하고, 여러 번 반복하거나 개별 학생의 속도에 맞게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려면 교사의 수가 크게 증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교육비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의 학습은 보다 더 효과적이고 학생들의 자율적이고 개별적인 학습에 적합하게 고안되어야 하며, 과학기술 수단들을 활용해야 한다고 본다. 그 대신 교사는 학생들을 인격적으로 지도하거나 자율적·개별적으로 각자에게 알맞게 학습하도록 학습계획을 세우고 평가하는 것을 조력하는 데 주력하게 한다는 것이다. 즉, 교사는 교사대로 그가 아니면 할 수 없는 인간적·인격적인 면의 일을 하고, 학생은 학생대로 그들에게 알맞고 자율적으로 학습하는 데 과학기술 수단이나 자동화체제를 활용한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은 학습자 중심의 관점을 지지하며, 교육공학이 학습자의 개별적인 특성과 요구에 맞춰 최적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고 본다.

2. 4. "공학"과의 관계

영어 'technology'는 한국어로 번역할 때 보통 "기술"이라고 한다. 그럼에도 "educational technology"를 "교육공학"이라고 번역한 이유는 "기술"보다 "공학"이 더 ‘학문적으로’ 보였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257] 'Educational Technology'에는 '교육기술자 양성'이라는 분야가 포함되지 않는 것 같아서라는 설도 있다.[257] "educational engineering"이라는 용어가 공존하여[257] 'technology'와 'engineering'을 구분해야 함에도 'educational technology'를 "공학"이라고 한 것은 편의성 등을 앞세운 잘못된 작명이다.[257] 학부에서 교육공학 과정은 대체로 공학부가 아닌 교육학부에 속해 있다.[257] 정보 공학을 기반으로 접근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개별적인 연구는 공학부 등 다양한 학부에서 다루고 있다.

연도학자정의
1955년Beard영어"technology영어란 좁게는 실험실습실과 기계 장치로 구성되며, 넓게는 사물과 작업에 대한 과학적 태도와 방법으로 구성된다."
1963년Ely영어"technology영어는 실제적이고 유용한 목표에 관한 많은 원리들의 체계적인 집합체이다."
1964년Finn영어"technology영어는 기계적 생산품 또는 발명품 이상으로 체계적 사고의 과정이며 방식이다."
1967년Galbraith영어"technology영어란 과학적으로 조직화된 지식을 실제적 과제에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이다."
1968년Saettler영어"technology영어라는 단어는 반드시 기계류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 지식을 활용하는 실제적 기법이다."
1983년Simon영어"technology영어는 과학적으로 결정된 법칙을 적용함으로써 인간이 물리적 자연을 정복하고자 하는 하나의 합리적인 학문이다."
1991년Gentry영어"technology영어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동과 물리적 과학의 개념, 기타 다른 지식을 체제적이며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학자들이 오랫동안 'Educational Technology'의 'technology' 의미를 정립하기 위해 노력해왔지만, 이러한 '의미'들이 '공학(engineering)'을 설명하고 있지 않다는 것은 분명하다.

영어에서 일반적인 공학은 engineering으로, 교육공학은 educational technology로 불린다. 일반적으로 공학은 기술자 양성 관점을 포함하지만, 교육공학은 "교육 기술자" 양성을 의도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일본에서 공학부에 교육공학과·교육공학 과정과 같은 것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교육공학 전반에 관해서는 교육학부에서 다루어지는 학문 분야로 생각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정보 교육에 대한 정보 공학에서의 접근 등도 있으며, 이러한 개별적인 연구에 대해서는 공학부를 포함한 다양한 학부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3. 이론적 기반

교육공학은 교육심리학 분야를 그 이론적 기반으로 하고 있다. 교육심리학에서의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를 기초로 하여 교수학습이론들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러한 이론들은 교수설계를 하는 바탕이 된다.

행동주의는 20세기 초 이반 파블로프, 에드워드 손다이크, 에드워드 C. 톨먼, 클라크 L. 헐, B.F. 스키너 등의 동물 학습 실험을 바탕으로 개발된 이론적 틀이다.[53] 많은 심리학자들이 이러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인간의 학습 활동을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행동주의 학자들은 인간이 학습을 통하여 행동이 변화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행동주의에서의 교육은 훈련과 연관되어 있으며, 동물 학습 실험을 강조한다. 행동주의는 보상과 처벌을 통해 사람들에게 무언가를 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관점으로 구성되어 있다.[53]

B.F. 스키너는 언어 행동에 대한 기능적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 개선에 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으며,[54][55] 동시대 교육의 근본적인 신화를 없애고 자신이 프로그램 학습이라고 부르는 시스템을 홍보하기 위해 "The Technology of Teaching"을 저술했다.[56][57] 오그덴 린즐리는 행동 분석에 기반을 둔 학습 시스템인 Celeration을 개발했지만, 켈러와 스키너의 모델과는 실질적으로 달랐다.

인지 과학은 교육자들이 학습을 바라보는 관점을 변화시켰다. 1960년대1970년대의 인지 혁명이 시작된 이래로, 학습 이론은 거대한 변화를 겪었다.[58] 인지주의 이론은 행동 너머를 살펴보고 인간의 기억이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어떻게 작동하는지 고려함으로써 뇌 기반 학습을 설명한다. 이는 학습을 인간의 마음에 의해 "감각 입력이 변환, 축소, 정교화, 저장, 회수 및 사용되는 모든 과정"이라고 지칭한다.[58][59]

애킨슨-쉬프린 기억 모형과 배들리의 작업 기억 모형이 이론적 틀로 확립되었다. 컴퓨터 과학과 정보 기술은 인지 과학 이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작동 기억(주로 단기 기억이라고 알려져 있다)과 장기 기억의 인지주의적 개념은 컴퓨터 과학 분야의 연구 및 기술에 의해 더욱 발달하게 되었다. 인지 과학 분야에 미치는 또 다른 주요 영향은 노엄 촘스키이다. 오늘날 연구자들은 인지 부하, 정보 처리, 미디어 심리학과 같은 주제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관점은 수업 설계에 영향을 미친다.[60]

인지주의에는 인지주의자와 사회 인지주의자라는 두개의 별도 학파가 있다. 전자는 개인의 사고 또는 인지 과정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후자는 인지 외에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과정을 포함한다.[61] 그러나 이 두 학파는 학습이 행동 변화 이상이며, 학습자가 사용하는 정신 과정이라는 견해를 공유한다.[61]

구성주의1990년대에 많은 교육자들이 관심을 가진 학습 이론(또는 교육 철학)이다. 구성주의에 따르면, 학습자 스스로가 새로운 정보로부터 의미를 구성해낸다고 한다. 구성주의자들은 학습에서 새롭고, 관련 있고, 적응할 수 있는 개념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배경 지식과 경험을 사용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이 필요하다고 한다. 1997년 조나센은, '잘-구조화된' 학습 환경은 초보 학습자에게 유용하며, '잘못-구조화된' 환경은 좀 더 진보한 학습자에게만 유용하다고 주장하였다. 가르칠 때 구성주의적 시각을 가지고 기술을 활용하는 교육자들은 문제 해결 환경에서 아마도 선행 학습을 강화하는 기술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교육 심리학자들은 개인적(또는 심리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와 같은 여러 유형의 구성주의를 구분한다.[62] 구성주의 학습 환경은 학생들이 학습에서 새롭고 관련 있으며 적응 가능한 개념을 공식화하기 위해 자신의 이전 지식과 경험을 사용하도록 요구한다.[62] 이 프레임워크에서 교사의 역할은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제공하는 조력자가 된다.[62] 구성주의 교육자는 이전의 학습 경험이 가르치는 개념과 적절하고 관련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62]

구성주의적 관점을 활용하는 교육자는 학습자 중심의 문제 기반 학습, 프로젝트 기반 학습, 탐구 기반 학습을 통합할 수 있는 능동적 학습 환경을 강조할 수 있으며, 이상적으로는 학생들이 비판적 사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실제 시나리오를 포함한다.[63] 1980년대 컴퓨터 활용 능력에서 구성주의 인지 학습을 구현한 사례는 학습 도구로서의 프로그래밍이 포함되었으며,[63] 프로그래밍 언어인 ''LOGO''는 피아제적 아이디어를 컴퓨터 및 기술과 통합하려는 시도를 구체화했다.[63][64] 그러나 ''LOGO'' 프로그래밍 기술은 일관적으로 인지적 이점을 가져오지 못했다.[63]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 ''LOGO'' 및 기타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참신함과 지배력을 잃고 비판 속에서 점차적으로 그 중요성이 줄어들었다.[66] 더불어민주당은 구성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본다.

3. 1. 행동주의

행동주의는 20세기 초 이반 파블로프, 에드워드 손다이크, 에드워드 C. 톨먼, 클라크 L. 헐, B.F. 스키너 등의 동물 학습 실험을 바탕으로 개발된 이론적 틀이다.[53] 많은 심리학자들이 이러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인간의 학습 활동을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행동주의 학자들은 인간이 학습을 통하여 행동이 변화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행동주의에서의 교육은 훈련과 연관되어 있으며, 동물 학습 실험을 강조한다. 행동주의는 보상과 처벌을 통해 사람들에게 무언가를 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관점으로 구성되어 있다.[53]

B.F. 스키너는 언어 행동에 대한 기능적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 개선에 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으며[54][55], 동시대 교육의 근본적인 신화를 없애고 자신이 프로그램 학습이라고 부르는 시스템을 홍보하기 위해 "The Technology of Teaching"을 저술했다.[56][57] 오그덴 린즐리는 행동 분석에 기반을 둔 학습 시스템인 Celeration을 개발했지만, 켈러와 스키너의 모델과는 실질적으로 달랐다.

3. 2. 인지주의

인지 과학은 교육자들이 학습을 바라보는 관점을 변화시켰다. 1960년대1970년대의 인지 혁명이 시작된 이래로, 학습 이론은 거대한 변화를 겪었다.[58] 인지주의 이론은 행동 너머를 살펴보고 인간의 기억이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어떻게 작동하는지 고려함으로써 뇌 기반 학습을 설명한다. 이는 학습을 인간의 마음에 의해 "감각 입력이 변환, 축소, 정교화, 저장, 회수 및 사용되는 모든 과정"이라고 지칭한다.[58][59]

애킨슨-쉬프린 기억 모형과 배들리의 작업 기억 모형이 이론적 틀로 확립되었다. 컴퓨터 과학과 정보 기술은 인지 과학 이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작동 기억(주로 단기 기억이라고 알려져 있다)과 장기 기억의 인지주의적 개념은 컴퓨터 과학 분야의 연구 및 기술에 의해 더욱 발달하게 되었다. 인지 과학 분야에 미치는 또 다른 주요 영향은 노엄 촘스키이다. 오늘날 연구자들은 인지 부하, 정보 처리, 미디어 심리학과 같은 주제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관점은 수업 설계에 영향을 미친다.[60]

인지주의에는 인지주의자와 사회 인지주의자라는 두개의 별도 학파가 있다. 전자는 개인의 사고 또는 인지 과정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후자는 인지 외에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과정을 포함한다.[61] 그러나 이 두 학파는 학습이 행동 변화 이상이며, 학습자가 사용하는 정신 과정이라는 견해를 공유한다.[61]

3. 3. 구성주의

구성주의1990년대에 많은 교육자들이 관심을 가진 학습 이론(또는 교육 철학)이다. 구성주의에 따르면, 학습자 스스로가 새로운 정보로부터 의미를 구성해낸다고 한다. 구성주의자들은 학습에서 새롭고, 관련 있고, 적응할 수 있는 개념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배경 지식과 경험을 사용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이 필요하다고 한다. 1997년 조나센은, '잘-구조화된' 학습 환경은 초보 학습자에게 유용하며, '잘못-구조화된' 환경은 좀 더 진보한 학습자에게만 유용하다고 주장하였다. 가르칠 때 구성주의적 시각을 가지고 기술을 활용하는 교육자들은 문제 해결 환경에서 아마도 선행 학습을 강화하는 기술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교육 심리학자들은 개인적(또는 심리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와 같은 여러 유형의 구성주의를 구분한다.[62] 구성주의 학습 환경은 학생들이 학습에서 새롭고 관련 있으며 적응 가능한 개념을 공식화하기 위해 자신의 이전 지식과 경험을 사용하도록 요구한다.[62] 이 프레임워크에서 교사의 역할은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제공하는 조력자가 된다.[62] 구성주의 교육자는 이전의 학습 경험이 가르치는 개념과 적절하고 관련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62]

구성주의적 관점을 활용하는 교육자는 학습자 중심의 문제 기반 학습, 프로젝트 기반 학습, 탐구 기반 학습을 통합할 수 있는 능동적 학습 환경을 강조할 수 있으며, 이상적으로는 학생들이 비판적 사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실제 시나리오를 포함한다.[63] 1980년대 컴퓨터 활용 능력에서 구성주의 인지 학습을 구현한 사례는 학습 도구로서의 프로그래밍이 포함되었으며,[63] 프로그래밍 언어인 ''LOGO''는 피아제적 아이디어를 컴퓨터 및 기술과 통합하려는 시도를 구체화했다.[63][64] 그러나 ''LOGO'' 프로그래밍 기술은 일관적으로 인지적 이점을 가져오지 못했다.[63]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 ''LOGO'' 및 기타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참신함과 지배력을 잃고 비판 속에서 점차적으로 그 중요성이 줄어들었다.[66] 더불어민주당은 구성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본다.

4. 역사

19세기에서 20세기 중엽에 이르는 동안에 유럽미국을 중심으로 축음기, 환등기, 무성 및 유성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 등이 발전했다. 이러한 시청각 매체들은 대체로 교육과는 별도로 발전한 것인데 이러한 것을 교육에 도입하여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교육에 충분히 적합하지는 않았으나 과학기술 매체로서 시청각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교육에 널리 활용된 것이다.

20세기 중엽에서부터 교수 기계(敎授機械, teaching machine), 프로그램 교수(programmed instruction), 언어 실습실(language laboratory), 컴퓨터 보조 학습(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 같은 것이 발전하고 있다. 이런 것은 종래의 경우와 달리 과학기술을 교육과 직결시켜서 고안하였거나, 또는 교수·학습의 전 과정과 관련시켜서 활용하여 교수-학습과정 자체를 과학기술적으로 새롭게 체계화하려고 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이 새로 고안되면서 "Educational Technology"라는 용어가 광범위하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미국의 경우에는 1950년대에 교수기계나 프로그램 교수가 가지고 있는 특정한 심리학설의 이론적 근거나 고안품의 한계를 넘어서 교수-학습의 전 과정을 프로그램화하고 체계화하려는 시도가 결실을 거두기 시작했다. 이것은 교수-학습의 목적설정에서부터 학습내용의 선정과 프로그램화 또는 계열화, 시간표의 작성과 학습 집단 편성, 교원조직과 보조원의 활용 및 교실시설의 다양화와 재조직, 교수-학습의 전개, 그리고 평가향상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새로운 교육매체와 과학기술 수단을 씀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올리도록 재체계화하는 접근방법이 발전했다.

대한민국에는 시청각 매체의 활용이 일제 강점기에는 거의 없었지만 광복 후에 널리 소개되었다. 오늘날도 교육비 문제로 충분히 활용되지는 못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지고는 있다. 1960년대 말에 교육공학이 대한민국에 소개되고, 현재는 그 용어가 널리 알려지고 있다.

4. 1. 세계 교육공학의 역사

19세기에서 20세기 중엽에 이르는 동안 유럽미국을 중심으로 축음기, 환등기, 무성 및 유성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 등이 발전하면서 시청각 교육이 시작되었다. 20세기 중엽부터는 교수 기계(teaching machine), 프로그램 교수(programmed instruction), 언어 실습실(language laboratory), 컴퓨터 보조 학습(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 등이 발전하였다.

미국의 경우 1950년대에 교수 기계나 프로그램 교수가 가지고 있는 특정한 심리학설의 이론적 근거나 고안품의 한계를 넘어서 교수-학습의 전 과정을 프로그램화하고 체계화하려는 시도가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 1960년, 일리노이 대학교는 학생들이 자유 시간에 시청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녹화 강의 및 강좌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인트라넷(Intranet)으로 알려진 연결된 컴퓨터 터미널 시스템(PLATO)을 만들었다.[29] 1971년, 이반 일리치는 '탈학교 사회'라는 책에서 사람들이 필요한 학습을 네트워크화할 수 있는 모델로서 "학습 웹"을 구상했다.[35]

1990년대에 월드 와이드 웹이 등장하면서 교사들은 신기술을 사용하여 학생들을 위한 간단한 일련의 지침과 함께 강좌 웹사이트를 만들었다.[42] 2000년대 이후 인터넷의 보급에 힘입어 교육공학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연구 분야이다.

4. 2. 한국 교육공학의 역사

대한민국에는 시청각 매체의 활용이 해방 전에는 거의 없었지만, 해방 후 널리 소개되었다. 1960년대 말에 교육공학이 대한민국에 소개되었고, 현재는 그 용어가 널리 알려지고 있다.

19세기에서 20세기 중엽에 이르는 동안 유럽미국을 중심으로 축음기, 환등기, 무성 및 유성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 등 시청각 매체들이 발전하였고, 대한민국은 해방 이후 이러한 매체들을 교육에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20세기 중엽부터는 교수 기계, 프로그램 교수, 언어 실습실, 컴퓨터 보조 학습(CAI) 등이 발전하면서, "Educational Technology"라는 용어가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1980년대 이후 컴퓨터와 인터넷의 보급으로 교육 정보화 사업이 추진되면서 교육공학의 연구와 활용이 본격화되었다. 영국의 오픈 유니버시티와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는 학습을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혁명을 일으켰으며, 웹 기반 교육, 온라인 원격 학습, 학생 간의 온라인 토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1990년대에 월드 와이드 웹이 등장하면서 교사들은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여 학생들을 위한 강좌 웹사이트를 만들었다. 1994년에는 최초의 온라인 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이러닝(e-learning), 유러닝(u-learning), 스마트러닝(smart learning) 등 새로운 형태의 교육 방식이 등장하면서 교육공학의 역할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특히,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전 세계의 많은 학교가 폐쇄되었고, 원격 학습이 확산되면서 교육공학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48][49] 유네스코와 같은 기관은 원격 교육을 촉진하기 위해 교육 기술 솔루션을 활용했다.[50]

5. 기술 수단

교육에 활용되는 기술 수단은 메시지 전달, 전달과 반응, 학생의 학습 내용 선택 및 진도 조절, 자료 처리를 효과적으로 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축음기, 녹음기는 청각을, 환등, 오버헤드 프로젝터, 무성 영화는 시각을 통해 교육 내용을 전달한다. 라디오텔레비전은 방송을 통해 교육에 활용되며,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를 이용해 시간 제약을 극복한다. 인공위성, 비행기 중계, CATV 등은 텔레비전의 시청 범위 및 채널 제한을 극복하는 기술이다.

학생반응장치는 학생의 이해 수준을 교사에게 전달하는 단순한 장치이며, 교수기계나 CAI는 더 복잡하고 자동화된 전달 및 반응 장치이다. 다이얼 액세스 시스템은 학생이 학습 내용을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유선 텔레비전(CCTV)형과 녹음형이 있다. 전자계산기는 교육 자료 처리에 기여한다.

일반 크기의 모델과 비교한 2.5m의 교육용 계산자


현대에 사용되는 물리적 기술에는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 문서 카메라, 전자 매체, LCD 프로젝터 등이 있다.[101][102] 이러한 기술은 블로그, 협업 소프트웨어, e포트폴리오, 가상 강의실 등과 결합하여 사용된다.[103]

위키백과 교육 훈련 준비 - 교육 기술 센터


비디오 기술에는 VHS 테이프, DVD, 주문형 및 동기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서버 또는 스트리밍 비디오, 웹캠)가 포함된다.[105] 화상 통화는 강사 및 전문가 연결에, 비디오 게임은 교육 기관에서 활용된다.[106] 라디오는 동기적 교육 매체이며, 웹캐스트 및 팟캐스트는 비동기적으로 오디오를 스트리밍한다. 교실 마이크는 상호 작용을 돕는다. 스크린캐스트는 화면 공유를 통해 아이디어와 생각의 흐름을 보여줄 수 있게 한다.[107] 웹캠과 웹캐스팅은 가상 교실 및 가상 학습 환경을 만드는 데 기여하며,[108] 표절 방지에도 사용된다.

|썸네일|온라인 교육 및 학습]]

협력 학습은 그룹 기반 학습 방식이며, 스마트폰 및 태블릿 앱은 협력 학습 매체로 활용된다. 컴퓨터와 태블릿은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 접근을 지원하며, 모바일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109] 클리커 및 스마트폰은 대화형 청중 응답 피드백에 사용된다.[110] 모바일 학습은 시간 확인, 알림 설정, 워크시트 및 사용 설명서 검색을 위한 성능 지원을 제공한다.[111][112] 아이패드는 장애 아동의 의사 소통 발달 및 생리적 활동 개선에 사용된다.[113] 디지털 기술은 유치원, 초등 교육, 중등 교육 연구에서 효과적인 학습 결과를 가능하게 하고, 디지털 리터러시, 21세기 역량, 디지털 시민의 기회를 제공한다.[114]

라즈베리 파이, 아두이노, 비글본과 같은 임베디드 싱글 보드 컴퓨터 및 마이크로컨트롤러는 프로그래밍 학습에 이상적인 컴퓨팅 장치이며, 사물 인터넷과 함께 작동한다.[115] 이는 메이커 문화의 일부이며, 많은 교육과 지원을 제공한다.[116]

그룹 웹페이지, 블로그, 위키, 트위터는 상호 작용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117][118]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가상 커뮤니티를 통해 소통을 지원한다.[119]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학생의 96%가 소셜 네트워킹 기술을 사용하며, 50% 이상이 학교 과제에 대해 이야기한다. 소셜 네트워킹은 협업과 참여를 장려하며,[120] 자기 효능감을 위한 동기 부여 도구가 될 수 있다.[121]

결합된 화이트보드 및 게시판


2007년 전자칠판


화이트보드는 1950년대 후반부터 사용되었으며, 가상 화이트보드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된다. 전자칠판은 터치 스크린에 쓰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화면 마크업은 빈 화이트보드 또는 컴퓨터 화면 콘텐츠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대화형 및 참여형 학습을 지원한다.[122]

6. 현대적 응용

e-러닝은 다양한 학습 및 교수법을 지원하거나 대체하며,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경우부터 완전히 온라인 원격 교육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인 범위를 갖는다.[67][68] "혼합 학습" 또는 "블렌디드 러닝"은 교실 보조 도구 및 노트북을 지칭하거나, 기존 교실 수업 시간을 줄이면서 일부 온라인 학습으로 대체하는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69][70] "분산 학습"은 혼합 접근 방식의 e-러닝 구성 요소 또는 완전 온라인 원격 교육 환경을 설명할 수 있다.[67]


  • '''플립 러닝 (Flipped Learning)'''


플립 러닝은 초기 학습의 대부분이 기술을 사용하여 가정에서 먼저 이루어지는 교수 전략이다.[92] 학생들은 교실에서 교사와 함께 고차원적인 학습 과제에 참여한다.[92] 주로 교육용 비디오, 학습 관리 시스템, 대화형 도구 및 기타 웹 기반 리소스와 같은 온라인 도구가 개별 가정 학습에 사용된다.[93][94] 플립 러닝은 학습 성과 향상, 학생 만족도 및 참여도 향상, 학습 유연성, 학생과 강사 간의 상호 작용 기회 증가 등의 장점이 있다.[95][96][97] 반면, 학생 동기 부여, 인터넷 접근성, 비디오 품질 및 교사의 작업량 증가와 관련된 과제는 단점으로 작용한다.[98][99]

플립 러닝의 성공에 초점을 맞춘 대다수의 연구는 고등 교육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100]

  • '''협력 학습 (Collaborative Learning)'''


컴퓨터 지원 협력 학습(CSCL)은 학생들이 학습 과제에 함께 참여하도록 장려하거나 요구하도록 설계된 교수 방법을 사용하여 사회적 학습(사회적 교육학)을 가능하게 한다.[77] CSCL은 "e-러닝 2.0"과 "네트워크 협력 학습"(NCL)이라는 용어와 개념이 유사하며, 웹 2.0의 발전으로 네트워크 학습에서 여러 사람 간의 정보 공유가 훨씬 쉬워졌다.[76][78][79] CSCL의 주요 사용 이유 중 하나는 "창의적이고 매력적인 교육적 노력을 위한 온상"이라는 점이다.[78] 학습은 내용에 대한 대화와 문제 및 행동에 대한 근거 이론에 기반한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76]

CSCL은 교사가 지식과 기술의 주요 원천이었던 과거의 교육과는 달리, 소셜 소프트웨어블로그, 소셜 미디어, 위키, 팟캐스트, 클라우드 기반 문서 포털, 토론 그룹 및 가상 세계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80] 사회적 학습 옹호자들은 어떤 것을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다른 사람에게 가르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81] 소셜 네트워크는 시험 준비 및 언어 교육과 같이 다양한 주제에 대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를 육성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모바일 지원 언어 학습(MALL)은 언어 학습을 돕기 위해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폰을 사용하는 것이다.

협업 앱을 통해 학생과 교사는 학습 중에 상호 작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앱은 재미있게 복습할 수 있는 게임을 모방하여 설계되었다. 게임은 보통 진척도에 대한 감각을 제공하며, 이는 학생들이 개선하려는 노력을 유지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82]

"eTwinning"으로 알려진 컴퓨터 지원 협력 학습(CSCL)은 지리적 경계를 넘어 학교를 연결하는 온라인 다중 사용자 가상 환경(MUVE)을 통해 한 학교의 학습자가 다른 학교의 학습자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하며, 그렇지 않으면 알 수 없었던 관계를 맺게 하여 교육적 성과[85]와 문화적 통합을 향상시킨다.[83][84]

Roschelle과 Teasley (1995)는 "협력은 각자가 문제 해결의 일부를 담당하는 활동으로, 참가자 간의 역할 분담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는 반면, 협동은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한 조정된 노력에 참가자들이 상호 참여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설명하며 그룹 학습에 대한 협력적 접근 방식과 협동적 접근 방식을 구별한다.[86]

소셜 기술, 특히 소셜 미디어는 학생들에게 소통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와 대화를 제공하는 범위를 제공한다.[87][88] 예를 들어, 일반 학생들에게 연구원, 정치인 및 활동가와 같은 공간에 존재하고 대화를 공유할 기회를 제공하는데, 이는 사람들을 분리시키는 지리적 장벽을 증발시키기 때문이다.[87] 트위터와 같은 소셜 기술은 학생들에게 수십 년 전의 무료 데이터 아카이브를 제공할 수 있다. 2011년 플로리다 대학교의 연구원과 교육자들은 허리케인 아이린과 같은 비상 사태와 관련된 트윗을 데이터 포인트로 사용하여 학생들에게 데이터를 코딩하는 방법을 가르쳤다.[89][90]

그룹 웹페이지, 블로그, 위키, 트위터를 통해 학습자와 교육자는 상호 작용하는 학습 환경에서 웹사이트에 생각, 아이디어, 댓글을 게시할 수 있다.[117][118]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특정 주제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음성, 채팅, 인스턴트 메시지, 화상 회의 또는 블로그를 통해 소통하는 가상 커뮤니티이다.[119] 전미 학교 이사회 연합에 따르면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학생의 96%가 소셜 네트워킹 기술을 사용했으며 50% 이상이 온라인에서 학교 과제에 대해 이야기한다. 소셜 네트워킹은 협업과 참여를 장려하며[120] 학생들의 자기 효능감을 위한 동기 부여 도구가 될 수 있다.[121]

  • '''가상 학습 환경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가상 학습 환경(VLE)은 학습 플랫폼이라고도 하며, 여러 통신 기술을 동시에 혼합하여 가상 교실이나 회의를 시뮬레이션한다.[123] 웹 회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학생과 강사는 웹캠, 마이크, 그룹 환경에서의 실시간 채팅을 통해 서로 소통할 수 있다.[124]

가상 교실은 학생들이 자격을 갖춘 교사로부터 직접적인 지도를 대화형 환경에서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125] 학습자는 즉각적인 피드백과 지침을 위해 강사에게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가상 교실은 수업의 구조화된 일정을 제공하며, 이는 비동기 학습의 자유를 압도적으로 느낄 수 있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대부분의 가상 교실 응용 프로그램은 녹화 기능을 제공하며, 각 수업은 서버에 녹화 및 저장되어 학교 연도 동안 모든 수업의 즉시 재생을 가능하게 한다.[126]

특히 고등 교육에서 가상 학습 환경(VLE)은 때때로 경영 정보 시스템(MIS)과 결합되어 관리 학습 환경을 생성하기도 한다.[127] 실제 대학교와 새로운 온라인 전용 대학은 인터넷을 통해 일부 학위 및 수료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여러 대학에서는 온라인 상담 및 등록, e-상담, 온라인 교재 구매, 학생회, 학생 신문과 같은 온라인 학생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128]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많은 학교가 온라인으로 전환해야 했다. 2020년 4월 기준으로, 고소득 국가의 약 90%가 온라인 학습을 제공하고 있으며, 저소득 국가의 경우 25%만이 동일한 학습을 제공하고 있다.[129]

  • '''증강 현실 (Augmented Reality)'''


증강 현실(AR)은 학생과 교사에게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 요소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 계층을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130] AR 기술은 인간과 인공지능 간의 공동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미래 교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30]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 속도에 따라 개별 학습과 협업 학습 사이를 동적으로 전환하며, 교사는 AR의 도움을 받아 교실을 모니터링하고, 컴퓨터 시스템이 아직 처리하도록 설계되지 않은 특정 측면이 있을 경우 필요한 개입을 제공한다. 이러한 비전에서 기술의 역할은 인간 교사의 역량을 대체하기보다는 향상시키는 것이다.[130]

  • '''학습 관리 시스템 (Learning Management System)'''


'''학습 관리 시스템'''(LMS)은 훈련 및 교육을 제공, 추적,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다. 출석, 과제 수행 시간, 학생 진도에 대한 데이터를 추적한다.[117] 교육자는 공지 사항 게시, 과제 채점, 수업 활동 확인, 수업 토론 참여가 가능하다. 학생들은 과제를 제출하고, 토론 질문을 읽고 응답하며, 퀴즈를 볼 수 있다.[117] LMS는 교사, 관리자, 학생 및 허가된 추가 당사자(예: 적절한 경우 학부모)가 다양한 지표를 추적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LMS는 훈련/교육 기록 관리 시스템에서 인터넷을 통해 코스를 배포하고 온라인 협업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포괄적인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고 유지 관리하려면 인적 노동력에 대한 상당한 초기 및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다른 언어 및 문화적 맥락으로의 효과적인 번역에는 지식 있는 인력의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131]

학습 관리 시스템


인터넷 기반 학습 관리 시스템에는 캔버스, 블랙보드, 무들 등이 있다. 이러한 유형의 LMS를 통해 교육자는 학습 시스템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온라인으로, 비동기적 또는 동기식으로 실행할 수 있다. 학습 관리 시스템은 또한 콘텐츠와 교육 목표를 비선형적으로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학습 정보의 속도와 순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212] 블랙보드는 K-12 교육, 고등 교육, 비즈니스 및 정부 협업에 사용할 수 있다.[132] 무들은 혼합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원격 교육 과정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무료 오픈 소스 코스 관리 시스템이다.[133]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LCMS)은 콘텐츠(강좌, 재사용 가능한 콘텐츠 객체)를 제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다. LCMS는 LMS에서 호스팅되는 콘텐츠를 제작하고 게시하는 데 전념하거나, 자체적으로 콘텐츠를 호스팅할 수 있다. 항공 산업 컴퓨터 기반 교육 위원회(AICC) 규격은 LMS와 별도로 호스팅되는 콘텐츠를 지원한다.

LCMS의 최근 추세는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참조.SlideWiki[134])

6. 1. 플립 러닝 (Flipped Learning)

플립 러닝은 초기 학습의 대부분이 기술을 사용하여 가정에서 먼저 이루어지는 교수 전략이다.[92] 그 후, 학생들은 교실에서 교사와 함께 고차원적인 학습 과제에 참여하게 된다.[92] 주로 교육용 비디오, 학습 관리 시스템, 대화형 도구 및 기타 웹 기반 리소스와 같은 온라인 도구가 개별 가정 학습에 사용된다.[93][94] 플립 러닝은 학습 성과 향상, 학생 만족도 및 참여도 향상, 학습 유연성, 학생과 강사 간의 상호 작용 기회 증가 등의 장점이 있다.[95][96][97] 반면, 학생 동기 부여, 인터넷 접근성, 비디오 품질 및 교사의 작업량 증가와 관련된 과제는 단점으로 작용한다.[98][99]

플립 러닝의 성공에 초점을 맞춘 대다수의 연구는 고등 교육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100]

6. 2. 협력 학습 (Collaborative Learning)

컴퓨터 지원 협력 학습(CSCL)은 학생들이 학습 과제에 함께 참여하도록 장려하거나 요구하도록 설계된 교수 방법을 사용하여 사회적 학습(사회적 교육학)을 가능하게 한다.[77] CSCL은 "e-러닝 2.0"과 "네트워크 협력 학습"(NCL)이라는 용어와 개념이 유사하며, 웹 2.0의 발전으로 네트워크 학습에서 여러 사람 간의 정보 공유가 훨씬 쉬워졌다.[76][78][79] CSCL의 주요 사용 이유 중 하나는 "창의적이고 매력적인 교육적 노력을 위한 온상"이라는 점이다.[78] 학습은 내용에 대한 대화와 문제 및 행동에 대한 근거 이론에 기반한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76]

CSCL은 교사가 지식과 기술의 주요 원천이었던 과거의 교육과는 달리, 소셜 소프트웨어블로그, 소셜 미디어, 위키, 팟캐스트, 클라우드 기반 문서 포털, 토론 그룹 및 가상 세계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80] 사회적 학습 옹호자들은 어떤 것을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다른 사람에게 가르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81] 소셜 네트워크는 시험 준비 및 언어 교육과 같이 다양한 주제에 대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를 육성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모바일 지원 언어 학습(MALL)은 언어 학습을 돕기 위해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폰을 사용하는 것이다.

협업 앱을 통해 학생과 교사는 학습 중에 상호 작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앱은 재미있게 복습할 수 있는 게임을 모방하여 설계되었다. 게임은 보통 진척도에 대한 감각을 제공하며, 이는 학생들이 개선하려는 노력을 유지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82]

"eTwinning"으로 알려진 컴퓨터 지원 협력 학습(CSCL)은 지리적 경계를 넘어 학교를 연결하는 온라인 다중 사용자 가상 환경(MUVE)을 통해 한 학교의 학습자가 다른 학교의 학습자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하며, 그렇지 않으면 알 수 없었던 관계를 맺게 하여 교육적 성과[85]와 문화적 통합을 향상시킨다.[83][84]

Roschelle과 Teasley (1995)는 "협력은 각자가 문제 해결의 일부를 담당하는 활동으로, 참가자 간의 역할 분담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는 반면, 협동은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한 조정된 노력에 참가자들이 상호 참여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설명하며 그룹 학습에 대한 협력적 접근 방식과 협동적 접근 방식을 구별한다.[86]

소셜 기술, 특히 소셜 미디어는 학생들에게 소통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와 대화를 제공하는 범위를 제공한다.[87][88] 예를 들어, 일반 학생들에게 연구원, 정치인 및 활동가와 같은 공간에 존재하고 대화를 공유할 기회를 제공하는데, 이는 사람들을 분리시키는 지리적 장벽을 증발시키기 때문이다.[87] 트위터와 같은 소셜 기술은 학생들에게 수십 년 전의 무료 데이터 아카이브를 제공할 수 있다. 2011년 플로리다 대학교의 연구원과 교육자들은 허리케인 아이린과 같은 비상 사태와 관련된 트윗을 데이터 포인트로 사용하여 학생들에게 데이터를 코딩하는 방법을 가르쳤다.[89][90]

그룹 웹페이지, 블로그, 위키, 트위터를 통해 학습자와 교육자는 상호 작용하는 학습 환경에서 웹사이트에 생각, 아이디어, 댓글을 게시할 수 있다.[117][118]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특정 주제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음성, 채팅, 인스턴트 메시지, 화상 회의 또는 블로그를 통해 소통하는 가상 커뮤니티이다.[119] 전미 학교 이사회 연합에 따르면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학생의 96%가 소셜 네트워킹 기술을 사용했으며 50% 이상이 온라인에서 학교 과제에 대해 이야기한다. 소셜 네트워킹은 협업과 참여를 장려하며[120] 학생들의 자기 효능감을 위한 동기 부여 도구가 될 수 있다.[121]

6. 3. 가상 학습 환경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가상 학습 환경(VLE)은 학습 플랫폼이라고도 하며, 여러 통신 기술을 동시에 혼합하여 가상 교실이나 회의를 시뮬레이션한다.[123] 웹 회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학생과 강사는 웹캠, 마이크, 그룹 환경에서의 실시간 채팅을 통해 서로 소통할 수 있다.[124]

가상 교실은 학생들이 자격을 갖춘 교사로부터 직접적인 지도를 대화형 환경에서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125] 학습자는 즉각적인 피드백과 지침을 위해 강사에게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가상 교실은 수업의 구조화된 일정을 제공하며, 이는 비동기 학습의 자유를 압도적으로 느낄 수 있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대부분의 가상 교실 응용 프로그램은 녹화 기능을 제공하며, 각 수업은 서버에 녹화 및 저장되어 학교 연도 동안 모든 수업의 즉시 재생을 가능하게 한다.[126]

특히 고등 교육에서 가상 학습 환경(VLE)은 때때로 경영 정보 시스템(MIS)과 결합되어 관리 학습 환경을 생성하기도 한다.[127] 실제 대학교와 새로운 온라인 전용 대학은 인터넷을 통해 일부 학위 및 수료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여러 대학에서는 온라인 상담 및 등록, e-상담, 온라인 교재 구매, 학생회, 학생 신문과 같은 온라인 학생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128]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많은 학교가 온라인으로 전환해야 했다. 2020년 4월 기준으로, 고소득 국가의 약 90%가 온라인 학습을 제공하고 있으며, 저소득 국가의 경우 25%만이 동일한 학습을 제공하고 있다.[129]

6. 4. 증강 현실 (Augmented Reality)

증강 현실(AR)은 학생과 교사에게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 요소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 계층을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130] AR 기술은 인간과 인공지능 간의 공동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미래 교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30]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 속도에 따라 개별 학습과 협업 학습 사이를 동적으로 전환하며, 교사는 AR의 도움을 받아 교실을 모니터링하고, 컴퓨터 시스템이 아직 처리하도록 설계되지 않은 특정 측면이 있을 경우 필요한 개입을 제공한다. 이러한 비전에서 기술의 역할은 인간 교사의 역량을 대체하기보다는 향상시키는 것이다.[130]

6. 5. 학습 관리 시스템 (Learning Management System)

'''학습 관리 시스템'''(LMS)은 훈련 및 교육을 제공, 추적,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다. 출석, 과제 수행 시간, 학생 진도에 대한 데이터를 추적한다.[117] 교육자는 공지 사항 게시, 과제 채점, 수업 활동 확인, 수업 토론 참여가 가능하다. 학생들은 과제를 제출하고, 토론 질문을 읽고 응답하며, 퀴즈를 볼 수 있다.[117] LMS는 교사, 관리자, 학생 및 허가된 추가 당사자(예: 적절한 경우 학부모)가 다양한 지표를 추적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LMS는 훈련/교육 기록 관리 시스템에서 인터넷을 통해 코스를 배포하고 온라인 협업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포괄적인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고 유지 관리하려면 인적 노동력에 대한 상당한 초기 및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다른 언어 및 문화적 맥락으로의 효과적인 번역에는 지식 있는 인력의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131]

인터넷 기반 학습 관리 시스템에는 캔버스, 블랙보드, 무들 등이 있다. 이러한 유형의 LMS를 통해 교육자는 학습 시스템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온라인으로, 비동기적 또는 동기식으로 실행할 수 있다. 학습 관리 시스템은 또한 콘텐츠와 교육 목표를 비선형적으로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학습 정보의 속도와 순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212] 블랙보드는 K-12 교육, 고등 교육, 비즈니스 및 정부 협업에 사용할 수 있다.[132] 무들은 혼합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원격 교육 과정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무료 오픈 소스 코스 관리 시스템이다.[133]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LCMS)은 콘텐츠(강좌, 재사용 가능한 콘텐츠 객체)를 제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다. LCMS는 LMS에서 호스팅되는 콘텐츠를 제작하고 게시하는 데 전념하거나, 자체적으로 콘텐츠를 호스팅할 수 있다. 항공 산업 컴퓨터 기반 교육 위원회(AICC) 규격은 LMS와 별도로 호스팅되는 콘텐츠를 지원한다.

LCMS의 최근 추세는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참조.SlideWiki[134])

7. 문제점

교육에 기술 수단을 도입한 초기 목표는 교육의 질 향상이었지만, 현실에서는 여러 문제점에 직면하고 있다. 우선, 기술 수단의 제한으로 인해 주로 시청각 매체에 의존하게 되어 학습 경로가 제한되고, 높은 비용으로 인해 교육 현장에서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207] 또한, 과학기술 수단을 활용하여 교사의 부담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는 기계가 교사를 대체해서는 안 된다는 이론과 교사들의 반대라는 현실적인 장벽에 부딪히고 있다.[208][209][210][211]

기술 발전은 교육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여러 부작용을 야기한다. 무성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 등 과거의 기술들은 교육 현장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으며,[209] 기술 자체가 교육의 질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212] 오히려 부적절한 기술 사용은 학습을 방해할 수 있다.[212] 예를 들어, 교육용 아기 DVD는 유아의 어휘력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13][214][215][216]

대규모 온라인 공개 강좌(MOOC)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지만, 개발도상국이나 저소득 국가에서는 참여율이 저조하며, 문화적 차이와 교육적 전통을 간과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218][219][220]

또한,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사용은 학생들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고 부정행위의 가능성을 높인다.[221] e-러닝은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22] 전자 기기의 과도한 사용은 뇌의 정보 처리 방식에 변화를 일으켜 집중력 저하, 기억력 감퇴, 우울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224]

레오 마르크스와 랭던 위너는 기술 자체가 중립적이지 않으며, 사회적, 인간적 결과를 고려하여 기술을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26][227] 쿼티 자판의 사례는 기술 채택의 초기 결정이 장기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228]

닐 포스트먼은 기술이 교실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며, 새로운 기술을 도입할 때는 교육적 효율성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개념 변화와 학교에 대한 기존 관념의 훼손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11]

디지털 격차는 기술 접근성의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문제이다.[230][231]

디지털 격차


교육 기술의 발전과 함께 학생들의 개인 정보 수집 및 활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232] 전자 프런티어 재단의 보고서에 따르면, 학교에서 배포되는 전자 기기를 통해 학생들의 검색 기록, 위치 정보, 연락처 목록 등 방대한 개인 정보가 수집되고 있으며, 이는 프라이버시 침해 및 창의성 저해로 이어질 수 있다.[232][232] 연방 수사국(FBI)은 교육 기술을 통해 수집된 학생 정보가 유출되거나 악용될 경우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233]

데이터 보안 침해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원격 교육 확산은 학생 데이터 추출을 강화했으며, 이는 고등 교육의 시장화를 가속화하고 있다.[234] 수집된 방대한 양의 정보는 학생 성과를 비교하고 예비 학생을 유치하는 데 활용되어 고등 교육을 상업화된 부문으로 만들고 있다.[235]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디지털 교육 환경에서의 윤리적 기준을 마련하며, 취약 계층 학생들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8. 전망

공업화된 사회에서 교육은 세 가지 기능으로 분화되어 있다. 첫째는 학생을 직접 지도하고 가르치는 일, 둘째는 교수-학습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과 조건을 관리하는 일, 셋째는 교육의 창조적 향상을 위한 연구 및 개발이다.

교육에 과학기술 수단을 도입하는 것은 교육의 창조적 향상에 해당한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교육에 적합한 기술을 고안하고 실험하여 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해야 한다. 개발 및 생산자들은 이러한 기술을 질 좋고, 저렴하며, 간편하게 제공해야 한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들이 교육에서 조화롭게 활용될 수 있도록 새로운 체제를 발전시키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첨단 기술의 발전은 교육공학의 발전을 더욱 가속화할 것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개인 맞춤형 학습, 협력 학습, 평생 학습 등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Facilitating Learning http://www.aect.org/[...] 2016-03-18
[2] 논문 Training community healthcare workers on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traditional versus blended learning in Malawi, Africa 2018-04-02
[3] 서적 EdTech Inc.: Selling, Automating and Globalizing Higher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9-10-22
[4] 뉴스 What's Better in the Classroom—Teacher or Machine? https://www.wsj.com/[...] 2020-12-26
[5] 웹사이트 To win post-pandemic, edtech needs to start thinking big https://techcrunch.c[...] 2020-12-26
[6] 간행물 Draft National Education Policy 2019 https://www.educatio[...] Government of India
[7] 보고서 NETP17 2017
[8] 뉴스 Technology in Education: An Overview http://www.edweek.or[...] 2016-10-31
[9] 문서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Washington, DC: AECT 1994
[10] 웹사이트 Confusing terminologies: #e-learning, learning technologist, educational technologist,...discussed by @A_L_T members https://blogs.it.ox.[...] Oxford, UK 2014
[11] 논문 Computer-managed instruction: an alternative teaching strategy.
[12] 웹사이트 What is Digital Education? https://institute-ac[...] University of Edinburgh 2024-06-22
[13] 논문 How Many Ways Can We Define Online Learn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Definitions of Online Learning (1988-2018) 2019
[14] 웹사이트 Universities Use Second Life to Teach Complex Concepts http://www.govtech.c[...] Government Technology 2013-10-03
[15] 웹사이트 DoD gives PTSD help 'second life' in virtual reality | Article | The United States Army http://www.army.mil/[...] Army.mil 2013-10-22
[16] 웹사이트 How to Empower eLearning with Virtual Classrooms in WordPress? https://elearning.ad[...] 2022-12-13
[17] 서적 Teaching English as a Second/Foreign Language in a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A Guide for ESL/EFL Instructors http://csuchico-dspa[...] (Master's Project) 2016-04-02
[18] 문서 Definition, framework, and research issues of smart learning environments-a context-aware ubiquitous learning perspective 2014
[19] 논문 Evolution Is not enough: Revolutionizing Current Learning Environments to Smart Learning Environments 2016-02-17
[20] 논문 Conceptualizing the emerging field of smart learning environments 2014-10-16
[21] 서적 201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and Open Access to Learning (ICWOAL) https://www.research[...] 2014-11-26
[22] 논문 Modelling the smart city performance 2012-06
[23] 문서 Historical foundations 2008
[24] 서적 Technology Matters: Questions to Live With Cambridge MA: MIT Press 2007
[25] 서적 Alberuni's India. An account of the religion, philosophy, literature, geography, chronology, astronomy, customs, laws, and astrology of India about A.D. 1030 https://archive.org/[...] K. Paul, Trench, Trübner & Co.
[26] 문서 The Evolution of American Educational Technology Englewood, CO: Libraries Unlimited 1990
[27] 논문 Arithmetic drills and review on a computer-based teletype http://suppes-corpus[...] 2015-09-04
[28] 간행물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at Stanford http://suppes-corpus[...] 2015-09-04
[29] 문서 Executive Ed. at Computer U 1983
[30] 웹사이트 Technology in Education and the Next Twenty-Five Years http://thejournal.co[...] 1997-06-01
[31] 잡지 Carry on learning https://www.newscien[...] 1995-11-28
[32] 웹사이트 Connected Education, Inc. http://cgi.gjhost.co[...] Electronic Networking Association 2008-08-25
[33] 웹사이트 Promises and pitfalls of online education https://www.brooking[...] 2018-03-19
[3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online education https://www.peterson[...] 2018-03-19
[35] 문서 Evaluating the Virtual Classroom 1990
[36] 서적 Mindweave: Communication, Computers and Distance Education Pergamon Press 1989
[37] 웹사이트 1973-1977 The National Development Programme NDPCAL http://www.edtechhis[...] 2014-11-07
[38] 서적 Unbound By Place or Time: Museums and Online Learning American Association of Museums 2009
[39] 서적 Technology, e-Learning and Distance Education Routledge 2005
[40] 학술지 Dialogue and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in e-learning: Explor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learning while using Blackboard's asynchronous discussion board http://www.eurodl.or[...] 2007
[41] 서적 Learning Networks: A Field Guide to Teaching and Learning Online MIT Press 1995
[42] 웹사이트 Building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Teaching-Learning Environments: Exploring a Course/Classroom Management System Solution http://horizon.unc.e[...]
[43] 웹사이트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https://nces.ed.gov/[...]
[44] 웹사이트 Recommendation 1836 (2008) http://assembly.coe.[...] Council of Europe 2013-05-07
[45] 학술지 Childhood in a digital age: creative challenges for educational futures http://oro.open.ac.u[...] 2019-01-02
[46] 뉴스 Technology in Schools: Weighing The Pros And Cons http://www.huffingto[...] 2014-04-21
[47] 웹사이트 Study: Online Course Enrollment Rising Rapidly at Private Nonprofits https://www.usnews.c[...] 2017-05-03
[48] 웹사이트 As Schools Close Over Coronavirus, Protect Kids' Privacy in Online Learning https://www.hrw.org/[...] 2020-04-17
[49] 뉴스 How Covid-19 brought the University of Toronto Class of '24 Together Online https://www.wizeprep[...] Brooke Godfrey 2021-08-09
[50] 웹사이트 Distance learning solutions https://en.unesco.or[...] 2020-05-11
[51] 서적 Higher Education at the Crossroads of Disruption: the University of the 21st Century https://books.emeral[...] Emerald Publishing Limited 2021-04-06
[52] 웹사이트 13 investors say lifelong learning is taking edtech mainstream https://web.archive.[...] 2021-02-01
[53] 서적 The activities of teaching McGraw Hill 1971
[54] 학술지 The science of learning and the art of teaching 1954
[55] 웹사이트 Dr. Burrhus Frederic Skinner: A Bibliography http://www.bfskinner[...] 1958
[56] 학술지 The technology of teaching 1965
[57] 학술지 The technology of teaching https://archive.org/[...]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1968
[58] 서적 Handbook of Educational Theories IAP 2013
[59]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Psychology Wadsworth Cengage Learning 2008
[60] 학술지 Cognitive Load Theory, Educational Research, and Instructional Design: Some Food for Thought 2010
[61] 서적 Theory and Research for Academic Nurse Educators: Application to Practice Jones & Bartlett Learning LLC 2010
[62] 학술지 Does the Classroom Performance System (CPS) Increase Students' Chances for Getting a Good Grade in College Core Courses and Increase Retention? 2012
[63] 서적 The Social Impact of Computers Elsevier Academic Press 2004
[64] 서적 Book Ends: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of American Classrooms Hampton Press, Inc. 2004
[65] 서적 Book Ends: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of American Classrooms Hampton Press, Inc. 2004
[66] 서적 The Social Impact of Computers Elsevier Academic Press 2004
[67] 간행물 Effective Teaching with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Jossey-Bass/John Wiley 2003
[68] 간행물 E-Learning in Tertiary Education: Where Do We Stand? OECD 2005
[69] 웹사이트 Blended learning: Teachers plus computers equal success https://web.archive.[...] Desert News 2014-01-30
[70] 뉴스 Three fears about blended learning https://www.washingt[...] 2017-08-26
[71] 논문 Academia Goes Social Media, MOOC, SPOC, SMOC, and SSOC: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Routledge 2017
[72] 논문 Online Teaching: Navigating Its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Best Practices
[73] 간행물 Production and Delivery of Multimedia Courses for Internet Based Virtual Education
[74] 웹사이트 Podcasts in Education: What, Why and How? http://www.appstate.[...] 2012-12-08
[75] 웹사이트 Asynchronous Learning: Definition, Benefits, and Example Activities https://www.schoolog[...] 2020-02-10
[76] 웹사이트 Collaborative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https://patents.goog[...] US Patent Office 2014-03-10
[77] 서적 Networked Collaborative Learning: Social Interaction and Active Learning https://www.research[...] Woodhead/Chandos Publishing Limited 2018-09-17
[78] 서적 Using Web 2.0 Tools in the K-12 Classroom Neal-Schuman Publishers, Inc.
[79] 논문 Web 2.0 Matters: An Analysis of Implementing Web 2.0 in the Classroom http://www.isedj.org[...] 2008-12
[80] 논문 Review of Learning 2.0 Practices: Study on the Impact of Web 2.0 Innovations on Education and Training in Europe http://ipts.jrc.ec.e[...]
[81] 논문 Minds on Fire: Open Education, the Long Tail, and Learning 2.0 http://net.educause.[...]
[82] 웹사이트 UCI's iMedEd Initiative named a 2012-13 Apple Distinguished Program http://news.uci.edu/[...] 2013-02-11
[83] 웹사이트 Escuela 2.0 http://www.ite.educa[...] Ite.educacion.es
[84] 웹사이트 Scuola Digitale " Cl@ssi 2.0 http://www.scuola-di[...] Scuola-digitale.it
[85] 논문 Facilitating critical thinking using the C-QRAC collaboration script: Enhancing science reading literacy in a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2015-10
[86] 웹사이트 What is collaborative learning? https://spiral.ac/su[...] 2016-06-05
[87] 논문 Cultivating a Sense of Belonging: Using Twitter to Establish a Community in an Introductory Technical Communication Classroom https://www.tandfonl[...] 2018-10
[88] 논문 The Rhetoric of Reach: Preparing Students for Technical Communication in the Age of Social Media http://www.tandfonli[...] 2014-01
[89] 논문 Social Media in Technical Communication http://www.tandfonli[...] 2014-01
[90] 논문 Tweeting an Ethos: Emergency Messaging, Social Media, and Teaching Technical Communication 2014-01-01
[91] 논문 Training Online Technical Communication Educators to Teach with Social Media: Best Practices and Professional Recommendations 2017-07-03
[92] 논문 Understand Flipped Learning as an Effective Tool for Enhancing Thinking and Learning 2023-04-30
[93] 논문 Benefits of Using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Flipped Learning Methodology https://redie.uabc.m[...] 2022-12-02
[94] 논문 Best Practices for Launching a Flipped Classroom 2016-06
[95] 논문 Impact of the Flipped Classroom on Student Performance and Retention: A Parallel Controlled Study in General Chemistry https://pubs.acs.org[...] 2016-01-12
[96] 논문 Student experiences across multiple flipped courses in a single curriculum https://onlinelibrar[...] 2015
[97] 논문 Impacts of Flipped Classroom in High School Health Education http://journals.sage[...] 2016
[98] 논문 Flipping for success: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novel teaching approach in a graduate level setting 2015-02-28
[99] 논문 Personalising learning: Exploring student and teacher perceptions about flexible learning and assessment in a flipped university course https://www.scienced[...] 2015
[100] 논문 The flipped classroom: A review of its advantages and challenges https://doi.org/10.1[...] 2018-11
[101] 웹사이트 Bloom's Taxonomy. From Emerging Perspectives on Learning, Teaching and Technology http://projects.coe.[...] 2010
[102] 보고서 The Impact of Media and Technology in Schools http://treeves.coe.u[...] University of Georgia 1998-02-12
[103] conference Evaluating the Blending of an E-Learning Module into a Knowledge Management Course: A Case Study from the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SMU) https://ink.library.[...] 2007-09
[104] 논문 The Cognitive Processing of an Educational App with EEG and 'Eye Tracking' 2017-07-01
[105] 논문 Evaluating Video Models of Evidence-Based Instructional Practices to Enhance Teacher Learning 2009-04-07
[106] 웹사이트 Games in the Classroom http://educationtech[...] 2011-03-24
[107] 웹사이트 Screencasting | Teaching and Learning Innovation Park http://ipark.hud.ac.[...] 2013-10-22
[108] 웹사이트 Why Virtual Classrooms Are Excellent Learning Venues http://web.inxpo.com[...] INXPO 2013-05-18
[109] 논문 Digital divide in quantitative methods: The effects of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and students' attitudes on knowledge acquisition https://ora.ox.ac.uk[...]
[110] 논문 Educating the Mobile Generation – using personal cell phones as audience response systems in post-secondary science teaching. http://editlib.org/p[...] 2010-11-05
[111] 논문 The five central psychological challenges facing effective mobile learning http://elartu.tntu.e[...] 2020-03-30
[112] 논문 Designing support to facilitate learning in powerful electronic learning environments 2007-05
[113] 논문 iStimulation: Apple iPad Use with Ch 2015-01
[114] 웹사이트 Use of digital technology in education: Literature review https://www.educatio[...] 2023-09-25
[115] 서적 Green Internet of Things and Machine Learning 2021-12-27
[116] 간행물 More missing the Boat — Arduino, Raspberry Pi, and small prototyping boards and engineering education needs them https://www.research[...] Reserchgate 2015-10
[117] 문서 "Using Technology To Create A Dynamic Classroom Experience" Journal of College Teaching & Learning 2012
[118] 웹사이트 Can Tweeting Help Your Teaching? http://www.nea.org/h[...] NEA 2015-04-08
[119] 논문 Social Networking Goes Abroad http://www.cobses.in[...] 2013-07-27
[120] 웹사이트 Social Networking in Education http://www.pelinks4u[...] 2013-07-27
[121] 논문 Learning Through Facebook: A Potential Tool for Educators http://web.ebscohost[...] 2011-09-01
[122] 웹사이트 Definition: Whiteboard http://searchnetwork[...] TechTarget
[123] 서적 Digital Activism in the Social Media Era http://dx.doi.org/10[...] 2016
[124] 논문 Keeping an Online Class Interesting and Interactive
[125] 웹사이트 A real-time interactive virtual classroom multimedia distance learning system https://www.research[...]
[126] 논문 Legislative Strategies Used by United School Administrators 1985-09-01
[127] 웹사이트 RKDF UNIVERSITY {{!}} EDUCATION GLORIFIES NATION https://rkdf.ac.in/e[...] 2024-05-25
[128] 웹사이트 Student Services for Online Learners - OnlineEducation.com https://www.onlineed[...] 2024-05-25
[129] 웹사이트 School Closures, Government Responses, and Learning Inequality Around the World during COVID-19 https://www.brooking[...] 2021-02-14
[130] 논문 Shared orchestration within and beyond the classroom http://oro.open.ac.u[...] 2019-12-20
[131] 논문 Crowd Learn: Crowdsourcing the Creation of Highly-structured E-Learning Content http://www.bibsonomy[...] 2014-07-12
[132] 웹사이트 Blackboard International | EMEA http://www.blackboar[...] Blackboard.com 2012-10-24
[133] 웹사이트 open-source community-based tools for learning http://www.moodle.or[...] Moodle.org 2012-10-24
[134] 웹사이트 First Public Beta of SlideWiki.org http://blog.aksw.org[...] 2013-02-22
[135] 웹사이트 Teachers Manual on Formative Assessment https://cbseacademic[...]
[136] 웹사이트 Technology-enabled learning: More than e-Learning - Part 1: What does technology-enabled training management look like? https://www.hr.com/e[...] Training Development Excellence Essentials 2017-07-07
[137] 웹사이트 Instructor-Led Training and e-Learning: which technology for which learning delivery? https://www.hr.com/e[...] Training Development Excellence Essentials 2017-07-07
[138] 서적 eLearning and the Science of Instruction Pfeiffer 2007
[139] 논문 The Intertwined Histor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ducation 2023-12
[140] 논문 New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Towards a Sustainable Multifaceted Revolution 2023-08-16
[141] 논문 Learning from human tutoring 2001-07
[142] 논문 The 2 Sigma Problem: The Search for Methods of Group Instruction as Effective as One-to-One Tutoring 1984-06
[143] 논문 Knowledge tracing: Modeling the acquisition of procedural knowledge 1995
[144] 서적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Analytics and Knowledge ACM Press 2013
[145] 서적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Press 2007
[146] 서적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3
[147] 논문 Recent Meta-reviews and Meta-analyses of AIED Systems 2015-08-06
[148] 웹사이트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Adaptive Learning Systems https://www.wiley.co[...] 2021-03-27
[149] 논문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Part One: the Dynamic Frontier http://dx.doi.org/10[...] 2023-06-07
[150] 뉴스 Alarmed by A.I. Chatbots, Universities Start Revamping How They Teach https://www.nytimes.[...] 2024-03-17
[151] 웹사이트 ChatGPT In Schools: Here's Where It's Banned—And How It Could Potentially Help Students https://www.forbes.c[...] 2024-03-17
[152] 뉴스 Teachers are on alert for inevitable cheating after release of ChatGPT https://www.washingt[...] 2024-03-17
[153] 웹사이트 ChatGPT is going to change education, not destroy it https://www.technolo[...] 2024-03-17
[154] 웹사이트 New York City's public schools reverse their ban on ChatGPT — admitting it had been 'knee-jerk fear' https://www.business[...] 2024-03-17
[155] 간행물 Ghostbuster: Detecting Text Ghostwritten by Large Language Models 2023-11-13
[156] 웹사이트 The 10 Best AI Content Detector Tools https://www.forbes.c[...] 2024-03-17
[157] 논문 Teach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K–12 classrooms: a scoping review https://www.tandfonl[...] 2023-05-24
[158] 논문 ENAI Recommendations on the ethical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2023-05-01
[159] 논문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in education using VOSviewer and CitNetExplorer 2023-03-09
[160] 보고서 Zero to six: Electronic media in the lives of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http://kff.org/other[...] The Henry J. Kaiser Family Foundation 2014-11-24
[161] 뉴스 So Young, and So Gadgeted https://www.nytimes.[...] 2008-06-12
[162] 웹사이트 Choosing Media for Children Checklist: Adapted from Dr. Faith Rogow http://www.kqed.org/[...] KQED 2014-11-20
[163] 웹사이트 Technology in the Preschool Classroom https://study.com/ac[...] 2021-09-16
[164] 웹사이트 Technology and Young Children: Preschoolers and Kindergartners https://www.naeyc.or[...]
[165] 웹사이트 ECE Technology: 10 Trending Tools for Teachers https://www.earlychi[...] 2021-09-16
[166] 웹사이트 Best Apps for Preschoolers https://www.icanteac[...] 2021-09-16
[167] 웹사이트 Guiding Principles for Use of Technology with Early Learners https://tech.ed.gov/[...] Office of Educational Technology 2021-09-16
[168] 웹사이트 Teaching the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Early in K–12 Schools https://edtechmagazi[...] 2023-09-25
[169] 웹사이트 The Rise of Cyber-Schools http://www.thenewatl[...] The New Atlantis 2012-10-24
[170] 웹사이트 Research Center: Charter Schools http://www.edweek.or[...] Edweek.org 2012-10-24
[171] 웹사이트 For Frustrated Gifted Kids, A World of Online Opportunities http://blogs.kqed.or[...] KQED 2014-05-24
[172] 논문 Effectiveness of cyber charter schools: A review of research on learnings
[173] 논문 Virtual Reality 2016-11-29
[174] 논문 Bridging Realty to Virtual Reality: Investigating gender effect and student engagement on learning through video game play in 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2009-05-12
[175] 서적 The Handbook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https://digitalcommo[...] Prufrock Press, Inc. 2019-01-01
[176] 간행물 Projet SEUR http://seur.qc.ca/wp[...] 2018
[177] 웹사이트 Ateliers de douance 9-12 ans du samedi http://collegemont-r[...] 2019-01-02
[178] 서적 Teaching Online: A Guide to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5
[179] 간행물 What we know about online course outcomes (research overview) http://ccrc.tc.colum[...] 2016-04-02
[180] 웹사이트 US Self-paced e-Learning Market http://www.ambientin[...] Ambient Insight Research 2016-04-02
[181] 서적 Faculty Training for Web-Enhanced Learning https://www.research[...] Nova Science Publishers, Inc. 2014-11-20
[182] 간행물 Five Challenges and Solutions in Online Music Teacher Education http://www.stthomas.[...] 2014-11-20
[183] 뉴스 Why Online Education Won't Replace College--Yet http://chronicle.com[...] 2012-08-13
[184] 뉴스 The Year of the MOOC https://www.nytimes.[...] 2012-11-02
[185] 뉴스 Conventional Online Higher Education Will Absorb MOOCs, 2 Reports Say http://chronicle.com[...] 2014-05-15
[186] 서적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 Towards a Cybersecure Societ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
[187] 서적 Proceedings of the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ACM Press 2014
[188] 웹사이트 How To Get Employees Engaged In Training And Why It's Important https://elearningind[...] 2022-12-08
[189] 간행물 Distanc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Past, Present, Future https://eric.ed.gov/[...] 2011-11
[190] 웹사이트 Skills Bootcamp https://www.skillsfo[...] Department of Education 2024
[191] 간행물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past and present: balancing rigor and relevance to impact learning http://www.cedtech.n[...] 2016-04-02
[192] 간행물 Technology in today's classroom: Are you a tech-savvy teacher?
[193] 간행물 Getting at-risk teens to graduation
[194] 간행물 Benefits of TED Talks 2014-12
[195] 웹사이트 What higher education students want from online learning {{!}} McKinsey https://www.mckinsey[...] 2023-09-25
[196] 웹사이트 Social software: E-learning beyond learning management systems http://www.eurodl.or[...] University of Aarhus 2013-03-31
[197] 웹사이트 Technology Uses in Education http://www.nsba.org/[...] Nsba.org 2011-12-09
[198] 웹사이트 Technology Impact on Learning http://www.nsba.org/[...] Nsba.org 2011-12-09
[199] 간행물 New technology and digital worlds: analyzing evidence of equity in access, use and outcomes
[200] 간행물 CRTC issues annual report on the state of the Canadian communication system https://www.newswire[...] CRTC 2013-09-27
[201] 뉴스 MIT Begins Offering Free Online Course With Certificate https://www.bloomber[...] 2012-02-12
[202] 간행물 Face-to-face or face-to-screen? Undergraduates' opinions and test performance in classroom vs. online learning 2014-01-01
[203] 간행물 Increasing Student Engagement in Online Educational Leadership Courses https://files.eric.e[...] 2017
[204] 간행물 Creating Technology-Enhanced, Learner-Centered Classrooms: K–12 Teachers' Beliefs, Perceptions, Barriers, and Support Needs http://marianrosenbe[...]
[205] 웹사이트 Hiring Practices and Attitudes: Traditional vs. Online Degree Credentials SHRM Poll https://www.shrm.org[...] 2010-08-19
[206] 뉴스 Study: iPads improve Kindergarten literacy scores https://www.engadget[...]
[207] 뉴스 Global E-Learning Market 2017 to Boom $275.10 Billion Value by 2022 at a CAGR of 7.5% – Orbis Research https://news.markete[...]
[208] 웹사이트 Are Schools Getting a Big Enough Bang for Their Education Technology Buck? https://www.american[...] American Progress 2013
[209] 간행물 A retrospective on twenty years of education technology policy
[210]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Springer US 2008
[211] 서적 Technopoly: the surrender of culture to technology. New York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1992
[212] 서적 How people learn: Brain, mind, experience National Academies Press
[213] 웹사이트 Baby DVDs, Videos May Hinder, Not Help,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http://www.washingto[...]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7-08-07
[214] 간행물 Baby Einsteins: Not So Smart After All http://content.time.[...] 2007-08-06
[215] 간행물 TV for Babies: Does It Help or Hurt? http://content.time.[...] 2009-03-03
[216] 웹사이트 No television for babies: Why TV is bad for young children http://communities.w[...] 2012-06-08
[217] 논문 High-Tech Schools and Low-Tech Teaching https://www.tandfonl[...]
[218] 논문 HarvardX and MITx: The first year of open online courses http://nrs.harvard.e[...]
[219] 논문 Dropout Rates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s: Behavioural Patterns https://www.research[...]
[220] 문서 More about MOOCs and developing countries EduTech: A World Bank Blog on ICT use in Education 2013-12-11
[221] 논문 A Review of Cheating in Fully Asynchronous Online Courses: A Math or Fact-Based Course Perspective https://journals.sag[...] 2016-07-21
[222] 논문 E-learning: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atology among Lebanese university students during COVID-19 quarantine 2021-01
[223] 웹사이트 The Science of Making Decisions http://www.newsweek.[...] Newsweek 2011-02-27
[224] 뉴스 Growing up Digital, Wired for Distraction https://www.nytimes.[...] 2010-11-21
[225] 서적 Oversold and Underused: Computers in the Classroom http://www.urosario.[...]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226] 서적 The Whale and the Reacto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6
[227] 논문 Technology: The Emergence of a Hazardous Concept
[228] 서적 Mindstorms: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http://eclass.uoa.gr[...] Basic Books
[229] 논문 Have Technology and Multitasking Rewired How Students Learn? 2010
[230] 논문 Does the Digital Divide Matter More? Comparing the Effects of New Media and Old Media Use on the Education-Based Knowledge Gap
[231] 서적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Media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The MIT Press
[232] 웹사이트 Spying on Students. School-issued devices and student privacy https://www.eff.org/[...] 2017-04-13
[233] 보고서 Education Technologies: Data Collection and Unsecured Systems Could Pose Risks to Students https://www.ic3.gov/[...]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Internet Crime Complaint Center 2018-09-13
[234] 논문 The datafication of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Critical issues and perspectives
[235] 논문 The hidden architecture of higher education: Building a big data infrastructure for the 'smarter university'
[236] 논문 Using instructional technologies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21st century pre K-12 students: The case of a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unit
[237] 논문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Integration Reframed http://punya.educ.ms[...]
[238] 논문 Ludic Epistemology: What Game-Based Learning Can Teach Curriculum Studies http://jcacs.journal[...]
[239] Youtube Schools Kill Creativity http://www.ted.com/t[...]
[240] 논문 Information Literacy: Essential Skills for the Information Age
[241] 논문 Machine Learning
[242] 논문 Technology-Enhanced Formative Assessment: A Research-Based Pedagogy for Teaching Science with Classroom Response Technology 2009-01
[243] 논문 Classroom Response Systems: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6-03
[244] 서적 Online and Distance Learning: Concepts, Methodologies, Tools, and Applications: Concepts, Methodologies, Tools, and Applications IGI Global
[245] 논문 Instructional Implications of a Low-Cost Electronic Student Response System http://www.jstor.org[...] 1972-10
[246] 뉴스 Clicking in class helps lecturers from appearing remote by using student remotes as instructional tool https://news.cornell[...] Cornell Chronicle 2006-02-20
[247] 간행물 The use of on-line summative assessment in an undergraduate financial accounting course 2008
[248]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E-marking https://www.sqa.org.[...]
[249] 뉴스 State government of India announces that it would be using e-marking for all streams from 2016 http://timesofindia.[...] 2015-06-02
[250] 웹사이트 What is Self Assessment? http://www.nzqa.govt[...] nzqa
[251] 웹사이트 Student Self-Assessment https://teaching.uns[...] unsw
[252] 서적 E-Content: Technologies and Perspectives for the European Market Springer-Verlag
[253] 문서 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E-Learning – Designing "Tejas at Niit" tomorrow's education European Commission 2000
[254] 웹사이트 E-Learning Market Trends & Forecast 2014 - 2016 Report http://www.docebo.co[...] Docebo
[255] 잡지 Online Learning Industry Poised for $107 Billion in 2015 https://www.forbes.c[...] 2014-08-27
[256] 웹인용 Andreas Kaplan (2020) Universities, Be Aware: Start-Ups Strip Away Your Glory; About EdTech’s potential take-over of the higher education sector https://blog.efmdglo[...]
[257] 서적 Educational Technology Taylor & Francis Grou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