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기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학 기호는 수학적 개념, 연산, 관계 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기호들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기초 연산 기호(+, -, ×, /, √, ||), 집합론 기호(∈, ⊆, ∪, ∩, ∅), 논리 및 관계 기호(¬, ∧, ∨, ⇒, ⇔), 수 체계 기호(ℕ, ℤ, ℚ, ℝ, ℂ), 미적분학 및 해석학 기호(lim, ∫, ∂, d/dx), 선형대수학 기호(행렬, 벡터, ⊗), 괄호 기호, 기타 기호(∞, |, ∥, ⊥, !, P, C)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호들은 수학적 표현의 간결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2. 기초 연산 기호
기호 의미 설명 예시 더하기 는 수 와 를 더한 값이다. 빼기 는 수 에서 를 뺀 값이다. 음의 부호 는 수 의 반수이다. 플러스마이너스 는 와 를 모두 의미한다. 의 근은 이다. 측정에서의 범위 는 부터 까지의 범위를 의미한다. mm는 mmmm이다. , 곱하기 또는 는 와 를 곱한 값이다. 로 쓰기도 한다. , , 나누기 또는 는 를 0이 아닌 로 나눈 값이다. , 분수 는 를 0이 아닌 로 나눈 값이다. , 제곱근 는 양수 의 제곱근이다. 거듭제곱근 는 의 제곱근이다. ^, 거듭제곱 ^ 또는 는 의 거듭제곱이다. 인 경우 의 제곱이다. , ^ >\Box| 절댓값 >x|는 수 의 절댓값이다. >-3|=3
2. 1. 덧셈 기호 (+)
+ (덧셈 기호)는 두 수나 식을 더하는 덧셈 연산을 나타내며, '더하기'로 읽는다. 예를 들어, 3 + 2와 같이 사용된다.[1]
2. 2. 뺄셈 기호 (-)
뺄셈 기호(-)는 두 수나 식의 차이를 구하는 연산을 나타낸다.2. 3. 곱셈 기호 (×, ⋅)
곱셈 기호(×, ⋅)는 두 수나 식을 곱하는 연산을 나타낸다.2. 4. 나눗셈 기호 (/, ÷)
어떤 수를 다른 수로 나누는 연산을 나타내며, '나누기' 또는 '분의'로 읽는다. '/' 기호는 가로 막대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 / 2 또는 와 같이 표현한다.
영어권 국가에서는 '÷' 기호(나누기 기호)가 나눗셈을 나타내는 데 널리 사용되었으나,[1] 수학에서는 더 이상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사용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2. 5. 제곱근 기호 (√)
어떤 수의 제곱근을 나타내며, '제곱근'으로 읽는다. 인수의 범위를 명확하게 나타내는 가로 막대 없이 현대 수학에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예를 들어, 2는 2의 제곱근을 의미한다.[1]
2. 6. 절댓값 기호 (| |)
絕對值|절댓값중국어 기호는 수의 절댓값을 나타낸다. 절댓값은 해당 수가 0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항상 양수 또는 0이다.
절댓값 기호의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절댓값은 또는 로 나타낼 수 있다.[2]
2. 7. 팩토리얼 기호 (!)
팩토리얼: 이 양의 정수라면, 은 처음 개의 양의 정수의 곱이며, "n 팩토리얼"로 읽는다.
3. 집합론 기호
공집합 원소가 없는 공집합을 의미한다. 한원소 집합 는 하나만을 원소로 갖는 집합을 의미한다. 원소나열법으로 표현한 집합 중괄호 안에 원소를 나열하고 쉼표로 구분하여 집합을 표현한다. \{\Box:\Box\} 조건제시법으로 표현한 집합 \{x:P(x)\} 또는 는 에 대한 술어 에 대하여, 가 참이 되도록 하는 원소 들로 이루어진 집합을 의미한다. 부분집합 , , , 는 집합 가 집합 의 부분집합임을 의미한다. 진부분집합 , 는 집합 가 집합 의 진부분집합임을 의미한다. 저자에 따라 , 이 진부분집합을 의미하기도 한다. 부분집합이 아님 , , , 는 집합 가 집합 의 부분집합이 아님을 의미한다. 분리합집합 , , 는 집합 와 의 분리합집합을 의미한다. , 에 대해 여집합 또는 는 전체집합 의 원소 중 가 아닌 것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곱집합 는 집합 와 의 곱집합 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