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학 기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학 기호는 수학적 개념, 연산, 관계 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기호들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기초 연산 기호(+, -, ×, /, √, ||), 집합론 기호(∈, ⊆, ∪, ∩, ∅), 논리 및 관계 기호(¬, ∧, ∨, ⇒, ⇔), 수 체계 기호(ℕ, ℤ, ℚ, ℝ, ℂ), 미적분학 및 해석학 기호(lim, ∫, ∂, d/dx), 선형대수학 기호(행렬, 벡터, ⊗), 괄호 기호, 기타 기호(∞, |, ∥, ⊥, !, P, C)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호들은 수학적 표현의 간결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2. 기초 연산 기호

기호의미설명예시
+더하기X+Y XY를 더한 값이다.1+1=2
-빼기X-Y X에서 Y를 뺀 값이다.9-7=2
음의 부호-X X의 반수이다.5+(-5)=0
\pm플러스마이너스X\pm YX+YX-Y를 모두 의미한다.x^2=1x=\pm1이다.
측정에서의 범위X\pm YX-Y부터 X+Y까지의 범위를 의미한다.a=100\pm1 mm99mm\le a\le 101mm이다.
\times, \cdot곱하기X\times Y 또는 X\cdot YXY를 곱한 값이다. XY로 쓰기도 한다.7\times8=56, 5\cdot7=35
/, \div나누기X/Y 또는 X\div YX0이 아닌 Y로 나눈 값이다.12/4=3, 2\div4=0.5
\frac{\Box}{\Box}분수\frac{X}{Y}X0이 아닌 Y로 나눈 값이다.\frac{3}{6}=\frac{1}{2}
\sqrt{\ }, \surd제곱근\sqrt{x}양수 x제곱근이다.\sqrt{9}=3
\sqrt[n]{\Box}거듭제곱근\sqrt[n]{x}xn제곱근이다.\sqrt[4]{16}=2
^, \Box^\Box거듭제곱x^y 또는 x^yxy 거듭제곱이다. y=2인 경우 x제곱이다.3^2=9, 2^3=8
>\Box|절댓값>x|는 x절댓값이다.>-3|=3


2. 1. 덧셈 기호 (+)

+ (덧셈 기호)는 두 수나 식을 더하는 덧셈 연산을 나타내며, '더하기'로 읽는다. 예를 들어, 3 + 2와 같이 사용된다.[1]

2. 2. 뺄셈 기호 (-)

뺄셈 기호(-)는 두 수나 식의 차이를 구하는 연산을 나타낸다.

  • 뺄셈: '빼기'로 읽으며, 뺄셈을 나타낸다. (예: )
  • 가법 역원: '빼기', '의 음수', 또는 '의 반대'로 읽으며, 가법 역원을 나타낸다. (예: )
  • 집합론적 여집합: 집합론에서 여집합을 나타내는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2. 3. 곱셈 기호 (×, ⋅)

곱셈 기호(×, ⋅)는 두 수나 식을 곱하는 연산을 나타낸다.

  • × 기호
  • 초등 산술에서 곱셈을 나타내며, '곱하기'라고 읽는다. 예: 3 × 2.
  • 기하학 및 선형 대수학에서 외적을 나타낸다.
  • 집합론범주론에서 카르테시안 곱과 직접곱을 나타낸다.

  • ⋅ 기호 (중간 점)
  • 곱셈을 나타내며, '곱하기'라고 읽는다. 예: 3 ⋅ 2.
  • 기하학 및 선형 대수학에서 내적을 나타낸다.
  • 미지의 원소를 대체하는 자리 표시자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절댓값은 | |로 표시된다" 와 같이 사용된다.

2. 4. 나눗셈 기호 (/, ÷)

어떤 수를 다른 수로 나누는 연산을 나타내며, '나누기' 또는 '분의'로 읽는다. '/' 기호는 가로 막대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 / 2 또는 \frac 32와 같이 표현한다.

영어권 국가에서는 '÷' 기호(나누기 기호)가 나눗셈을 나타내는 데 널리 사용되었으나,[1] 수학에서는 더 이상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사용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2. 5. 제곱근 기호 (√)

어떤 수의 제곱근을 나타내며, '제곱근'으로 읽는다. 인수의 범위를 명확하게 나타내는 가로 막대 없이 현대 수학에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예를 들어, 2는 2의 제곱근을 의미한다.[1]

2. 6. 절댓값 기호 (| |)

絕對值|절댓값중국어 기호는 수의 절댓값을 나타낸다. 절댓값은 해당 수가 0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항상 양수 또는 0이다.

절댓값 기호의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 = 3
  • = 3
  • = 0
  • = = 3


절댓값은 또는 로 나타낼 수 있다.[2]

2. 7. 팩토리얼 기호 (!)

팩토리얼: 이 양의 정수라면, 은 처음 개의 양의 정수의 곱이며, "n 팩토리얼"로 읽는다.

3. 집합론 기호


\varnothing

\{\}공집합원소가 없는 공집합을 의미한다.\{1\}\cap\{2,3\}=\varnothing\{\Box\}한원소 집합\{x\}x 하나만을 원소로 갖는 집합을 의미한다.\{1\}\{\Box, \cdots, \Box\}원소나열법으로 표현한 집합중괄호 안에 원소를 나열하고 쉼표로 구분하여 집합을 표현한다.\{1,2,3\}\{\Box:\Box\}

\{\Box>\Box\}조건제시법으로 표현한 집합\{x:P(x)\} 또는 \{x>P(x)\}x에 대한 술어 P(x)에 대하여, P(x)가 참이 되도록 하는 원소 x들로 이루어진 집합을 의미한다.\{x:1\le x\le 3, x\in\N\}=\{1,2,3\}\subseteq

\subset

\supseteq

\supset부분집합A\subseteq B, A\subset B, B\supseteq A, B\supset A집합 A가 집합 B의 부분집합임을 의미한다.\{1,2\}\subseteq\{1,2,3\}
\varnothing\subseteq\{1,2,3\}\subsetneq

\supsetneq진부분집합A\subsetneq B, B\supsetneq A집합 A가 집합 B의 진부분집합임을 의미한다. 저자에 따라 \subset, \supset이 진부분집합을 의미하기도 한다.\{1,2\}\subsetneq\{1,2,3\}\nsubseteq

\varsubsetneq

\nsupseteq

\varsupsetneq부분집합이 아님A\nsubseteq B, A\varsubsetneq B, B\nsupseteq A, B\varsupsetneq A집합 A가 집합 B의 부분집합이 아님을 의미한다.\{1,2\}\nsubseteq\{2,3\}\sqcup

\bigsqcup

+

\uplus

\biguplus분리합집합A\sqcup B, A+B, A\uplus B집합 AB의 분리합집합을 의미한다.A=\{a,b\}, B=\{b,c,d\}에 대해 A\sqcup B=\{(a,0),(b,0),(b,1),(c,1),(d,1)\}\Box^c

\setminus여집합A^c 또는 U\setminus A전체집합 U의 원소 중 A가 아닌 것들의 집합을 의미한다.(A\cap B)^c = A^c \cup B^c\times

\prod곱집합A\times B집합 AB의 곱집합 \{(a,b)|a\in A,b\in B\}을 의미한다.\{1,2\}\times\{3,4,5\}=\{(1,3),(1,4),(1,5),(2,3),(2,4),(2,5)\}

3. 1. 집합과 원소 (∈, ∉)

∈, ∉영어 기호는 원소가 집합에 속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집합과 원소 기호
기호의미설명
집합에 대한 원소의 포함 관계xSx가 집합 S의 원소임을 의미한다.
집합에 대한 원소의 포함 관계 부정xSx가 집합 S의 원소가 아님을 의미한다.


3. 2. 부분집합 (⊆, ⊂)

S영어 ⊆ T영어는 S영어가 T영어부분집합임을 의미한다. 필요에 따라 T영어 ⊇ S영어라고 쓰기도 한다. ⊆는 S영어와 T영어가 같을 경우를 포함하며, 진부분집합에 대해서는 ⊊가 사용된다. ⊂는 진부분집합만을 가리키는 표기법과 일반적인 부분집합을 가리키는 표기법이 있다. ⊂가 일반적인 부분집합을 나타내는 경우 진부분집합은 ⊊로 나타내고, ⊂가 진부분집합을 나타내는 경우 일반적인 부분집합은 ⊆로 나타낸다.

∈과 마찬가지로, ⊄, ⊊ 등의 기호도 있다.

3. 3. 합집합 (∪)

\cup합집합 기호로, 집합 와 집합 의 합집합은 ""로 나타낸다. 또한, 집합족 의 합집합은 \textstyle\bigcup\limits_{\lambda\in\Lambda} S_\lambda로 나타낸다. \mathfrak{S}:=\{S_{\lambda}\ |\ \lambda \in \Lambda\}일 때, 이 집합족은 \textstyle\bigcup \mathfrak{S}로 표기하기도 한다.[1]

3. 4. 교집합 (∩)

"\cap"는 집합 와 집합 의 교집합을 나타낸다. 또한 \textstyle\bigcap\limits_{\lambda\in\Lambda} S_\lambda집합족 의 교집합을 나타낸다. \mathfrak{S}:=\{S_{\lambda}\ |\ \lambda \in \Lambda\}일 때, 위 집합족을 \textstyle\bigcap \mathfrak{S}로 쓰는 경우가 있다.[1]

3. 5. 차집합 (\)

Set difference|셋 디퍼런스영어집합에서 집합를 제외한 차집합을 나타낸다. "" 또는 ""로 표기한다.

4. 논리 및 관계 기호

논리 및 관계 기호는 명제 사이의 논리적 관계 또는 수학적 대상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기호의미설명
\vDash논리적 귀결, 잉의주로 의미론적인 귀결 관계에 사용된다.
\vdash추론주로 형식적인 귀결 관계에 사용된다. "\Gamma \vdash \varphi"는 유한개의 논리식 \Gamma에서 형식적으로 논리식 \varphi를 추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forall전칭 한정 기호\forall x \in S (P(x))처럼 쓰이며, 집합 S임의원소 x에 대해 명제 P(x)가 성립함을 나타낸다.
\exists존재 한정 기호\exists x \in S (P(x))처럼 쓰이며, 집합 S에 조건 P(x)를 만족하는 원소 x가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나타낸다.
\exists_1,\ \exists1,\ \exists\,!유일하게 존재\exists_1 x \in S (P(x))처럼 쓰이며, 집합 S에 조건 P(x)를 만족하는 원소 x유일하게 존재함을 나타낸다. 다른 기호도 마찬가지이다.
\therefore결론문두에 기재되어 그 문장의 주장이 앞선 내용을 받아서 서술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즉, "그러므로".
\because이유·근거문두에 기재되어 그 문장의 내용이 앞선 내용의 이유 설명임을 나타낸다. "왜냐하면".
:=,\ :\Leftrightarrow정의"A \coloneqq X"는 A라는 기호가 의미하는 바를 X로 정의하는 것이다. "A : \Leftrightarrow X"라고도 쓴다. "=" 위에 "\mathrm{def}" 또는 "\bigtriangleup"를 쓰는 경우도 있다(\stackrel{\mathrm{def}}{=}, \stackrel{\bigtriangleup}{=}). \ :\Leftrightarrow는 명제를 정의할 때 사용하고, :=는 어떤 양이나 대상을 정의할 때 사용한다.


4. 1. 논리 기호 (¬, ∧, ∨, →, ↔)

Logic symbols|논리 기호영어 (¬, ∧, ∨, →, ↔)는 명제의 부정, 논리곱, 논리합, 조건, 쌍조건 등을 나타낸다.

기호의미설명
\land논리곱, 연언 (AND)"P \land Q"는 "명제 P와 명제 Q가 모두 참"이라는 명제를 나타낸다.
\lor논리합, 선언 (OR)"P \lor Q"는 "명제 P와 명제 Q 중 적어도 하나가 참"이라는 명제를 나타낸다.
\neg부정 (NOT)"\neg P"는 "명제 P가 거짓"이라는 명제를 나타낸다.
\Rightarrow논리적 함의, 함의"P \Rightarrow Q"는 "명제 P가 참이면 반드시 명제 Q도 참"이라는 명제를 나타낸다. P가 거짓인 경우 P \Rightarrow Q는 참이다.
\rightarrow
\Leftrightarrow,\ \text{iff},\ \equiv동치"P \Leftrightarrow Q", "P \equiv Q"는 PQ의 참거짓이 반드시 일치함을 의미한다. iffif and only if의 약자이다.


5. 수 체계 기호

블랙보드 볼드체(서체)는 기본적인 수 체계를 나타내는 데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체계는 해당 대문자 볼드체로도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블랙보드 볼드체의 명확한 장점은 이러한 기호가 다른 것과 혼동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의를 다시 상기시킬 필요 없이 수학의 어떤 영역에서도 이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합론에서 \mathbb R을 만나면, 조합론이 실수를 연구하지는 않지만(많은 증명에 사용하지만) 이것이 실수를 나타낸다는 것을 즉시 알 수 있다.[1]

기호내용정의
\mathbb N자연수 집합 \{1, 2,\ldots \}, 또는 때때로 \{0, 1, 2, \ldots \}. 구분이 중요하고 독자가 어느 정의를 가정할 수 있는 경우, 각각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mathbb{N}_1\mathbb{N}_0가 사용된다. \mathbf N 표기법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
\mathbb Z정수 집합 \{\ldots, -2, -1, 0, 1, 2,\ldots \}.를 나타낸다. \mathbf Z로도 종종 표시된다.[1]
p\mathbb{Z}_p-adic 정수 집합을 나타낸다. 여기서 p는 소수이다.[1] 때로는 \mathbb Z_n이 n을 법으로 하는 정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n은 0보다 큰 정수이다. \mathbb Z/n\mathbb Z 표기법도 사용되며, 모호성이 적다.[1]
\mathbb Q유리수(두 정수의 분수) 집합을 나타낸다. \mathbf Q로도 종종 표시된다.[1]
p\mathbb{Q}_p-adic 수 집합을 나타낸다. 여기서 p는 소수이다.[1]
\mathbb R실수 집합을 나타낸다. \mathbf R로도 종종 표시된다.[1]
\mathbb C복소수 집합을 나타낸다. \mathbf C로도 종종 표시된다.[1]
\mathbb H사원수 집합을 나타낸다. \mathbf H로도 종종 표시된다.[1]
Fq\mathbb{F}_qq개의 원소를 가진 유한체를 나타낸다. 여기서 q는 소수를 포함한 소수의 거듭제곱이다. GF(q)로도 표시된다.[1]
O\mathbb O드물게 팔원수 집합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mathbf O로도 종종 표시된다.[1]


5. 1. 자연수 집합 (ℕ)

\mathbb{N}자연수 전체의 집합을 나타낸다. \mathbb{N}=\{1, 2, 3, \cdots\}이며, 경우에 따라 0을 포함하기도 한다. 구분이 중요하고 독자가 어느 정의를 가정할 수 있는지 명확하게 하기 위해 \mathbb{N}_1\mathbb{N}_0를 사용하기도 한다. \mathbf{N} 표기법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5. 2. 정수 집합 (ℤ)

정수 전체의 집합은 \mathbb{Z}로 나타낸다. 블랙보드 볼드체 서체의 일종으로, 기본적인 수 체계를 나타내는 데 널리 사용되며, \mathbf{Z}로도 종종 표시된다. 정수 집합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기호의미정의
\mathbb{Z}정수 집합\mathbb{Z}=\{\cdots,-2,-1,0,1,2,\cdots\}


5. 3. 유리수 집합 (ℚ)

\mathbb{Q}유리수 집합을 나타낸다. 유리수는 두 정수분수로 표현 가능한 수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athbb{Q} = \left\{ \frac{m}{n} : m, n \in \mathbb{Z}, n \neq 0 \right\}

여기서 m과 n은 정수이고, n은 0이 아니다. \mathbb{Q}는 종종 \mathbf{Q}로도 표시된다.

5. 4. 실수 집합 (ℝ)

실수 집합은 \mathbb R로 나타내며, 굵은 글씨로는 \mathbf{R}로도 종종 표시된다.

5. 5. 복소수 집합 (ℂ)

\mathbb{C}복소수 집합을 나타낸다. 복소수는 \mathbb{C}=\{a+bi:a,b\in\mathbb{R}\}와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i허수 단위이다. \mathbf{C}로도 종종 표시된다.

6. 미적분학 및 해석학 기호


\Box^{(\Box)}미분의 라그랑주 표기법f/math>은 함수 f의 도함수를 의미한다. f, f'''은 각각 함수 f의 이계 도함수와 삼계 도함수를 의미한다. f^{(n)}fn계 도함수를 의미한다.\dot\Box미분의 뉴턴 표기법\dot x는 일반적으로 시간 t에 의존하는 변수 x의 도함수를 의미한다.\frac{d\Box}{d\Box}미분의 라이프니츠 표기법\frac{dy}{dx}변수 x에 의존하는 변수 y의 도함수를 의미한다. \frac{df}{dx}는 단일 변수 x에 의존하는 함수 f의 도함수를 의미하고, \frac{df}{dx}(a)a에서의 도함수의 값을 의미한다.\partial편미분\frac{\partial f}{\partial x_i}변수 x_1,\cdots,x_n에 의존하는 함수 f(x_1,\cdots,x_n)x_i에 대한 편미분을 의미한다.\int부정적분\int f(x)dx는 도함수가 f인 함수를 의미한다.\int정적분\int_{a}^{b} f(x)dx구간 [a,b] 위에서 정의된 함수 f(x)의 정적분을 의미한다.\int선적분\int_C f\ ds곡선 C 위의 함수 f선적분을 의미한다.\oint폐곡선의 선적분, 경로적분\oint_C f\,ds는 폐곡선 C 위의 함수 f선적분을 의미한다.\iint이중적분, 면적분\iint_S f\mathrm\,dS곡면 S 위의 함수 f면적분을 의미한다.\nabla델 연산자스칼라 함수기울기, 또는 벡터 함수발산, 회전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벡터 연산자이다.\Delta라플라시안\Delta f함수 f의 라플라시안을 의미한다.


6. 1. 극한 (lim)

\lim함수극한을 나타낸다. 수열 에 대해, \lim_{n\to\infty} a_n은 그 수열의 극한값을 나타낸다. 또한, 함수 에 대해, \lim_{x\to c} f(x)는 의 에서의 극한값을 나타낸다.

6. 2. 미분 (′, d/dx, ∂/∂x)

라그랑주 표기법에서 함수 f의 미분은 f'로 나타내며, "f 프라임"으로 읽는다.[3] 이계도함수는 f''로 표시한다.[3] 뉴턴 표기법에서는 시간에 대한 미분을 \dot x (x 도트)로, 이계도함수는 \ddot x (x 더블 도트)로 나타낸다.[3]

라이프니츠 표기법은 \frac{dy}{dx}와 같이 표현하며, "dy over dx" (일반적으로 "d y d x"로 줄임)로 읽는다. 변수 y가 x에 의존하는 경우, \frac{dy}{dx}는 x에 대한 y의 미분을 나타낸다.[3] 함수 f의 경우, \frac{df}{dx}는 f의 미분을, \frac{df}{dx}(a)는 a에서의 미분 값을 의미한다.[3]

편미분\frac{\partial f}{\partial x_i}로 나타내며, 여러 변수 함수 f에서 다른 변수를 상수로 두고 특정 변수 x_i에 대한 미분을 의미한다.[3]

6. 3. 적분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적분 기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적분 (∫)' 섹션에 작성할 내용은 없다. 요약에서 언급된 "함수의 적분을 나타낸다"는 내용은 일반적인 적분 기호의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며, 주어진 소스에는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

7. 선형대수학 기호


\Box^*가역원 곱셈군 R가역원 집합을 나타낸다. (R이면 R^\times=R \setminus\{0\}이다.)\ker핵, 영공간선형 변환, 군 준동형사상, 환 준동형사상 f에 대해 0으로 사상하는 정의역의 원소들의 집합을 나타낸다.\operatorname{nullity}퇴화차수선형 변환 T의 차원을 나타낸다. (벡터 공간 V 위의 선형 변환 T에 대해 \operatorname{rank}T+\operatorname{nullity}T=\dim V이다.)\dim차원 F벡터 공간 V기저 집합크기를 나타낸다.⊗텐서곱벡터 공간 VW의 텐서곱 V \otimes W을 나타낸다.


7. 1. 행렬 표현


\Box^\top

^\operatorname t\Box

\Box'

\Box^\operatorname{tr}전치 행렬\mathbf{A}^\operatorname T, \mathbf{A}^\top, ^\operatorname t\mathbf{A}, \mathbf{A}', \mathbf{A}^\operatorname{tr}행렬 \mathbf{A}의 전치 행렬을 의미한다.\begin{pmatrix}1&2\\3&4\\5&6\end{pmatrix}^\operatorname T
\Box^H


\Box^*

\Box^\dagger

\Box'켤레 전치\mathbf{A}^H, \mathbf{A}^*,\mathbf{A}^\dagger, \mathbf{A}'복소 행렬 \mathbf{A}의 켤레 전치를 의미한다.\mathbf{A} = \begin{pmatrix} 1 & -2 - i & 5 \\ 1 + i & i & 4-2i \end{pmatrix}에 대해 \mathbf{A}^\mathrm{H} = \begin{pmatrix} 1 & 1 - i \\ -2 + i & -i \\ 5 & 4+2i\end{pmatrix}\operatorname{adj}고전적 수반 행렬\operatorname{adj}\mathbf{A}행렬 \mathbf{A}의 여인자 행렬의 전치 행렬이다.\operatorname{adj}\begin{pmatrix}
\operatorname{det}


|\Box|행렬식\operatorname{det}\mathbf{A} 또는 >\mathbf{A}|행렬 A의 행렬식을 의미한다.\det \begin{pmatrix} a & b \\c & d \end{pmatrix} = \begin{vmatrix} a & b \\c & d \end{vmatrix} = ad - bc.I_n

I단위 행렬I_nn\times n 단위 행렬을 의미한다.I_3 = \begin{pmatrix}
\operatorname{diag}대각 행렬\operatorname{diag}(d_1,\dots,d_n)i번째 대각 성분이 d_i인 대각 행렬을 의미한다.\operatorname{diag}(d_1,\dots,d_n)=
\operatorname{tr}대각합\operatorname{tr}(\mathbf{A})는 정사각 행렬 \mathbf{A}주대각선 성분들의 합을 의미한다.\mathbf{A}=\begin{pmatrix}1&0&3\\11&5&2\\6&12&-5
\operatorname{rank}


\operatorname{rk}계수\operatorname{rank}\mathbf{A} 또는 \operatorname{rk}\mathbf{A}행렬 \mathbf{A}의 행공간 또는 열공간의 차원을 의미한다.\mathbf{A}=\begin{pmatrix}1&0\\0&0\end{pmatrix}일 때 \operatorname{rank}\mathbf{A}=1\sim행렬의 닮음\mathbf{A}\sim \mathbf{B}행렬 \mathbf{A}\mathbf{B}가 닮음임을 의미한다.


7. 2. 행렬 연산

행렬 연산 기호
기호의미설명
\mathbf{A}^{-1}역행렬행렬 \mathbf{A}의 역행렬[1]
\mathbf{A}^\operatorname T, \mathbf{A}^\top, ^\operatorname t\mathbf{A}, \mathbf{A}', \mathbf{A}^\operatorname{tr}전치 행렬행렬 \mathbf{A}의 전치 행렬[2]
\mathbf{A}^H, \mathbf{A}^*,\mathbf{A}^\dagger, \mathbf{A}'켤레 전치복소 행렬 \mathbf{A}의 켤레 전치[3]
\operatorname{adj}\mathbf{A}고전적 수반 행렬행렬 \mathbf{A}의 여인자 행렬의 전치 행렬[4]
\operatorname{det}\mathbf{A} 또는 >\mathbf{A}|행렬식행렬 A의 행렬식[5]
I_n 또는 I단위 행렬n\times n 단위 행렬 (행렬의 크기가 중요하지 않거나 생략해도 되는 경우 I로 표기)[6]
\operatorname{diag}(d_1,\dots,d_n)대각 행렬i번째 대각 성분이 d_i인 대각 행렬[7]
\operatorname{tr}(\mathbf{A})대각합정사각 행렬 \mathbf{A}주대각선 성분들의 합[8]
\operatorname{rank}\mathbf{A} 또는 \operatorname{rk}\mathbf{A}계수행렬 \mathbf{A}의 행공간 또는 열공간의 차원[9]
\mathbf{A}\sim \mathbf{B}행렬의 닮음행렬 \mathbf{A}\mathbf{B}가 닮음


7. 3. 벡터 연산


:(1,2,5)\cdot(3,4,-1)=1\cdot3+2\cdot4+5\cdot(-1)=6
: 는 벡터 과 의 벡터곱을 의미한다.

:(1,2,5)\times(3,4,-1)=\begin{vmatrix}\mathbf{i}&\mathbf{j}&\mathbf{k} \\1&2&5\\3&4&-1\end{vmatrix}=(-22,16,-2)

  • \langle\Box,\Box\rangle : 내적

: \langle \mathbf{u},\mathbf{v}\rangle내적 공간 V의 원소 \mathbf{u}, \mathbf{v}의 내적을 의미한다. 내적 공간 참조.

:: 실수에서 원소 x,y\in\R의 내적은 \langle x, y \rangle := xy
: \mathbf{u}\perp\mathbf{v}는 두 벡터 \mathbf{u}, \mathbf{v}의 내적이 0임을 의미한다.
: \mathbf{u} \otimes \mathbf{v}벡터 \mathbf{u}\mathbf{v}의 외적을 의미한다.

:\mathbf{u} = \begin{pmatrix}1\\2\\5\end{pmatrix}, \mathbf{v} = \begin{pmatrix} 3\\4\\-1\end{pmatrix}에 대해

:\mathbf{u}\otimes\mathbf{v}=\begin{pmatrix}1\cdot3&1\cdot4&1\cdot(-1)\\2\cdot3&2\cdot4&2\cdot(-1)\\5\cdot3&5\cdot4&5\cdot(-1)\end{pmatrix}=\begin{pmatrix}3&4&-1\\6&8&-2\\15&20&-5\end{pmatrix}

8. 추상대수학 기호

\prod직접곱X\times Y는 군, 가군, 위상 공간 등의 대수 구조 X,Y의 직접곱을 의미한다.
\prod_{i \in I} X_i은 군, 가군, 위상 공간 등의 대수 구조들의 모임 \{X_i\}_{i\in I}의 직접곱을 의미한다.Z_2\times Z_3\simeq Z_6\ltimes
\rtimes반직접곱N\rtimes H 또는 H\ltimes N은 군 NH의 반직접곱을 의미한다.D_{2n}\simeq Z_n\rtimes Z_2=Z_n\ltimes Z_2\oplus직합V \oplus W은 벡터 공간, 아벨 군, 가군 등의 대수 구조 VW의 직합을 의미한다.
\bigoplus_{i \in I} V_i은 벡터 공간, 아벨 군, 가군 등의 대수 구조들의 모임 \{V_i\}_{i\in I}의 직합을 의미한다. I가 유한 집합인 경우 직접곱과 같다.유한 차원 벡터 공간 V 위의 대각화 가능한 선형 변환 T의 고윳값 \lambda_1,\cdots,\lambda_n에 대해, V=\bigoplus_{1\le i\le n}\ker(T-\lambda_i I)이다.\coprod쌍대곱\coprod_{i\in I}X_i는 범주 \mathcal C의 대상의 집합 \{X_i\}_{i\in I}의 쌍대곱을 의미한다.\wr화환곱(G,A)\wr(H,B)은 반군 G,H가 각각 집합 A,B의 오른쪽에서 작용할 때 (G,A)(H,B)의 화환곱을 의미한다.\le
\ge부분군H \le G는 군 H가 군 G의 부분군임을 의미한다.5\mathrm{Z} \le \mathrm{Z}, \mathrm{A}_3 \le \mathrm{S}_3<
>진부분군H < G는 군 H가 군 G의 진부분군임을 의미한다.5\mathrm{Z} < \mathrm{Z}, \mathrm{A}_3 < \mathrm{S}_3\triangleleft
\triangleright정규 부분군N\triangleleft G 또는 G\triangleright NNG의 정규 부분군임을 의미한다.군 G에 대해 Z(G)\triangleleft G/몫공간몫집합, 몫군, 몫환 등 몫공간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X/\sim, \mathbb{Z}[x]/(x^2+1)\simeq\mathbb{Z}[i], \operatorname{Im}(f)\cong G/\ker(f)체의 확대E/F는 체 E가 체 F의 확대임을 의미한다.\mathbb{C}/\mathbb{R}[\Box:\Box]체의 차수[E:F]는 체의 확대 E/F가 이루는 벡터 공간의 차원을 의미한다.[\mathbb{C}:\mathbb{R}]=2\operatorname{Aut}자기 동형 사상군\operatorname{Aut}(X)는 대상(특히, 군) X의 자기동형사상이 이루는 군을 의미한다.E/F가 >\operatorname{Aut}(E/F)|=[E:F]를 만족하면 이를 갈루아 확대라 한다.\text{ob}(\Box)대상의 모임\text{ob}(\mathcal{C})는 범주 \mathcal{C}의 대상들의 모임을 의미한다.\text{hom}(\Box)
\text{hom}_\Box(\Box)
\text{mor}(\Box)사상들의 모임\text{hom}(\mathcal{C})는 범주 \mathcal{C}의 사상들의 모임이다.
\text{hom}(X,Y) 또는 \text{hom}_\mathcal{C}(X,Y), \text{mor}(X,Y), \mathcal{C}(X,Y)는 범주 \mathcal{C}의 대상 X에서 Y로 가는 사상들의 모임이다.\Box^{\text{op}}반대 범주\mathcal{C}^{\text{op}}는 범주 \mathcal{C}의 모든 사상의 방향을 반대로 뒤집은 반대 범주를 의미한다.가환 그림범주론에서, 시작과 끝이 같은 모든 경로가 모두 동일한 결과로 이어지는 그림을 가환 그림이라 한다.


8. 1. 군 (Group)

\prod직접곱X\times Y, 가군, 위상 공간 등의 대수 구조 X,Y의 직접곱을 의미한다.
\prod_{i \in I} X_i, 가군, 위상 공간 등의 대수 구조들의 모임 \{X_i\}_{i\in I}의 직접곱을 의미한다.Z_2\times Z_3\simeq Z_6\ltimes
\rtimes반직접곱N\rtimes H 또는 H\ltimes N NH의 반직접곱을 의미한다.D_{2n}\simeq Z_n\rtimes Z_2=Z_n\ltimes Z_2\wr화환곱(G,A)\wr(H,B)반군 G,H가 각각 집합 A,B의 오른쪽에서 작용할 때 (G,A)(H,B)의 화환곱을 의미한다.\le
\ge부분군H \le G H가 군 G의 부분군임을 의미한다.5\mathrm{Z} \le \mathrm{Z}
\mathrm{A}_3 \le \mathrm{S}_3<
>진부분군H < G H가 군 G의 진부분군임을 의미한다.5\mathrm{Z} < \mathrm{Z}
\mathrm{A}_3 < \mathrm{S}_3\triangleleft
\triangleright정규 부분군N\triangleleft G 또는 G\triangleright NNG의 정규 부분군임을 의미한다. G에 대해 Z(G)\triangleleft G/몫공간몫집합, 몫군, 몫환 등 몫공간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G, N에 대해 G/N몫군을 의미한다.X/\sim
\mathbb{Z}[x]/(x^2+1)\simeq\mathbb{Z}[i]
\operatorname{Im}(f)\cong G/\ker(f)


8. 2. 환 (Ring)


\prod직접곱X\times Y, 가군, 위상 공간 등의 대수 구조 X,Y의 직접곱이다.\ltimes

\rtimes반직접곱N\rtimes H 또는 H\ltimes N NH의 반직접곱이다.D_{2n}\simeq Z_n\rtimes Z_2=Z_n\ltimes Z_2\oplus직합V \oplus W벡터 공간, 아벨 군, 가군 등의 대수 구조 VW의 직합이다.\coprod쌍대곱\coprod_{i\in I}X_i범주 \mathcal C의 대상의 집합 \{X_i\}_{i\in I}의 쌍대곱이다.\wr화환곱(G,A)\wr(H,B)반군 G,H가 각각 집합 A,B의 오른쪽에서 작용할 때 (G,A)(H,B)의 화환곱이다.\le

\ge부분군H \le G H가 군 G의 부분군임을 나타낸다.5\mathrm{Z} \le \mathrm{Z}, \mathrm{A}_3 \le \mathrm{S}_3<

>진부분군H < G H가 군 G의 진부분군임을 나타낸다.5\mathrm{Z} < \mathrm{Z}, \mathrm{A}_3 < \mathrm{S}_3\triangleleft

\triangleright정규 부분군N\triangleleft G 또는 G\triangleright NNG의 정규 부분군임을 나타낸다. G에 대해 Z(G)\triangleleft G/몫공간몫집합, 몫군, 몫환 등 몫공간을 나타낸다.X/\sim, \mathbb{Z}[x]/(x^2+1)\simeq\mathbb{Z}[i], \operatorname{Im}(f)\cong G/\ker(f)체의 확대E/F E가 체 F확대임을 나타낸다.\mathbb{C}/\mathbb{R}[\Box:\Box]체의 차수[E:F]는 체의 확대 E/F가 이루는 벡터 공간의 차원이다.[\mathbb{C}:\mathbb{R}]=2\operatorname{Aut}자기 동형 사상군\operatorname{Aut}(X)는 대상(특히, ) X의 자기동형사상이 이루는 군이다.체의 확대 E/F|\operatorname{Aut}(E/F)|=[E:F]를 만족하면 이를 갈루아 확대라 한다.\text{ob}(\Box)대상의 모임\text{ob}(\mathcal{C})범주 \mathcal{C}의 대상들의 모임이다.\text{hom}(\Box)

\text{hom}_\Box(\Box)

\text{mor}(\Box)사상들의 모임\text{hom}(\mathcal{C})범주 \mathcal{C}의 사상들의 모임이다.\Box^{\text{op}}반대 범주\mathcal{C}^{\text{op}}는 범주 \mathcal{C}의 모든 사상의 방향을 반대로 뒤집은 반대 범주이다.가환 그림범주론에서, 시작과 끝이 같은 모든 경로가 모두 동일한 결과로 이어지는 그림을 가환 그림이라 한다.


8. 3. 체 (Field)

Field영어의 연산, 체의 확대 등을 나타내는 기호는 다음과 같다.

기호의미설명예시
/체의 확대E/F E가 체 F확대임을 의미한다.\mathbb{C}/\mathbb{R}
[\Box:\Box]체의 차수[E:F]는 체의 확대 E/F가 이루는 벡터 공간의 차원을 의미한다.[\mathbb{C}:\mathbb{R}]=2


9. 괄호 기호

( )는 연산 순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괄호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 , )는 순서쌍 및 2차원 좌표를 나타낸다. (a, b)는 두 대상 a, b의 순서쌍을 의미하며, 2차원 좌표계의 점을 순서쌍으로 나타낸다.

( ,…, )는 튜플 및 좌표를 나타낸다. (a1, …, an)은 대상 a1, …, an의 n-튜플을 의미하며, n차원 좌표계의 점을 튜플로 나타낸다.

( , ), [ , ], ( , ], [ , )는 구간을 나타낸다.


  • (a, b)는 a보다 크고 b보다 작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열린구간이다.
  • [a, b]는 a보다 크거나 같고 b보다 작거나 같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닫힌구간이다.
  • [a, b)는 a보다 크거나 같고 b보다 작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반열린구간이다.
  • (a, b]는 a보다 크고 b보다 작거나 같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반열린구간이다.


|| ||는 노름을 나타낸다. ||x||는 노름 공간원소 x의 노름을 의미한다.

⌊ · ⌋, [·]는 바닥함수를 나타낸다. ⌊x⌋ 또는 [x]는 실수 x보다 같거나 작은 가장 큰 정수를 의미한다. 예시: ⌊1.7⌋ = 1

⌈ · ⌉는 천장함수를 나타낸다. ⌈x⌉는 실수 x보다 같거나 큰 가장 작은 정수를 의미한다. 예시: ⌈1.7⌉ = 2

{·}는 부분 분수 함수를 나타낸다. {x}는 실수 x에 대해 {x} = x - ⌊x⌋을 의미한다. 예시: {1.7} = 0.7

⟨ | 는 브라 벡터를 나타낸다. ⟨φ|는 벡터 |φ⟩의 쌍대를 의미한다.

| ⟩는 켓 벡터를 나타낸다. |φ⟩는 φ 표시와 함께 표기되는 벡터를 의미하며, 힐베르트 공간 안에 있다.

10. 기타 기호


{}_\Box C_\Box이항 계수\binom nk 또는 {}_n C_k이항식이항 정리로 전개했을 때 각 항의 계수를 의미한다. \frac{n!}{k!(n-k)!}와 같은 값이며, C(n,k)로도 쓴다.\binom 52=\frac{5!}{2!(5-2)!}=10P(\Box/\Box)

P(\Box\mid\Box)조건부 확률P(A/B) 또는 P(A\mid B)는 사건 B가 일어났을 때 사건 A가 일어날 조건부 확률을 의미한다.\sim확률 분포확률 변수가 특정 확률 분포를 따름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확률 변수 X가 표준 정규 분포를 따를 때, X\sim N(0,1)라 쓴다.\operatorname{argmax}

\operatorname{argmin}아그 맥스아그 민\operatorname{argmax}_S f집합 X부분집합 S전순서 집합 Y에 대해 주어진 함수 f:X\to Y에 대해 \{x \in S ~:~ f(s) \leq f(x)\ \forall s \in S \}을 의미한다.


10. 1. 무한대 (∞)

∞는 무한대를 나타낸다. 합산, 무한곱, 적분 등의 상한으로서 계산이 무제한임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하한에 있는 -\infty는 음수 방향으로 계산이 무제한임을 의미한다.

-\infty+\infty는 실수축에 더해져 확장된 실수축을 형성하는 일반화된 수이며, \infty는 실수축에 더해져 사영 확장 실수축을 형성하는 일반화된 수이다.

참조

[1] 문서 ISO 80000-2, Section 9 "Operations", 2-9.6
[2] 웹사이트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From Elementary to Intermediate https://www.pearson.[...]
[3] 문서 LaTeX and Unicode symbols ∘ and ○
[4] 서적 Vector Methods Oliver and Boyd Ltd., Edinburgh
[5] 문서 수학 기호의 의미와 해석
[6] 서적 解析入門I 一般財団法人 東京大学出版会 2019-05-13
[7] 웹사이트 初等整数論/合同式 - Wikibooks https://ja.wikibooks[...] 2022-06-01
[8] 문서 퍼센트 기호의 에스케이프
[9] 서적 Classic Set Theory Chapman and Ha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