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니코티노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오니코티노이드는 1970년대에 개발된 살충제로, 니코틴의 화학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곤충의 신경계에 작용한다. 1980년대에 이미다클로프리드가 상업화된 이후 클로티아니딘, 티아메톡삼 등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꿀벌을 포함한 곤충과 조류, 수생 생물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각국에서 사용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오니코티노이드 - 디노테푸란
디노테푸란은 농업 및 수의학 분야에서 해충 방제에 사용되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이지만, 꿀벌 폐사 연관성 논란으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 살충제 - 모기향
모기향은 모기를 쫓기 위해 사용되는 제품으로, 1886년 일본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나선형, 매트형, 액상형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피레트린, 알레트린 등의 살충 성분을 포함하며, 연기, 유해 물질, 화재 위험에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 살충제 - 붕산
붕산은 붕소의 산화물로, 살충제, 난연제, 의약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붕사에 무기산을 작용시켜 얻을 수 있고, 가열 시 산화 붕소로 분해되며, 루이스 산으로 작용하고, 과다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네오니코티노이드 | |
---|---|
일반 정보 | |
종류 | 살충제 |
CAS 등록 번호 | 153719-23-4 (Imidacloprid) |
화학 계열 |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작용제 |
화학식 | C₉H₁₀ClN₅O₂ (Imidacloprid) |
분자량 | 255.7 g/mol (Imidacloprid) |
약리학 | |
작용 메커니즘 | 곤충의 신경계에 있는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표적으로 함 |
위험성 | |
GHS 위험 문구 | H302, H332, H411 |
관련 화합물 | |
관련 화합물 | 니코틴 |
추가 정보 | |
네오니코티노이드 | 니코틴에서 파생된 살충제 종류 |
작용 방식 | 곤충의 중추신경계를 차단 |
용도 | 농작물 보호 및 해충 방제 |
살충 효과 | 신경독으로 작용 |
개발 배경 | 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초반 |
주요 성분 | 이미다클로프리드 클로티아니딘 티아메톡삼 디노테푸란 아세타미프리드 티아클로프리드 |
환경 영향 | 꿀벌 개체수 감소 논란 |
규제 현황 | 유럽 연합 및 일부 국가에서 사용 제한 또는 금지 |
작용 기작 | 곤충의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경 신호 전달 방해 |
저항성 | 일부 해충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에 대한 저항성 진화 |
대체 살충제 | 피레스로이드 유기인산염 카바메이트 |
역사 | |
개발 |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에 걸쳐 개발됨 |
최초 개발 회사 | 바이엘 (Bayer) |
개발 동기 | 기존 살충제의 단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작용 메커니즘을 가진 살충제 필요성 대두 |
사용 | |
주요 사용 분야 | 농업 원예 조경 |
적용 대상 | 잎 줄기 뿌리 씨앗 |
살충 대상 | 진딧물 멸구 딱정벌레 나비목 해충 |
논란 및 규제 | |
꿀벌 피해 논란 | 네오니코티노이드 사용과 꿀벌 개체수 감소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쟁 |
유럽 연합 규제 | 2018년, 유럽 연합은 일부 네오니코티노이드의 야외 사용 전면 금지 |
기타 국가 규제 | 일부 국가에서도 네오니코티노이드 사용 제한 또는 금지 |
2. 역사
천연 물질인 니코틴과 황산 니코틴은 오래전부터 살충제로 사용되었지만, 사람과 가축에 대한 독성도 높아 위험했다. 그래서 이를 바탕으로 독성을 줄이기 위해 네오니코티노이드가 개발되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수용성이 높고 식물체로의 침투 이행성도 있기 때문에 잔효성이 길다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살충제의 살포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세계에서 주류 살충제로 사용되며, 1990년대부터 사용이 급증했다.
2019년 현재, 살충제 저항성 대책 위원회(Insecticide Resistance Action Committee영어, IRAC)에 의한 작용 기전·작용 분류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로 분류되는 7종 중 6종이 일본 기업에 의해 개발되었다.
2. 1. 초기 개발
1970년, 퍼듀 대학교의 화학자 헨리 포이어가 니티아진의 전구체를 최초로 합성했다.[25][26][27] 셸 연구원들은 스크리닝 과정에서 이 전구체가 살충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하여 니티아진을 개발했다.[2] 1984년, 니티아진의 작용 기전이 니코틴과 동일한 아세틸콜린 수용체 효능제라는 것이 밝혀졌다.[28] 니티아진은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로 작용하지 않는데,[28] 이는 유기인계 살충제 및 카바메이트 살충제와는 대조적이다. 니티아진은 원하는 선택성(즉, 포유류에 대한 낮은 독성)을 가지고 있지만, 광안정성이 없어 햇빛에 의해 분해되므로 상업적으로 실용적이지 않았다.2. 2. 상용화 및 확산
1985년, 바이엘(신조 카가부)은 최초의 상업용 네오니코티노이드로 이미다클로프리드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29] 1990년대 후반, 이미다클로프리드는 널리 사용되었다.[5][6][7] 2000년대 초부터 클로티아니딘과 티아메톡삼이라는 두 개의 다른 네오니코티노이드가 시장에 진입했다.1992년에 이미다클로프리드가 일본에서 농약으로 등록되었으며, 1993년에 도쿄 농업대학 교수 야마모토 이즈루에 의해 "네오니코티노이드"라는 명칭이 제안되었다. 이후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라는 호칭이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3. 종류
네오니코티노이드는 화학 구조 내에 시아노이민(=N-CN), 니트로이민(-C=N-NO2), 클로로피리딜기, 클로로티아졸릴기, 푸릴기를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분자 내에 클로로기를 갖는 구조가 대표적이므로, 분자 내에 클로로기를 갖지 않는 것을 포함하여 클로로니코티닐계라고도 불린다.
계열 | 성분명 | 개발 연도 | 상품명 | 비고 |
---|---|---|---|---|
니트로구아니딘계 | 클로티아니딘 | 2002년 | "단토츠", "베니카" | |
니트로구아니딘계 | 디노테푸란 | 2002년 | "스타클" | |
니트로구아니딘계 | 티아메톡삼 | 1997년 | "악타라" | |
니트로메틸렌계 | 니텐피람 | 1995년 | "베스트가드" | |
니트로메틸렌계 | 니치아진 | 1979년 | 쉘 주식회사(Shell plc) 개발, 빛에 불안정하여 실용화 실패 | |
피리딜메틸아민계 | 아세타미프리드 | 1995년 | "모스피란", "마츠그린", "일더 SG", "아리베르" | |
피리딜메틸아민계 | 이미다클로프리드 | 1991년 | "어드마이어", "메리트" | |
피리딜메틸아민계 | 티아클로프리드 | 2001년 | "바리어드", "칼립소" |
4. 작용 기전
네오니코티노이드는 니코틴과 유사하게 세포의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s)에 결합하여 해당 세포에서 반응을 유발한다.[132] 포유류에서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중추 신경계와 말초 신경계 세포 모두에 존재한다. 곤충의 경우 이러한 수용체는 중추 신경계에만 제한적으로 존재한다.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러한 수용체의 낮거나 중간 정도의 활성화는 신경 자극을 유발하지만, 높은 수준에서는 과도하게 자극하여 수용체를 차단하고[5][86] 마비와 사망을 유발한다.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는 아세틸콜린을 분해하여 이러한 수용체로부터의 신호를 종결시킨다. 그러나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는 네오니코티노이드를 분해할 수 없으며, 네오니코티노이드의 결합은 비가역적이다.[86]
포유류와 곤충은 수용체 하위 단위와 수용체의 구조가 다르다.[87][88] 대부분의 네오니코티노이드가 포유류 뉴런 수용체보다 곤충 뉴런 수용체에 훨씬 더 강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이 살충제는 포유류보다 곤충에 더 독성이 있다.[5][87][88]
이미다클로프리드의 낮은 포유류 독성은 생리적 pH에서 전하를 띤 질소 원자가 존재하여 혈액-뇌 장벽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설명된다. 비전하 분자는 곤충 혈액-뇌 장벽을 관통할 수 있다.[5]
다른 네오니코티노이드는 곤충에 존재하지만 포유류 nAChRs에는 없는 독특한 양전하 아미노산 잔기와 상호 작용하는 음전하의 니트로 또는 시아노 그룹을 가지고 있다.[89]
대사 동안 포유류의 체내에서 생성되는 데스니트로-이미다클로프리드 분해 생성물[87] 뿐만 아니라 이미다클로프리드의 환경적 분해에서도[90] 전하를 띤 질소를 가지고 있으며 포유류 nAChRs에 대한 높은 친화력을 보인다.[87] 데스니트로-이미다클로프리드는 쥐에게 매우 독성이 있다.[91]
독성 작용은 활성 성분 자체 또는 그 잔류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여러 네오니코티노이드의 일반적인 분해 생성물이다.[92]
5. 시장 및 농업적 이용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는 정원용 및 농업용 살충제, 가정용 스프레이 살충제, 애완동물의 이·벼룩 구제, 바퀴벌레 구제, 흰개미 구제, 주택의 화학 건축 자재[158], 목재 방부제[159]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네오니코티노이드 단독 농약으로 판매될 뿐만 아니라, 다른 살충제나 농업용 살균제 및 살진드기제와 섞여 사용되기도 한다.[158]
농약으로 사용되는 경우[160]는 다음과 같다:
건축 자재 방충제로는 바닥 플로어링재 표면재 접착층의 접착제 혼입 처리제[162], 흰개미[163], 가구벌레[162] 방지 등에 사용된다.
5. 1. 시장 현황
네오니코티노이드는 120개국 이상에서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다. 2008년 전 세계 매출은 15억유로로, 전 세계 살충제 시장의 24%를 차지했다. 1990년 1.55억유로에서 2023년 55억유로로 크게 성장했다.[32] 2008년에는 모든 종자 처리 판매의 80%, 씨앗에 사용되는 살충제 무게의 최대 43%를 차지했다.[33][34]2011년 기준으로 7개의 네오니코티노이드가 시장에 출시되었다.[34] 주요 제조사와 2009년 매출은 다음과 같다.
이름 | 회사 | 2009년 매출 (백만 US$) |
---|---|---|
이미다클로프리드 |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 10.91억달러 |
티아메톡삼 | 신젠타 | 6.27억달러 |
클로티아니딘 | 스미토모 화학/바이엘 크롭사이언스 | 4.39억달러 |
아세타미프리드 | 닛폰 소다 | 2.76억달러 |
티아클로프리드 |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 1.12억달러 |
디노테퓨란 | 미쓰이 화학 | 7900만달러 |
니텐피람 | 스미토모 화학 | 800만달러 |
5. 2. 농업적 이용
이미다클로프리드는 흡즙성 해충, 일부 저작 해충, 토양 해충, 그리고 애완동물의 벼룩에 효과적이다.[86] 이 살충제는 전신성이며 특히 흡즙성 해충에 효과가 있고 잔류 활성이 길다. 이미다클로프리드는 식물 관개에 사용되는 물에 첨가될 수 있으며, 제어 방출 제형은 물에서 이미다클로프리드의 50%를 방출하는 데 2~10일이 걸린다.[35] 토양 해충, 종자, 목재, 동물 해충뿐만 아니라 엽면 처리에도 사용된다.2013년 기준으로 네오니코티노이드는 미국에서 옥수수와 유채 작물의 약 95%, 면화, 수수, 사탕무의 대부분, 그리고 모든 콩의 약 절반에 사용되었다. 사과, 체리, 복숭아, 오렌지, 베리, 잎채소, 토마토, 감자를 포함한 과일과 채소의 대부분, 곡물, 쌀, 견과류, 그리고 포도주용 포도에도 사용되었다.[36] 이미다클로프리드는 네오니코티노이드 및 전 세계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살충제였을 가능성이 있다.[5][6][7]
농업에서 해충 방제를 위한 네오니코티노이드 종자 처리의 유용성은 파종 시기와 해충의 출현 시기에 달려 있다. 콩의 경우, 네오니코티노이드 종자 처리는 일반적으로 콩 진딧물에 효과가 없는데, 그 이유는 화합물이 파종 후 35~42일 후에 분해되고, 콩 진딧물은 일반적으로 이 시간 이전에 존재하지 않거나 해로운 수준의 개체수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이다.[37][38][39] 늦게 파종된 밭이나 생육 초기에 대규모 해충 발생 지역과 같은 개별적인 경우 수확량을 보호할 수 있다.[39] 미국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 종자 처리를 통해 콩 해충으로 인한 전반적인 수확량 증가는 예상되지 않으며, 곤충이 피해 수준에 도달하면 엽면 살충제가 권장된다.[37]
캐나다 보건부는 네오니코티노이드가 2013년에 옥수수의 전국 농가 수취액의 3% 이상, 콩의 전국 농가 수취액의 1.5%에서 2.1%에 해당하는 이점을 제공한다고 추정했다.[40]
농약으로 사용되는 경우[160]는 다음과 같다.
6. 독성 및 생태계 영향
농약으로 사용되는 황산 니코틴은 니코틴의 살충 작용을 이용한 것이지만, 곤충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강한 독성을 가진다. 이에 니코틴의 화학 구조식을 일부 변경하여 곤충에게는 강한 독성을 유지하면서 사람에게는 상대적으로 낮은 독성을 가지는 네오니코티노이드가 개발되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유기 인계, 합성 피레스로이드계,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내성이 생긴 해충에도 효과적이며, 해충 구제뿐만 아니라 건축 자재나 작물, 정원수 보호에도 사용된다. 또한 무미, 무취하다는 특징이 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수용성이 높고 식물체 내 침투 이행성이 뛰어나 잔효성이 길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살포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주류 살충제가 되었으며, 1990년대부터 사용량이 급증했다. 그러나 이후 전 세계적으로 꿀벌 군집 붕괴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가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기도 했다.[144] 유럽에서는 예방 원칙에 따라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144] 유럽 연합(EU)은 2018년 주요 네오니코티노이드 5종 중 3종의 사용을 금지했고, 프랑스는 5종 모두를 금지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신경 세포 시냅스 후막에 있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인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에 결합, 신경 세포를 지속적으로 흥분시켜 곤충을 죽음에 이르게 한다.[132] 사람 등 포유류에게는 저농도에서 단독 사용 시 급성 독성은 비교적 낮지만, 곤충에게는 높은 선택적 독성을 보인다.
유기 인계 살충제와 비교했을 때,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는 영장류, 포유류, 조류, 파충류에 대한 안전성이 더 높다. 그러나 곤충에 대한 강한 독성, 식물체 침투 이행성, 긴 잔효성으로 인해 살충 성분이 식물체 내에 장기간 남아있게 된다.[135] 이는 노동 시간 단축과 해충 예방, 살포 횟수 감소에는 유리하지만, 살충 성분이 잎, 과실뿐만 아니라 꽃가루, 꿀에도 이행되어 이를 섭취하는 꿀벌 등 곤충에게 장기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2013년 1월, 훔볼트 푸드 앤드 농업 포럼(HFFA)은 EU 내 네오니코티노이드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바이엘 크롭사이언스와 신젠타(Syngenta) 등 네오니코티노이드 제조사의 자금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으며, 네오니코티노이드 전면 금지 시 농업, 부가가치(VA), 고용, 세계 가격, 토지 사용, 온실 가스 배출(GHG) 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면 금지 첫 해에 농업 및 총 부가가치가 각각 28억 유로, 38억 유로 감소하고 22,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지며, 5년 금지 시에는 부가가치 170억 유로, 27,000개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토양 협회는 이 보고서가 제조사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는 점을 지적하며, "네오니코티노이드를 금지해야 한다고 결론 내릴 가능성은 낮다"고 비판했다.[79]
농약의 독성 평가는 주로 대상 동물의 사망률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며, 분해 대사물이 내분비계 및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149]
6. 1. 꿀벌에 대한 영향
2006년 미국에서 꿀벌이 갑자기 떼죽음을 당하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네오니코티노이드와의 관련성이 제기되었다.[95][96] 1990년대 초부터 전 세계적으로 꿀벌의 대량 실종이 보고되었으며, 2007년 봄까지 북반구에서 4분의 1의 벌이 사라졌다.[136] 2010년에는 이러한 현상이 캐나다, 미국, 중국, 중화민국(대만), 인도, 우루과이, 브라질, 호주, 일본 등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137]벌집군 붕괴 현상(CCD)의 원인 중 하나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이 지목되기도 하지만, 명확한 인과 관계는 입증되지 않았다.[99] 실험실 연구에서는 네오니코티노이드가 꿀벌의 행동, 학습 능력, 생존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02][103][104] 그러나 현장 연구에서는 일관된 결과가 나오지 않았는데, 이는 실험실 연구에서 투여량 요인(농도, 지속 시간, 선택)이 과대 평가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107]
일부 연구에서는 꿀벌 외 다른 벌(호박벌, 벽돌벌)에게 더 큰 부정적 영향이 나타났다.[8] 호박벌은 낮은 번식률, 적은 일벌과 여왕벌 생산, 행동 변화 등의 피해를 입었다.[9]
꿀벌에 대한 독성은 네오니코티노이드 종류에 따라 다르다.[138][139] 클로티아니딘,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디노테푸란은 꿀벌에 대한 급성 독성이 높은 반면, 아세타미프리드, 티아클로프리드는 독성이 낮다.[140]
6. 2. 조류에 대한 영향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조류 개체군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1] 종자 코팅된 씨앗을 직접 섭취하거나,[114] 곤충을 먹이로 하는 조류의 먹이 사슬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117] 네오니코티노이드에 직접 노출되면 발달 이상, 난각 얇아짐, 수정 성공률 감소, 배아 크기 감소 등이 보고되었다.[115]네오니코티노이드의 주요 목표는 해충을 제거하는 것이지만, 이는 이러한 곤충에 의존하는 식충성 조류 개체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16][117][118][119][120] 네오니코티노이드는 토양으로 침출되어 곤충이 서식하는 수역에 축적될 수 있기 때문이다.[120]
2014년 네덜란드에서 수행된 관찰 연구에서는 일부 조류 개체군의 감소와 환경 내 이미다클로프리드 잔류물 간의 상관관계를 밝혔지만, 이 연관성이 인과 관계가 있다고 결론짓지는 않았다.[117] 2013년 3월, American bird conservancy는 네오니코티노이드의 성분이 무척추동물과 조류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제시하며 사용 중지를 요구했다.
6. 3. 수생 생물에 대한 영향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논에서 사용하면 하천이나 호수 등 생태계로 널리 확산되어[144] 수생 곤충 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수생 곤충 등을 식량으로 하는 생물은 식량이 감소함으로써 타격을 받는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144][145]이시카와현립대학의 우에다 테츠유키와 미야기대학의 진구지 히로시의 조사에 따르면,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를 사용한 논에서는 아키아카네의 우화가 종전의 30% 정도로 감소했다.[141][142]
시마네현의 신지호에서는 붕장어와 빙어가 격감하고 있다.[143] 그 원인에 대해, 산업기술종합연구소는 2019년 11월 연구 보고를 통해 논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가 사용되기 시작한 시기와 일치하며, 하천에서 호수로 유입되어 소형 수생 생물(오오유스리카 유충, 키스이케나가미진코)을 살상하고, 간접적으로 그것들을 포식하는 어류를 격감시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도쿄 대학, 시마네현 보건 환경 과학 연구소, 나고야시 환경 과학 조사 센터, 지바 공업 대학과의 공동 연구).[144][145]
6. 4. 기타 야생 동물
아직 결론이 나지는 않았지만, 네오니코티노이드가 꿀벌 외의 수분 매개 곤충, 예를 들어 제왕나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126][127][128][129] 일부 증거는 네오니코티노이드가 부화하는 제왕나비 알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126][127][128][129] 그러나 나비와 밤나방에 대한 네오니코티노이드의 영향은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9]6. 5. 포유류에 대한 영향
사람 등 포유류에게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저농도에서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급성 독성은 비교적 낮다. 그러나 곤충에게는 높은 독성을 선택적으로 나타낸다.[132]하지만 네오니코티노이드의 작용점인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는 곤충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발현되는 수용체이다. 아세틸콜린은 곤충과 사람 모두에게서 신경전달물질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사람에게서 아세틸콜린은 중추신경계, 자율신경계, 신경근 접합부에서 작용한다. 포유류가 네오니코티노이드를 경구 섭취하면 장관에서 쉽게 흡수될 뿐만 아니라 혈액뇌관문도 쉽게 통과한다.[158]
이러한 점 때문에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이 사람의 뇌, 특히 발달 중인 태아나 소아의 대뇌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는 의견이 있다.[133] 포유류 섭취 시 영향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지만, 아직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134]
내각부 식품안전위원회 심사에서는 사람에 대한 급성 독성은 낮고, 만성 독성, 발암성, 번식성, 최기형성 및 변이원성 시험에서도 문제는 없다고 보고되었다.[146][147] 랫드 대상 대사 시험에서는 투여 후 24시간 이내에 96% 이상이 그대로 배출되어 축적되지 않았다.[158] 그러나 태아 및 유아에 대한 영향은 연구가 진행 중이며 불명확하다.[148] 단시간에 대량 섭취하면 급성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147][158]
농약 살포자를 제외하면, 사람이 네오니코티노이드를 섭취하는 주요 경로는 음용수 및 식품 섭취,[147][146] 하우스 더스트,[163] 비산물 흡입(폐)이다.[161]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농작물 표면에 부착되면 내부로 침투한다.[146] 또한, 상압에서 147℃에서 270℃ 이하에서는 열분해되지 않아 식품 조리 과정에서 잔류 농약이 분해되지 않는다.[149] 포유류에서는 장관에서 잘 흡수되어 혈액뇌관문을 쉽게 통과한다.[158]
선진국과 비교하여 식품 잔류 기준치가 높게 설정되어 있으며, 특히 일본에서는 2015년에 후생노동성이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의 식품 잔류 기준을 완화했다.[151][152]
농산물 가식부에 잔류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으로 인한 경구 섭취 건강 장애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158][147] 보고된 증상은 아급성 니코틴 중독 증상과 유사하며,[158] 아급성 두통, 현기증, 구역질, 구토, 흉통, 두근거림, 근육통, 근력 저하, 진전, 기억 장애, 발어 장애, 의식 장애, 심전도 이상 등이며, 볼프-파킨슨-화이트 증후군(WPW 증후군)[154]으로 진단된 환자도 있었다.[147][149]
소나무재선충병 대책으로 아세타미프리드를 공중 살포한 지역에서는, 대기 중 농도가 검출 하한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주변 주민 일부가 아급성 니코틴 중독 증상을 호소하며 의료기관을 찾은 사례도 있었다.[155]
2014년 가나가와현 조사에 따르면,[157] 하천수에서는 논에서의[156] 약제 사용량이 증가하는 6월부터 7월에 검출 농도가 상승하고, 상수도에서는 하천수와 거의 변함없는 농도로 검출되었다고 보고되었다.[157]
7. 각국의 규제 현황
미국 환경 보호국(EPA)은 모든 살충제에 대해 15년 등록 검토 주기를 운영한다.[41] EPA는 2003년에 클로티아니딘에 대한 조건부 등록을 승인했는데, 이는 살충제가 등록 기준을 충족하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데이터 요구 사항이 있을 때 발급된다.[42][43] 티아메톡삼은 1999년에, 이미다클로프리드는 1994년에 등록되었다.[44][45] EPA는 2012년에 나머지 네오니코티노이드에 대한 자료 개시를 앞당겼고, 2018년에 검토를 완료할 예정이었다.[46][47] 2012년, 여러 단체가 EPA에 클로티아니딘 사용 중단을 요청하는 청원을 제출했으나 거부당했고,[47] 2013년에는 EPA를 상대로 소송이 제기되었으나 중단되었다.[47][48][49] 같은 해, 존 코니어스 하원 의원 등은 "미국 수분 매개자 보호법"을 제출했으나 통과되지 못했다.[50][51]
2000년에는 네덜란드에서 이미다클로프리드의 노지 재배 사용이, 같은 해 벨기에에서는 이미다클로프리드 판매가 금지되었다. 2008년, 독일에서는 꿀벌 폐사 사건으로 이미다클로프리드와 클로티아니딘의 허가가 취소되고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7종의 판매가 금지되었다. 같은 해 일본 농림수산성은 이미다클로프리드 및 클로티아니딘에 의한 종자 코팅 처리를 금지했다.
유럽 연합(EU)은 2005년에 최초의 네오니코티노이드를 승인했다.[55] EU는 꿀벌 대량 실종 사건을 계기로 원인 규명에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한편, 예방 원칙에 따라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에 대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7종의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을 사용할 수 있다.[168] 홋카이도를 중심으로 꿀벌 대량 폐사가 발생하고 있으며, 논에서 사용되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가 원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69] 일부 지역에서는 개화기 살포 자제를 요청하고 있으며, 후생노동성은 2015년 식품 잔류 기준을 완화했다.[172][173]
7. 1. 유럽 연합 (EU)
유럽 연합(EU)은 2013년 꿀벌에 대한 위험을 이유로 클로티아니딘,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3종의 사용을 제한했다. 이는 개화기 이외의 살포, 온실 내 사용, 꿀벌이 오지 않는 작물에 대한 사용은 제외되었다.[164] 2018년에는 온실 내 사용을 제외한 위 3종의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프랑스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 사용 규제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 중 하나이다. 1994년 이미다클로프리드에 의한 종자 처리가 도입된 후 꿀벌 대량 폐사 사건이 발생하자, 1999년 예방 조치로 이미다클로프리드에 의한 해바라기 종자 처리를 전국적으로 일시 중단했다. 2004년에는 이미다클로프리드를 활성 성분으로 하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고슈의 허가를 취소하고, 이미다클로프리드에 의한 옥수수 종자 처리도 금지했다. 2016년 프랑스 국민 의회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 사용 금지를 포함한 생물 다양성 법을 가결했다. 이에 따라 2018년 9월부터 네오니코티노이드제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2020년에는 예외 사용 규정마저 폐지되어 전면 금지되었다.[165]
독일은 2008년 꿀벌 대량 폐사 사건 이후 종자 옥수수에 대한 클로티아니딘 등록을 취소했다.[56] 조사 결과, "스티커"로 알려진 중합체 종자 코팅을 사용하지 않은 점, 늦은 파종, 특정 공기 구동 장비 사용,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날씨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밝혀졌다.[57] 2009년, 독일 연방 식량 농업 및 소비자 보호부는 옥수수에 대한 클로티아니딘 사용 승인을 계속 보류하기로 결정했다.[59]
이탈리아는 네오니코티노이드 종자 처리를 금지했지만 엽면 살포는 허용했다. 이는 벌의 손실이 이 화합물로 처리된 씨앗의 살포와 관련이 있다는 예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조치였다.[60][61]
7. 2. 미국
2014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 행정부는 국립 야생 동물 보호 구역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53] 그러나 2018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는 이 결정을 번복하고, 야생 동물 보호 구역 내 농장에서의 네오니코티노이드 사용 여부는 개별 사안별로 결정한다고 밝혔다.[53]2019년 5월, 미국 환경 보호청(EPA)은 법적 합의에 따라 클로티아니딘과 티아메톡삼을 포함한 12개 살충제 승인을 취소했다.[54] 2016년에는 메릴랜드 주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 사용을 규제했다.[167]
7. 3. 캐나다
캐나다에서 살충제 사용은 연방 관할권 사항이다. 2016년, 캐나다 보건부는 향후 3~5년에 걸쳐 이미다클로프리드를 단계적으로 폐지할 것을 제안했다.[80] 정부는 네오니코티노이드가 꿀벌, 무척추 수생 생물 및 조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온타리오주에서는 거의 모든 옥수수 종자와 대부분의 콩이 네오니코티노이드로 처리된다. 2015년 여름, 온타리오 주는 네오니코티노이드의 사용을 줄이기 위한 법을 통과시켰다. 온타리오 주의 규정은 네오니코티노이드로 처리되는 종자와 콩의 비율을 2년 이내에 20%로 줄이도록 작성되었다.[81]
2015년 12월 10일, 몬트리올은 식물원, 모든 농업 지역 및 모든 골프장을 포함하여 시 경계 내 모든 부동산에서 예외 없이 모든 네오니코티노이드를 금지했다.[82] 농업 관련 기업들은 몬트리올의 금지에 반대했다.[83]
2016년 7월,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최대 도시인 밴쿠버는 밴쿠버 시 경계 내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 사용을 금지했다. 밴쿠버에서는 주로 가정 잔디밭 아래에 서식하는 풍뎅이를 제거하기 위해 네오니코티노이드가 사용되었다.[84]
7. 4. 오세아니아
2019년 10월 11일, 피지 정부는 2020년 1월 1일부터 이미다클로프리드 사용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85]7. 5. 일본
일본에서는 이미다클로프리드, 클로티아니딘, 티아메톡삼, 디노테푸란, 니텐피람, 아세타미프리드, 티아클로프리드 7종의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을 사용할 수 있다.[168]홋카이도를 중심으로 꿀벌 대량 폐사가 발생하면서, 논에서 노린재 방제에 사용되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가 원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69]
사과와 매실 등 꿀벌을 이용한 수분이 필요한 과수 재배 지역을 중심으로, 일부 농업협동조합(JA)과 지방공공단체에서는 개화기에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살포를 자제하도록 농가에 요청하고 있다.
2015년, 후생노동성은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의 식품 잔류 기준을 완화했다. 예를 들어, 시금치의 경우 기존보다 13배 완화되었다.[172][173]
8. 한국의 상황 (별도 문단)
한국에서는 벼, 과수, 채소 등 다양한 작물에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노린재, 멸구, 진딧물 등의 해충 방제에 널리 사용된다. 한국에서도 꿀벌 폐사 문제가 발생하면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과의 관련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013년, American bird conservancy는 네오니코티노이드 성분이 조류와 무척추동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제시하며 사용 중지를 요구했다.[144] 이로 인해, 공중 분사 방식의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 사용은 환경 보호를 위해 지양되는 추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Neonicotinoid Pesticides & Adverse Health Outcomes
https://ntp.niehs.ni[...]
National Toxicology Program
2019-11-20
[2]
서적
Nicotinoid Insecticides and the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Springer-Verlag
[3]
논문
Overview of the Status and Global Strategy for Neonicotinoids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2010-06-21
[4]
논문
An update of the Worldwide Integrated Assessment (WIA) on systemic insecticides. Part 1: new molecules, metabolism, fate, and transport
2021-03
[5]
서적
Nicotinoid Insecticides and the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Springer-Verlag
[6]
논문
Neonicotinoids and Other Insect Nicotinic Receptor Competitive Modulators: Progress and Prospects
Annual Reviews (publisher)
2018-01
[7]
논문
Neonicotinoids: molecular mechanisms of action, insights into resistance and impact on pollinators
Elsevier
2018-12
[8]
논문
Environmental Risk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Neonicotinoid Insecticides
2018-03
[9]
논문
The environmental risks of neonicotinoid pesticides: a review of the evidence post 2013
2017-07
[10]
웹사이트
What is a neonicotinoid? - Insects in the City
https://citybugs.tam[...]
Texas A&M AgriLife Extension
[11]
웹사이트
Neonicotinoids: risks to bees confirmed {{!}} EFSA
https://www.efsa.eur[...]
2018-02-28
[12]
논문
Conclusion on the peer review of the pesticide risk assessment for bees for the active substance clothianidin
https://efsa.onlinel[...]
[13]
뉴스
EPA Finalizes Biological Evaluations Assessing Potential Effects of Three Neonicotinoid Pesticides on Endangered Species
https://www.epa.gov/[...]
2022-06-16
[14]
논문
Neonicotinoid insecticides in global agricultural surface waters - Exposure, risks and regulatory challenges
2023-04
[15]
논문
Neonicotinoid Insecticides in Surface Water, Groundwater, and Wastewater Across Land-Use Gradients and Potential Effects
2021-04
[16]
논문
Combined pesticide exposure severely affects individual- and colony-level traits in bees
2012-11
[17]
논문
The buzz about pesticides
[18]
논문
Ecology: Bumblebees and pesticides
2012-11
[19]
논문
Reports spark row over bee-bothering insecticides
[20]
웹사이트
Bees & Pesticides: Commission goes ahead with plan to better protect bees.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3-05-30
[21]
뉴스
"'Victory for bees' as European Union bans neonicotinoid pesticides blamed for destroying bee population"
https://www.independ[...]
2013-04-29
[22]
웹사이트
EU agrees total ban on bee-harming pesticides
https://www.theguard[...]
2018-04-27
[23]
뉴스
EU nations back ban on insecticides to protect honey bees
https://www.reuters.[...]
Reuters
2018-04-27
[24]
뉴스
Minnesota Cracks Down On Neonic Pesticides, Promising Aid To Bees
[25]
논문
The alkyl nitrate nitration of active methylene compounds. VI. A new synthesis of α-nitroalkyl heterocyclics.
"1969"
[26]
서적
Insect Control: Biological and Synthetic Agents
Academic Press
"2010"
[27]
서적
Natural Products in the Chemical Industry
https://books.google[...]
Springer Verlag
"2015"
[28]
논문
The mode of action and neurotoxic properties of the nitromethylene heterocycle insecticides
[29]
논문
Neonicotinoid insecticide toxicology: mechanisms of selective action
[30]
논문
Pesticides under fire for risks to pollinators
2013-05
[31]
웹사이트
Benefits of Neonicotinoid Seed Treatments to Soybean Production
http://www2.epa.gov/[...]
2014-10-15
[32]
웹사이트
Neonicotinoid Pesticide Market by Type (Imidacloprid, Thiacloprid, Thiamethoxam, Acetamiprid), By Crops (Cereals, Oilseed, Pulses, Fruits, Vegetables and Others) and Region, Global trends and forecast from 2024 to 2030
https://exactitudeco[...]
2024-03-14
[33]
웹사이트
Sowing Uncertainty: What We do and Don't Know about the Planting of Pesticide-Treated Seed
https://academic.oup[...]
"2020"
[34]
논문
Overview of the status and global strategy for neonicotinoids
2011-04
[35]
논문
Development of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of imidacloprid employing novel nano-ranged amphiphilic polymers
[36]
웹사이트
Declining Bee Populations Pose A Threat to Global Agriculture
http://e360.yale.edu[...]
Yale School of Forestry & Environmental Studies
2013-04-30
[37]
간행물
Benefits of Neonicotinoid Seed Treatments to Soybean Production
http://www2.epa.gov/[...]
US EPA
2014-10-15
[38]
논문
Ecology and management of the soybean aphid in North America
http://www.entomolog[...]
2010-09
[39]
논문
Management Recommendations for Soybean Aphid (Hemiptera: Aphididae) in the United States.
2012
[40]
웹사이트
Re-evaluation Note REV2016-03, Value Assessment of Corn and Soybean Seed Treatment Use of Clothianidin, Imidacloprid and Thiamethoxam
http://www.hc-sc.gc.[...]
2016-01-06
[41]
웹사이트
Registration Review Process
http://www2.epa.gov/[...]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4-04-17
[42]
웹사이트
Pesticide Fact Sheet: Clothianidin
http://www.epa.gov/o[...]
[43]
웹사이트
Conditional Pesticide Registration
http://www2.epa.gov/[...]
2014-04-17
[44]
웹사이트
Thiamethoxam Summary Document Registration Review Initial Docket
http://www.regulatio[...]
2011-12-21
[45]
웹사이트
Imidacloprid Summary Document
http://www.regulatio[...]
2008-12-17
[46]
웹사이트
Groups of Pesticides in Registration Review: Neonicotinoids
http://www2.epa.gov/[...]
2014-04-17
[47]
웹사이트
Beekeepers and Public Interest Groups Sue EPA Over Bee-Toxic Pesticides
http://www.panna.org[...]
2013-03-21
[48]
뉴스
US government sued over use of pesticides linked to bee harm
https://www.theguard[...]
2013-03-22
[49]
웹사이트
Ellis et al v. Bradbury et al
http://dockets.justi[...]
[50]
웹사이트
Legislation to restrict pesticide use proposed by Rep. Blumenauer
http://www.oregonliv[...]
The Oregonian at 'OregonLive'
2013-07-12
[51]
웹사이트
H.R. 2692: Saving America's Pollinators Act of 2013
https://www.govtrack[...]
[52]
웹사이트
EPA Actions to Protect Pollinators
https://www.epa.gov/[...]
2013-09-03
[53]
웹사이트
Trump administration lifts ban on pesticides linked to declining bee numbers
https://www.theguard[...]
2018-08-04
[54]
뉴스
EPA Curbs Use of 12 Bee-Harming Pesticides
https://news.bloombe[...]
2019-05-21
[55]
웹사이트
Neonicotinoids
https://ec.europa.eu[...]
[56]
뉴스
Pesticides: Germany bans chemicals linked to honeybee devastation
https://www.theguard[...]
2008-05-23
[57]
웹사이트
EPA Acts to Protect Bees | Pesticides | US EPA
http://www.epa.gov/o[...]
Epa.gov
[58]
웹사이트
Background information: Bee losses caused by insecticidal seed treatment in Germany in 2008
http://www.bvl.bund.[...]
German Federal Office of Consumer Protection and Food Safety (BVL)
2008-07-15
[59]
웹사이트
Maize seed may now be treated with "Mesurol flüssig" again
http://www.bvl.bund.[...]
German Federal Office of Consumer Protection and Food Safety (BVL)
2009-02-09
[60]
웹사이트
Colony Collapse Disorder: European Bans on Neonicotinoid Pesticides – Pesticides – US EPA
http://www.epa.gov/o[...]
2010-06-23
[61]
간행물
Leaked Memo Shows EPA Doubts About Bee-Killing Pesticide
https://www.wired.co[...]
2010-12-13
[62]
논문
Conclusion on the peer review of the pesticide risk assessment for bees for the active substance clothianidin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63]
논문
Assessment of the scientific information from the Italian project 'APENET' investigating effects on honeybees of coated maize seeds with some neonicotinoids and fipronil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64]
웹사이트
EFSA identifies risks to bees from neonicotinoids
http://www.efsa.euro[...]
2013-01-16
[65]
논문
Conclusion on the peer review of the pesticide risk assessment for bees for the active substance clothianidin
http://www.efsa.euro[...]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66]
웹사이트
Insecticide 'unacceptable' danger to bees, report finds
https://www.theguard[...]
2013-01-16
[67]
웹사이트
Insektizide und Bienen: Was soll die Einschränkung der Neonicotinoide bringen? - NZZ.ch
https://www.nzz.ch/w[...]
2013-05-08
[68]
뉴스
Bee-harming pesticides banned in Europe
https://www.theguard[...]
2013-04-29
[69]
뉴스
Europe poised for total ban on bee-harming pesticides
https://www.theguard[...]
2017-03-23
[70]
웹사이트
European agency concludes controversial 'neonic' pesticides threaten bees
https://www.science.[...]
2018-02-28
[71]
웹사이트
French firm breeds plants that resist climate change
https://www.eib.org/[...]
2023-01-25
[72]
뉴스
EU agrees total ban on bee-harming pesticides
https://www.theguard[...]
2018-04-27
[73]
뉴스
EU to fully ban neonicotinoid insecticides to protect bees
https://www.reuters.[...]
2018-04-27
[74]
뉴스
EU member states support near-total neonicotinoids ban
https://www.bbc.com/[...]
2018-04-27
[75]
논문
EU expected to vote on pesticide ban after major scientific review
2018-02-28
[76]
웹사이트
Sugar beet farmers cry foul after French U-turn on bee-killing pesticide
https://www.rfi.fr/e[...]
2023-01-25
[77]
웹사이트
French farmers warn pesticide u-turn will impact output
https://brusselsmorn[...]
2023-01-25
[78]
웹사이트
The value of Neonicotinoid seed treatment in the European Union: A socio-economic, technological and environmental review.
http://www.neonicrep[...]
2013-01-01
[79]
웹사이트
Soil Association comment: The Humboldt Forum for Food and Agriculture report
http://www.sacert.or[...]
2013-01-15
[80]
웹사이트
Ban on controversial pesticide proposed by Health Canada
http://www.cbc.ca/ne[...]
2018-02-24
[81]
뉴스
Ontario wants 80% reduction of bee-killing neonicotinoid use in 2 years
http://www.cbc.ca/ne[...]
CBC/Radio-Canada
2015-06-09
[82]
뉴스
Montreal neonicotinoid ban
http://ville.montrea[...]
2015-12-10
[83]
뉴스
CropLife Canada highlights safety of neonics amid Montreal's pesticide ban
http://cropprotectio[...]
2015-06-12
[84]
웹사이트
Bee-killing pesticides banned in Vancouver
http://www.cbc.ca/ne[...]
2018-02-24
[85]
웹사이트
Paraquat, Imidacloprid Pesticide To Be Banned From January, 2020
https://fijisun.com.[...]
2019-10-11
[86]
웹사이트
Imidacloprid Technical Fact Sheet
http://npic.orst.edu[...]
National Pesticide Information Center
2010-04-01
[87]
논문
Neonicotinoids and Derivatives: Effects in Mammalian Cells and Mice
[88]
서적
Nicotinoid Insecticides and the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Springer-Verlag
[89]
논문
Selective toxicity of neonicotinoids attributable to specificity of insect and mammalian nicotinic receptors
[90]
웹사이트
Imidacloprid: Risk Characterization Document: Dietary and Drinking Water Exposure
http://www.cdpr.ca.g[...]
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Department of Pesticide Regulation
2006-02-09
[91]
논문
Interaction of Imidacloprid Metabolites and Analogs with the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of Mouse Brain in Relation to Toxicity
[92]
논문
Neonicotinoids in bees: a review on concentrations, side-effects and risk assessment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2-05-01
[93]
논문
An update of the Worldwide Integrated Assessment (WIA) on systemic insecticides. Part 1: new molecules, metabolism, fate, and transport
2021-03-01
[9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microbiologist: "This place is filled with multinational lobbyists"
http://www.delo.si/b[...]
Delo.si
2011-05-14
[95]
뉴스
Flowers and fruit crops facing disaster as disease kills off bees
https://www.telegrap[...]
2007-04-01
[96]
논문
Colony collapse disorder: a descriptive study
2009-08-01
[97]
논문
Colony Collapse Disorder: Many Suspects, No Smoking Gun
2008-05-01
[98]
간행물
Report on the National Stakeholders Conference on Honey Bee Health National Honey Bee Health Stakeholder Conference Steering Committee
http://www.usda.gov/[...]
2012-10-17
[99]
논문
Holistic screening of collapsing honey bee colonies in Spain: a case study
2014-09-01
[100]
논문
Neonicotinoid pesticides and nutritional stress synergistically reduce survival in honey bees
2017-12-01
[101]
논문
Are bee diseases linked to pesticides? - A brief review
Elsevier BV
[102]
웹사이트
Neonicotinoids
https://pollinator.c[...]
2019-05-10
[103]
논문
A common neonicotinoid pesticide, thiamethoxam, impairs honey bee flight ability
2017-04-01
[104]
웹사이트
What is a neonicotinoid? Insects in the City
http://citybugs.tamu[...]
2013-05-02
[105]
논문
Neonicotinoid pesticide reduces bumble bee colony growth and queen production
2012-04-01
[106]
논문
Seed coating with a neonicotinoid insecticide negatively affects wild bees
2015-05
[107]
논문
The dose makes the poison: have "field realistic" rates of exposure of bees to neonicotinoid insecticides been overestimated in laboratory studies?
http://sro.sussex.ac[...]
[108]
웹사이트
Ecosystem services, agriculture and neonicotinoids
http://www.easac.eu/[...]
2015-04-10
[109]
논문
Neonicotinoid Insecticides and Their Impacts on Bees: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Approaches and Identification of Knowledge Gaps
2015
[110]
웹사이트
Much of the world's honey now contains bee-harming pesticides; Global survey finds neonicotinoids in three-fourths of samples
2017-10-06
[111]
논문
Neonicotinoids Impact All Aspects of Bird Life: A Meta-Analysis
2024-10
[112]
논문
Ecology: Pesticides linked to bird declines
2014-07
[113]
논문
Neonicotinoid detection in wild turkeys (Meleagris gallopavo silvestris) in Ontario, Canada
2018-06
[114]
논문
Field evidence of bird poisonings by imidacloprid-treated seeds: a review of incidents reported by the French SAGIR network from 1995 to 2014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7-02
[115]
논문
A review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neonicotinoids and fipronil on vertebrate wildlife
2015-01
[116]
논문
A nation-wide survey of neonicotinoid insecticides in agricultural land with implications for agri-environment schemes
2019
[117]
논문
Declines in insectivorous birds are associated with high neonicotinoid concentrations
2014-07
[118]
논문
The agro-enabled urban revolution, pesticides, politics, and popular culture: a case study of land use, birds, and insecticides in the USA
2019-07
[119]
논문
Long-term declines of European insectivorous bird populations and potential causes
2019-10
[120]
웹사이트
The Same Pesticides Linked to Bee Declines Might Also Threaten Birds
https://www.audubon.[...]
National Audubon Society
2021-01-14
[121]
웹사이트
The Impact of the Nation's Most Widely Used Insecticides on Birds
http://www.abcbirds.[...]
American Bird Conservancy
2013-03
[122]
논문
Macro-invertebrate decline in surface water polluted with imidacloprid
2013-05-01
[123]
웹사이트
Study links insecticide use to invertebrate die-offs
https://www.theguard[...]
www.guardian.com
2013-09-03
[124]
논문
Macro-invertebrate decline in surface water polluted with imidacloprid: a rebuttal and some new analyses
2014-02-28
[125]
웹사이트
Worldwide Integrated Assessment of the impact of Systemic Pesticides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s (WIA)
http://www.tfsp.info[...]
The Task Force on Systemic Pesticides
2014-11-27
[126]
웹사이트
Monarch butterflies harmed by common neonic pesticides, study suggests
https://www.cbc.ca/n[...]
[127]
웹사이트
What should I do if plants that I've purchased were treated with neonicotinoids or other pesticides? How should I avoid purchasing treated plants in the future?
https://monarchjoint[...]
Monarch Joint Venture
2021-08-02
[128]
웹사이트
Neonicotinoid Pesticides – The Facts
https://i0.wp.com/ww[...]
Compound Interest: Explorations of everyday chemical compounds
2021-08-02
[129]
논문
A Neonicotinoid Insecticide at a Rate Found in Nectar Reduces Longevity but Not Oogenesis in Monarch Butterflies, Danaus plexippus (L.). (Lepidoptera: Nymphalidae)
MDPI
2019-09
[130]
논문
Neurotoxic Effects of Neonicotinoids on Mammals: What Is There beyond the Activation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A Systematic Review
https://www.ncbi.nlm[...]
2021-08-05
[131]
간행물
ネオニコチノイド系殺虫剤の日本人における曝露実態
日本毒性学会
2018
[132]
논문
ネオニコチノイドの選択毒性の分子基盤
日本農薬学会
2002
[133]
간행물
新農薬ネオニコチノイド系農薬のヒト・哺乳類への影響
https://i.kawasaki-m[...]
日本臨床環境医学会
2012
[134]
간행물
ネオニコチノイド系殺虫剤の日本人における曝露実態
日本毒性学会
2018
[135]
문서
ネオニコチノイドの葉面散布では2週間から1ヶ月程度、粒剤処理や灌注処理では3ヶ月程度の効果が持続する。これに対して、有機リン剤は3日程度である。
[136]
서적
なぜハチは大量死したのか
文芸春秋
2009
[137]
논문
世界に広がるミツバチ大量死 - 欧米諸国の対応
https://kokumin-kaig[...]
NPO法人ダイオキシン・環境ホルモン対策国民会議
2010-04
[138]
웹사이트
殺虫剤の選択性-ミツバチに対する選択性の不思議-
http://nifty2.life.c[...]
2021-06-24
[139]
논문
Mechanism for the differential toxicity of neonicotinoid insecticides in the honey bee, Apis mellifera
https://www.scienced[...]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Plant Protection Sciences
2021-06-24
[140]
간행물
モスピラン(アセタミプリド)のミツバチに対する低毒性機構
日本曹達
[141]
웹사이트
半数以上の府県で1000分の1に減少!? 全国で激減するアキアカネ
http://nacsj.net/mag[...]
日本自然保護協会「しぜんもん」
2014-08-12
[142]
문서
アキアカネを含むトンボの幼虫は、水田などで水中生活をする。詳しくは「ヤゴ」を参照。
[143]
웹사이트
宍道湖のウナギ激減、ネオニコ系農薬が原因か 米科学誌: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1-03-15
[144]
웹사이트
ウナギやワカサギの減少の一因として殺虫剤が浮上-島根県の宍道湖でネオニコチノイド使用開始と同時にウナギ漁獲量が激減-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19-11-01
[145]
논문
宍道湖水におけるネオニコチノイド濃度の予備的報告
https://doi.org/10.3[...]
日本陸水学会
2018
[146]
논문
殺虫剤ジノテフランの開発
https://doi.org/10.1[...]
日本農薬学会
2005
[147]
간행물
農薬評価書 アセタミプリド
食品安全委員会
2008-08
[148]
웹사이트
「日本の基準はゆるすぎる」緑茶の飲みすぎは"農薬中毒"を引き起こす 普通の農薬と違うネオニコのリスク
https://president.jp[...]
2021-01-12
[149]
논문
新農薬ネオニコチノイド系農薬のヒト・哺乳類への影響
https://i.kawasaki-m[...]
日本臨床環境医学会
2012
[150]
학술발표
幼児に対するネオニコチノイド系殺虫剤の曝露評価
https://doi.org/10.1[...]
日本독성学会
2017
[151]
웹사이트
[平成27年5月19日食安発0519第1号]食品衛生法施行規則の一部を改正する省令及び食品、添加物等の規格基準の一部を改正する件について(アセタミプリド、アプラマイシン、クレソキシムメチル、クロチアニジン、クロラントラニリプロール、ジクロベニル、ピリフルキナゾン、フルアジナム、フルオルイミド、マラチオン、マンデストロビン、メロキシカム、モサプリド)
http://www.mhlw.go.j[...]
厚生労働省
2015-05-19
[152]
웹사이트
厚労省、ネオニコチノイド系農薬の食品残留基準を緩和
http://www.alterna.c[...]
[153]
학술발표
ネオニコチノイド系殺虫剤の曝露実態の解明と毒性評価
https://doi.org/10.1[...]
日本독성学会
2019
[154]
웹사이트
心房細動と WPW (Wolff-Parkinson-White)症候群
https://www.msdmanua[...]
[155]
논문
2005年に一定地域のネオニコチノイド系および有機リン系殺虫剤散布後自覚症状を訴え受診した患者の心電図所見とその季節変動
https://i.kawasaki-m[...]
日本臨床環境医学会
2006
[156]
논문
大阪府内の河川水中におけるネオニコチノイド系農薬濃度の季節変動の把握及び生態リスク評価
https://doi.org/10.2[...]
日本水環境学会
2019
[157]
논문
神奈川県相模川流域における河川水及び水道水のネオニコチノイド系農薬等の実態調査
https://doi.org/10.2[...]
日本水環境学会
2016
[158]
논문
ネオニコチノイド系殺虫剤の代謝産物6-クロロニコチン酸が尿中に検出され亜急性ニコチン中毒様症状を示した6症例
http://jsct-web.umin[...]
へるす出版
2011
[159]
논문
木材保存剤の分析技術の高度化と規格化
https://doi.org/10.5[...]
日本木材保存協会
2018
[160]
간행물
ネオニコチノイド系殺虫剤の話
http://www.naro.affr[...]
農環研ニュース No.104 2014年11月, 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161]
논문
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 タンデム型質量分析法によるネオニコチノイド系殺虫剤チアクロプリド空中散布における飛散量分析の調査報告
https://doi.org/10.5[...]
2016
[162]
논문
複合フローリングのヒラタキクイムシ防除方法の開発
https://doi.org/10.5[...]
日本木材保存協会
2018
[163]
논문
<原著> シロアリ駆除剤由来のネオニコチノイド系殺虫剤による室内環境汚染
http://www.tokyo-eik[...]
東京都健康安全研究センター
2015
[164]
웹사이트
EUでネオニコチノイド系農薬の規制スタート!
http://www.greenpeac[...]
グリーンピース
2013-12-06
[165]
웹사이트
フランス 生物多様性・自然・景観回復法が成立 ネオニコチノイド殺虫剤を最終的に禁止
http://www.juno.dti.[...]
2021-03-15
[166]
웹사이트
スルホキサフロルの残留基準の取扱い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167]
웹사이트
http://mgaleg.maryla[...]
メリーランド州
[168]
웹사이트
農薬による蜜蜂の危害を防止するための我が国の取組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13-08-26
[169]
뉴스
ミツバチ大量死、原因は害虫用殺虫剤 分析で成分検出
https://web.archive.[...]
朝日新聞
2014-07-19
[170]
웹사이트
国内産野菜・果実類中の残留農薬実態調査(平成28年度)
http://www.tokyo-eik[...]
[171]
웹사이트
輸出相手国の残留農薬基準値に対応した病害虫防除マニュアル:農林水産省
https://www.maff.go.[...]
2021-03-15
[172]
웹사이트
[平成27年5月19日食安発0519第1号]食品衛生法施行規則の一部を改正する省令及び食品、添加物等の規格基準の一部を改正する件について(アセタミプリド、アプラマイシン、クレソキシムメチル、クロチアニジン、クロラントラニリプロール、ジクロベニル、ピリフルキナゾン、フルアジナム、フルオルイミド、マラチオン、マンデストロビン、メロキシカム、モサプリド)
http://www.mhlw.go.j[...]
厚生労働省
2015-05-19
[173]
웹사이트
厚労省、ネオニコチノイド系農薬の食品残留基準を緩和
http://www.altern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