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만 제어는 타이완 섬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아홉 개 어파를 지칭하며, 타이완 원주민의 언어를 포괄한다. 언어학적 증거에 따르면, 타이완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기원지로 여겨지며, 약 4천 년 전 중국 동해안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타이완에서 융합되어 형성되었다는 가설이 제시된다. 타이완 제어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특징을 유지하며, 신석기 문화가 타이완에서 필리핀, 인도네시아 방면으로 확산된 점을 고려할 때, 타이완에서 남하하여 태평양 각지로 확산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현재는 표준 중국어의 영향으로 쇠퇴하고 있으며, 중화민국 정부는 원주민 언어 보존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타이완 제어는 다양한 음운론적 특징과 VSO 또는 VOS 어순을 가지며, 동사는 시제, 법, 태, 상에 따라 굴절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조어
오스트로네시아조어는 비교언어학적 방법론을 통해 재구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공통 조상으로, 다양한 음소 체계, 접사, 초점, 폐음절 구조 등의 특징과 어휘, 통사 구조, 어순, 태 체계 등 다양한 언어적 특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오스트로네시아 정렬
오스트로네시아 정렬은 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중심어를 중심으로 문법 구조가 형성되며, 직격 표지나 이동, 동사의 태 접사를 통해 의미 역할을 나타내는 특징을 보인다. - 대만 제어 - 아미어
아미어는 대만 원주민인 아미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뉘며 VSO 어순을 따르고, 화련현과 타이둥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 대만 제어 - 부눈어
부눈어는 부눈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이스부쿤, 타크바누아즈, 타키바탄, 타키바카, 타키투두의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뉘며, 대만 중남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교착어적 특징을 가진 언어이다. - 대만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대만의 언어 - 아미어
아미어는 대만 원주민인 아미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뉘며 VSO 어순을 따르고, 화련현과 타이둥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 대만제어 | |
|---|---|
| 개요 | |
| 언어 정보 | |
| 언어 계통 (지리적 분류)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 사용 민족 | 타이완 원주민 (포르모사 민족) |
| 사용 지역 | 타이완 |
| ISO 639-5 | fox |
| 하위 언어 | |
2. 역사

타이완 제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기원과 확산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이 언어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초기 형태인 조형을 상대적으로 잘 보존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고고학적으로 신석기 문화가 타이완에서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지로 확산된 경로가 확인됨에 따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타이완에서 기원하여 남하하며 태평양 각지로 퍼져나갔다는 가설이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2. 1. 기원
타이완 제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조형을 상당 부분 유지하고 있다. 고고학적으로도 신석기 문화가 타이완에서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섬 지역으로 확산된 경로가 확인되기 때문에,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타이완에서 시작되어 남쪽으로 퍼져나가 태평양 각지로 확산되었다는 설이 유력하게 받아들여진다.언어학자 블렌치(Blench, 2014)[24]는 언어학적 증거와 최근의 고고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다른 가설을 제시했다. 그는 타이완의 오스트로네시아족이 약 4천 년 전부터 중국 동해안의 여러 지역에서 타이완으로 이주해 온 다양한 집단들이 마치 용광로처럼 섞인 결과라고 주장했다. 이 이주민들에는 조를 경작하던 산둥성의 룽산 문화 사람들(타이완 남부 룽산 유형 문화에서 추정), 고기잡이를 하던 푸젠성의 다펀컹 문화 사람들, 그리고 블렌치가 광둥성 해안에서 기원했다고 보는 타이완 최북부의 원산 문화 사람들(지리 및 문화 관련 어휘 근거로 북동타이완어파 언어 사용 추정)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오늘날 모든 오스트로네시아어의 공통된 조상 언어인 오스트로네시아조어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대신 중국 본토에서 건너온 다양한 집단의 서로 다른 언어들이 타이완 섬에서 합쳐지면서 오늘날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형성했다는 것이다. 블렌치는 타이완 원주민이 단 한 번의 이주로 타이완에 정착했다는 기존의 설은 고고학적 증거뿐만 아니라 언어학적(어휘적) 증거와도 잘 들어맞지 않는다고 보았다.
2. 2. 최근 역사
모든 타이완 원주민 언어는 문화적으로 지배적인 타이완 만다린어(표준 중국어)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중화민국 정부는 원주민 권리 향상의 일환으로 학교 교육에서 타이완 원주민 모국어를 재도입하는 정책을 시작했지만, 그 결과는 실망스러웠다는 평가를 받는다.[25][10]2005년 중화민국 원주민족 위원회는 타이완 원주민 언어 보존을 돕기 위해 모든 타이완 제어에 대한 로마자 표기 체계를 수립했다.[26][11] 위원회는 또한 원주민 공동체 구성원과 한족 타이완인을 대상으로 하는 언어 강좌 및 언어 인증 프로그램을 지원하며 보존 운동을 돕고 있다.[26][11]
3. 분류
타이완 제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아홉 개 어파를 이룬다.[27] 단, 야미어(타오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나머지 모든 언어와 같이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크게 타이완 제어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로 나뉘지만, 타이완 제어는 하나의 공통 조상에서 유래한 모든 후손을 포함하지 않는 측계통군이다.
타이완 제어는 크게 아타얄어군, 파이완어군, 쭈어어군으로 나뉘며, 이 중 파이완어군에 속하는 아미어 화자가 10만 명 전후로 가장 많고, 그 외 언어 화자는 수천 명 이하이다.
타이완 제어는 23개이며, 그 중 2개는 아타얄어군, 18개가 파이완어군, 3개가 쭈어어군에 속한다.
†는 사어를 나타낸다.
- 아타얄어군 (Atayalic) (2)
- *타이야어 (Atayal)
- *세디크어 (Sediq)
- **타루코어 (Truku)
- 파이완어군 (Paiwanic) (18)
- *아미어 (ʻAmis, Pangcah) (팡카어)
- **나타오란어 (Nataoran)
- *사키자야어 (Sakizaya)
- *부눈어 (Bunun)
- *바사이어† (Basay)
- *바부자-타오카스어 (Babuza-Taokas)
- **바부자어† (Babuza)
- **타오카스어† (Taokas)
- **파보랑어† (Favorlang)
- *카바란어 (Kavalan)
- *카오카오어 (Qauqaut)
- *시라야어† (Siraya)
- **신강어 (Shinkan)
- *타이보안어 (Taivoan)
- *마카타오어 (Makatto) (마카트어)
- *파포라-호안야어† (Papora-Hoanya)
- **호안야어 (Hoanya)
- **파포라어 (Papora)
- *케타가란어† (Ketangalan)
- **루이란어 (Luilang)
- *파이완어 (Paiwan)
- *푸유마어 (Puyuma)
- *파제어 (Pazeh)
- *카하부어 (Kaxabu)
- *쿨룬어† (Kulun)
- *사이샤트어 (Saisyat)
- *타오어 (Thao)
- 쭈어어군 (Tsouic) (3)
- *루카이어 (Rukai)
- *쭈어어 (Tsou, Cou)
- *사아로아-카나카나부어
- **카나카나부어 (Kanakanabu)
- **사아로아어 (Saaroa)
타이완에서 사용되는 언어 중, 타이완 제어가 아닌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필리핀어군에 분류되는 언어로 타오어 (야미어)가 있다.
4. 언어 목록
언어와 방언 사이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아 타이완 제어의 목록은 학자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다.[28] 특히 이미 사어가 되었거나 동화된 언어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더욱 크다.[12]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크게 타이완 제어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로 나뉜다. 그러나 타이완 제어는 언어학적으로 하나의 계통을 이루는 단계통군이 아니라 여러 계통을 포함하는 측계통군으로 분류된다.
타이완 제어는 일반적으로 아타얄어군, 파이완어군, 쭈어어군의 세 주요 어군으로 나뉜다. 이 외에도 분류가 불확실하거나 독자적인 어군을 형성하는 언어들이 있을 수 있다. 각 어군에 속하는 구체적인 언어와 그 상태(현존, 사멸 등)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타이완에서 사용되는 언어 중 타오어(야미어)는 지리적으로 타이완의 란위섬에서 사용되지만, 언어학적으로는 타이완 제어가 아닌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필리핀어군으로 분류된다.
4. 1. 현존하는 언어
현재 타이완에서 사용되는 주요 원주민 언어는 다음과 같다.| 언어 | ISO 639-3 코드 | 방언 수 | 방언 | 비고 |
|---|---|---|---|---|
| 아미스어 | ami | 5 | 'Amisay a Pangcah, Siwkolan, Pasawalian, Farangaw, Palidaw | 화자 수가 가장 많음 |
| 아타얄어 | tay | 6 | Squliq, Skikun, Tsole, Ci'uli, Mayrinax, Plngawan | 방언 간 차이가 커서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기도 함 |
| 부눈어 | bnn | 5 | Takitudu, Takibakha, Takivatan, Takbanuaz, Isbukun | 방언 간 차이가 큼 |
| 카나카나부어 | xnb | 1 | 소멸 직전 | |
| 카발란어 | ckv | 1 | 일부 자료[3]에서 소멸 직전으로 보나, 다른 주장도 있음 | |
| 파이완어 | pwn | 4 | 동부, 북부, 중부, 남부 | |
| 푸유마어 | pyu | 4 | Puyuma, Katratripul, Ulivelivek, Kasavakan | |
| 루카이어 | dru | 6 | Ngudradrekay, Taromak Drekay, Teldreka, Thakongadavane, 'Oponoho | |
| 사로아어 | sxr | 1 | 소멸 직전 | |
| 사이시야트어 | xsy | 1 | ||
| 사키자야어 | szy | 1 | ||
| 세디크어 | trv | 3 | Tgdaya, Toda, (Truku) | |
| 타오어 | ssf | 1 | 소멸 직전 | |
| 트루쿠어 | trv | 1 | 세디크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함 | |
| 쩌우어 | tsu | 1 | ||
| 야미어/타오어 | tao | 1 | 타오어로도 불림. 언어학적으로는 타이완 제어가 아닌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함. |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크게 타이완 제어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로 나뉜다. 다만, 타이완 제어는 언어학적으로 하나의 계통을 이루는 단계통군이 아니라 여러 계통을 포함하는 측계통군으로 분류된다. 타이완 제어는 다시 아타얄어군, 파이완어군, 쭈어어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파이완어군에 속하는 아미스어는 화자 수가 10만 명 전후로 가장 많으며, 다른 언어들은 대부분 화자 수가 수천 명 이하로 줄어들었다. 특히 카나카나부어, 사로아어, 타오어 등 일부 언어는 소멸 직전에 놓여 있다.
야미어(타오어)는 지리적으로 타이완의 란위섬에서 사용되지만, 언어학적으로는 타이완 제어가 아닌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필리핀어군으로 분류된다.
4. 2. 사멸한 언어
타이완 원주민의 언어 중 일부는 현대에 들어 사멸하였다. 사멸한 주요 언어로는 바사이어, 케타갈란어, 바부자어, 타오카스어, 파볼랑어, 파포라-호안야어, 타이보안어, 파제어, 시라야어, 마카타오어, 쿨론어 등이 있다. 이 중 일부 언어에 대해서는 언어 부활 운동이 시도되고 있다.사멸한 타이완 제어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언어 | ISO 639-3 코드 | 방언 | 사멸 시기 | 비고 |
|---|---|---|---|---|
| 바사이어 | byq | - | 20세기 중반 | - |
| 케타갈란어 | kae | - | 20세기 중반 | 루이란어 포함 |
| 바부자어 | bzg | 바부자, 타코아스, 파볼랑 (?) | 19세기 후반 | 언어 부활 시도 중 |
| 타오카스어 | (bzg) | 바부자어 방언으로 간주됨 | 19세기 말 | 언어 부활 시도 중 |
| 파볼랑어 | (bzg) | 바부자어 방언으로 간주됨 | - | - |
| 파포라-호안야어 | ppu | 파포라, 호안야 (?) | - | - |
| 호아냐어 | (ppu) | 파포라-호안야어 방언으로 간주됨 | - | - |
| 타이보안어 | tvx | - | 19세기 후반 | 언어 부활 시도 중 |
| 파제어 | pzh | 파제, 카사부 | 2010년 | 언어 부활 시도 중 |
| 시라야어 | fos | 시라야, 마카타오 (?) | 19세기 후반 | 언어 부활 시도 중 |
| 마카타오어 | (fos) | 시라야어 방언으로 간주됨 | 19세기 말 | 언어 부활 시도 중 |
| 쿨론어 | uon | - | 20세기 중반 | - |
5. 음운론적 특징
타이완 제어는 언어별로 다양한 음운 체계를 보여주며, 음소의 수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5. 1. 음소 목록
루카이어는 자음 23개와 길이 대립이 있는 모음 4개를 가지고 있어 타이완 제어 중 음소 수가 가장 많다. 반면, 카나카나부어와 사아로아어는 각각 자음 13개와 모음 4개를 가지고 있어 음소 수가 가장 적다.[14]5. 2. 음운 대응
다음은 Wolff (2010)에 따라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음소들이 타이완 제어에서 어떻게 변하였는지 나타낸 표이다.[30]| 오스트로네시아조어 | 사아로아어 | 카나카나부어 | 루카이어 | 부눈어 | 아미스어 | 크바란어 | 푸유마어 | 파이완어 |
|---|---|---|---|---|---|---|---|---|
| *p | p | p | p | p | p | p | p | p |
| *t | t, c | t, c | t, c | t | t | t | t, ʈ | tj [č], ts [c] |
| *c | s, Ø | c | θ, s, Ø | c (중부와 남부 방언에서 [s]) | c | s | s | t |
| *k | k | k | k | k | k | k, q | k | k |
| *q | Ø | ʔ | Ø | q (이시부쿤 방언에서 x) | ɦ | Ø | ɦ | q |
| *b | v | v [β] | b | b | f | b | v [β] | v |
| *d | s | c | ḍ | d | r | z | d, z | dj [j], z |
| *j | s | c | d | d | r | z | d, z | dj [j], z |
| *g | k-, -ɬ- | k-, -l-, -l | g | k-, -Ø-, -Ø | k-, -n-, -n | k-, -n-, -n | h-, -d-, -d | g-, -d-, -d |
| *ɣ | r | r | r, Ø | l | l [ḷ] | ɣ | r | Ø |
| *m | m | m | m | m | m | m | m | m |
| *n | n | n | n | n | n | n | n | n |
| *ŋ | ŋ | ŋ | ŋ | ŋ | ŋ | ŋ | ŋ | ŋ |
| *s | Ø | s | s | s | s | Ø | Ø | s |
| *h | Ø | Ø | Ø | Ø | h | Ø | Ø | Ø |
| *l | Ø | Ø, l | ñ | h-, -Ø-, -Ø | l [ḷ] | r, ɣ | l [ḷ] | l |
| *ɬ | ɬ | n | ɬ | n | ɬ | n | ɬ | ɬ |
| *w | Ø | Ø | v | v | w | w | w | w |
| *y | ɬ | l | ð | ð | y | y | y | y |
| 오스트로네시아조어 | 타갈로그어 | 차모로어 | 말레이어 | 고대 자바어 |
|---|---|---|---|---|
| *p | p | f | p | p |
| *t | t | t | t | t |
| *c | s | s | s | s |
| *k | k | h | k | k |
| *q | ʔ | ʔ | h | h |
| *b | b | p | b, -p | b, w |
| *d | d-, -l-, -d | h | d, -t | ḍ, r |
| *j | d-, -l-, -d | ch | j, -t | d |
| *g | k-, -l-, -d | Ø | d-, -r-, -r | g-, -r-, -r |
| *ɣ | g | g | r | Ø |
| *m | m | m | m | m |
| *n | n | n | n | n |
| *ŋ | ŋ | ŋ | ŋ | ŋ |
| *s | h | Ø | h | h |
| *h | Ø | Ø | Ø | Ø |
| *l | l | l | l | l |
| *ɬ | n | ñ, n, l | l-/ñ-, -ñ-/-n-, -n | n |
| *w | w | w | Ø, w | w |
| *y | y | y | y | y |
다음은 Blust (2009:572)에 따라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j 음소가 타이완 제어에서 어떻게 변하였는지 나타낸 표이다.
| 언어 | 변화 |
|---|---|
| 초우어 | Ø |
| 카나카나부어 | l |
| 사아로아어 | ɬ (어중) |
| 푸유마어 | d |
| 파이완어 | d |
| 부눈어 | Ø |
| 아타얄어 | r (스쿨리크 방언), g (산발적), s (산발적) |
| 세에디크어 | y (어중), c (어말) |
| 파제흐어 | z ([dz]) (어중), d (어말) |
| 사이시야트어 | z ([ð]) |
| 사우어 | z ([ð]) |
| 아미스어 | n |
| 크바란어 | n |
| 시라야어 | n |
다음은 Blust(2009:582)에 따라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ʀ 음소가 타이완 제어에서 어떻게 변하였는지 나타낸 표이다.
- 야미어가 속한 바탄어군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한다.
다음과 같은 자음 약화가 나타났다. (Blust 2009:604-605)
6. 문법적 특징
대부분의 타이완 제어는 동사가 문장 앞에 오는 VSO형(동사-주어-목적어) 또는 VOS형(동사-목적어-주어) 어순을 따른다. 그러나 일부 북타이완어파 언어인 사우어, 사이시야트어, 파제흐어 등은 SVO형 어순도 사용하는데, 이는 중국어의 영향일 수 있다.
동사는 일반적으로 인칭이나 수에 따라 굴절되지 않지만, 시제, 서법, 태, 상에 따라 굴절된다. 특히 명사가 직접격으로 표시되고 동사 접사가 문장 내 역할을 나타내는 대칭태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능동태와 수동태의 일반화로 볼 수 있으며, 독특한 형태통사적 정렬로 간주된다. 또한, 부사는 별도의 품사 범주 없이 공동동사 형태로 표현된다.
명사는 수에 따라 표시되지 않으며 문법적 성 구분이 없다. 명사의 격은 단어 자체의 굴절보다는 주로 조사(입자)를 통해 나타낸다.
Li (1998)는 여러 타이완 제어의 어순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29]
| 언어 | 어순 |
|---|---|
| 루카이어 | VSO, VOS |
| 초우어 | VOS |
| 부눈어 | VSO |
| 아타얄어 | VSO, VOS |
| 사이시야트어 | VS, SVO |
| 파제흐어 | VOS, SVO |
| 사우어 | VSO, SVO |
| 아미스어 | VOS, VSO |
| 크바란어 | VOS |
| 푸유마어 | VSO |
| 파이완어 | VSO, VOS |
| 타오어[13] | VSO, SVO |
7. 지리적 분포
타이완 제어는 타이완 섬 전역에 걸쳐 분포하며, 각 언어는 고유한 지역적 분포를 보인다. 언어학자 Li (2001)는 여러 타이완 제어의 지리적 고향(언어가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곳으로 추정되는 지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32][17]
| 언어 | 지리적 고향 추정지 |
|---|---|
| 쩌우어 | 타이완 중부 서남부; 위산 (구전 전승에 따름) |
| 사이시야트어와 쿨론어 | 다두강과 다자강 사이, 해안에서 멀지 않은 지역 |
| 타오어 (사우어) | 주수이강 유역 |
| 카우카우트어 (Qauqaut) | 타키리강(立霧溪, 리우우시) 중류 |
| 시라야어 | 자난 평원 |
| 마카타우어 | 핑둥시 지역 |
| 부눈어 | 난터우현 신이향 |
| 파이완어 | 아이랴오강 유역 (산기슭 근처) |
참조
[1]
웹사이트
Táiwān yuánzhùmín píngpǔ zúqún bǎinián fēnlèi shǐ xìliè dìtú
http://blog.xuite.ne[...]
2017-03-04
[2]
뉴스
Taiwan Seeks to Save Indigenous Languages
https://www.bbc.com/[...]
2010-07-14
[3]
논문
The Formosan Language Archive: Linguistic Analysis and Language Processing
2005
[4]
서적
Kavalan Dictionary
http://www.ling.sini[...]
Institute of Linguistics, Academia Sinica
2006
[5]
웹사이트
Indigenous Languages Development Act
https://law.moj.gov.[...]
2019-05-22
[6]
서적
Selected Papers from the Eigh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stronesian Linguistics
Academia Sinica
1999
[7]
논문
Taiwan's Gift to the World
2000
[8]
간행물
Current Developments in Comparative Austronesian Studies
https://digitalcolle[...]
2004-08-19
[9]
논문
Traces of Archaic Mitochondrial Lineages Persist in Austronesian-Speaking Formosan Populations
2005
[10]
보고서
Sociolinguistic Survey Report for the Tona and Maga Dialects of the Rukai Language
http://www.sil.org/s[...]
SIL International
2003
[11]
뉴스
Aboriginal Language Classes Open to Public
http://www.galdu.org[...]
2010-06-07
[12]
보고서
Yuánzhùmínzú yǔyán shūxiě xìtǒng jiànyì xiūzhèng bǎnběn bàogào
http://ilrdc.tw/achi[...]
2018
[13]
문서
Táiwān nándǎo yǔyán 台灣南島語言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Taiwan]
[14]
문서
Blust
[15]
서적
Proto-Austronesian Phonology with Glossary
Cornell Southeast Asia Program Publications
2010
[16]
문서
There are several outcomes of *g as onset or coda of the final syllable.
[17]
논문
The Dispersal of the Formosan Aborigines in Taiwan
http://www.ling.sini[...]
2020-06-02
[18]
저널
The Formosan Language Archive: Linguistic Analysis and Language Processing
http://www.airitilib[...]
2005-07-01
[19]
서적
Kavalan Dictionary
Institute of Linguistics, Academia Sinica
2006
[20]
저널
Subgrouping, circularity and extinction: some issues in Austronesian comparative linguistics
Academia Sinica
1999
[21]
저널
Taiwan's gift to the world
2000-02-17
[22]
콘퍼런스
Current Developments in Comparative Austronesian Studies
https://digitalcolle[...]
2004-08-19
[23]
저널
Traces of Archaic Mitochondrial Lineages Persist in Austronesian-Speaking Formosan Populations
2005-07-05
[24]
문서
Suppose we are wrong about the Austronesian settlement of Taiwan?
https://www.academia[...]
[25]
문서
Sociolinguistic survey report for the Tona and Maga dialects of the Rukai Language.
http://www.sil.org/s[...]
[2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galdu.org[...]
2019-05-08
[27]
저널
The Austronesian languages: Revised Edition
http://hdl.handle.ne[...]
2017-01-13
[28]
서적
原住民族語言書寫系統建議修正版本報告
http://ilrdc.tw/achi[...]
原住民族語言研究發展中心
2018
[29]
서적
[30]
서적
[31]
문서
마지막 음절의 어두 또는 어말 자음 *g는 더욱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32]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