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정부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중 문화 부문은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조사와 심의를 거쳐 선정되었다. 위원회는 문화 부문 인사 106명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심의 결과 84명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최종 결정되었다. 선정 과정에서 학술, 문예, 연극·영화, 음악·무용·야담, 미술 분야의 인물들이 심사되었으며, 이의 신청과 재심의를 통해 최종 명단이 확정되었다.

2. 선정 과정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현존하는 문헌 자료를 통해 구체적인 친일반민족행위가 입증된 문화 부문 인사 106명(학술 분야 인사 23명, 문예 분야 인사 83명(문학 분야 인사 32명, 연극·영화 분야 인사 23명(연극 분야 인사 14명, 영화 분야 인사 9명), 음악·무용·야담 분야 인사 20명(음악 분야 인사 17명, 무용 분야 인사 2명, 야담 분야 인사 1명), 미술 분야 인사 8명))에 대한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를 진행했다.

친일반민족행위 조사 대상자 심의 결과 100명(학술 분야 인사 22명, 문예 분야 인사 78명(문학 분야 인사 31명, 연극·영화 분야 인사 22명(연극 분야 인사 13명, 영화 분야 인사 9명), 음악·무용·야담 분야 인사 18명(음악 분야 인사 15명, 무용 분야 인사 2명, 야담 분야 인사 1명), 미술 분야 인사 7명))이 문화 부문 조사 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6명(학술 분야 인사 1명, 문예 분야 인사 5명(문학 분야 인사 1명, 연극·영화 분야 인사 1명(연극 분야 인사 1명), 음악·무용·야담 분야 인사 2명(음악 분야 인사 2명), 미술 분야 인사 1명))이 기각 결정을 받았다.

친일반민족행위 조사 대상자 선정에 대한 이의 신청 과정에서는 14건(학술 분야 3건, 문예 분야 11건(문학 분야 2건, 연극·영화 분야 1건(영화 분야 1건), 음악·무용·야담 분야 4건(음악 분야 3건, 무용 분야 1건), 미술 분야 4건))의 이의 신청이 접수되었다. 심의 결과 2건(학술 분야 1건, 문예 분야 1건(음악 분야 1건))이 인용(선정 취소)되었고 12건(학술 분야 2건, 문예 분야 10건(문학 분야 2건, 연극·영화 분야 1건(영화 분야 1건), 음악·무용·야담 분야 3건(음악 분야 2건, 무용 분야 1건), 미술 분야 4건))이 기각(선정 유지)되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친일반민족행위 조사 대상자로 지정된 문화 부문 인사 98명(학술 분야 인사 21명, 문예 분야 인사 77명(문학 분야 인사 31명, 연극·영화 분야 인사 22명(연극 분야 인사 13명, 영화 분야 인사 9명), 음악·무용·야담 분야 인사 17명(음악 분야 인사 14명, 무용 분야 인사 2명, 야담 분야 인사 1명), 미술 분야 인사 7명))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면서 친일반민족행위에 관한 결정을 심의했다. 심의 결과 85명(학술 분야 인사 20명, 문예 분야 인사 65명(문학 분야 인사 31명, 연극·영화 분야 인사 17명(연극 분야 인사 10명, 영화 분야 인사 7명), 음악·무용·야담 분야 인사 12명(음악 분야 인사 10명, 무용 분야 인사 1명, 야담 분야 인사 1명), 미술 분야 인사 5명))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되었으며 13명(학술 분야 1명, 문예 분야 12명(연극·영화 분야 인사 5명(연극 분야 인사 3명, 영화 분야 인사 2명), 음악·무용·야담 분야 인사 5명(음악 분야 인사 4명, 무용 분야 인사 1명), 미술 분야 인사 2명)이 기각 결정을 받았다.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에 대한 이의 신청 과정에서는 7건(학술 분야 2건, 문예 분야 5건(문학 분야 2건, 음악·무용·야담 분야 2건(음악 분야 2건), 미술 분야 1건))의 이의 신청이 접수되었다. 심의 결과 1건(문예 분야 1건(미술 분야 1건))이 인용(선정 취소)되었고 6건(학술 분야 2건, 문예 분야 4건(문학 분야 2건, 음악·무용·야담 분야 2건(음악 분야 2건))이 기각(선정 유지)되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최종 심의 결과 84명(학술 분야 인사 20명, 문예 분야 인사 65명(문학 분야 인사 31명, 연극·영화 분야 인사 17명(연극 분야 인사 10명, 영화 분야 인사 7명), 음악·무용·야담 분야 인사 12명(음악 분야 인사 10명, 무용 분야 인사 1명, 야담 분야 인사 1명), 미술 분야 인사 4명))이 문화 부문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되었다.

2. 1.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현존하는 문헌 자료를 통해 구체적인 친일반민족행위가 입증된 문화 부문 인사 106명(학술 분야 23명, 문예 분야 83명(문학 32명, 연극·영화 23명(연극 14명, 영화 9명), 음악·무용·야담 20명(음악 17명, 무용 2명, 야담 1명), 미술 8명))에 대한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를 진행했다.

심의 결과 100명(학술 22명, 문예 78명(문학 31명, 연극·영화 22명(연극 13명, 영화 9명), 음악·무용·야담 18명(음악 15명, 무용 2명, 야담 1명), 미술 7명))이 조사 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6명(학술 1명, 문예 5명(문학 1명, 연극·영화 1명(연극 1명), 음악·무용·야담 2명(음악 2명), 미술 1명))이 기각되었다.

이의 신청 과정에서는 14건(학술 3건, 문예 11건(문학 2건, 연극·영화 1건(영화 1건), 음악·무용·야담 4건(음악 3건, 무용 1건), 미술 4건))이 접수되었다. 심의 결과 2건(학술 1건, 문예 1건(음악 1건))이 인용(선정 취소)되었고, 12건(학술 2건, 문예 10건(문학 2건, 연극·영화 1건(영화 1건), 음악·무용·야담 3건(음악 2건, 무용 1건), 미술 4건))이 기각(선정 유지)되었다.

위원회는 조사 대상자로 지정된 98명(학술 21명, 문예 77명(문학 31명, 연극·영화 22명(연극 13명, 영화 9명), 음악·무용·야담 17명(음악 14명, 무용 2명, 야담 1명), 미술 7명))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면서 친일반민족행위에 관한 결정을 심의했다. 그 결과 85명(학술 20명, 문예 65명(문학 31명, 연극·영화 17명(연극 10명, 영화 7명), 음악·무용·야담 12명(음악 10명, 무용 1명, 야담 1명), 미술 5명))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되었고, 13명(학술 1명, 문예 12명(연극·영화 5명(연극 3명, 영화 2명), 음악·무용·야담 5명(음악 4명, 무용 1명), 미술 2명)이 기각되었다.

결정에 대한 이의 신청은 7건(학술 2건, 문예 5건(문학 2건, 음악·무용·야담 2건(음악 2건), 미술 1건))이 접수되었다. 이 중 1건(문예 1건(미술 1건))이 인용(선정 취소)되었고, 6건(학술 2건, 문예 4건(문학 2건, 음악·무용·야담 2건(음악 2건))이 기각(선정 유지)되었다. 최종 심의 결과 84명(학술 20명, 문예 65명(문학 31명, 연극·영화 17명(연극 10명, 영화 7명), 음악·무용·야담 12명(음악 10명, 무용 1명, 야담 1명), 미술 4명))이 문화 부문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되었다.

2. 2.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심의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현존하는 문헌 자료를 통해 구체적인 친일반민족행위가 입증된 문화 부문 인사 106명(학술 분야 23명, 문예 분야 83명(문학 분야 32명, 연극·영화 분야 23명(연극 분야 14명, 영화 분야 9명), 음악·무용·야담 분야 20명(음악 분야 17명, 무용 분야 2명, 야담 분야 1명), 미술 분야 8명))에 대한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를 진행했다.

심의 결과 100명(학술 분야 22명, 문예 분야 78명(문학 분야 31명, 연극·영화 분야 22명(연극 분야 13명, 영화 분야 9명), 음악·무용·야담 분야 18명(음악 분야 15명, 무용 분야 2명, 야담 분야 1명), 미술 분야 7명))이 조사 대상자로 선정되었고, 6명(학술 분야 1명, 문예 분야 5명(문학 분야 1명, 연극·영화 분야 1명(연극 분야 1명), 음악·무용·야담 분야 2명(음악 분야 2명), 미술 분야 1명))이 기각되었다.

조사 대상자 선정에 대한 이의 신청은 14건(학술 분야 3건, 문예 분야 11건(문학 분야 2건, 연극·영화 분야 1건(영화 분야 1건), 음악·무용·야담 분야 4건(음악 분야 3건, 무용 분야 1건), 미술 분야 4건))이 접수되었다. 심의 결과 2건(학술 분야 1건, 문예 분야 1건(음악 분야 1건))이 인용(선정 취소)되었고, 12건(학술 분야 2건, 문예 분야 10건(문학 분야 2건, 연극·영화 분야 1건(영화 분야 1건), 음악·무용·야담 분야 3건(음악 분야 2건, 무용 분야 1건), 미술 분야 4건))이 기각(선정 유지)되었다.

위원회는 조사 대상자로 지정된 98명(학술 분야 21명, 문예 분야 77명(문학 분야 31명, 연극·영화 분야 22명(연극 분야 13명, 영화 분야 9명), 음악·무용·야담 분야 17명(음악 분야 14명, 무용 분야 2명, 야담 분야 1명), 미술 분야 7명))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여 친일반민족행위에 관한 결정을 심의했다. 그 결과 85명(학술 분야 20명, 문예 분야 65명(문학 분야 31명, 연극·영화 분야 17명(연극 분야 10명, 영화 분야 7명), 음악·무용·야담 분야 12명(음악 분야 10명, 무용 분야 1명, 야담 분야 1명), 미술 분야 5명))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되었으며, 13명(학술 분야 1명, 문예 분야 12명(연극·영화 분야 5명(연극 분야 3명, 영화 분야 2명), 음악·무용·야담 분야 5명(음악 분야 4명, 무용 분야 1명), 미술 분야 2명)이 기각되었다.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에 대한 이의 신청은 7건(학술 분야 2건, 문예 분야 5건(문학 분야 2건, 음악·무용·야담 분야 2건(음악 분야 2건), 미술 분야 1건))이 접수되었다. 이 중 1건(문예 분야 1건(미술 분야 1건))이 인용(선정 취소)되었고, 6건(학술 분야 2건, 문예 분야 4건(문학 분야 2건, 음악·무용·야담 분야 2건(음악 분야 2건))이 기각(선정 유지)되었다. 최종 심의 결과 84명(학술 분야 20명, 문예 분야 65명(문학 분야 31명, 연극·영화 분야 17명(연극 분야 10명, 영화 분야 7명), 음악·무용·야담 분야 12명(음악 분야 10명, 무용 분야 1명, 야담 분야 1명), 미술 분야 4명))이 문화 부문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되었다.

3. 문화 분야 목록 (84명)

3. 1. 학술 (20명)

김두정(金斗禎), 김성률(金聲律), 김한경(金漢卿), 배상하(裵相河), 신태악(辛泰嶽), 유맹(劉猛), 유정수(柳正秀), 이각종(李覺鍾), 이능화(李能和), 이묘묵(李卯默), 이성환(李晟煥), 이영근(李泳根), 인정식(印貞植), 정운복(鄭雲復), 차재정(車載貞), 최남선(崔南善), 최병협(崔秉協), 한준석(韓準錫), 현영섭(玄永燮), 홍희(洪憙)

3. 2. 문예 (64명)

3. 2. 1. 문학 (31명)

3. 2. 2. 연극·영화 (17명)

3. 2. 3. 음악·무용·야담 (12명)


  • 김기수 (1886년 ~ 1964년) - 중추원 참의 역임
  • 김성진 (1905년 ~ 1989년) - 경성보육학교 촉탁의사 역임
  • 김영길 (1908년 ~ ?) - 만주국 참의부 참의 역임
  • 김해송 (1911년 ~ 1950년) - 중추원 참의 역임
  • 박영근 (1896년 ~ ?) - 중추원 참의 역임
  • 신광희 (1901년 ~ ?) - 만주국 봉천시의원
  • 이종률 (1888년 ~ 1947년) - 중추원 참의 역임
  • 이흥렬 (1909년 ~ 1980년) - 만주국 예과대학 촉탁
  • 조상선 (1881년 ~ 1959년) - 중추원 참의 역임
  • 조택원 (1907년 ~ 1976년) - 중추원 참의 역임
  • 함화진 (1884년 ~ 1948년) - 중추원 참의 역임
  • 홍난파 (1898년 ~ 1941년) - 중추원 참의 역임

3. 2. 4. 미술 (4명)

4. 선정 과정에서 기각된 인물

4. 1.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 과정에서 기각된 인물 (8명)

4. 1. 1. 학술 (2명)


  • 고승제 (高承濟): 일본에서 도요 경제 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던 동안에 징병제를 선전하는 논설문을 기고하는 등 친일반민족행위가 인정되었으나 이의 신청이 인용되면서 기각되었다.
  • 현채 (玄采): 조선사 편수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나 적극적인 친일반민족행위로 보기에 어렵다.

4. 1. 2. 문예 (6명)


  • 최찬식 (崔瓚植): 문학 작품 집필 활동을 통해 내선융화, 황민화를 주도했으나 친일반민족행위를 입증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미약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 함세덕 (咸世德): 지속적인 연극 창작 활동을 통해 친일 협력 사실이 분명하나, 학계에서는 그의 친일 행위와 관련된 논란이 많다는 사실, 연극계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크지 않다는 사실이 인정되었다.
  • 현재덕 (玄在德): 잡지 《신시대》에 일본의 침략 전쟁 수행을 위한 후방의 근로보국, 물자 절약 등을 주제로 한 표지화, 삽화, 만화를 제작했으나, 활동 범위가 잡지 《신시대》에 한정되어 있고 활동 기한이 짧은 편이었다. 그림의 내용이 침략 전쟁 선전보다는 후방의 물자 절약 등에 한정되어 있어서 강렬함이 약하다고 판단되었다.

4. 2.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심의 과정에서 기각된 인물 (14명)

4. 2. 1. 학술 (1명)


  • 심형진: 일본의 식민 통치를 찬양하는 한시 다수를 집필했으나 친일반민족행위가 미약하다는 사실이 인정됨.

4. 2. 2. 문예 (13명)


  • 김태진 (金兌鎭): 조선연극문화협회 이사로 활동했으나 활동 범위가 미약하고 연극 작품 활동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 문정원 (文丁元, 문예봉(文藝峰)): 다수의 연극과 영화에 출연하여 일본의 침략 전쟁을 미화하고 내선일체, 황민화를 선전한 배우였으나 친일반민족행위를 주도하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 박기채 (朴基采): 영화 연출 활동 이외의 활동이 그리 많지 않고 협력의 정도 또한 상대적으로 낮다고 판단된다.
  • 심재설 (沈載卨, 심영(沈影)): 다수의 연극과 영화에 출연하여 일본의 침략 전쟁을 미화하고 내선일체, 황민화를 선전한 배우였으나 친일반민족행위를 주도하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 오철영 (吳鐵榮, 오정민(吳禎民)): 조선총독부가 후원한 연극 경연 대회를 지지하는 평론 활동을 통해 일본의 식민 통치 이념을 선전하고 연극인들의 전쟁 협력을 촉구한 행적이 있으나 그러한 행위가 1943년에 집중되어 있고 연극계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이 그리 크지 않은 편이다.
  • 김경승 (金景承): 조선미술가협회 평의원으로 활동했으나 현존하는 그림 작품 수가 적어서 적극적인 친일반민족행위로 보기에 어렵다.
  • 이상범 (李象範): 조선미술가협회 평의원과 국민총력조선연맹 문화부 위원으로 활동했으나 현존하는 그림 도판이 적어서 적극적인 친일반민족행위로 보기에 어렵다.
  • 정현웅 (鄭玄雄): 《신시대》(新時代), 《반도의 빛》(半島の光, 조선금융조합연합회 기관지), 《소국민》(小國民), 《방송지우》(放送之友, 조선방송협회 기관지) 등의 각종 잡지에 일본의 침략 전쟁, 근로보국, 식량 증산, 전쟁 참여 독려를 비롯한 일본의 식민 통치 정책을 선전하는 표지화와 삽화를 그린 행적이 있으나 생계를 위한 친일 행적이라는 사실이 인정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