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트랄 (L901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스트랄 (L9013)은 프랑스 해군이 운용하는 강습상륙함으로, 2006년 2월 취역했다. 2005년 해상 시운전을 거쳐, 툴롱을 출발하여 지중해, 수에즈 운하, 홍해, 지부티, 인도를 거치는 장거리 항해를 했다. 2010년 러시아에 판매될 예정이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계약이 파기되었고, 이후 건조된 두 척은 이집트 해군에 인도되었다. 미스트랄함은 2006년 이스라엘-레바논 전쟁, 2011년 리비아 소요 사태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 토네르 (L9014)
토네르(L9014)는 프랑스 해군의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으로, 병력, 전차, 장갑차, 헬기 수송 및 상륙 작전 수행 능력을 갖추고 다양한 국제 작전과 훈련에 참여했으며 대중문화에도 등장했다. - 2004년 선박 - 뉴 카멜리아호
뉴 카멜리아호는 후쿠오카 하카타항과 부산항을 잇는 카페리 여객선으로, 배리어프리 설계와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고 하카타-부산 항로를 운항하며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는 화물 수송만 담당했다. - 2004년 선박 - 209형 잠수함
209형 잠수함은 서독에서 개발된 수출형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으로, 경제성과 운용 편의성을 갖추어 다양한 서브 타입으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의 장보고급 잠수함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 미스트랄 (L9013)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함종 | 강습상륙함 |
| 국가 | 프랑스 |
| 함명 유래 | 미스트랄 바람 |
| 소속 | 프랑스 해군 |
| 모항 | 툴롱 |
| 식별 부호 | 페넌트 번호: L 9013 데크 코드: MI |
| 상태 | 현역 |
| 건조 | |
| 건조 조선소 | DCNS 브레스트 공창 샹티에 드 생나제르 |
| 기공 | 2003년 7월 10일 (선미 부분, 브레스트) 2003년 10월 13일 (선수 부분, 생나제르) |
| 진수 | 2004년 10월 6일, 브레스트 |
| 취역 | 2006년 2월 |
| 제원 | |
| 함급 | 미스트랄급 |
| 배수량 | 경하: 만재: 밸러스트 포함: |
| 추진 | |
| 동력 | 모터: 2 × 메르마이드 전기 모터 (2 × 7 MW) 프로펠러: 2 × 5엽 프로펠러 발전 설비: 4 × 바르질라 디젤-교류 발전기 16 V32 (6.2 MW) + 1 × 바르질라 바사 보조 디젤-교류 발전기 18V200 (3 MW) |
| 항속 거리 | ( 시) ( 시) |
| 탑재량 | 바지선 2척, 르클레르 대대, 차량 70대 |
| 승선 인원 | 장교 20명, 부사관 80명, 하사관 60명, 승객 450명 (단기 항해 시 900명), 작전 사령부 150명 |
| 무장 | |
| 무장 | 2 × SIMBAD 시스템 2 × 30 mm 브레다-마우저 4 × 12.7 mm M2-HB 브라우닝 기관총 |
| 센서 | |
| 레이더 | DRBN-38 항해 레이더 × 1 MRR-3 NG 3차원 레이더 × 1 |
| 전자전 장비 | |
| 전자전 장비 | ARBR-21 레이더 방해 장치 × 1 SLAT 대어뢰 시스템 |
| 항공 시설 | |
| 함재기 | 헬리콥터 16대 (대형) 또는 35대 (소형) |
| C4I | |
| C4I | RITA 2G 해양 간이 주파수 대역 변환기 + FLTSATCOM 위성 통신 SIC-21 작전 지휘 시스템 (시라쿠스 3-A/B 위성 통신) NTDS (링크 11/링크 16) SENIT-9 전술 정보 처리 장치 SIC 21 전투 통제 시스템 × 1 |
2. 역사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건조 계획에 따라 건조된 미스트랄함은 2006년 취역하여 다양한 임무를 수행해왔다.
2008년 12월, 새로운 미스트랄급 함 건조 계약이 체결되었는데, 이에 따라 STX조선해양의 프랑스 생나자르 조선소가 함체 주요 부분(전체의 75%)을 건조하고 DCNS는 전투 시스템 제작을 담당하기로 했다. 해당 함정의 가격은 4.2억유로로 책정되었다.[14] 이듬해인 2009년 4월 21일, STX조선해양은 프랑스 정부로부터 미스트랄급 함 건조를 공식적으로 수주했다고 발표했다.[15]
한편, 2010년대 초반 프랑스는 러시아에 미스트랄급 함정 판매를 추진하기도 했다.[13] 그러나 2014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국제 정세가 급변하면서 러시아와의 수출 계약은 최종적으로 파기되었고, 이미 건조된 함정들은 이후 이집트 해군에 인도되었다.
2. 1. 개발 및 건조
"미스트랄"(L9013)은 DCNS가 주도하여 건조되었으며, 함체의 각 부분은 분담하여 제작되었다. 함미 부분은 2003년 7월 10일 브레스트 조선소에서 기공되었고, 함수 부분은 2003년 10월 13일 알스톰-아틀란티크 조선소에서 기공되었다. 이후 두 부분은 브레스트 조선소에서 최종 조립되어 2004년 10월 6일에 진수되었다.
함정은 2005년 12월 프랑스 해군에 인도되었으며, 다음 해인 2006년 1월부터 해상 시운전을 시작하였다. 시운전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2006년 2월에 정식으로 취역하여 툴롱 군항에 배치되었다.
취역 직후인 2006년 3월, ''미스트랄''은 첫 장거리 항해 임무를 수행했다. 툴롱을 출발하여 지중해, 수에즈 운하, 홍해를 통과하고 지부티와 인도의 코치 등을 방문한 후 프랑스로 귀환했다.
2. 2. 주요 작전 및 활동
2006년 2월 취역한 미스트랄함은 같은 해 3월 첫 장거리 항해를 시작했다. 툴롱을 출발하여 지중해, 수에즈 운하, 홍해를 거쳐 지부티와 인도를 방문한 후 프랑스로 귀환했다. 이 항해 중 3월 27일부터 30일까지는 오레론 섬 인근에서 프랑스 육군 부대와 함께 스켈레오(Skreo) 수륙양용 훈련을 실시했으며, 4월에는 그리스 수다(:en:Souda), 5월에는 터키 아카자즈(Akzaz) 등에 기항했다.
같은 해 7월, 2006년 이스라엘-레바논 전쟁이 발발하자 프랑스는 자국민 및 유럽 시민들의 안전한 철수를 위해 오페라시옹 발리스트를 개시했다. 미스트랄함은 이 작전에서 함대의 기함 역할을 수행하며, 장 바르, 장 드 비엔느 호위함, 그리고 강습상륙함 시로코와 함께 레바논 해역에 투입되었다. 9월 29일부터 10월 13일까지는 지중해에서 NATO가 주관한 브릴리언트 미다스 2006(Brillant Midas 2006) 수륙양용 작전 훈련에 참가했다.
2007년에는 2월 EXENAU 훈련에 참가했고, 5월에는 미국 리틀 크릭 해군 수륙양용 기지에 기항하여 미국 제2함대와 함께 버지니아 비치에서 상륙전 훈련을 실시했다. 같은 달 뤼스 반도에서 스켈레오 2007 국민 대피 훈련에도 참가했다.
2008년 2월에는 툴롱에서 가상의 국가(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레지옹)로부터 프랑스 국민 400명을 보호하는 시나리오의 에큐메 에테르넬(Écume éternelle) 훈련을 실시했다. 5월에는 사이클론 나르기스로 큰 피해를 입은 미얀마에 대한 인도적 지원 임무에 투입되어 1500ton의 구호 물품을 싣고 미얀마 해안으로 향했으나, 미얀마 군사정부의 거부로 구호품 전달은 이루어지지 못했다.[1] 9월 21일부터 10월 3일까지는 NATO 주최의 로열 미다스 2008(Loyal Midas 2008) 훈련에 참가했다. 이 훈련에는 이탈리아 해군의 주세페 가리발디 항공모함을 포함하여 8개국 31척의 수상함과 3척의 잠수함, 4,000명의 병력이 참여했다.
2009년 2월 12일부터 6월 27일까지는 가비알 08(Gavial 08) 임무를 수행하며 장기 항해에 나섰다. 이 기간 동안 요르단의 아카바, 사우디 아라비아의 지다, 지부티, 싱가포르, 일본의 요코스카(당시 프랑수아 피용 총리 방일 지원[5]), 중국의 상하이, 말레이시아의 클랑, 인도의 첸나이 등 여러 항구를 방문했다.
2011년 2월 28일, 사관 후보생들을 태우고 조르주 레이그 구축함과 함께 지중해, 홍해, 인도양을 경유하는 4개월간의 원양 항해 훈련을 위해 브레스트를 출항했다.[7] 그러나 항해 직후인 3월 초, 2011년 리비아 소요 사태로 인해 튀니지로 피난한 이집트인들의 본국 송환을 지원하기 위해 영국과의 공동 작전 하에 리비아 해역으로 급파되었다.[2][8][9] 미스트랄함은 튀니지의 자르지스 항에 도착했지만, 이미 대부분의 이집트 피난민들이 항공편으로 귀국한 상태여서 실제 수송 임무는 수행하지 않고 출항했다.[10]
2013년 1월, 미스트랄함은 슈발리에 폴 호위함과 함께 소말리아에서 알샤바브에 납치된 DGSE 요원 데니스 알렉스를 구출하기 위한 불로 마레르 인질 구출 시도 작전에 투입되었으나, 작전은 실패로 끝났다.[3]
2017년 4월 말, 일본 사세보 기지에 기항한 후, 괌 섬 주변 해역에서 열린 프랑스, 일본, 미국, 영국 4개국 해군의 연합 수륙양용 훈련에 참가했다.[11]
2022년 5월 22일, 라파예트급 호위함 쿠르베와 함께 기니만에서 작전을 수행하던 중, 약 2ton에 달하는 마약을 압수하는 작전에 관여했다.[4]
2. 3. 러시아 수출 무산 및 이집트 매각
2010년 2월, 프랑스는 러시아에 미스트랄급 함정 판매를 추진했다.[13] 2011년 STX유럽은 러시아 정부로부터 미스트랄급 4척을 수주해 2척을 건조했다. 그러나 2014년 발발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와의 관계가 크게 악화됐고, 러시아에 군함 수출을 반대하는 여론이 높아졌다.결국 2015년 프랑스는 러시아와의 수출 계약을 파기했고, 위약금으로 10억달러 (약 1조원)를 지불하게 됐다. 이후 건조된 두 척은 제3국에 판매하기로 결정됐으며, 여러 국가가 관심을 보인 가운데 이집트 해군이 최종적으로 인수 의사를 밝혔다. 이집트는 러시아에 지불해야 할 위약금의 일부를 대납하고, 프랑스의 동의 없이 함정을 타국에 재매각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미스트랄급 함정 2척을 인도받았다.
3. 비교 대상
미스트랄함과 유사한 임무를 수행하거나 비슷한 크기를 가진 여러 국가의 함선들이 있으며, 주요 함선들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 함명 | 국가 | 건조년도 | 길이(m) | 만재배수량(톤) | 헬기 | 수직이착륙기 | 속력(노트) | 마력 | 종류 |
|---|---|---|---|---|---|---|---|---|---|
| 독도함 | 대한민국 | 2005 | 199m | 19000ton | 15 | 0 | 23 | 41,615 | LPH |
| 휴우가함 | 일본 | 2007 | 197m | 18000ton | 11 | 0 | 30 | 100,000 | DDH |
| 22DDH | 일본 | 2014 | 248m | 27000ton | 14 | 30 | 112,000 | DDH | |
| 미스트랄함 | 프랑스 | 2004 | 199m | 21300ton | 35 | 0 | 19 | 48,679 | BPC |
|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 스페인 | 1988 | 196m | 17190ton | 29 | 29 | 27 | 46,400 | 경항공모함 |
| 주세페 가리발디 | 이탈리아 | 1985 | 180m | 13500ton | 18 | 12 | 30 | 82,000 | 경항공모함 |
| 인빈시블 | 영국 | 1977 | 209m | 20700ton | 20 | 20 | 28 | 97,000 | CVS |
| 오오스미 | 일본 | 1995 | 178m | 14000ton | 0 | 0 | 22 | 26,000 | LST |
| 짜끄리 나르벳 | 태국 | 1996 | 183m | 11486ton | 14 | 14 | 25.5 | 55,450 | 경항공모함 |
일본 해상자위대의 휴우가함(DDH-181)은 이탈리아 해군의 13850ton급 주세페 가리발디 항공모함, 스페인 해군의 17000ton급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항공모함, 영국 해군의 21000ton급 인빈시블급 항공모함과 비슷한 외형을 갖추고 있다.[16] PBS 다큐멘터리에서는 휴우가함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건조된 일본 최초의 항공모함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17] 태국의 짜끄리 나르벳은 스페인의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를 모델로 하여 건조되었다.
3. 1. 대한민국 해군과의 비교
대한민국 해군의 독도함은 프랑스 해군의 미스트랄함과 유사한 크기와 임무를 수행하는 강습상륙함으로, 두 함선의 제원은 아래 표와 같다.| 함명 | 국가 | 건조년도 | 길이(m) | 만재배수량(톤) | 헬기 | 수직이착륙기 | 속력(노트) | 마력 | 종류 |
|---|---|---|---|---|---|---|---|---|---|
| 독도함 | 대한민국 | 2005 | 199m | 19000ton | 15 | 0 | 23 | 41,615 | LPH |
| 미스트랄함 | 프랑스 | 2004 | 199m | 21300ton | 35 | 0 | 19 | 48,679 | BPC |
4. 갤러리
참조
[1]
뉴스
France angered by Burmese delays
http://news.bbc.co.u[...]
2014-10-24
[2]
웹사이트
Libya: UK and France to fly Egyptians from Tunisia
https://www.bbc.co.u[...]
2014-10-24
[3]
간행물
EXCLUSIF. Somalie : le raid pour libérer Denis Allex a été conduit depuis le Mistral
http://www.lepoint.f[...]
2014-10-24
[4]
웹사이트
New Drug Seizure By The French Navy In The Gulf Of Guinea
https://www.navalnew[...]
2022-05-27
[5]
뉴스
フランス共和国首相フランソワ・フィヨン閣下及び同令夫人の来日について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09-03-21
[6]
뉴스
Indian Navy – French Navy Joint Exercise ‘Varuna 08’
http://pib.nic.in/re[...]
インド国防省発表
2008-05-08
[7]
뉴스
Le groupe école « Jeanne d’Arc » met les voiles
http://www.defense.g[...]
Marine Nationale
2011-03-01
[8]
뉴스
Paris lance une opération d'évacuation d'Egyptiens de Libye
http://fr.reuters.co[...]
Reuter France
2011-03-02
[9]
뉴스
Libya: UK and France to fly Egyptians from Tunisia
http://www.bbc.co.uk[...]
BBC News
2011-03-02
[10]
뉴스
フランス揚陸艦、避難民救出できず チュニジア・ザルジス港
https://www.afpbb.co[...]
AFP News
2011-03-08
[11]
뉴스
仏強襲揚陸艦が佐世保入港 初の日仏米英共同訓練へ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7-04-29
[12]
웹인용
BPC Mistral
http://netmarine.net[...]
2011-12-30
[13]
뉴스
Christian Science Monitor report
http://www.csmonitor[...]
[14]
문서
French flagship of the Russian Navy
http://www.interarms[...]
[15]
문서
STX, 이번엔 군함 수주
http://hankyung.wown[...]
[16]
웹인용
Japan's Secret Aircraft Carriers
http://www.strategyp[...]
Strategypage.com
2007-08-25
[17]
문서
Japan's About-Face: The military's shifting role in post-war society.
http://www.pbs.org/w[...]
PBS/WNET, NY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