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란은 농민들이 주체가 되어 사회 불평등, 조세 저항, 외부 요인 등에 반발하여 일으킨 봉기를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민란은 2천 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초기에는 조세 저항, 사회 불평등, 종교 전쟁 등이 주요 원인이었다. 조선 시대에는 향회를 통한 부조리 지적 실패 시 관아 점거, 수령 능욕 등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일제강점기에는 항일 무장 투쟁으로 전환되어 독립군을 지원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현대 대한민국에서는 민주화 운동과 결합하여 사회 변혁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반란 - 분란전
    분란전은 국가 권력에 도전하고 정치적 목표를 추구하는 반란, 내전, 테러리즘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다양한 모델과 역사적 사례를 통해 분석되며 정부 대응 및 민심 확보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 농민 - 벵그트 포우투
    벵그트 포우투는 몽둥이 전쟁의 정치적 지도자였으며 칼 공작에게 항의하기 위해 스톡홀름으로 갔으나 체포되어 사망했다.
  • 농민 - 김흥발 (1668년)
    김흥발은 1668년 출생하여 연산군 시대 가문의 정치적 어려움 속에서 성장했으며, 아버지 김수봉의 노력으로 명망 있는 가문들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 농업정치 - 피와 땅
    피와 땅은 독일 땅과 독일 민족의 혈통을 연결하여 농촌과 농민을 이상화하고 도시 문화와 유대인의 영향력을 배척하는 인종주의적 민족주의 이념으로, 나치즘의 핵심 이념으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백인 우월주의 세력 등에 의해 사용된다.
  • 농업정치 - 농민 인터내셔널
    농민 인터내셔널은 1923년 모스크바에서 설립되어 공산주의 사상으로 농민들을 결집하려 했으나, 1928년 쇠퇴하여 1939년 해산된 국제 농민 조직이다.
민란
일반 정보
유형반란
목표사회, 정치, 경제 시스템 변경
원인사회 불만, 경제적 불만, 정치적 억압
발생 위치전 세계
발생 기간다양함
관련된 그룹농민, 소작농, 평민
진압 주체귀족, 정부군, 지주
결과다양함 (진압, 협상, 시스템 변화)
원인
경제적 요인과도한 세금
기근
경제 불황
사회적 요인계급 갈등
불평등
억압
정치적 요인부패
무능
독재
목표
정치적 목표정부 전복
개혁 요구
자치권 획득
경제적 목표세금 감면
토지 재분배
경제적 평등
사회적 목표계급 철폐
평등 사회 구현
억압 해소
주요 사건
유럽자케리 (프랑스, 1358년)
영국 농민 반란 (잉글랜드, 1381년)
후스 전쟁 (보헤미아, 1419년~1434년)
독일 농민 전쟁 (독일, 1524년~1525년)
러시아 농민 반란 (러시아, 17세기~18세기)
아시아황건적의 난 (중국, 184년)
이자성의 난 (중국, 1628년~1644년)
동학농민운동 (한국, 1894년)
결과
성공적인 경우혁명 또는 개혁으로 이어짐
실패한 경우진압 후 더욱 심한 억압

2. 역사적 배경

농민 전쟁의 역사는 2천 년 이상 거슬러 올라간다. 농민 반란 현상의 발생을 부추긴 요인으로는 조세 저항, 사회 불평등, 종교 전쟁, 민족 해방, 농노제에 대한 저항, 토지 개혁, 흑사병과 기근과 같은 외부 요인 등이 있다.[2] 텔랑가나 반란과 같은 후기의 농민 반란은 마오주의와 같은 토지 사회주의 이념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3]



대부분의 농민 반란은 조기에 종결되었으며 실패로 끝났다. 농민들은 자금 지원이 제한적이었고, 전문적인 군대의 훈련과 조직 역량이 부족했다.[4]

2. 1. 조선 시대

2. 1. 1. 민란의 정의와 발생 배경

향회 등의 합법적 방법을 통해 부조리를 지적하다가, 좌절되면 봉기하여 관아를 장악한다.[86] 봉기한 농민들은 집집마다 연락을 취해 농기구나 몽둥이로 무장하여 관아로 쳐들어간다. 민란의 준비 과정에서 참여를 거부하는 집에 벌금을 물리는 등 강제적 수단이 가해지기도 했다. 관아로 진격하는 길에 농민을 수탈하는 아전·지주·토호·고리대금업자들의 집을 파괴한다. 관아를 점령한 농민들은 아전들을 구타 및 살해하고, 수령은 위해를 가하지는 못했지만 욕설로 능욕하거나 가마에 태워 고을 밖에 내다 버리기도 했다. 행정력을 장악한 농민들은 시위를 통해 요구사항을 관철시키려 하며, 관에서는 요구사항을 받아들인다는 문서인 완문(完文)을 발표한다.[87] 수습을 위해 중앙 관리가 파견되면 자진 해산하고, 중앙 관리는 민란 주동자와 원인제공자인 지방 관리 및 향리를 처벌하는 것이 일반적 과정이다.[86]

농민 전쟁의 역사는 2천 년 이상 거슬러 올라간다. 농민 반란 현상의 발생을 부추긴 요인으로는 조세 저항, 사회 불평등, 종교 전쟁, 민족 해방, 농노제에 대한 저항, 토지 개혁, 흑사병과 기근과 같은 외부 요인 등이 있다.[2]

텔랑가나 반란과 같은 후기의 농민 반란은 마오주의와 같은 토지 사회주의 이념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3]

대부분의 농민 반란은 조기에 종결되었으며 실패로 끝났다. 농민들은 자금 지원이 제한적이었고, 전문적인 군대의 훈련과 조직 역량이 부족했다.[4]

2. 1. 2. 민란의 전개 과정

처음에는 향회 등의 합법적 방법을 통해 부조리를 지적하다가, 좌절되면 봉기하여 관아를 장악한다.[86] 봉기한 농민들은 집집마다 연락을 취해 농기구나 몽둥이로 무장하여 관아로 쳐들어간다. 민란의 준비 과정에서 참여를 거부하는 집에 벌금을 물리는 등 강제적 수단이 가해지기도 했다. 관아로 진격하는 길에 농민을 수탈하는 아전·지주·토호·고리대금업자들의 집을 파괴한다. 관아를 점령한 농민들은 아전들을 구타 및 살해하고, 수령은 위해를 가하지는 못했지만 욕설로 능욕하거나 가마에 태워 고을 밖에 내다 버리기도 했다. 행정력을 장악한 농민들은 시위를 통해 요구사항을 관철시키려 하며, 관에서는 요구사항을 받아들인다는 문서인 완문(完文)을 발표한다.[87] 수습을 위해 중앙 관리가 파견되면 자진 해산하고, 중앙 관리는 민란 주동자와 원인제공자인 지방 관리 및 향리를 처벌하는 것이 일반적 과정이다.[86]

2. 1. 3. 민란의 특징

민란의 뚜렷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88]

  • 저항의 주체가 주로 농민 즉 소작인(소작농)들이다. 몰락양반 출신에서 품팔이꾼까지 농민들도 경제적·신분적 계층이 다양했지만, 수탈로 말미암아 삶의 동력을 상실한 농민이라면 대부분 민란에 참여했다.
  • 기본적으로 경제투쟁이다. 특히 세금을 둘러싼 경제적 요소가 정치나 다른 요인들보다 민란에 크게 작용했다.
  • 민란은 최소 행정단위를 무대로 일어나고, 투쟁의 범위가 거기서 벗어나지 못한다. 즉, 지역간의 연대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국가적 저항이 아니라 지역 내의 저항이라고 할 수 있다.
  • 관아를 점거할 때까지는 저항의 강도가 매우 거세지만, 결국은 정부 측과의 협약과 동지에 해산하는 1회성 투쟁에 그친다. 아전·토호는 폭행 끝에 살해되기도 했지만, 수령은 능욕할 분 직접적 해를 끼치지 않았다. 수령은 왕명을 받았기 때문에 함부로 건드릴 수 없다는 전근대적 사고방식이 농민들 사이에 은연중에 깔려 있었기 때문이다.
  • 민란에 대한 정부의 조치는 근본적 해결책이 아니라 임시방편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민란이 발생하면 농민들을 진정시키기 위해 선무사를, 진상 조사를 위해 안핵사를 파견하고 문제 수령을 교체한다. 그러나 민란이 과격화된 경우에는 지방 수령들에게 선참후계를 허락하는 등 강경하게 나섰다.

2. 2. 일제강점기

2. 2. 1. 항일 무장 투쟁으로의 전환

3•1 운동 이후, 농민 봉기는 일제의 식민 통치에 저항하는 항일 무장 투쟁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농민들은 만주, 연해주 등 국외 지역에서 독립군 활동과 연계하여 무장 투쟁을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2. 3.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2. 3. 1. 민주화 운동과의 결합

1980년대 농민 운동은 민주화 운동과 결합하여 군부 독재에 저항하고 민주주의를 쟁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농민들은 노동자, 학생 등 다른 사회 세력과 연대하여 사회 변혁 운동의 주체로 부상했다.

3. 주요 농민 봉기

날짜분쟁국가농민결과그림참고
기원전 209–206년 봉기 (대택향 봉기 포함)진나라진승, 오광, 항우, 유방을 포함한 여러 반군 지도자 아래의 농민진나라 해체[5]
17–25년녹림신나라녹림 반군신나라 붕괴; 녹림 세력 간의 내분 이후 반군 지도자 유수의 부상
17–27년적미신나라적미 반군반란 목표가 부분적으로 달성되었지만, 결국 유수에 의해 운동이 패배함
184–205년황건적의 난후한황건적 반군반란 진압, 그러나 후한 왕조는 심각하게 약화됨
100px
[8]
185–205년흑산적 운동후한태항산맥의 산적 연맹 공손찬의 군대반란 진압, 그러나 후한 왕조는 심각하게 약화됨
611–619년반수 봉기수나라여러 반군 지도자 아래의 농민수나라 붕괴; 반군 세력 간의 내분 이후 반군 지도자 이연의 부상
859–860년추푸의 반란당나라추푸 아래의 중국 농민과 산적반란 진압, 그러나 당나라는 심각하게 약화됨[10]
874–878년왕선지의 반란당나라왕선지와 상군장의 지휘 하에 있는 중국 농민과 산적반란 진압, 그러나 당나라는 심각하게 약화됨[11]
875–884년황소의 반란당나라황소 아래의 중국 농민과 산적반란 진압, 그러나 당나라는 심각하게 약화됨[12]
993–995년사천에서의 대서 반란송나라왕소보와 이순 아래의 농민반란 진압[14]
1351–1368년홍건적의 난원나라 고려백련교 신도, 마니교도 및 중국 농민의 홍건군원나라 멸망, 몽골인의 몽골로의 후퇴 북원으로; 반군 세력 간의 내분 이후 반군 지도자 주원장의 부상
1428년쇼초의 난아시카가 막부일본 농민농민 부채 탕감
1441년가키쓰의 난아시카가 막부농민과 지사무라이의 도이키(동맹)농민 부채 탕감, 아시카가 막부는 심각하게 약화됨
100px
[19]
1482–1511년야마시로 잇키 봉기아시카가 막부
다양한 사무라이 가문
야마시로 잇키, 이후 소규모 잇키
다양한 사무라이 가문
1493년 대부분의 잇키가 막부에 항복했지만, 그들의 많은 목표를 달성했고 운동이 점차 종식될 때까지 자율성을 유지함[27]
1487–1488년가가의 난도가시 가문이코 잇키 모토오리 가문 야마가와 가문이코 잇키의 결정적인 승리.
100px
1488–1582년이코 잇키 봉기여러 주요 사무라이 가문 (오다 씨와 도쿠가와 씨 포함) 니치렌 종파 텐다이 소헤이 조도슈 소헤이이코슈 농민 및 지사무라이 연맹 조도신슈 소헤이
|20px]] 모리 씨
|20px]] 아자이 씨
|20px]] 아사쿠라 씨
대부분의 호전적인 이코슈 연맹 파괴, 조도신슈 종파 및 잔여 이코 잇키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항복
100px
[28]
1630–1645년이자성의 반란명나라 (1630–1644) 청나라 (1644–1645)이자성, 고계영 및 순나라의 다른 장군 휘하의 농민명나라 붕괴, 그러나 청나라에 의한 반란 진압
1630–1647년장헌충의 반란명나라 (1630–1644) 청나라 (1644–1647)장헌충 휘하의 농민과 산적명나라 붕괴, 그러나 청나라에 의한 반란 진압[39]


3. 1. 조선 시대

기원전 209년부터 기원전 206년까지 진나라에서 진승, 오광, 항우, 유방 등 여러 반군 지도자 아래의 농민들이 봉기하여 진나라가 해체되었다.[5]

1351년부터 1368년까지 원나라고려에서 백련교 신도, 마니교도 및 중국 농민의 홍건군이 봉기하여 원나라가 멸망하고 몽골인들이 몽골로 후퇴하여 북원이 되었다. 이후 반군 세력 간의 내분 끝에 반군 지도자 주원장이 부상하였다.

3. 1. 1. 주요 민란

기원전 209년부터 기원전 206년까지 진나라에서 진승, 오광, 항우, 유방 등 여러 반군 지도자 아래의 농민들이 봉기하여 진나라가 해체되었다.[5]

1351년부터 1368년까지 원나라고려에서 백련교 신도, 마니교도 및 중국 농민의 홍건군이 봉기하여 원나라가 멸망하고 몽골인들이 몽골로 후퇴하여 북원이 되었다. 이후 반군 세력 간의 내분 끝에 반군 지도자 주원장이 부상하였다.

조선에서는 1811년 홍경래의 난이 일어났다. 홍경래 등 몰락 양반과 농민들이 평안도 지역에 대한 차별과 세도 정치에 반발하여 봉기하였으나, 관군에 진압되었다.

1862년에는 임술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삼정의 문란과 탐관오리의 학정에 항거하여 전국 각지에서 농민들이 봉기하였다. 이는 조선 사회의 구조적 모순이 심화되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3. 2.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에는 여러 민란들이 일어났지만, 그중에서도 농민들이 주도한 항일 운동이 두드러졌다. 특히, 간도와 연해주 등 국외 지역에서 항일 무장 투쟁은 농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들 농민은 독립군 활동과 긴밀히 연계하여 혁혁한 전과를 올렸다.

  • 봉오동 전투: 1920년 6월,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독립군이 일본군 월강추격대대를 궤멸시킨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농민들은 독립군에게 식량과 은신처를 제공하고, 길 안내를 하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 청산리 전투: 1920년 10월, 김좌진이 이끄는 북로군정서군과 홍범도의 대한독립군을 주축으로 한 독립군 연합부대가 청산리 일대에서 일본군과 10여 차례 교전하여 대승을 거둔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도 농민들은 독립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3. 2. 1. 주요 항일 농민 운동

간도와 연해주 등 국외 지역에서 항일 무장 투쟁은 농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이들 농민은 독립군 활동과 긴밀히 연계하여 혁혁한 전과를 올렸다.

  • 봉오동 전투: 1920년 6월,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독립군이 일본군 월강추격대대를 궤멸시킨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농민들은 독립군에게 식량과 은신처를 제공하고, 길 안내를 하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 청산리 전투: 1920년 10월, 김좌진이 이끄는 북로군정서군과 홍범도의 대한독립군을 주축으로 한 독립군 연합부대가 청산리 일대에서 일본군과 10여 차례 교전하여 대승을 거둔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도 농민들은 독립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3. 3. 대한민국

1980년대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농민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 과정에서 여러 사건들이 발생했다.

4. 농민 봉기의 원인

농민 봉기의 역사는 2천 년 이상 거슬러 올라간다. 농민 반란 현상의 발생을 부추긴 요인으로는 다음이 있다.[2]


  • 조세 저항
  • 사회 불평등
  • 종교 전쟁
  • 민족 해방
  • 농노제에 대한 저항
  • 토지 개혁
  • 흑사병과 기근과 같은 외부 요인


텔랑가나 반란과 같은 후기의 농민 반란은 마오주의와 같은 토지 사회주의 이념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3]

대부분의 농민 반란은 조기에 종결되었으며 실패로 끝났다. 농민들은 자금 지원이 제한적이었고, 전문적인 군대의 훈련과 조직 역량이 부족했다.[4]

5. 농민 봉기의 결과

6. 현대적 의의

참조

[1] 서적 Nuijasota Otava
[2] 논문 The Late Medieval Peasant Wars 2008-02-05
[3] 웹사이트 Review: What Makes Peasants Revolutionary? http://www.unc.edu/c[...] 1982-04
[4] 웹사이트 Peasant Rebellions http://danmarkshisto[...]
[5] 웹사이트 Chen Sheng and Wu Guang's Revolt Against Qin http://tebtunis.berk[...]
[6] 웹사이트 The great revolt of the Egyptians (205–186 BC) http://english.cri.c[...]
[7] 문서 Dio Cassius, Epitome 72
[8] 웹사이트 The Yellow Turban Uprising http://www.chinaknow[...] 2011-06-28
[9] 문서 Baldwin, pp. 3–11.
[10] 문서 Somers, pp. 688–692.
[11] 문서 Somers, pp. 727–736.
[12] 문서 Somers, pp. 727–762.
[13] 문서 Kazhdan
[14] 웹사이트 Die Nördliche Song-Dynastie http://german.cri.cn[...]
[15] 논문 996 and all that: The Norman peasants' revolt reconsidered
[16] 문서 Andreev, pp. 221–228.
[17] 문서 Vahtre, pp. 79–90.
[18] 문서 Sumption, p. 444.
[19] 문서 Hall, Toyoda; pp. 28–30.
[20] 문서 Thomson, pp. 195–297.
[21] 문서 Hicks, pp. 33–55.
[22] 문서 Cheetham, p. 218.
[23] 문서 Rotger, 2011, pp. 26–33.
[24] 문서 Barros, 2006: O que sabemos dos irmandiños https://www.academia[...]
[25] 서적 Peasant Fires: The Drummer of Niklashausen Indiana University Press
[26] 서적 Ilustrirana zgodovina Slovencev Mladinska knjiga
[27] 문서 Berry, pp. 37–44.
[28] 문서 Otani, pp. 609–612.
[29] 웹사이트 Der Aufstad des Armen Konrad http://geschichtsver[...] 2013
[30] 백과사전 Dózsa Rebellion http://www.britannic[...]
[31] 서적 Ilustrirana zgodovina Slovencev Mladinska knjiga
[32] 문서 Cooke, Vietnamese Confucianization, pp. 289–292.
[33] 뉴스 Jelālī Revolts {{!}} Turkish history https://www.britanni[...] 2012-10-25
[34] 백과사전 Dacke War http://www.britannic[...]
[35] 웹사이트 Губеца Матии восстание 1573 http://www.litmir.ne[...]
[36] 웹사이트 Jaakko Ilkka https://web.archive.[...] 2014-10-22
[37] 웹사이트 Bauernaufstände in Oberösterreich – Einleitung http://www.ooegeschi[...] 2013-08-14
[38] 서적 Walka ludu podhalańskiego z uciskiem feudalnym 1625-1633 https://books.google[...] Wydawn. Ministerstwa Obrony Narodowej 1959
[39] ECCP Chang Hsien-chung
[40] 문서 Japan
[41] 문서
[42] 문서
[43] 웹사이트 Varenytsia Uprising https://www.encyclop[...] 2024-02-29
[44] 서적 Russian Rebels, 1600–1800 New York: Schocken Books
[45] 웹사이트 Rzeczpospolita Podhalańska 1669/1670 http://historiarabki[...] 2009-05-17
[46] 웹사이트 КЛІЩИНСЬКЕ ПОВСТАННЯ ТА САМОВРЯДУВАННЯ 1767–1770. http://resource.hist[...] 2024-02-29
[47] 서적 Preconditions of Revolution in Early Modern Europe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48] 서적 Revolution in the Andes: The Age of Túpac Amaru Duke University Press
[49] 문서
[50] 간행물 Турбаївське повстання 1789-1793 рр. : 220 роковини супротиву українських селян політиці соціального поневолення https://enpuir.npu.e[...] 2013
[51] 웹사이트 Sächsischer Bauernaufstand 1790 http://www.bauernkri[...] 2011-06-28
[52] 문서
[53] 문서
[54] 문서
[55] 웹사이트 47. Занепад кріпосницьких та зародження ринкових відносин в Україна у першій половині 19 ст. Початок промислового перевороту. https://studfile.net[...] 2024-02-29
[56] 웹사이트 КАРМАЛЮК УСТИМ ЯКИМОВИЧ http://resource.hist[...] 2024-02-29
[57] 웹사이트 Chuhuiv uprising https://www.encyclop[...] 2024-02-29
[58] 웹사이트 Історія села Охрамієвичі http://pivnich.info/[...] 2020-02-04
[59] 문서
[60] 서적 A Concise History of Polan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61] 간행물 El movimiento de los trabajadores en Yucatán durante la gubernatura de Salvador Alvarado (1915-1917) https://www.jstor.or[...] 1979
[62] 웹사이트 Антикріпосницький рух в Україні в 50—60 pp. XIX ст. - Довідник для підготовки до зовнішнього незалежного оцінювання - ЗНО з історії україни https://uahistory.co[...] 2024-02-29
[63] 문서
[64] 서적 The Peasants' revolt of Banten in 1888 Koninklijk Instituut 1966
[65] 서적 Print Culture and the Formation of the Anarchist Movement in Spain, 1890–1915 Routledge 2019
[66] 웹사이트 Сорочинська трагедія - Історія Великих Сорочинець https://sites.google[...] 2016-09-27
[67] 문서
[68] 웹사이트 Η Εξέγερση του Κιλελέρ https://www.sansimer[...] 2023-01-04
[69] 문서
[70] 뉴스 Kyrgyzstan: Victims Of 1916 'Urkun' Tragedy Commemorated http://www.rferl.org[...] RFE/RL 2006-08-02
[71] 웹사이트 Tarashcha uprising https://www.encyclop[...] 2024-02-29
[72] 뉴스 Battle of Pookottur commemorated https://web.archive.[...] 2009-08-27
[73] 문서 Głuszko, pp. 71–79
[74] 문서 Bianco, pp. 76–96
[75] 문서 Bianco, pp. 76–96
[76] 문서 Wakabayashi; Brook, p. 110
[77] 간행물 Forced Delivery of Paddy and Peasant Uprisings in Indramayu, Indonesia 1983
[78] 문서 Majumdar, p. 13
[79] 뉴스 Hyderabad 1948: India's hidden massacre https://www.bbc.co.u[...] 2013-09-24
[80] 웹사이트 When the Police are the Problem: The Philippine Constabulary and the Hukbalahap Rebellion http://www.walterlad[...] 2018-12-11
[81] 서적 Sahitya Sansad
[82] 웹사이트 Dokumentarni film o Cazinskoj buni na cazin.NET https://web.archive.[...] Cazin 2012-05-06
[83] 서적 Peasant Revolution in Ethiopia: The Tigray People's Liberation Front, 1975–199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84] 서적 민란의 시대 [[국사편찬위원회]]
[85] 서적 위의 책
[86] 서적 한국의 역사
[87] 서적 위의 책
[88] 서적 위의 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