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람총은 입으로 바람을 불어 화살을 발사하는 무기로, 고대부터 전 세계에서 사냥 도구로 사용되었다. 남아메리카, 동남아시아 등지에서는 오늘날까지도 사냥에 활용되며, 특히 독을 묻혀 사냥감을 제압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바람총은 휴대가 용이하고, 숲에서 소리가 적게 나며, 좁은 공간에서도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현대에는 스포츠나 레크리에이션, 야생 동물 포획, 마취, 도마뱀 포획 등에 사용되며, 일본에서는 스포츠 부키야 협회에서 주관하는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기도 한다. 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법적으로 규제되어 있으며, 공격용 무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사체 무기 - 총
총은 화약 폭발력으로 발사체를 발사하는 화약 무기의 총칭으로, 중국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형태와 작동 방식으로 발전해 왔으며, 전쟁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현대에는 군사, 사냥,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 발사체 무기 - 화살
화살은 활과 함께 사용되는 발사체로, 살대, 살촉, 깃, 오늬 등으로 구성되며 전쟁, 사냥, 스포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문화적 상징성을 지니기도 한다. - 공압무기 - 공기총
공기나 불연성 가스의 압력으로 탄환을 발사하는 무기인 공기총은 스프링식, 펌프식, 이산화탄소식, 압축공기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되며 사냥, 해충 방제, 스포츠 사격 등에 사용되고 각국 법규에 따라 규제되므로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 공압무기 - 연지탄
연지탄은 공기총에 사용되는 탄환의 종류를 설명하며, 다이아볼로 탄환, 구형 탄환, 슬러그 탄환, 무연 탄환 등이 있으며, 10m 공기 소총 및 공기 권총 경기에서 사용되는 매치 탄환에 대한 설명도 포함한다. - 닌구 - 만력쇄
만력쇄는 쇠사슬과 추로 제작된 일본의 무기로, 은밀한 무기나 자기 방어용으로 사용되었으며, 에도 시대 사무라이 경찰의 체포용으로도 활용되었다. - 닌구 - 수리검
수리검은 닌자가 사용한 무기로, 류슈리켄과 세메슈리켄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형태와 투척 방법을 가지고 있으며, 현대에는 스포츠 및 놀이 문화로도 활용되지만 소지 및 휴대는 법적으로 규제된다.
바람총 | |
---|---|
개요 | |
![]() | |
용도 | 가벼운 발사체나 다트 발사 |
종류 | |
재료 | 대나무 플라스틱 나무 |
스포츠 | |
종목 | 후키야 (일본) 블로우건 사격 |
관련 단체 | 일본 후키야 협회 국제 블로우건 스포츠 협회 |
구성 요소 | |
발사관 | 속이 빈 관 |
탄환 | 다트 |
탄환 재료 | 나무 금속 플라스틱 |
2. 역사
바람총은 고대부터 전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사용된 도구로, 특히 아메리카 대륙과 아시아 지역의 원주민들이 주로 사냥에 활용하였다. 발사체로는 씨앗, 점토 알갱이, 작은 다트 등이 쓰였으며, 일부 문화권에서는 다트 끝에 독을 발라 사냥의 효율을 높이기도 했다. 바람총은 활에 비해 휴대가 간편하고 밀림과 같이 빽빽한 환경에서 사용하기 유리하며, 발사 시 소리가 작다는 장점이 있다. 주로 원숭이나 새와 같은 작은 동물을 사냥하는 데 사용되었고, 대인용 무기로 쓰이는 경우는 드물었다. 이러한 바람총의 구체적인 사용 양상과 발전 과정은 지역별, 시대별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2. 1. 세계의 역사

바람총은 여러 문화권에서 사용된 무기이지만, 특히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서유럽, 북아메리카, 중앙 아메리카(과테말라의 웨웨테낭고 지역), 남아메리카 (아마존 분지와 가이아나)의 다양한 원주민들이 역사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발사체로는 씨앗, 점토 펠릿, 다트 등이 사용되었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다트 끝에 쿠라레나 다른 화살 독을 발라 대상을 마비시키는 데 사용했다. 바람총은 주로 원숭이나 새와 같은 작은 동물을 사냥하는 데 쓰였으며, 대인용 무기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북아메리카의 체로키족은 강대나무로 바람총을 만들어 토끼와 같은 작은 동물을 사냥하여 식단을 보충했다. 초크토 인디언 역시 대나무 바람총으로 다람쥐와 새를 사냥했다.[1] 콜럼버스 이전 시대의 도자기 그림에도 바람총이 묘사되어 있으며, 여러 메소아메리카 신화에도 등장한다. 당시 마야 족은 둥근 마른 씨앗과 점토 펠릿을 바람총으로 쏘아 새와 작은 동물을 사냥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점토 탄약은 사용할 때 약간 깎아내고 광택을 내어 사용했다.[2] 전통적인 체로키 마을에서는 사춘기 이전의 소년들이 짧은 바람총과 작은 구경의 다트를 사용하여 유해 동물 사냥을 했다.[3] 이들은 바람총으로 식량 저장고를 갉아먹는 쥐, 생쥐, 칩멍크 등 작은 설치류나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동물의 수를 조절했다. 이는 소년들에게 마을 내에서 역할을 부여하고[4] 초기 형태의 해충 방제 역할도 했다.[5] 또한 20세기까지 체로키 소년들은 바람총으로 다람쥐를 사냥하여 식량을 얻기도 했다.[6]
고대부터 전 세계 각지에서 사냥 도구로 이용된 바람총은 남아메리카나 동남아시아의 수렵 민족에 의해 오늘날에도 활용되고 있다. 바람총은 활보다 휴대가 간편하고, 밀림 환경에서 발사 시 소리가 작다는 장점이 있다. 사거리는 활에 미치지 못하지만, 긴 통을 사용하면 명중률이 높고, 작은 화살이 나뭇가지나 잎의 방해를 덜 받는다. 또한 독을 함께 사용하면 작은 동물뿐 아니라 일정 크기 이상의 동물도 사냥할 수 있다.
에콰도르 동부 아마존 강 유역에 사는 Huaorani people|와오라니족영어은 쿠라레나무( Strychnos toxiferala )에서 채취한 독인 쿠라레를 모모야시로 만든 화살에 발라 사냥에 사용했다.[23] 태국의 밀림에 사는 Mani people|마니족영어은 나무에 올라 바람총으로 새를 잡거나, 숲에 숨어 적을 노리는 무기로도 사용한다.[24]
일본에서도 작은 동물을 사냥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17세기 말의 우키요조시 《호색이대남》에는 바람총으로 새를 사냥하는 묘사가 나온다.[25] 에도 시대의 생물 애호령 하에서는, 조쿄 4년(1687년) 6월 26일에 도쿠가와 이에쓰나 쇼군의 기일에 바람총으로 제비를 쏘아 죽인 자가 사형에 처해지기도 했다. 독과 함께 암살 등에 사용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지나 확실하지 않다. 닌자가 사용했다는 설도 있지만, 닌술 병법서로 알려진 《만천집해》(1676년)에는 일본 닌자의 바람총 사용 기록이 확인되지 않는다. 일부 닌술 유파에 실제로 사용되었다고 전해지는 바람총이 남아있기는 하나, 실용성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
오늘날 바람총은 마취 다트를 사용하여 야생 동물을 포획하거나 동물원의 위험한 동물을 진정시키는 데 사용된다. 파충류학자들은 잡기 어려운 도마뱀을 포획하기 위해 바람총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다트나 페인트볼을 사용하는 레크리에이션 활동에도 이용된다.
2. 2. 한국의 역사
(내용 없음)2. 3. 근현대
에도 시대에는 놀이나 내기의 일환으로 사격용 포장마차에서 서민부터 다이묘까지 장난감으로서의 부키야(吹き矢, 바람총)를 이용해 과녁 맞히기 등을 즐겼다. 이러한 놀이는 다이쇼 시대까지 이어졌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서구화 정책과 풍속 영업법 제정 등의 영향으로 점차 쇠퇴하였다.현대 일본에서는 무기로서의 바람총보다는 위험성이 없는 화살을 사용하는 오락이나 스포츠로서의 바람총이 주류를 이룬다. 1990년대부터 스포츠 경기나 건강법으로서 불어 화살(吹矢, 후키야)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1998년에는 스포츠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일본 스포츠 불어 화살 협회( 日本スポーツ吹矢協会|니혼 스포-츠 후키야 쿄-카이jpn )가 설립되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이후 2004년에는 즐거움을 통한 건강 증진과 동료 만들기를 목적으로 하는 일본 불어 화살 레크리에이션 협회( 日本吹矢レクリエーション協会|니혼 후키야 레크리에-숀 쿄-카이jpn )가 발족하여 즐기는 것을 중시하는 불어 화살 문화를 제창하고 있다.
3. 구조
바람총은 통(불어넣는 통, 취통)에 화살을 넣고, 입으로 숨을 불어넣어 그 공기압으로 화살을 발사하는 도구이다. 활의 화살 깃이 바람을 갈라 공기 저항을 이용해 직진성을 높이는 것과 달리, 바람총 화살의 깃(풍수)은 통과 화살 사이의 밀폐성을 높여 공기압이 새지 않고 화살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총은 기본적으로 화살을 불어넣는 '''통'''과 '''화살'''로 구성된다. 화살은 목표물에 꽂히는 침 부분과 통 내부에서 공기를 밀어내는 씰 구조(바람받이)로 이루어진다. 통은 화살이 지나가는 관 역할을 하며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화살과 통의 구체적인 재질과 종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화살
바람총 화살은 목표물에 꽂히는 침과, 바람총 통 내부에서 공기를 밀어내는 역할을 하는 씰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씰 구조는 '바람받이'라고도 불린다.화살의 침은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돌, 대나무, 나무 등 단단하고 뾰족하게 만들 수 있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받이는 과거에는 침이나 가늘게 가공한 대나무 끝에 동물의 체모, 나무껍질(수피), 피혁, 천 등을 붙여서 만들었다. 일본에서는 원뿔 모양으로 가공한 종이를 바람받이로 사용하기도 했다. 현재 일본에서는 종이나 수지 필름을 원뿔 형태로 감아 만든 화살이 특징적으로 사용되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주로 철사나 대꼬치에 부드러운 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원뿔형 바람받이를 단 형태의 화살이 널리 사용된다.
3. 2. 통
바람총의 통은 화살을 불어넣는 관으로, 재질이나 규격이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전통적인 방식과 현대적인 방식, 그리고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된다.일본의 전통적인 통은 목재에 긴 반원 홈을 파서 맞붙인 팔각 기둥이나 원기둥 형태, 속을 균일하게 가공한 대나무, 또는 일본 종이를 말아서 만들었다. 이러한 통의 안과 밖에는 옻칠을 하여 내구성과 마감을 더했다. 현대에는 플라스틱 등 다양한 공업 제품으로 만들어진 원통형 관을 사용하며, 종이 등을 말아 만든 수제품부터 시판되는 장난감이나 경기용까지 다양하다.
바람총의 종류에 따라 통의 재질, 길이, 직경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종류 | 재질 | 길이 | 직경/구경 | 특징 |
---|---|---|---|---|
후키다케 (일본) | - | 120cm (토너먼트), 50cm (연습용) | 약 1.30cm cal | 마우스피스 없이 입술로 통을 감싸 사용 |
후키다케 (국제) | - | 약 1.22m | 약 1.27cm cal | IFA(국제 불기 협회) 규칙 따름 |
체로키 | 강가[7] | 약 1.83m 에서 약 2.74m | - | - |
자칼텍 | 나무 | 약 0.91m | - | 끝에서 30cm 지점에 조준기 있음, 안정성을 위해 점토를 조준기 아래 추가하기도 함 |
현대 (미국/EU) | - | 121cm (IFA 표준) | 약 1.02cm cal (일반), 약 1.27cm cal, 약 1.59cm cal (경쟁용) | 종 모양 마우스피스 사용 |
페인트볼 마커 | - | - | 약 1.73cm cal | 페인트볼과 동일 크기 |
숨피트 | 대나무, 나무[21][22] | 1.2m 에서 1.8m | 2cm 에서 3cm | 한 조각 또는 여러 조각 연결, 끝에 금속 창날 부착 가능[21][22] |
4. 사용 방법
바람총은 활과 달리, '''바람총 통'''(吹筒|취통일본어)이라 불리는 관에 화살을 넣고, 통의 한쪽 끝에 입을 대고 숨을 불어넣어 그 공기압으로 화살을 날리는 도구이다. 활의 화살 깃이 바람을 가르고 공기 저항을 이용해 직진성을 높이는 것과 달리, 바람총 화살의 깃(일본에서는 風受|풍수일본어라고도 부른다)은 통과 화살 사이를 밀착시켜 공기압이 새어 나가지 않고 화살에 온전히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숨을 불어넣어 사용하므로, 화살을 넣은 통의 한쪽 끝을 입에 대고 숨을 강하게 불어넣는다. 통 끝을 입에 대고 조준하기 때문에, 목표와의 오차는 사용자의 경험과 감에 의존하여 보정해야 한다. 따라서 가까운 거리에서도 명중률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4. 1. 사냥
바람총은 고대부터 전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사냥 도구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서유럽, 북아메리카, 중앙 아메리카(과테말라의 웨웨테낭고 지역), 남아메리카 (아마존 분지와 가이아나)의 다양한 원주민들이 역사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남아메리카나 동남아시아에서 수렵 채집 생활을 하는 민족들은 오늘날에도 바람총을 사냥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주된 사냥감은 원숭이나 새와 같은 작은 동물이다. 발사체로는 씨앗, 점토 펠릿, 다트 등이 사용되었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사냥감을 효과적으로 제압하기 위해 다트 끝에 쿠라레나 다른 독을 발랐다. 이러한 독은 상처를 통해 주입되면 마비나 사망을 유발하지만, 사람이 먹어도 문제가 없는 종류도 있어, 이러한 독물 이용 문화가 발달한 지역에서는 대형 동물을 잡는 데에도 바람총이 사용되었다. 반면, 식용에 적합한 독을 구하기 어려운 지역에서는 사냥용 바람총의 발달이 더뎠고, 대신 마취나 암살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되기도 했다. 모우도쿠후키야가에루와 같은 일부 독개구리는 이름처럼 바람총의 독침 재료로 이용되기도 했다.
프리 콜럼비아 시대의 도자기 그림이나 여러 메소아메리카 신화에도 바람총이 등장한다. 당시 마야 족은 마른 씨앗이나 점토 펠릿을 발사하여 새와 작은 동물을 사냥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점토 탄약은 수축을 고려하여 약간 크게 만들어 구운 뒤, 사용 직전에 겉면을 깎고 다듬어 사용했다.[2] 북미의 체로키족은 강대나무로 바람총을 만들어 토끼와 같은 작은 동물을 사냥하여 식단을 보충했으며,[1] 초크토족 역시 대나무 바람총으로 다람쥐와 새를 사냥했다.[1]
전통적인 체로키 마을에서는 사춘기 이전 소년들이 짧은 바람총과 작은 다트를 사용하여 유해 동물을 사냥했다.[3] 이들은 식량이나 씨앗 저장고를 갉아먹는 쥐, 생쥐, 칩멍크 같은 작은 설치류나 밭의 채소를 먹는 동물을 잡아 개체 수를 조절했다. 이는 소년들에게 마을 내에서 할 일을 주고 장난을 방지하는 역할[4]과 함께 초기 형태의 해충 방제 기능[5]을 했다. 소년들은 20세기까지도 바람총으로 다람쥐를 사냥하여 식량을 얻기도 했다.[6]
바람총이 사냥 도구로 선호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활보다 휴대가 간편하고, 밀림과 같이 나무와 잎이 무성한 환경에서는 활시위 소리보다 바람총 소리가 더 조용하며, 다트가 식물에 덜 방해받는다는 장점이 있다. 사거리는 활에 미치지 못하지만, 긴 통을 사용하면 명중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독을 함께 사용하면 작은 동물뿐만 아니라 비교적 큰 동물까지 사냥할 수 있다.
에콰도르 동부 아마존 강 유역에 사는 와오라니족(Huaorani people영어)은 쿠라레나무( Strychnos toxifera영어 )에서 채취한 쿠라레 독을 모모야자나무로 만든 다트에 발라 사냥에 사용했다.[23] 태국의 밀림에 사는 마니족(Mani people영어)은 나무 위에서 바람총으로 새를 잡거나, 숲에 숨어 적을 공격하는 무기로도 활용한다.[24]
일본에서도 작은 동물을 사냥하는 데 바람총이 사용되었다. 17세기 말의 우키요조시인 『호색이대남』에는 바람총으로 새를 잡는 묘사가 나온다.[25] 에도 시대의 생물 애호령 시기인 조쿄 4년(1687년)에는 쇼군의 기일에 바람총으로 제비를 쏘아 죽인 자가 사형에 처해진 기록도 있다. 닌자가 사용했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닌자 기술서로 알려진 『만천집해』(1676년)에는 관련 기록이 확인되지 않는다. 일부 닌자 유파에 사용되었다고 전해지는 바람총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실용성은 불분명하다.
바람총의 발사 속도는 사용자의 폐활량과 근력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작은 동물을 잡는 데 그친다. 통의 길이를 늘리면 속도를 높일 수 있지만, 더 많은 폐활량이 필요하다.
사용되는 독으로는 아메리카 원주민이 사용한 쿠라레(d-투보쿠라린)가 대표적이며, 이 외에도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사용된 스트리크닌, 고대 갈리아인이 사용한 헬레보루스(베라트린 함유) 등이 알려져 있다.[26] 근육 이완제인 쿠라레는 적정량을 사용하면 동물을 죽이지 않고 마비시켜 포획할 수 있으며, 체내에서 분해되어 식용해도 안전하다.
현대에는 수의사 등이 마취약이 든 주사기를 다트처럼 사용하여 야생 동물을 포획하거나 우리에 갇힌 위험한 동물을 마취하는 데 바람총을 사용한다. 파충류학자들도 잡기 어려운 도마뱀 등을 포획하기 위해 마취 다트와 함께 바람총을 이용한다. 또한, 다트나 페인트볼을 사용하는 레크리에이션 활동에도 바람총이 쓰인다.
4. 2.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전 세계적으로 여러 가지 경쟁 스타일이 시행되고 있다. 후키야를 기반으로 한 경쟁 스타일의 표준화를 국제후키야도협회(IFA)가 추진하고 있으며,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을 목표로 한다. 이 방식은 표준화된 길이 120cm 또는 48인치, 특정 통 구경을 사용하는 10m 표적 사격이다. 다트의 모양, 길이, 무게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각 라운드에서 사수는 5개의 다트를 쏘며, 게임당 6라운드로 총 30개의 다트를 쏜다. 표적 점수는 중앙(지름 6cm) 7점, 중간(지름 12cm) 5점, 바깥(지름 18cm) 3점이다. 과녁의 정중앙은 바닥에서 160cm 또는 63인치 높이에 위치한다.체로키 연례 모임 바람총 대회를 기반으로 한 다른 두 가지 스타일 역시 올림픽 종목 채택을 추진 중이다. 첫 번째는 필드 스타일 대회로, 동계 바이애슬론과 유사하게 사수가 출발선에서 표적 레인까지 달려가 다트를 쏘고 회수한 뒤 다음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코스 길이는 400m에서 800m 이상이며, 다양한 높이와 사격 거리에 9개에서 16개의 표적이 있다. 두 번째는 장거리 표적 사격이다. 지름 24cm인 원형 표적을 사용하며, 사격선은 20m 거리에서 시작한다. 각 사수는 3개의 다트를 쏘아 그중 최소 1개를 표적에 맞혀야 한다. 성공한 사수는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며, 매 라운드마다 2m씩 뒤로 이동한다.
스포츠 바람총 대회는 국제후키야도협회(IFA)에서 관리하며, 미국, 프랑스, 독일, 필리핀의 전국 협회가 이에 가입되어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에 놀이나 내기를 위한 사격(자동 장치가 부착된 부키야) 포장마차가 있었고, 서민부터 다이묘까지 장난감으로서의 부키야로 과녁 맞히기 등을 즐겼다. 이러한 문화는 다이쇼 시대까지 이어졌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서구화와 풍속영업법의 영향으로 쇠퇴하였다.
현대 일본에서는 무기로서의 바람총보다는 위험성이 없는 화살을 사용하는 오락이나 스포츠로서의 바람총이 주류를 이룬다. 1990년대부터 스포츠 경기나 건강법으로서의 불어 화살(부키야)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스포츠를 주체로 하는 활동 단체인 일본 스포츠 불어 화살 협회( 日本スポーツ吹矢協会|니혼 스포츠 후키야 교카이일본어 )가 1998년에 설립되어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또한, 즐겁게 건강을 증진하며 동료 만들기를 목적으로 하는 일본 불어 화살 레크리에이션 협회가 2004년에 발족하여 즐기는 것을 중심으로 한 불어 화살을 제창하고 있다.
스포츠 부키야에서는 전용 기구를 사용하며, 이는 스포츠 용품이지 수렵 도구가 아니다. 따라서 화살은 가볍게 만들어지고 바늘 부분이 짧아, 과녁에 꽂히는 압정 정도의 수준이다. 완구로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바늘 대신 흡착판이 달린 제품도 있다. 이처럼 안전성을 고려한 부키야를 사용하여 화살을 불어 맞히고, 맞힌 위치에 따라 명중 정확도와 점수를 겨루는 경기가 이루어진다.
일본 내 부키야 단체의 대부분은 안전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끝이 뾰족하지 않은 화살을 사용한다. 반면, 외국의 부키야 단체는 모두 뾰족한 화살을 사용하지만 안전 문제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다트 과녁에 있는 와이어링과 같은 형태의 링을 사용하여 경기를 하는 경우, 평평한 다트(플랫 다트)로는 진행하기 어렵다. 안전 면을 고려한 특허 상품으로 흡착판식 화살과 과녁, 빙고 게임 방식의 과녁 등이 있으며, 특히 요양 시설, 장애인 단체, 노인회, 어린이회, 교육 관계 단체를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근세의 완구로, "부키야 인형"이 존재한다. 이는 다나카 히사시게가 발명한 카라쿠리 인형의 기록 『히사시게의 수기에 의한 카라쿠리 도안』 중에도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인형이 수 개의 화살을 차례로 통 속에서 불어내어 과녁을 넘어뜨리는 장치이다. 사람의 숨 대신 증기의 힘이나 모아둔 공기압을 개방하는 방식(기포의 원리와 유사)으로도 부키야를 사출하고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자동 부키야는 오락 문화로서 발명되었으며, 병기로서는 이용되지 않았다.
5. 재료
바람총 본체는 주로 속이 빈 식물 줄기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북미의 체로키족은 강대나무를 사용했고, 초크토 인디언은 대나무를 이용해 바람총을 제작했다.[1]
발사체로는 씨앗, 점토 펠릿, 다트 등이 사용된다. 마야 족은 전통적으로 둥근 마른 씨앗이나 점토 펠릿을 사용해 새와 작은 동물을 사냥했다. 점토 탄약은 사용할 때 크기를 맞춰 깎아내고 광택을 내어 사용했다.[2]
다트는 일반적으로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단한 나무(경재)로 만들어지지만, 비공식적으로는 대나무 꼬챙이가 사용되기도 한다. 현대에는 알루미늄이나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도 다트 제작에 쓰인다. 다트의 꼬리 부분(깃)은 안정적인 비행을 위해 솜털, 깃털 끝, 동물의 털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일본의 스포츠 취관(후키야)에서는 경연용 다트로 원뿔 모양으로 말린 셀로판에 뾰족하지 않은 황동 못을 붙여 사용한다. 다른 국가에서는 약 1.02cm 또는 약 1.27cm 구경 다트를 만들기 위해 개조된 피아노 선을 사용하기도 하며, 일부 제조업체는 약 0.89cm, 약 1.59cm, 약 1.73cm, 약 1.91cm 등 특수한 구경의 다트를 생산한다. 직접 다트를 만들거나 사냥용으로 사용할 때는 대나무 꼬챙이(약 2.54cm 또는 약 2.54cm 직경), 철사 옷걸이, 못, 뜨개질 바늘 등 다양한 재료가 활용된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사냥감 마비를 위해 다트 끝에 쿠라레와 같은 화살 독을 바르기도 했다.
6. 규격
원시 무기로서 바람총의 길이와 직경에 대한 정해진 치수는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몇 가지 규격은 다음과 같다.
종류 | 길이 | 직경/구경 | 다트/탄약 | 특징/재질 |
---|---|---|---|---|
후키다케 (일본) | 토너먼트: 120cm 연습용: 50cm 국제판(IFA): 약 1.22m | 약 1.30cm 구경 (일본) 약 1.27cm 구경 (국제판) | 20cm 길이, 0.8g 무게의 종이 원뿔 다트 | 마우스피스 없음 |
체로키 | 약 1.83m 에서 약 2.74m | 명시된 자료 없음 | 약 15.24cm 에서 약 55.88cm 길이의 다트 (아카시아나무, 참나무, 물푸레나무, 단풍나무, 호두나무 등 경목) 깃털: 엉겅퀴 솜털 또는 토끼 털 | 강대나무 재질[7][8] |
자칼텍 | 평균 약 0.91m | 명시된 자료 없음 | 점토 펠릿 (가장 흔함) | 나무 재질, 끝에서 30cm 지점에 조준기, 안정성을 위해 조준기 아래 점토 추가 가능 |
현대 (미국/EU) | IFA 공인: 121cm 제한 (다양한 길이 가능, 거리 제한 부과) | 약 1.02cm 구경 (일반적) 약 1.27cm, 약 1.59cm 구경 (경쟁용 허용) | 다트 (치수/무게 제한 있음) | 종 모양 마우스피스 사용 |
페인트볼 마커 | 명시된 자료 없음 | 약 1.73cm 구경 | 페인트볼 | 페인트볼과 동일 크기 |
숨피트 | 약 1.2m 에서 1.8m | 약 2cm 에서 3cm | 두껍고 짧은 다트 (뭉툭한 끝에 부드러운 코르크 플러그 또는 수지 코팅 깃털/섬유) 점토 펠릿 (조류 사냥용) | 대나무 또는 나무 재질 (한 조각 또는 2~3 조각 연결), 끝에 금속 창날 부착 가능 (찌르기용)[21][22] |
7. 법적 규제
과테말라에서는 1930년대에 작은 동물 보호를 목적으로 바람총 사용을 금지하는 법률이 통과되었다. 이 법은 농촌 지역에서 시행하기 어려웠지만, 과테말라 내 바람총 사용 감소의 한 원인이 되었다.[9]
영국에서는 형사사법법 1988에 따라 바람총이 공격용 무기로 분류된다. 이에 따라 바람총을 제조, 판매, 대여하거나, 판매 또는 대여 목적으로 제공 또는 소지하거나, 타인에게 대여 또는 제공하는 행위가 불법이다. 다만, 골동품 바람총은 예외적으로 허용된다.[10] 호주에서도 영국과 유사하게 바람총을 공격용 무기로 분류하여 규제하고 있다.[10]
캐나다에서는 바람총을 "숨으로 화살이나 다트를 발사하도록 설계된 튜브 또는 파이프"로 정의하며 금지된 무기로 분류한다.[11] 캐나다로 수입되는 모든 바람총은 구멍을 뚫거나 막는 방식으로 사용 불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12]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도 바람총(블로우건)은 불법 공격용 무기로 분류된다.[13][14]
미국의 경우, 캘리포니아주, 매사추세츠주, 워싱턴 D.C.에서는 바람총 소지 및 사용이 불법이다.[15] 하지만 다른 주에서는 합법이며, 현재 바람총 사용에 대한 연령 제한은 없다.[16]
8. 창작물에서의 등장
- 가면라이더 X - 1974년 TV 특촬물. 2화에서 주인공인 진 케이스케가 변신 전 휴대 무기로 '코'자 모양의 2연장 바람총을 사용한다.
- 인디아나 존스: 크리스탈 해골의 왕국 - 2008년 미국 영화. 주인공인 인디아나 존스가 바람총을 사용하는 부족에게 습격당했을 때, 화살을 맞기 전에 분사구에서 바람을 불어 독침을 마시게 하는 기책으로 대처한다.
참조
[1]
서적
A Concise Natural History of East and West Florida
Printed for the author
[2]
논문
The Jakaltek Maya Blowgun in Mythological and Historical Context
[3]
웹사이트
Cherokee, Blowgun, Bibliography
http://www.worldcat.[...]
[4]
간행물
An instructor's guide to traditional Native American games of the Eastern Band of the Cherokee: grades 5–8
http://www.worldcat.[...]
Middle Tennessee State University
[5]
간행물
Hayes Lossiah: Cherokee Blowgun Maker
http://www.worldcat.[...]
N.C. Dept. of Cultural Resources
[6]
간행물
The Modern Blowgun
http://www.worldcat.[...]
2017-09/10
[7]
간행물
River Cane: Its Ecological and Cultural Perspectives in Oklahoma Cherokee Culture
http://www.worldcat.[...]
[8]
웹사이트
Cherokee Games.
http://www.cherokeeh[...]
2010-01-15
[9]
논문
Blowguns in Guatemala
AMS Press, New York
[10]
법령
The Criminal Justice Act 1988 (Offensive Weapons) Order 1988
http://www.legislati[...]
[11]
서적
Regulations Prescribing Certain Firearms and other Weapons, Components and Parts of Weapons, Accessories, Cartridge Magazines, Ammunition and Projectiles as Prohibited or Restricted (SOR/98-462)
2007-05-29
[12]
웹사이트
Information archivée dans le Web
https://publications[...]
2024-03-10
[13]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justice.i[...]
2019-01-25
[14]
웹사이트
Electronic Irish Statute Book (EISB)
http://www.irishstat[...]
[15]
웹사이트
CA Penal Code §20010
http://www.leginfo.c[...]
2016-03-07
[16]
웹사이트
Legal and Safety Notices.
http://usblowgun.com[...]
[17]
논문
Further Information on the Geography of the Blowgun and Its Implications for Early Transoceanic Contacts
1991
[18]
논문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South American Blowgun Types
1948
[19]
서적
Amazonian Ethnobotanical Dictionary
CRC Press
[20]
서적
The headman was a woman : the gender egalitarian Batek of Malaysia
Waveland Press
2008
[21]
서적
Blowgun Techniques: The Definitive Guide to Modern and Traditional Blowgun Techniques
Tuttle Publishing
2012-04-17
[22]
뉴스
Sumpit: The Filipino blowgun
https://www.manilati[...]
2021-01-31
[23]
서적
137億年の物語 宇宙が始まってから今日までの全歴史
文芸春秋
[24]
웹사이트
“最初の日本人” その「親戚」がタイの密林にいた
https://www3.nhk.or.[...]
2023-12-07
[25]
서적
角川古語辞典 改訂版
角川書店
[26]
서적
毒薬の手帖
河出書房新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