쿡스하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쿡스하펜은 독일 니더작센주 북단에 위치한 도시로, 역사적으로 함부르크의 일부였다가 도시 지위를 얻었다. 엘베강 하구에 위치하여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관광과 어업, 해상 풍력 발전 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주요 건축물로는 알테 리베, 쿠겔바케, 여러 교회 등이 있으며, 1900년에 건설된 대규모 여객선 터미널은 독일 및 유럽 이민자들의 주요 출발지였다. 쿡스하펜은 5개의 자매 도시와 여러 우호 도시를 맺고 있으며, 관광, 해상 교통, 풍력 발전, 어업 등 다양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해수욕장 - 자스니츠
자스니츠는 독일 뤼겐 섬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백악 절벽과 관광 명소, 무크란 페리 항구를 통해 스웨덴 등 발트해 연안 국가로 연결되며, 1957년 도시 지위를 얻었다. - 독일의 해수욕장 - 에케른푀르데
에케른푀르데는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 위치한 도시로, 역사적으로 덴마크의 영향을 받았으며, 킬-플렌스부르크 철도와 연결되고 어업, 해군 잠수함 기지 등으로 알려져 있다. - 하노버주 - 괴팅겐
괴팅겐은 독일 니더작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1737년 괴팅겐 대학교가 설립되어 학문의 도시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연구 기관과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 하노버주 - 뤼네부르크
독일 니더작센주에 있는 뤼네부르크는 제염업으로 한자 동맹 도시로 번성했던 역사를 지닌 도시로, 구시가지 보존과 뤼네부르크 석남지 인접으로 관광지로 알려져 있으며, 지반 침하 현상과 뤼네부르크 대학교가 특징이다. - 독일의 항구 도시 -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은 독일 헤센주에 있는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유럽중앙은행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거지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을 거쳐 유럽 최대의 고층빌딩 도시이자 국제적인 교통 허브로 성장한 다문화 도시이다. - 독일의 항구 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쿡스하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독일어 이름 | Cuxhaven |
저지 독일어 이름 | Cuxhoben |
위치 | 니더작센주 |
군 | 쿠스하펜 군 |
면적 | 161.91km² |
해발 고도 | 2m |
행정 | |
시장 | 우베 잔트여 |
시장 임기 | 2019–2024 |
시장 직함 | 시장 |
일반 정보 | |
우편 번호 | 27472, 27474, 27476, 27478 |
지역 번호 | 04721-04724 |
차량 번호판 | CUX |
지방 자치체 코드 | 03 3 52 011 |
웹사이트 | www.cuxhaven.de |
추가 정보 | |
지리 | 14km |
거리 | 7km |
2. 역사
오늘날 쿡스하펜의 일부인 리체뷔텔은 한때 작센 공국의 월경지였고, 1260년에 작센-라우엔부르크 공국이 1296년에 실질적인 왕조 분할을 거친 후 지배했다. 1394년 함부르크시는 리체뷔텔 요새를 정복하여 도시와 바다를 연결하는 엘베강 하구의 보호를 위한 거점으로 삼았다.[3]
1900년 함부르크 아메리카 라인은 쿡스하펜에 대규모 여객선 터미널을 건설했다. 이 터미널은 전용 철도 노선과 역을 통해 함부르크와 직접 연결되었으며, 1969년 여객선 여행이 중단될 때까지 독일 및 유럽 이민자의 주요 출발지 역할을 했다. 화려한 조립 홀과 부속 건물은 전쟁 피해와 평시 도시 재개발에서 살아남아 1998년에 박물관 및 크루즈선 터미널로 사용하기 위해 복원되었다.[3]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쿡스하펜 남쪽 노르트홀츠 인근에 있는 노르트홀츠 해군 항공기지와 그 비행선 격납고는 주요 독일 제국 해군 비행선 기지 중 하나였다. 1914년 크리스마스에 영국 해군 수상기가 쿡스하펜 공습으로 공격했다. 이후 독일 당국과 민간인들이 연합군의 침공 장소가 될 것이라고 두려워하면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도시는 로켓 공학을 포함한 실험적 무기 개발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코드명 BROWN인 베르마흐트 라디오 네트워크 기지를 주최했다. 이 위치에서 전쟁의 마지막 에니그마 암호화 메시지가 1945년 5월 7일에 전송되었다. 그것은 영국군의 도착을 보고하고 "영원히 닫습니다 - 모든 최고 - 안녕"으로 끝맺었다.[5]
1945년에서 1964년 사이에 헤르만-오버트-게젤샤프트는 쿡스하펜 근처에서 다양한 민간 로켓 공학 실험을 수행했다.
1907년 3월 15일 쿡스하펜은 함부르크 주 내에서 도시 지위를 얻었다. 1937년 대(大) 함부르크 법에 의해 쿡스하펜은 프로이센 하노버 주 내 스타데 지역의 도시 자치구가 되었다. 1972년에는 인근 시골 지역인 ''하델른 지역''의 일부 자치체가 쿡스하펜 도시 자치구에 편입되었다. 1977년 쿡스하펜은 도시 자치구 지위를 잃고 새로운 시골 쿡스하펜 군에 통합되어 그 수도가 되었다.
2. 1. 지명 유래
쿡스하펜(Cuxhaven)이라는 지명은 전통적으로 저지 독일어 단어 'koog' ('제방으로 둘러싸인 토지'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그러나 이 지역의 오래된 표기를 보면 1570년에는 'Kuckshafen', 1577년에는 'Kukeshaven', 1594년에는 'Kuxhaven'으로 나타나며, 1700년경에 이르러서야 'Koogshaven'이라는 표기가 등장한다.이러한 '-u-'나 '-k-'의 변화는 일반적이지 않다. 따라서 지명의 앞부분은 인도유럽어 '*gug-' ('구, 등, 구릉'을 뜻함)에서 파생된 게르만어 '*kuk-'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는 충적 평야가 융기된 지형적 특징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지명의 뒷부분 역시 'Hafen' ('항구'를 뜻함)에서 유래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중저 독일어의 "hove" ('농장, 정원, 울타리'를 뜻함) 또는 'hāge(n)' ('둘러싸인 토지'를 뜻함)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13]
2. 2. 중세
오늘날 쿡스하펜의 일부인 리체뷔텔은 한때 작센 공국의 월경지였고, 1296년에 작센-라우엔부르크 공국이 실질적인 왕조 분할을 거친 후 지배했다. 1394년 함부르크시는 리체뷔텔 요새를 정복하여 도시와 바다를 연결하는 엘베강 하구의 보호를 위한 거점으로 삼았다.[3]1394년, 라페(Rappe)가는 리체뷔텔 성을 함부르크에 양도했다. 그 후 수 세기 동안 리체뷔텔은 함부르크의 해적 소탕 거점이자 피난항이었다. 1530년과 1570년에 두 개의 간척지가 제방으로 둘러싸였다. 이 토지는 17세기에 확장되었으나, 엘베강의 범람으로 1785년까지 완전히 수몰되었다.
2. 3. 함부르크 편입과 발전
1394년 함부르크시가 리체뷔텔 요새를 정복하여 도시와 바다를 연결하는 엘베강 하구 보호를 위한 거점으로 삼았다.[3] 함부르크 아메리카 라인은 1900년 쿠크스하펜에 대규모 여객선 터미널을 건설했다. 전용 철도 노선과 역을 통해 함부르크와 직접 연결되었으며, 1969년 여객선 여행이 중단될 때까지 독일 및 유럽 이민자의 주요 출발지 역할을 했다. 화려한 조립 홀과 부속 건물은 전쟁 피해와 평시 도시 재개발에서 살아남아 1998년에 박물관 및 크루즈선 터미널로 사용하기 위해 복원되었다.[3]1907년 3월 15일 쿠크스하펜은 함부르크 주 내에서 도시 지위를 얻었다. 1937년 대(大) 함부르크 법에 의해 쿠크스하펜은 프로이센 하노버 주 내 스타데 지역의 도시 자치구가 되었다. 1972년에는 인근 시골 지역인 ''하델른 지역''의 일부 자치체가 쿠크스하펜 도시 자치구에 편입되었다. 1977년 쿠크스하펜은 도시 자치구 지위를 잃고 새로운 시골 쿠크스하펜 군에 통합되어 그 수도가 되었다.
2. 4. 도시 권한 획득과 세계 대전
1907년 3월 15일, 쿠크스하펜은 함부르크 주 내에서 도시 지위를 획득했다.[3] 1905년 데제와의 합병으로 인구는 1만 명을 넘었다. 1924년 1월 2일 함부르크 도시법 발효에 따라 쿠크스하펜은 리츠뷔텔에서 분리되어 함부르크, 게스탁트, 베르게도르프와 함께 함부르크 주의 독립 도시가 되었다.[14]제1차 세계 대전 중 1914년 12월 25일, 임시 항공모함에서 출격한 영국 비행 부대는 영국 해군의 지원을 받아 쿠크스하펜 해군 기지 및 노르트홀츠 항공 기지의 비행선, 격납고를 공격했다. 이 공격은 "쿠크스하펜 공습"(또는 크리스마스 공격)으로 불린다.[4] 악천후와 사전 탐지 및 방어 덕분에 피해는 미미했다. 이 공습은 역사상 최초로 해상에서 출격한 항공기에 의한 항만 공습이었으며, 후일의 타란토 공습이나 진주만 공격으로 이어지는 획기적인 작전이었다.
1937년 대(大) 함부르크 법에 따라 쿠크스하펜은 함부르크에서 프로이센 왕국 하노버 주(하노버 주)로 이관되었다.[15] 다만 함부르크에는 항구에 관한 몇 가지 권리가 유보되었다. 이 때문에 아메리카 항구와 슈토이벤헤프트(부두)는 쿠크스하펜 시역 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1993년 1월 1일까지 함부르크 소유였다. 현재도 함부르크 수상 경찰의 관할 감시소가 쿠크스하펜에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도시는 로켓 공학을 포함한 실험적 무기 개발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코드명 BROWN인 베르마흐트 라디오 네트워크 기지를 주최했다. 이 위치에서 전쟁의 마지막 에니그마 암호화 메시지가 1945년 5월 7일에 전송되었다. 메시지는 영국군의 도착을 보고하고 "영원히 닫습니다 - 모든 최고 - 안녕"으로 끝맺었다.[5]
2. 5. 나치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쿡스하펜에는 코드명 BROWN인 베르마흐트 라디오 네트워크 기지가 있었다. 이 기지는 로켓 공학 등 실험적 무기 개발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했다. 전쟁 막바지인 1945년 5월 7일, 이곳에서 마지막 에니그마 암호화 메시지가 전송되었다. 이 메시지는 영국군의 도착을 알리며 "영원히 닫습니다 - 모든 최고 - 안녕"이라는 말로 끝을 맺었다.[5]2. 6. 전후 발전과 로켓 실험
1945년부터 1964년까지 헤르만-오버트-게젤샤프트는 쿠크스하펜 근처에서 다양한 민간 로켓 공학 실험을 수행했다.[5]2. 7. 행정 구역 변천
1872년 12월 4일, 리체뷔텔과 항구 마을 쿡스하펜이 합병하여 함부르크 소속의 항구 도시 쿡스하펜이 되었다.[14] 1905년에는 데제가 합병되었고, 1907년 3월 15일 도시 권한을 부여받았다.[15]1935년 3월 1일, 그로덴, 베스터비쉬, 쥐더비쉬, 슈티켄뷔텔, 두넨, 노이베르크 섬, 샤르호른이 쿡스하펜에 합병되었다. 1970년 6월 1일에는 홀테-슈팡엔과 잘렌부르크, 1971년 2월 1일에는 베렌슈-아렌슈, 1972년 7월 1일에는 알텐부르흐, 알텐발데, 뤼딩보르트가 쿡스하펜에 합병되었다. 이들 구 마을은 모두 란트 하델른 구에서 이관되었다.
1937년 대(大) 함부르크 법에 따라 쿡스하펜은 함부르크에서 프로이센 하노버 주 내 스타데 지역의 도시 자치구가 되었다.[15] 1972년에는 인근 시골 지역인 ''하델른 지역''의 일부 자치체가 쿡스하펜 도시 자치구에 편입되었다. 1977년 쿡스하펜은 도시 자치구 지위를 잃고 새롭게 창설된 쿡스하펜 군에 통합되어 그 수도가 되었다.
3. 지리
이 도시는 쿠스하펜역에서 역무를 제공받는다.
프리드리히-클레멘스-게르케 타워는 쿠스하펜의 현대적인 랜드마크로 콘크리트로 건설된 통신탑이지만, 일반인은 접근할 수 없다. 독일의 많은 도시에 이와 유사한 타워가 있어 랜드마크라고 하기 어렵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고농도 과산화수소(HTP) 잠수함 ''U1407''이 쿠스하펜에서 자침된 곳에서 인양되어 영국에서 HMS ''Meteorite''로 재취역했다. 이 잠수함은 공기 불요 추진 잠수함인 212형 및 214형과 같은 독일산 잠수함 시리즈의 촉매가 되었다.[16]
3. 1. 위치
쿡스하펜은 니더작센주의 북단에 위치하며, 두 면이 물에 둘러싸여 있다. 데제 지구에는 니더작센 주 최북단 지점이 있다. 이러한 지리적 조건은 이 도시의 관광에 특별한 매력을 부여하지만, 배후지와의 경제적 관계에 관해서는 특별한 문제도 야기한다.시내 최고 지점은 "알텐발더 헤에"(37.5m)이다.
3. 2. 지형
노이에르크 섬은 쿡스하펜에서 8km 떨어진 해안에 위치해 있다. 썰물 때는 물이 해안에서 멀리 물러나 섬까지 갯벌 하이킹이나 말 마차를 이용하여 도달할 수 있다.3. 3. 구성
쿠크스하펜 중핵부 | 기타 지역 |
---|---|
노이에르크 섬은 쿠스하펜에서 8km 떨어진 해안에 위치해 있다. 썰물 때는 물이 해안에서 멀리 물러나 섬까지 갯벌 하이킹이나 말 마차를 이용하여 도달할 수 있다.
쿠크스하펜의 현대적인 랜드마크는 콘크리트로 건설된 통신탑인 프리드리히-클레멘스-게르케 타워인데, 일반인은 접근할 수 없다.
4. 기후
쿡스하펜은 해양성 기후(쾨펜: ''Cfb''; 트레와타: ''Dobk'')를 보이며, 발트해 연안에 위치해 겨울에는 비교적 따뜻하고 여름에는 서늘한 편이다.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기온 및 강수량, 1946년부터 현재까지의 극값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월 | 최고 기온 (℃) | 평균 최고 기온 (℃) | 평균 기온 (℃) | 평균 최저 기온 (℃) | 최저 기온 (℃) | 강수량 (mm) | 강수 일수 | 적설량 (cm) | 적설 일수 | 습도 (%) | 일조 시간 |
---|---|---|---|---|---|---|---|---|---|---|---|
1월 | 14.4°C | 10.5°C | 2.7°C | 0.7°C | -15.7°C | 69.1mm | 18.6 | 2.8cm | 3.6 | 86.9 | 47.3 |
2월 | 17.5°C | 10.6°C | 2.9°C | 0.8°C | -18.2°C | 53.1mm | 15.6 | 3.3cm | 4.3 | 84.4 | 71.7 |
3월 | 22.4°C | 15.5°C | 5°C | 2.5°C | -13.3°C | 48.4mm | 15.5 | 2.6cm | 1.9 | 81.2 | 131.4 |
4월 | 28°C | 20.4°C | 8.8°C | 5.8°C | -2.6°C | 36.8mm | 13.1 | 0.1cm | 0.1 | 76.7 | 192.5 |
5월 | 31.3°C | 24.2°C | 12.6°C | 9.6°C | 0.5°C | 52.1mm | 13.7 | 0 | 0 | 75.2 | 233.1 |
6월 | 33.8°C | 27.9°C | 15.7°C | 12.7°C | 4.2°C | 77.1mm | 15.0 | 0 | 0 | 75.4 | 218.1 |
7월 | 35.9°C | 29°C | 18°C | 15.1°C | 7.2°C | 84.8mm | 16.1 | 0 | 0 | 75.9 | 229.8 |
8월 | 36.3°C | 29.6°C | 18.2°C | 15.2°C | 7.6°C | 90.6mm | 16.8 | 0 | 0 | 75.8 | 211.3 |
9월 | 31.4°C | 24.4°C | 15.1°C | 12.4°C | 3.3°C | 80.8mm | 15.9 | 0 | 0 | 78.5 | 157.3 |
10월 | 25.6°C | 19.2°C | 10.9°C | 8.4°C | -2.4°C | 84.2mm | 17.7 | 0 | 0 | 82.3 | 108.8 |
11월 | 19.4°C | 14.1°C | 6.5°C | 4.5°C | -7.9°C | 71.5mm | 18.9 | 0.3cm | 0.4 | 86.5 | 53.6 |
12월 | 14.5°C | 11.1°C | 3.6°C | 1.7°C | -15.1°C | 77.8mm | 19.0 | 2.5cm | 3.0 | 87.9 | 37.3 |
연간 | 36.3°C | 31.6°C | 10°C | 7.4°C | -18.2°C | 824.4mm | 193.6 | 6.7cm | 15.0 | 80.5 | 1698.5 |
5. 행정
쿡스하펜 시의회는 4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23] 이는 인구 40,001명에서 50,000명 사이의 자치단체에 해당하는 의원 정수이다.[24] 의원은 5년마다 주민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25] 수석 시장인 울리히 겝취도 시의회에서 투표권을 갖는다.
2019년 11월 1일부터 SPD 소속의 우베 잔티어가 울리히 게츠의 뒤를 이어 쿡스하펜의 상급 시장을 맡고 있다.[26] 잔티어는 2019년 5월 26일 선거에서 51%의 지지율로 당선되었다.[27]
쿡스하펜시는 1912년 12월 20일부터 공식 문장을 가지고 있다. 이 문장은 1913년 1월 28일 리체뷔텔의 란트헤르[28]에서 함부르크 참사회원 에밀 뭄센에 의해 수여되었다. 문장은 금색 바탕에 검은색 쿠겔바케가 그려져 있으며, 그 다리는 물로 씻겨져 있다. 문장 위에는 3개의 흉벽으로 이루어진 성벽관을 가지고 있다.[29]
쿡스하펜 시의 깃발은 긴 변과 평행하게 흰색과 적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그 중앙에는 시의 문장이 그려져 있다. 시의 색상은 흰색-적색이다.[29]
쿡스하펜은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6]
국가 | 도시 | 체결년도 |
---|---|---|
Deutschland|독일de | 빈츠 | 1990년 |
Ísland|아이슬란드is | 하프나르피외르뒤르 | 1988년 |
England|잉글랜드영어 | 펜잔스 | 1967년–1974년, 2009년–현재 |
Deutschland|독일de | 자스니츠 | 1990년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반 | 1963년 |
1987년부터 그린란드의 중심 도시 누크와 자매 도시 협정을 맺었지만, 누크의 지역/행정 개혁으로 인해 이 자매 협정은 종결되었다.[31]
쿡스하펜은 다음 도시와 우호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30]
국가 | 도시 | 주/현 | 체결년도 |
---|---|---|---|
Polska|폴란드pl | 피와 | 비엘코폴스카주 | 1996년 |
Россия|러시아ru | 무르만스크 | 무르만스크주 | 2004년 |
España|스페인es | 빌라노바 데 아로사 | 갈리시아주 | 2001년 |
Portugal|포르투갈pt | Ílhavo|일리야부pt | 아베이루현 | 2002년 |
5. 1. 시의회
쿡스하펜 시의회는 4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23] 이는 인구 40,001명에서 50,000명 사이의 자치단체에 해당하는 의원 정수이다.[24] 의원은 5년마다 주민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25]이 외에 수석 시장인 울리히 겝취가 시의회에서 투표권을 갖는다.
5. 2. 시장
2019년 11월 1일부터 SPD 소속의 우베 잔티어가 울리히 게츠의 뒤를 이어 쿡스하펜의 상급 시장을 맡고 있다.[26] 잔티어는 2019년 5월 26일 선거에서 51%의 지지율로 당선되었다.[27]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쿡스하펜의 시장 및 상급 시장 목록은 다음과 같다.
재임 기간 | 이름 | 정당 |
---|---|---|
1945년 - 1946년 | 카를 슈톨테 | FDP |
1946년 - 1952년 | 카를 올파스 | SPD |
1952년 - 1956년 | 하인츠 바흐텐도르프 | 무소속 |
1956년 | 브루노 듀게 | 쿠스하페너 공동체 및 FDP |
1956년 - 1966년 | 카를 올파스 | SPD |
1966년 - 1967년 | 하인츠 디스텔 | SPD |
1967년 - 1968년 | 베르너 칸만 | SPD |
1968년 - 1972년 | 한스-요아힘 베게너 | CDU |
1972년 - 1976년 | 베르너 칸만 | SPD |
1981년 - 1996년 | 알프레히트 할텐 | CDU |
1996년 - 2000년 | 한스-하인리히 아이러스 | SPD |
2000년 - 2005년 | 헬무트 하이네 | 무소속 |
2005년 - 2011년 | 아르노 슈타바트 | CDU |
2011년 - 2019년 | 울리히 게츠 | 무소속 |
2019년 - 현재 | 우베 잔티어 | SPD |
5. 3. 문장
쿡스하펜시는 1912년 12월 20일부터 공식 문장을 가지고 있다. 이 문장은 1913년 1월 28일 리체뷔텔의 란트헤르[28]에서 함부르크 참사회원 에밀 뭄센에 의해 수여되었다.문장의 도안은 금색 바탕에 검은색 쿠겔바케가 그려져 있으며, 그 다리는 물로 씻겨져 있다. 문장 위에는 3개의 흉벽으로 이루어진 성벽관을 가지고 있다.[29]
본 시의 문장은 지명에서 유래한 문장으로, 상징적인 건축물인 쿠겔바케를 그리고 있다. 쿠겔바케는 그 영예에 걸맞는 것이다. 하우프트만 슈파니거는 1733년에 이미 "리체뷔텔의 대부분이 파도에 의해 빼앗기더라도 쿠겔바케는 무조건 보호되어야 한다. 쿠겔바케 이상으로 쿡스하펜 시를 상징하는 것이 있을까"라고 말했다.
5. 4. 깃발
쿡스하펜 시의 깃발은 긴 변과 평행하게 흰색과 적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그 중앙에는 시의 문장이 그려져 있다. 시의 색상은 흰색-적색이다[29].5. 5. 자매 도시
쿡스하펜은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6]국가 | 도시 | 체결년도 |
---|---|---|
Deutschland|독일de | 빈츠 | 1990년 |
Ísland|아이슬란드is | 하프나르피외르뒤르 | 1988년 |
England|잉글랜드영어 | 펜잔스 | 1967년–1974년, 2009년–현재 |
Deutschland|독일de | 자스니츠 | 1990년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반 | 1963년 |
1987년부터 그린란드의 중심 도시 누크와 자매 도시 협정을 맺었지만, 누크의 지역/행정 개혁으로 인해 이 자매 협정은 종결되었다.[31]
5. 6. 우호 도시
쿡스하펜은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30]국가 | 도시 | 주/현 | 체결년도 |
---|---|---|---|
Polska|폴란드pl | 피와 | 비엘코폴스카주 | 1996년 |
Россия|러시아ru | 무르만스크 | 무르만스크주 | 2004년 |
España|스페인es | 빌라노바 데 아로사 | 갈리시아주 | 2001년 |
Portugal|포르투갈pt | Ílhavo|일리야부pt | 아베이루현 | 2002년 |
6. 문화와 관광
1816년 쿡스하펜에 해변 리조트가 설립되면서 관광 산업이 시작되었다. 1964년부터 쿡스하펜은 국가 공인 기후 해변 리조트(Seeheilbadde)이자 쿡스란트 휴가 지역의 중심지가 되었다.[33]
쿡스하펜에서는 매년 다양한 행사가 개최된다.
- 쿡스하펜 항구의 날 - 구 어항
- "해변의 여름 밤" - 그린마르스헬른부프트 - 쇼 프로그램 및 불꽃놀이
- 뒤네르 갯벌 레이스
- 샹티콜 페스티벌
- "비치=이벤츠" (스포츠 이벤트)
- 쿡스하펜 중세 스펙터클 - 쿠겔바케 요새
- 다이히브란트 - 해변 록 페스티벌
- "슈파르카센 시티 마라톤 쿡스하펜"
- 슈테르테베커 야외 극장 - 쿠겔바케 요새
- "FluHaRe" 쿡스하펜/노르트홀츠 공항 레이스 (9월 둘째 주말)
2005년부터 매년 쿡스하펜에서 록 페스티벌 "다이히브란트"가 개최되고 있다. 쿡스하펜 샹티 코러스, 쿡스하펜 로첸 코러스, 졸른보르거 뷔트페더, 제만스콜 엘베 1 등 모든 합창단은 하계에 정기적으로 쿠어 콘서트에 출연하고 있다.
6. 1. 주요 건축물
- '''알테 리베''' (엘베강의 프로메나데)
- '''리체뷔텔 성'''

- '''쿠겔바케''' (쿠크스하펜의 상징적 건축물)
- '''고분 "토르벨크"''' (두넨 근교)
- '''Ringwall|환상 토루de "암 키르히호프"''' (두넨 근교)
- '''청동기 시대 분묘에 만들어진 모트 앤 베일리 "갈겐베르크"''' (잘렌부르크 근교)
- '''분구묘 "슈팡거 베르크"''' (잘렌부르크 근교)
- '''토루 시설 "부르크 바이 알텐발데"'''
- '''분구묘''' (구덴도르프 근교)
- '''함부르크 등대'''

- '''유대인 묘지'''
- '''성 니콜라이 교회''' (알텐브루흐 소재): 13세기에 로마네스크 양식의 거친 돌로 지어졌고, 1727년에 벽돌로 재건되었다. 15세기 고딕 양식 제단, 1710년 내진, 1650년경 위르겐 하이트만의 세례반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이 있다. 500년 이상 된 오르간은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것 중 하나로, 1497/98년 요하네스 코키가 기초를 닦고 1727/28년 요한 힌리히 클라프마이어가 개조했다.

- '''엠마우스 교회''' (중핵 시가지, 복음주의)
- '''예수 성심 교회''' (중핵 시가지): 1900년에 성 미하엘 교회로 건설된 네오 고딕 양식의 로마 가톨릭 교회이다. 1924년까지 가톨릭 병영 교회였다.

- '''성 마리엔 교회''' (중핵 시가지, 로마 가톨릭 교구 교회): 1964년에 건설되었다.
- '''성 페트리 교회''' (중핵 시가지, 복음주의 발트해 양식 네오 고딕 교회): 1911년에 해군 병영 교회로 완성되었고, 1948년에 교구 교회가 되었다.
- '''성 게르트루드 교회''' (데제, 복음주의, 네오 고딕 양식, 단랑식 벽돌 교회): 1886년에 건설되었으며, 1452년 문헌에 기록된 예배당이 1534년 성 게르트루드의 이름을 딴 교회로 개축되었다가 1866년에 철거된 후 새로 지어졌다. 오르간은 1887년, 새로운 교회 탑은 1965년에 건립되었다.
- '''성 아분두스 교회''' (글로덴, 복음주의): 1200년경 거친 돌로 건설된 Saalkirche|잘키르헤de이다. 1868년에 벽돌로 지어진 다각형 내진이 건설되었다. 1640년 제단 장식벽과 1688년 다각형 강단, 17세기부터 19세기의 봉헌화 및 성직자 초상, 16세기부터 18세기의 묘석이 남아 있다.
- '''성 야코비 교회''' (뤼딩보르트): 1200년 이전에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거친 돌을 사용하여 건설되었다. 1609년에 내진실이 완성되었고, 17세기에 벽돌 탑이 증축되었다. 1420년부터 1430년에 제작된 고딕 양식의 날개 제단, 1665년 주 제단의 제단화, 1607년 강단 등이 있다. 1598/99년 안토니우스 빌데가 제작한 오르간은 1682/83년 알프 슈니트거와 안드레아스 베버가 개조하여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다.

- '''마르틴스 교회''' (리체뷔텔): 1816년부터 1819년에 고전주의 양식으로 건설되었다. 제단의 십자가는 유대교회의 대표자 사무엘 프리틀랜더가 제작하여 기독교와 유대교의 공존을 나타낸다[34]。
- '''성 요하네스 교회''' (자렌부르크, 복음주의)
- '''은혜 교회''' (쥐더비슈, 복음주의): 1961년에 건설되었고, 2008년에 증축되었다.
- '''세마포''' (항구): 1884년부터 북해를 항해하는 선박에 풍향과 풍력을 알려주는 腕木式風向信号機(완목식 풍향 신호기) "B/H"이다.

- '''수도탑''' (켄멜라르 광장과 역 사이): 1897년에 건설되어 2004년까지 쿠크스하펜 가정에 물을 공급했다. 2013년부터 개인 소유가 되었다.
- '''프리드리히 클레멘스 겝케 탑''': 1991년에 건설된 높이 230m의 텔레콤 통신탑으로, FPU, 이동 통신, DVB-T, DAB 방송에 사용된다.

- '''홀터 회에 송신탑''': 1959년부터 1961년까지 건설된 초단파 송신탑으로, 1963년 ZDF 텔레비전 방송용 안테나가 설치되어 높이 119m가 되었다. 1977년 북독일 방송이 인수하여 텔레비전 및 라디오 프로그램 송신소로 사용하고 있다.
- '''수로·선박 교통국(WSA) 방송탑''' (항만 지구): 높이 120m의 트러스 건축물로, 항로 표지, 난파선 위치 정보 등을 전달한다[35]。
- '''오스트리아 전쟁 묘지 리체뷔텔''': 1864년 헬골란트 해전에서 전사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군 병사 51명이 잠들어 있다.
- '''"걸림돌"'''[36] (시가지)
6. 2. 박물관

- 「빈트슈테르케 10 - 폐선 및 쿠크스하펜 어업 박물관」은 어항의 생선을 하역하는 부두의 역사적인 환경에 있다. 총면적 4000m2에 해상 항해의 도전과 위험이 전시되어 있다. 대규모 원양 트롤 어선단의 아이슬란드 어획 등을 예로 들어, 선실의 좁음, 통신실에서의 암호 해독, 어선에서의 중노동과 그에 따른 수많은 위험을 보여준다. "지속 가능한 어업"과 같은 주제도 다룬다. 또한 해난 구조, 북해와 엘베강에서의 난파선 수색,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특별 전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어업 관련 전시로는 어획 자체와 그 이후의 생선 가공을 다룬다. 어획은 최소의 통나무 배를 사용한 소규모 커터 어업부터 원양 선단의 원양 어업까지 그 역사를 보여준다. 이 박물관은 어업 기지로서 쿠크스하펜의 번영과 쇠퇴, 어부와 파일럿의 연관성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41]
- 슈나이데뮐러 향토실은 Hinterpommern영어의 슈나이데뮐러 시(현재 피와) 관련 문물을 전시한다.
- 시립 박물관은 리츠뷔텔의 수운, 항만 및 민병대 역사와 19세기 시민 문화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독일 제국 해군부터 현재 독일 연방군까지 시대 흐름을 따라갈 수 있다.
- 알텐브루흐의 U보트 아카이브에는 U보트 건조 역사 관련 사진, 문헌, 전시품이 있다.
- 쿠크스하펜 예술 협회는 규약에 따라 수준 높은 현대 비주얼 아트의 개발, 전시, 위탁 및 중개를 하고 있다.
6. 3. 자연
- 바덴해
- 사빈과 초원
- 알텐발데 황무지
- 알텐발데 시민 공원
- 알텐브루흐 시민 공원
- 쿠어파르크
- 성관 공원
- 브로케스발데
- 쿡스하펜 앞쪽에 펼쳐진 갯벌은 함부르크 바덴해 국립공원 및 니더작센 바덴해 국립공원에 속한다. 또한 유네스코-세계유산 "바덴해"의 일부이다.[37] 그 중 도보로 갈 수 있는 장소의 대부분은 휴양 구역(구역 III)에 속한다. 두넨과 자알렌부르크 사이의 염습지 "두너 안바하스"는 안식 구역(구역 I[38])이며, 검은머리갈매기, 붉은발도요, 재갈매기 및 소수이지만 흰목물떼새의 부화지이며, 수백 마리의 알락꼬리마도요가 서식하고 있다.
- 두너 하이데는 해안가를 따라 볼 수 있는 검은사초가 자라는 황무지이며, 허브 향이 나는 서양검은사초와 Englischer Ginster|en|Genista anglica|label=빗자루국de가 생육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쿡스하펜의 베르너발트는 Sankt Peter-Ording|en|Sankt Peter-Ording|label=장크트페터오르딩de을 제외하면 독일에서 유일하게 북해 해안에 직접 면해 있는 삼림이다. 아렌슈-자알렌부르크 숲길 바로 서쪽에 U자형의 웅덩이가 있는데, 이는 Operation Backfire|en|Operation Backfire (World War II)|label=백파이어 작전de의 로켓 발사대를 철거하면서 생긴 것이다.
- 알텐발트의 황무지
6. 4. 행사
쿡스하펜에서는 매년 다양한 행사가 개최된다.- 쿠크스하펜 항구의 날 - 구 어항
- "해변의 여름 밤" - 그린마르스헬른부프트 - 쇼 프로그램 및 불꽃놀이가 열린다.
- 뒤네르 갯벌 레이스
- 샹티콜 페스티벌
- "비치=이벤츠" (스포츠 이벤트 항목 참조)
- 쿠크스하펜 중세 스펙터클 - 쿠겔바케 요새
- 다이히브란트 - 해변 록 페스티벌
- "슈파르카센 시티 마라톤 쿠크스하펜"
- 슈테르테베커 야외 극장 - 쿠겔바케 요새
- "FluHaRe" 쿠크스하펜/노르트홀츠 공항 레이스, 9월 둘째 주말
2005년부터 매년 쿡스하펜에서 록 페스티벌 "다이히브란트"가 개최되고 있다. 쿡스하펜 샹티 코러스, 쿡스하펜 로첸 코러스, 졸른보르거 뷔트페더, 제만스콜 엘베 1 등 모든 합창단은 하계에 정기적으로 쿠어 콘서트에 출연하고 있다.
6. 5. 스포츠
요헨 프라아츠(1963년 출생)는 핸드볼 선수이자 국가대표팀 선수로, 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군나르 자우어(1964년 출생)는 축구 선수로 303경기에 출전했다. 레나 페터만(1994년 출생)은 축구 선수로 170경기 이상 출전했으며, 독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22경기에 출전했다.쿡스하펜에는 다음과 같은 스포츠 시설이 있다.
시설명 | 설명 |
---|---|
슈타디온 캄프반 | 관람석 6,000석 |
헤르만-알마스-할레 | 헤르만-알마스 거리 양쪽에 위치 |
슈타디온 슈트리히베크 | |
그로데너 슐레 앞 스포츠 광장 | |
베토벤 알레 실내 수영장 | |
베토벤 알레 원형 체육관 | |
아벤트로트 슐레 체육관 | |
브라이켄 슐레 체육관 | |
뤼딩볼트 슐레 체육관 | |
쥐더비슈 슐레 체육관 | |
VGH 슈타디온 암 메어 | 센터 코트 |
2011년까지 매년 여름 "EWE 육상 경기"가 개최되어 세계 챔피언, 독일 챔피언 등이 쿡스하펜에서 결정되었다. 2007년부터는 매년 3월 마지막 주 또는 4월 첫째 주 주말에 슈파르카세 시티 마라톤 쿡스하펜이 개최된다. 켐멜라어 광장이 출발점과 결승점이며, 마라톤 외에도 하프 마라톤, 10km 코스, 어린이용 코스가 마련되어 있다.
"비치 이벤트"도 잘 알려져 있다. 주말마다 비치 발리볼, 축구, 핸드볼, 농구, 럭비 등 다양한 스포츠 종목이 번갈아 진행된다. 몇 년 전부터는 쿡스하펜에서 비치 발리볼 및 비치 핸드볼 독일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06년에는 유럽 선수권 대회도 개최되었다. 모든 스포츠 종목은 센터 코트 및 해안의 9개의 스포츠 필드 "슈타디온 암 메어"에서 개최된다.
쿡스하펜의 스포츠 클럽은 다음과 같다.
- SV 로트-바이스 쿡스하펜(Rot-Weiß Cuxhaven): 1990년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로이트바인 거리 1번지에 위치한다. 모체였던 쿡스하페너 SV(Cuxhavener SV)와 아인트라흐트 쿡스하펜(Eintracht Cuxhaven)은 1960년대에 지역을 넘어 활약했다. 경기장은 캄프반(Kampfbahn)이다.
- 로트-바이스 쿡스하펜 농구(Rot-Weiß Cuxhaven Basketball)
- 스포츠 클럽 슈바르츠-바이스 쿡스하펜(Sport-Club Schwarz-Weiß Cuxhaven): 펠트베크 66/68
- SV 블라우-겔프 쿡스하펜 폰 1934(SV Blau-Gelb Cuxhaven von 1934)
- 스포츠 클럽 SGG 인 쿡스하펜(Sport-Club SGG in Cuxhaven)
- 슈빔클럽 넵튠 쿡스하펜(Schwimmclub Neptun Cuxhaven) (수영 클럽)
- 쿡스하펜의 케겔 클럽과 미니 골프 클럽은 분데스리가 1부에서 활동하고 있다.
- 트란스-오션(Trans-Ocean (TO)): 반호프 거리
쿡스하펜에서는 100년 이상 전부터 여름(7월/8월) 일요일의 간조 시에 기마 경주인 "도르너 갯벌 경주"가 개최된다. 이 이벤트에는 3만 명에서 4만 명이 구경하러 온다. 경주는 낙하산 강하, 해군 제3항공전대 그라프 체펠린(MFG 3)의 상공 비행, 니더작센 주 체레 종마 사육장에서의 종마 프레젠테이션 등 다채로운 이벤트 프로그램을 동반한다.
7. 경제와 사회 기반 시설
쿡스하펜은 엘베강 하구에 위치하여 경제와 사회 기반 시설이 발달했다. 주요 시설로는 쿠크스하펜 구 법원과 쿠크스하펜 수로·선박 교통국(WSA)이 있다.
7. 1. 공공 기관
기관명 | 주소 |
---|---|
시청 | 라트하우스 광장 1번지 |
쿠크스하펜 군청 | 빈첸트-뤼베크 거리 2번지 |
쿠크스하펜 구 법원 | |
쿠크스하펜 군 노동자 복지 사업 연합 | 베스터비슈베크 89번지 |
쿠크스하펜 소방서 | 슐 거리 3번지 |
구트템플러 소셜 워크 쿠크스하펜 | 슈트리히베크 85번지 |
헬리오스 클리니켄 쿠크스하펜 병원(구 시립 병원) | |
파리테티셔 복지 사업 연합 쿠크스하펜 | 키르헨파우어 거리 1번지 |
쿠크스하펜 수로·선박 교통국(WSA) | 북해의 독일 경제적 배타 수역 내, 엘베강 하구역, 장크트 마르가레텐까지의 엘베강 하류역 항행의 안전과 신속화를 해양 표지 유지 관리를 포함하여 관할 |
하바리 커맨드 | 2007년 1월 1일에 최적화된 네트워크로 시작한 해양 안전 센터(MSZ)의 구성 요소이며, 연방 및 5개의 해안 주를 총괄하는 관청. 2017년 1월, WSA 건물 근처에 2350만유로를 들인 해양 안전 센터의 새로운 건물이 연방 교통 장관에 의해 공식적으로 개소[45] |
쿠크스하펜 연방군 주둔지 | 알텐발데에는 2013년까지 구 힌리히-빌헬름-코프 병영 내에 연방군 민간 교육 지원 센터(ZAW)가 있었음. 그 이전에는 여기에 제74기갑대대가 주둔 |
연방 경찰 |
7. 2. 교육
학교 종류 | 학교 이름 |
---|---|
직업 훈련 학교 | 쿡스하펜 직업 훈련 학교 |
김나지움 | 리히텐베르크 김나지움 쿡스하펜 아마두스 아벤트로트 김나지움 |
실과 학교 | 게슈비스터 숄 슐레 알텐발데 쿡스하펜 실과 학교 |
본 과정 학교 | 알텐브루허 슐레 브라이켄슐레 데저 슐레 쥐더비슈 슐레 |
기초 과정 학교 | 아벤트로트슐레 알텐브루허 슐레 데저 슐레 프란첸부르거 슐레 골히 폭 슐레 그로데너 슐레 뤼딩볼터 슐레 만프레드 페르카 슐레 리체뷔텔러 슐레 자렌부르거 슐레 쥐더비슈 슐레 |
양호 학교 | 슐레 암 메어 (중점: 정신 발달) 비히에른슐레 |
전문 학교 | 쿡스하펜 주립 해운 학교 |
기타 학교, 세미나 | 쿡스하펜 시민 대학 직업 훈련소 카덴베르게 슈타데, 쿡스하펜교 니더작센 경제 훈련소 쿡스하펜 니더작센 시민 대학 훈련소 쿡스하펜 자유 발도르프 학교 기초 과정, 본 과정, 실과 학교 교원을 위한 학습 세미나 김나지움 교원을 위한 슈타데 학습 세미나의 분교 |
7. 3. 기업
쿡스하펜에는 1995년에 설립된 PNE WIND AG(2009년 이전에는 프럼베크 노이에 에너지엔 AG라고 불림)를 비롯한 여러 주요 산업 기업, 여행업체, 항만업 및 그 주변 업체(예: 어시장 등)가 있다. 연방군도 쿡스하펜의 경제적 요소 중 하나이다.[46]지멘스 가메사는 2017년에 대형 제조 홀(360 × 160 m)과 사무동을 갖춘 풍력 터빈 공장을 엘베강 연안에 건설하여, 여기서 8 MW의 출력을 가진 풍력 에너지 시설을 제조하고 있다.[47]
풍력 에너지 생산량이 높은 쿡스하펜 지역에서는 "eTelligence" 모델로 재생 가능 에너지의 비율이 높은 전력망의 제어가 연구되고 있다.[48][49]
어업 쇠퇴와 연방군 주둔지의 급속한 축소로 어려움이 더해지고, 정체된 경제 구조 변화로 쿡스하펜은 2015년에 3.3억유로의 부채를 안았다.[51] 2014년 주민 1인당 부채액이 니더작센주에서 가장 높은 자치 단체였다.[52]
쿡스하펜시는 재정적으로 취약한 자치 단체를 안정시키기 위해 자치 단체와 주가 공동으로 제공하는 연대 기금으로부터 총 1.875억유로의 채무 지원을 받았다. 이것은 그 전까지 니더작센주가 실시한 채무 지원 중 단독으로 최대 규모였다.[53]
7. 4. 관광 산업
쿡스하펜의 관광 산업은 1816년 해변 리조트가 설립되면서 시작되었다. 1964년부터 쿡스하펜은 국가 공인 기후 해변 리조트(''Seeheilbad'')이자 쿡스란트 휴가 지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연간 300만 박 이상의 숙박객을 유치하며 독일 휴양지 중 선두를 달리고 있다. 휴양 산업 발전은 노르트제 하일바트 쿡스하펜 GmbH가 담당하며, 본부는 듀넨의 휴양지 관리 사무소 내에 있다.
1973년 3월 13일, 닉세를 대신하여 그래픽 디자이너 쿠르트 몰덴하우어가 디자인한 "얀 쿡스"가 새로운 마스코트로 선정되었다. 얀 쿡스는 파란색 선원복을 입은 금발의 코믹 캐릭터이다. 1973년 7월에는 "쿡시"라는 이름의 여성 파트너 캐릭터가 추가되었는데, 빨간 선원복을 입은 금발 캐릭터이다. 매년 약 25만 장의 스티커가 인쇄되어 배포된다.
쿡스하펜의 관광·휴양 지역은 공업 지역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관광 중심지는 시 서쪽에 위치한 데제, 듀넨, 자렌부르크이다. 이 해안 지역에는 휴양 체재세가 부과된다. 쿡스하펜 핵심 지구, 특히 그린마르스헬른, 로체 거리, 리체비텔에도 관광 자원이 있다. 듀넨에는 체험 풀 "아호이!"가 있으며, 1970년대 증개축을 통해 바닷물 파도 풀이 설치되었다.[50]
7. 5. 항만과 해상 교통 시설
쿡스하펜은 엘베강 하구에 위치하여 환적, 창고, 유통 시설이 발달했으며, 해상 풍력 발전의 기지 항구 역할을 하고 있다. 항만 지구에는 높이 120m의 수로·선박 교통국(WSA) 방송탑이 있는데[35], 이 관청은 항로 표지, 난파선 위치 확인, 관련 정보 전달을 담당하며 자체 선박도 보유하고 있다.어업은 쿡스하펜의 오랜 전통 산업이다. 1908년에 어항이 건설되었고, 현재 브레머하펜과 함께 독일의 중요한 어업 기지 중 하나이다. 어업은 쇠퇴 추세이지만 여전히 35개 회사, 약 1,000명이 종사하고 있다. 갯가재 어업용 작은 배 외에, 원양어업을 하는 DFFU(독일어업연합)의 트롤선 및 쿠터피쉬=첸트랄레의 원양 어선도 쿡스하펜을 기점으로 활동한다.

슈토이벤헤프트는 쿡스하펜의 부두 중 하나로, 원래 이민자용으로 건설되었으나 현재는 주로 크루즈선 정박지로 이용되며, RO-RO선도 이용 가능하다. 아메리카 역은 철도망에 연결되는 인입선을 가지고 있다. 구 어항은 2017년 초 니더작센 항만 운영 회사에서 쿡스하펜·플룸베크 홀딩으로 매각되어 북해 부두에 400m의 부두 시설이 추가로 전력을 공급받아 갯가재 어업 커터가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항만 지구는 관광 및 음식 목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54]

1997년 운용을 시작한 수심이 깊은 항구 "쿡스포트"는 쿡스하펜과 주변 지역 경제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 1993년까지 자유 한자 도시 함부르크 소유였던 이 토지는 니더작센 주로 이양된 후 약 1.4억유로가 투자되어 새로운 항만 시설이 건설되었다. 운영은 제피쉬마르크트 쿡스하펜의 일부에서 설립된 쿡스포트 해항 서비스 GmbH가 담당했었다. 현재 쿡스하펜 다목적 터미널은 레누스 AG & Co.의 자회사인 쿡스포트 GmbH (74.9%)와 함부르크의 HHLA (25.1%)가 출자하여 운영하고 있다.
쿡스포트의 주요 사업은 Ro-Ro 교통, 신차 보관 및 해운, 컨테이너 적재, 해상풍력발전소 설비 보관 및 적재이다.[55] 풍력 발전기의 타워 부품, 회전 날개, 머신 하우스 등 큰 부품도 이곳에서 양륙된다.[56]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쿡스포트의 연도별 화물 양륙량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화물 양륙량 (톤) |
---|---|
2011 | {{cvt|3100|K|} | }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