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산스카크라이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산스카크라이나는 중세 보스니아 시대부터 불린 보스니아 북서부 지역의 역사적 명칭이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보산스카 크라이나"로, 18세기에는 "터키 크로아티아"로 불리기도 했다. 6세기부터 동로마 제국, 크로아티아 공국, 크로아티아 왕국의 일부였으며, 14세기 말 오스만 제국의 확장으로 국경 지대가 되었다. 19세기 말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반파시스트 투쟁의 중심지였다. 보스니아 전쟁(1992-1995)으로 인해 민족 구성이 크게 변화했으며, 현재는 스릅스카 공화국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일부로 나뉘어 있다. 경제적으로는 농업과 산업이 발달했으며, 바냐 루카 국제공항과 철도 네트워크를 통해 교통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지리 - 발칸반도
발칸반도는 유럽 남동부의 반도로 아드리아해, 지중해, 흑해에 접하며 다뉴브강, 사바강, 쿠파강 이남 지역을 지칭하고, 다양한 국가들이 위치하며 역사적,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유럽의 화약고'라고도 불린다.
보산스카크라이나 | |
---|---|
지도 | |
일반 정보 | |
![]() | |
![]() | |
다른 이름 | 보산스카 크라이나 |
로마자 표기 | Bosanska Krajina |
키릴 문자 표기 | Босанска Крајина |
별칭 | 크라이나 |
위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중심 도시 | 바냐루카 |
역사적 수도 | 트라브니크 |
역사 | |
시기 | 15세기 ~ 현재 |
이전 |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스릅스카 공화국 |
인구 통계 | |
민족 구성 | 세르비아인 보스니아인 크로아티아인 |
종교 | 동방 정교회 이슬람교 로마 가톨릭교회 |
2. 명칭
중세 보스니아 시대에 보산스카 크라이나 지역은 도니 크라이(Donji Kraji|도니 크라이bos, '하단 지역')와 자파드네 스트라네(Zapadne Strane|자파드네 스트라네bos, '서부 지역')로 알려져 있었다. 보스니아 왕국의 멸망과 1463년 이후의 오스만 제국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복은 오스만 제국의 유럽 영토 확장으로 이어졌다. 일련의 오스만 제국의 유럽 전쟁을 거치면서 우나강과 르바스강 사이의 지역은 '크라이나'(Krajina|크라이나bos, '변방') 또는 '보산스카 크라이나'(Bosanska Krajina|보산스카 크라이나bos, '보스니아 변방')로 알려지게 되었다. '보산스카 크라이나'라는 이름이 처음 기록된 것은 1594년이다.[2]
보산스카크라이나 지역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세력의 영향을 받으며 복잡한 변천 과정을 겪었다. 중세 보스니아 시대에는 도니 크라이(Donji Kraji, 하부 지역)와 자파드네 스트라네(Zapadne Strane, 서부 지역) 등으로 불렸으며, 크로아티아 왕국과 보스니아 반국, 보스니아 왕국 등의 지배를 거쳤다.
한편,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13][14][15] 같은 지역에 대해 오스트리아 측에서는 '터키 크로아티아'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했다. 이 명칭은 18세기 초, 독일어를 사용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등장했으며, 카를로비츠 조약 (1699)과 파사로비츠 조약 (1718) 이후 오스트리아-오스만 국경 위원회가 제작한 지도에서 처음 사용되었다.[13] 이 위원회는 오스트리아 및 베네치아 군사 지도 제작자들과 크로아티아인 1명(비테조비치)으로 구성되었다.[3][4][5] 19세기 중반, 일부 오스트리아 지도에서 사용되던 '터키 크로아티아'라는 용어는 이 지역의 일반적인 이름인 '보산스카 크라이나'로 대체되었다.[3][13]
보산스카 크라이나의 북서쪽 끝자락은 차친스카 크라이나라고 불리는데, 이는 중심 도시인 차친에서 유래했다. 이 지역은 또한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에 반란이 잇따라 일어난 데서 유래하여 '류타 크라이나'(Ljuta Krajina|류타 크라이나bos, "진흙 늪의 변방")라고도 불린다.
3. 지리
하위 지역(지리적 및 역사적)으로는 비하치카 크라이나, 카진스카 크라이나, 포트코자르예, 리예브체 등이 있다.
4. 역사
15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오스만 제국의 정복 과정에서 이 지역은 제국의 서쪽 국경 지대가 되었고, '크라이나'(Krajina|크라이나hbs, '변방') 또는 '보산스카 크라이나'(Bosanska Krajina|보산스카 크라이나hbs, '보스니아 변방')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명칭은 1594년에 처음 문헌에 기록되었다.[2] 1592년 비하치의 함락으로 오스만 제국의 정복이 완료되었으며, 이후 수 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의 통치를 받았다. 이 시기 동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의 국경 분쟁이 잦았으며, 18세기 초 오스트리아 측 지도에서는 '터키 크로아티아'(Türkisch Kroatien|튀르키슈 크로아티엔de)라는 명칭이 사용되기도 했으나, 19세기 중반 이후로는 다시 '보산스카 크라이나'가 일반적인 명칭으로 자리 잡았다.[3][4][5]
1878년 베를린 조약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공동 통치령이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파시즘에 맞선 강력한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저항 운동의 중심지였다.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으나,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발발한 보스니아 전쟁(1992-1995)으로 인해 다시 분쟁의 중심지가 되는 비극을 겪었다.
4. 1. 고대 및 중세
6세기, 오늘날 보스니아 북서부 지역은 로마 제국의 달마티아 속주에 속해 있었으며, 제국 분할 이후에는 동로마 제국의 관할 하에 있었다. 이후 북쪽에서 아바르족과 그들의 예속 하에 있던 슬라브족이 달마티아로 이주하여 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역에 정착했다. 7세기에는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이 동로마 제국의 영향 아래에서 각자의 공국을 형성했다.
초기 중세 시대에 이 지역은 크로아티아 공국의 일부였으며, 이후 토미슬라브 1세가 다스리던 크로아티아 왕국에 속하게 되었다. 고고학적 자료에 따르면, 10세기 전반의 중세 묘지 유적들은 이 시기 보스니아 북서부가 토미슬라브 1세의 정치적 지배하에 있었음을 보여준다.[6] 이 시기 크로아티아인들은 프랑크 왕국의 침략을 받았으나 격퇴하였고, 기독교를 수용했다. 1102년 크로아티아 왕국이 헝가리 왕국의 일부가 되면서, 이 지역 또한 헝가리의 영향권 아래에 놓이게 되었다.
중세 보스니아 시대에 보산스카 크라이나 지역은 '도니 크라이'(하부 지역)와 '자파드네 스트라네'(서부 지역)로 알려져 있었다. 이 지역의 북부는 슬라보니아 반국이 통치했으며(사나, 르바스, 두비차 교구 등), 남부는 프세트와 플리바 교구로 나뉘었다. 특히 사나 교구는 바보니치 가문과 이후 블라가이 가문의 주요 거점이었다. 13세기와 14세기에는 오늘날 보산스카 크라이나 남부에 해당하는 도니 크라이 지역(플리바 교구)이 발전했으며, 처음에는 보스니아 교구의 재산으로 언급되다가 보스니아 반국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14세기 말부터 오스만 제국은 발칸 반도 서부로 영토를 확장하기 시작했다. 1463년 야이체가 오스만 군대에 함락되면서 보스니아 왕국은 멸망했지만, 이후 헝가리 군대가 야이체를 잠시 탈환하여 '야이체 방어 반국'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1493년 크르바바 평원의 전투에서 헝가리 군대가 크게 패하면서 이 지역에 대한 헝가리의 영향력은 크게 약화되었고, 요새 도시들을 중심으로 겨우 명맥을 유지했다. 결국 1528년 야이체가 다시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서진이 계속되면서 우나강과 르바스강 사이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국경 지대, 즉 '크라이나'(변방)로 불리게 되었고, 점차 '보산스카 크라이나'(보스니아 변방)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이 명칭이 문헌상 처음 기록된 것은 1594년이다.[2] 한편, 18세기 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는 이 지역을 '터키 크로아티아'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이는 카를로비츠 조약(1699)과 파사로비츠 조약(1718) 이후 오스트리아-오스만 국경 위원회가 제작한 지도에서 처음 사용되었다.[3][4][5] 그러나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이 명칭은 현지에서 통용되던 '보산스카 크라이나'로 대체되었다.[3]
오스만 제국의 정복에 대한 저항도 있었다. 15세기 후반, 지역 크로아티아 귀족 유라이 미쿨리치치는 비하치 근처 부짐 마을에 요새를 세워 오스만 군대에 대비했다. 그는 1495년에 사망했지만, 부짐 요새는 1576년까지 오스만 군대에 함락되지 않았다.[7] 보산스카 크라이나 지역은 보스니아에서 가장 늦게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간 곳 중 하나였다. 1592년 비하치가 최종적으로 함락되면서[8] 보산스카 크라이나 전역이 오스만 제국의 통치 아래 놓였고,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이슬람화가 진행되는 배경이 되었다.
4. 2. 오스만 제국 시대
중세 보스니아 시대에 도니 크라이와 자파드네 스트라네로 알려졌던 이 지역은 1463년 보스니아 왕국의 멸망과 오스만 제국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복 이후 오스만 제국의 유럽 영토 확장 과정에서 점차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우나강과 르바스강 사이 지역이 Krajina|크라이나hbs('변방') 또는 Bosanska Krajina|보산스카 크라이나hbs('보스니아 변방')로 불리게 되었으며, 이 명칭은 1594년에 처음 기록되었다.[2]
1493년 크르바바 평원의 전투는 이 지역에 대한 헝가리 왕국의 지속적인 지배력을 약화시켰고, 저항은 요새 도시들로 제한되었다. 야이체는 1463년 함락되었으나 잠시 수복되기도 했지만, 1528년 최종적으로 오스만 제국령이 되었다. 15세기 말, 지역 크로아티아 영주(크네즈) Juraj Mikuličićhr는 오스만 군대의 진격에 대비하여 비하치 인근 부짐에 요새를 건설했다. 미쿨리치치는 1495년에 사망했지만, 부짐 요새는 1576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저항했다.[7][16] 쿨렌 바크프 근처의 오스트로비차 요새는 1501년에 함락되었으며, 1520년에는 크로아티아의 반 페타르 베리스라비치가 비하치 근처에서 오스만 군대의 기습으로 전사했다. 1521년 가지 후스레브-베그가 보스니아 산자크의 총독으로 임명된 후 크닌, 스크라딘 등지로 제국의 영토가 확장되었다. 보산스카 크라이나에서 오스만 제국에 마지막으로 함락된 주요 도시는 비하치로, 1592년 하산 프레도예비치가 이끄는 약 2만 명의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8] 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이슬람화로 이어지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의 패배 이후, 크로아티아 귀족들은 1527년 체틴 의회를 통해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페르디난트 1세를 국왕으로 선출하며 오스트리아의 일부가 되었다. 이에 맞서 오스만 제국은 1580년 점령한 영토를 통합하여 보스니아 에얄레트를 공식적으로 설립했다. 오스트리아의 슈타이어마르크의 카를 2세 대공은 1579년 새로운 요새 도시 카를로바츠를 건설하여 오스만 제국의 북진에 대비했다. 대터키 전쟁(1683–1690)에서 오스만 제국이 신성 동맹에 패배하면서,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슬라보니아와 헝가리 대부분을 오스트리아에 할양했으며,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북쪽 및 서쪽 국경과 거의 일치하는 영구적인 국경선이 확립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오스트리아 측 군사 국경 지대에 대응하여 자국 영토 내에 방어 체제를 구축했으며, 이것이 보산스카 크라이나 지역의 군사적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18세기 초 카를로비츠 조약 (1699)과 파사로비츠 조약 (1718) 이후 국경 획정을 위해 활동한 오스트리아-오스만 국경 위원회(오스트리아 및 베네치아 군사 지도 제작자 포함)가 제작한 지도에서 이 지역을 '터키 크로아티아'(Türkisch Kroatiende)라고 칭하기 시작했다. 이 용어는 특히 독일어를 사용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일부 지도에서 사용되었으나, 19세기 중반부터는 이 지역에서 통용되던 이름인 '보산스카 크라이나'로 대체되었다.[3][4][5][13][14][15]
오스만 제국의 통치 기간 동안 계속된 전쟁과 국경 변화는 이 지역의 인구 구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기존에 거주하던 가톨릭 크로아티아인 다수가 합스부르크 군주국 영토로 이주하면서 그 수가 감소했고, 빈 자리는 정교회를 믿는 세르비아인과 블라흐인들이 채워나갔다.[17] 이들은 오스만 제국의 국경 지대 방어를 위한 군사적 역할(민병 등)을 담당하며 정착하게 되었고, 시간이 흐르면서 보산스카 크라이나 지역의 주요 민족 집단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1576년에 함락된 부짐 요새는 이후 오스만 제국의 중요한 군사 거점으로 활용되었다. 여러 차례(1685, 1686, 1688, 1737년) 합스부르크 군대의 공격을 막아냈으며, 지속적인 보수(1624년, 1834년 등)를 통해 19세기 오스만 통치가 끝날 때까지 유지되었다.[16] 보산스카 크라이나의 북서쪽 끝 지역은 중심 도시 차친(Cazin)의 이름을 따 차친스카 크라이나(Cazinska Krajina)라고도 불렸으며, 잦은 반란으로 인해 '류타 크라이나'(Ljuta Krajina, "진흙 늪의 변방")라는 별칭도 얻었다.
4. 3. 19세기 ~ 20세기 초
1858년 중반, 오스만 제국이 현지 세르비아인들에게 가한 압력으로 인해 페치야의 첫 번째 반란으로 알려진 봉기가 이 지역에서 발발했다. 이 봉기는 같은 해 12월까지 진압되었다.[1] 보산스카 크라이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헤르체고비나 봉기(1875–1878)에 참여했다.
1875년부터 1878년까지 이어진 대규모 반 오스만 제국 봉기인 헤르체고비나 봉기는 보산스카 크라이나 지역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후 베를린 조약에 의해 1878년부터 보산스카 크라이나를 포함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통치하에 놓이게 되어 공동 통치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Condominium of Bosnia and Herzegovina|영어, 1878년-1918년)가 되었다.
4.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보스니아는 나치 독일의 괴뢰 국가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영토가 되었다. 그러나 보산스카 크라이나는 파시즘 정권에 대한 매우 강력한 저항 운동의 중심지로 알려졌다.
당시 크로아티아 독립국을 이끌던 우스타샤 세력과 보스니아인 협력자들은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을 크로아티아 독립국 세르비아인 학살의 표적으로 삼아 탄압했다. 또한, 사바 강 건너편에는 야세노바츠 강제 수용소를 설치하여 수많은 세르비아인, 롬, 유대인, 그리고 반파시스트 성향의 크로아티아인들을 학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러한 잔혹 행위는 훗날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벌어질 비극의 전조가 되었다.
이에 맞서 보산스카 크라이나 지역에서는 반파시스트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 지역의 파르티잔 부대는 다른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에 비해 민족 구성이 매우 다양하다는 특징을 보였다. 1942년에서 1943년 겨울 사이, 파르티잔은 보산스카 크라이나 지역에 비하치 공화국이라는 해방구를 수립하기도 했다.
이후 보산스카 크라이나는 전후 유고슬라비아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역사적 무대가 되었다. 1943년, 해방구였던 야이체와 므르코니치 그라드에서는 각각 유고슬라비아 인민 해방 반파시스트 회의(AVNOJ)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인민 해방 국가 반파시스트 위원회(ZAVNOBiH)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들을 통해 미래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과 그 구성 공화국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의 기본적인 틀이 마련되었다.
4. 5. 보스니아 전쟁 (1992-1995)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이어진 보스니아 전쟁 동안 보산스카크라이나 지역은 스릅스카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서보스니아 자치주의 지배 지역으로 나뉘어 분쟁의 최전선이 되었다. 이미 1991년 여름, 세르비아계는 SAO 보산스카 크라이나를 설립하며 분리 움직임을 보였다.
1991 | 1994 | |
---|---|---|
세르비아인 | 625,000 | 875,000 |
보스니아인 및 크로아티아인 | 550,000 | 50,000 |
전쟁 기간 동안 스릅스카 공화국은 마냐차(Manjača)와 오마르스카(Omarska) 등에 강제 수용소를 설치 운영했다. 이 수용소들에서는 주로 보스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들이 수용되어 고문, 살인, 강간 등 각종 학대를 당하고 살해되었다.[18]
1994년 휴먼 라이츠 워치 보고서는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지난 2년 동안 보산스카크라이나 지역의 비세르비아인들은 고문, 살인, 강간, 구타, 괴롭힘, 법적 차별, 위협, 집에서 추방, 재산 몰수, 기업 폭격, 직장에서 해고, 공공 기관에서 키릴 문자를 제외한 모든 스크립트 금지, 모스크와 가톨릭 교회와 같은 문화재 파괴를 포함한 체계적인 박해를 통해 "청소"되었다."[12]
5. 인구
이 지역의 인구는 보스니아 전쟁 이전에는 거의 100만 명에 달했다. 199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당시 주민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이어진 보스니아 전쟁 동안 발생한 추방, 강제 이주 및 이민으로 인해 보산스카 크라이나의 인구 구성은 극적으로 변화했다. 전쟁으로 인한 강제적인 인구 이동은 민족별 인구 구성 및 분포에 큰 변동을 가져왔다.
분쟁 이후 보산스카 크라이나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민족적 다양성이 감소하고 단일 민족 중심의 경향이 강해졌다. 현재 북서부 지역(차진스카 크라이나)은 보스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스릅스카 공화국 영역과 서부의 크로아티아 국경을 따라 형성된 일부 지역에서는 세르비아인이 주된 인구를 구성하고 있다.
6. 경제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보산스카 크라이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 중 하나로 여겨졌다. 이러한 빈곤은 1950년 공산주의 정부에 대항한 카진 봉기 (츠아진스카 부나, Cazinska Buna)의 원인이 되었으며, 이는 전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유고슬라비아에서 일어난 유일한 봉기였다.
이후 보산스카 크라이나의 경제적 호황과 번영은 1970년대 초중반 바냐 루카의 도시 연구소(Urban Institute)가 이 지역을 위해 특별히 만든 계획된 도시 개발 프로그램 덕분이었다. 이러한 개발은 자원 가공 산업에 대한 투자를 장려하는 은행 시스템의 단순화로 더욱 촉진되었다. 그 결과 이 지역은 농업 및 산업 생산의 호황을 겪었다.
벨리카 클라두샤를 거점으로 하는 식품 제조업체 아그로코메르츠(Agrokomerc)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구 유고슬라비아 전체에서 가장 큰 식품 제조업체였다. 다른 주요 산업으로는 벨리카 클라두샤의 화학 산업 회사 사니텍스(Saniteks), 바냐 루카의 전자 산업 회사 루디 차예베츠(Rudi Cajevec), 보산스키 노비의 섬유 산업 회사 사나(Sana) 등이 있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목재 및 식품 가공 회사들이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코자라 산 주변에서는 상당한 규모의 광석 산업이 발달했다.
7. 교통
도로유럽 고속도로 661호선(현지에서는 M-16 도로로 알려짐)이 북쪽 크로아티아 방향으로 연결된다. 이 도로는 바냐루카에서 락타시까지는 고속도로 구간이며, 락타시에서 보스니아-크로아티아 국경(스타라그라디슈카)까지는 2차선 도로이다. 현재 2차선 구간을 고속도로로 개선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
계획 중인 고속도로 노선은 두 개가 있다. 하나는 프리예도르에서 보산스카두비차를 연결하여 자그레브까지의 이동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노선이다. 다른 하나는 동쪽 도보이 방향으로 향하며, 보산스카크라이나 지역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중요한 교통망인 범유럽 회랑 5c호선(Corridor Vc)와 연결하는 노선이다.
항공바냐루카 국제공항은 바냐루카 시내에서 약 23km 떨어져 있다. B&H 항공과 아드리아 항공이 취항하여 류블랴나(주 4회)와 취리히(주 3회)로 가는 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 전세 항공편도 운항하며, 사라예보 국제공항의 대체 공항 역할을 하기도 한다. 특히 겨울철 악천후 시 사라예보 공항 대신 이용될 수 있다. 자그레브 공항은 바냐루카에서 자동차로 약 2시간 거리에 있다.
비하치 인근 플리에셰비차 산 아래,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경에 위치한 젤랴바 공군 기지는 과거 유고슬라비아 시절 가장 큰 지하 공군 기지였으며, 유럽 전체에서도 큰 규모에 속했다.
프리예도르 시 북동부 우리예 지역에도 비행장이 있다. 이 비행장은 소형 항공기와 글라이더가 이용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르티잔이 사용했던 최초의 작전 비행장이었으며, 현재는 지역 낙하산 클럽의 본부로도 사용된다.
철도보산스카크라이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철도망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국내 철도 노선의 절반 이상이 이 지역을 통과한다. 철도는 바냐루카, 프리예도르, 보산스키노비, 비하치 등 보스니아 북부 및 서부 주요 도시들을 연결한다. 또한 국제 노선으로 크로아티아의 자그레브(하루 2회)와 세르비아의 베오그라드까지 운행한다.
참조
[1]
서적
Geografski atlas Bosne i Hercegovine
Geodetski zavod BiH
[2]
서적
Collection of papers and materials of the fifth Yugoslav onomastic conference
https://books.google[...]
Akademija nauka i umjetnosti Bosne i Hercegovine
[3]
서적
The War in Croatia and Bosnia-Herzegovina 1991–1995
Taylor & Francis
[4]
간행물
[5]
논문
Images of the Croatian Borderlands: Selected Examples of Early Modern Cartography
http://hrcak.srce.hr[...]
2007-09-01
[6]
논문
Observations on post-Carolingian Weapons and equestrian Equipment in Croatia and Bosnia and Herzegovina within the Context of historical Events of the 10th and 11th Century
https://hrcak.srce.h[...]
Muzej hrvatskih arheoloških spomenika
[7]
웹사이트
Old Fort – Buzim – Bosnia and Herzegovina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07-11-28
[8]
웹사이트
Osvajanje Bihaća 1592. godine - događaj kojim je cijeli prostor današnje Bosne i Hercegovine došao pod osmansku vlast
https://bosnae.info/[...]
2016-12-06
[9]
웹사이트
The Vlachs in Bosnia
http://www.farsarotu[...]
New York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Stari bosanski gradovi. Vieux bourgs bosniaques
https://www.fmks.gov[...]
[11]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4
Indiana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Ethnic Cleansing" Continues in Northern Bosnia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1994-11
[13]
서적
The War in Croatia and Bosnia-Herzegovina 1991-1995
Taylor & Francis
[14]
웹사이트
Bosnia and Herzegovina
http://www.1911encyc[...]
LoveToKnow
[15]
논문
Images of the Croatian Borderlands: Selected Examples of Early Modern Cartography
http://hrcak.srce.hr[...]
[16]
웹사이트
Old Fort - Buzim - Bosnia and Herzegovina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07-11-28
[17]
웹사이트
The Vlachs in Bosnia
http://www.farsarotu[...]
New York University Press
[18]
웹사이트
"Ethnic Cleansing" Continues in Northern Bosnia
http://www.hrw.org/s[...]
Human Rights Watch
199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