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러드 다이아몬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러드 다이아몬드는 분쟁 자금으로 사용되는 다이아몬드를 의미하며, 주로 아프리카의 내전 지역에서 채굴되어 무기 거래에 이용된다. 1990년대 냉전 종식 이후 반군 단체들이 자금 확보를 위해 다이아몬드 채굴에 의존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앙골라,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등에서 내전과 관련된 블러드 다이아몬드 문제는 국제적인 문제로 부각되었고, 유엔은 관련 제재를 가했다.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 제도를 통해 분쟁 다이아몬드 거래를 막으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부패와 감시의 한계로 인해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추적 시스템 도입, 윤리적인 랩그로운 다이아몬드 사용, 분쟁 중립적인 기부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블러드 다이아몬드 | |
---|---|
개요 | |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분쟁 다이아몬드 (紛争ダイヤモンド) 갈등 다이아몬드 (Conflict diamond) 피의 다이아몬드 |
상세 정보 | |
정의 | 분쟁 지역에서 채굴되어 무장 단체의 자금으로 사용되는 다이아몬드 |
관련 용어 | 분쟁 광물 |
규제 노력 |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 제도 |
2. 역사
다이아몬드와 같은 보석은 국제 시장에서 높은 가격에 거래되며, 생산국에게는 중요한 외화 수입원이 된다. 그러나 생산국이 내전과 같은 분쟁 상태에 있을 경우, 보석 수출로 얻은 외화가 무기 구매에 사용되어 분쟁을 장기화시키고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반군 세력은 다이아몬드 광산을 장악하고 불법적으로 채굴·판매하여 확보한 자금으로 무기를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이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을 강제로 채굴에 동원하는 등 심각한 인권 침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분쟁 다이아몬드 문제는 냉전 종식 이후 더욱 심각해졌다. 냉전 시대에는 동서 양 진영이 각자의 동맹 세력인 반정부 조직에게 무기를 무상으로 지원했기 때문에, 반군이 자체적으로 무기 구매 자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적었다. 그러나 냉전이 끝나고 외부의 무상 지원이 끊기자, 많은 반정부 조직들은 무기상으로부터 무기를 구매하기 위한 자금을 마련해야 했다. 이 때문에 다이아몬드와 같은 고가치 자원이 풍부한 지역의 반군들은 보석 광산을 점령하고 이를 통해 무기 구매 자금을 확보하려 했다. 이 과정에서 무기는 대립하는 양측 모두에게 판매되어 분쟁을 더욱 격화시키고 지역 주민들의 생활 수준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일부 서구 국가들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무기 판매와 저렴한 보석 구매를 통해 이익을 얻기도 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필립 르 빌론은 특정 천연자원이 분쟁의 약한 세력에게 가용할 경우, 해당 자원이 분쟁을 '동기 부여'하고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분쟁 자원' 이론을 제시했다.[4] 리처드 오티는 다이아몬드가 다른 자원에 비해 무게당 가치가 월등히 높아 운반과 은닉이 용이하며, 그 결과 '약탈'하기 쉽다는 점을 지적했다.[5] 특히, 강바닥 등지에서 발견되는 충적 다이아몬드는 킨벌라이트 다이아몬드와 달리 특별한 자본 투자나 기술 없이 수공구만으로도 채굴이 가능하여 반군 세력이 통제하고 자금원으로 활용하기에 더욱 용이하다.[6] 이러한 채굴 방식의 차이는 다이아몬드 자원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보츠와나와 시에라리온이 서로 다른 안정성을 보인 이유 중 하나로 설명되기도 한다.[6]
또한, 마이클 로스는 분쟁 당사자들이 미래의 자원 개발 가능성을 담보로 현재의 자금을 확보하는 lootable 'futures'|전리품 선물eng 계약 방식을 지적했다.[7] 1990년대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앙골라, 콩고 민주 공화국 등 여러 아프리카 국가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다이아몬드나 석유 자원이 분쟁 자금 조달에 이용되었다. 이러한 계약은 실제 자원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반군이나 정부군 양측 모두에게 전투 자금을 제공하여, 패배할 수도 있었던 세력이 분쟁을 지속하거나 새로운 분쟁을 시작할 수 있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분쟁을 장기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7]
이처럼 분쟁 지역에서 생산된 다이아몬드가 내전을 부추기고 인도주의적 위기를 심화시킨다는 문제의 심각성이 알려지면서, 국제 사회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내전 당사국의 외화 획득 수단을 차단하는 것이 분쟁 종식에 효과적이라는 인식 하에, 분쟁 지역에서 생산된 다이아몬드를 "분쟁 다이아몬드" 또는 "블러드 다이아몬드"로 정의하고 국제적인 거래를 규제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냉전 종식 이후 12년 동안 10개의 분쟁 지역 자원 수출국에 대해 제재 결의안을 통과시키는 등 분쟁 자금 조달을 막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8] 이러한 노력은 이후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 제도와 같은 구체적인 국제 협약으로 이어졌다.
2. 1. 앙골라
앙골라는 1975년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했지만, 곧 앙골라 인민 해방 운동(MPLA) 정부와 앙골라 완전 독립 민족 동맹(UNITA) 등 반군 세력 간의 내전에 돌입했다. 이 내전은 2002년까지 이어졌다.내전 기간 동안, 특히 1990년대에 반군 세력인 UNITA는 전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다이아몬드를 불법적으로 수출했다. 이는 1994년에 체결된 비세스라 협정(Bicesse Accords)을 위반하는 행위였다.[70] 당시 앙골라에서 생산된 다이아몬드의 상당량이 불법적으로 거래되었는데, 1990년대 생산량의 20%가 부정한 목적으로, 19%가 직접적으로 전쟁 자금과 관련되었다는 보고가 있다.[67] 또한 1980년대 전체 다이아몬드 생산량의 21%가 불법적이거나 비윤리적인 목적으로 판매되었고, 19%는 분쟁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기도 했다.[9]
UN은 이러한 불법 다이아몬드가 UNITA 반군의 중요한 자금원임을 인지하고 대응에 나섰다. 1998년 6월 12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결의 1173호를 채택하여 앙골라로부터 공식적인 증명서가 없는 다이아몬드의 수입을 금지하는 제재를 가했다.[66] 이는 유엔이 다이아몬드의 전쟁 자금 동원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최초의 결의였다.
이러한 국제적 노력의 결과, 불법 다이아몬드 거래 규모는 점차 감소했다. 세계 다이아몬드 위원회(World Diamond Council)의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다이아몬드 생산량 중 불법 거래 비율은 1999년에 3.06%[68][69], 2004년에는 약 1%까지 감소했다.[69][67] 세계 다이아몬드 위원회는 오늘날 이 불법 거래가 사실상 근절되어 판매되는 다이아몬드의 99% 이상이 합법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9][11][12]
하지만 유엔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UNITA는 일부 다이아몬드를 계속 판매하거나 거래하며 전쟁 자금을 조달했다. 유엔은 이 문제를 조사하기 위해 캐나다 대사 로버트 파울러를 임명했고, 그는 2000년에 소위 파울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불법 다이아몬드 거래에 연루된 국가, 조직, 개인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며 다이아몬드와 제3세계 분쟁 간의 연관성을 명확히 밝혔다.[13] 파울러 보고서는 이후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 제도의 창설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보고서 발표 이후에도 밀수 시도는 계속되었는데, 예를 들어 UNITA가 생산한 다이아몬드가 카메룬 시민권을 얻기 위해 카메룬으로 거래된 뒤 합법적인 것처럼 판매되기도 했다.[14]
앙골라 내전은 2002년에 종결되었으며, 현재 앙골라산 다이아몬드 거래는 국제적인 규제 아래 합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70]
2. 2. 시에라리온
시에라리온 내전은 1991년에 시작되어 2002년까지 지속되었으며, 최소 5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반군 단체인 혁명 연합 전선(RUF)은 잔혹한 전쟁 방식으로 악명이 높았고, 지역 주민들은 살해, 신체 절단, 강간, 고문, 납치 등으로 극심한 고통을 겪었다.[27] RUF는 처음에는 정의와 민주주의를 표방했으나, 실제로는 마을을 장악하고 주민들의 사지를 절단하여 투표를 방해하는 등 만행을 저질렀으며, 이 과정에서 어린이와 유아까지 희생되었다.[27]RUF는 전쟁 자금을 조달하고 활동을 이어가기 위해 다이아몬드 광산을 점령했다.[28] 당시 RUF는 연간 최대 1.25억달러 상당의 다이아몬드를 채굴한 것으로 추정된다.[29] 이 다이아몬드는 무기 구매 자금으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탈세 및 다른 범죄 활동의 자금원으로도 활용되었다.[29] 냉전 종식 후 무상 무기 지원이 끊기자, 반군 조직들은 무기상으로부터 무기를 구매해야 했고, 이를 위해 다이아몬드 광산을 점령하여 자금을 확보하는 방식을 택했다. 특히 충적 다이아몬드는 킨벌라이트 다이아몬드와 달리 특별한 설비 없이 수공구만으로도 채굴이 가능해 반군이 쉽게 통제하고 약탈할 수 있었다.[5][6]
RUF는 다이아몬드 채굴을 위해 주민들을 강제로 동원했다. 젊은 성인들을 납치해 노예로 삼고, 아이들을 강제로 아동 병사로 징집했으며, 여성들을 성폭행했다. 심지어 마을 전체를 불태우기도 했다.[32] 수천 명의 남녀노소가 다이아몬드를 캐는 노예로 동원되어, 도구 없이 맨손으로 강둑의 진흙을 파헤치도록 강요받았다.[33][34] 어린 아이들은 세뇌되어 폭력과 위협 속에서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박탈당한 채 아동 병사로 내몰렸다.[37]
국제 사회는 이러한 블러드 다이아몬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입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1998년 결의안 1171호를 통해 시에라리온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와 반군 관계자의 해외 여행 금지를 시행했으며, 2000년 7월 5일에는 결의안 1306호를 통해 시에라리온 정부의 인증을 받지 않은 다이아몬드 원석의 수출입을 금지하는 제재를 가했다. 이 다이아몬드 수출 금지 제재는 2003년에 해제되었다.[29] 또한, 1999년 시에라리온 정부와 RUF 간의 로메 평화 협정 체결을 지원하고 이행을 감시하기 위해 결의안 1270호에 따라 국제 연합 시에라리온 파견단(UNAMSIL)이 창설되었고,[71] 이후 결의안들을 통해 임무와 규모가 확대되었다. 유엔은 공청회를 열어 불법 다이아몬드 거래와 무기 거래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전문가 소위원회를 설치하여 관련 조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2002년 내전이 공식적으로 종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에라리온에는 심각한 인권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2005년 미국 국무부 보고서에 따르면 보안군에 의한 학대, 강간, 구금자에 대한 과도한 폭력 사용 등이 지속되고 있으며, 아동 학대와 아동 노동 문제도 심각하다.[32] 시에라리온은 유엔 인간 개발 지수에서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으며, 교육, 건강, 인권 등 여러 측면에서 발전이 더디다.[35] 전쟁 이후 다이아몬드 수출액은 2005년에 1.4억달러 이상으로 증가했지만, 이 수익이 지역 사회 발전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요 다이아몬드 채굴 지역인 코노 지구는 70년간 채굴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기 공급이나 도로 포장과 같은 기본적인 시설조차 부족한 상태이다.[36] 또한, 2016년 통계에 따르면 시에라리온은 여전히 전 세계 분쟁 다이아몬드 생산량의 1%를 차지하며, 이는 앙골라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시에라리온 전체 다이아몬드 생산량의 15%가 분쟁 다이아몬드로 추정되어 문제가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31]
2. 3. 라이베리아
1989년부터 2003년까지 라이베리아는 내전을 겪었다.[23] 이 기간 동안 라이베리아는 이웃 국가 시에라리온에서 벌어진 시에라리온 내전에도 개입하였다. 2000년, 유엔(UN)은 당시 라이베리아 대통령이었던 찰스 테일러가 시에라리온의 반군 단체인 혁명 연합 전선(RUF)에게 다이아몬드를 받는 대가로 무기와 군사 훈련을 제공하며 내전을 지원했다고 비난했다.[23][70] 이에 따라 2001년 유엔은 라이베리아산 다이아몬드의 거래를 금지하는 제재를 부과했다.[23]2003년 8월, 찰스 테일러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나 나이지리아로 망명했으나, 이후 전쟁 범죄와 반인도적 범죄 혐의로 헤이그의 국제 재판소에 회부되었다.[23][70] 2006년 7월 21일 열린 재판에서 그는 자신의 혐의에 대해 무죄를 주장했지만,[15][70] 2012년 4월 유죄 판결을 받았다. 같은 해 5월 30일, 그는 영국의 교도소에서 50년 형기를 시작했다.[24]
한편, 1998년 미국 대사관 폭탄 테러 사건 전후로 테러 조직 알 카에다가 자산 동결을 피하기 위해 라이베리아에서 다이아몬드를 구매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25]
내전 종식 후 라이베리아는 평화를 회복하고 합법적인 다이아몬드 채굴 산업을 재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유엔은 라이베리아에 대한 제재를 해제했으며, 라이베리아는 분쟁 다이아몬드의 유통을 막기 위한 국제 협약인 킴벌리 프로세스에 가입했다.[26][70] 그러나 2014년 12월 미국 노동부 보고서에 따르면, 라이베리아의 일부 다이아몬드 채굴 현장에서는 여전히 아동 노동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2. 4. 코트디부아르
코트디부아르는 1990년대 초반에 소규모로 다이아몬드 채굴 산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1999년 쿠데타로 정부가 전복되고 내전이 발발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내전으로 인해 해외 투자가 철수하는 가운데, 코트디부아르는 이웃 나라인 라이베리아와 내전 중이던 시에라리온에서 생산된 다이아몬드의 주요 수출 통로가 되었다.[70][72] 이러한 불법적인 다이아몬드 거래를 막기 위해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자국 내 모든 다이아몬드 채광 활동을 중단시키는 조치를 취했다. 국제 사회도 이에 대응하여,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2005년 12월 코트디부아르산 다이아몬드의 수출을 전면 금지하는 결정을 내렸다.[70]2. 5. 콩고 민주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구 자이르)은 1990년대에 여러 차례의 내전을 겪었으나,[20] 2003년부터 킴벌리 프로세스에 가입하여 현재 세계 다이아몬드 수출량의 약 8%를 차지하고 있다.[15][70]분쟁 지역에서 생산되는 자원은 종종 분쟁을 지속시키는 자금원으로 사용된다. 필립 르 빌론은 특정 천연자원이 분쟁의 약한 세력에게 가용할 경우, 해당 자원이 분쟁을 '동기 부여'하고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분쟁 자원' 이론을 제시했다.[4] 리처드 오티는 다이아몬드가 다른 자원에 비해 무게당 가치가 매우 높아 운반과 약탈이 용이하다는 점을 지적했다.[5] 특히, 깊은 광산에서 채굴되는 킨벌라이트 다이아몬드와 달리 강바닥 등지에서 발견되는 충적 다이아몬드는 특별한 장비 없이 수공구만으로도 채굴이 가능하여 반군 세력에게 더 쉬운 자금원이 될 수 있다.[6] 보츠와나와 시에라리온 모두 다이아몬드 자원이 풍부하지만, 서로 다른 지질 구조(킨벌라이트 대 충적)가 각국의 안정성 차이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다.[6]
마이클 로스는 분쟁 당사자들이 미래의 자원 개발 가능성을 담보로 현재의 자금을 확보하는 lootable 'futures'|전리품 선물eng 계약 방식을 지적했다.[7] 1990년대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앙골라, 적도 기니,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등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다이아몬드나 석유 자원이 분쟁 자금 조달에 이용된 사례가 있다. 이러한 계약은 실제 자원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반군이나 정부군 양측 모두에게 전투 자금을 제공하여 분쟁을 장기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7]
냉전 시대에는 동서 양 진영이 각자의 동맹 세력에게 무기를 무상으로 지원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그러나 냉전 종식 후, 특히 동구권의 지원이 끊기면서 반정부 조직들은 무기상으로부터 무기를 구매해야 했고, 이를 위해 다이아몬드 광산을 점령하여 채굴한 보석을 판매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이 과정에서 무기는 분쟁 당사자 양측 모두에게 판매되어 분쟁을 더욱 격화시키고 해당 지역의 생활 수준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상황은 결과적으로 광산 노동자의 임금을 더욱 낮추고 보석 가격 하락으로 이어졌으며, 서구 국가들은 무기 판매와 저렴한 보석 구매 양쪽에서 이익을 얻는 구조가 형성되기도 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다이아몬드 회사인 드 비어스는 콩고 민주 공화국의 킴벌리 프로세스 가입을 환영했다. 그러나 킴벌리 프로세스 도입 이전인 1990년대 중반, 내전이 한창일 때 드 비어스는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발견된 200carat(40g)짜리 완벽한 D 컬러 다이아몬드인 밀레니엄 스타를 구매한 바 있다.[22][73]
현재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생산된 다이아몬드에 대해 가짜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서가 동반된 사례가 여러 차례 보고되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21]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냉전 종식 이후 12년간 10개의 분쟁 지역 자원 수출국에 대해 제재 결의안을 통과시키는 등 분쟁 자금 조달을 막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8]
2. 6. 콩고 공화국
콩고 공화국은 2004년 UN으로부터 다이아몬드 무역 관련 제재를 받았다.[70] 이 나라에는 공식적인 다이아몬드 채굴 산업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출처를 알 수 없는 많은 양의 다이아몬드를 수출하고 있다는 점이 제재의 이유가 되었다.[70][38] 같은 해 킴벌리 프로세스에서도 퇴출되었는데, 이는 UN 제재와 동일한 사유에 더해 원산지 증명서를 위조했다는 혐의 때문이었다.[38] 콩고 공화국은 이후 2007년에 킴벌리 프로세스에 다시 가입하였다.[38]2. 7. 짐바브웨
짐바브웨는 아직 블러드 다이아몬드의 주요 수출국으로 인식되지는 않으나, 최근 주요 다이아몬드 생산지역인 마랑게(Marange) 지역의 혼란으로 인해 다이아몬드 밀수출이 이루어질 우려가 제기되어 세계 다이아몬드 평의회가 이를 주시하고 있다.3. 킴벌리 프로세스
분쟁 다이아몬드는 다이아몬드 등 보석이 국제 시장에서 고가로 거래되지만, 생산국이 내전 등 분쟁 지역일 경우 그 수익이 무기 구매에 사용되어 내전을 장기화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반군 세력은 다이아몬드 광산을 점령하고 여기서 얻은 외화로 무기를 구매하며, 이 과정에서 주민들을 강제 동원하는 등 심각한 인권 문제를 야기한다.[66] 냉전 종결 후, 외부의 무기 지원이 끊기자 반군 조직들은 무기 구매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보석 광산을 직접 장악하고 채굴한 보석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국제 연합(UN)은 1998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173을 통해 분쟁 다이아몬드가 앙골라 내전 등에서 UNITA와 같은 반군 조직의 전쟁 자금원이 되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지적했다.[41][42][66] 파울러 보고서는 2000년 UNITA가 어떻게 다이아몬드를 이용해 전쟁 자금을 조달했는지 상세히 밝혔고, 이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295 채택으로 이어졌다.[43][44] 이러한 국제적 움직임 속에서, 다이아몬드 생산국들은 문제 해결을 위해 자발적으로 나섰다.
2000년 5월, 다이아몬드 생산국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킴벌리에 모여 분쟁 다이아몬드의 유통을 막고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다이아몬드가 분쟁과 무관함을 보증할 방안을 논의했다.[43][44][74][75] 이 회의는 킴벌리 프로세스의 시초가 되었다. 이어 같은 해 7월 앤트워프에서 열린 세계 다이아몬드 회의에서는 다이아몬드 수출입에 대한 국제 인증 시스템 도입, 공식 봉인된 포장 의무화, 분쟁 다이아몬드 거래자에 대한 처벌 및 세계 다이아몬드 거래소 연맹에서의 퇴출 등을 결의했다.[46][47][76][77]
2001년 1월에는 다이아몬드 업계가 월드 다이아몬드 위원회(World Diamond Council)를 설립하여 모든 다이아몬드가 분쟁과 무관함을 인증하는 절차 마련에 착수했다.[50][78] 이러한 노력은 2002년 3월 13일 UN의 승인을 받았으며,[51][79] 정부, 다이아몬드 업계, 비정부 기구(NGO) 간의 2년간의 논의 끝에 2002년 11월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 제도(KPCS)가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킴벌리 프로세스는 다이아몬드 원석의 원산지를 증명하고, 인증된 다이아몬드만 국제적으로 거래되도록 하여 분쟁 지역으로 자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1. 킴벌리 프로세스의 모니터링
킴벌리 프로세스는 다이아몬드가 광산에서 시장까지 유통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수출, 제조, 판매와 관련된 감시를 규제한다.[48] 아랍 에미리트나 영국과 같은 관광 국가에서도 시행되며, 모든 회원국은 비회원국과의 거래가 금지된다. 보석이 다른 국가의 공항을 통과하기 전에는 소유주가 킴벌리 인증서를 제시해야 하며, 소매점의 고객도 인증서를 요청하여 출처를 확인할 수 있다.[49]그러나 킴벌리 프로세스의 가장 큰 약점은 감시 방법에 있다.[80] 특정 국가가 킴벌리 프로세스를 준수할 능력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의장에게 편지를 보내는 것만으로 회원국이 될 수 있다.[80] 이 때문에 킴벌리 프로세스 가입국이라 하더라도 실제로는 규제를 제대로 지키지 않아 블러드 다이아몬드가 유통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2007년 한 해에만 약 1019.9999999999999만달러 상당의 블러드 다이아몬드가 유통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주요 다이아몬드 생산국의 부패한 정부 관리들 때문에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을 받은 다이아몬드라고 해서 반드시 분쟁과 무관하다고 보장할 수 없다. 일부 관리들은 하루 50USD에서 100USD 정도의 뇌물을 받고 블러드 다이아몬드에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 서류를 발급해주는 경우가 흔하다.[54]
이러한 문제로 인해 킴벌리 프로세스는 궁극적으로 블러드 다이아몬드의 유입을 완전히 막는 데 실패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주요 지지 단체였던 글로벌 위트니스는 이러한 한계를 이유로 2011년 킴벌리 프로세스 참여를 중단했다.[53]
물론 킴벌리 프로세스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범죄 조직의 활동을 어렵게 만들고, 합법적인 시장으로 더 많은 다이아몬드가 유입되도록 도왔다. 이는 일부 국가 정부의 수입 증대에 기여하여 국가 발전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 예를 들어, 시에라리온에서는 1990년대 말에는 거의 없었던 다이아몬드 합법 수출액이 2006년에는 약 1.25억달러에 달했다.[52] 하지만 근본적인 감시 체계의 허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로 남아 있다.
3. 2. 투명성
킴벌리 프로세스는 다이아몬드의 수출입 기록과 가치 기록을 의무화하여 참여국 정부의 투명성을 높이고자 했다.[80] 이론적으로 이는 정부가 재정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민 전체의 복지를 위해 책임감 있게 재정을 운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53]그러나 이러한 목표는 실제 운영 과정에서 여러 문제에 부딪혔다. 베네수엘라와 같은 일부 국가들이 킴벌리 프로세스의 규정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으면서 책임성 확보에 한계를 드러냈다.[53] 또한, 주요 다이아몬드 생산국의 부패한 정부 관리들이 하루 50USD에서 100USD 정도의 뇌물을 받고 블러드 다이아몬드에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 서류를 발급해주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하면서[54] 인증 제도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투명성 확보를 저해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킴벌리 프로세스의 주요 지지 단체였던 글로벌 위트니스는 결국 이 계획에서 이탈하기도 했다.[53]
4. 국제사회의 대응
국제 연합(UN)은 분쟁 다이아몬드가 아프리카 등지의 내전 자금으로 사용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비정부기구인 글로벌 위트니스는 1998년 보고서 "A Rough Trade"를 통해 다이아몬드와 분쟁 간의 연관성을 처음으로 공론화했으며[41][42], 이는 국제사회의 관심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1998년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173을 채택하여 처음으로 분쟁 다이아몬드 문제를 전쟁 자금 조달과 연결지었다.[66] 특히 앙골라 내전에서 반군인 앙골라 완전 독립 민족 동맹(UNITA)의 자금줄을 차단하기 위해 다이아몬드 금수 조치를 시행했다.[66] 2000년 파울러 보고서는 UNITA가 어떻게 다이아몬드를 통해 전쟁 자금을 조달했는지 상세히 밝혔고, 이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295 채택으로 이어졌다. 이 결의안은 다이아몬드 원산지 추적과 통제를 강화하는 시스템 구축 논의를 촉발했으며, 같은 해 남아프리카 공화국 킴벌리에서 다이아몬드 생산국들이 모여 분쟁 다이아몬드 거래를 막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회의를 개최했다.[43][44][45]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 제도(KPCS)가 탄생했다. 2000년 7월 벨기에 앤트워프에서 열린 세계 다이아몬드 회의에서는 다이아몬드 수출입 시 국제 인증 시스템 도입, 공식 봉인된 다이아몬드만 허용하는 법률 제정, 분쟁 다이아몬드 거래자 처벌 등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채택되었다.[46][47] 2001년에는 다이아몬드 업계가 세계 다이아몬드 위원회를 결성하여 다이아몬드 원산지 인증 절차 마련에 나섰다.[50] 정부, 산업계, 비정부기구 간의 2년여 간의 협상 끝에 KPCS는 2002년 3월 UN의 승인을 받았고[51], 같은 해 11월 공식적으로 출범했다.
KPCS는 다이아몬드 원석이 광산에서 최종 판매처까지 이동하는 전 과정을 추적하고, 회원국 간에만 거래를 허용하며, 각국 정부가 발급한 원산지 증명서를 첨부하도록 의무화했다. 이를 통해 분쟁 지역에서 생산된 다이아몬드가 합법적인 시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분쟁 당사자들의 자금줄을 끊어 평화 정착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실제로 KPCS 시행 이후 분쟁 다이아몬드 유통량은 크게 감소했으며, 시에라리온과 같이 내전을 겪었던 국가에서 합법적인 다이아몬드 수출이 증가하여 국가 재정에 기여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나타났다. 2006년 시에라리온은 약 1.25억달러 상당의 다이아몬드를 합법적으로 수출했는데, 이는 1990년대 말과 비교하면 상당한 변화였다.[52]
그러나 KPCS는 여러 한계점을 드러냈다. 일부 생산국의 부패한 관리들이 뇌물을 받고 분쟁 다이아몬드에 합법 인증서를 발급해주는 사례가 발생했으며[54], 제도의 허점을 이용한 밀수도 완전히 근절되지 않았다. 결국 KPCS 출범에 기여했던 글로벌 위트니스는 2011년, 제도가 더 이상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참여 중단을 선언했다.[53]
냉전 종식 이후 국제 정세 변화도 분쟁 다이아몬드 문제에 영향을 미쳤다. 냉전 시대에는 동서 양 진영이 각자의 동맹 세력인 반군 조직에 무기를 무상으로 지원했지만, 냉전이 끝나면서 이러한 지원이 끊겼다. 이에 따라 반군 조직들은 무기상으로부터 무기를 구매하기 위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다이아몬드 광산을 점령하고 채굴한 다이아몬드를 불법적으로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서구 국가들은 무기 판매와 값싼 다이아몬드 구매를 통해 이익을 얻는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국제사회는 개별 분쟁 국가에 대해서도 제재 조치를 취했다.
- 앙골라: 1998년 UN 안보리 결의 1173을 통해 다이아몬드 금수 조치를 받았다.[66] 내전 종식 후 현재는 합법적인 다이아몬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70]
- 시에라리온: 혁명연합전선(RUF)의 자금원을 차단하기 위해 2000년 UN 안보리 결의 1306에 따라 미인증 다이아몬드 수입이 금지되었다. 국제 연합 시에라리온 파견단(UNAMSIL)이 평화 유지를 위해 파견되었고, 다이아몬드 불법 거래와 무기 거래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한 전문가 소위원회가 활동했다.
- 라이베리아: 찰스 테일러 정권이 시에라리온 반군을 지원했다는 이유로 2001년 UN의 다이아몬드 거래 제재를 받았다.[70] 테일러 정권 붕괴 후 평화를 회복하고 KPCS 회원국이 되었다.
- 코트디부아르: 내전 발발 후 라이베리아와 시에라리온산 다이아몬드의 불법 수출 통로가 되자, 2005년 UN 안보리에 의해 다이아몬드 수출이 전면 금지되었다.[70][72]
4. 1. 미국의 정책
2001년 1월 18일, 빌 클린턴 대통령은 UN 결의안에 따라 시에라리온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거친 다이아몬드를 금지하는 행정 명령 13194를 발표했다.[57] 이후 2001년 5월 22일에는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라이베리아로부터 미국으로의 거친 다이아몬드 수입을 금지하는 행정 명령 13213을 발표했다. 당시 라이베리아는 UN에 의해 시에라리온산 분쟁 다이아몬드의 주요 유통 경로로 지목된 상태였다.[58]미국 의회는 분쟁 다이아몬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에 발맞춰 2003년 4월 25일에 청정 다이아몬드 무역법(Clean Diamond Trade Act, CDTA)을 제정했으며,[59] 이는 같은 해 7월 29일 행정 명령 13312를 통해 공식적으로 시행되었다.[60][61] CDTA는 미국 내에서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 제도(KPCS)를 이행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한 것으로, 세계 최대의 다이아몬드 소비국인 미국의 참여는 KPCS의 성공에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했다. 해당 법안에는 "다이아몬드 세계 공급량의 다수를 소비하는 국가로서, 미국은 다이아몬드와 분쟁 간의 연결을 끊고 효과적인 해결책의 시행을 촉구해야 할 의무가 있다."라고 명시되어 미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했다.[59]
미국 국무부는 분쟁 다이아몬드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여를 위해 특별 고문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다. 2015년 10월 14일 기준으로 애슐리 오르바흐(Ashley Orbach)가 이 직책을 맡고 있었다.[62]
4. 2. 캐나다의 정책
1990년대 캐나다 북부에서 다이아몬드가 풍부한 지역이 발견되면서, 캐나다는 다이아몬드 산업의 주요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캐나다는 이전부터 아프리카 문제에 관여해왔는데, 1986년 아프리카의 위기 상황을 돕기 위해 설립된 파트너십 아프리카 캐나다는 합법적인 다이아몬드 산업을 개선하고 규제하는 데 기여하는 '''다이아몬드 개발 이니셔티브'''의 일부이기도 하다.2000년 5월 남아프리카 공화국 주도로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 제도(KPCS)가 시작되었을 때, 캐나다는 이를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캐나다는 분쟁 다이아몬드의 거래를 막기 위해 다이아몬드 원석의 수출입 및 이동을 규제하는 여러 법률을 제정했다. 특히 2002년 12월에는 다이아몬드 원석 수출입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캐나다를 통과하는 다이아몬드 원석의 수입, 수출, 운송을 통제하는 시스템으로 기능한다. 또한, 이 법은 킴벌리 프로세스를 다이아몬드 원석 인증의 최소 요건으로 명시하며, 모든 다이아몬드 선적 시 인증서(캐나다 인증서)를 요구한다. 이 법에 따라 조사관은 법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는 다이아몬드 선적을 몰수할 권한을 갖는다.[63]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 정부(GNWT)는 독자적인 인증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들은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채굴, 연마, 광택 처리된 모든 다이아몬드에 대해 정부 인증서를 발급한다. 캐나다산 다이아몬드는 광산에서 소매점에 이르기까지 고유한 다이아몬드 식별 번호(DIN)가 다이아몬드 거들에 레이저로 새겨져 추적된다. 이 인증서를 받기 위해서는 해당 다이아몬드가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연마 및 광택 처리되어야 한다.
4. 3. 유럽의 정책
유럽 연합(EU)은 과거 여러 아프리카 국가들의 종주국이었던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개발 원조를 통해 이들 국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2001년, EU의 경제, 사회, 환경 정책 담당 기관인 유럽 공동체(EC, European Community)는 제3세계 국가 내에서의 분쟁을 막기 위한 프로그램의 운영 지침 4가지를 채택했다.# 분쟁의 원인에 대해 EU 관련 기관들이 서로 연계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인다.
# 다이아몬드나 소형 화기 밀수와 같이 분쟁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을 없애기 위해 더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한다.
#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 EU 회원국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협력을 목표로 한다.
이 프로그램은 2001년 6월, '예테보리 무력 분쟁 방지 프로그램'(Gothenbur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Violent Conflictseng)이라는 이름으로 발효되었으며, 이 안에서 평화적인 방법으로 분쟁을 피하는 것이 공동 외교·안보 정책과 유럽 안보 방위 정책의 목적에 맞는다고 밝히고 있다.
5. 분쟁 다이아몬드 문제의 현황과 과제
분쟁 다이아몬드는 내전 등 분쟁 지역에서 생산되어, 그 판매 대금이 분쟁 당사자, 주로 반군의 무기 구매 자금으로 사용되는 다이아몬드를 지칭한다. 다이아몬드는 무게 대비 가치가 매우 높아 운반과 밀거래가 용이하여[5] 분쟁 자금 조달에 쉽게 악용될 수 있다. 특히 충적 다이아몬드는 킨벌라이트 다이아몬드와 달리 대규모 자본 투자 없이 수공구만으로 채굴이 가능해 반군 세력이 통제하기 용이하다.[6] 이러한 다이아몬드 거래는 분쟁을 장기화시키고, 채굴 과정에서 강제 노동 등 심각한 인권 침해를 야기한다.
냉전 시대에는 강대국들이 각 진영의 반군에게 무기를 지원했으나, 냉전 종식 후 이러한 지원이 끊기자 반군들은 스스로 무기 구매 자금을 마련해야 했다. 다이아몬드 산출국의 반군은 광산을 점령하고 다이아몬드를 채굴하여 무기상에게 판매함으로써 자금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서구 국가들이 무기 판매와 저렴한 다이아몬드 구매를 통해 이익을 얻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심지어 마이클 로스가 '전리품 선물'이라고 명명한 방식, 즉 아직 채굴되지 않은 미래의 다이아몬드 생산 권리를 담보로 자금을 미리 확보하는 방식까지 등장하여 분쟁을 더욱 부추겼다.[7]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국제 사회는 분쟁 다이아몬드 유통을 막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1998년 유엔은 처음으로 분쟁 다이아몬드가 전쟁 자금원이 되고 있음을 지적했고[66],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시에라리온 등 분쟁 지역의 다이아몬드 수출을 금지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8][71] 특히 시에라리온의 경우, 2000년 유엔 안보리는 결의안 1306호를 통해 정부 인증 없는 다이아몬드 원석 수입을 금지하고, 전문가 소위원회를 설치하여 불법 다이아몬드 거래와 무기 거래의 연관성을 조사하도록 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다이아몬드 산업계 자체적으로도 문제 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일어났다. 2000년 5월, 남아프리카의 다이아몬드 생산국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킴벌리에서 회의를 열어 분쟁 다이아몬드 거래 중단 방안을 논의했다.[74][75] 같은 해 7월 앤트워프에서 열린 세계 다이아몬드 회의에서는 다이아몬드 원산지 국제 인증 시스템 도입, 불법 거래자 처벌 등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채택되었고[46][47][76][77], 2001년 1월에는 세계 다이아몬드 위원회가 결성되어 다이아몬드 원산지 인증 절차 마련에 착수했다.[50][78]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2002년 11월, 정부, 다이아몬드 업계, 비정부 기구(NGO) 간의 협상을 거쳐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 제도(KPCS)가 출범했으며, 2003년부터 시행되었다.[51][79] 킴벌리 프로세스는 다이아몬드 원석이 광산에서 최종 판매처까지 이동하는 전 과정을 추적하고, 참가국 정부가 발행한 원산지 증명서가 첨부된 다이아몬드 원석만 합법적인 거래를 허용하는 시스템이다. 참가국은 비참가국과의 거래가 금지된다.[49]
킴벌리 프로세스는 분쟁 다이아몬드의 국제 거래량을 상당 부분 감소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합법적인 다이아몬드 수출이 증가하면서 시에라리온과 같은 국가의 정부 수입이 늘어나고 국가 재건에 기여하기도 했다. 2006년 시에라리온은 약 1.25억달러 상당의 다이아몬드를 합법적으로 수출했는데, 이는 1990년대 말 거의 전무했던 것에 비하면 큰 변화이다.[52] 또한, 수출입 기록 의무화를 통해 정부의 투명성을 높이려는 시도도 있었다.
그러나 킴벌리 프로세스는 여러 한계점과 비판에 직면해 있다. 제도의 허점을 이용한 분쟁 다이아몬드 밀거래는 여전히 근절되지 않았으며, 일부 생산국의 부패한 관리들이 하루 50USD에서 100USD 정도의 뇌물을 받고[54] 분쟁 다이아몬드에 합법 인증서를 발급해주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베네수엘라와 같이 제도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국가들의 문제도 발생했다.[53]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국제 NGO인 글로벌 위트니스는 2011년 킴벌리 프로세스 참여 중단을 선언하기도 했다.[53]
킴벌리 프로세스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들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Materialytics사는 레이저 유도 붕괴 분광법을 이용해 다이아몬드의 지질학적 특징을 분석하여 원산지를 거의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55]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다이아몬드 공급망 전체를 투명하게 기록하고 추적하는 시스템도 개발되고 있다. Everledger와 같은 회사는 IBM과 협력하여 블록체인 기반 다이아몬드 추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64] 하지만 여전히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다이아몬드의 출처를 소비자가 명확히 확인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56]
한편, 기술 발전을 통해 랩그로운 다이아몬드(실험실에서 합성된 다이아몬드)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채굴 다이아몬드의 윤리적, 환경적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랩그로운 다이아몬드는 물리적, 화학적으로 천연 다이아몬드와 동일하지만, 분쟁 및 인권 문제에서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65]
분쟁 다이아몬드 문제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며, 킴벌리 프로세스의 강화, 새로운 추적 기술의 도입,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 인식 개선 등 다각적인 노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과제이다.
6. 한국의 역할과 과제
국제 연합(UN)은 1998년 분쟁 다이아몬드가 전쟁 자금 조달에 이용되고 있음을 처음으로 지적했다.[66] 그러나 다이아몬드 원산지 인증 제도 마련을 위한 움직임은 다이아몬드 산업계로부터 시작되었다. 2000년 5월, 남아프리카의 다이아몬드 생산국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킴벌리에 모여 분쟁 다이아몬드 거래를 중단하고, 소비자가 구매하는 다이아몬드가 폭력과 무관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했다.[74][75]
이후 2000년 7월 19일, 벨기에 앤트워프에서 열린 세계 다이아몬드 회의(World Diamond Congress)에서는 분쟁 다이아몬드 유통을 막기 위한 산업계의 역량 강화 결의안이 채택되었다.[76][77] 이 결의안은 다이아몬드 수출입 시 인증 시스템 도입, 모든 국가의 공식 봉인된 다이아몬드 포장만을 수용하는 법 제정, 분쟁 다이아몬드 운송 관여자에 대한 처벌 등을 요구했다. 또한, 분쟁 다이아몬드 거래에 연루된 개인은 전 세계 24개 세계 다이아몬드 거래소 연맹(World Federation of Diamond Bourses) 소속 거래소에서 퇴출하기로 결정했다.[77]
2001년 1월 17일과 1월 18일에는 다이아몬드 산업 관계자들이 모여 새로운 기구인 월드 다이아몬드 위원회(World Diamond Council)를 창설했다. 이는 모든 다이아몬드의 출처가 분쟁과 관련 없음을 인증하는 새로운 절차의 시작을 의미했다.[78]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마련된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 제도(KPCS)는 2002년 3월 13일 국제 연합의 승인을 받았으며[79], 정부, 다이아몬드 업계, 비정부기구(NGO) 간 2년간의 협상을 거쳐 2002년 11월 최종적으로 채택되었다.
7. 대중문화 속 분쟁 다이아몬드
분쟁 다이아몬드 문제는 여러 대중문화 작품을 통해 알려졌다. 특히 에드워드 즈윅 감독의 2006년 영화 ''블러드 다이아몬드''는 시에라리온 내전을 배경으로 분쟁 다이아몬드를 둘러싼 비극적인 현실과 킴벌리 프로세스의 필요성을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지몬 혼수가 주연한 이 영화는 서아프리카의 다이아몬드 거래 실태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을 높였다.
미국의 래퍼 카니예 웨스트 역시 2005년 발표한 그래미상 수상곡 "Diamonds from Sierra Leone"을 통해 시에라리온의 블러드 다이아몬드 문제를 고발했다. 특히 리믹스 버전에서는 다이아몬드의 어두운 출처에 무관심한 서구 사회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 외에도 다양한 작품에서 분쟁 다이아몬드를 소재로 다루었다.
'''영화'''
- 007 어나더데이 (2002): 제임스 본드 시리즈 영화로, 분쟁 다이아몬드가 이야기의 핵심 요소로 등장한다.
- 로드 오브 워 (2005): 니콜라스 케이지 주연의 영화로, 시에라리온에서 무기와 다이아몬드를 교환하는 장면을 묘사한다.
- Ayan (2009): 타밀 영화로, 콩고 민주 공화국의 반군 단체가 AK-47 소총 구매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블러드 다이아몬드를 판매하는 내용을 다룬다.
- Ambassadøren (2011): 덴마크 감독 마즈 브뤼거의 다큐멘터리 영화로, 블러드 다이아몬드를 이용해 돈을 벌 목적으로 외교관 여권을 거래하는 실태를 파헤친다.
- 언컷 젬스 (2018): 암시장에서 거래되는 블러드 다이아몬드를 소재로 한 영화이다.
'''텔레비전'''
- 클로즈업 현대 (2000): 일본 NHK의 시사 프로그램으로, 2000년 11월 15일 방송분에서 분쟁 다이아몬드 문제를 다루었다.
- 법과 질서 (2001): 미국 드라마 시리즈의 "Soldier of Fortune" 에피소드에서 시에라리온의 블러드 다이아몬드와 관련된 살인 사건을 그렸다.
- CSI: 마이애미 (2007): "Man Down" 에피소드에서 아프리카 블러드 다이아몬드 밀매를 다루었다.
- CSI: NY (시즌 3, 에피소드 2): 보석상 강도 사건을 추적하며 블러드 다이아몬드를 되찾으려는 범죄 조직의 이야기를 다룬다.
- 하와이 파이브-0 (2010): 시즌 2의 "Kalele" 에피소드에서 분쟁 다이아몬드 밀수를 소재로 삼았다.
'''게임'''
- Diamond Trust of London: 킴벌리 프로세스 시행 이전 앙골라에서 다이아몬드를 채굴하는 경쟁을 배경으로 한다.
- 총성과 다이아몬드: 분쟁 다이아몬드가 핵심 아이템으로 등장하는 어드벤처 게임이다.
- 파 크라이 2: 게임 내 통화이자 주요 스토리 요소로 블러드 다이아몬드를 사용한다.
- Grand Theft Auto 시리즈 (Grand Theft Auto IV, Grand Theft Auto: The Lost and Damned, Grand Theft Auto: The Ballad of Gay Tony): 암시장에서 거래되는 블러드 다이아몬드와 관련된 임무들이 등장한다.
- 메탈 기어 솔리드 V: 더 팬텀 페인: 앙골라 내전과 분쟁 다이아몬드를 주요 테마로 다룬다.
'''소설 및 만화'''
- 존 랜드, ''Blood Diamonds'' (2002): 분쟁 다이아몬드를 소재로 한 스릴러 소설이다.
- 로켓맨: 일본 만화로, 제1화 "R is for ROCKET"에서 분쟁 다이아몬드를 주제로 다루었다.
참조
[1]
웹사이트
Conflict Diamonds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2001-03-21
[2]
간행물
Conflict resources: from 'curse' to blessing
https://www.un.org/a[...]
Africa Renewal
2007-01-01
[3]
웹사이트
Global Summary 2008
https://kimberleypro[...]
[4]
논문
Diamond Wars? Conflict Diamonds and Geographies of Resource Wars
2008-04-14
[5]
논문
Natural resources and civil strife: a two-stage process
2004-03-01
[6]
논문
A Diamond Curse?
2005-08-01
[7]
서적
Booty futures
University of California
2005
[8]
서적
Fuelling war: Natural resources and armed conflict
Adelphi Paper
2003
[9]
웹사이트
The Kimberley Controls: How Effective?
2020-10-08
[10]
웹사이트
WORLDDIAMONDCOUNCIL.COM
2015-08-30
[11]
웹사이트
Conflict Diamonds - DiamondFacts.org
2006-12-05
[12]
웹사이트
Conflict Diamonds
[13]
서적
Diamonds and Conflict: Problems and Solutions
https://books.google[...]
N ova Publishers
[14]
웹사이트
Selling blood diamonds is as simple as a Facebook post and a WhatsApp message
https://qz.com/afric[...]
2017-06-26
[15]
웹사이트
Background - Conflict Diamonds- DiamondFacts.org
2006-12-05
[16]
웹사이트
The Heart of the Matter: Sierra Leone, Diamonds and Human Security - Partnership Africa Canada - Sierra Leone Web
2006-12-05
[17]
웹사이트
The Land of Conflict: Ivory Coast Diamonds
https://en.israelidi[...]
The Israeli Diamond Industry
2016-10-10
[18]
웹사이트
Campaigners call for urgent action on Zimbabwe blood diamonds and wider reform of the Kimberley Process to prevent abuse - media library - global witness
2011-05-24
[19]
웹사이트
Home Page
http://documents-dds[...]
[20]
웹사이트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2017-05-08
[21]
웹사이트
Enforcement
https://www.kimberle[...]
2021-01-09
[22]
뉴스
Blood, sweat and ice
https://www.theguard[...]
2000-11-09
[23]
뉴스
Pressure Makes Diamonds
http://cashfordiamon[...]
2012-09-01
[24]
뉴스
Ex-Liberian Leader Gets 50 Years for War Crimes
https://www.nytimes.[...]
2012-05-30
[25]
뉴스
Al-Qaeda 'traded blood diamonds'
http://news.bbc.co.u[...]
2003-02-20
[26]
뉴스
UN Security Council votes to lift ban on Liberian diamond exports
http://www.cbc.ca/ne[...]
Associated Press
2013-12-11
[27]
뉴스
Sierra Leone Measures Terror in Severed Limbs
https://www.nytimes.[...]
1999-08-22
[28]
논문
2013
[29]
간행물
The Truth About Diamonds : Conflict and Development.
https://www.globalwi[...]
2006
[30]
웹사이트
How the African Diamond Trade Works
http://money.howstuf[...]
2008-04-21
[31]
웹사이트
Conflict Diamond statistics
2016
[32]
웹사이트
2005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in Africa : Sierra Leone
https://2009-2017.st[...]
2006
[33]
웹사이트
How diamonds fuel Africa's conflicts
http://edition.cnn.c[...]
2012
[34]
웹사이트
Ethical Issue Analysis: Blood Diamond Analysis
https://www.scribd.c[...]
2012
[35]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 Sierra Leone
http://hdr.undp.org/[...]
2016
[36]
논문
The Truth About Diamonds: Conflict and Development
https://www.globalwi[...]
Global Witness
2006-11-08
[37]
웹사이트
Ethical Issue Analysis – Blood Diamond Analysis
https://www.scribd.c[...]
2012-03-01
[38]
뉴스
Blood Diamonds No Longer Congo-Brazzaville's Best Friend
https://web.archive.[...]
IPS
2007-11-30
[39]
뉴스
Zimbabwe gets go-ahead to sell diamonds again
https://www.independ[...]
2011-10-23
[40]
웹사이트
Zimbabwe Nears Approval for Marange-Field Diamond Exports
https://www.wsj.com/[...]
2010-05-28
[41]
웹사이트
A Rough Trade: The Role of Companies and Governments in the Angolan Conflict
http://www.globalwit[...]
Global Witness
1998-12-01
[42]
서적
Glitter & Greed: The Secret World of the Diamond Empire
https://books.google[...]
The Disinformation Company
[43]
웹사이트
Final Report of the UN Panel of Experts ("The "Fowler Report")
http://www.globalpol[...]
Global Policy Forum
2000-03-10
[44]
웹사이트
Resolution 1295 (2000)
http://documents-dds[...]
[45]
웹사이트
Resolution and Statements of the Security Council 2000
https://www.un.org/N[...]
[46]
웹사이트
Fact #6 – The Facts
https://web.archive.[...]
2006-12-09
[47]
뉴스
Diamond leaders in pact to ban 'conflict gems' funding African wars
https://web.archive.[...]
2000-07-19
[48]
웹사이트
Chair
https://www.kimberle[...]
2018-10-27
[49]
웹사이트
Diamonds, Development, and Democracy
https://web.archive.[...]
debeersgroup.com
[50]
웹사이트
World Diamond Council
https://web.archive.[...]
2017-07-18
[51]
웹사이트
UN Resolution 56/263 – The role of diamonds in fueling conflict: breaking the link between the illicit transaction of rough diamonds and armed conflict as a contribution to prevention and settlement of conflicts
http://documents-dds[...]
2006-11-06
[52]
뉴스
Kimberley Process basics
https://web.archive.[...]
[53]
뉴스
NGO Global Witness leaves diamond vetting scheme
https://www.bbc.co.u[...]
2011-12-05
[54]
웹사이트
Blood Diamond Farce
http://archive.lewro[...]
2010-08-11
[55]
웹사이트
Diamonds: GSA 2015: Determination of Diamond Provenance
https://web.archive.[...]
[56]
웹사이트
The Real Story & History of Conflict Blood Diamonds
https://web.archive.[...]
2017-10-20
[57]
웹사이트
FR Doc. 01–2140 – Executive Order 13194 of January 18, 2001 – Prohibiting the Importation of Rough Diamonds From Sierra Leone
http://frwebgate.acc[...]
2006-12-24
[58]
웹사이트
FR Doc. 01–13381 – Executive Order 13213 – Additional Measures With Respect To Prohibiting the Importation of Rough Diamonds From Sierra Leone
http://frwebgate.acc[...]
2006-12-24
[59]
웹사이트
Public Law 108-19 – An Act To implement effective measures to stop trade in conflict diamonds, and for other purposes. Apr. 25, 2003
http://www.fas.org/a[...]
2006-12-24
[60]
웹사이트
FR Doc. 03-19676 – Executive Order 13312 of July 29, 2003 – Implementing the Clean Diamond Trade Act
https://web.archive.[...]
2006-12-24
[61]
웹사이트
GAO-06-978, Conflict Diamonds: Agency Actions Needed to Enhance Implementation of the Clean Diamond Trade Act
https://web.archive.[...]
2006-09-27
[62]
웹사이트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https://2009-2017.st[...]
[63]
웹사이트
Stop Blood Diamonds – Creating a Conflict Free Diamond World
https://web.archive.[...]
[64]
뉴스
IBM Pushes Blockchain into the Supply Chain
https://www.wsj.com/[...]
2016-07-14
[65]
웹사이트
Can lab-grown diamonds replace the real thing?
https://www.cnn.com/[...]
2020-09-28
[66]
간행물
안보리결의 1173호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173
http://daccessdds.un[...]
United Nations
[67]
웹사이트
キンバリー管理:どの程度効果があるのか? The Kimberley Controls: How Effective?
http://blooddiamond.[...]
アフリカ・カナダパートナーショップ (Partnership Africa Canada)
2007-01-07
[68]
웹사이트
ダイヤモンド生産量推計1999年
http://www.worlddiam[...]
ワールド・ダイヤモンド・カウンシル
2006-11-05
[69]
웹사이트
紛争ダイヤモンド Conflict diamonds
http://www.diamondfa[...]
ワールド・ダイヤモンド・カウンシル - DiamondFacts.org
2006-11-05
[70]
웹사이트
紛争ダイヤモンド Conflict diamonds
http://www.diamondfa[...]
ワールド・ダイヤモンド・カウンシル - DiamondFacts.org
2006-11-05
[71]
문서
국연 안보리 결의 제1270호 원문
wikisource:United Na[...]
1999-10-22
[72]
웹사이트
The Heart Of The Matter Sierra Leone, Diamonds & Human Security
http://www.sierra-le[...]
2006-11-05
[73]
문서
무색 투명한 최고급의 컬러 (다이아몬드의 컬러 등급)
[74]
웹사이트
Background
http://www.kimberley[...]
2006-12-08
[75]
UN문서
안보리 결의 1295호 Resolution 1295 (2000)
http://daccessdds.un[...]
2000-04-18
[76]
웹사이트
Fact#6
http://www.diamondfa[...]
2006-12-08
[77]
뉴스
다이아몬드 리더들이 아프리카 전쟁의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분쟁 보석” 금지에 합의했다. Diamond leaders in pact to ban 'conflict gems' funding African wars
http://archives.cnn.[...]
2000-07-19
[78]
웹사이트
월드 다이아몬드 카운슬 제1회 연차 총회 의장 보고서 Chairman's Report
http://www.worlddiam[...]
2006-11-06
[79]
UN문서
UN Resolution 56/263 - The role of diamonds in fueling conflict: breaking the link between the illicit transaction of rough diamonds and armed conflict as a contribution to prevention and settlement of conflicts
http://daccessdds.un[...]
2002-03-13
[80]
웹사이트
http://www.fatalrans[...]
[81]
웹사이트
Canadian Policy and Laws Regarding Blood Diamonds
https://stopblooddia[...]
2018-04-08
[82]
웹사이트
추적 “더러운 다이아몬드” - NHK 클로즈업 현대 전 기록
https://www.nhk.or.j[...]
NHK
2022-05-02
[83]
웹사이트
Welcome to The Conflict-Free Diamond Council!
https://web.archive.[...]
[84]
Youtube
Akon Interview with Howard Stern part 4 of 4
https://www.youtube.[...]
2018-04-08
[85]
뉴스
Akon: So what if I own a diamond mine?
https://www.independ[...]
2007-02-16
[86]
웹사이트
Was your sparking diamond produced by child slaves or polished by bonded children?
https://web.archive.[...]
[87]
뉴스
북한산 “피로 물든 광물”의 금수를 실현하자!
https://kenkato.blog[...]
2018-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