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의약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체의약품은 생물체에서 유래한 물질이나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의약품을 의미한다. 생체 유래 물질에는 혈액 제제, 장기 및 조직 이식, 항체 등이 있으며,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한 제품에는 인슐린, 성장 호르몬, 인터페론, 단클론 항체 등이 있다. 이러한 생물의약품은 류마티스학, 종양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한다. 생물의약품은 복잡한 규제와 높은 비용으로 인해 약제경제학적 우려를 낳기도 하며, 바이오시밀러라는 복제약 개발을 통해 의약품 가격을 낮추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생물의약품은 엄격한 규제를 받으며, 각 국가별로 허가 및 심사 절차가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약업 - 임상시험
임상시험은 새로운 의약품이나 치료법의 효능과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연구 과정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안전성 검토, 효능 확인, 부작용 관찰 등을 통해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고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 제약업 - 복제약
복제약은 오리지널 의약품 특허 만료 후 동일한 유효 성분으로 제조되어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지만 품질 및 효능 논란이 있어 정부가 약가 및 품질을 관리하는 의약품이다. - 약학 - 약사
약사는 의약품 전문가로서 환자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 사용을 보장하며, 처방 검토, 환자 상담, 약물 치료 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약국, 병원, 제약회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팀 의료에서 역할이 강조된다. - 약학 - 다제내성
다제내성균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세균으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확장 스펙트럼 베타락타마제 생성 그람음성균 등을 포함하며, ESKAPE 그룹은 항생제 내성이 빠르게 증가하여 주요 병원균으로 간주된다. - 생명공학 - 사이보그
사이보그는 인공 부위를 이식받아 신체 기능이 복원되거나 향상된 개조 생명체로, 보철, 인공 장기 등의 기술을 포함하며 의료, 윤리, 군사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의를 낳고 있다. - 생명공학 - CRISPR
CRISPR은 세균과 고세균이 외래 유전 물질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적응 면역 시스템으로, CRISPR-Cas9 시스템은 유전자 편집 기술로 발전하여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유전 질환 치료,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잠재력을 지닌다.
생체의약품 | |
---|---|
정의 | |
설명 | 생물학적 공급원에서 생산되는 약물 |
분류 | |
종류 | 재조합 단백질 단클론항체 백신 세포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
특징 | |
복잡성 | 화학 합성 약물보다 복잡한 구조를 가짐 |
생산 | 살아있는 세포를 이용하여 생산 |
투여 경로 | 주사 또는 정맥 주입과 같은 비경구 투여 방식이 일반적임 |
민감성 | 온도, pH, 습도 변화에 민감함 |
규제 | |
승인 기관 |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 의약품청(EMA) |
시장 | |
특징 | 고가이며 전문 약국을 통해 유통되는 경우가 많음 |
참고 | |
관련 용어 | 바이오시밀러 첨단 치료 의약품(ATMP) |
2. 주요 분류
생물의약품은 크게 생체 유래 물질과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한 제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생체 유래 물질 ===
생물의약품의 가장 오래된 형태는 사람이나 동물의 신체에서 추출한 것이다. 주요 생체의약품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인슐린과 같이 과거에는 동물에서 추출했던 일부 생물의약품은 현재 재조합 DNA 기술을 통해 생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한 제품 ===
생체의약품은 재조합 DNA 기술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치료제(승인되었거나 개발 중)를 의미한다. 이러한 좁은 의미의 생물의약품은 류마티스학과 종양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심장학, 피부과학, 위장병학, 신경학 등 다양한 의학 분야에도 영향을 주고있다. 기존 치료법이 효과가 없거나 부적절했던 많은 질병에 대한 주요 치료 옵션을 제공한다.
최초로 승인된 치료 목적 물질은 재조합 DNA를 통해 만들어진 생합성 "인간" 인슐린이다. 제넨테크에서 개발하고 일라이 릴리 앤 컴퍼니에서 라이선스를 받아 1982년부터 제조 및 판매되었으며, 휴물린이라는 상품명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생물의약품 종류는 다음과 같다.
- 혈액 인자 (제8인자 및 제9인자)
- 혈전 용해제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 호르몬 (인슐린, 글루카곤, 성장 호르몬, 생식샘 자극 호르몬)
- 조혈 성장 인자 (에리트로포이에틴, 집락 자극 인자)
- 인터페론 (인터페론-α, -β, -γ)
- 인터류킨 기반 제품 (인터류킨-2)
- 백신 (B형 간염 표면 항원)
- 단클론 항체 (다양한)
- 추가 제품 (종양 괴사 인자, 치료 효소)
생물의약품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 신체의 주요 신호 단백질과 (거의) 동일한 물질 (예: 에리트로포이에틴, 성장 호르몬, 인슐린)
# 단클론 항체: 인간 면역계의 항체와 유사하지만, 특정 물질을 중화하거나 차단하도록 맞춤형으로 설계됨
# 수용체 구성물(융합 단백질): 면역글로불린 구조에 연결된 자연 발생 수용체 기반
생물학적 치료제의 출현은 복잡한 규제 문제를 제기하고, 기존 약물보다 훨씬 높은 비용으로 인해 약제경제학적 우려를 낳았다. 특히 만성 질환 치료나 암 치료에 사용될 때 이러한 문제가 두드러진다. 단클론 항체 치료 비용은 환자 1인당 연간 7,000~14,000유로에 달한다.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등에 생물학적 치료를 받는 노년층 환자는 감염, 심혈관 이상 반응, 악성 종양 위험이 증가한다.[14]
USAN/INN | 상품명 | 적응증 | 기술 | 작용 기전 |
---|---|---|---|---|
아바타셉트 | 오렌시아 | 류마티스 관절염 | 면역글로불린 CTLA-4 융합 단백질 | T 세포 비활성화 |
아달리무맙 | 휴미라 |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건선 관절염, 건선,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 단클론 항체 | TNF 수용체 길항제 |
알레파셉트 | 아메비브 | 만성 판상 건선 | 면역글로불린 G1 융합 단백질 | 불완전하게 특징화됨 |
에리트로포이에틴 | 에포젠 | 암 화학요법, 만성 신부전 등으로 인한 빈혈 | 재조합 단백질 | 적혈구 생성 자극 |
에타너셉트 | 엔브렐 |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건선 관절염, 건선 | 재조합 인간 TNF-수용체 융합 단백질 | TNF 길항제 |
인플릭시맙 | 레미케이드 |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건선 관절염, 건선,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 단클론 항체 | TNF 길항제 |
트라스투주맙 | 허셉틴 | 유방암 | 인간화 항체 단클론 항체 | HER2/neu (erbB2) 길항제 |
우스테키누맙 | 스텔라라 | 건선 관절염, 건선,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 인간화 항체 단클론 항체 | IL-12 및 IL-23 길항제 |
데닐류킨 디프티톡스 | 온탁 | 피부 T세포 림프종(CTCL) | 디프테리아 독소와 인터류킨-2를 결합한 유전자 조작 단백질 | 인터류킨-2 수용체 결합체 |
골리무맙 | 심포니 |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궤양성 대장염 | 단클론 항체 | TNF 수용체 길항제 |
베돌리주맙 | 엔티비오 |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 단클론 항체 | α4β7 인테그린 차단제 |
이세키주맙 | 탈츠 | 판상 건선, 건선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비방사선 축성 척추관절염 | 인간화 단클론 항체 | IL-17A 중화제 |
2. 1. 생체 유래 물질
생물의약품의 가장 오래된 형태는 사람이나 동물의 신체에서 추출한 것이다. 주요 생체의약품에는 다음이 포함된다.인슐린과 같이 과거에는 동물에서 추출했던 일부 생물의약품은 현재 재조합 DNA 기술을 통해 생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2.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한 제품
생체의약품은 재조합 DNA 기술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치료제(승인되었거나 개발 중)를 의미한다. 이러한 좁은 의미의 생물의약품은 류마티스학과 종양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심장학, 피부과학, 위장병학, 신경학 등 다양한 의학 분야에도 영향을 주고있다. 기존 치료법이 효과가 없거나 부적절했던 많은 질병에 대한 주요 치료 옵션을 제공한다.최초로 승인된 치료 목적 물질은 재조합 DNA를 통해 만들어진 생합성 "인간" 인슐린이다. 제넨테크에서 개발하고 일라이 릴리 앤 컴퍼니에서 라이선스를 받아 1982년부터 제조 및 판매되었으며, 휴물린이라는 상품명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생물의약품 종류는 다음과 같다.
- 혈액 인자 (제8인자 및 제9인자)
- 혈전 용해제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 호르몬 (인슐린, 글루카곤, 성장 호르몬, 생식샘 자극 호르몬)
- 조혈 성장 인자 (에리트로포이에틴, 집락 자극 인자)
- 인터페론 (인터페론-α, -β, -γ)
- 인터류킨 기반 제품 (인터류킨-2)
- 백신 (B형 간염 표면 항원)
- 단클론 항체 (다양한)
- 추가 제품 (종양 괴사 인자, 치료 효소)
생물의약품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 신체의 주요 신호 단백질과 (거의) 동일한 물질 (예: 에리트로포이에틴, 성장 호르몬, 인슐린)
# 단클론 항체: 인간 면역계의 항체와 유사하지만, 특정 물질을 중화하거나 차단하도록 맞춤형으로 설계됨
# 수용체 구성물(융합 단백질): 면역글로불린 구조에 연결된 자연 발생 수용체 기반
생물학적 치료제의 출현은 복잡한 규제 문제를 제기하고, 기존 약물보다 훨씬 높은 비용으로 인해 약제경제학적 우려를 낳았다. 특히 만성 질환 치료나 암 치료에 사용될 때 이러한 문제가 두드러진다. 단클론 항체 치료 비용은 환자 1인당 연간 7,000~14,000유로에 달한다.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등에 생물학적 치료를 받는 노년층 환자는 감염, 심혈관 이상 반응, 악성 종양 위험이 증가한다.[14]
USAN/INN | 상품명 | 적응증 | 기술 | 작용 기전 |
---|---|---|---|---|
아바타셉트 | 오렌시아 | 류마티스 관절염 | 면역글로불린 CTLA-4 융합 단백질 | T 세포 비활성화 |
아달리무맙 | 휴미라 |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건선 관절염, 건선,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 단클론 항체 | TNF 수용체 길항제 |
알레파셉트 | 아메비브 | 만성 판상 건선 | 면역글로불린 G1 융합 단백질 | 불완전하게 특징화됨 |
에리트로포이에틴 | 에포젠 | 암 화학요법, 만성 신부전 등으로 인한 빈혈 | 재조합 단백질 | 적혈구 생성 자극 |
에타너셉트 | 엔브렐 |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건선 관절염, 건선 | 재조합 인간 TNF-수용체 융합 단백질 | TNF 길항제 |
인플릭시맙 | 레미케이드 |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건선 관절염, 건선,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 단클론 항체 | TNF 길항제 |
트라스투주맙 | 허셉틴 | 유방암 | 인간화 항체 단클론 항체 | HER2/neu (erbB2) 길항제 |
우스테키누맙 | 스텔라라 | 건선 관절염, 건선,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 인간화 항체 단클론 항체 | IL-12 및 IL-23 길항제 |
데닐류킨 디프티톡스 | 온탁 | 피부 T세포 림프종(CTCL) | 디프테리아 독소와 인터류킨-2를 결합한 유전자 조작 단백질 | 인터류킨-2 수용체 결합체 |
골리무맙 | 심포니 |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궤양성 대장염 | 단클론 항체 | TNF 수용체 길항제 |
베돌리주맙 | 엔티비오 |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 단클론 항체 | α4β7 인테그린 차단제 |
이세키주맙 | 탈츠 | 판상 건선, 건선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비방사선 축성 척추관절염 | 인간화 단클론 항체 | IL-17A 중화제 |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BS)는 생물의약품 복제약으로, 오리지널 의약품과 동등한 품질, 안전성, 유효성을 가진다.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 만료 후 개발되며, 기존 화학 합성 의약품의 제네릭 의약품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한국에서는 "바이오 후속 제제"로도 불리며, 2009년부터 별도의 허가 심사 규정을 적용하고 있다.[42][43][44]
3. 바이오시밀러
2012년과 2019년 사이에 많은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특허가 만료되면서 바이오시밀러 생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17] 바이오시밀러는 저분자 제네릭과 비교하여 다른 규제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며, 21세기의 법률은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중간 수준의 테스트를 인정함으로써 이를 해결했다.[20] 2003년, 유럽 의약품청은 ''유사 생물학적 의약품''이라는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적응된 경로를 도입했다.[21] 미국 내에서 2010년 환자 보호 및 적정 진료법은 FDA의 허가를 받은 기준 생물학적 제품과 바이오시밀러하거나 대체 가능한 생물학적 제품에 대한 간소화된 승인 경로를 만들었다.[22]
바이오시밀러는 선행 바이오의약품과 아미노산 서열은 동일하지만, 세포주나 배양 과정은 제조 회사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당쇄나 불순물의 비율 등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엄격한 품질 시험, 약리 시험, 독성 시험 및 임상 시험을 통해 의약품으로서의 동등성/동질성(comparability, "품질의 유사성이 높고, 품질에 어떤 차이가 있더라도 안전성·유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검증되고 있다.[46]
바이오의약품은 고분자 화합물로, 분자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바이오시밀러에서는 동일성을 나타내는 것이 어려운 점이 제네릭 의약품 (후발 의약품)과 크게 다르다.[47]
바이오시밀러의 일반적인 명칭은, 선행 바이오의약품의 일반적인 명칭(유전자 재조합에 관한 기재를 제외)의 말단에 "후속 1 (2, 3,…)”을 괄호 안에 추가한다.[45] 바이오시밀러의 판매명은, 선행 바이오의약품의 일반적인 명칭("유전자 재조합"은 생략)의 말단에, 바이오 후속 제제임을 나타내기 위해 "BS"를 기재하고, 제형, 함량 및 회사명(상호 등)을 부기하는 것이 원칙이 된다.[45]
예시 트라스투주맙(허셉틴)의 BS로 3번째 제제는,
:*일반명: 트라스투주맙 [트라스투주맙 후속 3]
:*판매명: 트라스투주맙 BS 점적 정맥 주사용 "화이자"
또한, 제네릭 의약품과 마찬가지로, 선행 바이오의약품의 제약 회사가 자회사 등을 통해, 유효 성분이나 제법이 선행품과 동일한 바이오 세임(오소라이즈드 제네릭)도 출시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바이오시밀러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여 의약품 가격을 낮추고 환자 접근성을 높이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3. 1. 한국에서 승인된 바이오시밀러 (2021년 5월 기준)
소마트로핀(제노트로핀), 인슐린 글라르긴(란투스), 인슐린 리스프로(휴마로그), 인슐린 아스파르트(노보래피드)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바이오시밀러가 한국에서 승인되어 사용되고 있다.[45] 필그라스팀(그란), 테리파라티드(포르테오), 에포에틴 알파(에스포), 달베포에틴 알파(네스프) 등도 승인된 바이오시밀러에 포함된다.[45] 달베포에틴 알파의 경우 바이오시밀러(오쏘라이즈드 제네릭)가 이미 출시되었다.[48] 이 외에도 아가르시다제 베타(파브라자임), 인플릭시맙(레미케이드), 아달리무맙(휴미라), 리툭시맙(리툭산), 트라스투주맙(허셉틴), 베바시주맙(아바스틴), 에타너셉트(엔브렐) 등이 한국에서 승인된 바이오시밀러이다.[45]
4. 대규모 생산
생체의약품은 미생물 세포(예: 재조합 ''E. coli'' 또는 효모 배양), 포유류 세포주(세포 배양 참조) 및 식물 세포 배양(식물 조직 배양 참조)과 다양한 구성의 바이오리액터 안의 이끼 식물, 광생물반응기에서 생산될 수 있다.[27]
약물을 생산하도록 유전자 변형된 형질전환 유기체, 특히 식물과 동물을 이용하는 생산 방식은 생산 실패나 인식된 위험과 윤리적 문제에 기반한 규제 기관의 감시로 인해 투자자에게 상당한 위험을 초래한다. 생체의약 작물은 또한 비유전자 변형 작물 또는 비의료 목적으로 유전자 변형된 작물과의 교차 오염 위험도 나타낸다.
우유, 혈액 또는 소변에서 생체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형질전환 포유류를 만드는 것은 이 기술에 대한 잠재적인 접근 방식 중 하나이다. 일단 동물이 생성되면, 일반적으로 전핵 미세 주입 방법을 사용하여 유리한 변형된 유전체를 가진 추가 자손을 만들기 위해 복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28] 유전자 변형된 염소의 우유로 제조된 최초의 약물은 ATryn이었으나, 2006년 2월 유럽 의약품청에 의해 판매 허가가 차단되었다.[29] 이 결정은 2006년 6월에 번복되었고, 2006년 8월에 승인이 주어졌다.[30]
5. 규제
생물의약품은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엄격한 규제를 받는다.[31] 각 국가별로 허가 및 심사 절차가 다르며, 제조 과정 및 품질 관리에 대한 기준이 높다.[31]
유럽 연합에서는 생물의약품의 특성 분석을 위해 활성 물질과 최종 의약품을 생산 공정 및 관리와 함께 테스트한다.[31] 생산 공정은 생명 공학, 혈액이나 혈장 유래 제품, 백신 제조 기술 등을 포함한다.[31] 활성 물질은 미생물, 동물, 인간, 식물 기원의 미생물, 포유류 세포, 핵산, 단백질, 다당류 성분 등으로 구성된다.[31] 작용 방식에는 치료 및 면역 의약품, 유전자 전달 물질, 세포 치료 물질 등이 있다.[31]
미국에서는 식품의약국(FDA)의 생물학적 제제 평가 연구 센터(CBER)가 생물의약품 허가 신청(BLA)을 통해 생물의약품을 규제한다.[31] 허가를 위해서는 인체 대상 임상을 포함한 수년간의 임상 시험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의약품 출시 후에도 성능과 안전 위험에 대한 모니터링이 지속된다.[31] 제조 과정은 FDA의 "우수 의약품 제조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클린룸 환경에서 제조된다.[31]
캐나다에서는 캐나다 보건부의 생물의약품 및 유전자 치료 지침을 통해 생물의약품(및 방사성의약품)을 검토한다.[33]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생물의약품의 허가 및 심사를 담당하며, 국제 기준에 맞는 안전 관리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iological
https://web.archive.[...]
[2]
논문
Biopharmaceutical benchmarks 2018
2018
[3]
논문
Veterinary-based biopharmaceuticals
https://linkinghub.e[...]
2012
[4]
논문
(Re)defining biopharmaceutical
2008-07
[5]
웹사이트
Drugs@FDA Glossary of Terms
https://www.fda.gov/[...]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2-02-02
[6]
서적
Biopharmaceuticals: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Ltd
[7]
논문
Health plan utilization and costs of specialty drugs within 4 chronic conditions
2013-09
[8]
웹사이트
Specialty Pharmacies Proliferate, Along With Questions
https://www.nytimes.[...]
2015-07-15
[9]
웹사이트
Specialty Pharmacy Managed Care Strategies
https://courses.wash[...]
[10]
간행물
Committee for Advanced Therapies (CAT)
http://www.ema.europ[...]
2017-05-15
[11]
간행물
Advanced therapy medicinal products: Overview
https://www.ema.euro[...]
2017-05-15
[12]
웹사이트
What is a biological product?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0-04-01
[13]
논문
Supplemental applications proposing labeling changes for approved drugs, biologics, and medical devices. Final rule
https://www.govinfo.[...]
2008-08
[14]
논문
The use of biologic agents in the geriatric population
https://www.rheumato[...]
[15]
웹사이트
Biopharmaceutical sector sees rising R&D despite credit crunch, finds analysis
https://web.archive.[...]
[16]
논문
Engineering good viruses to improve crop performance
2024-05-15
[17]
논문
Biosimilars: company strategies to capture value from the biologics market
2012-12
[18]
논문
Acceptable changes in quality attributes of glycosylated biopharmaceuticals
2011-04
[19]
논문
Maintaining consistent qua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of biopharmaceuticals
2018-04
[20]
논문
The US Biosimilars Act: Challenges Facing Regulatory Approval
https://www.research[...]
[21]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on biosimilar medicines (similar biological medicinal products)
https://web.archive.[...]
European Medicines Agency
2008-10-30
[22]
웹사이트
Approval Pathway for Biosimilar and Interchangeable Biological Products
https://www.govinfo.[...]
2010-10-05
[23]
웹사이트
Patenting in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comparing the US with Europe
http://scientific.th[...]
[24]
웹사이트
Growth and Policies Behind Biopharmaceutical Innovation
https://www.phrma.or[...]
PhRMA
2018-04-11
[25]
웹사이트
The Guys Who Trade Your Blood For Profit
https://www.forbes.c[...]
2016-09-29
[26]
웹사이트
Sperm Donors Australia
https://www.spermdon[...]
2016-09-29
[27]
논문
Current achievements in the production of complex biopharmaceuticals with moss bioreactors
2008-01
[28]
논문
Milking the genome for profit
2000-10
[29]
웹사이트
European Regulators Curdle Plans for Goat Milk Human Antithrombin
https://library.wur.[...]
2006-06-23
[30]
웹사이트
Go-ahead for 'pharmed' goat drug
http://news.bbc.co.u[...]
2006-06-02
[31]
웹사이트
Commission Directive 2003/63/EC amending Directive 2001/83/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n the Community code relating to medicinal products for human use
https://ec.europa.eu[...]
2003-06-25
[32]
서적
Key Regulatory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Biologic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https://www.cov.com/[...]
John Wiley & Sons, Inc.
2014
[33]
웹사이트
Biologics and Genetic Therapies Directorate
https://www.canada.c[...]
2019-01-20
[34]
논문
(Re)defining biopharmaceutical
http://www.nature.co[...]
2008-07
[35]
웹사이트
Drugs@FDA Glossary of Terms
http://www.fda.gov/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2-02-02
[36]
서적
Biopharmaceuticals: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Ltd
[37]
간행물
Health plan utilization and costs of specialty drugs within 4 chronic conditions
2013-09
[38]
웹사이트
Specialty Pharmacies Proliferate, Along With Questions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2015-07-15
[39]
웹사이트
Specialty Pharmacy Managed Care Strategies
https://courses.wash[...]
[40]
웹사이트
What is a biological product?
http://www.fda.gov/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0-04-01
[41]
간행물
Supplemental applications proposing labeling changes for approved drugs, biologics, and medical devices. Final rule
http://edocket.acces[...]
2008-08
[42]
PDF
バイオ医薬品とバイオシミラー(バイオ後続品)に関するQ&A
http://www.jpma.or.j[...]
JPMA(日本製薬工業協会)
[43]
PDF
バイオ後続品の申請承認について(薬食発第0304004号)
https://www.nihs.go.[...]
厚生労働省医薬品食品局長
[44]
PDF
バイオ後続品の品質・安全性・有効性確保のための指針(薬食発第0304007号)
https://www.nihs.go.[...]
厚生労働省医薬品食品局長
[45]
웹사이트
バイオ後続品
https://www.nihs.go.[...]
国立医薬品食品衛生研究所生物薬品部
[46]
웹사이트
バイオシミラーについて
https://www.biosimil[...]
2018-11-27
[47]
웹사이트
バイオシミラーとジェネリック医薬品の違い
https://mink.nipponk[...]
日本化薬
[48]
웹사이트
ネスプとエンブレルのバイオシミラー 11月27日に発売
https://www.mixonlin[...]
ミクスonline
2020-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