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장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장학은 신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 그리고 신대체요법을 다루는 의학 분야이다. 19세기 병리해부학 및 생리학 발전을 통해 신장 질환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20세기 후반 신장 생검 기술 발달로 진단 및 치료가 크게 발전했다. 신장학의 범위는 전해질 이상, 고혈압을 포함한 신장 질환, 투석 및 신장 이식 환자의 치료까지 포괄하며, 신장내과 전문의가 이러한 질환을 진료한다. 신장학 전문의는 내과, 이식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신장 생검, 투석, 신장 이식 등의 시술을 시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장학 - 요독증
    요독증은 신장 기능 저하로 혈액 내 노폐물이 쌓여 피로, 식욕 부진, 구토, 정신 기능 이상을 일으키며 심할 경우 혼수, 사망에 이르는 증상군으로, 신부전이 주요 원인이며 투석이나 신장 이식으로 치료하고 치과 치료 시 주의가 필요하다.
  • 신장학 - 신우신염
    신우신염은 신장의 신우와 신실질에 발생하는 감염으로, 급성(고열, 배뇨통, 옆구리 통증)과 만성(지속적인 옆구리 통증, 체중 감소)으로 나뉘며, 대장균과 장구균이 주요 원인균이고, 항생제로 치료하며, 요로의 구조적 이상, 당뇨병, 면역 저하 등이 위험 요인이다.
  • 의학에 관한 - 법의학
    법의학은 의학적 지식을 법적 문제에 적용하여 사망 원인 규명, 범죄 수사, 인권 문제 등에 기여하는 학문이다.
  • 의학에 관한 - 내과
    내과는 성인 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의학 분야이며, 19세기 독일에서 유래하여 임상 검사와 병리학적 원인 규명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세부 전문 분야로 분화되어 복잡하고 다발성 질환을 관리하며 일차 의료 의사 역할을 수행한다.
  • 과학 및 자연에 관한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과학 및 자연에 관한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신장학
의학 분야
분야의학
전문 분야내과
명칭
영어Nephrology
한자腎臟學
그리스어νεφρός
학문 및 진료
연구 대상신장
관련 질환신장 질환
활동 분야병원
클리닉
교육 및 자격
학위의학 박사 (M.D.)
정골의학 박사 (D.O.)
의학 학사, 외과 학사 (M.B.B.S.)
의학 학사, 외과 학사 (MBChB)
관련 직업의사
용어
어원(nephros, 신장)
-logy (학문)

2. 역사

19세기 초, 병리해부학 발전을 통해 신장 병변에 의한 신장병이 발견되었다. 19세기 후반, 현미경을 이용한 조직학과 실험 생리학의 발전으로 신장의 구조와 기능이 밝혀졌다. 19세기 후반부터 신장 질환의 병리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해졌다.[1]

20세기 후반, 신장 생검 및 병리진단 기술 발전으로 신장병 진단과 치료가 크게 발전했다.[1]

3. 신장학의 범위

신장학은 전해질 이상 및 고혈압을 포함한 신장 질환의 진단 및 치료와 신대체요법이 필요한 환자, 즉 투석 및 신장 이식 환자의 치료에 관한 학문이다.[3][4] 신장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질병은 신장 자체에 국한되지 않는 전신 질환이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신 혈관염(예: ANCA 혈관염) 및 자가면역 질환(예: 루푸스), 선천성 또는 유전 질환인 다낭성 신장 질환 등이 있다.[6] 환자는 요검사 후 급성 신손상, 만성 신장 질환, 혈뇨, 단백뇨, 신결석, 고혈압, 산-염기 또는 전해질 장애 등 다양한 이유로 신장 전문의에게 의뢰된다.[7]

4. 신장내과 전문의

신장내과 전문의는 신장 질환의 진료와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의사이다. 신장내과는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추가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신장내과 전문의는 일반/내과, 이식 의학, 면역억제 관리, 중환자 의학, 임상 약리학, 수술 전후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다.[8]

신장내과 전문의가 시행할 수 있는 시술에는 원래 신장과 이식 신장 생검, 골 생검 등이 있다.[8]

4. 1. 수련 과정

신장내과 전문의는 신장 질환의 진료와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의사이다. 신장내과는 고급 기술을 갖춘 전문가가 되기 위한 추가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신장내과 전문의는 투석, 신장 이식, 가정 치료(가정 투석), 암 관련 신장 질환(종양 신장내과), 구조적 신장 질환(비뇨기 신장내과), 시술 신장내과 등 다양한 분야를 전문으로 할 수 있다.[8]

신장내과 전문의가 시행할 수 있는 시술에는 신장과 이식 신장 생검, 투석 접근 삽입(일시적 혈관 접근 라인, 터널형 혈관 접근 라인, 복막 투석 접근 라인), 피스툴라 관리(혈관조영술)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신장내과 전문의는 ACGME 또는 미국정형외과의사협회(AOA) 인증을 받은 신장내과 펠로십에서 2~3년의 수련을 더 받아야 한다. 거의 모든 프로그램에서 지속적 신대체 요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지만, 미국에서는 절반 미만의 프로그램에서 혈장분리술 교육을 제공한다.[9] 소아 신장내과 교육은 소아과 출신 의사만 받을 수 있으며, 내과(성인) 출신 의사는 일반(성인) 신장내과 펠로십에 참여할 수 있다.

4. 1. 1. 인도

인도에서 신장내과 의사가 되려면 MBBS(5년 6개월) 학위를 취득한 후, 내과 또는 소아과 분야에서 MD/DNB(3년)를 취득하고, 이어서 신장내과 또는 소아 신장내과 분야에서 DM/DNB(3년)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4. 1. 2. 호주와 뉴질랜드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신장내과 전문의가 되기 위한 교육 과정은 다음과 같다.

과정내용
의학 학위 취득4~6년
인턴십1년
기초 의사 교육최소 3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왕립 의사 대학 필기 및 임상 시험합격
신장내과 전문의 고급 교육3년



교육 과정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왕립 의사 대학에서 감독하고 인증하지만, 지원 절차는 주마다 다르다. 신장내과 연구 분야의 대학원 과정 (보통 박사(PhD)) 이수 (3~4년)는 선택 사항이지만, 점점 더 많은 사람이 이수하고 있다.

많은 호주와 뉴질랜드 신장내과 전문의들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신장학회 및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이식학회와 같은 단체를 통해 평생 동안 전문적, 개인적 발전을 추구한다.

4. 1. 3. 영국

영국에서 신장학(흔히 신장내과라고 부름)은 내과의 하위 전문 분야이다. 신장내과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수련의 1년차(FY1) 및 2년차(FY2) 과정과 전문의 수련(CMT), 전문의 수련(ST)을 마쳐야 한다. 이후 영국 왕립내과의사회 회원 자격(MRCP) 시험에 합격해야 신장내과의 국가 수련 번호(NTN)를 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문의 수련(레지던트 또는 ST라고 불림) 기간은 5년이며, 이 기간 동안 신장내과 및 내과(일반 내과)에 대한 수련 완료 증명서(CCT)를 취득하게 된다. 5년 동안은 보통 지역(디너리라고 함)의 병원들을 매년 순환하며 근무한다. 그 후 영국 의료위원회(GMC)의 전문의 등록부에 등재된다.

전문의 수련생들은 종종 임상 수련을 중단하고 연구 학위(MD/PhD)를 취득하기도 한다. CCT를 취득한 후 레지던트(ST)는 신장내과 전문의의 정규직 자리를 신청할 수 있다. 그 후 일부 전문의는 신장내과만 진료하며, 다른 전문의들은 신장내과와 함께 중환자실(ICU)이나 일반(내과) 또는 응급의학과에서 근무하기도 한다.

4. 1. 4. 미국

미국에서는 의과대학 졸업 후 성인 신장내과 전문의가 되려면 3년의 내과 전문의 수련을 마친 후 2년(또는 그 이상)의 신장내과 펠로십을 이수해야 한다.[9] 성인 신장내과 전문의와 달리, 소아 신장내과 전문의는 의과대학 졸업 후 3년의 소아과 전문의 수련 또는 4년의 내과-소아과 통합 전문의 수련을 마친 후 3년의 소아 신장내과 펠로십을 이수한다.[9] 수련을 마치면 미국내과전문의위원회(ABIM) 또는 미국내과정형외과전문의위원회(AOBIM)의 신장내과 시험 응시 자격이 주어진다.[9] 신장내과 전문의는 이러한 위원회 중 한 곳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승인을 받으려면 신장내과 교육 및 수련 요건을 충족하여 위원회 시험 응시 자격을 갖춰야 한다.[9] 시험에 합격하면 신장내과 전문의가 될 수 있다.[9]

4. 1. 5. 대한민국

의사 면허를 취득하려면 의과대학을 졸업해야 한다. 이후 인턴 1년, 내과 레지던트 4년 과정을 거쳐 전문의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그 후 신장내과 분과 전문의 과정을 추가로 이수해야 한다.[8] 더불어민주당은 의료 인력 양성 및 지역 의료 강화를 위해 공공 의대 설립과 지역 의사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5. 진단

신장학에서 진단은 병력 청취, 신체 검사, 요검사, 혈액 검사, 영상 검사, 신장 생검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사는 기본적인 진단 과정으로, 환자의 증상, 가족력, 과거 병력, 복용 약물 등을 확인하고 신체 상태를 평가한다. 요검사(소변 검사)는 혈뇨, 단백뇨, 농뇨 등 신장 문제 여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혈액 검사는 헤모글로빈, 백혈구, 혈소판, 전해질, 노폐물 수치 등을 확인하여 신장 기능을 평가한다.

초음파, CT, MRI 등 영상 검사는 신장의 구조적 이상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특정 상황에서 덜 침습적인 검사로는 특정 진단을 내릴 수 없을 때, 확정적인 진단이 필요한 경우 신장 생검을 실시할 수 있다.[1]

19세기 초 병리해부학의 발전으로 신장병이 발견되었고, 19세기 후반 현미경을 이용한 조직학과 실험적인 생리학의 발전으로 신장의 구조와 기능이 명확해졌다. 20세기 후반부터 신장 생검 및 병리진단 기술의 발전으로 신장병의 진단과 치료는 크게 발전했다.

5. 1. 검사

병력 및 신체 검사는 신장학 진단 검사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병력에는 현재 질병, 가족력, 일반적인 의료 과거력, 식단, 약물 사용, 마약 사용 및 직업이 포함된다. 신체 검사에는 혈액량 상태, 혈압, 심장, 폐, 말초 동맥, 관절, 복부 및 측복부 평가가 포함된다. 특히 자가면역 질환의 지표로서 발진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1]

소변 검사(요검사)를 통해 혈뇨(소변에 혈액이 섞여 있는 경우), 단백뇨(소변에 단백질이 섞여 있는 경우), 농뇨(소변에 농이 있는 경우) 또는 소변에 암세포가 있는 경우와 같이 신장 문제를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24시간 소변 수집은 일일 단백질 손실(단백뇨 참조), 소변 배출량,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정량화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소량의 무작위 소변 샘플에서 단백질 손실을 측정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1]

기본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 혈액 내 헤모글로빈, 백혈구 수, 혈소판, 나트륨, 칼륨, 염화물, 중탄산염, 요소, 크레아티닌, 알부민, 칼슘, 마그네슘, 인산염,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 및 부갑상선 호르몬(PTH) 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신장 문제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1]

장기간 신장 질환이 있는 환자는 특히 혈액 크레아티닌 수치를 포함하여 최신 혈액 검사 결과와 최신 약물 목록을 알고 있는 것이 좋다. 영국에서는 RenalPatientView라는 웹사이트를 통해 환자가 온라인으로 혈액 검사 결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1]

B형 간염, C형 간염과 같은 감염, 전신성 홍반 루푸스, ANCA 혈관염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 아밀로이드증, 다발성 골수종과 같은 단백질 이상증, 당뇨병, 시스티노시스와 같은 대사 질환 등 특정 전신 질환을 신부전과 관련짓거나 발견하기 위해 더 전문적인 검사를 주문할 수 있다.[1]

신장의 구조적 이상은 의료 초음파/초음파, 컴퓨터 단층촬영(CT), 신티그래피(핵의학), 혈관조영술 또는 자기 공명 영상(MRI)와 같은 영상 검사를 통해 확인한다.[1]

5. 1. 1. 신장 생검

국소 마취 하에 초음파 또는 CT 유도하에 코어 생검 바늘을 신장에 삽입하여 신장 조직의 작은 샘플을 얻는다. 그런 다음 신장 조직을 현미경으로 검사하여 신장 내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직접 시각화한다.[1] 또한 병리학은 신장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 병기를 설정하여 어느 정도 예후 예측을 할 수 있다.[1] 어떤 경우에는 신장 생검을 사용하여 치료에 대한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조기에 재발을 확인하기도 하며, 이식된 신장의 거부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이식 신장 생검을 실시할 수도 있다.[1]

5. 1. 2. 사구체 여과량 (GFR)

사구체 여과율(GFR)은 사구체가 여과한 원뇨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눌린 청소율, 크레아티닌 청소율, 시스타틴 C 등을 통해 측정한다.[1]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는 신장 기능, 즉 크레아티닌 청소율 또는 추정 사구체 여과율(GFR)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므로 가장 중요한 혈액 검사이다.[1]

5. 1. 3. 신혈류량 (RBF)

신혈류량(RBF)은 신장의 혈류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레노그램 등을 통해 측정한다.

6. 신장 질환

신장 질환은 다양한 증상과 병태를 나타낸다.


  • 주요 증상:
  • 혈뇨 - 소변에 혈액이 섞이는 증상.
  • 무뇨 또는 핍뇨 - 소변이 나오지 않거나 소변량이 극도로 적은 증상.
  • 다뇨 - 소변량이 많은 증상. 빈뇨와는 다른 개념.
  • 빈뇨 - 노인에게 흔한 증상으로, 특히 야간에 소변 횟수가 많아지는 증상.
  • 야간뇨 - 야간에 배뇨를 위해 자주 깨는 증상. 실금과는 별개이다.
  • 단백뇨
  • 생리적 단백뇨 - 건강한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단백뇨.
  • 병적 단백뇨 - 질병에 의해 나타나는 단백뇨.
  • 주요 병태:
  • 신부전
  • 급성 신부전 - 수 시간에서 수 주 내에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 신부전으로, 회복 가능성이 있다.
  • 만성 신부전 - 수개월에서 수십 년에 걸쳐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 신부전으로, 회복 가능성이 없다.
  • 당뇨병성 신증 - 당뇨병 악화로 인한 만성 신부전의 합병증.


신장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질병은 신장 자체에 국한되지 않는 전신 질환이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신 혈관염(예: ANCA 혈관염) 및 자가면역 질환(예: 루푸스), 선천성 또는 유전 질환인 다낭성 신장 질환 등이 있다.[6]

환자는 요검사 후 급성 신손상, 만성 신장 질환, 혈뇨, 단백뇨, 신결석, 고혈압, 산-염기 또는 전해질 장애 등의 이유로 신장 전문의에게 의뢰된다.[7]

6. 1. 간질성 병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간질성 신염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6. 2. 세뇨관 병변

세뇨관 산증, 바터 증후군, 리들 증후군 등이 이에 해당한다.

6. 3. 낭포성 병변

이전 출력은 주어진 섹션 제목('낭포성 병변') 및 요약과 원본 소스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아 빈 텍스트를 출력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빈 텍스트를 출력한다.

7. 치료

신장학 치료는 약물, 혈액 제제, 외과적 중재(비뇨기과, 혈관 또는 외과적 수술), 신대체요법(투석 또는 신장 이식), 혈장 교환 등을 포함한다.[3] 신장 문제는 삶의 질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심리적 지원, 건강 교육, 사전 의료 계획 등이 신장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만성 신부전은 원인 질환(예: 당뇨병) 치료, 신독성 물질(방사선 조영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회피, 항고혈압제 사용, 식이 및 체중 조절, 말기 신부전에 대한 계획 등을 통해 관리한다. 신장 기능 저하는 전신에 영향을 미치므로, 에리스로포이에틴 자극제(ESA)를 통해 적혈구 생성을 돕고, 활성 비타민 D 보충제와 인 결합제를 사용하여 뼈 대사에 대한 영향을 줄이며, 혈액량과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해야 한다. 체액 과다는 이뇨제(예: 부루메타이드)로, 대사성 산증은 알칼리(예: 중탄산나트륨)로 치료할 수 있다.

자가면역 및 염증성 신장 질환(예: 혈관염, 이식 거부 반응)은 면역억제제로 치료한다. 정맥 내 면역글로불린을 포함한 혈액 제제와 혈장 교환도 사용될 수 있다.[1]

7. 1. 인공 투석

신대체요법의 일종인 인공 투석은 신장 기능을 일부 대체하여 수명을 연장하는 방법이다. 투석에는 복막 투석과 혈액 투석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복막 투석은 복막을 이용하여 혈액 내 노폐물과 과다한 수분을 제거한다. 혈액 투석은 혈액을 체외로 순환시켜 투석기를 통해 노폐물과 과다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7. 2. 신장 이식

만성 신부전이 심해져 신장이 더 이상 신체의 요구를 충족할 수 없을 때, 말기 신부전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된다. 신대체요법 없이는 결국 신부전으로 사망하게 된다. 신장 이식은 장기 기증자로부터 더 건강한 신장을 신체에 삽입하고 면역억제제를 사용하여 해당 장기의 면역 관용을 유도함으로써 신장 기능을 대체하는 치료법이다. 사용되는 면역억제제는 다음과 같다.[1]

생물학적 약물 또는 단클론 항체라고 불리는 새로운 약물도 사용되는데, 여기에는 리툭시맙, 바실리키맙 및 에쿨리주맙이 포함된다.[1]

현재 신장 이식은 말기 신부전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기증 장기의 부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이용 가능성이 제한적이다. 일반적으로 생체 기증자의 신장은 사망자 기증자의 신장보다 더 오래 지속되기 때문에 '더 좋다'고 평가받는다.[1]

8. 관련 단체

국제 신장학회(ISN)는 전 세계 신장 질환 치료 발전에 종사하는 의료 전문가들을 대표하는 단체이다.[10][11] 미국신장학회(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ASN)는 신장 질환 연구에 전념하는 학회이다.

대한신장학회는 한국의 신장학 분야를 대표하는 학술 단체이다.

그 외에도 미국국립신장재단(National Kidney Foundation), 미국신장간호사협회(American Nephrology Nurses' Association, ANNA), 미국신장환자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Kidney Patients, AAKP) 등의 단체가 있다.

참조

[1] 논문 Nomenclature in nephrology: preserving 'renal' and 'nephro' in the glossary of kidney health and disease. 2021-03-13
[2] 웹사이트 Professor Priscilla Kincaid-Smith, nephrologist https://www.science.[...] 2016-10-03
[3] 웹사이트 Nephrology Specialty Description https://www.ama-assn[...]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4] 웹사이트 Nephrology https://www.acponlin[...]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2020-05-15
[5] 웹사이트 Dialysis https://www.nhs.uk/c[...] 2017-10-19
[6] 웹사이트 Kidney failure (ESRD) - Symptoms, causes and treatment options American Kidney Fund https://www.kidneyfu[...] 2021-11-17
[7] 웹사이트 5 Reasons Why You May be Referred to a Nephrologist - Durham Nephrology Associates, PA https://www.durhamne[...] 2021-09-15
[8] 논문 International Society of Nephrology https://www.kidney-i[...] 2003-07-01
[9] 논문 Performance of procedures by nephrologists and nephrology fellows at U.S. nephrology training programs 2008
[10] 웹사이트 Kidney International - A Forty Year History 1960-2000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http://www.nature.co[...] 2022-06
[12] 논문 International Society of Nephrology https://www.kidney-i[...] 2003-07-01
[13] 웹사이트 Homepage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メディア掲載『iPS細胞での腎臓再生 慈恵医大など、世界初の臨床研究申請へ」東京慈恵会医科大学付属病院腎臓・高血圧内科 https://jikei-kidney[...]
[15] 뉴스 iPS細胞で腎臓再生 慈恵医大など、世界初の臨床研究申請へ https://www.nikkan.c[...] 日刊工業新聞 2018-08-23
[16] 논문 Functional kidney regeneration using pluripotent stem cells 2020
[17] 논문 Progress of de novo whole kidney regeneration : a review. 2019
[18] 논문 iPS細胞を用いた腎臓再生と腎疾患治療への応用 (特集 腎移植update : 腎臓病学・免疫学・再生医学からの新知見) 2016
[19] 웹사이트 ヒトiPS細胞から別個に分化させた複数の腎前駆細胞から腎組織を再生する https://www.cira.kyo[...] 京都大学iPS細胞研究所CiRA 2020-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