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이슬란드 복음루터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슬란드 복음루터교회는 아이슬란드의 국교로, 1000년 기독교 수용 이후 로마 가톨릭을 거쳐 1540년 루터교 종교 개혁을 통해 설립되었다. 1874년 헌법은 이 교회를 국교로 지정하고 보호하며 지원하도록 명시했다. 2024년 기준 아이슬란드 인구의 약 58%가 이 교회를 믿으며, 1998년 교회법 개정을 통해 교회 총회, 교회 평의회 등의 조직을 갖추고 있다. 사도신경, 니케아 신경 등을 신조로 하며, 루터교 세계 연맹 등 에큐메니컬 단체에 참여하여 다른 교회들과 교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터교 - 노르웨이 교회
    노르웨이 교회는 9세기 기독교 전파 이후 루터교를 국교로 삼아 운영되다가 2017년 독립 법인이 되었으며, 동성 결혼을 허용하는 등 사회 변화에 발맞춰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 루터교 - 요하네스 부겐하겐
    요하네스 부겐하겐은 마르틴 루터의 동료로서 북독일과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개신교 종교 개혁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16세기 독일의 종교 개혁가이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아이슬란드 복음루터교회
개요
아이슬란드 교회 로고
아이슬란드 교회 로고
주요 분류기독교
교파개신교
신학루터교
정치 체제감독제
의회총회
수장 직함아이슬란드 주교
현임 수장구드룬 칼스 헬구도티르
관련 단체루터교 세계 연맹
세계 교회 협의회
유럽 교회 협의회
유럽 개신교 교회 공동체
포르보 공동체
완전한 친교루터교 세계 연맹
국가아이슬란드
본부 위치레이캬비크, 아이슬란드
설립 시기1540년
분리덴마크 교회
출판물Kirkjuhúsið
웹사이트아이슬란드 교회 공식 웹사이트
신자 수227,259명
별칭(국민 교회)
(복음주의 루터교 교회)
역사
설립 연도1540년
덴마크 교회로부터 분리덴마크 교회로부터 분리됨
조직 및 구조
정치 체제감독제
의회총회
지도부
수장 직함아이슬란드 주교
현임 수장구드룬 칼스 헬구도티르
관계
관련 단체루터교 세계 연맹
세계 교회 협의회
유럽 교회 협의회
유럽 개신교 교회 공동체
포르보 공동체
완전한 친교루터교 세계 연맹
기타 정보
웹사이트아이슬란드 교회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아이슬란드에서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한 초기부터 기독교는 존재했다. 아이슬란드 땅에 처음 발을 디딘 사람들은 칼케돈 기독교를 믿는 아일랜드 은둔자(파파르 참조)였으며, 이들은 그리스도를 숭배하기 위해 이 외딴 해안에서 피난처를 찾았다. 이후, 노르드인 정착민들이 그들을 몰아낸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정착민들은 기독교인이었지만, 대다수는 옛 노르드 신을 숭배하는 이교도였다. 알Þ잉기가 서기 930년에 처음 소집되었을 때, 그것은 노르드 이교 신앙에 기반을 두었다. 10세기 말, 유럽 대륙에서 온 선교사들은 인구 사이에 가톨릭교를 전파하려 했다(대분열 이전).[4]

아리 토르길손은 그의 역사 저서 ''Íslendingabók''에서 사회가 서로 용납하지 않는 서로 다른 종교의 신봉자들 사이에 깊이 분열되어 있었다고 기록한다. 1000년, 아이슬란드 연방은 Þingvellir의 알Þ잉기에서 내전 직전에 놓였다. 다른 지도자들은 위험을 깨닫고 해결책을 찾았다. 그들은 모든 사람이 그의 지혜를 존경하는 인물, 이교도 사제이자 족장인 료사바튼의 토르게이르를 선택하여 백성이 어떤 길을 가야 할지 결정하도록 했다. 토르게이르는 그의 거처로 물러나 아무도 그를 방해하지 못하도록 얼굴을 가린 채 하루 종일 명상에 잠겼다. 다음 날 그는 회의를 소집하여 자신의 결정을 알렸다. "만약 우리가 율법을 찢어버린다면, 우리는 평화를 찢어버릴 것이다."라고 그는 말했다. "이 땅의 모든 사람은 기독교인이 되어 성부, 성자, 성령, 한 분 하느님을 믿는다는 것이 우리의 율법의 기초가 되게 하라." 그의 개종 칙령에는 개인적으로만 행해질 세 가지 이교 관습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관습은 이교 제물, 유아 방치, 말 고기 섭취였다. 백성은 동의했고, 그 후 많은 사람들이 비그달라우그 온천에서 세례를 받았다. 토르게이르는 세례를 받은 후 료사바튼에 있는 자신의 농장으로 돌아가 신들의 형상을 모아 폭포에 던져 새로운 법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었다.[4]

아이슬란드에서 기독교가 시작될 때, 독일, 잉글랜드, 동유럽에서 온 선교 주교와 사제들이 현지인들 사이에서 활동했다. 최초의 아이슬란드 주교인 이스레이푸르 기수라르손은 1056년 브레멘에서 서품되었으며, 그는 스카울홀트를 주교 관할구로 만들었다. 그 후 스카울홀트는 18세기까지 아이슬란드에서 기독교 학습과 영성의 중심지가 되었다.

처음 5세기 동안, 아이슬란드 교회는 로마 가톨릭이었다. 1056년 초, 브레멘의 관할 구역에 속했다. 이후 아이슬란드 교회는 룬드 대주교의 관할 아래 있었고, 1153년에는 니다로스 관할 구역에 속하게 되었다. 아이슬란드는 1056년에 설립된 스카울홀트와 1106년에 설립된 홀라르의 두 교구로 나뉘었다. 이 두 교구는 1801년까지 유지되었으며, 그 해에 아이슬란드는 레이캬비크에 거주하는 한 명의 아이슬란드 주교 아래 하나의 교구가 되었다.

아이슬란드 성직자 3명이 성인으로 존경받았지만, 그들 중 누구도 실제로 시성되지는 않았다. 그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스카울홀트의 성 토르락(Þorlákur Þórhallssonis)(1133–1193)이다. 그는 잉글랜드 링컨과 프랑스 파리에서 교육을 받았다. 아이슬란드로 돌아온 토르락은 정규 수도회 수도원장인 Þykkvibær가 되었으며, 곧 그의 성스러움으로 명성을 얻었다. 스카울홀트 주교로서 그는 교회 재산 소유권과 성직자들의 도덕성에 관한 로마의 법령을 시행하려 했다. 아이슬란드 달력에는 토르락을 기리는 두 날이 있으며, 7월 20일과 12월 23일이다. 다른 두 성인 주교는 욘 외그문드손(1106–1121)과 구드문두르 아라손(1203–1237)이다.

12세기와 13세기에는 아이슬란드 교회에서 활발한 문학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아이슬란드어로 방대한 종교 문학과 잘 알려진 사가(Saga)가 제작되었다. 성직자들이 대부분의 작품을 쓴 것으로 추정된다. 성경의 일부는 이미 13세기에 아이슬란드어로 번역되었다. 이러한 강력하고 지속적인 문학 전통은 강한 민족적 특성을 가지고 아이슬란드 언어를 형성하고 문학 활동에 영감을 주었다. 아이슬란드어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 살아있는 언어로서 연속성을 유지해 왔다. 아이슬란드 찬송가에는 12세기와 14세기의 찬송가가 원래의 언어 형태로 수록되어 있다.

1540년, 덴마크 왕실의 강요에 의해 아이슬란드에 루터교 종교 개혁이 확립되었다. 수도원은 해산되었고, 교회 관할 구역의 많은 재산은 덴마크 왕이 몰수했으며, 덴마크 왕은 교회의 최고 수장이 되었다. 종교 개혁 역사에서 어두운 부분은 1550년, 호울라르의 마지막 로마 가톨릭 주교인 욘 아라손과 그의 두 아들이 무법적으로 처형된 것이다. 대부분의 로마 가톨릭 사제들은 루터교 교회 법령에 따라 교구에서 계속 활동했다.

종교 개혁은 아이슬란드에서 새로운 문학 활동을 촉발했다. 1540년의 아이슬란드어 신약성경 번역과 1584년의 전체 성경 출판은 아이슬란드어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으며, 아이슬란드어 보존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17세기 시인이자 목사인 할그림 페트르손(1614–1674)의 십자가에 대한 50개의 묵상인 "수난의 찬송가"는 여러 세대에 걸쳐 가장 중요한 기도와 지혜의 학교였다. 스칼홀트 주교인 욘 비달린(1698–1720)의 설교집 "포스틸"도 마찬가지였다. 그의 웅변적이고 역동적인 설교는 여러 세대에 걸쳐 모든 가정에서 읽혔다.

아이슬란드 성서 공회는 1815년에 설립되었다. 이 공회의 창립은 스코틀랜드 목사인 에버니저 헨더슨의 방문으로 이루어졌으며, 그는 아이슬란드를 돌아다니며 성경과 신약성경을 배포했다.

19세기는 아이슬란드에서 민족 부흥의 시작과 정치적 독립을 향한 움직임을 목격했다. 많은 성직자들이 그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74년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했지만, "복음 루터교회는 국교이며, 국가는 이를 보호하고 지원한다"고 명시했다. 이 조항은 1944년 아이슬란드 공화국 헌법에도 유지되었다. 20세기 초 무렵 교회법이 개정되어 교구 평의회가 설립되었고, 신도들은 목사를 선출할 권리를 얻었다.

할그림스키르캬 (Hallgrímskirkja) - 1986년에 완공


20세기 초 자유주의 신학이 아이슬란드에 도입되면서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신봉자들 사이에 큰 신학적 갈등이 발생했다. 새로 설립된 아이슬란드 대학교 내 신학과에서는 성경 비평과 급진적인 신학적 자유주의가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심령주의신지학 저술 또한 지식인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반대하여 내부 선교, 기독교청년회(YMCA)/기독교여자청년회(YWCA), 그리고 경건주의 지도부를 가진 선교 단체가 있었다. 이러한 갈등은 1960년대까지 이 나라의 교회 생활을 훼손했다.

20세기 초, 아이슬란드는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가진 농부와 어부가 대부분이었다. 교회는 이러한 생활 방식의 일부였으며, 모든 가정에서 기도와 묵상이 이루어졌고 일상생활은 종교적 관습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현대 사회의 격변은 아이슬란드의 교회에 문제를 가져왔다. 아이슬란드는 현대적이고 고도로 도시화된 사회이며, 세속화가 심화되고 신념의 다원주의가 증가하고 있다.

2024년 1월 1일 기준, 아이슬란드 인구의 약 58.26%가 아이슬란드 복음루터교회에 속해 있다.[1] 그러나, 인구의 90% 이상이 기타 기독교 교파를 포함한 기독교 교회에 속해 있다. 아이슬란드에서는 10명 중 9명의 아이가 첫 해에 세례를 받고, 청소년의 90% 이상이 견진례를 받으며, 85%가 교회에서 결혼하고, 장례식의 99%가 교회에서 치러진다.[1] 이는 아이슬란드 사회에서 교회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기적인 일요일 아침 예배 참석자는 적지만, 교회 축제와 특별 행사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인다.

2000년, 아이슬란드 국민은 아이슬란드 기독교 1000주년을 기념했다.

교회 신도 현황 (1월 1일)[1]
연도인구신도 수%±
1998272,367244,89389.910.00
1999275,693246,26389.320.59
2000279,049247,42088.670.65
2001283,361248,61487.740.93
2002286,575249,38687.020.71
2003288,471249,64586.540.48
2004290,570250,17686.100.44
2005293,577250,75985.420.68
2006301,931251,90984.001.41
2007311,566252,41182.041.96
2008319,368252,70880.111.93
2009319,355253,06979.240.87
2010317,630251,48779.180.06
2011318,452247,24577.641.54
2012319,575245,45676.810.83
2013321,857245,18476.180.63
2014325,671244,44075.061.12
2015329,425242,74373.761.30
2016332,529237,93871.552.21
2017338,349236,48169.891.66
2018350,734234,21567.222.67
2019356,991232,59165.152.07
2020364,134231,11263.471.68
2021368,792229,66962.281.19
2022376,248229,14860.901.38
2023387,758227,26658.612.29
2024383,726223,55158.260.35



2004년 갤럽 설문 조사에서 아이슬란드인의 51%가 자신을 "종교적"이라고 답했다. 여성 안수와 기독교 교회의 동성 결혼 축복이 허용되며, 개별 사제가 자신의 양심에 반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허용하는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의 개신교계가 동성애에 대해 극단적인 혐오를 드러내는 모습과 비교했을 때 매우 진보적인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2. 1. 기독교 수용 이전

아이슬란드에서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한 초기부터 기독교는 존재했다. 아이슬란드 땅에 처음 발을 디딘 사람들은 칼케돈 기독교를 믿는 아일랜드 은둔자(파파르 참조)였으며, 이들은 그리스도를 숭배하기 위해 이 외딴 해안에서 피난처를 찾았다. 이후, 노르드인 정착민들이 그들을 몰아낸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정착민들은 기독교인이었지만, 대다수는 옛 노르드 신을 숭배하는 이교도였다. 알Þ잉기가 서기 930년에 처음 소집되었을 때, 그것은 노르드 이교 신앙에 기반을 두었다. 10세기 말, 유럽 대륙에서 온 선교사들은 인구 사이에 가톨릭교를 전파하려 했다(대분열 이전).[4]

2. 1. 1. 초기 기독교 전파

아이슬란드에서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한 초기부터 기독교는 존재했다. 아이슬란드 땅에 처음 발을 디딘 사람들은 칼케돈 기독교를 믿는 아일랜드 은둔자(파파르 참조)로, 이들은 그리스도를 숭배하기 위해 이 외딴 해안에서 피난처를 찾았다. 이후, 노르드인 정착민들이 그들을 몰아낸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정착민들은 기독교인이었지만, 대다수는 옛 노르드 신을 숭배하는 이교도였다. 알Þ잉기가 서기 930년에 처음 소집되었을 때, 그것은 노르드 이교 신앙에 기반을 두었다. 10세기 말, 유럽 대륙에서 온 선교사들은 인구 사이에 가톨릭교를 전파하려 했다(대분열 이전).[4]

아리 토르길손은 그의 역사 저서 ''Íslendingabók''에서 사회가 서로 용납하지 않는 서로 다른 종교의 신봉자들 사이에 깊이 분열되어 있었다고 기록한다. 1000년, 아이슬란드 연방은 Þingvellir의 알Þ잉기에서 내전 직전에 놓였다. 다른 지도자들은 위험을 깨닫고 해결책을 찾았다. 그들은 모든 사람이 그의 지혜를 존경하는 인물, 이교도 사제이자 족장인 료사바튼의 토르게이르를 선택하여 백성이 어떤 길을 가야 할지 결정하도록 했다. 토르게이르는 그의 거처로 물러나 아무도 그를 방해하지 못하도록 얼굴을 가린 채 하루 종일 명상에 잠겼다. 다음 날 그는 회의를 소집하여 자신의 결정을 알렸다. "만약 우리가 율법을 찢어버린다면, 우리는 평화를 찢어버릴 것이다."라고 그는 말했다. "이 땅의 모든 사람은 기독교인이 되어 성부, 성자, 성령, 한 분 하느님을 믿는다는 것이 우리의 율법의 기초가 되게 하라." 그의 개종 칙령에는 개인적으로만 행해질 세 가지 이교 관습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관습은 이교 제물, 유아 방치, 말 고기 섭취였다. 백성은 동의했고, 그 후 많은 사람들이 비그달라우그 온천에서 세례를 받았다. 토르게이르는 세례를 받은 후 료사바튼에 있는 자신의 농장으로 돌아가 신들의 형상을 모아 폭포에 던져 새로운 법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었다.[4]

2. 1. 2. 기독교화

아이슬란드에서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한 초기부터 기독교는 존재했다. 아이슬란드 땅에 처음 발을 디딘 사람들은 그리스도를 숭배하기 위해 이 외딴 해안에서 피난처를 찾은 칼케돈 기독교 아일랜드 은둔자였다.(파파르 참조). 이후, 노르드인 정착민들이 그들을 몰아낸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정착민들은 기독교인이었지만, 대다수는 옛 노르드 신을 숭배하는 이교도였다. 알Þ잉기가 서기 930년에 처음 소집되었을 때, 그것은 노르드 이교 신앙에 기반을 두었다. 10세기 말, 유럽 대륙에서 온 선교사들은 인구 사이에 가톨릭교를 전파하려 했다(대분열 이전).[4]

아리 토르길손은 그의 역사 저서 ''Íslendingabók''에서 사회가 서로 용납하지 않는 서로 다른 종교의 신봉자들 사이에 깊이 분열되어 있었다고 기록한다. 1000년, 아이슬란드 연방은 Þingvellir의 알Þ잉기에서 내전 직전에 놓였다. 다른 지도자들은 위험을 깨닫고 해결책을 찾았다. 그들은 모든 사람이 그의 지혜를 존경하는 인물, 이교도 사제이자 족장인 료사바튼의 토르게이르를 선택하여 백성이 어떤 길을 가야 할지 결정하도록 했다. 토르게이르는 그의 거처로 물러나 아무도 그를 방해하지 못하도록 얼굴을 가린 채 하루 종일 명상에 잠겼다. 다음 날 그는 회의를 소집하여 자신의 결정을 알렸다. "만약 우리가 율법을 찢어버린다면, 우리는 평화를 찢어버릴 것이다."라고 그는 말했다. "이 땅의 모든 사람은 기독교인이 되어 성부, 성자, 성령, 한 분 하느님을 믿는다는 것이 우리의 율법의 기초가 되게 하라." 그의 개종 칙령에는 개인적으로만 행해질 세 가지 이교 관습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관습은 이교 제물, 유아 방치, 말 고기 섭취였다. 백성은 동의했고, 그 후 많은 사람들이 비그달라우그 온천에서 세례를 받았다. 토르게이르는 세례를 받은 후 료사바튼에 있는 자신의 농장으로 돌아가 신들의 형상을 모아 폭포에 던져 새로운 법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었다.[4]

2. 2. 종교개혁 이전

아이슬란드에서 기독교가 시작될 때, 독일, 잉글랜드, 동유럽에서 온 선교 주교와 사제들이 현지인들 사이에서 활동했다. 최초의 아이슬란드 주교인 이스레이푸르 기수라르손은 1056년 브레멘에서 서품되었으며, 그는 스카울홀트를 주교 관할구로 만들었다. 그 후 스카울홀트는 18세기까지 아이슬란드에서 기독교 학습과 영성의 중심지가 되었다.

처음 5세기 동안, 아이슬란드 교회는 로마 가톨릭이었다. 1056년 초, 브레멘의 관할 구역에 속했다. 이후 아이슬란드 교회는 룬드 대주교의 관할 아래 있었고, 1153년에는 니다로스 관할 구역에 속하게 되었다. 아이슬란드는 1056년에 설립된 스카울홀트와 1106년에 설립된 홀라르의 두 교구로 나뉘었다. 이 두 교구는 1801년까지 유지되었으며, 그 해에 아이슬란드는 레이캬비크에 거주하는 한 명의 아이슬란드 주교 아래 하나의 교구가 되었다.

아이슬란드 성직자 3명이 성인으로 존경받았지만, 그들 중 누구도 실제로 시성되지는 않았다. 그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스카울홀트의 성 토르락(Þorlákur Þórhallssonis)(1133–1193)이다. 그는 잉글랜드 링컨과 프랑스 파리에서 교육을 받았다. 아이슬란드로 돌아온 토르락은 정규 수도회 수도원장인 Þykkvibær가 되었으며, 곧 그의 성스러움으로 명성을 얻었다. 스카울홀트 주교로서 그는 교회 재산 소유권과 성직자들의 도덕성에 관한 로마의 법령을 시행하려 했다. 아이슬란드 달력에는 토르락을 기리는 두 날이 있으며, 7월 20일과 12월 23일이다. 다른 두 성인 주교는 욘 외그문드손(1106–1121)과 구드문두르 아라손(1203–1237)이다.

12세기와 13세기에는 아이슬란드 교회에서 활발한 문학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아이슬란드어로 방대한 종교 문학과 잘 알려진 사가(Saga)가 제작되었다. 성직자들이 대부분의 작품을 쓴 것으로 추정된다. 성경의 일부는 이미 13세기에 아이슬란드어로 번역되었다. 이러한 강력하고 지속적인 문학 전통은 강한 민족적 특성을 가지고 아이슬란드 언어를 형성하고 문학 활동에 영감을 주었다. 아이슬란드어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 살아있는 언어로서 연속성을 유지해 왔다. 아이슬란드 찬송가에는 12세기와 14세기의 찬송가가 원래의 언어 형태로 수록되어 있다.

2. 2. 1. 교구 변천

아이슬란드에서 기독교가 시작될 때, 독일, 잉글랜드, 동유럽에서 온 선교 주교와 사제들이 현지인들 사이에서 활동했다. 최초의 아이슬란드 주교인 이스레이푸르 기수라르손은 1056년 브레멘에서 서품되었으며, 그는 스카울홀트를 주교 관할구로 만들었다. 그 후 스카울홀트는 18세기까지 아이슬란드에서 기독교 학습과 영성의 중심지가 되었다.

처음 5세기 동안, 아이슬란드 교회는 로마 가톨릭이었다. 1056년 초, 브레멘의 관할 구역에 속했다. 이후 아이슬란드 교회는 룬드 대주교의 관할 아래 있었고, 1153년에는 니다로스 관할 구역에 속하게 되었다. 아이슬란드는 1056년에 설립된 스카울홀트와 1106년에 설립된 홀라르의 두 교구로 나뉘었다. 이 두 교구는 1801년까지 유지되었으며, 그 해에 아이슬란드는 레이캬비크에 거주하는 한 명의 아이슬란드 주교 아래 하나의 교구가 되었다.

2. 2. 2. 성인

아이슬란드 성직자 3명이 성인으로 존경받았지만, 그들 중 누구도 실제로 시성되지는 않았다. 그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스카울홀트의 성 토르락(Þorlákur Þórhallsson)(1133–1193)이다. 그는 잉글랜드 링컨과 프랑스 파리에서 교육을 받았다. 아이슬란드로 돌아온 토르락은 정규 수도회 수도원장인 Þykkvibær가 되었으며, 곧 그의 성스러움으로 명성을 얻었다. 스카울홀트 주교로서 그는 교회 재산 소유권과 성직자들의 도덕성에 관한 로마의 법령을 시행하려 했다. 아이슬란드 달력에는 토르락을 기리는 두 날이 있으며, 7월 20일과 12월 23일이다. 다른 두 성인 주교는 욘 외그문드손(1106–1121)과 구드문두르 아라손(1203–1237)이다.

2. 2. 3. 문학 활동

12세기와 13세기에는 아이슬란드 교회에서 활발한 문학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아이슬란드어로 방대한 종교 문학과 잘 알려진 사가(Saga)가 제작되었다. 성직자들이 대부분의 작품을 쓴 것으로 추정된다. 성경의 일부는 이미 13세기에 아이슬란드어로 번역되었다. 이러한 강력하고 지속적인 문학 전통은 강한 민족적 특성을 가지고 아이슬란드 언어를 형성하고 문학 활동에 영감을 주었다. 아이슬란드어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 살아있는 언어로서 연속성을 유지해 왔다. 아이슬란드 찬송가에는 12세기와 14세기의 찬송가가 원래의 언어 형태로 수록되어 있다.

2. 3. 종교개혁

1540년, 덴마크 왕실의 강요에 의해 아이슬란드에 루터교 종교 개혁이 확립되었다. 수도원은 해산되었고, 교회 관할 구역의 많은 재산은 덴마크 왕이 몰수했으며, 덴마크 왕은 교회의 최고 수장이 되었다. 종교 개혁 역사에서 어두운 부분은 1550년, 호울라르의 마지막 로마 가톨릭 주교인 욘 아라손과 그의 두 아들이 무법적으로 처형된 것이다. 대부분의 로마 가톨릭 사제들은 루터교 교회 법령에 따라 교구에서 계속 활동했다.

종교 개혁은 아이슬란드에서 새로운 문학 활동을 촉발했다. 1540년의 아이슬란드어 신약성경 번역과 1584년의 전체 성경 출판은 아이슬란드어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으며, 아이슬란드어 보존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17세기 시인이자 목사인 할그림 페트르손(1614–1674)의 십자가에 대한 50개의 묵상인 "수난의 찬송가"는 여러 세대에 걸쳐 가장 중요한 기도와 지혜의 학교였다. 스칼홀트 주교인 욘 비달린(1698–1720)의 설교집 "포스틸"도 마찬가지였다. 그의 웅변적이고 역동적인 설교는 여러 세대에 걸쳐 모든 가정에서 읽혔다.

아이슬란드 성서 공회는 1815년에 설립되었다. 이 공회의 창립은 스코틀랜드 목사인 에버니저 헨더슨의 방문으로 이루어졌으며, 그는 아이슬란드를 돌아다니며 성경과 신약성경을 배포했다.

19세기는 아이슬란드에서 민족 부흥의 시작과 정치적 독립을 향한 움직임을 목격했다. 많은 성직자들이 그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3. 1. 루터교 도입

1540년, 덴마크 왕실의 강요에 의해 아이슬란드에 루터교 종교 개혁이 확립되었다. 수도원은 해산되었고, 교회 관할 구역의 많은 재산은 덴마크 왕이 몰수했으며, 덴마크 왕은 교회의 최고 수장이 되었다. 종교 개혁 역사에서 어두운 부분은 1550년, 호울라르의 마지막 로마 가톨릭 주교인 욘 아라손과 그의 두 아들이 무법적으로 처형된 것이다. 대부분의 로마 가톨릭 사제들은 루터교 교회 법령에 따라 교구에서 계속 활동했다. 종교 개혁은 아이슬란드에서 새로운 문학 활동을 촉발했다. 1540년의 아이슬란드어 신약성경 번역과 1584년의 전체 성경 출판은 아이슬란드어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으며, 아이슬란드어 보존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17세기 시인이자 목사인 할그림 페트르손(1614–1674)의 십자가에 대한 50개의 묵상인 "수난의 찬송가"는 여러 세대에 걸쳐 가장 중요한 기도와 지혜의 학교였다. 스칼홀트 주교인 욘 비달린(1698–1720)의 설교집 "포스틸"도 마찬가지였다. 그의 웅변적이고 역동적인 설교는 여러 세대에 걸쳐 모든 가정에서 읽혔다.

2. 3. 2. 문학 활동 (종교개혁 이후)

1540년, 덴마크 왕실의 강요로 아이슬란드에 루터교 종교 개혁이 확립되면서, 아이슬란드에서는 새로운 문학 활동이 촉발되었다. 1540년에 번역된 아이슬란드어 신약성경과 1584년에 출판된 전체 성경아이슬란드어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으며, 아이슬란드어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7세기 시인이자 목사인 할그림 페트르손(1614–1674)이 쓴 "수난의 찬송가"는 십자가에 대한 50개의 묵상을 담고 있으며, 여러 세대에 걸쳐 가장 중요한 기도와 지혜의 학교로 여겨졌다. 스칼홀트 주교였던 욘 비달린(1698–1720)의 설교집 "포스틸" 역시 웅변적이고 역동적인 설교로 모든 가정에서 읽히며 큰 영향을 주었다.

아이슬란드 성서 공회는 1815년에 설립되었다. 이는 스코틀랜드 목사인 에버니저 헨더슨이 아이슬란드를 방문하여 성경과 신약성경을 배포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2. 4. 현대

1874년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했지만, "복음 루터교회는 국교이며, 국가는 이를 보호하고 지원한다"고 명시했다. 이 조항은 1944년 아이슬란드 공화국 헌법에도 유지되었다. 20세기 초 무렵 교회법이 개정되어 교구 평의회가 설립되었고, 신도들은 목사를 선출할 권리를 얻었다.

20세기 초 자유주의 신학이 아이슬란드에 도입되면서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신봉자들 사이에 큰 신학적 갈등이 발생했다. 새로 설립된 아이슬란드 대학교 내 신학과에서는 성경 비평과 급진적인 신학적 자유주의가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심령주의신지학 저술 또한 지식인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반대하여 내부 선교, 기독교청년회(YMCA)/기독교여자청년회(YWCA), 그리고 경건주의 지도부를 가진 선교 단체가 있었다. 이러한 갈등은 1960년대까지 이 나라의 교회 생활을 훼손했다.

20세기 초, 아이슬란드는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가진 농부와 어부가 대부분이었다. 교회는 이러한 생활 방식의 일부였으며, 모든 가정에서 기도와 묵상이 이루어졌고 일상생활은 종교적 관습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현대 사회의 격변은 아이슬란드의 교회에 문제를 가져왔다. 아이슬란드는 현대적이고 고도로 도시화된 사회이며, 세속화가 심화되고 신념의 다원주의가 증가하고 있다.

2024년 1월 1일 기준, 아이슬란드 인구의 약 58.26%가 아이슬란드 복음루터교회에 속해 있다.[1] 그러나, 인구의 90% 이상이 기타 기독교 교파를 포함한 기독교 교회에 속해 있다. 아이슬란드에서는 10명 중 9명의 아이가 첫 해에 세례를 받고, 청소년의 90% 이상이 견진례를 받으며, 85%가 교회에서 결혼하고, 장례식의 99%가 교회에서 치러진다.[1] 이는 아이슬란드 사회에서 교회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기적인 일요일 아침 예배 참석자는 적지만, 교회 축제와 특별 행사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인다.

2000년, 아이슬란드 국민은 아이슬란드 기독교 1000주년을 기념했다. 2004년 갤럽 설문 조사에서 아이슬란드인의 51%가 자신을 "종교적"이라고 답했다.[1]

교회 신도 현황 (1월 1일)[1]
연도인구신도 수%±
1998272,367244,89389.910.00
1999275,693246,26389.320.59
2000279,049247,42088.670.65
2001283,361248,61487.740.93
2002286,575249,38687.020.71
2003288,471249,64586.540.48
2004290,570250,17686.100.44
2005293,577250,75985.420.68
2006301,931251,90984.001.41
2007311,566252,41182.041.96
2008319,368252,70880.111.93
2009319,355253,06979.240.87
2010317,630251,48779.180.06
2011318,452247,24577.641.54
2012319,575245,45676.810.83
2013321,857245,18476.180.63
2014325,671244,44075.061.12
2015329,425242,74373.761.30
2016332,529237,93871.552.21
2017338,349236,48169.891.66
2018350,734234,21567.222.67
2019356,991232,59165.152.07
2020364,134231,11263.471.68
2021368,792229,66962.281.19
2022376,248229,14860.901.38
2023387,758227,26658.612.29
2024383,726223,55158.260.35



2004년 아이슬란드인에 대한 ''갤럽''(Gallup)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51%가 자신을 "종교적"이라고 묘사했다. 여성 안수와 기독교 교회의 동성 결혼 축복이 허용되며, 개별 사제가 자신의 양심에 반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허용하는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의 개신교계가 동성애에 대해 극단적인 혐오를 드러내는 모습과 비교했을 때 매우 진보적인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2. 4. 1. 독립과 헌법

1874년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했지만, "복음 루터교회는 국교이며, 국가는 이를 보호하고 지원한다"고 명시했다. 이 조항은 1944년 아이슬란드 공화국 헌법에도 유지되었다. 20세기 초 무렵 교회법이 개정되어 교구 평의회가 설립되었고, 신도들은 목사를 선출할 권리를 얻었다.

2. 4. 2. 신학적 갈등

20세기 초 자유주의 신학이 아이슬란드에 도입되면서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신봉자들 사이에 큰 신학적 갈등이 발생했다. 새로 설립된 아이슬란드 대학교 내 신학과에서는 성경 비평과 급진적인 신학적 자유주의가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심령주의신지학 저술 또한 지식인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반대하여 내부 선교, 기독교청년회(YMCA)/기독교여자청년회(YWCA), 그리고 경건주의 지도부를 가진 선교 단체가 있었다. 이러한 갈등은 1960년대까지 이 나라의 교회 생활을 훼손했다.

2. 4. 3. 사회 변화와 세속화

20세기 초, 아이슬란드는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가진 농부와 어부가 대부분이었다. 교회는 이러한 생활 방식의 일부였으며, 모든 가정에서 기도와 묵상이 이루어졌고 일상생활은 종교적 관습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현대 사회의 격변은 아이슬란드의 교회에 문제를 가져왔다. 아이슬란드는 현대적이고 고도로 도시화된 사회이며, 세속화가 심화되고 신념의 다원주의가 증가하고 있다.

2. 4. 4. 신도 현황

2024년 1월 1일 기준, 아이슬란드 인구의 약 58.26%가 아이슬란드 복음루터교회에 속해 있다.[1] 그러나, 인구의 90% 이상이 기타 기독교 교파를 포함한 기독교 교회에 속해 있다. 아이슬란드에서는 10명 중 9명의 아이가 첫 해에 세례를 받고, 청소년의 90% 이상이 견진례를 받으며, 85%가 교회에서 결혼하고, 장례식의 99%가 교회에서 치러진다.[1] 이는 아이슬란드 사회에서 교회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기적인 일요일 아침 예배 참석자는 적지만, 교회 축제와 특별 행사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인다.

2000년, 아이슬란드 국민은 아이슬란드 기독교 1000주년을 기념했다. 2004년 갤럽 설문 조사에서 아이슬란드인의 51%가 자신을 "종교적"이라고 답했다.[1]

교회 신도 현황 (1월 1일)[1]
연도인구신도 수%±
1998272,367244,89389.910.00
1999275,693246,26389.320.59
2000279,049247,42088.670.65
2001283,361248,61487.740.93
2002286,575249,38687.020.71
2003288,471249,64586.540.48
2004290,570250,17686.100.44
2005293,577250,75985.420.68
2006301,931251,90984.001.41
2007311,566252,41182.041.96
2008319,368252,70880.111.93
2009319,355253,06979.240.87
2010317,630251,48779.180.06
2011318,452247,24577.641.54
2012319,575245,45676.810.83
2013321,857245,18476.180.63
2014325,671244,44075.061.12
2015329,425242,74373.761.30
2016332,529237,93871.552.21
2017338,349236,48169.891.66
2018350,734234,21567.222.67
2019356,991232,59165.152.07
2020364,134231,11263.471.68
2021368,792229,66962.281.19
2022376,248229,14860.901.38
2023387,758227,26658.612.29
2024383,726223,55158.260.35


2. 4. 5. 사회적 입장



2004년 아이슬란드인에 대한 ''갤럽''(Gallup)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51%가 자신을 "종교적"이라고 묘사했다. 여성 안수와 기독교 교회의 동성 결혼 축복이 허용되며, 개별 사제가 자신의 양심에 반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허용하는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의 개신교계가 동성애에 대해 극단적인 혐오를 드러내는 모습과 비교했을 때 매우 진보적인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3. 교리

아이슬란드 교회는 사도신경, 니케아 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루터 소교리문답서를 신조로 받들고 있다.

3. 1. 주요 신조

아이슬란드 교회는 사도신경, 니케아 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루터 소교리문답서를 신조로 받들고 있다.

4. 조직

1998년 1월 1일을 기점으로 교회의 지위 및 정부와의 관계를 정의하는 신법이 시행되었다. 현재는 한 달에 한 번 국교회의 최고 입법 기관인 회의가 열리며, 교회 관련 법률은 대부분 이 회의에서 결정된다. 29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되며, 이 중 12명은 임명, 17명은 평신도이다 (의장은 평신도 중에서 1명을 선출). 최고 집행 기관은 성직자와 평신도 각각 2명으로 구성된 교회 협의회이다.

국내에는 아이슬란드 감독 아래 감독구가 레이캬비크에 1곳 존재한다. 과거 감독구가 있었던 스카울홀트와 호울라르에는 2명의 부감독(vígslubiskup)이 거주하며, 각 감독구의 성당 관리를 담당하는 외에 감독 회의 등에 감독을 수행한다.

300여 개의 교구가 있으며, 각 교구는 독립 채산제를 채택하여 교회의 건설·유지를 비롯해 교회 관련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이 때문에 농촌 지역에서는 한 명의 목사가 교구를 넘나들며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교구는 예배 외에도 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150명의 목사와 27명의 집사가 있으며, 14명의 목사는 병원이나 다른 기관에 근무하고 있다. 1911년, 아이슬란드 대학교에 루터교회 교역자 및 집사를 양성하는 신학부가 탄생했다. 이는 신학상의 최신 이론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1. 교회 총회 (Kirkjuþing)

1998년 1월 1일, 아이슬란드 복음루터교회의 지위와 정부와의 관계를 규정하는 새로운 법이 발효되었다. 연례 교회 총회(''Kirkjuþing'')는 이제 교회의 최고 입법 기관이 되었으며, 이전에는 알싱에 의해 제정되었던 대부분의 교회법을 담당하게 되었다. Kirkjuþing은 29명의 선출된 대표자(사제 12명, 평신도 17명)와 평신도 의장으로 구성된다.

최고 행정 기관은 교회 평의회(Kirkjuráð)로, Kirkjuþing에서 선출된 사제 2명과 평신도 2명으로 구성되며, 아이슬란드 주교가 의장을 맡는다. 레이캬비크의 교회 건물에 있는 주교 관저는 Kirkjuráð의 사무실 역할을 한다. 재정 문제와 인사를 처리하는 것 외에도 교육 및 봉사, 에큐메니컬 문제, 교회 및 사회, 커뮤니케이션 부서를 두고 있다. 교회의 출판사 역시 교회 건물에 위치해 있다.

국내에는 아이슬란드 감독 아래 감독구가 레이캬비크에 1곳 존재한다.

300여 개의 교구가 있으며, 각 교구는 독립 채산제를 채택하여 교회의 건설·유지를 비롯해 교회 관련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150명의 목사와 27명의 집사가 있으며, 14명의 목사는 병원이나 다른 기관에 근무하고 있다. 1911년, 아이슬란드 대학교에 루터교회 교역자 및 집사를 양성하는 신학부가 탄생했다.

4. 2. 교회 평의회 (Kirkjuráð)

1998년 1월 1일, 아이슬란드 복음루터교회의 지위와 정부와의 관계를 규정하는 새로운 법이 발효되었다. 연례 교회 총회(''Kirkjuþing'')는 이제 교회의 최고 입법 기관이 되었으며, 이전에는 알싱에 의해 제정되었던 대부분의 교회법을 담당하게 되었다. Kirkjuþing은 29명의 선출된 대표자(사제 12명, 평신도 17명)와 평신도 의장으로 구성된다.

최고 행정 기관은 교회 평의회(Kirkjuráð)로, Kirkjuþing에서 선출된 사제 2명과 평신도 2명으로 구성되며, 아이슬란드 주교가 의장을 맡는다. 레이캬비크의 교회 건물에 있는 주교 관저는 Kirkjuráð의 사무실 역할을 한다. 재정 문제와 인사를 처리하는 것 외에도 교육 및 봉사, 에큐메니컬 문제, 교회 및 사회, 커뮤니케이션 부서를 두고 있다. 교회의 출판사 역시 교회 건물에 위치해 있다.

4. 3. 주교구

아이슬란드 교회는 1801년까지 스칼홀트와 호울라르의 두 전통적인 교구를 유지했으며, 이후 단일 주교구로 통합되었다. 아이슬란드 주교는 레이캬비크에 있으며, 이곳에 대성당과 주교 사무실이 있다.[9] 1909년, 과거의 스칼홀트와 호울라르 주교구가 보좌 주교(''vígslubiskup'')직으로 부활하였다. 이들은 교구 주교는 아니지만, 각 교구 대성당과 이를 연구 및 영성의 중심지로 구축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1990년에는 보좌 주교에게 목회 문제에 있어 아이슬란드 주교의 보좌로서 더 큰 책임을 부여하는 새로운 법률이 통과되었으며, 세 명의 주교는 주교 회의를 구성한다.

매년 주교는 교회와 사회의 문제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교회의 모든 목사와 신학자를 목회 시노드로 소집한다. 시노드는 주교와 키르큐팅에서 결정될 모든 신학과 전례 문제에 대해 발언권을 갖는다.

국내에는 아이슬란드 감독 아래 감독구가 레이캬비크에 1곳 존재한다. 과거 감독구가 있었던 스카울홀트와 호울라르에는 2명의 부감독(vígslubiskup)이 거주하며, 각 감독구의 성당 관리를 담당하는 외에 감독 회의 등에 감독을 수행한다.

4. 4. 교구 (Parishes)

아이슬란드 전역에는 약 300개의 루터교 교구가 있다. 각 교구는 독립 채산제를 채택하여 교회 건물 건설 및 유지, 교구의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교구의 업무는 예배 외에도 교육, 봉사 활동, 어린이 및 청소년 사역을 포함한다. 농촌 지역에서는 한 명의 사제가 여러 교구를 담당하기도 한다.

4. 5. 성직자

아이슬란드 교회에는 약 150명의 사제와 27명의 서품된 부제가 있다.[9] 14명의 사제는 병원 및 기타 기관에서 비교구 목회를 하고 있으며,[9] 해외 아이슬란드 신도들을 섬기는 사제도 있다.[9]

300여 개의 교구가 있으며, 각 교구는 독립 채산제를 채택하여 교회의 건설, 유지, 교회 관련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9] 농촌 지역에서는 한 명의 목사가 여러 교구를 담당하기도 한다.[9] 각 교구는 예배 외에도 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9]

1911년, 아이슬란드 대학교에 루터교회 교역자 및 집사를 양성하는 신학부가 설치되었다.[9]

매년 주교는 교회와 사회의 문제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교회의 모든 목사와 신학자를 목회 시노드로 소집한다. 시노드는 주교와 키르큐팅에서 결정될 모든 신학과 전례 문제에 대해 발언권을 갖는다.

4. 6. 신학 교육

아이슬란드 대학교 신학부(1911년 설립)는 아이슬란드 복음루터교회의 성직자(목사 및 부제)를 교육한다. 많은 신학자들이 대서양 양쪽의 신학교와 대학교에서 추가적인 연구를 위해 해외로 간다. 아이슬란드 복음루터교회는 고립되어 있지 않으며 모든 현대적인 영향과 신학적 경향에 열려 있다. 150명의 목사와 27명의 집사가 있으며, 14명의 목사는 병원이나 다른 기관에 근무하고 있다. 1911년에 설립된 아이슬란드 대학교 신학부는 신학상의 최신 이론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5. 에큐메니컬 활동

아이슬란드 복음루터교회는 루터교 세계 연맹, 세계 교회 협의회, 유럽 교회 회의, 그리고 유럽 개신교 교회 연합의 회원이다.[10] 1995년 교회는 포르보 협약 성명에 서명하여 북유럽 및 발트해 루터교회와 영국 제도의 성공회 교회와 완전한 친교 (공유된 교리와 공통된 사역을 인정하는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0]

노르웨이 선교 연맹과 협력하여 아이슬란드 선교 연맹은 중국, 에티오피아케냐에서 선교 활동을 수행해 왔다. 아이슬란드 교회 지원은 세계 각지에서 국제 기구와 협력하여 구호 및 개발 활동을 해 왔다.

교회는 스웨덴 교회, 노르웨이 교회, 핀란드 교회, 그리고 이전 모 교회인 덴마크 교회를 포함한 다른 북유럽 교회들과 역사적 연결 고리를 가지고 있다. 모든 북유럽 국교회는 루터교 기독교 전통을 따른다.

루터교 세계 연맹세계 교회 협의회, 유럽 교회 회의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잉글랜드 성공회 외 브리튼 제도 및 이베리아 반도의 성공회북유럽 · 발트 3국의 루터교회 간 포르보 커뮤니온 협정을 체결했다. 또한 캐나다의 복음 루터교회와 상호 교류에 관한 협정을 맺고 있다.

5. 1. 회원 단체

아이슬란드 복음루터교회는 루터교 세계 연맹, 세계 교회 협의회, 유럽 교회 회의, 유럽 개신교 교회 연합의 회원이다.[10] 1995년에는 포르보 협약 성명에 서명하여 북유럽 및 발트해 루터교회와 영국 제도의 성공회 교회와 완전한 친교 (공유된 교리와 공통된 사역을 인정하는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0]

노르웨이 선교 연맹과 협력하여 아이슬란드 선교 연맹은 중국, 에티오피아케냐에서 선교 활동을 수행해 왔다. 아이슬란드 교회 지원은 세계 각지에서 국제 기구와 협력하여 구호 및 개발 활동을 해 왔다.

교회는 스웨덴 교회, 노르웨이 교회, 핀란드 교회, 그리고 이전 모 교회인 덴마크 교회를 포함한 다른 북유럽 교회들과 역사적 연결 고리를 가지고 있다. 모든 북유럽 국교회는 루터교 기독교 전통을 따른다.

캐나다의 복음 루터교회와 상호 교류에 관한 협정을 맺고 있다.

5. 2. 포르보 협약

아이슬란드 복음루터교회는 루터교 세계 연맹, 세계 교회 협의회, 유럽 교회 회의, 그리고 유럽 개신교 교회 연합의 회원이다.[10] 1995년 교회는 포르보 협약 성명에 서명하여 북유럽 및 발트해 루터교회와 영국 제도의 성공회 교회와 완전한 친교 (공유된 교리와 공통된 사역을 인정하는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0] 잉글랜드 성공회 외 브리튼 제도 및 이베리아 반도의 성공회북유럽 · 발트 3국의 루터교회 간 포르보 커뮤니온 협정을 체결했다.

5. 3. 선교 및 구호 활동

아이슬란드 복음루터교회는 루터교 세계 연맹, 세계 교회 협의회, 유럽 교회 회의, 유럽 개신교 교회 연합의 회원이다.[10] 1995년 포르보 협약에 서명하여 북유럽 및 발트해 루터교회와 영국 제도의 성공회 교회와 완전한 친교 관계를 맺었다.[10]

노르웨이 선교 연맹과 협력하여 중국, 에티오피아, 케냐에서 선교 활동을 수행해 왔다. 아이슬란드 교회 지원은 세계 각지에서 국제 기구와 협력하여 구호 및 개발 활동을 하고 있다.

스웨덴 교회, 노르웨이 교회, 핀란드 교회, 덴마크 교회와 역사적 연결 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모두 루터교 기독교 전통을 따른다. 캐나다의 복음 루터교회와 상호 교류에 관한 협정을 맺고 있다.

5. 4. 타 교회와의 관계

아이슬란드 복음루터교회는 루터교 세계 연맹, 세계 교회 협의회, 유럽 교회 회의, 그리고 유럽 개신교 교회 연합의 회원이다.[10] 1995년 교회는 포르보 협약 성명에 서명하여 북유럽 및 발트해 루터교회와 영국 제도의 성공회 교회와 완전한 친교 (공유된 교리와 공통된 사역을 인정하는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0]

교회는 스웨덴 교회, 노르웨이 교회, 핀란드 교회, 그리고 이전 모 교회인 덴마크 교회를 포함한 다른 북유럽 교회들과 역사적 연결 고리를 가지고 있다. 모든 북유럽 국교회는 루터교 기독교 전통을 따른다. 루터교 세계 연맹세계 교회 협의회, 유럽 교회 회의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잉글랜드 성공회 외 브리튼 제도 및 이베리아 반도의 성공회북유럽 · 발트 3국의 루터교회 간 포르보 커뮤니온 협정을 체결했다. 또한 캐나다의 복음 루터교회와 상호 교류에 관한 협정을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s by religious and life stance organizations 1998–2023 https://px.hagstofa.[...] Statistics Iceland 2023-10-26
[2] 웹사이트 Home page http://www.kirkjan.i[...] Evangelical Lutheran Church of Iceland 2023-06-11
[3] 웹사이트 Agnes M Sigurdardóttir is first woman elected as bishop in Iceland http://www.zonta.org[...] Zonta International 2013-01-11
[4] 서적 History of Iceland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5] 웹사이트 Þjóðskrá/Registers Iceland – Skráningar í trú- og lífsskoðunarfélög í apríl 2021 https://www.skra.is/[...] Skra.is 2021-04-26
[6] 웹사이트 Church of Iceland http://kirkjan.is/no[...] kirkjan.is 2008-01-24
[7] 기타 Þjóðarpúls Gallup 2004
[8] 웹사이트 First Lesbian Couple in Iceland "Marries" in Church http://icelandreview[...] 2015-06-16
[9] 서적 Together in Mission and Ministry: The Porvoo Common Statement, With, Essays on Church and Ministry in Northern Europe (Section: Episcopacy in our churches – Iceland) Church House Publishing
[10] 웹사이트 The Porvoo Communion http://www.porvoochu[...] Porvoo Churches 2013-01-11
[11] 문서 Part of the Porvoo Commun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