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극성 인격장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극성 인격장애는 과도한 감정 표현, 타인의 관심에 대한 갈망, 피상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질환이다. 사회적, 직업적으로 높은 수행능력을 보일 수 있으나, 타인을 조종하고 관심의 중심이 되려 하며, 관계가 끝나면 우울증을 겪기도 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과시적 행동, 끊임없는 인정 추구, 과도한 민감성, 부적절한 외모나 성적 행동, 과장된 감정 표현 등이 있으며, 기억술 "PRAISE ME"로 특징을 기억할 수 있다. 원인으로는 신경화학적, 유전적, 정신분석학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반사회성 인격장애와의 연관성도 연구되고 있다. 진단은 DSM-5 또는 ICD-10 기준에 따라 이루어지며, 심리 치료, 인지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밀론은 연극성 인격장애를 위로하는, 명랑한, 격정적, 부정직, 연극조, 영아적 유형으로 분류했다. 역사적으로 히스테리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부터 현대까지 여성과 연관되어 연구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과 심리학 - 팜 파탈
    팜 파탈은 서구 문화에서 유행한 서사적 기법으로, 신화와 역사 속 인물에서 원형을 찾아볼 수 있는 파멸을 초래하는 매혹적인 여성을 의미하며, 영화, 드라마, 만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매력적인 악녀 캐릭터로 나타난다.
  • 여성과 심리학 - 뤼스 이리가레
    뤼스 이리가레는 벨기에 출신의 프랑스 철학자, 정신분석학자, 페미니스트 이론가로서, 남성 중심적인 서구 철학과 정신분석학을 비판하며 여성의 경험과 언어, 성차에 대한 독자적인 이론을 발전시키고 여성적 언어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기여했다.
  • 인격장애 - 의존성 인격장애
    의존성 인격장애는 정서적, 신체적 욕구 충족을 위해 타인에게 과도하게 의존하는 정신 질환으로, 수동성, 관계 종료 시 파괴적인 행동, 책임 회피, 복종 등의 증상을 보이며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과 ICD-10에 진단 기준이 제시되어 있고 정신 요법을 통해 치료한다.
  • 인격장애 - 분열형 인격장애
    분열형 인격장애는 기이한 사고방식과 행동, 대인관계 기피를 특징으로 하는 정신 장애로, 유전적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며 사회적 불안과 친밀한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약물 및 심리 치료를 통해 증상 완화를 시도할 수 있다.
  • 정신의학적 진단 - 하지불안 증후군
    하지불안 증후군은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강한 충동과 함께 다리에 불편한 감각이 나타나는 신경 질환으로, 휴식 시 증상이 심해지고 움직이면 완화되며, 도파민 시스템 이상, 철분 부족, 유전적 요인 등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수면 장애 및 삶의 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 정신의학적 진단 - 신체화 장애
    신체화 장애는 명확한 신체적 원인 없이 다양한 신체 증상을 나타내며, 불안, 우울증과 같은 정신과적 문제를 동반하기도 하고, 증상 완화와 심리적 안정을 위한 정신 치료, 상담 치료, 약물 치료 등이 사용된다.
연극성 인격장애
일반 정보
극적인 행동은 연극성 인격장애의 주요 표지이다.
극적인 행동은 연극성 인격 장애의 주요 표지이다.
분야임상심리학, 정신의학
증상지속적인 관심추구, 극적인 행동, 급격하게 변하는 피상적인 감정, 성적으로 도발적인 행동, 디테일이 떨어지는 발언 유형, 실제보다 관계를 더욱 친밀하게 생각하는 경향
발병증상은 보통 15세 이후에 완전히 발현됨
지속 기간평생
원인고반응성 노르아드레날린성 체계, 유전학, 권위주의적 양육
진단증상에 기반
감별 진단기타 성격장애, 물질 사용 장애, 기타 의학적 상태로 인한 성격 변화
치료기능 분석 심리 치료, 기능적 관념 기술 평가 템플릿, 내담자와 치료사 행동 코딩
기타 명칭연극성 인격 장애
진료과정신건강의학과
MedlinePlus001531
관련 질병
감별 진단경계선 성격 장애, 자기애성 성격 장애, 반사회성 성격 장애
참고 문헌

2. 징후 및 증상

연극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겉보기에는 사회적으로나 직업적으로 높은 기능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뛰어난 사회적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종종 이러한 기술을 자신이 타인의 관심 중심이 되도록 사람들을 조종하는 데 사용한다.[63][6]

이러한 성향은 개인의 사회적 관계나 연애 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상실이나 실패에 대처하는 능력에도 어려움을 겪게 할 수 있다.[63] 관계가 실제보다 더 가깝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으며,[25][26][27] 연인 관계나 다른 친밀한 관계가 끝났을 때 임상적 우울증으로 이어져 치료를 찾게 될 수도 있다.[64][26]

연극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자신의 상황을 현실적으로 파악하기보다는 어려움을 과장하거나 극적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65][5] 쉽게 지루함을 느끼고 좌절감을 견디기 어려워하며 회피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65][63] 이 때문에 직업을 자주 바꾸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65] 또한, 새로운 것과 흥미로운 자극을 끊임없이 추구하기 때문에 때로는 스스로 위험한 상황에 처하기도 한다.[65] 이러한 여러 요인들은 임상적 우울증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65][4]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일부 연극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타인의 관심을 끌기 위한 매혹 기술을 좀 더 모성애나 부성애를 자극하는 방식으로 변화시키기도 한다.[67][21] 이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성격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변화를 위협으로 여겨 바꾸려 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63][21] 자신의 실패나 실망에 대한 책임을 타인에게 돌리기도 한다.[63][21]

2. 1. 주요 증상

연극성 인격장애(HPD) 환자는 극적인 성격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2][3][4] 자신의 상황을 현실적으로 보기보다는 어려움을 과장하거나 극적으로 연출하는 경향이 있다.[65][5] 감정 변화가 빠르고 피상적이거나 과장되어 보일 수 있으며,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이 부족할 수 있다.[63][5]

사회적으로나 직업적으로는 높은 수행 능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63][6] 이들은 뛰어난 사회적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주로 자신이 관심의 중심이 되기 위해 이를 사용한다.[63][6] 타인의 관심을 받는 상황을 즐기며, 관심이 자신에게 집중되지 않으면 불편함을 느낀다.[6] 끊임없이 타인의 안심이나 인정을 갈망하며,[63][9] 이를 얻기 위해 노력한다.[11] 이러한 관심에 대한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증상의 심각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22] 소셜 미디어 중독에 더 취약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9] 비판이나 거절에 과도하게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63][10]

좌절감을 잘 견디지 못하고 만족 지연을 어려워하며,[63][7] 쉽게 지루함을 느낀다. 새로운 자극과 흥분을 추구하기 때문에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으며,[65][4] 이로 인해 직업을 자주 바꾸기도 한다.[65][4] 타인의 제안이나 의견에 쉽게 영향을 받는 피암시성이 높으며,[63][66][6][23][24] 특히 자신을 인정해주는 사람에게 쉽게 조종당할 수 있다.[6][23][24] 자신의 실패나 실망에 대한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돌리는 경향도 보인다.[63][21]

관심을 끌기 위해 과시적인 행동을 하거나,[63] 화려한 옷차림, 신체 변형 등을 시도할 수 있다.[13][6] 때로는 신체적 질병이나 심리적 문제를 꾸며내어 관심을 유도하기도 한다.[63][6][14] 부적절하게 성적으로 유혹적인 외모나 행동을 보일 수 있으며,[63][15][16] 바람을 피우거나[6][17][18] 착취적인 관계를 맺을 수도 있다.[19] 섹스팅이나 노출증과 같은 행동이 나타나기도 한다.[20]

대인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사회적 관계나 연애 관계에 영향을 받으며, 상실이나 실패에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할 수 있다.[63] 관계를 실제보다 더 친밀하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으며,[63][25][26][27] 연인 관계 등이 끝났을 때 임상적 우울증으로 치료를 받으려 할 수 있다.[64][26] 친구에게 과도한 관심을 요구하거나, 피해자 역할을 과장되게 연기하거나, 감정 변화가 너무 빨라 가식적으로 보이는 등의 이유로 관계가 멀어지기도 한다.

외향성이 강하고[6]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관련이 있다는 특징이 있다.[6] 하지만 내면이 공허하고 정체성 확립이 약할 수 있으며, 자기 의심이 적고 자기중심적으로 보일 수 있다.[8] 말하는 방식이 인상적이기는 하지만 세부적인 내용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38]

자신의 성격에 대해 자부심을 느끼며, 변화를 위협으로 간주하여 변화하려 하지 않을 수 있다.[63][21] 나이가 들면서 유혹 기술을 보다 모성애나 부성애를 자극하는 방식으로 바꾸기도 한다.[67][21]

연극성 인격장애는 알코올 의존증이나 오피오이드 사용 장애와 같은 물질 사용 장애와 동반될 가능성이 높으며,[28][29][30][31][32] 자살,[33][34] 신체이형장애(자신의 외모 결점에 대한 집착),[35][36] 이혼의 위험도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7] 이러한 요인들은 임상적 우울증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65][4]

허언증(Pseudologia fantastica)과 관련될 수 있는데, 이는 자신을 실제보다 더 나은 사람으로 보이려는 욕구에서 비롯된 거짓말을 하는 경향을 말한다. 자신의 욕망에 따른 망상을 사실인 것처럼 말하며, 외모를 가꾸듯 허언을 통해 자신을 포장하려 한다. 유명인이나 권력자와의 친분을 과시하는 '네임 드로핑'을 하기도 하며, 심한 경우 주변과의 이해관계를 조정하지 못하고 사기 등의 범죄로 이어질 수도 있다.

추가적인 특징 요약[63][66]
특징설명
과시적 행동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행동
지속적인 인정 추구끊임없이 안심이나 인정을 받으려 함
비판/거절 민감성비판이나 거절에 과도하게 민감하게 반응함
변화 거부자신의 성격에 자부심을 느끼고 변화를 위협으로 간주하여 꺼림
부적절한 매력 어필상황에 맞지 않게 성적으로 유혹적인 외모나 행동을 함
관심 끌기 위한 행동신체 질병이나 심리 장애를 꾸며내어 주목을 받으려 함
관심 갈망타인의 관심을 강하게 원함
낮은 인내심좌절감을 참거나 만족 지연을 견디기 어려워함
피상적/급변하는 감정감정 상태가 급격히 변하며 피상적으로 보일 수 있음
관계 인식 왜곡실제보다 관계를 더 친밀하다고 믿음
성급한 결정충동적으로 결정을 내림
책임 전가자신의 실패나 실망을 다른 사람 탓으로 돌림
높은 피암시성타인, 특히 자신을 수용하는 사람에게 쉽게 영향을 받음
지나친 극적/감정적 표현감정을 매우 극적으로 표현함


2. 2. 연상 기호

연극성 인격장애의 특징을 기억하는 데 사용하는 기억술(mnemonic)로는 "PRAISE ME"가 있다.[68][69]

  • '''P'''rovocative (or seductive) behavior: Provocative (or seductive) behavior|도발적이거나 매혹적인 행동eng
  • '''R'''elationships are considered more intimate than they actually are: Relationships are considered more intimate than they actually are|실제보다 더 친밀한 관계로 생각함eng
  • '''A'''ttention-seeking: Attention-seeking|관심 추구eng
  • '''I'''nfluenced easily by others or circumstances: Influenced easily by others or circumstances|타인이나 환경의 영향을 쉽게 받음eng
  • '''S'''peech (style) wants to impress; lacks detail: Speech (style) wants to impress; lacks detail|말하기로 인상을 주려 하지만 디테일이 떨어짐eng
  • '''E'''motional lability; shallowness: Emotional lability; shallowness|정서적 불안정성, 천박함eng
  • '''M'''ake-up; physical appearance is used to draw attention to self: Make-up; physical appearance is used to draw attention to self|꾸미기, 신체적 외형을 자신에 대한 관심을 끄는데 사용eng
  • '''E'''xaggerated emotions; theatrical: Exaggerated emotions; theatrical|과장된 정서, 연극조eng

3. 원인

연극성 인격장애의 원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직접적인 원인은 불분명하다.[39] 다만, 다양한 이론과 연구를 통해 신경화학적, 유전적, 정신분석학적 또는 환경적 요인 등 여러 가지 가능한 원인이 제시되고 있다.

히스테리의 특징으로 여겨졌던 사치스러움, 허영심, 유혹적인 성향 등은 연극성 인격장애(HPD)로 진단받은 여성들의 특징과 유사한 면이 있다.[39][70]

연극성 인격장애(HPD) 증상은 일반적으로 15세까지 완전히 나타나지는 않으며, 치료 시작은 평균적으로 약 40세에 이루어진다.[40][41][71][72]

3. 1. 신경화학적/생리학적 원인

연극성 인격장애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연구에 따르면 몇 가지 신경화학적 및 생리학적 요인이 관련될 수 있다.[39] 특히 B군 성격 장애에 속하는 연극성 인격장애는 신경전달물질 기능과 강한 연관성을 보인다.[73][40]

연구에 따르면, 연극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노르에피네프린 신경전달물질의 합성, 저장, 방출을 담당하는 노르아드레날린성 계통의 반응성이 높은 경향이 있다.[73][40] 카테콜아민 계열에 속하는 노르에피네프린 수치가 높으면 불안 성향이 높아지고, 타인에게 의존하려는 경향이 강해지며, 새로운 자극을 추구하고 높은 사교성을 보이는 특성과 관련이 있다.[73][40]

3. 2. 유전적 요인

연극성 인격장애의 원인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39] 그러나 유전적 요인이 관여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쌍둥이 연구는 유전 대 환경 논쟁에서 유전적 소인의 영향을 밝히는 데 기여해왔다. 오슬로 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실시한 한 연구는 유전과 B군 성격 장애 사이의 연관성을 탐구했다. 이 연구는 92쌍의 일란성 쌍둥이와 129쌍의 이난성 쌍둥이를 포함한 221쌍의 쌍둥이를 대상으로 DSM-III-R 성격 장애에 대한 구조화된 임상 면담(SCID-II)을 이용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연극성 인격장애의 유전적 상관관계가 0.67로 나타나, 유전적 요인이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했다.[74][31]

3. 3. 정신분석이론

과학적 증거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지만,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연극성 인격장애의 원인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75] 한쪽 부모(주로 어머니) 또는 양쪽 부모가 권위적이거나 거리를 두는 태도를 보이고, 아이가 결코 완전히 만족시킬 수 없는 기대에 기반한 조건적인 사랑을 제공하는 경우 원인이 될 수 있다.[75][1]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정신분석을 통해, 탐욕스러운 성격(또는 성적 매력)이 환자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인지적 성숙 능력 부족의 원인이며, 이러한 환자들은 정서적으로 얄팍하고 피상적이라고 보았다.[76][42] 또한 프로이트는 유년기에 겪은 트라우마적 경험, 예를 들어 가까운 친척의 사망이나 부모의 이혼 등이 헌신적인 관계에 대한 잘못된 인상을 심어주어 사랑하는 능력을 저해한다고 생각했다.[77][43] 가까운 친구나 가족 구성원이 유기되거나 사망하는 등의 트라우마적 사건에 노출되면, 다른 사람과 진실하고 애정 어린 애착을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77][43]

3. 4. 반사회성 인격장애와의 관계

한 이론은 연극성 인격장애와 반사회성 인격장애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연구에 따르면, 연극성 인격장애 환자의 약 3분의 2가 반사회성 인격장애 진단 기준과 유사한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0][39] 이는 성 유형 표현에 기반한 두 장애가 같은 기저 원인을 공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미디어에서는 여성들이 지속적으로 성적으로 묘사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여성이 주목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자신을 대상화하거나 이용하는 것이며, 외모만으로 부족할 경우 연극적인 행동을 통해 관심을 얻어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78] 반면, 남성들은 여러 여성을 유혹하는 모습으로 그려지며 여성에게 공감이나 동정심을 느낄 필요가 없는 것처럼 묘사되기도 한다.[70] 남성들에게는 돈 후안과 같은 마초적 인물을 롤모델로 삼아 자신을 드러내는 방식 역시 주목받는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78]

일부 가족사 연구에서는 연극성 인격장애뿐만 아니라 경계선 인격장애와 반사회성 인격장애가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하지만, 이것이 유전적 요인 때문인지 환경적 요인 때문인지는 명확하지 않다.[79][44] 이러한 사례들은 특정 소인이 연극성 인격장애 진단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이 장애가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유전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가 거의 없다.[79][44]

연극성 인격장애와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충동성, 무모함, 조작적인 면에서 공통점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연극성 인격장애는 감정적인 과장이 두드러지는 반면,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감정 표현이 상대적으로 덜하며 반사회적 행동과 더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경향이 있다.

4. 진단

심리 평가, 환자의 외모, 행동, 병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단을 내린다. 연극성 인격장애 진단을 확정하는 특정 검사는 없다. 진단 기준이 주관적일 수 있어 일부는 오진되기도 한다.[80][45]

2001-2002년 미국 국립 유행병학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연극성 인격장애 유병률은 약 1.84%로 보고되었다.[89] 주요 성격 특질은 유전되는 경향이 있지만, 다른 특질들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특히 유년기 경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보인다.[90]

연극성 인격장애는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자주 진단되는 경향이 있다 (약 65%가 여성, 35%가 남성).[91] 일부 연구에서는 여성다움(eng)과 연극성 인격장애, 의존성 인격장애, 자기애성 인격장애 사이의 연관성을 제시하기도 했다.[93] 그러나 마시 케플런(Marcie Kaplan)은 자신의 저서에서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의 진단 기준이 기존에 여성적인 것으로 여겨지던 행동들을 과장하여 반영하며, 이로 인해 여성들이 선입견 때문에 과잉 진단될 수 있다고 비판했다.[92] 건강한 여성조차 자동적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92] 특정 임상 환경에서 여성의 진단 비율이 높은 것이 실제 유병률의 성별 차이를 반영하는지, 아니면 다른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95]

연극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타인의 주목을 강하게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질투나 타인에 대한 신뢰 부족 등으로 결혼 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는 이혼이나 별거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96]

진단 기준으로는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이나 국제질병분류(ICD) 등이 사용되며, 세부적인 진단 기준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진단 시에는 단순히 사교성이 높은 것과 구별하여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는지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환자가 속한 문화적, 사회적 배경을 고려하여 행동의 적절성을 판단해야 하며, 진단하는 사람 자신의 편견이 진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60] 문화적, 사회적 측면이 연극성 인격장애 행동의 발현이나 억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도 있다. ICD-10 제5장: 정신 및 행동 장애에서는 진단 코드 F60.4로 분류된다.

4. 1. DSM-5 진단 기준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제5판(DSM-5)은 연극성 인격장애를 B군 인격장애로 분류한다.[81][46] DSM-5에 따른 연극성 인격장애 진단 기준은 과도한 정서성과 관심 추구의 광범위한 패턴이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어 다양한 상황에서 나타나며, 다음 8가지 기준 중 5가지 이상을 충족하는 경우이다.[46]

  • 자신이 관심의 중심에 있지 않은 상황에서 불편함을 느낀다.[46]
  •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부적절하게 성적으로 유혹적이거나 도발적인 행동으로 특징지어진다.[46]
  • 감정 표현이 빠르게 변하고 피상적이다.[46]
  • 자신에게 주의를 끌기 위해 지속적으로 외모를 이용한다.[46]
  • 지나치게 인상주의적이고 세부 사항이 부족한 화법을 사용한다.[46]
  • 자기 극화(self-dramatization), 연극조의 과장된 감정 표현을 보인다.[46]
  • 피암시성이 높아 다른 사람이나 상황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46]
  • 관계를 실제보다 더 친밀하다고 생각한다.[46]


DSM-5는 특정 인격장애 진단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인격장애 기준 역시 충족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46] 단순히 사교성이 높은 것을 넘어, 이러한 행동 패턴이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는지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단 시에는 환자가 속한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무엇이 적절한 인격인지 판단해야 하며, 진단하는 사람 스스로의 편견이 개입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60]

국제질병분류 제10판(ICD-10)에서는 F60.4 코드로 분류된다.

4. 2. ICD-10 진단 기준

세계보건기구(WHO)의 ICD-10에서는 특정 인격 장애 진단을 내리기 전에, 우선 일반적인 인격 장애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82][47]

ICD-10에 따른 연극성 인격 장애(F60.4)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47][82]

  • 얕고 불안정한 정동성 (쉽게 변하는 감정)
  • 자기 극화 (자신을 과장되게 드러냄)
  • 연극적인 태도
  • 과장된 감정 표현
  • 피암시성 (타인이나 상황에 쉽게 영향받음)
  • 자기중심성
  • 방종 (자신의 쾌락이나 만족을 추구함)
  • 타인에 대한 배려 부족
  • 쉽게 상처받는 감정
  • 지속적으로 타인의 인정, 흥분되는 경험, 관심을 추구함


진단 시에는 환자가 속한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인격 특성이 적절한지를 판단해야 하며, 진단하는 사람 스스로의 편견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60]

ICD-10 제5장: 정신 및 행동 장애에서 연극성 인격 장애의 진단 코드는 F60.4이다.

4. 3. 감별 진단

DSM-IV-TR에 따르면, 연극성 인격장애는 주의를 끌려는 행동을 특징으로 한다. 진단 시에는 단순히 사교성이 높은 것과 구별하여, 이러한 행동이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기능 장애를 초래하는지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60]

DSM-IV-TR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으며, 이 중 5가지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60]

  • 자신이 주목받지 못하면 불편함을 느낀다. 이 때문에 이야기를 꾸며내거나 소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 상황에 맞지 않게 성적으로 유혹적이거나 도발적인 행동을 보인다.
  • 감정 표현이 빠르게 변하고 피상적이다.
  • 다른 사람의 주목을 끌기 위해 자신의 외모를 이용한다.
  • 말하는 방식이 인상적이기는 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이 부족하다.
  • 감정 표현이 과장되고 연극적이다.
  • 다른 사람이나 상황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 (피암시성이 높다).
  • 대인 관계에서 실제보다 더 친밀하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단순한 지인을 절친한 친구처럼 언급하거나 만난 지 얼마 안 된 사람을 스스럼없이 이름으로 부른다.


진단 시에는 환자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해야 하며, 관찰자 자신의 편견이 진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60]

ICD-10 제5장 정신 및 행동 장애에서는 진단 코드 F60.4로 분류된다.

다른 성격 장애와의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 경계성 성격 장애: 충동성, 주목을 끌려는 행동 등은 비슷하지만, 자기 파괴적인 행동, 만성적인 공허감 등이 특징이다.[60]
  • 반사회성 성격 장애: 충동성, 타인을 조종하려는 경향 등은 비슷하지만, 감정 표현의 과장이 덜하고 반사회적 행동과 더 관련이 깊다.[60]
  • 자기애성 성격 장애: 주목을 끌려는 점은 비슷하지만, 자신이 특별하고 우월하다고 믿으며 타인에게 의존적이지 않은 경향을 보인다.[60]


성격 장애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특정 성격 특성이 성인기 초기에 나타나고, 약물 사용이나 극심한 스트레스 같은 일시적인 상태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을 겪거나 사회적, 직업적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어야 한다.[60]

4. 4. 동반 질환

연극성 인격장애 환자는 다른 정신질환을 함께 앓는 경우가 많다.[83][48] 흔히 동반되는 질환은 다음과 같다.

연극성 인격장애는 자살[33][34]이혼[37]의 위험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

다른 인격 장애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기도 하지만 차이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경계선 성격장애는 충동성, 주목을 끌려는 행동 등의 공통점을 보이지만, 자기 파괴적이고 만성적인 공허감을 특징으로 한다. 반사회적 인격장애는 충동적이고 무모하며 조작적인 면에서 공통점을 보이지만, 감정적인 과장은 약하고 반사회적 행동과 관련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자기애성 인격장애는 자신의 우월성에 대해 주의를 끌려고 하지만, 의존적이지 않고 자신이 특권적이라고 과장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성격 장애의 진단은 특정 성격의 특징이 성인기 초기에 나타나며, 약물이나 스트레스 등 일시적인 상태와 구별되며,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기능 장애를 나타내야 한다.

5. 치료

연극성 인격장애의 치료는 주로 연애 관계 등이 끝난 후 겪게 되는 우울증으로 인해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86][45] 주요 치료 방법으로는 심리치료와 인지 치료(cognitive therapy)가 있으며, 이는 연극성 인격장애 자체를 다루는 데 중점을 둔다.[75][1] 약물 치료는 성격 장애 자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어렵지만, 동반되는 우울증과 같은 증상을 완화하는 데는 도움을 줄 수 있다.[86][45] 치료 과정에서 환자가 특별한 행동 없이도 있는 그대로의 자신으로 괜찮다는 안정감을 느끼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가족 등 주변 사람들의 인정과 지지가 필요하다.[61]

5. 1. 심리 치료

연극성 인격장애 치료는 주로 관계가 끝난 후 겪게 되는 우울증 때문에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86][45] 약물 치료는 연극성 인격장애 자체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우울증과 같은 동반 증상을 완화하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다.[86][45] 주요 치료 방법으로는 심리치료와 인지 치료(cognitive therapy)가 있다.[75][1]

일반적인 임상 현장에서 성격 장애를 진단하고 평가할 때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비구조화 면담(unstructured interview)이다.[87][53] 하지만 실제로는 객관성, 체계성, 재현성, 포괄성 면에서 더 우수한 반구조화 면담(semi-structured interview)이 선호된다.[87][53]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구조화 면담은 비현실적이거나 피상적으로 보일 수 있다는 인식 때문에 실제 사용은 적은 편이다.[87][53] 비구조화 면담은 대중적이지만 신뢰도가 낮고, 내담자에 대한 잘못된 가정을 유발할 오류 가능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87][53]

성격 기능을 연구하는 전문가들이 성격 장애를 평가하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는 자기 보고식 척도(self-report inventory)를 사용한 후 반구조화 면담을 진행하는 것이다.[87][53] 그러나 연극성 인격장애 환자는 자신의 성격, 자기 표현(self-presentation), 자아상(self-image)을 왜곡하는 경향이 있어 자기 보고식 척도만으로는 정확한 평가가 어려울 수 있다.[87][53] 즉, 환자에게 단순히 장애 기준에 부합하는지 묻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87][53] 대부분의 투사 검사(projective testing)는 개인이 자신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나 의지에 덜 의존하지만, 현재 연극성 인격장애를 평가하기 위한 투사 검사에 대한 경험적 증거는 제한적이다.[87][53]

기능 분석적 정신 치료(functional analytic psychotherapy, FAP)는 연극성 인격장애를 치료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88][54] 이 치료법은 치료 회기 중 또는 회기 외에 발생하는 환자의 대인 관계 문제를 분석하고 다루는 데 초점을 맞춘다.[88][54] 치료사는 환자의 개선에 필요한 행동 목표를 설정하며, 회기 중에 나타나는 환자의 행동 패턴에 직접 개입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심리치료와 차이가 있다.[88][54]

환자가 치료 회기 중에 보이는 행동은 열악한 대인 관계 소통 패턴의 예로 간주되며, 신경증적 방어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88][54] 이를 위해, 치료사는 환자의 행동에 실시간으로 대응하고, 치료 중 환자의 행동이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88][54] 또한, 치료사는 치료 외부에서 발생하는 행동을 지적함으로써 연극성 인격장애 환자를 돕는다. 이러한 행동은 "외부 문제(Outside Problems)"와 "외부 개선(Outside Improvements)"으로 불린다.[88][54] 이를 통해 치료사는 회기 외부의 문제와 개선을 지원하고, 환자를 언어적으로 지지하며 최적의 행동 패턴을 조건화할 수 있다.[88][54]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행동을 일반화하여 환자가 회기 내 및 회기 외부에서 어떻게 발전하고 변화 또는 개선을 이루는지 반영할 수 있다.[88][54]

이러한 상담 세션에서는 "내담자와 치료사의 행동 코딩(coding client and therapist behavior)"이라는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88][54] 치료사는 내담자가 자신의 행동과 사고방식에 대한 통찰력을 얻도록 대화를 유도한다.[88][54] 다음은 가상의 대화 예시이다 (T = 치료사, C = 내담자).[88][54]

  • '''ECRB''' (Evoking clinically relevant behavior) – 임상적으로 관련된 행동 유도
  • T: 오늘 여기 오시면서 어떤 기분이 드셨나요? ('''CRB2''')
  • C: 솔직히 말씀드리면, 긴장했어요. 가끔은 일이 어떻게 진행될지 걱정되지만, 여기 오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 '''CRB1''' (Client Relevant Behavior 1) – 회기 중 문제 행동
  • C: 됐어요, 당신은 항상 그렇게 말하잖아요. (조용해진다). 이렇게 말을 많이 하는 이유를 모르겠어요.
  • '''CRB2''' (Client Relevant Behavior 2) – 회기 중 개선된 행동
  • '''TCRB1''' (Therapist Clinically Relevant Behavior 1) – 내담자 문제 행동에 대한 임상적으로 관련된 반응
  • T: 지금 당신은 저에게서 멀어지는 것처럼 보이네요. 그러면 제가 지금 당신에게 필요한 것을 드리기 어려워집니다. 지금 우리가 대화하는 동안 저에게 무엇을 원한다고 생각하시나요?
  • '''TCRB2''' (Therapist Clinically Relevant Behavior 2) – 내담자 개선된 행동에 대한 반응
  • T: 잘하셨습니다. 저도 당신이 오셔서 기쁩니다. 당신과 이야기하게 되기를 기대합니다.[88][54]


코딩 외에 기능적 개별 평가 템플릿(Functional Ideographic Assessment Template, FIAT)이라는 도구도 사용된다.[88][54] FIAT는 기능 분석적 정신 치료의 임상 과정을 일반화하고, 치료의 초점이 되는 행동들을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을 준다.[88][54] 이 템플릿은 치료사들의 공동 노력으로 만들어졌으며, FIAT를 사용함으로써 치료사는 환자와 치료사 모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며, 기능 분석적 정신 치료를 통해 안정적이고 정확한 의사소통 결과를 얻기 위한 공통 언어를 만들 수 있다.[88][54]

궁극적으로 환자가 있는 그대로의 자신으로 괜찮다는 안도감을 느끼게 되면, 특별한 행동을 할 필요성이 줄어들고 정신 상태도 안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가족 등 주변 사람들이 환자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인정하고 받아들여 주는 지지적인 환경이 중요하다.[61]

5. 2. 약물 치료

연극성 인격장애 치료는 종종 관계가 끝난 후 겪게 되는 우울증 때문에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86][45] 약물 치료는 연극성 인격장애 자체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동반되는 우울증과 같은 증상을 완화하는 데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86][45] 연극성 인격장애 자체의 치료에는 심리치료와 인지 치료(cognitive therapy) 등이 있다.[75][1]

6. 유형 (밀론의 하위 유형)

2000년, 테오도어 밀론은 연극성 인격장애의 하위 유형을 6가지로 나누어 제시했다. 연극성 인격장애 환자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의 하위 유형 특성을 보일 수 있다.[85][52]

하위 유형설명관련 인격장애 특성
위로하는(유화형) 연극성 인격장애문제 해결과 관계 유지를 위해 타인을 달래고 양보하며 칭찬을 얻으려 애쓴다. 차이를 해소하고 화를 누그러뜨리는 데 능숙하며, 때로는 자신을 희생하기도 한다.의존성 인격장애, 강박장애 특성 포함
명랑한(활기찬) 연극성 인격장애활기차고 매력적이며 충동적인 모습을 보인다. 순간적인 즐거움과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며 에너지가 넘친다.경조증, 자기애성 인격장애 특성 포함 가능성
격정적 연극성 인격장애감정 기복이 심하고 충동적이며 불만이 많다. 쉽게 짜증을 내고 주기적으로 격분하는 등 감정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다.수동공격 인격장애 특성 포함
부정직(불성실한) 연극성 인격장애타인을 조종하려 하며 교활하고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 자기중심적이며 자신의 이익을 위해 거짓말을 하거나 계획을 꾸미는 데 거리낌이 없다.반사회성 인격장애 특성 포함
연극조(연극적인) 연극성 인격장애자신의 외모나 행동을 과장하여 타인의 관심을 끌려고 한다. 연극 무대에 있는 것처럼 꾸며진 모습과 극적인 자세를 취하며, 감정 표현이 인위적일 수 있다.순수 유형의 변형
영아적(유아적인) 연극성 인격장애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미성숙한 모습을 보인다. 타인에게 과도하게 의존하고 매달리며, 요구 사항이 많고 어린아이처럼 감정을 표현(예: 떼쓰기, 뾰로통함)하는 경향이 있다.경계선 인격장애 특성 포함


7. 역사

연극성 인격장애의 영문명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는 '배우'를 의미하는 에트루리아어 'histrio'에서 유래하였다. 이 장애의 근간을 이루는 히스테리(Hysteria)는 개인이 경험하는 과장되거나 통제 불가능한 감정 상태를 설명하는 용어로, 문헌에 기록된 가장 오래된 의학적 질병 중 하나로 여겨진다.[97]

히스테리에 대한 이해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고대에는 주로 여성의 생물학적 문제, 특히 자궁과 연관 지어졌으나,[101] 근대에 들어서는 토마스 윌리스 등에 의해 뇌 및 신경계와의 관련성이 제기되었다.[101] 이후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정신분석 이론을 통해 히스테리를 심리학적으로 접근하며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97] 프로이트는 히스테리를 신체 증상으로 나타나는 히스테리성 신경증(hysterical neurosis, 현재의 전환 장애와 관련)[98]과 성격적 특징으로 나타나는 히스테리성 성격(hysterical character)으로 구분했으며, 후자가 오늘날 연극성 인격장애 개념의 뿌리가 되었다.[97][76] 이 두 개념은 서로 다른 별개의 진단이므로 혼동해서는 안 된다.[76]

공식적인 진단 분류 체계인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DSM-II에서는 '히스테리성 인격장애(hysterical personality disorder)'라는 명칭으로 처음 등재되었으나, DSM-III에서 현재의 '연극성 인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는 '히스테리'라는 용어가 지닌 부정적 함의를 피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100]

역사적으로 히스테리는 주로 여성과 관련된 문제로 인식되어 왔으며,[101] 이는 현대에 연극성 인격장애 진단이 여성에게 더 빈번하게 내려지는 경향과도 연결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87][97] 이처럼 연극성 인격장애는 히스테리, 히스테리성 성격, 히스테리성 인격장애를 거쳐 현재 DSM-5에 이르기까지 개념적으로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다.[97]

7. 1. 고대

연극성 인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라는 명칭은 '배우'를 뜻하는 에트루리아어 'histrio'에서 유래했다. 이 장애의 뿌리가 되는 히스테리(Hysteria)는 개인이 과장되거나 통제 불가능한 감정을 경험하는 상태를 설명하며, 문헌에 기록된 가장 오래된 의학적 질병 중 하나로 여겨진다.[97]

히스테리에 대한 기록은 고대 그리스와 이집트 문헌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97] 특히 고대 문헌에서는 히스테리를 주로 여성과 연관 지었는데, 이는 오늘날 연극성 인격장애가 여성에게 더 자주 진단되는 경향과 유사성을 보인다.[87]

  • 고대 이집트: 히스테리가 정신질환으로 처음 묘사된 것은 기원전 1900년경 고대 이집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이집트인들은 여성 자궁의 움직임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이 히스테리의 원인이라고 생각했다. 히스테리의 증상과 특징에 대한 기록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의학 문서 중 하나인 에베루스 파피루스(Ebers Papyrus)에서도 발견된다.[101]
  •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에서도 히스테리는 자궁과 관련이 깊다고 여겨졌다. 기원전 5세기경 히포크라테스는 처음으로 '히스테리(hysteria)'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자궁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ὑστέρα|히스테라grc에서 유래했다. 히포크라테스는 히스테리가 자궁의 움직임 때문에 발생하는 질병이라고 보았다. 그는 여성의 신체가 남성에 비해 차고 습하여 자궁이 병들기 쉽다고 생각했으며, 성관계가 부족하여 감정이 과해지는 것을 원인 중 하나로 보기도 했다.[101]


히스토리 채널의 프로그램 Ancients Behaving Badly에서는 고대 인물 중 클레오파트라네로가 연극성 인격장애의 특성을 보였다고 언급하기도 했다.[102]

7. 2. 중세

히스테리는 문헌에 기록된 가장 오래된 의학적 질병 중 하나로, 고대 그리스와 이집트 문헌에서도 발견된다.[97] 이러한 초기 기록들처럼 중세에도 히스테리는 주로 여성과 관련된 문제로 여겨졌다.[87][97]

  • 트로툴라(Trotula): 12세기에 작성된 세 개의 텍스트 묶음으로, 히스테리를 포함한 여성 질병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여성 의사였던 살레르노의 트로타(Trota of Salerno)는 트로툴라 문서 중 하나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며, 문서에 담긴 치료법과 이론은 그녀가 기술한 것으로 여겨진다. 일부 학자들은 트로타의 이론이 히포크라테스의 영향을 받았다고 본다.[101]

7. 3. 르네상스

(내용 없음)

7. 4. 근대

연극성 인격장애의 영문명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는 에트루리아어로 '배우'를 의미하는 'histrio'에서 유래하였다. 히스테리(Hysteria)는 역사적으로 과장되거나 통제 불가능한 감정 상태, 특히 집단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히스테리에 대한 이해는 시대에 따라 변화했으며,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심리학적 접근을 시도하기 전까지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했다.[97] 연극성 인격의 개념적 뿌리는 프로이트가 제시한 히스테리성 신경증(hysterical neurosis) 사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76] 19세기 말 프로이트는 정신분석 이론을 발전시키면서 히스테리 개념을 새롭게 정립했다. 그는 이를 신체 증상으로 나타나는 히스테리성 신경증(오늘날의 전환 장애)[98]과 성격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히스테리성 성격(hysterical character, 오늘날 연극성 인격장애의 전신)으로 구분했다.[97] 이 두 개념은 서로 다른 별개의 진단이므로 혼동해서는 안 된다.[76]

근대 시기 동안 히스테리에 대한 이해는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 17세기: 토마스 윌리스(Thomas Willis)는 히스테리의 원인이 전통적으로 여겨졌던 자궁이 아니라 뇌와 신경계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며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101] 또한, 이 시기 세일럼 마녀재판과 같은 사회적 갈등 속에서 히스테리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101]
  • 17세기 후반 ~ 18세기 (계몽시대): 마법이나 요술에 대한 믿음이 비합리적인 것으로 간주되면서, 히스테리는 점차 과학적이고 신경학적인 관점에서 설명되기 시작했다. 히스테리가 뇌와 관련 있다면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01]
  • 18세기: 프란츠 메스머(Franz Mesmer)는 '메스머리즘(mesmerism)' 또는 동물자기설(animal magnetism)이라는 독자적인 치료법을 개발하여 히스테리 환자들을 치료하고자 했다.[101]
  • 19세기: 장-마르탱 샤르코(Jean-Martin Charcot)는 히스테리 치료에서 최면(hypnosis)의 효과를 연구했으며, 히스테리를 신경학적 질병으로 간주하고 남성에게도 드물지 않게 나타난다고 보았다.[101]

7. 5. 현대

연극성 인격장애의 영문명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는 에트루리아어로 '배우'를 의미하는 'histrio'에서 유래하였다. 이 장애에 대한 현대적 이해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연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 프로이트 이전에도 히스테리(Hysteria)는 주로 과장되거나 통제 불가능한 감정 상태로 인식되었으나, 프로이트는 이를 심리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정신분석 이론을 통해 히스테리 개념을 체계화했다.[97] 프로이트는 히스테리를 두 가지 주요 형태로 구분했는데, 하나는 신체 증상으로 나타나는 히스테리성 신경증(hysterical neurosis)으로, 이는 오늘날 전환 장애와 관련이 깊다.[98] 다른 하나는 성격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히스테리성 성격(hysterical character)으로, 이것이 현재의 연극성 인격장애 개념의 바탕이 되었다.[97][76] 이 두 개념은 명확히 구분되어야 한다.[76]

연극성 인격장애는 공식적인 진단 분류 체계인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에서도 변화를 겪었다. DSM-II에서는 '히스테리성 인격장애(hysterical personality disorder)'라는 명칭으로 처음 포함되었으나, DSM-III에서는 현재 사용되는 '연극성 인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러한 변경은 '히스테리'라는 용어가 과거부터 지녀온 강렬한 성적 함의나 비과학적인 연상(예: 악마 들림 등)과 같은 부정적인 인식을 피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100]

연극성 인격장애는 히스테리, 히스테리성 성격, 히스테리성 인격장애를 거쳐 현재 DSM-5에 이르기까지 개념적으로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히스테리 자체는 "문헌에 기록된 가장 오래된 의학적 질병 중 하나"로 여겨지며,[97] 고대 그리스와 이집트 문헌에서도 관련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97] 역사적으로 히스테리는 주로 여성과 관련된 문제로 간주되었는데, 이는 현대에 와서도 연극성 인격장애가 여성에게 더 빈번하게 진단되는 경향과 연결지어 생각해 볼 수 있는 지점이다.[87]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요제푸 브로어와 함께 저술한 『히스테리 연구(Studies on Hysteria)』를 통해 히스테리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이론 정립에 크게 기여했다. 프로이트는 히스테리의 근본 원인을 리비도(libido), 즉 성적 에너지의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서의 문제로 보았다.[101]

참조

[1] 간행물 Personality Disorders http://www.emedicine[...] WebMD 2007-01-10
[2] 간행물 Psychiatric symptoms in idi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 2008
[3] 간행물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2020
[4] 간행물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ncbi.nlm[...] PubMed Health 2012-06-17
[5] 간행물 Facial emotion recognition deficits and alexithymia in borderline, narcissistic, and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s https://pubmed.ncbi.[...]
[6] 웹사이트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ttp://www.cleveland[...] The Cleveland Clinic 2011-11-23
[7] 서적 Clinical Guide to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Mental Disorder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02-08
[8] 간행물 A bright side, facet analysis of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DS Colourful factor and the NEO-PI-R facets in a large adult sample https://pubmed.ncbi.[...]
[9] 간행물 Histrionic Personality,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Testing of a New Hypothetical Model 2021
[10] 서적 Handbook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DSM-IV Personality Disord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5-13
[11] 웹사이트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PD) - Psychiatric Disorders https://www.msdmanua[...] 2022-07-25
[12] 간행물 Change processes in psychotherapy for patients presenting with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2022-07-06
[13] 간행물 Understanding the psychology of the cosmetic patients 2008
[14] 간행물 Psychiatric conditions in cosmetic surgery patients https://pubmed.ncbi.[...]
[15] 간행물 Gender Role and Personality Disorders
[16] 서적 Working with Offenders: A Guide to Concepts and Practi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
[17] 간행물 Clinicians' emotional responses and Psychodynamic Diagnostic Manual adult personality disorders: A clinically relevant empirical investigation https://pubmed.ncbi.[...]
[18] 간행물 A micro-process analysis of Functional Analytic Psychotherapy's mechanism of change https://pubmed.ncbi.[...]
[19] 간행물 A Women's View on DSM-III https://pdfs.semanti[...] 2018-03-16
[20] 간행물 Sexting behaviors among young Hispanic women: Incidence and association with other high-risk sexual behaviors https://pubmed.ncbi.[...]
[21] 웹사이트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ttp://www.health.am[...] Armenian Medical Network 2007-01-10
[22] 간행물 Understanding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A Guide for APRNs https://www.gavinpub[...] 2020-10-13
[23] 웹사이트 Cluster B personality disorders: Types and symptoms https://www.medicaln[...] 2022-07-22
[24] 웹사이트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 Psychology Today https://www.psycholo[...] 2018-04-24
[25] 간행물 A Rorschach investigation of incarcerated female offenders with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s://pubmed.ncbi.[...]
[26] 간행물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2-07-21
[27] 웹사이트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PD) - Psychiatric Disorders https://www.msdmanua[...] 2022-07-25
[28] 간행물 Cocaine addiction and personality disorders: A study with the MCMI-II
[29] 간행물 Cocaine users with comorbid Cluster B personality disorders show dysfunctional brain activation and connectivity in the emotional regulation networks during negative emotion maintenance and reappraisal https://pubmed.ncbi.[...] 2013
[30] 간행물 Coexistence between personality disorders and substance use disorder. Madrid study about prevalence of dual pathology https://pubmed.ncbi.[...] 2019
[31] 간행물 A Twin Studies of Personality Disorders 2000-11
[32] 간행물 Associations Between Personality Disorders and Cannabis Use and Cannabis Use Disorder: A Population-Based Twin Study
[33] 간행물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Profiles and Suicide Attempt via Medicine Poisoning among Hospitalized Patients: A Case-Control Study
[34] 간행물 Personality subtypes of suicidal adults
[35] 간행물 'Barbie Doll Syndrome'. A case report of body dysmorphic disorder
[36] 논문 "My Face is My Fate": Biological and psychosocial approaches to the treatment of a woman with obsessions and delusions
[37] 논문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are differentially related to divorce frequency
[38] 논문 Sex biases in the diagnosis of personality disorders
[39] 문서 Personality Disorders Thomas Wadsworth
[40] 웹사이트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ttps://courses.lume[...] 2018-03-13
[41] 문서 Pioneers of psychology W.W. Norton & Company
[42] 문서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43] 문서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44] 문서 Personality Disorders McGraw-Hill
[45] 웹사이트 Psych Central: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Treatment http://psychcentral.[...] Psych Central 2008-07-09
[46] 서적 DSM-IV-TR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47] 서적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10th Revision (ICD-1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06-05
[48] 문서 The American Psychiatric Press Textbook of Psychiatry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49] 논문 Relationship of personality disorders to the cours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50] 웹사이트 Armenian Medical Network http://www.health.am[...] 2007-01-11
[51] 논문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A REVIEW ON COMORBIDITIES, ASSOCIATED FEATURES AND ASSESSMENTS WITH CONSIDERATION OF FACTITIOUS DISORDER TRAITS https://doi.org/10.3[...] 2024-11-02
[52]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in Modern Life John Wiley & Sons, Inc.
[53] 문서 Histrionic, Narcissistic, and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s Kluwer Academic
[54] 논문 The treatment of histrionic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behaviors: A single-subject demonstration of clinical improvement using functional analytic psychotherapy
[55] 논문 Prevalence, Correlates, and Disability of Personality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2004-07-15
[56] 서적 Fundamentals of abnormal psychology Nelson-Hall
[57] 논문 Gender-Typed Behavioral Examples of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ttps://link.springe[...] 2000-02-02
[58] 논문 Sex differences among the personality disorders: An exploration of the data
[59] 논문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are differentially related to divorce frequency
[60] 서적 精神疾患診断のエッセンス―DSM-5の上手な使い方 金剛出版 2014-03
[61] 서적 パーソナリティ障害がわかる本:「障害」を「個性」に変えるために 法研
[62] 저널 Personality Disorders http://www.emedicine[...] WebMD 2007-01-10
[63] 웹인용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ttp://www.cleveland[...] The Cleveland Clinic 2011-11-23
[64] 웹인용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Treatment https://psychcentral[...] PsychCentral 2020-01-09
[65] 백과사전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ncbi.nlm[...] PubMed Health 2012-06-17
[66] 웹인용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 Psychology Today' https://www.psycholo[...] 2018-04-24
[67] 웹인용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ttp://www.health.am[...] Armenian Medical Network 2007-01-10
[68] 저널 Mnemonics for DSM-IV personality disorders 1997-09
[69] 웹인용 Personality Disorders http://www.personali[...] 2001-03
[70] 문서 Personality Disorders Thomas Wadsworth
[71] 웹인용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ttps://web.archive.[...] Lumen Learning 2018-03-13
[72] 서적 Pioneers of psychology W.W. Norton & Company 2012
[73] 웹인용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ttps://web.archive.[...]
[74] 저널 A Twin Studies of Personality Disorders 2000-11
[75] 저널 Personality Disorders http://www.emedicine[...] WebMD 2006
[76] 서적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The DSM IV Personality Disorders 1995
[77] 문서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78] 서적 Comprehensive Handbook of Psychopathology 2001
[79]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Abnormal Psychology 2014
[80] 웹인용 Psych Central: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Treatment http://psychcentral.[...] Psych Central 2017-12-17
[81] 서적 DSM-IV-TR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00
[82] 서적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10th Revision (ICD-1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83] 서적 The American Psychiatric Press Textbook of Psychiatry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2003
[84] 웹인용 Armenian Medical Network http://www.health.am[...]
[85]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in Modern Life John Wiley & Sons, Inc. 2004
[86] 웹인용 Psych Central: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Treatment http://psychcentral.[...] Psych Central 2017-12-17
[87] 서적 Histrionic, Narcissistic, and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s Comprehensive handbook of psychopathology 2002
[88] 저널 The treatment of histrionic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behaviors: A single-subject demonstration of clinical improvement using functional analytic psychotherapy https://archive.org/[...] 2003
[89] 저널 Prevalence, Correlates, and Disability of Personality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2004-07-15
[90] 웹인용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ttp://www.health.am[...] Armenian Medical Network 2006
[91] 서적 Fundamentals of abnormal psychology Nelson-Hall 1984
[92] 저널 A Women's View on DSM-III https://web.archive.[...] 1983-07
[93] 저널 Gender Role and Personality Disorders 2002
[94] 저널 Sex differences among the personality disorders: An exploration of the data 1995
[95] 저널 Sex biases in the diagnosis of personality disorders https://archive.org/[...] 1998
[96] 저널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are differentially related to divorce frequency https://archive.org/[...] 2012
[97] 저널 Rorschach correlates of the DSM-IV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ttps://archive.org/[...] 1998
[98] 저널 Conversion hysteria: history, diagnostic issues, and clinical practice 1999
[99] 저널 The development of hysterical personality 1992
[100] 저널 Is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category a valid construct? 2010
[101] 저널 Women and hysteria in the history of mental health 2012
[102] 웹인용 Cable on the Ancients - Pagans http://gothicsea.com[...]
[103] 문서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