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염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염교(Allium chinense)는 중국, 티베트가 원산지인 식물로, 아시아와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귀화되었다. 흰색 또는 보라색을 띤 흰색의 인경을 식용하며, 특유의 냄새와 매운맛을 가지고 있다. 주로 절임으로 만들어 먹으며, 일본과 베트남에서는 반찬으로, 한국에서는 장아찌나 김치의 재료로 사용된다. 민간에서는 강장제나 위장약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오키나와현 특산품인 섬 락교(닷쵸)는 뇌졸중이나 심장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추속 - 삼채
    삼채(*Allium hookeri*)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등에서 재배되는 식용 식물로, 대한민국에서는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부추속 - 차이브
    차이브는 유라시아 원산의 여러해살이풀 초본 식물로, 얇고 속이 빈 잎과 연한 보라색 꽃을 가지며 마늘과 비슷한 향을 내어 유럽 요리에 샐러드, 수프, 소스 등으로 활용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염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라쿄우 꽃
라쿄우 꽃
명칭
학명Allium chinense G.Don (1827)
한국어염교
영어Chinese onion
일본어辣韮 (락쿄우)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
외떡잎식물
비짜루목
수선화과
아과부추아과
부추속
분포 및 서식
원산지동아시아
분포 지역한국, 일본, 중국 등
보존 상태
IUCN Red ListLC (관심 필요)
활용
용도식용 (주로 절임)
기타
주의사항에샬롯(에샤렛토)과 혼동하지 말 것

2. 특징

''Allium chinense''의 꽃


중국(안후이, 푸젠, 광둥, 광시, 구이저우, 하이난, 허난, 후베이, 후난, 장시, 저장) 및 티베트의 히말라야 지방이 원산지이다. 열대아시아 지역에 자생하며, 기원전부터 식용으로 사용되었다.[1] 9세기일본으로 전래되어 약용으로 사용되었다.[2] 처음에는 독특한 매운맛과 냄새 때문에 기피되었지만,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에도 시대에는 절임뿐만 아니라 조림 등으로도 널리 식용되었다.[3] 뿌리에서 비대해진 흰색 또는 보라색을 띤 흰색의 인경을 식용으로 한다.[4]

특유의 강한 냄새와 매운맛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마늘이나 부추와 같은 알릴 설파이드 성분 때문이다. 산지에 따라 종류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덩어리가 큰 재래종인 "라쿠다"나 주로 대만에서 생산되는 "구슬 락교" 등이 있다.[5]

연백 재배하여 조기에 수확한 락교를 잎이 달린 채로 출하하는 것은 "에샤레트" 또는 "에샬롯"으로 유통되고 있다.[6] 일본에서는 에샬롯의 명칭에 혼란이 있어 생식용으로 연백 재배된 락교 (''Allium chinense'')가 "에샬롯"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거나 "에샤'''레'''트"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경우가 많다.

진짜 '''에샬롯'''(프랑스어: ''Échalote'', 학명: ''Allium cepa'' L. var. ''aggregatum'')는 양파의 일종이며, 구체적으로는 양파 (''Allium cepa'')의 변종이다. 조미료채소로 재배되고 있으며, 식용으로 사용되는 구근(인경)도 에샬롯이라고 불린다.

3. 재배

통년 재배하는 경우, 늦여름(8월 중순~9월 중순)에 작은 구근(인경)을 밭에 심어 겨울을 나고, 이듬해 여름(6월 중순~7월 중순)에 잎이 마르고 휴면 상태에 들어가면 인경을 수확한다. 재배가 용이하며, 흙을 가리지 않고 퇴비를 넣지 않아도 구근을 심는 것만으로도 쉽게 재배할 수 있다. 겨울 추위에 강하고, 연작 장애도 없으며, 재배 적정 온도는 20~23도이다.

구근을 심을 때는 밭을 잘 갈아 이랑을 만들고, 간격 50cm마다 깊이 5cm 정도의 구멍을 파서 보통 한 곳에 구근 하나씩 심는다. 이른 봄에 웃거름을 주고 흙덮기도 하면, 충실한 염교가 된다. 잎이 푸르른 동안에는 어린 채로 수확하여 에샬롯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초여름(6월 하순 이후)에 잎이 마르기 시작하면 수확 시기로, 구근을 캐내어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 매달아 건조시켜 저장한다. 수확한 구근의 일부는 다음 재배용 종구로 하여, 마른 잎을 제거하고 한 개씩 떼어 심는다.

일본에서의 주요 생산지는 돗토리현, 가고시마현, 이바라키현, 미야자키현 등이다. 한국에서는 주로 충청남도, 전라남도 등지에서 재배된다.

4. 용도

염교는 주로 절임으로 만들어 먹으며, 일본베트남에서는 반찬으로, 한국에서는 장아찌나 김치의 재료로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카레라이스의 곁들임(약미)으로, 복신절임과 함께 일반적인 존재이다.

돗토리현 (돗토리 사구), 후쿠이현 (미사토하마), 가고시마현 미나미사츠마시 (후키아게하마), 가고시마현 사쓰마센다이시 (토우하마)[17]의 특산품이다. 주요 제철은 초여름부터 여름철(6 - 8월)이며, 녹색을 띠지 않은 흰색으로, 싹이 나오지 않은 것이 좋은 상품으로 여겨진다. 절임으로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생 염교라고도 불리지만, 초여름 수확기에 자가제 절임용으로 유통되는 것 외에는 그다지 유통되지 않는다.

생 염교는 생명력이 강하여, 수확한 지 얼마 안 된 상태에서도 바로 싹이 튼다. 흙이 묻은 염교를 그날 안에 전처리하는 것이 좋고, 물에 씻은 후 한 알씩 껍질을 벗겨 싹과 뿌리 부분을 잘라내어, 체에 펴서 2 - 3시간 말린 후 조미액에 절인다. 맛이 스며들 때까지 절인 후, 1년 정도 맛있게 먹을 수 있다. 가능한 물을 흡수하지 않도록 재빨리 씻으면, 절임의 아삭함이 좋아진다. 일반적으로 소금에 절인 염교를 단 식초에 절인다.

대승 불교에서 섭취를 피해야 할 오훈 중 하나이다.

일본에서는 연하게 재배된 어린 염교(뿌리 락교)가 종종 동속 이종의 향미 채소 샬롯이라고 불리며 혼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는 1960년대에 도쿄의 시장에서 일하던 남성이 새롭게 들여온 조기 수확 락교를, 당시 아직 일본에 수입되지 않았던 '''샬롯'''의 명칭으로 판매한 데 기인하지만, 그 후 진짜 샬롯이 수입 판매되면서 '''에샬렛'''이라는 상품명으로 팔리게 되었다.[18]

비늘줄기는 이라는 생약명이 있다. 한방에서는 에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다. 개백이 배합되는 처방으로는 , , 등이 있다.

4. 1. 요리

염교는 종종 절임으로 만들어져 식사의 다른 구성 요소의 더 강한 을 중화하기 위해 일본베트남에서 반찬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일본 요리에서는 일본식 카레의 고명으로 먹는다.[9]

베트남에서는 'củ kiệu'로 알려진 절인 염교가 종종 뗏 (음력 설날) 기간 동안 제공된다.

일본어에서는 rakkyō|락쿄일본어라고 알려져 있다. 흰색 'rakkyō' 구근 절임이 든 유리병은 북미의 아시아 슈퍼마켓에서 판매된다.[10]

오키나와현 특산의 염교는 '''섬 락교'''(닷쵸일본어)라고도 불린다. 여름이 제철인 일반 염교와 달리,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재배되어 겨울에 수확된다. 일반적인 염교보다 작고 가늘며, 와 비슷한 강한 매운맛이 있다. 오키나와에서는 얕은 절임, 튀김, 볶음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혈액 경화를 방지하는 아데노신이 많이 포함되어 뇌졸중이나 심장병을 회피할 수 있는 약효로 주목받고 있다.[20]

선전 시장에서 판매됨 (왼쪽)

4. 2. 약용

민간요법에서 강장제로 사용되어 건강에 도움을 주고 위장약으로도 사용된다.[11] 유화 알릴은 비타민 B1의 흡수를 돕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촉진하며, 혈류 개선, 혈전증 예방, 면역력 향상, 비만 해소, 생활 습관병 예방 효과가 기대된다.[16] 특유의 냄새 성분은 알리신으로, 강력한 항균 작용이 알려져 있다.

채소에 포함된 식이 섬유의 대부분은 불용성이지만, 염교는 수용성 식이 섬유가 풍부하며[14], 우엉의 3 - 4배 정도 함유되어 있다. 염교의 수용성 식이 섬유의 대부분은 프룩탄이다.

5. 혼동

일본에서는 연백 재배한 어린 락교를 '에샬롯' 또는 '에샤레트'라는 이름으로 유통하는 경우가 있어, 양파의 일종인 진짜 에샬롯(학명: ''Allium cepa'' var. ''aggregatum'')과 혼동되기도 한다.[18] 이는 1960년대에 도쿄의 시장에서 일하던 남성이 조기 수확 락교를 당시 일본에 수입되지 않았던 '샬롯'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한 데서 비롯되었지만, 진짜 샬롯이 수입되면서 '에샬렛'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하게 되었다.

6. 기타

오키나와현 특산품인 섬 락교(닷쵸)는 일반 락교보다 작고 가늘며, 와 비슷한 강한 매운맛이 있다.[20] 아데노신이 많이 포함되어 뇌졸중이나 심장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 미치노에키 미쿠니 - 염교 특산지로 염교 자료관을 병설하고 있다.
  • 문어 - 염교를 먹이로 한 낚시 방법이 있다.
  • 토모 철도선 - 락교 기차 (기관차의 외형에 따른 별칭).
  • 소은거 - 오카야마현 아치 신사 예제의 풍물.
  • 이데 랏쿄 - 원형 탈모증을 이유로 스킨 헤드가 되었을 때, 머리 부분이 염교처럼 보여서 명명되었다.
  • 구세주 락교 - 코바야시 요시노리에 의한 가공의 신흥 종교를 주제로 한 만화. 염교가 성스러운 존재로 등장한다.
  • 해로행 -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 "해로"는 염교 잎에 맺힌 이슬로, 삶의 덧없음을 나타낸다.

7. 사진

참조

[1] 간행물 "''Allium chinense''" 2013
[2] 웹사이트 "''Allium chinense''" http://apps.kew.org/[...]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3-05-28
[3] 웹사이트 Multilingual Multiscript Plant Name Database http://www.plantname[...] University of Melbourne 2013-08-03
[4]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12-17
[5] 웹사이트 Allium chinense in Flora of China @ efloras.org http://www.efloras.o[...] 2024-10-09
[6] 서적 Garlic and Other Alliums: The Lore and the Science https://books.google[...] Royal Society of Chemistry
[7] 웹사이트 Allium chinense Rakkyo PFAF Plant Database https://pfaf.org/use[...] 2021-11-10
[8] 웹사이트 2022-06-07
[9] 웹사이트 Japanese beef curry (Curry Rice) https://justhungry.c[...] 2007-02-06
[10] 웹사이트 Niitakaya Rakkyo https://asiamartsr.c[...] 2023-06-24
[11] 웹사이트 "''Allium chinense'' (LILIACEAE)" https://phytochem.na[...] Dr. Duke's Phytochemical and Ethnobotanical Databases 2017-12-15
[12] 간행물 Allium chinense.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3
[13] 웹사이트 2022-06-19
[14] 웹사이트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15] 웹사이트 日本人の食事摂取基準(2015年版)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16] 웹사이트 この食べ合わせは大丈夫? http://www.happy-mam[...] はっぴーママcom
[17] 웹사이트 鹿児島 唐浜砂丘らっきょう https://www.ohisamak[...] 2022-04-10
[18] 웹사이트 最強野菜!らっきょう 驚異の底力 国民的大誤解! らっきょうの正体は・・・ https://web.archive.[...] NHK ためしてガッテン 2014-07-02
[19] 논문 花らっきょうと乳酸菌 https://doi.org/10.4[...] 2002
[20] 웹사이트 カレーのともだち https://web.archive.[...]
[21] 웹사이트 薤露(読み)カイロ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2] 웹인용 염교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7-07-20
[23] 뉴스 염교 다시 돌아오다!…일본 수출 타진 http://www.jejusori.[...] 제주의 소리 2012-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