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레라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레라이스는 밥에 카레를 얹어 먹는 일본식 요리로, 일본어 '카레'와 영어 '라이스'의 조합으로 명칭이 유래되었다. 1870년대에 영국 해군을 통해 일본에 소개되었으며, 메이지 시대부터 군대와 학교 급식에 등장하며 대중화되었다. 현재는 가정식, 외식, 향토 음식 등 다양한 형태로 즐겨 먹으며, 일본식 카레는 한국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상자위대 - FCS-2
FCS-2는 해상자위대가 대함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한 사격 통제 장치로, 다중 목표 동시 사격, 소형 고속 목표 탐지 및 추적, 다양한 무기 통제 능력을 갖추고 함포 및 함대공 미사일 운용을 지원하며 여러 파생형이 존재한다. - 영국의 퓨전 요리 - 빈달루
빈달루는 포르투갈 요리에서 유래하여 고아 지방에서 현지화된 인도 요리로, 야자나무 식초와 향신료를 사용하여 돼지고기, 닭고기, 양고기 등으로 만들어지며, 서구에서는 매운맛이 강조된 형태로 알려져 있다. - 영국의 퓨전 요리 - 치킨 티카 마살라
치킨 티카 마살라는 닭고기 조각인 치킨 티카를 크림 소스에 넣어 만든 요리로, 1960년대 영국에서 영국 방글라데시인 요리사들이 개발했으며, 토마토, 크림, 마살라 향신료 혼합물로 소스를 만들어 영국에서 매우 인기 있는 요리이다. - 일본의 카레 - 일본 카레
일본 카레는 인도에서 유래된 카레가 영국을 거쳐 일본에 전래되어 일본인의 입맛에 맞게 발전한 요리로, 메이지 시대에 유입된 후 해군 식단으로 채택되어 확산되었으며, 걸쭉한 소스와 다양한 재료를 넣어 끓여 밥과 함께 먹는 카레라이스 형태로 즐겨 먹으며 국민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 일본의 카레 - 카레라멘
카레라멘은 일본 각 지역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난 라멘의 한 종류이며, 인스턴트 라면으로도 널리 퍼져 대중화되었다.
카레라이스 - [음식]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종류 | 카레밥 |
나라 | 일본 |
나라별 요리 | 일본 요리 |
요리 정보 | |
주 재료 | 일본 카레, 쌀밥 |
영양 정보 (1인분 기준) | |
기타 정보 |
2. 명칭
일본어 "카레라이스(カレーライス일본어)"는 영어 "커리(curry영어)"에서 빌려온 말인 "카레(カレー일본어)"와 "쌀, 밥"을 뜻하는 영어 "라이스(rice영어)"에서 빌려온 말인 "라이스(ライス일본어)"를 조합한 말이다. "카레라이스"와 "라이스 카레"라는 두 가지 명칭이 혼용되는데, 이 둘의 차이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단순한 표기상의 차이라는 설, 원래 다른 것을 지칭한다는 설, 원래 같은 것을 지칭한다는 설 등이 있다.
카레라이스는 "'''라이스 카레'''"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둘의 차이와 "카레라이스"라는 명칭이 주류가 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어 확실하지 않다. 헤이세이 시대와 레이와 시대에는 카레라이스라는 호칭이 주류가 되었다.
- 단순한 표기상의 차이라고 보는 설.
- * 멘치와 민치, 바디와 보데 등과 같이 단순한 표기상의 차이.
- 두 가지는 원래 다른 것을 지칭한다고 보는 설
- * 밥과 카레 소스가 따로 나오거나, 넓고 깊은 접시에 좌우로 나누어 담겨 나오는 하이칼라적인 이미지가 카레라이스, 밥 위에 카레를 끼얹은 대중적인 것이 라이스 카레[67]。
- * 일본식 육수를 사용한 것이 라이스 카레, 서양식 수프를 사용한 것이 카레라이스.
- * 노란색이 강한 것이 라이스 카레, 갈색이 도는 것이 카레라이스.
- * 걸쭉한 것이 라이스 카레, 묽은 것이 카레라이스 (반대의 의견도 있다).
- * "밥이 많으면 라이스 카레, 카레가 많으면 카레라이스" ("쿠클 카레" 출시 당시 텔레비전에서 방송된 광고 카피).
- * "고점도 카레 소스", "후쿠진즈케와 락교가 곁들여진다", "물컵에 숟가락이 들어있다", "당근과 감자는 큼직하고, 완두콩이 세 개", "차가워지면 카레 소스에 막이 생긴다"와 같이 "라이스 카레를 정의하고 있다" (텔레비전 드라마 『라이스 카레』)
- 두 가지는 원래 같은 것을 지칭한다고 보는 설
- * 쌀을 주식으로 하는 일본인의 감각에서 "라이스"를 강조하는 의미로 앞에 놓은 것이다[66]。
역사적으로 보면, 영국인으로부터 "카리드 라이스"(Curried rice영어)로 소개되었고, 메이지 시대 후기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신문과 잡지에서는 "라이스 카레"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67][66]。 1872년, 홋카이도 개척사의 공문서에서 "타이스카리이"(라이스 카레)라는 단어가, 사할린의 의사 미타무라 타츄의 일기 『미타무라 타츄 일기』 1875년 1월 3일자 기록에서 "카레라이스"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처음부터 두 단어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쟁 전 군대의 경우, 육군에서는 메이지 시대에 편찬된 (메이지 43년 제정) 『군대 요리법』에서 "카레, 라이스"라고, 쇼와 시대에 편찬된 『군대 조리법』에서는 "라이스 카레"("비고 이, 따뜻한 밥을 접시에 담아 그 위에 뿌리면 라이스 카레가 된다.")라고, 해군에서는 『해군 캇포술 참고서』에서는 "카레이스"라고 칭했다. 쇼와 시대의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는 출신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육군식 "라이스 카레"라는 명칭이 우세했다. 같은 백화점 내에서 다른 식당이 라이스 카레와 카레라이스를 메뉴에 올린 예도 존재했다. 『한큐 백화점 25년사』에 따르면, 1959년 (쇼와 34년)의 메뉴에서, 대식당의 라이스 카레가 70JPY, 그릴에서는 카레라이스가 100JPY에 제공되었다.
패전 후 고도 경제 성장기를 맞이함과 함께 카레라이스라는 호칭이 대두되었다. 고도 성장기인 쇼와 30년대 이후 가정용 고형 루가 시판되기 시작한 무렵부터, 광고 선전과 매스컴 등의 영향으로 "카레라이스"라는 명칭이 침투해 갔다고 추정된다. 시기적으로는 1964년 도쿄 올림픽 개최 전부터 "카레라이스" 호칭이 우세해졌다고 여겨진다[67][66]。
3. 역사
메이지 유신 무렵 일본 혼슈 가나가와현 요코스카항에 정박해 있던 영국 왕립 해군 식단에 포함되어 있던 커리가 일본 제국 해군 식단에도 도입되었다. 1890년대 즈음에는 해군에서 요일 감각을 잃기 쉬운 해상에서 토요일 저녁마다 카레라이스가 나오는 습관이 생겼으며, 이 영향으로 오늘날 해상자위대에서도 금요일 저녁에 카레라이스가 나온다.[10]
일본에서 처음으로 "카레"라는 요리의 이름을 소개한 것은 후쿠자와 유키치의 『증정 화영통어』(1860년, 만엔 원년)로, "Curry 코르리"라는 표기가 있었다.[10]
카레라이스의 조리법을 처음으로 기재한 것은 1872년(메이지 5년)에 출판된 케이카쿠도 주인의 『서양 요리 지남』이다.[11] 이 책은 새우, 도미, 굴, 닭, 붉은 개구리등 특이한 재료를 사용했다.[12] 같은 해 출판된 가나가키 로분의 『서양 요리통』에서는 쇠고기, 닭고기등을 재료로 사용했다.
고스게 케이코는 초기 카레에 개구리 고기가 들어간 점을 주목하여 프랑스 요리의 영향으로 추측했다.[9] 그러나 개구리 고기 레시피는 널리 퍼지지 않았고, 다이쇼 시대에는 파 대신 양파가 주로 사용되었다.[59][23] 카레 재료로 보급된 감자와 양파는 메이지 초기에는 드문 "서양 채소"였지만, 홋카이도를 중심으로 점차 생산이 확대되었다.[14]
마사오카 시키의 일기 『앙와만록』(1901년, 메이지 34년)에는 "저녁 식사 라이스 카레 3 그릇"이라는 기록이 있다.
1905년 (메이지 38년), 오사카 와가초의 약종 도매상 이마무라 야헤이가 국산 최초의 카레 가루 "벌 카레"를 발매했다.[16] 이 회사는 하치 식품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현재까지 카레를 제조, 판매하고 있다.
1906년 (메이지 39년) 도쿄 칸다의 "잇칸도"에서 최초의 즉석 카레 "카레라이스의 씨앗"이 발매되었다.[17] 1914년 (다이쇼 3년)에는 "런던 선물 즉석 카레"가 발매되었다.[18]
1926년 (다이쇼 15년) 이나다 식품 제조소가 고체형 "인스턴트 카레 루"를 "홈 카레 가루"라는 상품명으로 발매했다. 1945년 (쇼와 20년) 오리엔탈이 분말 형태의 인스턴트 카레 루 "오리엔탈 즉석 카레"를 출시했다.
고체 카레 루는 1954년 (쇼와 29년) 에스비 식품이 처음 발매했다. 쇼와 30년대(1955~1964년)부터 텔레비전 CM 경쟁으로 즉석 카레 생산과 소비가 급증했다.[19] 1960년 (쇼와 35년) 에자키 글리코가 블록 형태의 "글리코 원터치 카레"를 발매했다.
2017년 (헤이세이 29년)에는 레토르트 카레 수요가 증가하여 루 소비를 넘어섰다.[21]
메이지 시대 초기에 카레라이스는 고급 양식 요리였다.[27] 록메이칸 시대 간다의 "마루큐"라는 가게에서는 9전이었다(커피는 1전 5리).
1905년 (메이지 38년) 야마토야의 이마무라 야헤이가 일본 최초의 국산 카레 가루를 개발했다.[22]
메이지 시대 후기까지 양식 가게가 카레라이스의 주요 외식 장소였으나, 메이지 시대 말기부터 식당 메뉴에 라이스 카레, 카레 우동, 카레 소바 등이 등장하며 대중화되었다.[23]
1907년 (메이지 40년) 무렵 혼고에 양식집 "요도미켄"이 카레 중심 외식점으로 개점하여,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 『산시로』에도 등장한다.
1910년 (메이지 43년) 난바 신치에 서양 요리점 "자유헌"이 개업했다. 1940년 (쇼와 15년) 오다 사쿠노스케가 소설 『부부 젠자이』에서 이 가게의 "섞어 카레"를 소개해 유명해졌다.
다이쇼 시대 후기(간토 대지진 이후) 소바집에서 카레 난반, 카레 덮밥 등을 팔기 시작했고, 대중 레스토랑에서도 인기 메뉴가 되었다.[27]
1927년 (쇼와 2년) 신주쿠나카무라야가 "순 인도식 카리 라이스"를 80전에 판매했다.[28]
1929년 (쇼와 4년) 한큐 백화점 대식당의 라이스 카레(20전)는 저렴한 가격으로 인기를 끌었다.
일본 최초의 인도인에 의한 인도 요리점은 1949년 (쇼와 24년) 긴자에 개점한 "나일 레스토랑"이다. 1954년 (쇼와 29년) 아사가야에 "아잔타"가 개점했다.
"유럽풍 카레"는 1973년 (쇼와 48년) 창업한 카레 전문점 "본디"의 창업자 무라타 코이치가 데미글라스 소스를 중심으로 개발하여 1970년대 중반 처음으로 메뉴에 추가했다.[30]
3. 1. 일본
1860년(만엔 원년), 후쿠자와 유키치가 "증정 화영통어"에서 카레(코르리)를 소개했다. 1864년(분큐 4년) 에도 막부의 요코하마 쇄항 담판 사절단 일원이었던 이와마츠 타로는 배 안에서 아랍인이 식사하는 모습을 보고 "밥 위에 고추를 잘게 썰어 넣고, 고구마 으깬 것 같은 것을 걸어 손으로 비벼서 먹는다. 매우 더러운 사람의 것이다"라고 일기에 기록했다.[48]1872년(메이지 5년), 홋카이도 개척사 도쿄 사무소에서 호레이스 케프론을 위해 라이스 카레(당시 표기는 타이스카리이)를 제공했다. 같은 해, 『서양 요리 지침』(경학당 주인), 『서양 요리 통』(가나가지 로분) 등 카레라이스 레시피를 소개하는 책이 출판되었다. 1873년(메이지 6년) 육군유년학교 점심 메뉴에 라이스 카레가 추가되었다.[59]
1876년(메이지 9년), 삿포로 농학교 교두였던 윌리엄 스미스 클라크는 "학생은 쌀밥을 먹지 말 것. 단, '''라이스 카레이'''는 예외"라는 기숙사 규칙을 정했다. 1877년(메이지 10년), 도쿄 "요네즈 풍월당"이 일본 최초로 라이스 카레를 메뉴에 올렸다. 1889년(메이지 22년) 고베 거류지 오리엔탈 호텔의 카레라이스를 러디어드 키플링이 "The Pioneer."지에 극찬했다.[50]
1905년(메이지 38년), 오사카 약종상 "야마토야"(현 하치 식품)가 일본 최초로 카레 가루를 제조·판매했다. 1906년(메이지 39년), 도쿄 간다의 "잇칸도"가 최초의 즉석 카레 루 "카레라이스의 씨앗"을 발매했다.
1924년(다이쇼 13년), 도쿄 간다의 간이 식당 "스다마치 식당"(현 주라쿠)이 처음으로 염가(8전)에 카레라이스를 판매했다. 1927년(쇼와 2년), 도쿄 "신주쿠 나카무라야", "시세이도 팔러"가 고급 카레라이스(80전, 50전)를 메뉴에 올렸다.
1931년(쇼와 6년), "C&B 카레 사건"이 발생했다. 영국 크로스 앤 블랙웰(C&B)사 카레 가루는 품질이 좋았지만 비싸서 위조품이 유통되었다. 이는 일영 간 국제 문제로 비화되었으나, 국산 카레 가루 품질 향상 및 보급의 계기가 되었다.
1932년(쇼와 7년), 도쿄 다바타 야마다 상회가 즉석 카레 루를 발매하고 특허를 신청했다. 1935년(쇼와 10년) 도쿄 오쓰카, 아다치 등 많은 가게에서 "(남만) 카레 가루"를 발매했다. 당시에는 메밀국수집의 남만 카레가 주류였다. 1936년(쇼와 11년), "도쿄도 소스·카레 제조업 협회"가 결성되었다.
1941년(쇼와 16년)~1945년(쇼와 20년) 제2차 세계 대전(태평양 전쟁)으로 군용 외 카레 가루 제조·판매가 금지되었다. 1945년(쇼와 20년) 11월, 나고야 오리엔탈이 분말형 인스턴트 카레 "오리엔탈 즉석 카레"를 완성했다. 1946년(쇼와 21년), 종전 후 카레 가루 제조·판매가 재개되었다.
1960년(쇼와 35년), 하우스 식품 공업(구 우라카미 상점)이 "하우스 인도 카레"를 발매하며 고형 카레 루가 주류가 되었다. 같은 해, 텔레비전 CM 경쟁으로 학교 급식 카레가 가정식으로 보급, 카레 생산·소비가 급증했다.[19]
1963년(쇼와 38년), 하우스 식품 공업이 "버몬트 카레"를, 1969년(쇼와 44년) 오쓰카 식품이 최초의 레토르트 카레 "본 카레"를 발매했다. 1972년(쇼와 47년), 에스비 식품 "골든 카레"가 3가지 매운맛(순한맛, 중간 매운맛, 매운맛)을 표기했다.[53] 1978년(쇼와 53년), "카레 하우스 CoCo 이치방야" 1호점이 문을 열었다.[54]
1986년(쇼와 61년), 매운맛 열풍으로 에자키 글리코가 "LEE"를 발매, "매운맛 × ○배" 표기를 채용했다.
일본에서 카레라이스는 가정, 외식, 군대, 학교 급식 등 다양한 형태로 보급되었다.
- 가정식: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등 육류와 감자, 당근, 양파 등을 주재료로, 인스턴트 카레 루를 사용한다.
- 외식: 카레 하우스 CoCo 이치방야는 세계 최대 카레 레스토랑 체인점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
- 군대: 1908년(메이지 41년) 대일본제국 해군이 영국식 카레를, 1910년(메이지 43년) 대일본제국 육군이 "카레, 라이스(카레국밥)"를 채택했다.
- 학교 급식: 1982년 1월 22일을 "카레의 날"로 지정했다.
3. 1. 1. 가정식
일본 가정에서는 인스턴트 카레 루를 사용하여 카레라이스를 만드는 경우가 많다.[20] 주로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등의 육류와 감자, 당근, 양파 등을 재료로 사용한다.1926년 오사카의 이나다 식품 제조소(현재의 하우스 식품)가 카레 가루, 밀가루, 유지, 감칠맛 성분 등을 고체화한 "인스턴트 카레 루"인 "홈 카레 가루"를 발매했다. 1945년 나고야의 오리엔탈은 분말 형태의 인스턴트 카레 루 "오리엔탈 즉석 카레"를 출시했다. 고체 카레 루는 1954년 에스비 식품이 처음으로 발매했다.[20]
1955년부터 1964년 사이인 쇼와 30년대 중반부터 고체 카레 루가 보급되면서, 일본 가정에서는 인스턴트 카레 루를 사용한 조리가 일반화되었다.[20] 매운 정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카레 루가 판매되고 있다.
3. 1. 2. 외식
카레라이스는 일본 외식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다양한 카레 전문점 체인들이 성업 중이다. 카레 하우스 CoCo 이치방야는 "세계에서 가장 큰 카레 레스토랑 체인점"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될 정도로 대표적인 체인점이다.[72] 고고 카레는 마쓰이 히데키 선수와의 관계로 해외에서도 유명하다. 카레 샵 C&C와 같이 특정 지역에서 강세를 보이는 체인점도 있다.백화점 대식당에서도 카레라이스를 맛볼 수 있었는데, 1929년(쇼와 4년) 오사카 우메다의 한큐 백화점 대식당에서는 저렴한 가격(20전)에 카레라이스를 판매하여 하루 13,000 그릇을 판매한 기록도 있다. 이외에도 신주쿠나카무라야 찻집, 시세이도 팔러 등 다양한 장소에서 카레라이스를 맛볼 수 있다.
3. 1. 3. 군대
메이지 유신 무렵 일본 제국 해군은 영국 왕립 해군의 식단에 포함되어 있던 커리를 도입했다.[35] 1890년대 즈음에는 해군에서 토요일 저녁마다 카레라이스가 나오는 습관이 생겼는데, 이는 요일 감각을 잃기 쉬운 해상 생활의 특성 때문이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오늘날 해상자위대에서도 금요일 저녁에 카레라이스가 나온다.1908년(메이지 41년) 대일본제국 해군에서 영국식 카레를 채택하였으며[35], 1910년(메이지 43년)에는 대일본제국 육군 병사들의 식단에도 "카레, 라이스(카레국밥)"가 채택되었다. 징병이 끝난 병사들이 군대에서 익숙해진 카레라이스를 고향에서 만들어 먹은 것도 카레라이스가 널리 퍼지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35][36]
『해군 끽참술 참고서』[37]의 레시피에 따르면, 해군의 "카레 라이스"는 헤트로 볶은 밀가루에 카레 가루를 넣고 수프로 묽게 만든다고 쓰여 있다.[38] 반면 육군의 "카레, 라이스"(『군대 요리법(메이지 43년)』[39])에는 육수에 대한 기재는 없다.
해상자위대는 구 일본 해군의 전통을 이어받아, 장기 항해 중 요일 감각 유지를 위해 금요일에 카레를 제공한다는 인식이 퍼져 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해군 카레#오류 3: 주말의 카레는 요일을 잊지 않도록 하기 위해).[41] 모든 부서에서 카레라이스를 먹으며[36], 방위성 공식 사이트 등을 통해 레시피를 공개하기도 한다.
육상자위대 역시 각 부대마다 독자적인 레시피[42]로 카레라이스를 제공하며[43], 행사 등에서 일반인에게 대접하기도 한다.[4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공군을 모방하여 창설된 항공자위대에도 카레가 있으며, 기지 식당마다 특색 있는 카레를 제공한다.
3. 1. 4. 학교 급식
1976년 이전에는 카레라이스가 아니라 '''카레 스튜'''[35][36] 형태로 우동 면이나 코페빵과 함께 제공되는 경우가 많았다. 카레 스튜는 점도가 낮고, 크림 스튜처럼 우유나 탈지분유를 넣어 하얗게 보이는 것이 특징이었다.[47][46]1982년 1월 22일에는 전국 학교 영양사 협회가 이날을 "카레의 날"로 지정하고, 전국의 초중학교에서 일제히 카레 급식을 제공할 것을 제창했다.[55] 하지만 이미 급식 메뉴가 정해진 학교가 많아 실제 시행률은 20%에 그쳤다.[55] 협회의 조사 결과 카레가 전국적으로 가장 인기 있고, 재료를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조리도 간편했기 때문에 이 날이 "카레의 날"로 지정되었다.[55]
3. 2. 한국
한국에서 카레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일본을 통해 유입된 카레가 주를 이루었으며, 주로 일본식 카레의 영향을 받았다.1945년 광복 이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미군 부대에서 흘러나온 카레 가루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1969년에는 오쓰카 식품에서 최초의 레토르트 카레인 본 카레를 출시하여, 한국에서도 간편하게 카레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54]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카레 전문점이 등장하고 있으며, 인도 카레, 태국 카레 등 다양한 스타일의 카레를 맛볼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군대에서도 카레는 인기 있는 메뉴 중 하나인데, 이는 일본 제국 해군의 식단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51]
4. 만들기
일본식 카레라이스는 쌀밥에 카레 소스를 얹어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카레 소스는 인스턴트 카레 루를 사용하거나, 카레 가루와 밀가루를 볶아 직접 만들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자포니카 쌀이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인디카 쌀을 사용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곁들임으로는 복신절임이나 락교 절임이 일반적이며, 가게에 따라 다양한 곁들임이 제공된다.
카레라이스는 "'''라이스 카레'''"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둘의 차이와 "카레라이스"라는 명칭이 주류가 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어 확실하지 않다. 헤이세이 시대와 레이와 시대에는 카레라이스라는 호칭이 주류가 되었다.
- 단순한 표기 차이: 멘치와 민치, 바디와 보데 등과 같이 단순한 표기상의 차이로 본다.
- 다른 음식: 밥과 카레 소스가 따로 나오거나, 넓고 깊은 접시에 좌우로 나누어 담겨 나오는 하이칼라적인 이미지가 카레라이스, 밥 위에 카레를 끼얹은 대중적인 것이 라이스 카레이다.[67]
- 일본식 육수를 사용한 것이 라이스 카레, 서양식 수프를 사용한 것이 카레라이스이다.
- 노란색이 강한 것이 라이스 카레, 갈색이 도는 것이 카레라이스이다.
- 걸쭉한 것이 라이스 카레, 묽은 것이 카레라이스이다. (반대의 의견도 있다)
- "밥이 많으면 라이스 카레, 카레가 많으면 카레라이스" ("쿠클 카레" 출시 당시 텔레비전 광고 카피)이다.
- "고점도 카레 소스", "후쿠진즈케와 락교가 곁들여진다", "물컵에 숟가락이 들어있다", "당근과 감자는 큼직하고, 완두콩이 세 개", "차가워지면 카레 소스에 막이 생긴다"와 같이 "라이스 카레를 정의하고 있다" (텔레비전 드라마 『라이스 카레』)
- 같은 음식: 쌀을 주식으로 하는 일본인의 감각에서 "라이스"를 강조하는 의미로 앞에 놓은 것이다.[66]
역사적으로 보면, 영국인으로부터 "카리드 라이스"(Curried rice영어)로 소개되었고, 메이지 시대 후기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신문과 잡지에서는 "라이스 카레"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67][66] 1872년, 홋카이도 개척사의 공문서에서 "타이스카리이"(라이스 카레)라는 단어가, 사할린의 의사 미타무라 타츄의 일기 『미타무라 타츄 일기』 1875년 1월 3일자 기록에서 "카레라이스"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처음부터 두 단어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에서는 카레가 밥 위에 얹어져 옆에 놓인 상태로 접시에 담겨 나오거나, 소스 보트(Sauce boat) 또는 그레이비 보트(Gravy boat)라고 불리는 금속 용기에 카레 소스가 따로 담겨 나오는 경우가 많다. 후자의 경우에는 소스 보트 용기에서 카레를 밥에 얹어 먹는다. 용기의 명칭은 일본에서는 '소스 팟', '그레이비 팟'이라는 표기도 보인다. 먹을 때는 스푼을 사용한다.
4. 1. 재료
일본식 카레는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를 주로 사용하며,[60][61][62] 감자, 당근, 양파가 기본 재료이다.[10][59] 메이지 시대 초기에는 양파 대신 쪽파를 사용했다.[59] 야채는 삶아서 카레 재료로 사용하거나, 튀기거나 쪄서 온야채로 곁들이기도 한다. 쇼와 시대에는 완두콩을 위에 뿌려 장식하기도 했다.이 외에도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카레가 있다. (변형은 고장 카레 참조). 일본에서는 카레의 매운맛 정도에 따라 '매운맛', '중간 매운맛', '순한맛' 등으로 구분한다. 다만 매운맛의 정도는 일본 국내에서 통일된 기준은 없으며, 제조사별로 다르다.
4. 2. 종류
일본에는 다양한 종류의 카레라이스가 존재한다. 대표적인 카레라이스 종류는 다음과 같다.[74]- '''돈카츠 카레:''' 밥 위에 돈카츠를 올리고 카레 소스를 얹은 요리.
- '''드라이 카레:''' 카레 소스 없이 볶음밥처럼 만든 카레.
- '''수프 카레:''' 묽은 국물 형태의 카레. 홋카이도 삿포로시에서 유래.
- '''스파이스 카레:''' 다양한 향신료를 조합하여 만든 카레.
이 외에도, 1990년대 후반부터 마을 진흥을 목적으로 일본 각 지방의 특산물을 사용한 "고토치 카레"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74] 카레는 저렴하고 친숙하며, 현지 특산물이나 관광 명소를 알리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지역 홍보에 널리 활용된다.[74]
몇몇 지역에서는 쇼와 시대 초기부터 현지 식재료(예: 홋카이도 - 문어, 후쿠시마현 - 북방조개, 구마모토현 - 말고기)를 활용한 카레를 먹어왔으며[14], 이러한 흐름을 잇는 고토치 카레도 존재한다.
주요 고토치 카레[14]
지역 | 고토치 카레 | 비고 |
---|---|---|
홋카이도 | 에조 사슴 카레・도도 카레・곰 카레・물개 카레, 오호츠크 유빙 카레, 후라노 오무 카레 | |
아오모리현 | 가리비 카레 | |
미야기현 | 규탄 카레, 오고 미소 카레 | 센다이시 |
아키타현 | 아이가케 진다이 카레 | 센보쿠시 |
야마가타현 | 벚꽃 카레 | |
후쿠시마현 | 고리야마 그린 카레 | 고리야마시 |
이바라키현 | 제플린 카레 | 쓰치우라시 |
군마현 | 미나카미 댐 카레 | 미나카미정 |
사이타마현 | 새빨간 유혹 기타모토 토마토 카레 | 기타모토시 |
지바현 | 고등어 카레・정어리 카레, 시라카바파의 카레 | |
가나가와현 | 요코스카 해군 카레, 아시가라 마사 카레 | 요코스카시, 미나미아시가라시 |
니가타현・돗토리현 | 배 카레 | |
도야마현 | 히미 카레 | 히미시 |
이시카와현 | 가나자와 카레 | 가나자와시 |
에치젠 오징어 카레 | ||
야마나시현 | 복숭아 카레・포도 카레 | |
나가노현 | 사과 카레, 구로베 댐 카레 | 오마치시 |
기후현 | 오쿠미노 카레, 히다규 카레 | 구조시 |
시즈오카현 | 오모로 카레 | 이와타시 |
아이치현 | 나고야 코친 치킨 카레 | |
미에현 | 구와나 카레, 미에대 카레, 마쓰사카규 카레 | |
교토시 | 총장 카레 | |
나라현 | 흑미 카레 | 나라시, 야마토코리야마시, 가시하라시, 사쿠라이시, 이코마시, 헤구리정, 미사토정, 아스카촌 |
히로시마현 | 굴 카레, 구레 해군 카레 | |
에히메현 | 수군 카레 | 마쓰야마시 |
후쿠오카현 | 하카타 돈코츠 카레, 야키카레 | 기타큐슈시 모지구 |
오이타현 | 분고 버섯 카레 | |
가고시마현 | 이치키 폰 카레 | 이치키쿠시키노시 |
오키나와현 | 고야 카레, SPAM 카레 |
5. 기타
일본에서는 다음날 먹는 카레가 더 맛있다는 속설이 널리 퍼져 있다. 가정에서는 남은 카레를 냄비째 상온에 방치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에스비 식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맛이 어우러져 깊이와 감칠맛이 더해진다고 설명한다.[63]
하지만 이는 위생상 좋지 않다. 상온에서는 세균이 급격하게 번식하며, 특히 100℃ 이상의 고온에서도 살아남는 웰시균의 증식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웰시균은 최단 10분에 한 번씩 증식하여 균 수가 두 배로 증가하므로, 조리 후 상온에서 반나절(5~12시간) 이상 지나면 식중독을 일으킬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인도 카레 특유의 향신료 향도 대부분 휘발되므로, 조리 후에는 가능한 한 빨리 먹고 남은 카레는 소분하여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다.[64]
일부 카레 제조사는 다음날 먹는 카레가 맛있는 이유로 재료, 뷔용, 향신료의 변화를 꼽기도 한다.[65]
6. 각국의 카레라이스
영국은 인도를 식민지로 삼았던 영향으로 서양에서 가장 먼저 카레를 접한 나라이다.[76] 펍, 클럽 하우스, 학생 식당 등에는 전통적으로 '카레 & 라이스(curry and rice)'라는 메뉴가 있다. 카레 종류도 클래식한 펍 스타일, 이민자들의 본격적인 카레, 영국인 입맛에 맞춘 요리까지 다양하다.[77] 특히 1960년대에 탄생한 치킨 티카 마살라는 국민 음식으로 불릴 정도로 널리 사랑받으며, 최근에는 일본 등 국외 인도 요리점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중국에서는 "카레"(커리) 또는 "가리"(珈竰, 발음 동일)로 표기한다. 중국 요리의 카레 밥은 카레 맛 중화덮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중국 호텔 레스토랑 등에서는 서양식, 인도풍 카레를 제공하며, 일식 레스토랑이나 일본식 라멘 가게에서도 일본식 카레를 맛볼 수 있다. 일본식 카레라이스는 일반 중국인에게는 생소했지만, 카레 하우스 CoCo壱番屋 등의 진출로 점차 পরিচিত해지고 있다.
오랫동안 영국 지배를 받은 홍콩에서는 차찬탱이라는 찻집 겸 레스토랑에서 카레라이스를 파는 곳이 많다. 이들 식당에서는 일본식보다 점성이 묽고 코코넛 풍미를 더한 카레를 주로 선보이며, 카레와 흰쌀밥을 আলাদা 그릇에 담아내는 경우도 흔하다. 홍콩에서는 일본 음식 붐이 일면서 일본식 카레라이스도 널리 퍼졌다. 한편, 인도 등 남아시아계 주민이 많아 본고장 카레 맛을 유지하는 식당도 많다.
대만에서는 일본 통치 시대에 카레라이스가 전래되어, "일식 카레 밥"(리시 카리판)이라는 이름으로 오늘날까지 포장마차나 식당에서 즐겨 먹는다. 전분으로 걸쭉하게 만들고 건더기가 적은 일본 통치 시대 카레라이스와 유사하다. 최근에는 코코이치가 진출하여 일본 카레 루도 보급되었다.
싱가포르에서는 찐 흰쌀밥에 카레와 육수를 곁들인 "하이난 카레라이스"(海南咖喱飯, Hainanese curry rice)를 먹는다. 카레 치킨, 포크찹, 찹차이(중국식 채소 볶음), 코우로우(돼지고기 볶음) 등을 곁들이는 것이 특징이다.
19세기 초부터 일본인 이민이 많았던 하와이에서는 일본 요리점뿐 아니라 대중 레스토랑, 전통 하와이 요리점에서도 카레라이스를 메뉴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일본 메이지・다이쇼 시대의 노란 카레가 주류이지만, 최근에는 카레 하우스 CoCo壱番屋 진출, 태국, 베트남 등지에서 온 이민 증가로 다양한 카레를 맛볼 수 있게 되었다.
미국 본토에서 먹는 카레라이스는 미국 남부에 정착한 컨트리 캡틴이 주를 이루며, 그 외에는 인도나 동남아시아 계열 카레라이스가 이국적인 요리로 취급된다. 일본식 카레라이스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참조
[1]
웹사이트
カレーの歴史について知ろう!日本でカレーライスが広まったのはなぜ?
https://www.gohansai[...]
全国米穀販売事業共済協同組合
2023-05-13
[2]
Kotobank
2021-11-21
[3]
문서
일반적으로 「今夜はカレー!」など。ご当地カレーも単にカレー。
[4]
웹사이트
『カレーライス』に関するアンケート
http://www.dims.ne.j[...]
ネットリサーチ ディムスドライブ
2008-10-16
[5]
웹사이트
好きだったメニューは、「カレー」と「あげパン」 思い出の〝学校給食″アンケート
http://www.mee.co.jp[...]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
2009-08-24
[6]
웹사이트
思い出の給食メニュー、あげぱんVSソフト麺
https://www.oricon.c[...]
オリコン
2007-03-09
[7]
웹사이트
これほど日本人がカレー好きなのにはワケがある
https://jbpress.isme[...]
日本ビジネスプレス
2011-03-28
[8]
서적
知っておきたい「食」の日本史
角川ソフィア文庫
[9]
서적
にっぽん洋食物語
新潮社
1983
[10]
서적
カレーライスの誕生
[11]
서적
西洋料理指南
東京書林雁金屋
1872
[12]
웹사이트
『西洋料理通』と『西洋料理指南』を読む
https://www.kikkoman[...]
キッコーマン国際食文化研究センター
[13]
문서
[14]
웹사이트
カレーはどこから来たの?
http://www.maff.go.j[...]
農林水産省
[15]
뉴스
2020年8月23日「夕食に3杯、大食い正岡子規に食べさせたいカレーは?」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eb.archive.[...]
朝日新聞デジタル
2020-08-23
[16]
뉴스
「最初の紹介者は福沢諭吉」
日本経済新聞
2015-09-07
[17]
웹사이트
澁川祐子「これほど日本人がカレー好きなのにはワケがある」
http://jbpress.ismed[...]
JBPRESS 食の研究所
2011-03-28
[18]
웹사이트
日本の国民食『カレー』誕生秘話!レトルト発売はいつ?当時のレシピも紹介
https://latte.la/col[...]
Latte/Column、LATTE株式会社
[19]
서적
カレーライスの謎
[20]
서적
世界のカレー図鑑
ハウス食品株式会社、マイナビ出版
2019
[21]
웹사이트
インテージ カレー市場初の動きとは!?市場の変化に見る消費者ニーズ
https://www.intage.c[...]
[22]
웹사이트
カレーライスが国民食になるまで
https://www.kikkoman[...]
キッコーマン国際食文化研究センター
[23]
웹사이트
カレーとは?
http://www.curry.or.[...]
全日本カレー工業協同組合
[24]
간행물
学生の食道楽
月刊食道楽
1907-06-01
[25]
웹사이트
本物の自由軒
http://www.jiyuken.c[...]
[26]
웹사이트
名物カレーができるまで
http://www.jiyuken.c[...]
自由軒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19-07-06
[27]
웹사이트
カレーQ&A:日本人の家庭にカレーが本格的に広まったのはいつごろでしょうか?
https://web.archive.[...]
S&Bカレー.com(エスビー食品)
2006-03
[28]
문서
インド独立運動家として知られていたラース・ビハーリー・ボースがレシピを考案したもので、当時「恋と革命の味」と宣伝された。
[29]
서적
横浜カレーミュージアムの究極カレーを作る!
宝島社
2001-07
[30]
뉴스
欧風カレーには日本人の憧れの味が詰まっている 水野仁輔
https://news.livedoo[...]
livedoorNEWS
[31]
서적
恵迪寮史
1933
[32]
웹사이트
3. クラーク博士とカレーライスについて
http://www.hokudai.a[...]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2011-11
[33]
서적
丁髷とらいすかれい
[34]
문서
『海軍割烹術参考書』の該当箇所が、ランチョンマットの左半分に印刷されているのが見て取れる。
[35]
웹사이트
ヒットの秘密!:よこすか海軍ドライカレー
http://www.food.maru[...]
マルハニチロ食品
[36]
간행물
『Welfare Magazine ウェルフェアマガジン』
http://www.welmaga.c[...]
Welfare Magazine
2004-12-00 # 월까지만 정보가 있음.
[37]
문서
「初メ米ヲ洗ヒ置キ牛肉(鶏肉)玉葱、人参、馬鈴薯ヲ四角ニ恰モ賽ノ目ノ如ク細ク切リ別ニ「フライパン」ニ「ヘッド」ヲ布キ麥粉ヲ入レ狐色位ニ煎リ「カレイ粉」ヲ入レ「スープ」ニテ薄トロノ如ク溶シ之レニ前ニ切リ置キシ肉野菜ヲ少シク煎リテ入レ(馬鈴薯ハ人参玉葱ノ殆ンド煮エタルヲ入ル可シ)弱火ニ掛け煮込ミ置キ先ノ米ヲ「スープ」ニテ炊キ之ヲ皿ニ盛リ前ノ煮込ミシモノニ塩ニテ味ヲ付ケ飯ニ掛ケテ供卓ス此時漬物類即チ「チャツネ」ヲ付ケテ出スモノトス」
[38]
서적
『海軍割烹術参考書』
[39]
문서
カレー、ライス(カレー汁掛飯)
해군
[40]
트위터
https://twitter.com/[...]
[41]
뉴스
自衛隊 統合幕僚長 河野克俊さん、海自の「金曜はカレー」は違ってた!?
https://www.nhk.or.j[...]
NHK
2019-03-15
[42]
문서
カレーのスープに豚骨や鶏ガラ・各種野菜等をベースにした出汁を使用し、駐屯地栄養士による材料や調理法の指定以外に実際に調理を行う糧食班の責任者によるアレンジがあり、その調理法や味の決め手はそれぞれ担当者により異なる。同じ材料であるはずが、調理責任者が替わることで味が大きく変化する場合も存在している。
[43]
문서
主に地域の特性を生かした材料等を活用しており、その代表としては旭川駐屯地第2師団の「北鎮(大雪)カレー」等が存在する。
[44]
문서
旭川駐屯地の北鎮カレー
[45]
웹사이트
第379回「カレー」 みんな大好き!カレーは昭和の大ごちそう
http://www.tv-asahi.[...]
テレビ朝日
2011-06-04
[46]
웹사이트
給食のカレーシチューの謎
http://www.maboroshi[...]
まぼろしチャンネル
2003-02-28
[47]
웹사이트
米飯給食は、十年後の食卓を変える
http://www.ruralnet.[...]
農山漁村文化協会
2011-06-08
[48]
서적
航海日記 一
https://dl.ndl.go.jp[...]
日本史籍協会
[49]
논문
須藤時一郎『萬寶珍書』とColin Mackenzie 『Mackenzie’s Ten Thousand Receipts』
http://www.tsu.ac.jp[...]
2022-05-28
[50]
웹사이트
OLD PHOTOS of JAPAN オリエンタルホテル 1910年代の神戸
http://www.oldphotos[...]
[51]
서적
[52]
서적
軍隊料理法
https://www.ndl.go.j[...]
陸軍省
1910 # 메이지 43년
[53]
웹사이트
ゴールデンカレー S&Bカレー史
https://www.sbcurry.[...]
[54]
웹사이트
壱番屋 会社情報 沿革
http://www.ichibanya[...]
[55]
서적
トリビアの泉〜へぇの本〜 3
講談社
[56]
뉴스
1980年代の激辛ブームを牽引した「○倍カレー」の元祖・ボルツはまだ存在していた
https://www.hotpeppe[...]
メシ通
2019-02-27
[57]
서적
ちゃぶ台の昭和
[58]
뉴스
カレーに「じゃがいも」は必要か!? ネットユーザーが大激論 / カレーに「ジャガイモ」は必要ですか? 大規模2000人アンケート
https://getnews.jp/a[...]
ガジェット通信
2011-02-20, 2011-02-24
[59]
웹사이트
カレーの日本史 明治時代
http://housefoods.jp[...]
[60]
뉴스
家でカレーに使う肉ランキング
http://news.ameba.jp[...]
日刊アメーバニュース
2012-03-14
[61]
뉴스
「いまどきのカレーに関するアンケート」調査結果発表
http://www.dohouse.c[...]
ドゥ・ハウス
2010-01-28
[62]
뉴스
カレーのお肉は「西牛東豚」
http://www.garbagene[...]
Garbagenews.com
2010-01-30
[63]
웹사이트
一晩おいたカレーがおいしいのはなぜ? カレーQ&A
https://www.sbcurry.[...]
2024-08-15
[64]
웹사이트
カレーを食べる時の話のタネに!カレーについてのあれこれ
http://menzine.jp/tr[...]
[65]
뉴스
カレーの科学|一晩ねかせたカレーは、なぜおいしい?
http://cp.glico.jp/s[...]
2020-03-02
[66]
서적
これは役立つ!違いのわかる事典
PHP研究所
1997
[67]
웹사이트
カレーQ&A:ライスカレーと、カレーライスとどちらの言い方が正しいのですか?
http://www.sbcurry.c[...]
エスビー食品
[68]
웹사이트
日本缶詰協会
http://www.retortfoo[...]
[69]
웹사이트
『カレーライス』に関するアンケート
http://www.dims.ne.j[...]
[70]
웹사이트
スペースカレー
https://www.shop-hou[...]
[71]
뉴스
カレー レトルト市場がルーを上回る 高齢世帯増など背景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06-02
[72]
웹사이트
壱番屋/世界最大のカレーチェーンでギネス記録認定|流通ニュース 店舗経営戦略|2013年01月21日
http://ryutsuu.biz/s[...]
2020-11-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임의로 표기
[73]
웹사이트
みなかみダムカレー
http://www.minakamio[...]
[74]
웹사이트
ご当地カレー、首都圏も参戦 特産・名所で味付け
https://www.nikkei.c[...]
2021-07-01
[75]
웹사이트
黄色いカレーのカラーコードを探る
https://www.dee-okin[...]
[76]
웹사이트
The British Curry
https://www.historic[...]
[77]
웹사이트
What's the future of curry in the pub?
https://www.morninga[...]
[78]
뉴스
1919 한겨레 돈까스·카레·오무라이스… 서양 맛에 빠진 일본
https://www.hani.co.[...]
2022-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