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헌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의 헌법은 성문 헌법이 아닌 불문 헌법으로, 의회 주권, 법치주의, 민주주의, 국제법 존중을 핵심 원칙으로 한다. 의회는 최고 입법 기관이며, 법을 제정하고 폐지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법치주의는 정부가 법에 따라 행동해야 함을 의미하며, 민주주의는 대의 민주주의를 통해 국민의 의견을 반영한다. 영국은 유럽 연합 탈퇴 이후에도 국제법을 준수하며, 분권화를 통해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에 자치 정부를 부여했다. 헌법을 구성하는 주요 성문법으로는 의회법, 국민대표법, 인권법 등이 있으며, 사법부는 법을 해석하고 인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행정부는 총리가 이끄는 내각으로 구성되며, 왕실은 상징적인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한다. 영국 헌법은 1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전 세계 여러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헌법 - 1707년 연합법
1707년 연합법은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왕국을 통합하여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을 수립한 법률로, 종교적 갈등, 정치적 불안정, 스코틀랜드의 경제적 어려움, 잉글랜드의 왕위 계승 우려 등이 배경으로 작용했으며 스코틀랜드 내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치·경제 체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정치적 자주성 약화와 경제적 불균형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영국의 헌법 - 1999년 상원법
1999년 상원법은 영국 상원의 세습 귀족 의석을 제한하고, 92명의 세습 귀족에게 의석을 허용하며 하원 선거 참여를 허용하는 등 상원 개혁을 위한 법안이다. - 영국 정부 - 영국 하원
영국 하원은 잉글랜드 의회를 모태로 하여 현재의 형태를 갖춘 영국 의회의 하원으로, 상원과 함께 영국의 입법부를 구성하며, 정부 감시, 법률 제정, 예산 승인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 영국 정부 - 영국의 군주
영국의 군주는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15개 영연방 왕국의 국가 원수이자 영연방의 수장이며, 헌법에 따라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찰스 3세가 재위 중이다.
영국의 헌법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
로마자 표기 |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
국가 | 영국 |
정치 | |
정치 체제 | 입헌군주제, 의회 민주주의 |
국왕 | 찰스 3세 |
총리 | 리시 수낙 |
의회 | 영국 의회 |
상원 | 영국 상원 |
하원 | 영국 하원 |
법률 | 영국 법률 |
정부 | 영국 정부 |
선거 제도 | 영국 선거 제도 |
헌법 | 영국 헌법 |
사법부 | 영국 사법부 |
역사 | |
성립 | 1707년 5월 1일 잉글랜드 왕국과 스코틀랜드 왕국의 합병 |
북아일랜드 합류 | 1801년 1월 1일 아일랜드 왕국과 합병, 현재의 국호 형성 |
헌법 특징 | |
성문 헌법 여부 | 불문헌법 |
헌법 구성 요소 | 관습헌법 법률 판례 의회 규범 관례 |
헌법의 원칙 | 의회 주권 법치주의 민주주의 |
법률 | |
기본법 | 없음 (불문헌법) |
주요 법률 | 대헌장 (1215년) 권리장전 (1689년) 의회법 (1911년, 1949년) 인권법 (1998년) 스코틀랜드법 (1998년) 웨일스 정부법 (1998년, 2006년, 2017년) 북아일랜드법 (1998년) 유럽연합 탈퇴법 (2018년) |
권력 분립 | |
입법부 | 영국 의회 |
행정부 | 영국 정부 |
사법부 | 영국 사법부 |
구성 국가 | |
구성 국가 |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
시민의 권리 | |
보장된 권리 | 표현의 자유 집회 결사의 자유 사생활 보호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
관련 주제 | |
관련 주제 | 영국 정치 영국의 왕족 영국의 법률 영국 선거 |
기타 | |
국가 코드 | GB |
국가 도메인 | .uk |
통화 | 파운드 스털링 |
2. 헌법의 원칙
영국 헌법은 성문화되어 있지 않지만, 대법원은 헌법 원칙[10]과 헌법적 법률[11]을 인정하며, 이는 정치적 권력의 행사 방식을 형성한다. 법원에서 인정하는 주요 헌법 원칙은 최소한 네 가지가 있다.
첫째, 의회 주권은 잉글랜드 종교 개혁, 잉글랜드 내전, 1688년 명예혁명과 1707년 연합 조약을 통해 확립되었으며, 의회법이 최고의 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의회는 어떤 법이든 제정하거나 폐지할 수 있으며, 이는 의회가 민주적으로 선출되고 법치주의를 옹호하기 때문으로 정당화된다.[12]
둘째, 법치주의는 13세기 헨리 드 브랙턴이 "왕은 반드시 법 아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법이 왕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한 것처럼 헌법의 근본 원칙이다. 대헌장과 권리청원(1628년)에서 인정된 이 원칙은 정부가 인권 존중을 포함한 법적 권한에 따라서만 행동해야 함을 의미한다.[13]
셋째, 1928년 이후 모든 유권자가 참여하는 선거는 근본적인 헌법 원칙이 되었다. 원래 부유한 토지 소유 남성만 하원 의원 선출 권한이 있었고, 군주는 세습 상원과 함께 정치를 지배하기도 했다. 그러나 1832년 이후 성인 시민들은 점차 보통선거권을 획득했다.[14]
넷째, 영국 헌법은 국제법에 구속된다. 의회는 국제노동기구, 국제연합, 유럽인권조약, 세계무역기구, 국제형사재판소 등 국제 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권한을 강화하기로 했다. 그러나 영국은 2016년 국민투표(2016년 영국 유럽연합 잔류·탈퇴 국민투표)를 거쳐 2020년에 유럽 연합에서 탈퇴했다.
관례는 법적 구속력이 없는 문서화되지 않은 합의이지만, 헌법의 필수 요소로 남아 있다.[105] 과반수 의석을 차지한 정당 대표가 수상이 되는 것, 상원이 이차 입법을 거부하지 않는 것, 판사들이 정부 정책에 대해 공정한 입장을 유지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106]
2. 1. 의회 주권

의회 주권은 영국 헌법의 핵심 요소로 여겨지지만, 그 범위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는 의회법이 최고 법률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만, "의회는 스스로를 구속할 수 없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역사적으로 의회는 군주, 교회, 법원, 국민 간의 일련의 권력 투쟁을 통해 주권을 획득했다. 1215년 마그나 카르타는 제1차 바론 전쟁으로 이어진 갈등에서 비롯된 문서로, 어떤 세금 부과 전에도 "공동의회"를 열 권리를 부여했으며, 왕권신수설에 반대했다.
공유지는 사람들이 경작, 방목, 사냥 또는 낚시를 할 수 있도록 보장되었지만, 귀족들은 정치를 계속 지배했다. 1534년 종교개혁법에서 헨리 8세는 로마 가톨릭교회에 대한 자신의 신성한 권리를 주장하며 자신을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지도자로 선언했다. 1615년 ''옥스퍼드 백작 사건''에서 대법관(왕의 대표이자 사법부 수장)은 일반법 법원에 대한 상평법원의 우위를 주장하며, 판사가 "일반적 권리와 이성에 반하는" 법률을 무효로 선언할 수 있다는 에드워드 코크 경의 주장에 반박했다.
1688년 명예혁명 이후, 1689년 권리장전은 군주, 교회와 법원에 대한 의회의 권력을 확고히 했다. 의회는 "주권"이 되었고, 최고 권력을 갖게 되었다. 18년 후 잉글랜드 의회는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연합 조약에 따라 새로운 의회를 만들기 위해 스스로를 폐지했고, 스코틀랜드 의회도 마찬가지였다. 의회 내에서는 귀족과 평민 사이의 권력 투쟁이 계속되었다. 의회 밖에서는 차티스트부터 노동조합까지 선거권을 위해 하원에서 투쟁했다. 1911년 의회법은 하원이 비선출직 상원과의 갈등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보장했다. 1949년 의회법은 상원이 입법을 1년 동안만 지연시킬 수 있도록 보장했으며, 예산안은 한 달 이상 지연시킬 수 없도록 했다.
대표적인 사건인 ''R (잭슨) 대 검찰총장''에서 한 무리의 사냥 반대 시위자들은 의회법을 사용하여 상원을 거치지 않고 통과된 2004년 사냥법의 여우 사냥 금지에 대해 법률로서의 유효성에 이의를 제기했다. 그들은 1949년 법 자체가 1911년 법의 상원 무효화 권한을 사용하여 통과되었다고 주장했다. 원고들은 이것이 1911년 법의 범위가 제한적이었고 상원의 권한 제한을 수정하는 데 사용될 수 없었기 때문에 1949년 법은 유효한 법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영국의 최고 법원인 상원은 이러한 주장을 기각하고 1949년 의회법과 2004년 사냥법 모두 유효하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판단문 외의 언급''에서 호프 경은 의회 주권이 "더 이상, 또는 언젠가 절대적인 것이 아니었더라도"이며, "법원이 집행하는 법치주의가 우리 헌법의 근간이 되는 궁극적인 통제 요소"이며, 위헌 법률(법원에서 결정)을 옹호하는 데 사용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의회 주권"의 의미에 대한 합의는 아직 없지만, 그 정당성은 "민주적 절차" 원칙에 달려 있다.

최근 역사에서 의회 주권은 네 가지 주요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첫째, 1945년 이후 국제 협력은 의회가 다른 주권 국가를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협력함으로써 권력을 강화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의회는 이전에 거의 무분쟁적인 군사력을 가지고 있었고, 제국 시대의 저술가들은 "어떤 법이든 만들거나 폐지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영국은 1919년 국제연맹에, 그리고 실패한 후 1945년 국제연합에 가입하여 국제법 체제 구축에 참여하기로 선택했다.
1919년 베르사유 조약은 "사회 정의에 기반하지 않고서는 평화를 수립할 수 없다"고 회상했으며, "모든 회원국의 주권 평등 원칙에 기초한" 유엔 헌장은 "인류에게 두 번이나 헤아릴 수 없는 고통을 가져온 전쟁의 재앙으로부터 후세대를 구하기 위해" 유엔은 "기본적 인권에 대한 신념을 재확인"할 것이며, 회원국은 "좋은 이웃으로서 서로 평화롭게 공존"해야 한다고 밝혔다. 1945년 브레튼우즈협정법, 1946년 국제연합법 및 1968년 국제기구법은 영국의 유엔, 국제통화기금, 세계은행 및 기타 기구에 대한 자금 조달과 회원 자격을 법으로 명문화했다. 예를 들어, 영국은 실제로 무력을 사용하는 것까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이행할 것을 스스로 구속했고, 대신 총회와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대표권을 얻었다.
영국이 항상 국제법을 명확하게 준수한 것은 아니지만, 주권을 불법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공식적인 의무로 받아들였다. 둘째, 1950년 영국은 유럽인권협약을 작성하고 가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 협약은 영국 법령과 일반법에 따라 결정된 규범과 사례를 반영했지만, 국내 구제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영국 국민은 스트라스부르의 유럽인권재판소에 항소할 수 있다는 것을 영국은 받아들였다. 1998년 인권법에서 의회는 영국 사법부가 판례를 결정할 때 인권 규범을 직접 적용해야 하며, 더 신속하고 인권 중심적인 판례 해결을 보장하고 인권 추론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도록 결정했다.

셋째, 영국은 1972년 유럽공동체법과 1992년 마스트리흐트 조약 비준을 통해 유럽 연합 회원국이 되었다. 연합의 아이디어는 윈스턴 처칠을 포함한 유럽 지도자들에 의해 오랫동안 구상되어 왔으며, 그는 1946년 "유럽합중국"을 촉구했다. EU 법은 그 운영 범위 내에서 의회법 간의 충돌에서 우선하는 것으로 오랫동안 여겨져 왔지만,[36] 회원국과 시민들은 EU 법의 범위를 통제하고 유럽 의회, 유럽 연합 이사회, 집행위원회에서의 공동 대표를 통해 국제 관계에서 주권을 확대한다. 이 원칙은 R 대 교통부 장관, 팩터타임 유한회사 사건에서 시험을 받았는데, 여기서 어업 회사는 1988년 상선법에 따라 영국 주주가 75%를 차지해야 한다는 요건에 대해 주장했다.[37]
EU 법에 따라 설립의 자유 원칙은 모든 회원국의 국민이 정당한 이유 없이 간섭 없이 EU 전역에서 자유롭게 기업을 설립하고 운영할 수 있음을 규정한다. 상원은 EU 법이 1988년 법의 조항과 충돌하기 때문에 의회가 1972년 법을 포기할 의도를 명확히 표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조항은 시행되지 않고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브리지 경에 따르면 "의회가 [1972년 법]을 제정할 때 받아들인 주권의 제한은 전적으로 자발적인 것이었다".[37] 따라서 법원의 의무는 EU 법을 적용하는 것이었다.
반면, ''R (HS2 액션 얼라이언스 유한회사) 대 교통부 장관''에서 대법원은 영국 헌법의 특정 기본 원칙이 법원에 의해 EU 또는 어떤 국제 기구의 회원 자격으로 포기된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결했다.[38] 여기서 런던에서 맨체스터와 리즈까지 이어지는 고속철도 2호선에 반대하는 단체는 정부가 의회에서 투표를 통해 계획을 승인함으로써 환경 영향 평가 지침을 제대로 따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지침이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협의를 요구했으며, 당 의원총회가 당원들에게 투표하도록 강요한 경우에는 충족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대법원은 만장일치로 지침이 당 의원총회가 없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지 않지만, 만약 충돌이 있었다면 지침이 의회가 자신의 일을 자유롭게 조직할 수 있다는 1689년 권리장전의 기본적인 헌법 원칙을 손상시킬 수 없다고 판결했다.
넷째, 영국의 분권화는 의회가 특정 주제에 대한 입법 권한을 국가와 지역에 부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1998년 스코틀랜드법은 스코틀랜드 의회를, 1998년 웨일스 정부법은 웨일스 의회를, 1998년 북아일랜드법은 역사적인 벨파스트 협정에 따라 평화를 가져오기 위해 북아일랜드 행정부를 만들었다. 또한, 1972년 지방자치법과 1999년 대런던행정구역법은 지방 정부와 런던 정부에 더 제한적인 권한을 부여한다. 실제로 그리고 헌법적으로도 지역 정부의 의지를 무시하고 반하는 결정을 영국을 위해 내려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점점 더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R (밀러) 대 유럽연합 탈퇴 담당 장관''에서 유럽 연합에 남기를 원하는 사람들은 총리가 의회법 없이 유럽 집행위원회에 영국의 탈퇴 의사를 통지하기 위해 50조를 발동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정부에 이의를 제기했다.[39] 이는 투표한 사람의 51.9%가 탈퇴에 투표한 2016년 브렉시트 국민투표에 이은 것이다.[40]
원고들은 브렉시트가 의회가 의회법을 통해 부여한 권리(예: EU에서 영국 시민의 자유로운 이동 권리, 합병 통제를 통한 공정한 경쟁 권리, EU 기관에 대한 투표권)를 없앨 것이기 때문에 의회만이 50조에 따라 탈퇴 협상을 시작할 의사를 통지하는 데 동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또한 분권화된 의회가 모션을 통과시켜 웨스트민스터 의회가 분권화된 문제에 대해 입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세월 협약은 영국이 스코틀랜드, 웨일스 또는 북아일랜드 입법부의 동의 없이 탈퇴 협상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대법원은 정부가 순전히 왕실 특권을 통해 탈퇴 절차를 시작할 수 없으며 의회가 이를 가능하게 하는 법률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세월 협약은 준수하는 것이 아니라 법원에서 집행할 수 없었다.[41] 이로 인해 테레사 메이 총리는 EU에 탈퇴 의사를 통지할 권한을 부여하는 2017년 유럽 연합(탈퇴 통지)법을 확보했다.[42]
2. 2. 법치주의
영국 헌법은 성문화되어 있지 않지만, 대법원은 헌법 원칙[10]과 헌법적 법률[11]을 인정하며, 이는 정치적 권력의 행사 방식을 형성한다. 법원에서 인정하는 주요 헌법 원칙 중 하나는 법치주의이다. 13세기 헨리 드 브랙턴(Henry de Bracton)은 "왕은 반드시 법 아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법이 왕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했으며, 이 원칙은 대헌장과 권리청원(1628년)에서 인정되었다. 이는 정부가 인권 존중을 포함한 법적 권한에 따라서만 행동해야 함을 의미한다.[13]
법치주의는 영국을 포함한 현대 법 체계의 기본 원칙으로 여겨져 왔으며,[43] "자유 사회에서 민주적 참정권만큼 중요하다"[44]고, 심지어 "우리 헌법의 궁극적인 통제 요소"라고까지 불려왔다.[45] 의회 주권과 마찬가지로, 그 의미와 범위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의미는 여러 요소를 포함한다. 콘힐의 빙햄 경은 법치주의는 법이 명확하고 예측 가능하며, 광범위하거나 불합리한 재량에 좌우되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적용되며, 신속하고 공정한 집행 절차를 갖추고, 기본적인 인권을 보호하고, 국제법에 따라 작동해야 한다고 제안했다.[46]

2005년 헌법 개혁 법 1조에서 "헌법 원칙"으로 명시적으로 인정되었으며, 이는 법무장관의 사법적 역할을 제한하고 독립성, 다양성 및 공적 자격을 강화하기 위해 사법 임명 제도를 개편했다.[48] 법률에서 더 이상의 정의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법치주의"의 실질적인 의미는 판례를 통해 발전한다.
영국법에서 법치주의는 전통적으로 "합법성"의 원칙이다. 즉, 국가, 정부 및 정부의 권한으로 행동하는 모든 사람(법인 포함)[51]은 법에 따라서만 행동해야 한다. 1765년 ''카링턴 대 엔틱'' 사건에서 작가 존 엔틱은 국왕의 수석 사자 네이선 카링턴이 그의 집에 침입하여 그의 서류를 압수할 법적 권한이 없다고 주장했다. 카링턴은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한 국무장관 할리팩스 백작 조지 몽타규-덩크의 권한이 있다고 주장했지만, 할리팩스 백작에게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할 권한을 부여하는 법률은 없었다. 캠던 대법관은 "인간이 사회에 들어간 가장 큰 목적은 재산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어떠한 권한 없이 "사유 재산에 대한 모든 침해는 아무리 미미하더라도 불법 행위"라고 판결했다.[49] 카링턴은 불법 행위를 했고 손해배상을 지불해야 했다.
오늘날 이 합법성 원칙은 유럽 인권 협약 전반에 걸쳐 발견되며, "법률에 따라" 하는 경우에만 권리 침해를 허용하는 출발점으로 삼는다.[52] 1979년 ''말론 대 경찰청장'' 사건에서 절도품 취득 혐의를 받은 한 남성은 경찰이 증거를 얻기 위해 그의 전화를 불법으로 도청했다고 주장했다. 메가리 부대법관은 관습법상 잘못이 없다고 판결했고, 유럽 인권 협약 8조에 따른 사생활 보호권을 고려하여 법률을 해석하는 것을 거부했다.[53]
법치주의는 법이 실제로 시행되어야 함을 요구하지만, 집행 기관은 재량권을 가질 수 있다. ''R (코너 하우스 리서치) 대 중대 사기 사무소 소장'' 사건에서 코너 하우스 리서치는 중대 사기 사무소가 영국-사우디 알야마마 무기 거래에 대한 조사를 중단함으로써 불법적으로 행동했다고 주장했다. BAE 시스템즈가 사우디 정부 인사들에게 뇌물을 제공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6]
사람들은 또한 실제로 사법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R (유니슨) 대 법무장관'' 사건에서 대법원은 정부가 근로감독위원회 소송을 제기하기 위해 1200GBP의 수수료를 부과한 것이 법치주의를 훼손했고 무효라고 판결했다. 법무장관은 법원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를 만들 권한이 있었지만, 근로감독위원회의 경우 그의 명령으로 부당 해고, 불법 임금 공제 또는 차별과 같은 노동권 위반에 대한 기업에 대한 청구가 70% 감소했다. 리드 경은 "법원 접근의 헌법적 권리는 법치주의에 내재되어 있다"고 말했다. 법원에 접근할 수 없다면 "법률은 사문화될 가능성이 있고, 의회가 한 일은 무효화될 수 있으며, 국회의원의 민주적 선거는 무의미한 허튼짓이 될 수 있습니다."[59] 원칙적으로 모든 사람, 정부 장관이나 기업 임원을 포함하여 법에 따라야 하며, 명령을 위반하면 법정모독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60]
2005년 헌법 개혁 법은 법무장관이 사법부의 수장이면서 동시에 국회의원으로 내각에 참여하는 관행을 종식시켰다. 이제 모든 장관은 강력한 기업이나 언론의 공격으로부터 사법부의 지속적인 독립을 유지해야 할 의무가 있다.[64]
2. 3. 민주주의

기능하는 대의제와 숙의 민주주의를 갖춘 "민주 사회"의 원칙은 인권을 옹호하고 의회 주권의 사실을 정당화하며,[65] "민주주의는 법치주의 개념의 핵심에 있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66] 한 사람이 행사하는 독단적인 권력에 반대하며, "행정이 소수가 아닌 다수의 손에 있는 것"이다.[6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변호사들이 초안을 작성한 유럽 인권 협약의 서문에 따르면, 기본적인 인권과 자유는 "효과적인 정치적 민주주의"에 의해 가장 잘 유지된다.[68] 마찬가지로, 이 "민주주의의 특징적인 원칙"은 제1의정서 3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이는 "입법부의 선택에 있어 국민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자유 선거권"을 요구한다.[69] "직접 민주주의", "대의 민주주의", "숙의 민주주의"와 같은 많은 민주주의 개념이 있지만, 현대 정치 이론에서 주류 견해는 민주주의가 대표자를 선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치 생활에 참여하는 적극적인 시민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70]
민주주의의 본질은 단순한 다수결 의사결정이나 조작 도구로 쉽게 사용될 수 있는 국민투표[71]가 아니라 "정치적으로 책임 있는 결정을 내리는 것"과 인류의 "자유를 극대화하는 대규모 사회 변화"에 있다.[72] 민주 사회에서 법의 정당성은 결정의 부과가 아니라 끊임없는 숙의적 논의와 공개 토론 과정에 달려 있다.[73] 또한 정치 생활에서 모두가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기본 권리 기준이 필요하다는 데 일반적으로 동의한다.[74] 이러한 이유로 공정한 선거에서 자유 투표권과 "민주 사회의 일반적인 복지"는 모든 인권과 함께 발전해 왔으며 국제법의 기본적인 초석을 형성한다.[75]
영국의 "현대 민주 헌법"[76]에서 민주주의 원칙은 공정한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를 보장하는 법률과 판례를 통해, 그리고 법원의 해석 원칙으로서의 사용을 통해 나타난다. 1703년, '''애쉬비 대 화이트''' 판결에서 홀트 대법관은 모든 사람이 "의회에서 그들을 대표할 사람을 선출하고, 그들의 자유와 재산을 구속할 법을 제정하는 데 동의하기 위해 투표할 권리는 매우 중요하고 중요한 것이다"라고 말했다.[77] 이는 법원이 투표가 집계되고 민주적 선거가 법에 따라 실시되도록 적극적으로 보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건 대 심슨'''에서 항소법원은 투표가 "법에 따라 실질적으로 진행되지 않았다면" 무효로 선언될 것이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소한 위반 사항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판결했다.[78]
예를 들어 1983년 국민 대표법이나 2000년 정당, 선거 및 국민투표법과 같은 상당한 규제는 지출이나 외국 개입을 제한하는데, 헤일 남작에 따르면 "각 사람은 동등한 가치를 가지며" "우리는 우리 정부나 정책이 가장 많은 지출을 하는 사람들에 의해 결정되기를 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79] 더 넓게 보면, "민주 사회"의 개념과 영국 법에 적용되는 유럽 인권 협약의 해석 체계 전체를 뒷받침하는 기능에 "필요한" 것은 특히 1998년 인권법 이후로 각 권리는 일반적으로 "법에 따라" 그리고 "민주 사회에서 필요한 경우"에만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민주적 삶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사회 복지 국가의 위치도 법원의 해석을 통해 나타난다. 예를 들어 '''고린지 대 캘더데일 MBC'''에서 주요 판결을 내린 스테인 대법관은 "우리 사회 복지 국가의 윤곽"이라는 맥락에서 과실에 대한 법을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80] 더 일반적으로, 관습법은 법률상 권리와[81] 조화를 이루도록 점점 더 발전되어 왔으며, 국제법에 따른 권리와도 조화를 이룬다.
2. 4. 국제주의
영국은 다른 민주주의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국제법 원칙을 국내법 해석의 주요 도구로 활용하며, 주요 국제기구 회원국으로서 헌법의 기본 구성 요소로 삼고 있다.[82] 대헌장 시대부터 영국법은 국제 무역을 위한 사람들의 자유로운 이동권을 인정했다.[83] 1608년, 에드워드 코크 경은 국제 상법(lex mercatoriala)이 영국법의 일부라고 기록했다.[84] 17세기에는 의회가 국왕의 동의 없이 국제 무역에 대한 과세 시도를 중단시키기도 했다.[85] 18세기 홀트 대법원장은 국제법을 일반법 해석의 도구로 간주했고,[86] 맨스필드 경은 lex mercatoriala가 "모든 국가의 법"이며,[87] "상인의 법과 국법은 동일하다"고 주장했다.[88]1774년 ''서머싯 대 스튜어트'' 사건에서 맨스필드 경은 노예제도가 영국 일반법에서 불법이라고 판결했다.[89] 현대 판례에서는 "영국법이 국제 공법에 부합해야 한다는 것은 법률 정책의 원칙"이라는 점이 일관되게 인정되어 왔다.[90] 영국 상원은 "영국을 국제적 의무 위반 상태에 놓이지 않도록 영국법을 해석하는 데 강력한 추정이 있다"고 강조했다.[91] ''훈가 대 앨런'' 사건에서 영국 대법원은 불법적으로 영국에 들어온 여성이 고용주에 대해 인종차별 소송을 제기할 권리가 있다고 판결했다.[92] 법원은 팔레르모 의정서와 유럽 인권 협약을 인용하여 일반법상의 불법성의 범위를 해석했다. 국제법 원칙을 국내법으로 전환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진행 중이다.[93] 유럽 연합법의 현재 입장은 국제법이 EU를 구속하지만 헌법 또는 인권의 기본 원칙을 훼손할 수 없다는 것이다.[94]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국제법에 따라 설립된 기구들을 지지해 왔다. 1919년 베르사유 조약부터 영국은 국제노동기구의 창립 회원국이었다. 국제 연맹의 실패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1946년 유엔법을 통해 국제연합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다. 1948년 세계인권선언으로 인해 영국 제국은 정당성을 상실했고, 독립 운동과 결합하여 빠른 해체로 이어졌다.
1966년 영국은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과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에서 세계인권선언의 대부분의 권리를 비준했다. 2010년 헌법 개혁 및 거버넌스 법 제20조는 조약이 의회에 21일 동안 제출되고 부정적인 결의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비준된다고 규정한다.[96] 영국은 1950년 유럽 인권 협약 초안 작성에 참여했다. 유럽 통합에 대한 오랜 비전에 따라 민주적인 유럽 국가들은 경제를 통합하려고 했다.
1972년 영국은 유럽 공동체(1992년 유럽 연합으로 개명)에 가입하고 1972년 유럽 공동체 법에 따라 EU 법을 이행하기로 약속했다. 1995년 영국은 세계무역기구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다.[98] 1998년 인권법이 통과되어 유럽 인권 협약을 법원이 직접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의회는 2001년 국제형사재판소법을 통과시켜 국제형사재판소의 관할권에 자신을 종속시켰다. 2016년 영국은 국민투표를 통해 유럽 연합 탈퇴 여부에 대한 투표를 실시했으며, 51.9%가 "탈퇴"를, 48.1%가 "잔류"를 지지했다.[99]
3. 헌법을 구성하는 성문법
영국 헌법은 단일 성문 헌법전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여러 성문 법률, 관습, 판례 등을 통해 구성된다. 이 중 성문 법률은 의회 주권의 원칙에 따라 의회에서 제정 및 개정될 수 있으며, 헌법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의회 주권은 영국 헌법의 핵심 요소로, 의회가 제정한 법률이 최고 법률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의회는 마그나 카르타, 권리장전 등을 통해 군주, 교회, 법원에 대한 권력을 확립해 왔다.
최근 역사에서 의회 주권은 국제 협력 강화, 유럽 인권 협약 가입, 유럽 연합 회원국(현재는 탈퇴), 영국의 분권화라는 네 가지 주요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법치주의 또한 영국 헌법의 기본 원칙으로, 법이 명확하고 예측 가능하며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적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46] 2005년 헌법 개혁 법 1조는 법치주의를 헌법 원칙으로 명시적으로 인정했다.
국제법 역시 영국 헌법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국내법 해석의 도구로 활용된다. 영국은 국제연합, 유럽 인권 협약, 세계무역기구 등 주요 국제기구의 회원국으로서 국제법을 준수하고 있다.
3. 1. 2003년 의회 보고서에 명시된 주요 법률
로버트 블랙번 교수는 최근 헌법적으로 중요한 법률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시한다.[103]- 의회의 양원의 권한을 규정하는 의회법(1911~1949년).
- 보편적 투표와 기타 정치적 대표성 문제를 규정하는 1918년 국민대표법(개정됨).
- 영국을 유럽 연합의 법적 파트너로 만든 1972년 유럽공동체법.
- 영국의 세 나라(스코틀랜드, 웨일즈, 북아일랜드) 각각에 행정부와 입법부를 만든 1998년 스코틀랜드법, 1998년 웨일스 통치법, 1998년 북아일랜드법(개정됨).
- 개인이 법원을 통해 권리와 자유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권리장전을 설정한 1998년 인권법.
다음은 2003년 11월 영국 의회가 발표한 보고서에서 "특히 기본적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 법률들이다.[322]
- 마그나 카르타
- 권리장전
- 1689년 권리장전법
-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의 왕위 계승과 1689년 임시의회의 효력을 승인한 법률.
- 1701년 왕위계승법
- 하노버 선제후 에른스트 아우구스트와 엘리자베스 스튜어트의 막내딸인 소피아 폰 데어 팔츠(소피아 오브 하노버)의 자손을 왕위 계승자로 정한 법률. 이에 따라 스튜어트 왕가의 혈통을 가진 자와 국교회 신도가 아닌 자는 계승 자격을 상실했다.
- 1707년 연합법
- 1800년 연합법
- 의회법 (1911년 의회법, 1949년 의회법)
- 1958년 종신귀족법
- 1964년 국가긴급권법
- 1972년 유럽공동체법
- EU 탈퇴 결정에 따라 2020년 12월 31일에 폐지됨.
- 1975년 하원 자격 박탈법
- 1975년 장관 등 급여법
- 정무차관 이상의 관직의 급여와 인원 제한을 정한 법률.
- 1981년 영국 국적법
- 1981년 고등법원법
- 1983년 국민대표법
- 1998년 스코틀랜드법
- 스코틀랜드 의회와 스코틀랜드 행정부의 설치를 정한 법률.
- 1998년 웨일스 통치법
- 웨일스 의회의 설치를 정한 법률.
- 1998년 북아일랜드법
- 북아일랜드 의회의 설치를 정한 법률.
- 1998년 인권법
- 이 법을 새로운 권리장전으로 규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 1999년 상원법
- 2004년 시민 긴급사태법
3. 2. 2003년 이후 제정된 헌법 개혁 법률
2005년 헌법 개혁법(영국)은 사법부의 독립을 강화하기 위해 영국 연합왕국 대법원을 독립시켰다.[103]2010년 헌법 개혁 및 통치법(영국)도 제정되었다.
2011년 의회 임기 고정법(영국)은 총리가 하원을 해산할 수 있는 권한을 제한하여, 하원 해산 결의 및 임기 만료 외에는 해산할 수 없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법은 정치적 혼란을 야기한다는 비판을 받았고, 결국 2022년 의회 해산 및 소집법(영국)에 의해 폐지되었다. 폐지 이후에는 2011년 이전처럼 총리의 판단에 따라 언제든지 하원을 해산할 수 있게 되었다.
2013년 왕위 계승법(영국)은 1701년 왕위 계승법의 규제를 완화했다.
European Union (Withdrawal Agreement) Act 2020|2020년 유럽연합(탈퇴 합의)법(영국)영어은 EU 탈퇴 이행 기간을 마련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이다.
3. 3. 기타 헌법 문서
로버트 블랙번 교수는 최근 헌법적으로 중요한 법률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시한다.- 의회의 양원의 권한을 규정하는 의회법(1911~1949년).
- 보편적 투표와 기타 정치적 대표성 문제를 규정하는 국민대표법(1918년)(개정됨).
- 영국을 유럽 연합의 법적 파트너로 만든 유럽 공동체법(1972년).
- 영국의 세 나라(스코틀랜드, 웨일즈, 북아일랜드) 각각에 행정부와 입법부를 만든 1998년 스코틀랜드, 웨일즈, 북아일랜드 분권법(개정됨).
- 개인이 법원을 통해 권리와 자유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권리장전을 설정한 인권법(1998년).[103]
또한, 독일의 역사학자 호르스트 디펠(Horst Dippel)과 영국의 역사학자 해리 토머스 디킨슨에 따르면, 1782년부터 1835년까지 제정된 법률 중 다음 15건이 헌법 문서(constitutional document)에 해당한다.[323]
법률명 | 내용 |
---|---|
1782년 의회법 | 크루법(Crewe's Act)이라고도 함 |
1782년 하원(자격 박탈)법(House of Commons (Disqualification) Act 1782, 1782년) | 클라크법(Clerke's Act)이라고도 함 |
1792년 명예훼손법 | |
1794년 음모법(Conspiracy Act 1794) | |
1795년 반역법 | |
1795년 선동 집회법(Seditious Meetings Act 1795) | |
1799년 불법 결사법(Unlawful Societies Act 1799) | |
1800년 연합법 | |
1811년 섭정법(Regency Act 1811) | |
1828년 성찬 검사법(Sacramental Test Act 1828) | |
1829년 가톨릭 해방법 | |
1832년 개혁법 | |
1832년 스코틀랜드 개혁법 | |
1832년 아일랜드 개혁법 | |
1835년 지방 자치법(Municipal Corporations Act 1835) |
4. 헌법 제도
영국은 성문 헌법이 없는 대신, 법치주의를 기반으로 한 헌법 제도를 갖추고 있다. 콘힐의 빙햄 경이 제시한 법치주의는 법의 명확성, 예측 가능성, 법 앞의 평등, 공정한 집행 절차, 인권 보호, 국제법 준수를 포함한다.[46] 2005년 헌법 개혁 법은 법치주의를 헌법 원칙으로 명시하고, 사법부의 독립성을 강화했다.[48]
영국법에서 법치주의는 전통적으로 "합법성" 원칙으로, 국가와 정부는 법에 따라서만 행동해야 한다. 1765년 ''카링턴 대 엔틱'' 사건에서 국왕의 수석 사자가 개인의 집에 침입하여 서류를 압수할 법적 권한이 없다고 판결했다.[49] 오늘날 이 원칙은 유럽 인권 협약에 반영되어, "법률에 따라" 하는 경우에만 권리 침해를 허용한다.[52]
법 집행 기관은 재량권을 가질 수 있지만, 신속하게 법을 집행해야 한다. ''R (코너 하우스 리서치) 대 중대 사기 사무소 소장'' 사건에서 중대 사기 사무소가 알야마마 무기 거래 조사를 중단한 결정은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57] ''R (유니슨) 대 법무장관'' 사건에서 근로감독위원회 소송에 고액의 수수료를 부과한 것은 법치주의를 훼손하는 것으로 판결되었다.[59]
기능하는 대의 민주주의는 인권을 옹호하고 의회 주권을 정당화한다.[65] 유럽 인권 협약 서문은 기본적인 인권과 자유가 "효과적인 정치적 민주주의"에 의해 가장 잘 유지된다고 명시한다.[68] 현대 정치 이론은 대표자 선출뿐만 아니라 정치에 참여하는 적극적인 시민을 강조한다.[70]
영국 헌법에서 민주주의 원칙은 공정한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를 보장하는 법률과 판례를 통해 나타난다. 1703년 ''애쉬비 대 화이트'' 판결에서 홀트 대법관은 모든 사람이 투표할 권리가 중요하다고 판결했다.[77] 1983년 국민 대표법과 2000년 정당, 선거 및 국민투표법은 선거 비용과 외국 개입을 제한한다. 헤일 남작은 "각 사람은 동등한 가치를 가지며" 정부가 가장 많은 지출을 하는 사람들에 의해 결정되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79]
관례는 법적 구속력이 없는 합의이지만, 헌법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과반수 의석을 차지한 정당의 대표가 수상이 되는 것, 상원이 이차 입법을 거부하지 않는 것 등이 관례에 해당한다.[106]
영국은 4개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구성국은 자체적인 지방 정부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 '''잉글랜드''': 런던은 32개 자치구와 시티 오브 런던으로 구성된 대런던(Greater Londo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런던 의회에서 대표된다. 잉글랜드의 다른 지역은 카운티와 디스트릭트로 나뉘거나, 단일 자치구로 운영된다.
- '''스코틀랜드''': 32개의 단일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다.
- '''웨일스''': 22개의 단일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다.
- '''북아일랜드''': 11개의 디스트릭트로 구성되어 있다.
스코틀랜드법, 웨일스 정부법, 북아일랜드법에 따라 각각 설치된 스코틀랜드 의회, 웨일스 국회(Senedd Cymru), 북아일랜드 의회는 해당 지역에 대한 자치 입법권을 가진다. 이들 의회는 영국 의회에서 제정한 법률에 의해 설치되었으며, 영국 의회는 이들 의회의 동의 없이도 관련 법률을 개정하거나 폐지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한다.
4. 1. 의회
영국 헌법에서 의회는 최고 권력 기관이다. 의회는 일련의 혁명을 거치면서 교회, 법원, 군주를 능가하는 지배적인 기관으로 부상했다. 의회 내에서는 하원이 상원을 능가하는 지배적인 의회가 되었다.[112] 의회 주권에 대한 중심적인 정당화는 일반적으로 민주적인 성격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1928년 국민대표(평등 선거권)법 이후에야 의회가 현대적인 의미에서 "민주적"이라고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야 식민지 해방, 대학 선거구, 투표 연령 하락이 이루어졌다. 의회의 주요 기능은 입법, 공공 지출에 대한 자금 배정,[114] 그리고 정부 감시이다.[115]실제로 많은 국회의원은 의회 위원회에 참여하여 지출, 정책, 법률 및 그 영향을 조사하고 종종 개혁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제출한다. 예를 들어, 2002년 하원 현대화 위원회는 법률이 제정되기 전에 법안 초안을 공개할 것을 권고했으며, 나중에 매우 성공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116] 현재 하원에는 650명의 국회의원(MP)이 있으며, 최대 5년 임기로 선출된다.[117] 상원에는 790명의 귀족이 있다. 제안된 법안이 법률이 되려면 각 의회에서 세 번 읽고 군주로부터 왕실 재가를 받아야 한다.
의회 주권은 영국 헌법의 핵심 요소로 여겨지지만, 그 범위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는 의회법이 최고 법률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만, "의회는 스스로를 구속할 수 없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역사적으로 의회는 군주, 교회, 법원, 국민 간의 일련의 권력 투쟁을 통해 주권을 획득했다. 1215년 마그나 카르타는 왕권신수설에 반대하며, 어떤 세금 부과 전에도 "공동의회"를 열 권리를 부여했다.
공유지는 사람들이 경작, 방목, 사냥 또는 낚시를 할 수 있도록 보장되었지만, 귀족들은 정치를 계속 지배했다. 1534년 종교개혁법에서 헨리 8세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자신의 신성한 권리를 주장하며 자신을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지도자로 선언했다. 1688년 명예혁명 이후, 1689년 권리장전은 군주, 교회와 법원에 대한 의회의 권력을 확고히 했다. 의회는 "주권"이 되었고, 최고 권력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18년 후 잉글랜드 의회는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연합 조약에 따라 새로운 의회를 만들기 위해 스스로를 폐지했고, 스코틀랜드 의회도 마찬가지였다.
의회 내에서는 귀족과 평민 사이의 권력 투쟁이 계속되었다. 의회 밖에서는 차티스트부터 노동조합까지 선거권을 위해 하원에서 투쟁했다. 1911년 의회법은 하원이 비선출직 상원과의 갈등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보장했다. 1949년 의회법은 상원이 입법을 1년 동안만 지연시킬 수 있도록 보장했으며, 예산안은 한 달 이상 지연시킬 수 없도록 했다.
최근 역사에서 의회 주권은 네 가지 주요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 첫째, 1945년 이후 국제 협력은 의회가 다른 주권 국가를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협력함으로써 권력을 강화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 둘째, 1950년 영국은 유럽인권협약을 작성하고 가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1998년 인권법에서 의회는 영국 사법부가 판례를 결정할 때 인권 규범을 직접 적용해야 하며, 더 신속하고 인권 중심적인 판례 해결을 보장하고 인권 추론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도록 결정했다.
- 셋째, 영국은 1972년 유럽공동체법과 1992년 마스트리흐트 조약 비준을 통해 유럽 연합 회원국이 되었다.
- 넷째, 영국의 분권화는 의회가 특정 주제에 대한 입법 권한을 국가와 지역에 부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의회 주권의 근거'''가 되는 주요 법률 및 판례는 다음과 같다.
법률 | 마그나 카르타 1215 제12조 |
---|---|
권리장전 1-4조 | |
1911년 의회법 1-2조 및 1949년 의회법 1조 | |
1946년 국제연합법 1조 | |
1998년 인권법 3-6조 | |
2020년 유럽연합(탈퇴협정)법 38(1)조 | |
2022년 의회 해산 및 소집법 2(1)조 | |
1972년 지방자치법 | |
1998년 스코틀랜드법 | |
1998년 웨일스 정부법 | |
1998년 북아일랜드법 | |
1999년 대런던행정구역법 | |
판례 | 스톡데일 대 한사드 (1839) |
피킨 대 영국철도청 [1974] | |
검찰총장 대 조나단 케이프 유한회사 [1975] | |
R (팩터타임) 대 교통부 장관 [1990] | |
R (심스) 대 내무부 장관 [1999] | |
R (잭슨) 대 검찰총장 [2005] | |
R (HS2 액션 얼라이언스) 대 교통부 장관 [2014] | |
R (밀러) 대 브렉시트 장관 [2017] | |
R (밀러) 대 총리 및 체리 대 스코틀랜드 법무장관 [2019] | |
폐지된 법률 | 1972년 유럽공동체법 2조 |
2011년 유럽연합법 18조 |
4. 1. 1. 하원

오늘날 하원은 대의 민주주의의 주요 기관이다. 1983년 국민대표법 제1조는 영국, 아일랜드 공화국 및 영연방의 등록된 시민으로 18세 이상인 모든 사람에게 하원 의원을 선출할 권리를 부여한다. 3조와 4조는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교정 시설에 수감되었거나 정신 건강법에 따라 구금된 사람들을 제외한다.[118] 이러한 제한은 유럽 표준보다 낮은 수준이며, 유럽 표준은 경범죄(소액 절도나 마약 범죄 등)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도 투표권을 가져야 한다고 규정한다.[119] 2013년부터는 가구 단위가 아닌 개인별로 투표 등록을 해야 하지만, 등록자 수를 늘리기 위해 매년 가구별 조사가 실시된다.[120]
1703년 ''애쉬비 대 화이트'' 판결에서 "의회에서 자신을 대표할 사람을 선출하고, 자신의 자유와 재산을 구속할 법을 제정하는 데 동의하기 위해 투표할 권리"는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정되었다.[121] 이는 원래 그 권리에 대한 어떠한 간섭도 손해로 이어질 것임을 의미했다. 투표 거부가 결과를 바꾸었거나 투표가 "법에 따라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잘못 수행된 경우" 투표를 다시 진행해야 했다.[122] ''모건 대 심슨'' 판결에서 항소법원은 44장의 무인 도장 투표 용지가 계산되지 않은 후 그레이터 런던 의회 의석에 대한 선거가 무효라고 선언했다. 이러한 관습법 원칙은 법률 규정보다 앞서며, 따라서 선거와 국민투표를 포함한 모든 투표에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123]
오늘날 선거 비용은 법률에 따라 엄격하게 통제된다. 정당은 전국 선거에서 최대 2000만파운드, 각 선거구에서 1만파운드를 사용할 수 있다.[124] 특정 무료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텔레비전의 정치 광고가 금지되어 있지만,[125] 인터넷은 대부분 규제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제삼자의 500GBP를 초과하는 지출은 공개해야 한다. 이러한 규칙은 엄격하지만, ''동물 보호 국제기구 대 영국'' 판결에서 "각 개인은 동등한 가치를 지닌다"는 이유로 협약과 양립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126] 투표에 대한 외국 개입은 완전히 금지되며, "사람들이 투표를 하거나 하지 않도록 영향을 미칠 의도로" (인터넷을 통한 것도 포함) "방송"하는 행위도 포함된다.[127]
외국 정당의 기부금은 전액 선거관리위원회에 몰수될 수 있다.[128] 국내 기부금은 등록된 정당으로 제한되며, 전국적으로 7500GBP, 지역적으로 1500GBP를 초과하는 경우 선거관리위원회에 보고해야 한다.[129] 하원을 선출하는 시스템은 인구를 고르게 하기 위해 경계가 정기적으로 검토되는 선거구를 기반으로 한다.[130] 영국이 사용하는 도다수제 투표 방식에 대해 상당한 논쟁이 있었는데, 이는 소수 정당을 배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유권자가 후보에 대한 선호도를 선택할 수 있지만, 이 시스템은 캐머런-클레그 연정이 주최한 2011년 영국 대안 투표 국민투표에서 거부되었다. 유럽 의회에서는 유권자가 다수 의원 지역구에서 정당을 선택하는데, 이는 소수 정당에게 훨씬 더 많은 대표성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스코틀랜드 의회, 웨일스 의회 및 런던 의회에서는 유권자가 선거구와 정당 목록을 모두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선호도를 가장 잘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국회의원으로 선출되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정당의 당원이 되어야 하며, 출마 당일 18세 이상이어야 하고,[131] 자격을 갖춘 영연방 또는 아일랜드 시민이어야 하며,[132] 파산하지 않았어야 하고,[133] 부패 행위로 유죄 판결을 받지 않았어야 하며,[134] 상원의원, 판사 또는 공무원이어서는 안 된다.[135] 정부의 의회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를 제한하기 위해 1975년 장관 및 기타 급여법은 일정 수의 국회의원에게만 더 높은 급여를 지급하도록 제한한다.[136]
4. 1. 2. 상원
1999년 상원법은 92명의 세습 귀족을 제외한 모든 세습 귀족을 폐지하여, 대부분의 귀족을 1958년 종신 남작 작위법에 따라 정부가 임명한 "종신 귀족", 1876년 상소 관할권법에 따라 임명된 법률 귀족, 그리고 잉글랜드 교회의 고위 성직자인 영적 귀족으로 남겼다.[137] 2005년 이후로 고위 판사는 은퇴 후에만 상원에 출석하고 투표할 수 있다.[138]정부는 대부분의 귀족 임명을 수행하지만, 2000년 이후로는 노동당, 보수당, 자유민주당 대표가 포함된 7명의 상원 임명 위원회의 자문을 받고 있다.[139] 귀족 작위는 언제든지 포기할 수 있으며,[140] 전직 귀족은 의회에 출마할 수 있다.[141] 2015년부터 상원의원은 상원에 의해 정직 또는 제명될 수 있다.[142] 1949년 의회법은 상원의 권한을 크게 축소하여, 상원은 법률을 1년 동안만 지연시킬 수 있고 차단할 수 없으며, 재정 법안은 전혀 지연시킬 수 없다.[143]
여러 개혁 방안이 논의되어 왔다. 2012년 상원 개혁 법안은 직선제 의원 360명, 임명 의원 90명, 주교 12명, 그리고 불확실한 수의 장관 의원을 두는 것을 제안했다. 선출된 상원의원은 단기 선거권 투표 방식으로 10개 지역구를 통해 15년 임기로 비례 대표제에 의해 선출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보수당 후방 의원들의 반발로 정부는 지원을 철회했다. 상원이 지리적 선거구에 의해 선출되고 한 정당이 양쪽을 모두 장악한다면 "정부 업무에 대한 효과적인 감시 또는 개정의 전망은 거의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 자주 제기되었다.[144]
두 번째 방안은 스웨덴 리크스다그처럼 상원을 폐지하는 것이다. 이는 잉글랜드 내전 중 1649년에 이루어졌지만 1660년에 군주제와 함께 복원되었다.[144] 세 번째 제안은 직업 및 전문 분야별로 상원의원을 선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의료 종사자는 특별한 의료 지식을 가진 상원의원을, 교육 분야 종사자는 일정 수의 교육 전문가를, 법률 전문가는 법률 대표를 선출하는 방식이다.[145] 이는 법률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4. 2. 사법부

영국의 사법부는 법치주의, 민주주의 및 인권을 수호하는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2005년부터 공식적으로 상원에서 이름이 변경된 최고 항소 법원은 대법원이다. 2005년 헌법 개혁법에 따라 2006년 4월 3일 대법관의 역할이 크게 바뀌었다. 이 법에 따라 헌법 내에서 처음으로 사법부의 구성이 명확하게 제시되었다. 이 성문법은 새로운 정부 부처를 제시하며, 상원과 분리되어 자체적인 독립적인 임용 시스템, 직원, 예산 및 건물을 갖춘 독립적인 대법원이 설립되었다.[146]
이는 사법부가 얼마나 독립적으로 되었는지를 더 자세히 보여준다. 사법부 임용을 위해 장관에게 추천할 후보자를 선정하는 임명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사법 임명 위원회는 자격이 임용의 유일한 기준이며 임명 시스템이 현대적이고 개방적이며 투명하도록 보장한다. 감시 측면에서, 사법 임명 및 행위 감찰관은 사법 임명 절차에 대한 불만과 헌법 개혁법의 범위 내에서 사법 행위 불만 처리에 대한 조사 및 권고를 담당하며 대법원에 대한 견제와 균형을 제공한다.[146]
사법부는 민사 사건에 대해 영국 전체에서, 그리고 영국과 웨일스, 북아일랜드의 형사 사건에 대한 항소를 심리한다. 스코틀랜드의 형사 항소는 심리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법원은 이것이 스코틀랜드 형사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한 이양 문제"를 고려한다. 1966년 관례 성명 이후 사법부는 하급 법원을 구속하는 선례 제도가 "어느 정도의 확실성"을 제공하는 데 필요하지만, 법원은 판례를 갱신하고 "그렇게 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될 때 이전의 결정을 벗어나야 한다"고 인정했다.[147]
소송은 일반적으로 민사 사건의 경우 카운티 법원 또는 고등법원[148], 또는 치안 판사 법원 또는 크라운 법원에서 형사법 문제에 대해 시작된다.[149] 또한 노동법 분쟁에 대한 노동 재판소[150]가 있으며, 이민부터 사회 보장, 세금에 이르기까지 공공 또는 규제 분쟁에 대한 제1심 재판소가 있다.[151] 고등법원, 크라운 법원 또는 항소 재판소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항소 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세션 법원에 외법원(1심)과 내법원(항소)이 있다. 항소는 그 후 대법원으로 가지만, 법원은 언제든지 유럽 연합 법원에 EU 법의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예비 심리"를 할 수 있다. 1998년 인권법 이후 법원은 법을 유럽 인권 협약과 호환되도록 해석해야 한다는 명시적인 요구를 받았다. 이것은 법원이 국제법 의무와 호환되도록 법을 해석하는 오랜 전통을 따른 것이다.[152]
영국 법원이 단순히 적용할 뿐만 아니라 해석 기능을 통해 새로운 법을 만들어낸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이것은 영국 관습법 및 신의칙에서 명백한데, 여기에는 계약, 불법 행위 또는 신탁과 같은 법의 상당 부분에 대한 성문법적 근거가 없다. 이것은 또한 소급 효력의 요소를 의미하는데,[153] 개발 중인 규칙의 적용이 적어도 당사자 한 명의 법적 이해와 상충될 수 있기 때문이다.[154] 영국 사법부가 공식적으로 의회 법률을 "위헌"이라고 선언할 수는 없지만,[155] 실제로 사법부가 인권과 호환되도록 법을 해석하는 권한은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법률을 무효화할 수 있다.[156] 법원은 민주적 절차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때문에 이를 신중하게 한다. 판사는 때때로 공공 조사에 참석할 수도 있다.[157]
사법부의 독립성은 헌법의 초석 중 하나이며, 실제로 판사가 직무에서 해임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1700년 왕위 계승법 이후로 어떤 판사도 해임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왕이 양원의 요청에 따라 행동해야 하기 때문이다.[158] 형식적인 규칙 때문이 아니라 법 체계의 완전성의 중요성에 대한 "공유된 헌법적 이해" 때문에 판사가 해임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159] 이것은 예를 들어 법원에서 결정을 기다리는 사안은 의회 논의에서 예단해서는 안 된다는 ''재판 중 금지'' 규칙에 반영되어 있다.[160] 한때 사법부의 수장이었지만 현재는 단순히 정부 장관인 대법관은 또한 언론, 기업 또는 정부 자체의 공격으로부터 사법부의 독립성을 유지해야 할 법적 의무가 있다.[161]
사법부 구성원은 법정에서 변론권을 가진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법조계 구성원 중에서 임명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변호사를 포함하지만, 변호사 또는 학자를 의미할 수도 있다.[162] 임용은 "오로지 자격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지만 두 후보자의 자격이 동일한 경우 다양성의 필요성을 고려할 수 있다.[163] 대법원 임명의 경우 대법원 판사 1명, 사법 임명 위원회 회원 3명 및 평신도 1명을 포함하는 5명의 사법 임명 위원회가 구성된다.[164] 항소 법원 판사 또는 대법원장, 롤즈 대법관 또는 고등법원 부서장과 같은 다른 고위 판사의 경우 판사 2명을 포함하는 유사한 5명의 패널이 구성된다.[165] 다른 선진국에 비해 영국 사법부의 성별 및 인종 다양성이 부족하여 전문성과 사법 행정이 손상될 수 있다.[166]
사법부를 뒷받침하는 것은 상당한 행정법이다. 1981년 법정 모독법은 법원 명령을 위반하거나 공정한 사법 절차를 손상시킬 수 있는 행위에 대해 법원이 누구든지 법정 모독으로 간주하고 투옥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로 이것은 행정부에 의해 시행된다. 대법관은 사법부를 이끌고 있으며, 법원에 접근할 여력이 없는 사람들을 위해 법률 지원 기관을 관리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R (UNISON) v Lord Chancellor''에서 정부는 고액 수수료를 만들어 고용 재판소 신청자 수를 70%나 줄인 것에 대해 통렬한 비판을 받았다.[167] 영국과 웨일스의 법무장관, 그리고 스코틀랜드 사안의 경우 스코틀랜드 법무장관과 영국과 웨일스 법무차관은 소송에서 왕실을 대표한다. 법무장관은 또한 경찰이 기소를 위해 제출한 사건을 검토하고 왕실을 대신하여 진행하는 검찰청을 이끄는 검찰총장을 임명한다.[168]
4. 3. 행정부
정부의 행정부는 하원에서 과반수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하는 총리가 이끈다. 총리는 장관 내각을 임명하여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교육부와 같은 주요 정부 부처를 이끈다. 공식적으로 "국가 원수"는 군주이지만, 모든 왕실 특권은 사법심사의 적용을 받는 총리가 행사한다.

사법심사를 통한 행정법은 행정부와 공공기관의 법적 책임을 묻는 데 필수적이다. 모든 공공기관은 법에 의해 설립되고 법에 구속되기때문에, 실제로 모든 공공기관의 결정이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며, 사법심사 사례를 통해 헌법적 원칙이 나타난다. 개인은 소송 원인이 된 사실을 알게 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충분한 이익"[240]이 있다면 고등법원에 공공기관의 결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241] 반면, 불법행위 또는 계약에 대한 공공기관에 대한 청구의 경우, 1980년 제한법은 일반적으로 기간을 6년으로 정한다.[242]
거의 모든 공공기관 또는 공공 기능을 수행하는 민간 기관[243]은 사법심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여기에는 정부 부처, 지방 의회, 장관, 총리 또는 법률에 의해 설립된 기타 기관이 포함된다. 그 결정을 심사할 수 없는 유일한 공공기관은 법률을 통과시킬 때의 의회이다. 그렇지 않으면, 청구인은 공공기관의 결정이 다섯 가지 주요 유형의 사건에서 불법이었다고 주장할 수 있다.[244] (1) 기관의 합법적인 권한을 초과하거나, 부적절한 목적으로 권한을 사용하거나, 불합리하게 행동한 경우,[245] (2) 정당한 기대를 위반한 경우,[246] (3) 관련되고 독립적인 판단을 행사하지 못한 경우,[247] (4) 편향 또는 이해 상충을 보이거나 공정한 청문회를 제공하지 못한 경우,[248] 및 (5) 인권을 침해한 경우.[249]
구제책으로 청구인은 공공기관의 결정이 무효이고 취소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또는 ''서티오라리''), 또는 기관이 어떤 일을 하도록 명령(또는 ''만데이머스'')하거나 기관이 불법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막도록(또는 금지명령) 요구할 수 있다. 법원은 당사자의 권리와 의무를 선언하거나, 금지명령을 내리거나, 불법행위 또는 계약에서 보상금이 지급될 수도 있다.[250]
4. 4. 지방 정부 및 권한 이양 정부
영국은 4개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구성국은 자체적인 지방 정부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잉글랜드''': 런던은 32개 자치구(Boroughs)와 시티 오브 런던으로 구성된 대런던(Greater Londo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런던 의회에서 대표된다. 잉글랜드의 다른 지역은 카운티와 디스트릭트로 나뉘거나, 단일 자치구로 운영된다.
- '''스코틀랜드''': 32개의 단일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다.
- '''웨일스''': 22개의 단일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다.
- '''북아일랜드''': 11개의 디스트릭트로 구성되어 있다.
스코틀랜드법, 웨일스 정부법, 북아일랜드법에 따라 각각 설치된 스코틀랜드 의회, 웨일스 국회(Senedd Cymru), 북아일랜드 의회는 해당 지역에 대한 자치 입법권을 가진다. 이들 의회는 영국 의회에서 제정한 법률에 의해 설치되었으며, 영국 의회는 이들 의회의 동의 없이도 관련 법률을 개정하거나 폐지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한다.
5. 인권
영국법에서 법치주의는 전통적으로 "합법성" 원칙을 따른다. 국가, 정부 및 정부 권한으로 행동하는 모든 사람은 법에 따라서만 행동해야 한다.[49] 1765년 ''카링턴 대 엔틱'' 사건에서 국왕의 수석 사자 네이선 카링턴은 작가 존 엔틱의 집에 침입하여 그의 서류를 압수할 법적 권한이 없었다. 캠던 대법관은 "사유 재산에 대한 모든 침해는 아무리 미미하더라도 불법 행위"라고 판결했다.[49]
오늘날 이 합법성 원칙은 유럽 인권 협약에 따라 "법률에 따라" 하는 경우에만 권리 침해를 허용한다.[52] 1979년 ''말론 대 경찰청장'' 사건에서 경찰이 증거를 얻기 위해 한 남성의 전화를 불법으로 도청했다는 주장이 있었다. 메가리 부대법관은 관습법상 잘못이 없다고 판결했지만, 유럽 인권 재판소는 해당 법률이 "관련 재량의 범위와 행사 방식을 합리적으로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았기" 때문에 협약이 위반되었다고 판결했다.[54]
합법성 원칙 자체만으로는 인권을 보존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법치주의는 법이 실제로 시행되어야 함을 요구하지만, 집행 기관은 재량권을 가질 수 있다. ''R (코너 하우스 리서치) 대 중대 사기 사무소 소장'' 사건에서 중대 사기 사무소가 영국-사우디 알야마마 무기 거래에 대한 조사를 중단한 것에 대해 상원은 SFO가 조사를 추진하지 않는 데 따른 공익을 고려할 자격이 있다고 판결했다.[57] 집행이나 법원 절차가 진행될 때 신속하게 진행되어야 하며, 구금된 사람은 기소되어 재판을 받거나 석방되어야 한다.[58]
사람들은 또한 실제로 사법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R (유니슨) 대 법무장관'' 사건에서 대법원은 정부가 근로감독위원회 소송을 제기하기 위해 1200파운드의 수수료를 부과한 것이 법치주의를 훼손했고 무효라고 판결했다. 리드 경은 "법원 접근의 헌법적 권리는 법치주의에 내재되어 있다"고 말했다.[59] 원칙적으로 모든 사람, 정부 장관이나 기업 임원을 포함하여 법에 따라야 하며, 명령을 위반하면 법정모독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60]
6. 행정법
사법심사를 통한 행정법은 행정부와 공공기관의 법적 책임을 묻는 데 필수적이다. 실제로 모든 공공기관의 결정이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법심사 사례를 통해 헌법적 원칙이 나타난다. 모든 공공기관은 법에 의해 설립되고 법에 구속된다. 개인은 소송 원인이 된 사실을 알게 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충분한 이익"이 있다면 고등법원에 공공기관의 결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240][241] 반면, 불법행위 또는 계약에 대한 공공기관에 대한 청구의 경우, 1980년 제한법은 일반적으로 기간을 6년으로 정한다.[242]
거의 모든 공공기관 또는 공공 기능을 수행하는 민간 기관[243]은 사법심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여기에는 정부 부처, 지방 의회, 장관, 총리 또는 법률에 의해 설립된 기타 기관이 포함된다. 그 결정을 심사할 수 없는 유일한 공공기관은 법률을 통과시킬 때의 의회이다. 그렇지 않으면, 청구인은 공공기관의 결정이 다섯 가지 주요 유형의 사건에서 불법이었다고 주장할 수 있다.[244]
- (1) 기관의 합법적인 권한을 초과하거나, 부적절한 목적으로 권한을 사용하거나, 불합리하게 행동한 경우[245]
- (2) 정당한 기대를 위반한 경우[246]
- (3) 관련되고 독립적인 판단을 행사하지 못한 경우[247]
- (4) 편향 또는 이해 상충을 보이거나 공정한 청문회를 제공하지 못한 경우[248]
- (5) 인권을 침해한 경우.[249]
구제책으로 청구인은 공공기관의 결정이 무효이고 취소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또는 ''서티오라리''), 또는 기관이 어떤 일을 하도록 명령(또는 ''만데이머스'')하거나 기관이 불법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막도록(또는 금지명령) 요구할 수 있다. 법원은 당사자의 권리와 의무를 선언하거나, 금지명령을 내리거나, 불법행위 또는 계약에서 보상금이 지급될 수도 있다.[250]
7. 헌법의 역사와 발전
의회 주권은 영국 헌법의 핵심 요소로 여겨지지만, 그 범위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는 의회법이 최고 법률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의회는 스스로를 구속할 수 없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역사적으로 의회는 군주, 교회, 법원, 국민 간의 일련의 권력 투쟁을 통해 주권을 획득했다.
1215년 마그나 카르타는 제1차 바론 전쟁으로 이어진 갈등에서 비롯되었으며, 어떤 세금 부과 전에도 "공동의회"를 열 권리를 부여했고, "왕권신수설"에 반대했다. 공유지는 사람들이 경작, 방목, 사냥 또는 낚시를 할 수 있도록 보장되었지만, 귀족들이 정치를 계속 지배했다.
1534년 종교개혁법에서 헨리 8세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자신의 신성한 권리를 주장하며 자신을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지도자로 선언했다. 1615년 ''옥스퍼드 백작 사건''에서 대법관(왕의 대표이자 사법부 수장)은 일반법 법원에 대한 상평법원의 우위를 주장하며, 판사가 "일반적 권리와 이성에 반하는" 법률을 무효로 선언할 수 있다는 에드워드 코크 경의 주장에 반박했다.
1688년 명예혁명 이후, 1689년 권리장전은 군주, 교회, 법원에 대한 의회의 권력을 확고히 했다. 의회는 "주권"이 되었고, 최고 권력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18년 후 잉글랜드 의회는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연합 조약에 따라 새로운 의회를 만들기 위해 스스로를 폐지했고, 스코틀랜드 의회도 마찬가지였다. 의회 내에서는 귀족과 평민 사이의 권력 투쟁이 계속되었다. 의회 밖에서는 차티스트부터 노동조합까지 선거권을 위해 하원에서 투쟁했다. 1911년 의회법은 하원이 비선출직 상원과의 갈등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보장했다. 1949년 의회법은 상원이 입법을 1년 동안만 지연시킬 수 있도록 보장했으며, 예산안은 한 달 이상 지연시킬 수 없도록 했다.
R (잭슨) 대 검찰총장 사건에서, 한 무리의 사냥 반대 시위자들은 의회법을 사용하여 상원을 거치지 않고 통과된 2004년 사냥법의 여우 사냥 금지에 대해 법률로서의 유효성에 이의를 제기했다. 영국의 최고 법원인 상원은 1949년 의회법과 2004년 사냥법 모두 유효하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판단문 외의 언급''에서 호프 경은 의회 주권이 "더 이상, 또는 언젠가 절대적인 것이 아니었더라도"이며, "법원이 집행하는 법치주의가 우리 헌법의 근간이 되는 궁극적인 통제 요소"이며, 위헌 법률(법원에서 결정)을 옹호하는 데 사용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의회 주권"의 의미에 대한 합의는 아직 없지만, 그 정당성은 "민주적 절차" 원칙에 달려 있다.
최근 역사에서 의회 주권은 네 가지 주요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첫째, 1945년 이후 국제 협력은 의회가 다른 주권 국가를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협력함으로써 권력을 강화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영국은 국제연맹(1919년)과 국제연합(1945년)에 가입하여 국제법 체제 구축에 참여했다. 베르사유 조약(1919년)은 "사회 정의에 기반하지 않고서는 평화를 수립할 수 없다"고 회상했으며, 유엔 헌장은 "모든 회원국의 주권 평등 원칙"에 기초하여 "전쟁의 재앙으로부터 후세대를 구하기 위해" "기본적 인권에 대한 신념을 재확인"하고, 회원국은 "좋은 이웃으로서 서로 평화롭게 공존"해야 한다고 밝혔다. 1945년 브레튼우즈협정법, 1946년 국제연합법, 1968년 국제기구법은 영국의 유엔, 국제통화기금, 세계은행 및 기타 기구에 대한 자금 조달과 회원 자격을 법으로 명문화했다. 영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이행할 것을 스스로 구속했고, 대신 총회와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대표권을 얻었다. 영국이 항상 국제법을 명확하게 준수한 것은 아니지만, 주권을 불법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공식적인 의무로 받아들였다.
둘째, 1950년 영국은 유럽인권협약을 작성하고 가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1998년 인권법에서 의회는 영국 사법부가 판례를 결정할 때 인권 규범을 직접 적용하도록 했다.
셋째, 영국은 1972년 유럽공동체법과 1992년 마스트리흐트 조약 비준을 통해 유럽 연합 회원국이 되었다. EU 법은 그 운영 범위 내에서 의회법 간의 충돌에서 우선하는 것으로 오랫동안 여겨져 왔지만,[36] 회원국과 시민들은 EU 법의 범위를 통제하고 유럽 의회, 유럽 연합 이사회, 집행위원회에서의 공동 대표를 통해 국제 관계에서 주권을 확대한다. R 대 교통부 장관, 팩터타임 유한회사 사건에서 상원은 EU 법이 1988년 상선법 조항과 충돌하기 때문에 의회가 1972년 법을 포기할 의도를 명확히 표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조항은 시행되지 않고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브리지 경에 따르면 "의회가 [1972년 법]을 제정할 때 받아들인 주권의 제한은 전적으로 자발적인 것이었다".[37]
반면, ''R (HS2 액션 얼라이언스 유한회사) 대 교통부 장관''에서 대법원은 영국 헌법의 특정 기본 원칙이 법원에 의해 EU 또는 어떤 국제 기구의 회원 자격으로 포기된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결했다.[38]
넷째, 영국의 분권화는 의회가 특정 주제에 대한 입법 권한을 국가와 지역에 부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1998년 스코틀랜드법은 스코틀랜드 의회를, 1998년 웨일스 정부법은 웨일스 의회를, 1998년 북아일랜드법은 북아일랜드 행정부를 만들었다. 1972년 지방자치법과 1999년 대런던행정구역법은 지방 정부와 런던 정부에 더 제한적인 권한을 부여한다. ''R (밀러) 대 유럽연합 탈퇴 담당 장관''에서 대법원은 정부가 왕실 특권을 통해 탈퇴 절차를 시작할 수 없으며 의회가 이를 가능하게 하는 법률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세월 협약은 준수하는 것이 아니라 법원에서 집행할 수 없었다.[41] 테레사 메이 총리는 EU에 탈퇴 의사를 통지할 권한을 부여하는 2017년 유럽 연합(탈퇴 통지)법을 확보했다.[42]
7. 1. 20세기 이후
영국 헌법은 명문화된 원칙을 따르지만, 국가 제도는 실제로 그 기능을 수행한다. 의회는 주권적 실체이며, 하원 의원은 단순 다수결 투표로 선출된다. 그러나 이 결과가 항상 국민의 전반적인 선호도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역사적으로 선거는 4년마다 치러지는 경향이 있었지만, 이전 의회 선거 후 5년 이내에 치러져야 한다.[107] 선거 비용은 엄격하게 통제되고, 외국 세력의 개입은 금지되며, 모든 형태의 기부금과 로비 활동은 제한된다. 상원은 하원의 입법 제안을 검토하고 표결하며, 법률 제정을 1년 연기할 수 있지만, 재정과 관련된 법률은 연기할 수 없다.[108]
대부분의 상원의원은 국왕을 통해 총리가 임명하며,[109] 관례에 따라 위원회는 정당 간의 균형을 어느 정도 유지한다. 92명의 세습 귀족이 남아있다.[110] 법률이 되려면 모든 의회법은 양원에서 세 번 읽히고 군주에 의해 왕실 재가를 받아야 한다. 관례에 따라 군주는 1708년 이후 입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는다. 사법부는 법을 해석하지만, 의회법을 무효로 할 수는 없다. 다만, 기본권을 침해하는 법률은 정치인들이 공개적으로 책임을 지도록 명확하게 표현되어야 한다.[111]
2005년 헌법 개혁법에 따라 사법부는 사법 독립을 보호하기 위해 당파를 초월한 사법부의 권고를 받아 사법 임명 위원회가 임명한다. 행정부는 하원에서 과반수를 확보해야 하는 총리가 이끌며, 장관 내각은 총리가 임명하여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교육부 등 주요 정부 부처를 이끈다. 공식적으로 "국가 원수"는 군주이지만, 모든 왕실 특권은 사법심사의 적용을 받는 총리가 행사한다. 영국이 현대 민주주의로 발전하면서, 영국 주민의 경제적, 사회적, 법적 권리 보장을 위해 다양한 공무원 제도와 공공 서비스 기관이 발전했다. 모든 공공 기관과 공공 기능을 수행하는 민간 기관은 법치주의에 얽매인다.
8. 국제적 영향
다른 민주주의 국가들과 마찬가지로,[82] 국제법 원칙은 국내법 해석의 주요 도구이며, 영국의 일관된 지지와 주요 국제기구 회원국으로서의 지위를 통해 영국 헌법의 기본 구성 요소이다. 대헌장 시대부터 영국법은 국제 무역을 위한 사람들의 자유로운 이동권을 인정했다.[83] 1608년, 에드워드 코크 경은 국제 상법 또는 lex mercatoriala가 영국법의 일부임을 확신하며 기록했다.[84] 17세기의 헌법 위기는 의회가 국왕의 동의 없이 국제 무역에 대한 과세 시도를 중단시킨 것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85] 마찬가지로 18세기에 홀트 대법원장은 국제법을 일반법 해석의 일반적 도구로 간주했고,[86] 특히 맨스필드 경은 국제 lex mercatoriala가 "특정 국가의 법이 아니라 모든 국가의 법"이며,[87] "상인의 법과 국법은 동일하다"고 주장하는 데 다른 누구보다 큰 기여를 했다.[88]
1774년, 법률 역사상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인 ''서머싯 대 스튜어트'' 사건에서 맨스필드 경은 노예제도가 "어떤 나라에서도" 따라서 영국 일반법에서도 불법이라고 판결했다.[89]
현대 판례에서는 "영국법이 국제 공법에 부합해야 한다는 것은 법률 정책의 원칙"이라는 점이 일관되게 인정되어 왔다.[90] 영국 상원은 "영국을 국제적 의무 위반 상태에 놓이지 않도록 영국법(일반법 또는 법령)을 해석하는 데 강력한 추정이 있다"고 강조했다.[91] 예를 들어, ''훈가 대 앨런'' 사건에서 영국 대법원은 불법적으로 영국으로 밀입국한 젊은 여성이 자신이 1971년 이민법을 위반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용주에 대해 인종차별 소송을 제기할 권리가 있다고 판결했다.[92] 법원은 만장일치로 영국이 체결한 국제 조약인 팔레르모 의정서뿐만 아니라 유럽 인권 협약을 인용하여 일반법상의 불법성의 범위를 해석했고, 원고가 자신의 법적 권리를 주장하는 것을 막는 것은 아니라고 판결했다. 영국이 국제법을 추가적인 조치 없이 영국법의 일부로 보는 "일원론" 이론을 채택해야 하는지, 아니면 국제법 원칙을 국내법으로 전환해야 하는지( "이원론" 이론)에 대해서는 더 논의가 진행되었다.[93] 유럽 연합법의 현재 입장은 국제법이 EU를 구속하지만 헌법 또는 인권의 기본 원칙을 훼손할 수 없다는 것이다.[94]
세계 대전이 영국 제국의 종식을 가져오고 국가의 상당 부분을 물리적으로 파괴한 이후, 영국은 국제법에 따라 설립된 기구들을 일관되게 지지해 왔다. 1919년 베르사유 조약부터 영국은 일의 권리에 대한 보편적 기준을 설정하는 국제노동기구의 창립 회원국이었다. 국제 연맹의 실패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1946년 유엔법을 통해 의회가 인정한 국제연합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으며, 무력 사용을 제외한 안전보장이사회의 모든 결의는 국왕 칙령에 따라 시행될 수 있도록 했다. 1948년 세계인권선언으로 인해 영국 제국은 국제법에 따라 상당한 정당성을 상실했고, 독립 운동과 결합하여 빠른 해체로 이어졌다.
1966년의 두 가지 기본 조약인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과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에서 영국은 세계인권선언의 대부분의 권리를 비준했다. 1924년의 폰슨비 규칙을 성문화한 2010년 헌법 개혁 및 거버넌스 법 제20조는 조약이 의회에 21일 동안 제출되고 그에 대한 부정적인 결의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비준된다고 규정한다.[96] 지역적으로 영국은 전후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민주주의와 인권의 기본 기준을 보장하려는 1950년 유럽 인권 협약 초안 작성에 참여했다. 동시에 영국을 "중심"으로 하는[97] 유럽 통합에 대한 오랜 비전에 따라 민주적인 유럽 국가들은 전쟁을 무의미하게 만들고 사회적 진보를 도모하기 위해 경제를 통합하려고 했다.
1972년 영국은 유럽 공동체(1992년 재편 및 유럽 연합으로 개명)에 가입하고 1972년 유럽 공동체 법에 따라 참여한 EU 법을 이행하기로 약속했다. 1995년 영국은 세계무역기구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다.[98] 유럽 인권 협약을 법원이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1998년 인권법이 통과되었다. 의회는 또한 전쟁 범죄자의 기소를 가능하게 하고 국제형사재판소의 관할권에 자신을 종속시키기 위해 2001년 국제형사재판소법을 통과시켰다. 2016년 영국은 국민투표를 통해 유럽 연합 탈퇴 여부에 대한 투표를 실시했으며, 72.2%의 투표율로 51.9%가 "탈퇴"를, 48.1%가 "잔류"를 지지했다.[99] 두 국민투표 옵션을 지지하는 캠페인에서 부정행위가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당국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심각한 것으로 간주되는 것은 발견하지 못했으며 비난할 만한 것도 거의 없었다.[100]
9. 헌법 이론 및 개혁 논의
2005년 헌법 개혁법에 따라 사법부는 사법 독립을 보호하기 위해 당파를 초월한 사법부의 권고를 받아 사법 임명 위원회가 임명한다. 정부의 행정부는 하원에서 과반수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하는 총리가 이끈다. 장관 내각은 총리에 의해 임명되어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교육부와 같은 주요 정부 부처를 이끈다.[111] 공식적으로 "국가 원수"는 군주이지만, 모든 왕실 특권은 사법심사의 적용을 받는 총리가 행사한다.
법학자인 에릭 바렌트(Eric Barendt)는 영국 헌법의 불문헌법적 성격이 그것을 "헌법"으로 규정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지만, 효과적인 권력분립의 부재와 의회주권이 의회가 기본권을 무시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는 사실은 어느 정도까지는 그것을 "허울뿐인" 헌법으로 만든다고 주장한다.[313] 1688년 타협과 그 결과로 만들어진 의회법을 헌법으로 언급한다.[314]
A. V. 다이시(A. V. Dicey)는 궁극적으로 "유권자들이 정치적으로 주권을 가지고 있고", 의회가 법적으로 주권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315] 바렌트는 다이시 시대 이후로 발전해 온 하원의 더 큰 정당 규율과 정부 권력에 대한 견제 감소로 인해 기본권 준수에 대해 법적으로 제약받지 않는 과도하게 강력한 정부가 생겨났다고 주장한다.
성문헌법의 옹호자들은 그것이 민주주의와 자유의 법적 보호를 강화할 것이라고 주장한다.[316] "불문헌법"의 강력한 옹호자인 다이시는 영국의 권리는 일반적인 영국 관습법의 개인의 자유와 "국가의 제도와 관습"에 담겨 있다고 강조했다.[317] 성문헌법의 반대자들은 국가가 시민들에게 그들이 누구이며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려주는 건국 문서를 기반으로 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또한 헌법적 권위의 정신에 대한 어떠한 부당한 침해도 영국 국민에 의해 강력하게 저항받을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
토니 블레어(Tony Blair) 총리 하의 노동당 정부는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중반에 헌법 개혁을 실시했다.[319] 유럽인권조약을 1998년 인권법을 통해 영국 법에 효과적으로 통합함으로써 시민들에게 특정한 적극적 권리를 부여하고 사법부에 이를 시행할 수 있는 일정한 권한을 부여했다.
2005년 헌법 개혁법은 상원의 사법 기능과 입법 기능을 분리하기 위해 상원의 구조를 변경했다. 대법관의 입법, 사법 및 행정 기능은 현재 대법관(행정), 수석대법관(사법) 및 상원의장(입법) 직책 사이에 분담된다. 법률 경](Law Lord)(상원 사법부 구성원)의 역할은 2009년 10월 새로운
참조
[1]
법률
Parliament Act 1911 and Parliament Act 1949
[2]
서적
The British Constit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3]
판례
R (Miller) v Prime Minister, R (UNISON) v Lord Chancellor, R (Animal Defenders International) v Secretary of State for Culture Media and Sport, R v Lyons
http://www.bailii.or[...]
[4]
판례
R (HS2 Action Alliance Ltd) v Secretary of State for Transport
https://www.bailii.o[...]
[5]
법률
Magna Carta 1215
[6]
법률
European Communities Act 1972 and European Union (Withdrawal) Act 2018
[7]
조약
Treaty of Versailles and General Treaty on Tariffs and Trade
wikisource:Constitut[...]
[8]
법률
Human Rights Act 1998
[9]
조약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10]
서적
Co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Law
2018
[11]
판례
R (HS2 Action Alliance Ltd) v Secretary of State for Transport, Thoburn v Sunderland City Council
https://www.bailii.o[...]
[12]
서적
The Rule of Law
2008
[13]
판례
Entick v Carrington, The Rule of Law
http://www.bailii.or[...]
2008
[14]
법률
Great Reform Act 1832,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1867,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18
[36]
판례
Van Gend en Loos v Nederlandse Administratie der Belastingen
1963
[37]
판례
R v Secretary of State for Transport, ex parte Factortame Ltd
1990
[38]
판례
R (on the application of HS2 Action Alliance Ltd) v Secretary of State for Transport
2014
[39]
판례
R (Miller) v Secretary of State for Exiting the European Union
http://www.bailii.or[...]
2017
[40]
웹사이트
Opinion polling for the United Kingdom European Union membership referendum#Post–referendum polling
[41]
판례
R (Miller) v Secretary of State for Exiting the European Union
http://www.bailii.or[...]
2017
[42]
판례
R (Miller) v Secretary of State for Exiting the European Union
https://www.bailii.o[...]
2017
[43]
서적
Politics
-330
[44]
판례
X v Morgan-Grampian Ltd
1991
[45]
판례
R (Jackson) v Attorney General
http://www.bailii.or[...]
2005
[46]
논문
The Rule of Law
2007
[47]
서적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Law of the Constitution
https://archive.org/[...]
1889
[48]
법률
Constitutional Reform Act 2005
[49]
판례
Entick v Carrington
http://www.bailii.or[...]
1765
[50]
판례
Malone v United Kingdom
1984
[51]
서적
Rule of Law
2008
[52]
조약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53]
판례
Malone v Metropolitan Police Commissioner
1979
[54]
판례
Malone v United Kingdom
http://www.bailii.or[...]
1984
[55]
법률
Interception of Communications Act 1985, Regulation of Investigatory Powers Act 2000, Data Retention and Investigatory Powers Act 2014
[56]
판례
R (Corner House Research) v Director of the Serious Fraud Office
http://www.bailii.or[...]
2008
[57]
판례
R (Corner House Research) v Director of the Serious Fraud Office
http://www.bailii.or[...]
2008
[58]
판례
A v Home Secretary
2004
[59]
판례
R (UNISON) v Lord Chancellor
http://www.bailii.or[...]
2017
[60]
판례
M v Home Office
http://www.bailii.or[...]
1993
[61]
서적
The Spirit of the Laws
1748
[62]
서적
Co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Law
2014
[63]
법률
Constitutional Reform Act 2005
http://www.legislati[...]
[64]
법률
Constitutional Reform Act 2005
[65]
논문
The Sovereignty of Parliament – Form or Substance?
2011
[66]
논문
The Rule of Law and the Sovereignty of Parliament
2007
[67]
서적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411
[68]
조약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https://www.coe.int/[...]
1950
[69]
판례
Mathieu-Mohin and Clerfayt v Belgium
https://www.coe.int/[...]
1987
[70]
연설
Gettysburg Address
1863
[71]
논문
The Hitler Referenda
https://www.jstor.or[...]
[72]
서적
The Democratic and the Authoritarian State
[73]
서적
Between Facts and Norms
[74]
논문
Civil Liberties and Human Rights in England and Wales
1999
[75]
간행물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1966
[76]
판례
The Resilience of the Political Constitution
https://static1.squa[...]
2018
[77]
판례
Ashby v White
1703
[78]
판례
Morgan v Simpson
1975
[79]
판례
Animal Defenders International v United Kingdom
2008
[80]
판례
O'Rourke v Camden London Borough Council
http://www.bailii.or[...]
1998
[81]
판례
Gisda Cyf v Barratt
2010
[82]
논문
Basic Law for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https://static1.squa[...]
2008
[83]
법률
Magna Carta
[84]
서적
Institutes
[85]
판례
Bill of Rights
1689
[86]
판례
Lethulier's Case
1692
[87]
판례
Luke v Lyde
1759
[88]
판례
Pillans v Van Mierop
1765
[89]
판례
Somerset v Stewart
1772
[90]
판례
Saad v Secretary of State for the Home Department
2001
[91]
판례
R v Lyons
http://www.bailii.or[...]
2002
[92]
판례
Hounga v Allen
http://www.bailii.or[...]
2014
[93]
판례
R (SG) v Secretary of State for Work and Pensions
http://www.bailii.or[...]
2015
[94]
판례
Kadi and Al Barakaat International Foundation v Council and Commission
2008
[95]
보고서
Code of Practice on Referendums
https://www.venice.c[...]
Venice Commission
2007
[96]
조약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1969
[97]
연설
Winston Churchill: A founder of the European Union
EU ROPE
2013-11-10
[98]
법률
World Trade Organization (Immunities and Privileges) Order
1995
[99]
판례
European Union (Notification of Withdrawal) Act
2017
[100]
보고서
Could Brexit be Void?
https://papers.ssrn.[...]
Electoral Commission
2018
[101]
판례
Attorney General v Jonathan Cape Ltd
1975
[102]
웹사이트
UK Constitution: Proposals and ministerial responsibility
https://lordslibrary[...]
2022-07-04
[103]
웹사이트
British Library
https://www.bl.uk/ma[...]
2023-01-05
[104]
웹사이트
How power is exercised within the UK
https://law.gov.wale[...]
2023-01-05
[105]
웹사이트
The UK constitution
https://consoc.org.u[...]
2023-01-05
[106]
웹사이트
What are constitutional conventions?
https://www.ucl.ac.u[...]
2021-11-08
[107]
법률
Dissolution and Calling of Parliament Act 2022
[108]
법률
Parliament Act 1911
[109]
법률
Life Peerages Act 1958
http://www.legislati[...]
[110]
법률
House of Lords Act 1999
http://www.legislati[...]
[111]
판례
Secretary of State for the Home Department, Ex Parte Simms Secretary of State for the Home Department, Ex Parte O'Brien, R v. [1999] UKHL 33; [2000] 2 AC 115; [1999] 3 All ER 400; [1999] 3 WLR 328 (8th July, 1999)
http://www.bailii.or[...]
2024-06-15
[112]
법률
Magna Carta 1215
[113]
법률
Parliament Act 1911
[114]
법률
Bill of Rights 1689
[115]
서적
Considerations on Representative Government
https://archive.org/[...]
1861
[116]
보고서
HC Modernisation Committee (2001–02) HC 1168
[117]
법률
Dissolution and Calling of Parliament Act 2022
[118]
법률
Mental Health Act 1983
[119]
판례
Hirst v United Kingdom (No 2)
2005
[120]
법률
Electoral Registration and Administration Act 2013
[121]
판례
1703
[122]
판례
Morgan v Simpson
1975
[123]
판례
R (Wilson) v Prime Minister
https://www.ukineuch[...]
2018
[124]
법률
PPERA 2000
[125]
법률
Communications Act 2003
[126]
판례
Animal Defenders International v United Kingdom
http://www.bailii.or[...]
2008
[127]
법률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1983
http://www.legislati[...]
[128]
판례
R (Electoral Commission) v City of Westminster Magistrate's Court and UKIP
http://www.bailii.or[...]
2010
[129]
법률
Political Parties, Elections and Referendums Act 2000
[130]
법률
Parliamentary Constituencies Act 1986
1969-10-21
[131]
법률
Electoral Administration Act 2006
[132]
법률
Act of Settlement 1700
[133]
법률
Insolvency Act 1986
[134]
법률
RPA 1983
[135]
법률
House of Commons Disqualification Act 1957
[136]
법률
Ministerial and Other Salaries Act 1975
[137]
법률
House of Lords Act 1999
[138]
법률
Constitutional Reform Act 2005
[139]
웹사이트
https://lordsappoint[...]
[140]
법률
House of Lords Reform Act 2014
[141]
법률
Peerages Act 1963 and Re Parliamentary Election for Bristol South East
1964
[142]
법률
House of Lords (Expulsion and Suspension) Act 2015
[143]
법률
Parliament Act 1911 ss 1-3 and Parliament Act 1949
[144]
법률
An Act abolishing the House of Lords 1649
https://www.newstate[...]
2012-07-12
[145]
서적
A Twelve Point Plan for Labour, and A Manifesto for Labour Law
https://poseidon01.s[...]
Fabian Tract No. 183
2017
[146]
웹사이트
Constitutional Reform Act 2005
http://www.legislati[...]
[147]
법률
Practice Statement
1966
[148]
기타
[149]
법률
Employment Tribunals Act 1996
[150]
법률
Tribunals, Courts and Enforcement Act 2007
[151]
판례
Hounga v Allen & Anor
http://www.bailii.or[...]
2024-06-15
[152]
학술지
The Impact of Constitutions on Labour Law
https://www.jstor.or[...]
1976
[153]
판례
Re Spectrum Plus Ltd
2005
[154]
판례
Pickin v British Railways Board
1974
[155]
판례
R (Simms) v SS for the Home Department
1999
[156]
법률
Inquiries Act 2005
[157]
법률
Constitutional Reform Act 2005 s 33 and Senior Courts Act 1981 s 11(3)
[158]
서적
Co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Law
2014
[159]
간행물
HC Deb
2001-12-15
[160]
법률
Constitutional Reform Act 2005 s 3
[161]
법률
Courts and Legal Services Act 1990
[162]
서적
1932
[163]
법률
CRA 2005 s 27A and SI 2013/2193 and Judicial Appointments Regulations 2013 (SI 2192)
[164]
법률
CRA 2005 ss 70-79
[165]
기사
Baroness Brenda Hale: "I often ask myself 'why am I here?'"
https://www.theguard[...]
2010-09-17
[166]
판례
http://www.bailii.or[...]
2017
[167]
법률
Prosecution of Offences Act 1985
[168]
역사
Queen Anne withheld royal assent for the Scottish Militia Bill.
[169]
논문
Monarchy and the personal prerogatives
2004
[170]
역사
[171]
서적
The English Constitution
https://en.wikisourc[...]
1867
[172]
기사
The Queen drops off the top end of the Sunday Times Rich List for the first time since its inception
The Independent
2015-04-26
[173]
법률
Sovereign Grant Act 2011
http://www.legislati[...]
[174]
법률
Crown Estate Act 1961 s 1
[175]
기사
Crown Estate makes record £304m Treasury payout
http://map.whoownsen[...]
BBC News
2016-06-28
[176]
서적
Cabinet Government
[177]
법률
Fixed-term Parliaments Act 2011
[178]
간행물
2000 Public Law 3
[179]
웹사이트
Who are the monarchists?
https://yougov.co.uk[...]
2019-09-18
[180]
법률
Prohibitions, Case of
http://www.bailii.or[...]
2024-06-15
[181]
법률
Case of Proclamations
http://www.bailii.or[...]
[182]
법률
R (Miller) v Secretary of State for Exiting the EU
[183]
서적
Co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Law
[184]
의회회의록
HC Deb
1993-04-21
[185]
법률
Life Peerages Act 1958
[186]
법률
R (Secretary of State for Foreign and Commonwealth Affairs, ex p Bancoult (No 2))
[187]
법률
R (Lain) v Criminal Injuries Compensation Board
[188]
법률
Allen
[189]
법률
Island of Rockall Act 1972
[190]
법률
Nissan v AG
[191]
법률
Constitutional Reform and Governance Act 2010
[192]
법률
Burmah Oil Co Ltd v Lord Advocate
[193]
설명
[194]
법률
Bank voor Handel en Scheepvaart NV v Administrator of Hungarian Property
[195]
보고서
Rev of the Exec Royal Prer Powers
MoJ
[196]
법률
Spook Erection Ltd v Environment Secretary
[197]
법률
Butler v Freeman
[198]
법률
Council of Civil Service Unions v Minister for the Civil Service
[199]
법률
Ministerial Salaries Act 1975
[200]
법률
Ministers of the Crown Act 1975
[201]
법률
AG v Jonathan Cape Ltd
[202]
법률
Constitutional Reform and Governance Act 2010
[203]
규정
Civil Service Management Code
[204]
법률
Freedom of Information Act 2000
[205]
법률
Greater London Authority Act 1999
http://www.legislati[...]
[206]
서적
Cross on Local Government Law
[207]
법률
Local Government Finance Act 1992
[208]
법률
Local Government Finance Act 1992
[209]
보고서
English council funding: what's happened and what's next?
https://www.ifs.org.[...]
IFS
[210]
법률
Local Government Finance Act 1992
[211]
웹사이트
DCLG duties
https://www.gov.uk/g[...]
[211]
웹사이트
other duties
https://www.gov.uk/g[...]
[212]
법률
Localism Act 2011
[213]
법률
Town and Country Planning Act 1990
[214]
법률
Planning and Compulsory Purchase Act 2004
[215]
법률
Education Act 1996
[216]
법률
Public Libraries and Museums Act 1964
[217]
법률
Childcare Act 2006
[218]
법률
Highways Act 1980
[219]
법률
NHS Act 2006
[219]
법률
NHS and Community Care Act 1990
[219]
법률
Carers and Disabled Children Act 2000
[220]
법률
Environmental Protection Act 1990
[221]
법률
Household Recycling Act 2003
[222]
법률
Building Act 1984
[223]
법률
Housing Act 1985
[224]
법률
Homelessness Act 2002
[225]
보고서
Committee of Inquiry into the Conduct of Local Authority Business
Widdicombe Committee
1986
[226]
법률
Local Democracy, Economic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Act 2009
[226]
법률
Local Democracy, Economic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Act 2009
[227]
법률
Cities and Local Government Devolution Act 2016
[227]
서적
Public Law
2016
[227]
보고서
HC 369
2015-2016
[227]
기타
2012 English mayoral referendums
[227]
기타
List of lord mayoralties and lord provostships in the United Kingdom
[228]
보고서
Serving Scotland Better
Sir Kenneth Calman Report
2009
[229]
법률
Government of Wales Act 1998
http://www.legislati[...]
[230]
판례
Agricultural Sector (Wales) Bill - Reference by the Attorney General for England and Wales
2014
[231]
기타
Cogers
1755
[231]
기타
The Cambridge Union
1815
[231]
기타
The Oxford Union
1823
[232]
법률
Magna Carta
[232]
법률
Petition of Right 1628
[232]
기타
Charles I of England
[233]
서적
Anarchical Fallacies; Being an Examination of the Declarations of Rights Issued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https://oll.libertyf[...]
1789
[234]
서적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with Strictures on Political and Moral Subjects
1792
[234]
서적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Woman and of the Female Citizen
1791
[235]
법률
Second Reform Act 1867
[235]
법률
Trade Union Act 1871
[236]
조약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1966
[236]
조약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1966
[237]
판례
R (HS2 Action Alliance Ltd) v Secretary of State for Transport
2014
[237]
판례
Kadi and Al Barakaat International Foundation v Council and Commission
2008
[237]
판례
Re Wünsche Handelsgesellschaft
1986-10-22
[238]
조약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238]
판례
Somerset v Stewart
1772
[239]
조약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240]
법률
Senior Courts Act 1981
[241]
법률
Civil Procedure Rules
[242]
법률
Limitation Act 1980
http://www.legislati[...]
[243]
판례
R (Datafin) v Panel on Takeovers and Mergers
1987
[244]
기타
directors' duties
[244]
기타
UK company law
[244]
기타
unfair dismissal
[244]
기타
UK labour law
[244]
기타
implied terms
[244]
기타
English contract law
[244]
판례
GCHQ case
[244]
서적
Public Law Text, Cases, and Materials
2016
[244]
서적
Co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Law
2014
[244]
판례
R (Baker) v Devon CC
1995
[244]
기타
Sir Robin Cooke
[244]
서적
Public Law
2017
[244]
기타
Lord Bingham of Cornhill
[244]
서적
Rule of Law
2010
[244]
법률
Companies Act 2006
http://www.legislati[...]
[245]
판례
Ridge v Baldwin
1964
[245]
판례
Padfield v Minister of Agriculture
1968
[245]
판례
R v Home Secretary ex p Venables and Thompson
1998
[246]
판례
Associated Provincial Picture Houses v Wednesbury Corporation
2001
[247]
판례
R (Corner House Research) v Director of the Serious Fraud Office
2008
[248]
판례
Porter v Magill
2000
[249]
법률
Human Rights Act 1998
[250]
법률
Senior Courts Act 1981
http://www.legislati[...]
[251]
서적
Froissart's Chronicles
https://archive.org/[...]
1385
[252]
법률
Acts of Union 1800
[253]
서적
Co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Law
2018
[254]
서적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England
https://archive.org/[...]
1909
[255]
웹사이트
Laws of Edward the Confessor
https://earlyenglish[...]
2022-05-26
[256]
서적
Medieval History and Civilization
1976
[257]
서적
Medieval England, 1042-1228
2004
[258]
법률
common land
[259]
서적
Annales of England
https://en.wikisourc[...]
1592
[260]
법률
mill, fish-preserve, pond, marl-pit, ditch, or arable
[261]
서적
https://archive.org/[...]
1899
[262]
서적
The Chronicles of Froissart
https://archive.org/[...]
1385
[263]
서적
Surueyenge
1546
[264]
법률
Utopia
1516
[265]
인물
Edward Seymour, 1st Duke of Somerset
[266]
서적
The True Law of Free Monarchies
1598
[267]
판례
Heydon's Case
http://www.bailii.or[...]
1572
[268]
판례
Case of Prohibitions
http://www.bailii.or[...]
1607
[269]
판례
1610
[270]
판례
Commentaries on the Laws of England
1803
[271]
판례
1615
[272]
판례
Peacham's Case
1614
[273]
판례
Five Knights' case
1627
[274]
법률
Petition of Right 1628
https://en.wikisourc[...]
[275]
이벤트
Leviathan
wikisource:Leviathan
1651
[276]
인물
Richard Cromwell
[277]
전투
Battle of the Boyne
[278]
법률
Bill of Rights 1689
[279]
서적
Second Treatise on Government
https://en.wikisourc[...]
1689
[280]
판례
1703
[281]
웹사이트
Union with Scotland Act 1706
https://www.legislat[...]
2020-11-14
[282]
서적
The Wealth of Nations
http://oll.libertyfu[...]
[283]
판례
Keech v Sandford
1726
[284]
판례
Attorney General v Davy
1741
[285]
일반
[286]
판례
Entick v Carrington
1765
[287]
판례
Somerset v Stewart
http://www.commonlii[...]
1772
[288]
논문
The Profound Influence in America of Lord Mansfield's Decision in Somerset v Stuart
http://heinonline.or[...]
2007
[289]
법률
Transportation Act 1717 and Transportation Act 1790
[290]
법률
Combination Acts
[291]
서적
Anarchical Fallacies; Being an examination of the Declaration of Rights issued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1796
[292]
서적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https://en.wikisourc[...]
1792
[293]
법률
Union with Ireland Act 1800
[294]
서적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1798
[295]
일반
[296]
편지
1862-10
[297]
법률 및 판례
Conspiracy and Protection of Property Act 1875 and Allen v Flood
1898
[298]
서적
The Politics today companion to the British Constitution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9
[299]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Britain in the Nineteenth Century, 1815-1914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5
[300]
판례
Taff Vale Railway Co v Amalgamated Society of Railway Servants
http://www.bailii.or[...]
1901
[301]
법률
Trade Disputes Act 1906
[302]
법률
Old Age Pensions Act 1908
[303]
법률
Trade Boards Act 1909
[304]
법률
National Insurance Act 1911
[305]
법률
Parliament Act 1949
[306]
서적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the Peace
1919
[307]
논문
What Went Wrong? An Initial Inquiry into the Causes of the 2008 Financial Crisis, Product Safety Regulation as a Model for Financial Services Regulation
2009, 2008
[308]
서적
Comparative Politics: Interests, Identities, and Institutions in a Changing Global Orde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309]
서적
Champions of the rule of law
https://books.google[...]
Waterside Press
2011
[310]
서적
World Criminal Justice Systems: A Comparative Surve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311]
웹사이트
Independence
http://www.judiciary[...]
Courts and Tribunals Judiciary
2014-11-09
[312]
논문
The House of Lords and the British political tradition
https://etheses.bham[...]
University of Birmingham
2012
[313]
학술지
Is there a United Kingdom Constitution
https://archive.toda[...]
1997
[314]
서적
Why Britain Needs a Written Constitution
https://web.archive.[...]
Charter88
2003-07-20
[315]
서적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Law of the Constitution
https://archive.org/[...]
Macmillan Publishers
1915
[316]
서적
British Democracy: Its Restoration & Extension
https://books.google[...]
ISR
[317]
서적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Law of the Constitution
https://books.google[...]
Lightning Source
2009-05-01
[318]
웹사이트
Slaughter-House Cases 83 U.S. 36 (1873)
https://www.law.corn[...]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2016-07-30
[319]
간행물
The Westminster Model and the State of Unions
2010-01-01
[320]
뉴스
Vote 2011: UK rejects alternative vote
https://www.bbc.co.u[...]
2011-05-07
[321]
뉴스
より良い憲法が必要で、憲法上の改革について国民的な合意を得たい
読売新聞
2007-05-11
[322]
웹사이트
Joint Committee on Draft Civil Contingencies Bill First Report
https://publications[...]
2020-02-20
[323]
서적
Constitutional Documents of the United Kingdom 1782 – 1835
https://books.google[...]
2005-01-01
[324]
서적
Co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Law
[325]
서적
British government and the constitution: text and materials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6]
서적
Constitutional reform in the United Kingdom: practice and principles
Hart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