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태권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태권도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현재까지 올림픽에서 진행되고 있다. 각 체급별 단일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되며, 패자부활전을 통해 동메달 결정전이 치러진다. 남녀 각각 4개의 체급으로 나뉘어 경기가 진행되며, 대한민국이 역대 올림픽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부터 2020년 도쿄 올림픽까지 총 6번의 올림픽에 51개국에서 103명에서 62개국 131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 태권도에 관한 - 2024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67kg급
2024년 파리 올림픽 태권도 여자 +67kg급은 8월 10일 그랑 팔레에서 16강전부터 결승전까지 진행되는 경기이며, 태권도 외에 펜싱 경기장으로도 사용된다. - 올림픽 태권도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2008년 베이징 올림픽 태권도는 8월 20일부터 23일까지 8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으나 판정 논란 및 심판 폭행 사건이 있었다. - 올림픽 태권도 - 2024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67kg급
2024년 파리 올림픽 태권도 여자 +67kg급은 8월 10일 그랑 팔레에서 16강전부터 결승전까지 진행되는 경기이며, 태권도 외에 펜싱 경기장으로도 사용된다. - 올림픽 태권도 - 2008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2008년 베이징 올림픽 태권도는 8월 20일부터 23일까지 8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으나 판정 논란 및 심판 폭행 사건이 있었다. -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올림픽 테니스
올림픽 테니스는 1896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남자 단식과 복식으로 시작되어 한때 올림픽 종목에서 제외되었다가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프로 선수 참가가 허용되면서 부활하여 현재는 다양한 종목으로 진행되며, 커리어 골든 슬램 달성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국가별 출전 제한 등의 규정이 적용된다. -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올림픽 축구
올림픽 축구는 하계 올림픽의 축구 종목으로, 남자 축구는 연령 제한, 여자 축구는 A대표팀 간의 경쟁으로 진행되며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도 개최될 예정이다.
올림픽 태권도 | |
---|---|
올림픽 태권도 | |
![]() | |
종목 코드 | TKW |
스포츠 | 태권도 |
남자 종목 | 4 |
여자 종목 | 4 |
2. 역사
태권도는 1970년대부터 올림픽 정식 종목이 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2] 국제 스포츠 연맹 총연합(GAISF) 가입과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인정을 받는 등 국제 스포츠계에서 꾸준히 입지를 넓혀갔다.[1] 그 결과, 1988년 서울 올림픽과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성공적으로 시범 종목으로 운영되었다.[1]
이러한 노력과 성과를 바탕으로 1994년, IOC는 태권도를 2000년 시드니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하기로 최종 결정했다.[1] 정식 종목으로 처음 도입되면서, 올림픽 무대에 맞게 체급을 통합하고 국가별 출전 선수 수를 제한하는 등 일부 운영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1]
2. 1. 올림픽 태권도 도입 과정
태권도의 올림픽 진출 노력은 1974년 태권도가 미국의 전미 아마추어 육상 연맹(AAU)에 가입하면서 시작되었다.[2] AAU는 미국 내 다양한 스포츠의 기준을 설정하는 역할을 했는데, AAU 태권도 그룹은 세계 태권도 연맹(WTF)의 기술 기준을 채택했다.1975년, 태권도는 다양한 국제 스포츠 연맹 간의 협력을 증진하고 올림픽 운동과 긴밀히 협력하는 국제 스포츠 연맹 총연합(GAISF)의 회원이 되었다.[1] 5년 뒤인 1980년에는 WTF가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로부터 공식 인정을 받았다.[1] 이듬해인 1981년, 태권도는 올림픽 종목이 아닌 스포츠를 위한 국제 대회인 세계 경기 대회의 주요 종목 중 하나가 되었다.[1] 1982년에는 1988년 대한민국 서울 올림픽과 1992년 스페인 바르셀로나 올림픽의 공식 시범 종목으로 지정되었다.[1]
이후 태권도는 여러 국제 스포츠 행사에 포함되었다. 1986년에는 월드컵, 아시안 게임, 아프리카 게임에 포함되었고, 1987년에는 팬 아메리카 게임에도 포함되었다.[1] 마침내 1994년, IOC는 태권도를 2000년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올림픽의 공식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했다.[1]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태권도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다음과 같은 변경 및 제약 사항이 적용되었다.
- 체급 통합: 세계 태권도 연맹 주최 세계 선수권 대회의 남녀 각 8체급이 올림픽에서는 각각 4체급(총 8체급)으로 통합되었다.
- 국가별 출전 인원 제한: 특정 국가, 특히 태권도 발상지인 대한민국의 메달 독점을 막기 위해 한 국가당 남녀 각 2명, 최대 4명까지만 출전할 수 있도록 제한되었다. 이로 인해 다양한 국가에서 메달을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국가별 출전 쿼터는 올림픽 종목 중 태권도에만 설정되어 있었다. 하지만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부터는 랭킹 포인트로 출전권을 획득한 선수에 대해서는 출전 제한이 완화되어, 최대 5명까지 파견이 가능해졌다.
2. 2.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 이후
1994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태권도를 2000년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채택했다.[1] 이로써 태권도는 오랜 노력 끝에 올림픽 무대에 정식으로 서게 되었다.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태권도가 정식 종목으로 처음 시행될 때, 경기 운영 방식에 몇 가지 중요한 변경 및 제약 사항이 적용되었다. 이는 특정 국가, 특히 태권도 종주국인 대한민국의 메달 독점을 완화하고 여러 국가에 메달 획득 기회를 넓히려는 의도가 있었다. 주요 변경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변경 전 (세계 태권도 연맹 주관 대회 기준) | 변경 후 (2000년 시드니 올림픽) |
---|---|---|
체급 수 | 남녀 각 8체급 | 남녀 각 4체급 (총 8체급) |
국가별 출전 제한 | 제한 없음 | 남녀 각 2명 (최대 4명)[1] |
올림픽 태권도 경기는 각 체급별로 한 번 지면 탈락하는 단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이긴 선수는 금메달을, 진 선수는 은메달을 받는다. 동메달은 패자부활전을 통해 결정된다.
이러한 국가별 출전 인원 제한(쿼터)은 올림픽 종목 중 태권도에만 유일하게 적용된 조치였다. 이 제도는 2012년 런던 올림픽까지 유지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이전 대회들과 달리 다양한 국가에서 메달리스트가 배출되는 효과를 가져왔다.[1]
하지만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부터는 일부 규정이 완화되었다. 세계 랭킹 포인트를 통해 출전권을 획득한 선수에 대해서는 국가별 쿼터 제한이 적용되지 않게 되었고, 한 국가에서 파견 가능한 최대 선수 인원도 5명으로 늘어났다.
3. 경기 방식
2012년 하계 올림픽까지는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개최국 여부에 관계없이 남녀 각각 최대 2명의 선수만 출전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2016년 하계 올림픽부터 이 제한이 바뀌어, 각 국가는 체급별로 선수 1명을 출전시킬 수 있게 되었다.
3. 1. 패자부활전
올림픽 태권도 경기는 각 체급별로 한 번 지면 탈락하는 단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결승전에서 이긴 선수는 금메달, 진 선수는 은메달을 받는다. 동메달은 패자부활전을 통해 결정된다.
패자부활전은 결승에 진출한 두 선수에게 패배했던 모든 선수들에게 다시 한번 메달 획득의 기회를 주기 위해 마련된다. 이론적으로 결승 진출자에게 패배한 선수 중에는 실력이 세 번째로 뛰어난 선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패자부활전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4. 체급
올림픽 태권도에서는 남녀 각각 4개의 체급에서 메달이 수여된다. 세부 체급은 다음과 같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태권도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현재까지 동일하게 남녀 각 4체급, 총 8체급으로 운영되고 있다.
과거 2012년 런던 올림픽까지는 특정 국가, 특히 태권도 종주국인 대한민국의 메달 독점을 막기 위한 조치로 한 국가당 남녀 각 2체급씩, 최대 4체급까지만 출전할 수 있도록 제한했었다. 그러나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부터는 세계 태권도 연맹(WT)의 올림픽 랭킹 포인트에 따라 출전권을 획득한 선수에 대해서는 이러한 국가별 출전 제한 규정이 폐지되었다.
5. 역대 올림픽 메달 집계
아래는 2024년 하계 올림픽까지의 올림픽 태권도 종목 메달 집계 현황이다.[7]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총 메달 |
---|---|---|---|---|---|
1 | 대한민국 | 12 | 3 | 7 | 22 |
2 | 중국 | 7 | 1 | 3 | 11 |
3 | 미국 | 3 | 2 | 5 | 10 |
4 | 영국 | 2 | 3 | 4 | 9 |
5 | 멕시코 | 2 | 2 | 3 | 7 |
6 | 중화 타이베이 | 2 | 1 | 6 | 9 |
7 | 이란 | 2 | 1 | 3 | 6 |
8 | 이탈리아 | 2 | 1 | 1 | 4 |
9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ROC) | 2 | 1 | 1 | 4 |
10 | 세르비아 | 2 | 1 | 1 | 4 |
11 | 스페인 | 1 | 5 | 1 | 7 |
12 | 터키 | 1 | 3 | 5 | 9 |
13 | 그리스 | 1 | 3 | 0 | 4 |
14 | 쿠바 | 1 | 2 | 3 | 6 |
15 | 태국 | 1 | 2 | 3 | 6 |
16 | 호주 | 1 | 1 | 0 | 2 |
17 | 요르단 | 1 | 1 | 0 | 2 |
18 | 크로아티아 | 1 | 0 | 4 | 5 |
19 | 아제르바이잔 | 1 | 0 | 2 | 3 |
20 | 코트디부아르 | 1 | 0 | 2 | 3 |
21 | 아르헨티나 | 1 | 0 | 0 | 1 |
22 | 우즈베키스탄 | 1 | 0 | 0 | 1 |
23 | 프랑스 | 0 | 3 | 5 | 8 |
24 | 러시아 | 0 | 2 | 2 | 4 |
25 | 노르웨이 | 0 | 2 | 0 | 2 |
26 | 캐나다 | 0 | 1 | 1 | 2 |
27 | 도미니카 공화국 | 0 | 1 | 1 | 2 |
28 | 독일 | 0 | 1 | 1 | 2 |
29 | 튀니지 | 0 | 1 | 1 | 2 |
30 | 가봉 | 0 | 1 | 0 | 1 |
31 | 북마케도니아 | 0 | 1 | 0 | 1 |
32 | 니제르 | 0 | 1 | 0 | 1 |
33 | 베트남 | 0 | 1 | 0 | 1 |
34 | 이집트 | 0 | 0 | 4 | 4 |
35 | 아프가니스탄 | 0 | 0 | 2 | 2 |
36 | 브라질 | 0 | 0 | 2 | 2 |
37 | 베네수엘라 | 0 | 0 | 2 | 2 |
38 | 콜롬비아 | 0 | 0 | 1 | 1 |
39 | 이스라엘 | 0 | 0 | 1 | 1 |
40 | 일본 | 0 | 0 | 1 | 1 |
41 | 카자흐스탄 | 0 | 0 | 1 | 1 |
42 | 나이지리아 | 0 | 0 | 1 | 1 |
아래는 각 올림픽 대회별 태권도 종목의 세부 종목 수와 메달 집계 1위 국가를 나타낸 표이다.
올림픽 | 연도 | 세부 종목 수 | 메달 집계 1위 국가 (1위 횟수) |
---|---|---|---|
1988년 하계 올림픽 | 1988 | 16 | 대한민국 (1) |
1992년 하계 올림픽 | 1992 | 16 | 대한민국 (2) |
2000년 하계 올림픽 | 2000 | 8 | 대한민국 (3) |
2004년 하계 올림픽 | 2004 | 8 | 중화 타이베이 (1) |
2008년 하계 올림픽 | 2008 | 8 | 대한민국 (4) |
2012년 하계 올림픽 | 2012 | 8 | 스페인 (1) |
2016년 하계 올림픽 | 2016 | 8 | 대한민국 (5) |
2020년 하계 올림픽 | 2020 | 8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ROC) (1) |
2024년 하계 올림픽 | 2024 | 8 | 대한민국 (6) |
6. 올림픽 참가국
2012년 런던 올림픽까지는 특정 국가(특히 대한민국)의 메달 독점을 막기 위해 한 국가당 남녀 각 2체급씩, 최대 4체급까지만 출전이 가능했다. 그러나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부터는 랭킹 포인트로 출전권을 얻은 선수에 대해서는 이러한 제한이 없어졌다.
아래는 각 연도별 올림픽 태권도 종목 참가국 현황이다.
국가/지역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합계 |
---|---|---|---|---|---|---|---|
아프가니스탄 | O | O | O | 3 | |||
알제리 | O | 1 | |||||
아르헨티나 | O | O | O | O | O | 5 | |
아르메니아 | O | 1 | |||||
아루바 | O | 1 | |||||
오스트레일리아 | O | O | O | O | O | O | 6 |
오스트리아 | O | O | 2 | ||||
아제르바이잔 | O | O | O | O | O | 5 | |
벨기에 | O | O | O | 3 | |||
베냉 | O | O | 2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O | O | 2 | ||||
벨리즈 | O | 1 | |||||
벨라루스 | O | 1 | |||||
브라질 | O | O | O | O | O | O | 6 |
부르키나파소 | O | 1 |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O | O | O | 3 | |||
캄보디아 | O | O | 2 | ||||
캐나다 | O | O | O | O | O | O | 6 |
칠레 | O | O | O | 3 | |||
중국 | O | O | O | O | O | O | 6 |
코트디부아르 | O | O | O | O | O | O | 6 |
콩고 민주 공화국 | O | O | 2 | ||||
콜롬비아 | O | O | O | O | O | O | 6 |
카보베르데 | O | 1 | |||||
코스타리카 | O | O | O | O | 4 | ||
크로아티아 | O | O | O | O | O | O | 6 |
쿠바 | O | O | O | O | O | O | 6 |
덴마크 | O | O | 2 | ||||
도미니카 공화국 | O | O | O | O | O | 5 | |
에콰도르 | O | 1 | |||||
이집트 | O | O | O | O | O | O | 6 |
난민 선수단 | O | 1 | |||||
스페인 | O | O | O | O | O | O | 6 |
에티오피아 | O | 1 | |||||
핀란드 | O | O | O | O | 4 | ||
프랑스 | O | O | O | O | O | O | 6 |
가봉 | O | O | O | O | 4 | ||
영국 | O | O | O | O | O | O | 6 |
독일 | O | O | O | O | O | 5 | |
그리스 | O | O | O | O | O | 5 | |
그레나다 | O | 1 | |||||
과테말라 | O | O | O | 3 | |||
기니 | O | 1 | |||||
아이티 | O | O | O | 3 | |||
온두라스 | O | O | O | 3 | |||
헝가리 | O | O | 2 | ||||
인도네시아 | O | O | 2 | ||||
이란 | O | O | O | O | O | O | 6 |
아일랜드 | O | 1 | |||||
이라크 | O | 1 | |||||
이스라엘 | O | O | O | O | 4 | ||
이탈리아 | O | O | O | O | O | 5 | |
자메이카 | O | 1 | |||||
요르단 | O | O | O | O | O | O | 6 |
일본 | O | O | O | O | O | O | 6 |
카자흐스탄 | O | O | O | O | O | 5 | |
케냐 | O | O | 2 | ||||
키르기스스탄 | O | O | 2 | ||||
대한민국 | O | O | O | O | O | O | 6 |
사우디아라비아 | O | 1 | |||||
쿠웨이트 | O | 1 | |||||
리비아 | O | O | O | O | 4 | ||
레바논 | O | 1 | |||||
레소토 | O | O | 2 | ||||
모로코 | O | O | O | O | O | O | 6 |
말레이시아 | O | O | O | 3 | |||
몰도바 | O | 1 | |||||
멕시코 | O | O | O | O | O | O | 6 |
몽골 | O | 1 | |||||
마셜 제도 | O | 1 | |||||
북마케도니아 | O | 1 | |||||
말리 | O | O | O | O | 4 | ||
모나코 | O | 1 | |||||
니카라과 | O | 1 | |||||
네덜란드 | O | O | O | O | O | O | 6 |
네팔 | O | O | O | 3 | |||
나이지리아 | O | O | O | O | 4 | ||
니제르 | O | O | O | 3 | |||
노르웨이 | O | O | O | O | O | 5 | |
뉴질랜드 | O | O | O | O | O | 5 | |
파나마 | O | O | 2 | ||||
페루 | O | O | O | 3 | |||
필리핀 | O | O | O | O | O | 5 | |
파푸아뉴기니 | O | O | O | 3 | |||
폴란드 | O | O | O | O | 4 | ||
포르투갈 | O | O | O | 3 | |||
푸에르토리코 | O | O | O | O | 4 | ||
카타르 | O | 1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O | O | 2 | ||||
러시아 | O | O | O | O | 4 |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ROC) | O | 1 | |||||
사모아 | O | 1 | |||||
세네갈 | O | O | O | 3 | |||
슬로베니아 | O | O | O | 3 | |||
세르비아 | O | O | O | 3 | |||
스위스 | O | 1 | |||||
스웨덴 | O | O | O | O | 4 | ||
에스와티니 | O | 1 | |||||
통가 | O | O | 2 | ||||
태국 | O | O | O | O | O | 5 | |
타지키스탄 | O | 1 | |||||
차이니스 타이베이 | O | O | O | O | O | O | 6 |
트리니다드 토바고 | O | O | 2 | ||||
튀니지 | O | O | O | O | O | 5 | |
튀르키예 | O | O | O | O | O | O | 6 |
아랍에미리트 | O | 1 | |||||
우크라이나 | O | O | 2 | ||||
미국 | O | O | O | O | O | O | 6 |
우즈베키스탄 | O | O | O | O | O | 5 | |
베네수엘라 | O | O | O | O | 4 | ||
베트남 | O | O | O | O | O | 5 | |
예멘 | O | O | 2 | ||||
참가 수 | 51 | 60 | 64 | 63 | 63 | 62 |
참조
[1]
뉴스
1996: The shape of things to come
https://www.independ[...]
2009-04-25
[2]
웹사이트
History of Taekwondo: Road to the Olympics
http://tkdtutor.com/[...]
TKD Tutor
2009-04-25
[3]
웹사이트
www.i-olympic.com
http://www.i-olympic[...]
2017-10-04
[4]
웹사이트
WORLD TAEKWONDO FEDERATION - STANDING PROCEDURES FOR TAEKWONDO COMPETITION AT OLYMPIC GAMES - IN FORCE AS OF OCTOBER7, 2010
http://www.wtf.org/w[...]
2010-11-21
[5]
웹사이트
WORLD TAEKWONDO FEDERATION - STANDING PROCEDURES FOR TAEKWONDO COMPETITION AT OLYMPIC GAMES - IN FORCE AS OF SEPTEMBER 5, 2013
http://www.worldtaek[...]
2017-01-26
[6]
웹사이트
General Guidelines on Rio 2016 Olympic Games Qualification System
http://www.taekwondo[...]
2022-01-17
[7]
웹사이트
Olympic Analytics - Medals by Countries
http://olympanalyt.c[...]
2022-01-31
[8]
웹인용
태권도
http://www.olympic.o[...]
국제 올림픽 위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