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하네스 로이힐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하네스 로이힐린은 1455년 독일에서 태어난 인문주의자이자 히브리 연구 학자이다. 그는 고대 그리스어와 로마법을 익혔으며, 이탈리아 유학을 통해 히브리어를 접하고 연구하여 히브리어 문법서와 사전을 저술했다. 로이힐린은 카발라 연구에도 몰두했으며, 유대교 서적 옹호와 독일 대학 내 히브리어 강좌 개설을 주장하며 유대교 서적 파괴를 주장하는 요하네스 페퍼코른과 논쟁을 벌였다. 그는 종교 개혁에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1522년 슈투트가르트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카발라 -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는 다양한 사상을 융합하여 독자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하고 인간의 자유 의지와 잠재력을 강조한 15세기 이탈리아 인문주의 철학자로서, 르네상스 인본주의에 큰 영향을 미치고 기독교 카발라 전통 형성에 기여했다. - 기독교 카발라 -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아타나시우스 키르허는 17세기 독일 예수회 사제이자 박식가로 이집트학, 지질학, 음악 이론 등 다방면의 연구를 수행하고 이집트 상형 문자 연구의 선구자, 중국 연구 기여자, 말라리아와 전염병 연구를 통한 의학 분야 공헌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나 현대적 관점에서는 오류도 포함되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요하네스 로이힐린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요하네스 로이힐린 |
출생일 | 1455년 1월 29일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독일 왕국바덴 변경국포르츠하임 |
사망일 | 1522년 6월 30일 (67세) |
사망지 | 신성 로마 제국독일 왕국뷔르템베르크 공국슈투트가르트 |
국적 | 독일 |
교육 | |
모교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오를레앙 대학교 푸아티에 대학교 |
경력 | |
소속 | 잉골슈타트 대학교 |
분야 | 고대 그리스어 히브리어 법 기독교 신비주의 |
사상 | 기독교 카발라 로이힐린 발음 |
업적 | |
주요 저서 | De Rudimentis Hebraicis (히브리어 기초) De Arte Cabbalistica (카발라 예술) |
2. 생애
요하네스 로이힐린은 포르츠하임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도미니코회 수도사였다.[15] 친족으로 필리프 멜란히톤이 있으며, 멜란히톤에게 휴머니즘을 가르치고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 다니게 했다. 멜란히톤의 성을 그리스어 이름으로 개명시킨 것도 로이힐린이었다.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및 수사학을 전공하고, 튀빙겐을 거쳐 프랑스의 파리, 푸아티에, 오를레앙과 스위스의 바젤에서 로마법과 고대 그리스어를 배우고, 바젤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했다.[15] 1485년에는 법률가가 되어 뷔르템베르크 궁정과 바덴 궁정에서 사법 및 입법을 담당했다.[15]
뷔르템베르크의 에버하르트 백작의 요청으로 이탈리아에서 히브리어를 처음 배웠으며, 귀국 후 튀빙겐 대학교에서 고대 그리스어와 법학을 가르쳤다.[15] 1492년부터 히브리어 연구를 시작하여 히브리어 문법서 ''De Rudimentis Hebraicis|데 루디멘티스 헤브라이키스he''를 간행했다.[16] 피코 델라 미란돌라와 마르실리오 피치노의 영향으로 카발라를 연구했으며, 평생 히브리어와 카발라 연구에 헌신하여 유대인과 유대교를 옹호하다 비난받기도 했다. 성경을 원전에서 연구하여 불가타의 권위에 의문을 제기하고 성서주의를 주창했다.
2. 1. 초기 생애
요하네스 로이힐린은 1455년 검은 숲의 포르츠하임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는 도미니코회 수도원의 관리였다.[15] 당시 유행에 따라, 이탈리아 친구들은 그의 이름을 그리스어식인 '''카프니온'''(Καπνίων)으로 불렀다.[15] 그는 고향을 매우 좋아하여, 자신을 '''포르첸시스'''라고 불렀다.로이힐린은 포르츠하임의 수도원 학교에서 라틴어 공부를 시작했으며, 1470년 잠시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그의 학자로서의 경력은 아름다운 목소리 덕분에 바덴바덴 변경백 카를 1세 가문에 들어가면서 시작되었다. 그는 라틴어 실력으로 명성을 얻어, 카를 1세의 셋째 아들 프리드리히를 따라 파리 대학교로 가게 되었다. 프리드리히는 훗날 성직자가 되었다. 로이힐린은 파리 대학교에서 그리스어를 배우기 시작했고, 1474년에는 파리 현실주의자들의 지도자인 장 아 라피드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그를 따라 바젤 대학교로 갔다.
그는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및 수사학을 전공하고, 튀빙겐을 거쳐 프랑스 파리, 푸아티에, 오를레앙과 스위스 바젤에서 유학하여 로마법과 고대 그리스어를 배우고, 바젤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했다.[15]
2. 2. 학문 및 교육 활동
바젤 대학교에서 1477년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강의를 시작했다.[1] 라틴어 사전 ''Vocabularius Breviloquus''(초판, 1475–76)을 편찬했다.[1]1478년 오를레앙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푸아티에 대학교에서 1481년 7월 라이선스를 취득했다.[2] 1481년 12월 튀빙겐 대학교에서 교사가 될 의향이 있었지만, 뷔르템베르크의 에버하르트 백작의 통역관으로 1482년 2월 슈투트가르트를 떠나 피렌체와 로마로 갔다.[2]
1494년 ''De Verbo Mirifico''를 출판하여 명성이 높아졌다.[2] 1496년 하이델베르크로 가서 라인 선교 협회에서 그리스 작가들을 번역하는 일을 했다.[2] 프란츠 폰 지킹겐 등 많은 제자를 두었다.[2] 그리스어 문법서를 출판하지는 않았지만, 제자들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원고를 가지고 있었고, 몇 권의 작은 초급 그리스어 책을 출판했다.[2]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가 사용한 것과 대조적으로 로이힐린식 발음으로 알려진 현대 그리스어 방식으로 그리스어를 발음했다.[2]
1498년 로마에서 체세나의 오바디아 벤 야코프 스포르노의 지도를 통해 히브리어 지식을 향상시켰다.[2] 1500년 또는 1502년에 슈바벤 동맹에서 사법 직책을 받았고, 1512년까지 유지했다.[2]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및 수사학을 전공하고, 튀빙겐에서 유학하여 파리, 푸아티에, 오를레앙, 바젤에서 로마법과 고대 그리스어를 배웠고, 바젤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했다.[15] 1485년 법률가가 되어 뷔르템베르크 궁정과 바덴 궁정에서 사법 및 입법을 담당했다.[15]
뷔르템베르크의 에버하르트 백작의 요청으로 이탈리아에서 히브리어를 처음 배우고, 귀국 후 튀빙겐 대학교에서 고대 그리스어와 법학을 가르쳤다.[15] 1492년 히브리어 연구를 시작하여, 히브리어 문법서 『''De Rudimentis Hebraicis''』를 간행했다.[16]
2. 3. 히브리어 및 카발라 연구
1492년부터 본격적으로 히브리어 연구를 시작하여, 1506년에 히브리어 문법서 ''De Rudimentis Hebraicis|데 루디멘티스 헤브라이키스he''를 출판했다.[16] 이 책은 주로 다비드 김히의 저작을 따랐지만, 단순한 복사는 아니었다. 피코 델라 미란돌라의 영향을 받아 카발라 연구에 몰두했다. 1494년 ''De Verbo Mirifico|데 베르보 미라피코la''를, 1517년에는 ''De Arte Cabalistica''를 저술하여 카발라에 대한 깊은 이해를 드러냈다. 그는 불가타 성경의 권위에 의문을 제기하고, 성경 원전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 4. 페퍼코른과의 논쟁
요하네스 페퍼코른은 유대교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한 인물로, 히브리어 서적을 파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4] 그는 유대인이 기독교인이 되는 것을 막는 세 가지 원인으로 고리대금업, 기독교 교회 설교 불참, 탈무드 존경을 꼽았다.[5] 로이힐린은 이러한 주장에 반대하여 페퍼코른과 오랫동안 팸플릿 논쟁을 벌였다.1510년, 로이힐린은 황제 막시밀리안 1세에 의해 유대교 서적 검토 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3] 그는 유대교 서적을 여섯 가지 부류로 나누어, 기독교를 공개적으로 모욕하는 책은 극소수이며, 대부분은 유대인 스스로도 가치 없게 여기거나, 교황과 황제의 법으로 허가된 유대교 예배에 필요한 저작물, 또는 기독교와 다른 신앙과 관련된 학술적 가치를 지닌 내용이므로 파괴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독일의 모든 대학에 10년 동안 두 개의 히브리어 강좌를 개설하고, 유대인들이 강좌에 필요한 책을 제공하도록 황제가 포고령을 내려야 한다고 제안했다.[3]
페퍼코른은 1511년 프랑크푸르트 박람회에서 로이힐린이 뇌물을 받았다고 비난하는 ''Handspiegel wider und gegen die Juden''을 유포했다.[3] 로이힐린은 ''아우겐슈피겔''(1511)이라는 팜플렛으로 자신을 변호했으나, 쾰른 대학교 신학자들은 이를 억압하려 했다.[3] 1512년 10월 7일, 그들은 종교 재판관 야콥 반 호흐스트라텐과 함께 ''아우겐슈피겔''을 압수하라는 황제의 명령을 얻었다.[3]
1513년, 로이힐린은 종교 재판 법정에 소환되었으나, ''Defensio contra Calumniatores''(1513)를 통해 공개적으로 반박했다. 대학들은 로이힐린에게 불리한 의견을 냈고, 파리 대학(1514년 8월)도 ''아우겐슈피겔''을 비난하며 철회를 요구했다. 로이힐린 사건은 교회에 광범위한 균열을 일으켰고, 결국 로마 교황 법정에 회부되었다. 1516년 7월, 재판은 무효화되었지만, 로이힐린에게 유리한 판결이었다.[3]
로이힐린을 변호하기 위해 ''Virorum Epistolæ Clarorum ad Reuchlinum Phorcensem''(포르츠하임의 로이힐린에게 보낸 유명한 사람들의 편지)이 출판되었다.[6] 이어서 그의 비난자들을 옹호하는 척하면서 실제로는 그들을 겨냥한 풍자적인 컬렉션인 ''Epistolæ Obscurorum Virorum''(무명의 사람들의 편지)이 출판되었다.[6] 울리히 폰 후텐과 프란츠 폰 지킹겐은 로이힐린의 적들에게 물질적 손해 배상을 강요하고, 쾰른과 슈파이어의 도미니크회에 대한 반목을 위협했다. 1520년, 위원회가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려 호흐스트라텐을 비난했지만, 로마의 최종 결정은 로이힐린에게 배상하지 않았다.[3]
이 논쟁은 개신교 종교 개혁에 영향을 주었다는 주장이 있다.[7][8] 로이힐린은 가톨릭 교회를 떠나지 않았지만,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을 지지하는 듯한 발언을 하기도 했다.[3]
로이힐린은 유대교를 옹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논쟁 이전인 1505년의 『회장』에서 유대인을 비판하는 설교를 하기도 했다.[18][19] 또한, 논쟁에서도 페퍼코른에게 "그는 선조인 유대인의 정신의 모습을 그대로 기뻐하며 불경한 복수에 나섰다"라고 말했다.[18]
2. 5. 종교 개혁과의 관계
마르틴 루터는 오직 믿음에 의한 의인을 "진정한 카발라"라고 언급하며[9], 이는 로이힐린의 영향으로 해석된다.[10] 루터는 히브리어 전문가인 로이힐린에게 자문하고 그의 《카발라 예술에 관하여》(De Arte Cabalistica)를 논거로 삼았다. 그러나 《히브리어 기초》(De rudimentis hebraicis)에서 예수의 이름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문자가 "숨겨진 신"을 의미한다는 로이힐린의 주장에 루터는 반대했다. 루터는 이를 마태오 1장:21절의 "그가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할 것이다"라는 의미와 상반된다고 보았다.[11]1517년 비텐베르크에서 마르틴 루터가 종교 개혁을 시작했지만, 로이힐린은 루터의 종교 개혁을 강하게 비판하며 논쟁을 벌였다. 로이힐린은 성서주의자였고, 많은 사람들이 그가 프로테스탄티즘으로 기울었다고 생각했지만, 로마 가톨릭 교회를 떠나지 않았다.[20] 로이힐린은 종교 개혁의 주요 인물인 필리프 멜란히톤의 큰아버지였지만, 루터를 지지하지 않았다.[21]
2. 6. 말년
로이힐린은 고소자들을 상대로 거둔 승리의 기쁨을 오래 누리지 못했다. 1519년 슈투트가르트는 기근, 내전, 역병으로 고통받았다. 교황 레오 10세는 심화되는 종교 논쟁에 대한 우려에 따라 1520년 6월 23일 로이힐린의 저서 『아우겐슈피겔(Augenspiegel)』을 "충격적이고 불쾌하다"는 이유로 비난하고, 쾰른 대학교의 이전 비난을 지지했다.[12][13]1519년 11월부터 1521년 봄까지 노련한 정치가였던 그는 잉골슈타트 대학교에서 피난처를 찾았고, 그곳에서 바이에른 공작 빌헬름 4세에게 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1년 동안 그리스어와 히브리어를 가르쳤다. 41년 전 푸아티에에서 마지막으로 공개 강연을 한 이후, 65세의 나이에도 그는 여전히 가르치는 재능을 유지했고, 수백 명의 학자들이 그를 에워쌌다. 이 가을 햇살은 다시 역병으로 인해 깨졌지만, 그는 튀빙겐으로 불려가 1521-22년 겨울을 자신의 체계적인 방식으로 가르치며 보냈다. 그러나 봄에 그는 바트 리벤첼의 온천을 방문해야 했고, 그곳에서 황달에 걸려 사망했다. 그는 새로운 학문의 역사에서 그의 젊은 동시대인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에 이어 두 번째로 훌륭한 이름을 남겼다.
로이힐린은 슈투트가르트에서 사망했으며, 성 레오나르드 교회에 묻혔다.[14] 만년에 『De Arte Cabbalistica』를 발표했다.[22] 루터의 종교 개혁이 시작된 지 5년 후인 1522년 슈투트가르트에서 사망했으며, 도나우 강변의 언덕에 있는 발할라 신전에 안치되었다.
3. 주요 저작
4. 유산 및 영향
로이힐린은 잉골슈타트 대학교에서 히브리어와 그리스어를 가르쳤으며, 만년에 『De Arte Cabbalistica』를 발표했다.[22] 루터의 종교 개혁이 시작된 지 5년 후인 1522년 슈투트가르트에서 사망했으며, 도나우 강변의 언덕에 있는 발할라 신전에 안치되었다.
5. 비판 및 논란
로이힐린은 유대교 서적을 옹호했지만, 유대인에 대해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다. 1505년 저서 《회장》에서 유대인이 날마다 예수의 몸으로 신을 모독하며, 예수를 죄인, 마법사, 교수형 당한 자라고 부르고, 기독교도를 어리석은 이교도로 여긴다고 주장했다.[18][19] 요하네스 푸페르코른과의 논쟁에서도 유대인의 복수심을 언급했다.[18]
1517년 마르틴 루터가 비텐베르크에서 종교 개혁을 시작했지만, 로이힐린은 루터를 강하게 비판했다. 많은 사람들이 그가 프로테스탄티즘으로 기울었다고 생각했지만, 로마 가톨릭 교회를 떠나지 않았다.[20] 필리프 멜란히톤의 큰아버지였지만, 루터를 지지하지 않았다.[21]
5. 1. 유대인에 대한 이중적 태도
로이힐린은 유대교 서적을 옹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유대인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다. 1505년 저서 《회장》에서 유대인이 날마다 예수의 몸으로써 신을 모독하고 모독하며, 예수를 죄인, 마법사, 교수형 당한 자라고 부르는 것을 꺼리지 않고, 기독교도를 어리석은 이교도로 여기며 깔본다고 주장했다.[18][19]요하네스 푸페르코른과의 논쟁에서도 "그(푸페르코른)는 선조인 유대인의 정신의 모습을 그대로 기뻐하며 불경한 복수에 나섰다"라며 유대인의 복수심을 언급했다.[18]
5. 2. 종교 개혁에 대한 모호한 입장
1517년에 비텐베르크에서 마르틴 루터가 종교 개혁을 시작했지만, 로이힐린은 루터의 종교 개혁을 통렬하게 비난하며 반박하는 논쟁을 펼쳤다. 로이힐린은 성서주의자였으며, 많은 사람들이 그가 프로테스탄티즘으로 기울었다고 생각했지만, 결코 로마 가톨릭 교회를 떠나지 않았다.[20] 로이힐린은 종교 개혁에서 활약한 필리프 멜란히톤의 큰아버지였지만, 루터를 지지하지 않았다.[21]참조
[1]
서적
Sebastian Brant, Forschungsbeiträge zu seinem Leben, zum Narrenschiff und zum übrigen Werk
Schwabe Verlag
[2]
간행물
Eine unbekannte Rede zum Lob der Griechischen Sprache und Literatur
https://www.degruyte[...]
[3]
웹사이트
Pfefferkorn, Johann (Joseph)
http://www.jewishenc[...]
Jewish Encyclopedia
[4]
서적
Divided Souls: Converts from Judaism in Germany, 1500-1750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Reuchlin, Pfefferkorn, and the Talmud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http://www.sacred-te[...]
The Babylonian Talmud. The History of the Talmud
1918
[6]
웹사이트
Epistolæ Obscurorum Virorum
[7]
Citation
The Occult Philosophy in the Elizabethan Age
Routledge & Kegan Paul
[8]
Citation
The case against Johann Reuchli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9]
웹사이트
Commentarium in Epistolam S. Pauli ad Galatas: 2
https://books.google[...]
[10]
문서
Philosophia Symbolica: Johann Reuchlin and the Kabbalah : Catalogue of an Exhibition in the Bibliotheca Philosophica Hermetica Commemorating Johann Reuchlin (1455-1522) Cis van Heertum, Bibliotheca Philosophica Hermetica (Amsterdam, Netherlands) Bibliotheca Philosophica Hermetica, 2005
[11]
웹사이트
Martin Luther's Understanding of God's Two Kingdoms: A Response to the Challenge of Skepticism. Texts and Studies in Reformation and Post-Reformation
https://books.google[...]
[12]
서적
A Social and Religious History of the Jews: Late Middle Ages and the era of European expansion, 1200-1650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3-12-05
[13]
서적
Johannes Reuchlin and the Campaign to Destroy Jewish Book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23-12-05
[14]
Citation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 Civilization
[15]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http://www.jewishenc[...]
[16]
웹사이트
The Columbia Encyclopedia, 6th ed.
http://www.encyclope[...]
[17]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http://www.encyclope[...]
[18]
문서
ポリアコフ 1巻
[19]
문서
Johann Reuchlin, Tutsch missive,warumb die Juden so lang im ellend sind.
[20]
웹사이트
Encyclopedia Britannica
https://global.brita[...]
[21]
문서
"ロイヒリン"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22]
웹사이트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http://www.encyclo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