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하늘다람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대하늘다람쥐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에 분포하는 야행성 유대류로, 앞발과 뒷발 사이의 활공막을 이용하여 나무 사이를 활공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형태학적 특징에 따라 여러 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 유전자 분석을 통해 기존 분류가 재검토되었으며, 현재는 세 개의 종 복합체로 구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유대하늘다람쥐는 잡식성으로, 곤충, 수액, 과일 등을 먹으며, 가족 단위로 군집 생활을 한다. 이들은 둥지를 틀 나무 구멍이 있는 지역을 선호하며, 사회적 그루밍을 통해 유대감을 형성한다. 유대하늘다람쥐는 IUCN 적색 목록에서 최소 관심 등급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서식지 감소와 산불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호주에서는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일부 주에서는 반려동물로 사육이 가능하지만, 동물 복지 문제로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머니하늘다람쥐과 - 리드비터주머니쥐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의 고유종인 리드비터주머니쥐는 약 2천만 년 전에 진화한 야행성 주머니쥐로,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가 재발견되었으나 서식지 파괴와 산불로 인해 심각한 멸종 위기에 놓여 보호받고 있다. - 주머니하늘다람쥐과 - 줄무늬주머니쥐
줄무늬주머니쥐는 뉴기니, 솔로몬 제도, 호주 퀸즐랜드에 서식하며, 줄무늬 외모와 곤충 유충을 잡아먹는 독특한 습성으로 "포유류 딱따구리"라고도 불리는 야행성 수목 동물이다. - 애완동물 거래로 인한 절멸위기종 - 오랑우탄
오랑우탄은 "숲의 사람"을 의미하는 말레이어에서 유래한 유인원으로, 보르네오섬, 수마트라섬, 타파눌리섬에 서식하는 세 종이 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애완동물 거래로 인한 절멸위기종 - 오셀롯
오셀롯은 고양이과에 속하는 중형 포유류로, 갈색 또는 황갈색 바탕에 검은색 얼룩무늬를 가지며, 주로 야행성으로 열대 우림에서 단독 생활을 하고, 서식지 감소 등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1839년 기재된 포유류 - 일본늑대
일본늑대는 규슈, 시코쿠, 혼슈에 서식했던 개과의 멸종 동물로, 회색늑대의 아종 또는 독립된 종으로 분류되며, 일본 민속에서 신성시되었으나 광견병 유행과 서식지 감소로 1905년 멸종된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이후 목격담과 복원 시도에 대한 논의가 있다. - 1839년 기재된 포유류 - 덤불토끼
덤불토끼는 미국 태평양 연안에서 멕시코 바하 반도 남단에 걸쳐 분포하며 덤불 덩어리 서식지를 선호하는 작은 토끼로, 여러 아종으로 나뉘며 일부 아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다.
유대하늘다람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etaurus breviceps |
명명자 | 워터하우스, 1839년 |
영명 | Sugar glider |
한국어명 | 유대하늘다람쥐, フクロモモンガ (후쿠로모몬가) |
보전 상태 | LC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아강 | 유대아강 |
목 | 캥거루목 |
아목 | 쿠스쿠스아목 |
과 | 주머니하늘다람쥐과 |
속 | 주머니하늘다람쥐속 |
분포 | |
분포 지역 | 오스트레일리아, 파푸아뉴기니, 인도네시아 |
![]() | |
형태 및 기능 | |
특징 | 날개막을 가지고 활강 가능 |
이명 | |
학명 이명 | P. (Belideus) breviceps, Waterhouse 1839 P. kohlsi, Troughton 1945 |
참고 | |
비고 | P. b. flavidus는 P. b. papuanus의 동의어로 간주됨. P. b. tafa는 P. breviceps 종의 동의어로 간주됨. P. b. biacensis는 잠정적으로 P. biacensis(비악 글라이더) 종으로 간주됨. |
2. 분류 및 진화
설탕날다람쥐속(*Petaurus*)은 약 1800만 년에서 2400만 년 전 마이오세 중기에 뉴기니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호주에 서식하는 설탕날다람쥐는 약 900만 년에서 1200만 년 전에 뉴기니의 가장 가까운 현존 친척으로부터 분화되었다. 이들은 약 480만 년에서 840만 년 전에 뉴기니와 호주 사이에 형성된 육교를 통해 뉴기니에서 호주로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호주에서 가장 오래된 *Petaurus* 화석은 446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3]
이 종의 분류는 복잡하며, 과거에는 형태학적 특징에 따라 7종의 아종으로 분류되었다.[14] 그러나 2010년 미토콘드리아 DNA를 사용한 유전자 분석 결과, 이러한 아종 구분이 유전적으로 고유한 개체군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14] 추가 연구를 통해, 전통적으로 *P. breviceps*로 분류된 개체군 내에서 상당한 유전적 변이가 발견되었고, 이는 여러 종으로 분리될 만큼 충분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비악에서 발견된 아종 *P. b. biacensis*는 비악 하늘다람쥐 (*Petaurus biacensis*)라는 별도의 종으로 재분류되었다. 2020년 연구에서는 *P. breviceps*가 실제로는 크레프트 하늘다람쥐 (*Petaurus notatus*), 사바나 하늘다람쥐 (*Petaurus ariel*), 그리고 좁게 정의된 *P. breviceps*의 세 숨겨진 종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10][11][15]
- P. breviceps*와 *P. notatus*는 약 100만 년 전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레이트 디바이딩 산맥의 융기로 인한 지리적 격리가 종분화의 원인으로 추정된다.[10][14]
2. 1. 아종
- ''Petaurus breviceps breviceps'' Waterhouse, 1839[73]
- ''Petaurus breviceps ariel'' (Gould, 1842)[73]
- ''Petaurus breviceps longicaudatus'' Longman, 1924[73]
- ''Petaurus breviceps papuanus'' Thomas, 1888[73]
3. 분포 및 서식지
설탕날다람쥐는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해안 숲과 뉴사우스웨일스 대부분 지역에 분포하며, 동부 산맥의 해발 2000m까지 서식한다.[11][16] 인도네시아 (뉴기니섬, 몰루카 제도 등),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및 남부 (태즈메이니아섬 포함) 및 동부, 파푸아뉴기니 (뉴기니섬, 비스마르크 제도)에도 분포한다.[72] 모식 표본의 산지는 뉴사우스웨일스주이다.[73]
둥지를 틀기에 적합한 수목 구멍이 있는 나무와 충분한 먹이가 있는 지역을 선호한다. 작고 경계심이 강하며 야행성이라 야생에서 발견하기는 어렵지만, 아카시아나 유칼립투스의 껍질을 벗기는 등의 식흔을 통해 서식 여부를 알 수 있다.
청설모날다람쥐와 노란배날다람쥐와 같은 서식지에서 공존(sympatry)하며,[17] 각 종이 서로 다른 자원 이용 패턴을 보이는 생태적 지위 분화를 통해 공존한다.[17]
평균 행동권은 0.5ha이며,[19] 개체군 밀도는 1헥타르당 2~6마리이다. 명확한 영역을 가지지 않고 다른 개체와 공유하며, 쉘터로 사용할 수 있는 수목 구멍이 있다면 1km2당 1마리의 비율로 서식한다. 7마리 이하의 무리로 둥지를 공유하며, 영역을 지키는 시기에는 어린 개체와 함께 지낸다.
토종 올빼미 (''Ninox'' sp.)[16]가 주요 포식자이며, 그 외에 웃음물총새, 왕도마뱀, 뱀, 쿼올 등이 있다.[20] 들고양이(''Felis catus'') 또한 심각한 위협이다.[16][20]
4. 형태 및 특징
유대하늘다람쥐는 다람쥐와 비슷한 몸통에 길고 부분적으로 잡는 꼬리를 가지고 있다. 코부터 꼬리 끝까지의 길이는 약 24cm에서 30cm이며, 수컷과 암컷의 무게는 각각 140g에서 115g이다.[22] 심박수 범위는 분당 200–300회이며, 호흡수는 분당 16–40회이다.[23]
털은 두껍고 부드러우며 일반적으로 청회색이지만, 일부는 노란색, 베이지색 또는 드물게 백색증을 띄기도 한다. 코에서 등 중간까지 검은색 줄무늬가 보인다. 배, 목, 가슴은 크림색이다.
수컷은 이마, 가슴, 그리고 두 개의 항문 주위에 네 개의 향선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그룹 구성원 및 영역 표시에 사용된다.[16] 수컷의 머리와 가슴에 있는 향선은 탈모 부위로 나타난다. 암컷 또한 항문 주위 향선과 육아낭에 향선을 가지고 있지만 가슴이나 이마에는 향선이 없다.[16]
야행성이며, 큰 눈은 간상체 시각을 통해 밤에 볼 수 있도록 돕고, 귀는 어둠 속에서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회전한다. 눈은 멀리 떨어져 있어 활공 시 발사 지점에서 착륙 지점까지 더 정확한 삼각 측량법을 가능하게 한다.[25]
각 발에는 다섯 개의 발가락이 있으며, 뒷발에는 마주보는 발가락이 있다. 이 발가락은 발톱이 없고, 다른 모든 발가락에 닿을 수 있도록 구부러져 엄지처럼 나뭇가지를 꽉 잡을 수 있게 한다. 뒷발의 두 번째와 세 번째 발가락은 부분적으로 합지증(융합)되어 있어 손질 빗을 형성한다.[21] 앞발의 네 번째 발가락은 날카롭고 길쭉하여 나무 껍질 아래에서 곤충을 꺼내는 데 도움이 된다.[16]
활공막은 각 앞발의 다섯 번째 발가락 바깥쪽에서 각 뒷발의 첫 번째 발가락까지 뻗어 있다. 다리를 뻗으면 이 막을 통해 유대하늘다람쥐가 상당한 거리를 활공할 수 있다. 활공막은 잘 발달된 경골-수근, 상완-등, 경골-복부 근육에 의해 지지되며, 그 움직임은 이러한 지지 근육과 함께 몸통, 팔다리, 꼬리 움직임에 의해 제어된다.[9]
활공할 때 수평으로 1.82m 이동할 때마다 1m 떨어진다.[25] 방향 조절은 사지를 움직이고 활공막의 장력을 조절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왼쪽으로 돌기 위해서는 왼쪽 앞발을 오른쪽보다 낮게 내린다.[25]
아래쪽 앞니 2개가 앞쪽으로 크게 튀어나와 있다. 혀는 가늘다.
5. 생태 및 행동
유대하늘다람쥐는 야행성 동물로 밤에 활동하며, 낮에는 나뭇잎으로 만든 둥지에서 휴식을 취한다.[18]
앞다리와 뒷다리 사이에는 비막(patagium)이라는 막이 있어, 나무 사이를 활공할 수 있다. 이 활공막을 이용하여 최대 50m 이상 활공할 수 있다.[27] 활공 시에는 사지를 움직여 활공막의 장력을 조절하여 방향을 바꾼다. 예를 들어 왼쪽으로 회전하려면 왼쪽 앞발을 오른쪽보다 낮게 내린다.[25] 이러한 활공은 나무에서 나무로 이동하거나, 포식자를 피하거나, 먹이를 찾는 데 유용하다.[28]
최대 40°C의 더위나 추위에도 적응할 수 있다.[16] 더울 때는 털을 핥아 젖은 부위를 노출시키고, 추울 때는 다른 개체들과 함께 모여 몸을 웅크리거나 동면 상태에 들어가 에너지를 절약한다.[34] 동면은 짧은 시간 동안 지속되며, 체온을 10.4°C에서 19.6°C까지 낮춰 에너지 소비를 줄인다.[34][32]
사회적인 동물로, 최대 7마리의 성체와 어린 개체들이 가족 군집을 이루어 생활한다.[19] 이들은 사회적 그루밍을 통해 서로의 털을 다듬어 주며 유대감을 형성하고, 냄새를 통해 서로를 인식하고 영역을 표시한다.[6] 각 군집은 약 1ha의 영역을 방어하며, 이 영역 내의 유칼립투스 나무는 이들의 주된 먹이 공급원이다.
포유류 중에서는 드물게 부성애를 보이는 종으로, 가장 나이 많은 수컷은 모든 새끼의 아버지일 가능성이 높아 새끼를 돌보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한다.[52] 이는 새끼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잡식성으로, 아카시아나 유칼립투스 나무의 수액, 과즙, 꽃가루, 곤충 등 다양한 먹이를 먹는다.
주요 천적은 왕도마뱀과, 주머니고양이 (코와리, 멀가라, 앤테키누스 등), 올빼미목, 웃음물총새류, 여우, 고양이, 딩고 등이다.
5. 1. 번식
암컷 유대하늘다람쥐는 대부분의 유대류처럼 난소와 자궁이 각각 두 개씩 있으며, 다발성 발정으로 1년에 여러 번 발정이 가능하다.[19] 복부 중앙에는 새끼를 낳는 육아낭이 있고,[21] 육아낭에는 보통 젖꼭지가 4개 있다.[16] 수컷은 이분된 음경을 가지고 있다.[45]야생에서 유대하늘다람쥐는 기후와 서식지 조건에 따라 1년에 한두 번 번식하며,[21] 호주 남동부에서는 겨울과 봄(6월~11월)에만 새끼가 태어난다.[19] 호주 북부에서는 특정 번식기가 없다.
암컷은 한 배에 한 마리(19%) 또는 두 마리(81%)의 새끼를 낳는다.[19] 임신 기간은 15~17일이며, 이후 몸무게가 0.2g인 작은 새끼는 어미의 육아낭으로 기어 들어가 약 70일 동안 성장한다. 새끼는 털이 없이 태어나며, 후각만 발달되어 있다.[46] 어미는 시력이 없는 새끼를 자궁에서 유인하기 위해 외부 육아낭에 냄새샘을 가지고 있다.[46] 눈은 태어난 후 약 80일경에 처음 열리고, 새끼는 태어난 후 약 110일경에 둥지를 떠난다.[16]
새끼는 둥지에서 40~50일 동안 지낸 후 독립하며, 7~10개월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5. 2. 의사소통
유대하늘다람쥐는 짖는 소리와 쉿 소리 등 다양한 소리를 내어 의사소통을 한다.[53] 냄새는 영역 표시, 개체의 건강 상태 전달, 집단 구성원의 순위 표시에 사용된다. 유대하늘다람쥐의 의사소통에서 화학적 냄새는 큰 비중을 차지한다.[16] 수컷은 침, 이마와 가슴에 있는 별도의 샘에서 생성된 냄새로 영역과 집단 구성원을 표시하며, 적절한 냄새 표시가 없는 침입자는 쫓겨난다.[6]6. 인간과의 관계
과거에는 유대하늘다람쥐가 IUCN 적색 목록에서 "최소 관심(LC)" 등급으로 평가되어 멸종 위기종으로 간주되지 않았다.[3] 그러나 최근 분류학적 연구 결과, 유대하늘다람쥐의 실제 서식 범위는 작고 제한적이어서 잠재적인 위협에 더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일례로, 유대하늘다람쥐의 원 서식지는 2019-2020년 오스트레일리아 산불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는데, 이는 유대하늘다람쥐의 실제 서식 범위를 보여주는 연구가 발표되기 불과 몇 달 전에 발생한 사건이다.[54] 그럼에도 불구하고, 넓은 분포와 많은 개체 수 덕분에 멸종 위험은 낮다고 여겨진다.[72]
6. 1. 보존
호주에서 유대하늘다람쥐는 토착 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호주의 주요 자연 보존법은 1999년 환경 보호 및 생물 다양성 보존법(EPBC Act)이다.[57] 1974년 국립공원 및 야생동물법에 따르면, 남호주 주에서는 허가받은 출처에서 합법적으로 획득한 경우에 한해 허가 없이 유대하늘다람쥐 한 마리를 소유할 수 있다. 두 마리 이상을 소유하거나 판매, 양도하려면 허가가 필요하며, 야생 유대하늘다람쥐를 포획하거나 판매하는 것은 불법이다.[58]유대하늘다람쥐는 나무 구멍을 사용하므로 강한 산불에 취약하다.[54] 지난 200년 동안 호주에서 자연 서식지가 감소했지만, 넓은 개간지를 건너지 않고 접근할 수 있는 작은 덤불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또한, 헥타르당 3~5개의 구멍을 가진 나무가 유지되는 한, 가벼운 수준에서 중간 수준의 선택적 벌채가 이루어진 지역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55] 빛 공해가 심한 지역에서는 유대하늘다람쥐가 먹이를 찾고 포식자를 피하는 능력이 감소할 수 있다.[56]
6. 2. 반려동물
설탕날다람쥐(유대하늘다람쥐)는 귀여운 외모와 주인에게 잘 따르는 특성으로 인해 반려동물로 인기를 얻고 있다.[71] 하지만, 야생성이 강하고 영역 의식이 강한 동물이므로, 낯선 사람에게는 경계심을 보일 수 있다.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보살피면 신뢰를 얻을 수 있지만, 개체 차이가 크다.활발한 설탕날다람쥐를 위해서는 최소 76cm × 76cm × 76cm 크기의 케이지가 필요하며, 암수 한 쌍을 키울 경우 출산 조절을 위해 여러 개의 케이지가 필요할 수 있다. 케이지 안에는 가지나 덩굴을 넣어 원래의 생육 환경과 비슷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먹이는 인공 사료나 과일을 중심으로 신선한 채소와 소량의 동물성 단백질을 매일 바꿔가며 제공해야 한다. 잡식성이지만 영양 불균형을 겪기 쉬우므로, 곤충만 너무 많이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곤충은 인 성분이 많아 칼슘 결핍을 유발하고 골다공증 등의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59][60][61] 해외에서는 영양 균형을 맞춘 펠릿 사료가 있지만, 편식이 심해 펠릿을 먹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비타민이나 칼슘을 추가로 급여해야 할 수 있다.
철분 축적 질환(혈색소침착증)도 사육되는 설탕날다람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질병으로,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65]
사회성이 높은 동물이므로, 특히 혼자 키울 경우 충분한 관심과 환경 풍부화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우울증, 식욕 부진, 자해 등의 행동 장애를 보일 수 있다.[66]
호주에서는 일부 주에서만 설탕날다람쥐를 키울 수 있으며, 야생동물 보호 단체들은 설탕날다람쥐를 반려동물로 키우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67][68][69][70]
다음은 설탕날다람쥐에게 유해한 식물 및 음식이다.
참조
[1]
서적
MSW3 Groves
[2]
논문
Diagnoses of New rare mammals from the South-West Pacific
1945
[3]
간행물
Petaurus breviceps
2021-11-19
[4]
논문
Observations on certain modifications observed in the dentition of the Flying Opossums (the genus ''Petaurus'' of authors)
https://www.biodiver[...]
1838
[5]
웹사이트
Subspecies Sheet | Mammals'Planet
http://www.planet-ma[...]
2014-04-19
[6]
웹사이트
DPIW - Sugar Glider
http://www.dpiw.tas.[...]
2012-08-28
[7]
웹사이트
Analogy: Squirrels and Sugar Gliders
http://evolution.ber[...]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useum of Paleontology
2012-10-01
[8]
웹사이트
Sugar Glider, ''Petaurus breviceps''
http://www.parks.tas[...]
Parks & Wildlife Service, Tasmania Online
2012-10-07
[9]
논문
Functional anatomy of gliding membrane muscles in the sugar glider (''Petaurus breviceps'')
1998
[10]
서적
"''Petaurus breviceps'' Waterhouse, 1839"
[11]
논문
Integrative taxonomic investigation of ''Petaurus breviceps'' (Marsupialia: Petauridae) reveals three distinct species
2020-07-13
[12]
서적
"''Petaurus notatus'' W. Peters, 1859"
[13]
논문
Molecular systematics and evolutionary origins of the genus ''Petaurus'' (Marsupialia: Petauridae) in Australia and New Guinea
2010
[14]
논문
Phylogeography of the Australian sugar glider (''Petaurus breviceps''): evidence for a new divergent lineage in eastern Australia
2010
[15]
웹사이트
A rare discovery: we found the sugar glider is actually three species, but one is disappearing fast
http://theconversati[...]
2020-07-17
[16]
논문
Petaurus breviceps
1973-06-13
[17]
논문
Habitat relationships of the mahogany glider, ''Petaurus gracilis'', and the sugar glider, ''Petaurus breviceps''
2000
[18]
논문
Habitat requirements for the conservation of arboreal marsupials in dry sclerophyll forests of southeast Queensland, Australia
2002
[19]
논문
Population ecology of the sugar glider "Petaurus breviceps", in a system of fragmented habitats
1984
[20]
웹사이트
Wildlife – Sugar Glider
http://www.wildlife.[...]
Wildlife Queensland
2014-02-16
[21]
웹사이트
A guide to medicine and surgery in sugar gliders
http://www.hilltopan[...]
Hilltop Animal Hospital
2012-11-02
[22]
웹사이트
Wildlife Queensland – Sugar Glider
http://www.wildlife.[...]
Wildlife Preservation Society of Queensland
2012-10-24
[23]
웹사이트
Basic Health Care Information / General Wellness Exam
http://www.sugarglid[...]
Sugar Glider Vet
2012-10-27
[24]
논문
Eco-graphic variation in size and sexual dimorphism in sugar gliders and squirrel gliders (Marsupialia: Petauridae)
1996
[25]
논문
Glide angle in the genus "Petaurus" and a review of gliding in mammals
1999
[26]
논문
The Human Ageing Genomic Resources: online databases and tools for biogerontologists
[26]
웹사이트
AnAge entry for ''Petaurus breviceps''
http://genomics.sene[...]
[27]
서적
Complete book of Australian mammals : the national photographic index of Australian wildlife
Angus & Robertson
[28]
논문
Field energetics and water balance of sugar gliders, "Petaurus breviceps" (Marsupialia: Petauridae)
1985
[29]
논문
Ecological and biomechanical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gliding in mammals
2011
[30]
논문
Metabolic Rate and Body Temperature Reduction During Hibernation and Daily Torpor
[31]
논문
To use or not to use torpor? Activity and body temperature as predictors
[32]
논문
Thermal biology, torpor and behaviour in sugar gliders: a laboratory-field comparison
[33]
논문
Seasonal changes in the thermoenergetics of the marsupial sugar glider, ''Petaurus breviceps''
2001-11
[34]
논문
Torpor and activity patterns in free-ranging sugar gliders "Petaurus breviceps" (Marsupialia)
2000
[35]
논문
Diet and feeding strategies of the marsupial glider in temperate Australia
1982
[36]
웹사이트
manna
http://wordnetweb.pr[...]
WordNet. Princeton University
2012-12-19
[37]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38]
웹사이트
Sugar Glider Nutrition
http://www.sugar-gli[...]
SunCoast Sugar Gliders
[39]
웹사이트
The Sugar Glider Diet
http://www.sugarglid[...]
Sugar Glider Cage
2012-10-06
[40]
논문
Feeding behavior and nutrition of the Sugar Glider (''Petaurus breviceps'')
2009
[41]
웹사이트
Feeding Sugar Gliders / Nutritional Needs and Sample Diets
http://exoticpets.ab[...]
About.com
2012-10-03
[42]
웹사이트
Natural Diet
http://www.sugarglid[...]
SugarGlider.com
2012-11-02
[43]
논문
Banksia pollen in the diet of Australian mammals
1997
[44]
서적
Ferrets, Rabbits and Rodents - E-Book: Ferrets, Rabbits and Rodents - E-Book
https://www.google.c[...]
Elsevier Health Sciences
2020-04-24
[45]
논문
A Novel Technique for Orchiectomy and Scrotal Ablation in the Sugar Glider (''Petaurus breviceps'')
2009-03
[46]
서적
Behavior of exotic pets
Blackwell Pub.
2010
[47]
웹사이트
Practical anatomy and physical examination: Ferrets, rabbits, rodents, and other selected species (Proceedings)
http://veterinarycal[...]
CVC in Kansas City Proceedings
2009-08
[48]
논문
Development of thermoregulation in the sugar glider Petaurus breviceps (Marsupialia: Petauridae)
2000-11
[49]
논문
The burden of motherhood: gliding locomotion in mammals influences maternal reproductive investment
2008
[50]
논문
Father and son sugar gliders: more than a genetic coalition?
1997
[51]
웹사이트
Petaurus breviceps
http://animaldiversi[...]
1999
[52]
논문
Direct male parental care observed in wild sugar gliders
2010
[53]
논문
Hedgehogs and Sugar Gliders: Respiratory Anatomy, Physiology, and Disease
https://doi.org/10.1[...]
2011-05-20
[54]
웹사이트
A rare discovery: we found the sugar glider is actually three species, but one is disappearing fast
http://theconversati[...]
2020-07-16
[55]
논문
Habitat requirements for the conservation of arboreal marsupials in dry sclerophyll forests of southeast Queensland, Australia
2002
[56]
논문
Photopollution impacts on the nocturnal behaviour of the Sugar Glider (''Petaurus breviceps'')
2007
[57]
웹사이트
Biodiversity Conservation
http://www.environme[...]
2014-04-19
[58]
웹사이트
South Australian Legislation
http://www.legislati[...]
2014-04-19
[59]
웹사이트
Hind Leg Paralysis
http://www.sugarglid[...]
SugarGlider.com
2012-11-01
[60]
논문
Emergency and Critical Care Procedures in Sugar Gliders (''Petaurus breviceps''), African Hedgehogs (''Atelerix albiventris''), and Prairie Dogs (''Cynomys'' spp.)
[61]
서적
Mammals of Victoria
Oxford University Press, South Melbourne
[62]
웹사이트
Original BML Diet – Bourbon's Modified Leadbeater's Recipe for Sugar Gliders
http://www.sweet-sug[...]
Sweet-Sugar-Gliders.com
2012-10-01
[63]
웹사이트
Sugar Glider HPW Diet – High Protein Wombaroo Recipe
http://www.sweet-sug[...]
Sweet-Sugar-Gliders.com
2012-10-01
[64]
웹사이트
Original Leadbeaters Diet Recipe – Taronga Zoo Diet for Sugar Gliders
http://www.sweet-sug[...]
Sweet-Sugar-Gliders.com
2012-11-02
[65]
웹사이트
Overview of Sugar Gliders - Exotic and Laboratory Animals
https://www.merckvet[...]
Merck Sharp & Dohme
2018-05-09
[66]
서적
Exotic Animal Medicine: A Quick Reference Guid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5-11-02
[67]
웹사이트
Native Animals are not pets
https://www.wires.or[...]
2019-01-25
[68]
웹사이트
Sugar Gliders
https://www.wild4lif[...]
[69]
웹사이트
DixiGliders
http://www.dixiglen.[...]
[70]
웹사이트
Wildlife – Queensland Gliders
http://www.wildlife.[...]
2013-04-20
[71]
논문
The origin of exotic pet sugar gliders (''Petaurus breviceps'') kept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19-01-08
[72]
간행물
Petaurus breviceps
https://doi.org/10.2[...]
2016
[73]
서적
Order Diprotodonti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74]
논문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2018
[75]
웹사이트
4月にカラスに虐められ衰弱しているところを保護され警察遺失物係経由弊院にやってきたフクロモモンガのオトメちゃん(仮名)。看護師が自作のポシェットに入れ人の声・匂いに馴らせる仲良し作戦も功を奏し元気回復、だいぶ馴れてきました。診察中も交代で皆んながポシェットに入れ下げています。壊死していた手足は取れてしまいま... {{!}} By まるやま動物病院 {{!}} Facebook
https://ms-my.facebo[...]
2023-03-14
[76]
웹사이트
Gliders - Monash University
http://www.monash.vi[...]
[77]
웹사이트
Fauna Permits — Government of South Australia
http://www.environ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