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나카가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세나카가와역은 1930년에 산구 급행 전기 철도의 산큐나카가와역으로 개업하여, 오사카 전기 철도와의 합병 및 긴키 닛폰 철도 출범을 거치면서 현재의 역명이 되었다.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선, 나고야선, 야마다선이 만나는 환승역으로, 6개의 선로와 4개의 섬식 승강장, 1개의 단선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나고야선과 오사카선을 연결하는 나카가와 단락선이 설치되어 특급 열차의 운행 효율을 높였다. 역 주변 재개발을 통해 상업 시설과 주택이 들어섰으며, 2019년에는 하루 평균 4,269명이 승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쓰사카시의 철도역 - 곤겐마에역
곤겐마에역은 미에현 마쓰사카시에 위치한 JR 도카이 메이쇼 선의 철도역으로, 단선 승강장 1면 1선을 갖춘 무인 지상역이며, 개업 당시에는 종착역이었다. - 마쓰사카시의 철도역 - 가미노쇼역
가미노쇼역은 미에현 마쓰사카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메이쇼 선의 철도역으로, 1960년 개업하여 1987년부터 JR 도카이가 운영하는 단선 승강장의 무인역이다. - 미에현의 철도역 - 쓰신마치역
쓰신마치역은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역으로, 1931년 개업하여 2023년 무인화되었으며 섬식 및 측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특급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정차하고 쓰시청 등 주요 시설과 인접해 있다. - 미에현의 철도역 - 시오하마역
시오하마역은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있는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과 JR 화물 간사이 본선 화물 지선의 역으로, 긴테쓰 나고야 선에서는 모든 일반 열차가 정차하는 고가 역사이며, JR 화물 시오하마역은 석유 수송을 담당하는 조차장과 측선군으로 구성되어 욧카이치시의 주요 교통 거점 역할을 한다. -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 - 교토역
교토역은 JR, 킨테츠, 교토 시영 지하철 등 여러 노선이 교차하는 대규모 복합 환승역이자, JR 교토 이세탄 백화점, 호텔 등을 포함한 복합 시설을 갖춘 교토의 랜드마크이며, 국내외 관광객에게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 - 쓰신마치역
쓰신마치역은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역으로, 1931년 개업하여 2023년 무인화되었으며 섬식 및 측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특급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정차하고 쓰시청 등 주요 시설과 인접해 있다.
이세나카가와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이세나카가와역 |
원래 이름 | 산큐나카가와 (1941년까지) |
로마자 표기 | Ise-Nakagawa-eki |
소재지 | 미에현 마쓰사카시 우레시노나카가와신정 1-93 |
노선 | 긴테쓰 나고야 선 긴테쓰 오사카 선 긴테쓰 야마다 선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5면 6선 |
개업일 | 1930년 5월 18일 |
운영 주체 | 긴키 닛폰 철도 |
역 번호 | D61 (긴테쓰 오사카 선) E61 (긴테쓰 나고야 선) M61 (긴테쓰 야마다 선) |
비고 | 각 노선 직통 운전 실시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통계 | |
2019년 1일 평균 승차 인원 | 4,269명 |
노선 정보 | |
이전 역 | 가와이타카오카역 (D60) |
역간 거리 | 4.5km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오사카우에혼마치 기점 108.9km |
이전 역 | 모모조노역 (E43) |
역간 거리 | 3.3km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이세나카가와 기점 0.0km |
다음 역 | 이세나카하라역 (M62) |
역간 거리 | 3.0km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이세나카가와 기점 0.0km |
2. 역사
1930년 5월 18일 산구 급행 전기 철도(산큐)가 산큐나카가와역|참급중천역일본어을 개업하면서 이세나카가와 역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오사카 전기 철도와 간사이 급행 철도를 거쳐, 1944년 6월 1일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의 역이 되었다.[4]
긴테쓰 시대에는 나고야선 표준궤 개궤, 나카가와 단락선 개통, 지하 역사 및 자동 개찰기 설치, PiTaPa 사용 개시 등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2004년에는 새로운 역 건물이 완공되었다.[4]
2. 1. 초기 역사 (1930년 ~ 1944년)
1930년 5월 18일, 산구 급행 전기 철도(산큐)의 산큐나카가와역|참급중천역|Sankyū-Nakagawa-eki일본어이 부지 내에 처음으로 개업하였다.[4] 같은 해 11월 19일에는 산큐나카가와 역에서 사다(현 사카키바라온센구치) 간 노선이 개통되었다.[6]1938년 12월 6일 쓰 지선을 1067mm 궤간으로 변경하였다.[6]
1941년 3월 15일, 오사카 전기 철도가 산큐를 합병하여 간사이 급행 철도가 설립되면서 역명이 '''이세나카가와역'''으로 변경되었다.[7] 동시에 노선 명칭이 정리되어, 본선은 이세나카가와 역을 경계로 나바리 방면은 오사카선, 우지야마다 방면은 야마다선이 되었고, 쓰 지선은 구 이세 전기 철도선인 나고야 이세 본선의 일부와 통합되어 나고야선이 되었다.[8]
1944년 6월 1일, 간사이 급행 철도가 난카이 철도와 합병하면서 긴키 닛폰 철도의 전신인 킨키 닛폰 철도 주식회사가 설립되었고, 이세나카가와 역은 긴키 닛폰 철도의 역이 되었다.[6]
2. 2. 긴키 닛폰 철도 시대 (1944년 ~ 현재)
1944년 6월 1일, 난카이 전기 철도와의 합병으로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의 전신인 킨키 닛폰 철도 주식회사가 설립되면서 긴키 닛폰 철도의 역이 되었다.[4]- 1944년 (쇼와 19년) 6월 1일: 간사이 급행 철도가 난카이 철도와 합병, 긴키 일본 철도의 역이 됨.[6]
- 1959년 (쇼와 34년) 11월 27일: 나고야선을 표준궤로 개궤.[6] 오사카선·야마다선과 직통 가능하도록 배선을 변경.
- 1961년 (쇼와 36년) 3월 29일: 나카가와 단락선이 개통되어, 이세나카가와역을 경유하지 않고 오사카선과 나고야선을 잇는 특급 운전을 개시.[6]
- 1972년 (쇼와 47년) 9월 18일: 구내 지하도·승강장 증설 공사 준공.
- 2001년 (헤이세이 13년) 2월 1일: 스토어드 페어 시스템 도입 및 오사카 지구에서의 「스룻토KANSAI」대응 카드 취급 개시에 따라, 당역에서의 「도중 하차 지정역」 제도 폐지.
- 2004년 (헤이세이 16년) 1월 10일: 지하 역사화·자동 개찰기 설치.
- 2007년 (헤이세이 19년) 4월 1일: PiTaPa 사용 개시.[9]
- 2012년 (헤이세이 24년) 1월 21일: 신 나카가와 단락선 사용 개시.
- 2018년 (헤이세이 30년): 반전 플랩과 구형 액정 디스플레이(브라운관 → 박형 액정 디스플레이)를 병용해 왔지만, 2010년대 중반에 고장이 발생하는 등, 다이아 개정 전에 소형 최신형 액정 디스플레이(LCD)로 교체. 이와 동시에 특급 열차 안내 방송의 마이너 체인지에 영어 방송이 추가됨. 2020년경에 영어 특급 열차 안내 방송만 마이너 체인지됨.
3. 역 구조
이세나카가와역은 1번부터 6번까지 번호가 매겨진 6개의 평행 선로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섬식 승강장은 1·2번, 2·3번, 3·4번, 4·5번 선로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6번 선로는 단일 측면 승강장을 사용한다. 2, 3, 4번 선로의 열차는 양쪽으로 문을 열 수 있어, 이 역에서 연결되는 세 개의 주요 노선(야마다선, 나고야선, 오사카선) 간의 원활한 환승을 가능하게 한다.
특급 열차는 나고야선과 오사카선을 직접 운행하며 이세나카가와역을 통과하지 않는다. 대신, 역에서 북서쪽으로 약 3.5km 떨어진 지점에서 두 노선을 연결하는 북동-북서쪽 코드를 사용하며, 두 간선 노선과 이 코드가 함께 삼각선을 이룬다.
나고야선 쓰, 욧카이치, 나고야 방면 | 야마다선 우지야마다, 도바, 가시코지마 방면 | |
오사카선 오사카우에혼마치, 오사카난바, 교토 방면 |
3. 1. 승강장
이세나카가와 역은 6개의 선로와 5개의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승강장 번호는 1번부터 6번까지 매겨져 있다. 4개의 섬식 승강장은 1·2번, 2·3번, 3·4번, 4·5번 선로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6번 선로는 측면 승강장을 사용한다. 2, 3, 4번 선로의 열차는 양쪽 문을 열 수 있어, 이 역에서 연결되는 세 노선(야마다선, 나고야선, 오사카선) 간의 편리한 환승을 돕는다.[2][3]역의 개찰구와 콘코스는 지하에 있으며, 승강장은 지상에 있다. 개찰구는 한 곳이며, 역 아래에는 동서 양쪽을 잇는 지하도(보행자 전용)가 있다. 동쪽과 서쪽 입구에서 지하도로 내려갈 때는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하 개찰구 안과 각 승강장 사이에는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10]
3, 4번 선로에서는 양쪽 문을 모두 열어 승객들이 편리하게 환승할 수 있도록 한다. 특급 및 급행 열차는 대부분 같은 승강장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2번 선로는 보통 열차가 도착할 때만 1번 선로 쪽에서 내릴 수 있다. 6번 선로는 주로 이른 아침이나 심야 시간대를 제외한 오사카선 보통 열차가 사용한다. 1번, 2번(동쪽), 6번 선로는 4량, 2번(서쪽) ~ 5번 선로는 10량 길이의 열차가 정차할 수 있다.[11][12]
승강장 | 노선 | 행선지 | 비고 |
---|---|---|---|
1·2·3 | 야마다선 | 가시코지마 방면 | 1번 승강장은 일부 보통 열차만 정차 |
4·5 | 나고야선 | 긴테쓰 나고야 방면 | 일부 당역 시발 열차는 2·3번 승강장에서 출발, 일부 당역 시발 보통 열차는 1번 승강장에서 출발 |
4·5·6 | 오사카선 | 나바리·오사카우에혼마치·오사카난바 방면 | 6번 승강장은 보통 열차만 정차, 일부 당역 시발 열차는 2·3번 승강장에서 출발 |
오사카 방면에서는 1, 2, 3, 6번 선로(본선은 3번 선로)로, 나고야 방면에서는 1, 2, 3번 선로(본선은 2번 선로)로, 가시코지마 방면에서는 4, 5, 6번 선로(본선은 5번 선로)로 들어올 수 있다. 오사카·나고야 방면으로는 1~6번 선로 모두에서, 가시코지마 방면으로는 1~3번 선로에서 출발할 수 있다.[13][14]
3. 2. 나카가와 단락선
역 구내 서쪽에 오사카선과 나고야선의 각 본선을 단락하여, 오사카 우에혼마치 방면과 긴테쓰 나고야 방면 간을 방향 전환 없이 직통할 수 있는 단선 단락선인 '''나카가와 단락선'''(나카가와 탄라쿠센)이 있다.[15]단락선은 당역의 일부이며, 독립된 노선이 아니고, 신호장조차 아니다. 긴테쓰 노선도에서는 당역을 통과하지 않는 별선으로 그려져 있지만, 단락선을 경유하는 열차는 당역 홈이 있는 부분을 통과하지 않더라도 "당역을 경유"하고, 운임 계산에 있어서도 당역 경유와 아무런 차이가 없다. 오사카 쪽 분기점은 "미야코 분기", 나고야 쪽 분기점은 "구로다 분기"라는 명칭이 있다.
단락선 부설 이전, 명한 특급은 당역 홈 부분에서 방향 전환을 하고 운전 정차를 실시했다. 이 불편을 피하기 위해 방향 전환 없이 명한 특급 운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부설되었다. 나고야선의 궤간 개량 공사와 관련하여, 당초에는 히사이역 부근에서 가와이타카오카역 부근에 4.7km의 신선 건설을 계획, 1959년 2월에 면허를 얻었다. 그러나, 용지 매입의 어려움이나 운즈가와 가교 등의 지출을 고려하여, 결과 이세나카가와역의 동쪽 부근에 연장 420m, 반경 160m의 곡선 형태의 단선을 부설하기로 결정했다(신선 계획은 1963년 1월에 기업 폐지).[15]
1961년 3월 29일에 사용을 개시하였다.[15] 당초에는 명한 갑 특급(일명 논스톱 특급)만 단락선을 이용하고, 명한 을 특급(연선 주요 역 정차 특급)은 종전대로 이세나카가와역에서 스위치백을 실시했지만, 1963년 3월 21일부터 을 특급도 단락선을 사용하게 되었다.[16] 이 때문에, 같은 날을 기점으로 특급 차량의 편성 방향은 오사카선 기준으로 나고야선 기준으로 변경되었다(1961년 3월 29일부터 1963년 3월 21일까지는 명한 갑 특급의 편성 방향이 나고야선 내에서 역전되었다). 승객을 태운 상태에서의 통과는 명한 특급뿐이지만, 이 외에도, 단체용 차량의 편성 방향을 원래대로 되돌릴 때나, 나라선 계통용 일반 차량을 오사카선이나 나고야선에 배치 전환할 때, 팬터그래프의 방향 관계상 방향 전환을 목적으로 단락선을 포함한 당역의 델타선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급커브를 서행하므로 시간 단축 효과는 높지 않지만, 좌석 방향을 바꿀 필요를 해소하는 서비스 면에서의 효과를 얻었다.
1961년에 완성된 단락선에는, 운즈강의 지류인 나카무라강을 가로지르는 콘크리트 교량 부분이 있는데, 이 구조는 나카무라강의 치수에 불충분했다. 그 때문에 국토교통성의 보조를 받아 교량의 개량 공사를 2002년부터 실시하여, 2012년 1월 21일에 완성되어 사용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교량 부분의 개량뿐만 아니라, 단락선의 곡선 반경이 반경 160m에서 반경 200m로 커졌다.[17]
긴테쓰 특급 차량의 "방향"은 앞서 언급했듯이, 1963년 3월 21일 이후로는 나카가와 단락선을 통과하는 [나메이 특급]을 기준으로 하며, [오사카선]과 [나고야선]을 직통하는 특급 차량은 반드시 나카가와 단락선을 경유하며, [이세나카가와역]에서는 스위치백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관계상, [나메이 특급]에 충당되는 특급 차량[18]은 [이세나카가와역] - 가시코지마역 구간에서 [오사카선] 계통의 특급([한이 특급]·[케이이 특급])과 [나고야선] 계통의 특급([메이이 특급])에서 편성의 "방향"이 다르다(계통에 따라 1호차의 위치가 다르다). 이 편성의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원칙적으로 [이세시마] 지역을 발착하는 특급의 되돌림 운용에서는 [메이이 특급]과 [한이 특급]·[케이이 특급]이 서로 바뀌는 운용은 설정되지 않지만, 예외적으로 1980년대의 한때 심야에 [케이이 특급]→[메이이 특급]을 거쳐, 그 되돌림으로 조조 [메이이 특급]→[케이이 특급] 운용이 있었는데,[19] 이 경우에는 [나고야선] 내에서의 편성 방향이 달랐다.
2018년 3월 16일까지 [오사카선]에서 [나고야선]으로 명실상부하게 직통하는 유일한 일반 열차였던 "나바리발 긴테쓰 나고야행" 급행은, 직통할 때 이 단락선을 사용하지 않고,[20] 당역에 정차하여 방향을 전환한 뒤, [나고야선]으로 들어갔다.
4. 이용 현황
"미에현 통계서"에 따르면, 최근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다음과 같다.[27]
연도 | 1일 평균 승차 인원 |
---|---|
1997년 | 3,420 |
1998년 | 3,292 |
1999년 | 3,274 |
2000년 | 3,298 |
2001년 | 3,291 |
2002년 | 3,307 |
2003년 | 3,293 |
2004년 | 3,370 |
2005년 | 3,529 |
2006년 | 3,660 |
2007년 | 3,784 |
2008년 | 3,803 |
2009년 | 3,715 |
2010년 | 3,696 |
2011년 | 3,695 |
2012년 | 3,708 |
2013년 | 3,855 |
2014년 | 3,821 |
2015년 | 3,959 |
2016년 | 4,071 |
2017년 | 4,136 |
2018년 | 4,172 |
2019년 | 4,269 |
2020년 | 2,892 |
2019 회계 연도에는 이 역을 하루 평균 4,369명의 승객이 이용했다(승차 승객만 해당).[5]
다음은 최근 1일 승하차 인원이다.[26]
- 2023년 11월 7일: 6,343명
- 2022년 11월 8일: 6,254명
- 2021년 11월 9일: 5,951명
- 2018년 11월 13일: 7,264명
- 2015년 11월 10일: 7,229명
- 2012년 11월 13일: 6,876명
- 2010년 11월 9일: 7,058명
- 2008년 11월 18일: 7,323명
- 2005년 11월 8일: 6,843명
이세나카가와역의 이용 상황 변천은 아래 표와 같다.
- 수송 실적 (승차 인원)의 단위는 명이며, 연도별 총계 값을 나타낸다. 연도 간 비교에 적합한 데이터이다.
- 승하차 인원 조사 결과는 임의의 1일의 값 (단위: 명)이다. 조사일의 날씨 · 행사 등의 요인에 따라 변동이 크므로 연도 간 비교에는 주의를 요한다.
- 표 중, 최고값을 빨간색으로, 최고값을 기록한 연도 이후의 최저값을 파란색으로, 최고값을 기록한 연도 이전의 최저값을 녹색으로 표기하고 있다.
연도별 이용 상황(이세나카가와역) | |||||||
---|---|---|---|---|---|---|---|
연 도 | 당역분 수송 실적(승차 인원): 명/연도 | 승하차 인원 조사 결과 명/일 | 특 기 사 항 | ||||
통근 정기 | 통학 정기 | 정기 외 | 합 계 | 조사일 | 조사 결과 | ||
1950년(쇼와 25년) | 241,170 | ←←←← | 222,164 | 463,334 | |||
1951년(쇼와 26년) | 275,520 | ←←←← | 238,551 | 514,071 | |||
1952년(쇼와 27년) | 306,000 | ←←←← | 236,579 | 542,579 | |||
1953년(쇼와 28년) | 275,010 | ←←←← | 263,190 | 538,200 | |||
1954년(쇼와 29년) | 298,680 | ←←←← | 282,628 | 581,308 | |||
1955년(쇼와 30년) | 300,300 | ←←←← | 280,926 | 581,226 | |||
1956년(쇼와 31년) | 317,940 | ←←←← | 294,056 | 611,996 | |||
1957년(쇼와 32년) | 351,180 | ←←←← | 263,657 | 614,837 | |||
1958년(쇼와 33년) | 352,560 | ←←←← | 314,402 | 666,962 | |||
1959년(쇼와 34년) | 381,660 | ←←←← | 310,240 | 691,900 | |||
1960년(쇼와 35년) | 439,650 | ←←←← | 299,657 | 739,307 | |||
1961년(쇼와 36년) | 518,580 | ←←←← | 295,622 | 814,202 | |||
1962년(쇼와 37년) | 582,030 | ←←←← | 306,001 | 888,031 | |||
1963년(쇼와 38년) | 620,280 | ←←←← | 298,585 | 918,865 | |||
1964년(쇼와 39년) | 702,510 | ←←←← | 302,213 | 1,004,723 | |||
1965년(쇼와 40년) | 733,290 | ←←←← | 306,760 | 1,040,050 | |||
1966년(쇼와 41년) | 706,050 | ←←←← | 283,360 | 989,410 | |||
1967년(쇼와 42년) | 747,430 | ←←←← | 284,300 | 1,031,730 | |||
1968년(쇼와 43년) | 762,570 | ←←←← | 323,071 | 1,085,641 | |||
1969년(쇼와 44년) | 771,420 | ←←←← | 339,410 | 1,110,830 | |||
1970년(쇼와 45년) | 855,060 | ←←←← | 373,796 | 1,228,856 | |||
1971년(쇼와 46년) | 857,460 | ←←←← | 406,205 | 1,263,665 | |||
1972년(쇼와 47년) | 876,600 | ←←←← | 436,289 | 1,312,889 | |||
1973년(쇼와 48년) | 896,640 | ←←←← | 476,071 | 1,372,711 | |||
1974년(쇼와 49년) | 918,120 | ←←←← | 504,371 | 1,422,491 | |||
1975년(쇼와 50년) | 928,100 | ←←←← | 486,165 | 1,409,265 | |||
1976년(쇼와 51년) | 887,280 | ←←←← | 461,872 | 1,349,152 | |||
1977년(쇼와 52년) | 871,740 | ←←←← | 474,073 | 1,345,813 | |||
1978년(쇼와 53년) | 847,260 | ←←←← | 487,509 | 1,334,769 | |||
1979년(쇼와 54년) | 881,070 | ←←←← | 481,391 | 1,362,461 | |||
1980년(쇼와 55년) | 922,740 | ←←←← | 490,975 | 1,413,715 | |||
1981년(쇼와 56년) | 937,500 | ←←←← | 478,316 | 1,415,816 | |||
1982년(쇼와 57년) | 917,940 | ←←←← | 480,663 | 1,398,603 | 11월 16일 | 6,634 | |
1983년(쇼와 58년) | 927,510 | ←←←← | 479,889 | 1,407,399 | 11월 8일 | 6,759 | |
1984년(쇼와 59년) | 901,950 | ←←←← | 463,835 | 1,365,785 | 11월 6일 | 6,523 | |
1985년(쇼와 60년) | 906,090 | ←←←← | 463,314 | 1,369,404 | 11월 12일 | 6,558 | |
1986년(쇼와 61년) | 912,120 | ←←←← | 463,196 | 1,375,316 | 11월 11일 | 6,956 | |
1987년(쇼와 62년) | 933,990 | ←←←← | 448,776 | 1,382,766 | 11월 10일 | 6,681 | |
1988년(쇼와 63년) | 931,470 | ←←←← | 460,052 | 1,391,522 | 11월 8일 | 6,790 | |
1989년(헤이세이 원년) | 908,610 | ←←←← | 471,572 | 1,380,182 | 11월 14일 | 6,640 | |
1990년(헤이세이 2년) | 927,450 | ←←←← | 482,609 | 1,410,059 | 11월 6일 | 6,939 | |
1991년(헤이세이 3년) | 929,880 | ←←←← | 485,009 | 1,414,889 | |||
1992년(헤이세이 4년) | 930,810 | ←←←← | 491,598 | 1,422,408 | 11월 10일 | 6,937 | |
1993년(헤이세이 5년) | 921,030 | ←←←← | 496,003 | 1,417,063 | |||
1994년(헤이세이 6년) | 1,009,590 | ←←←← | 490,737 | 1,500,327 | |||
1995년(헤이세이 7년) | 903,090 | ←←←← | 455,875 | 1,358,965 | 12월 5일 | 6,392 | |
1996년(헤이세이 8년) | 876,030 | ←←←← | 454,502 | 1,330,532 | |||
1997년(헤이세이 9년) | 814,830 | ←←←← | 433,289 | 1,248,119 | |||
1998년(헤이세이 10년) | 783,900 | ←←←← | 417,709 | 1,201,609 | |||
1999년(헤이세이 11년) | 770,070 | ←←←← | 428,245 | 1,198,315 | |||
2000년(헤이세이 12년) | 769,890 | ←←←← | 434,026 | 1,203,916 | |||
2001년(헤이세이 13년) | 774,240 | ←←←← | 427,137 | 1,201,377 | |||
2002년(헤이세이 14년) | 778,470 | ←←←← | 428,559 | 1,207,029 | |||
2003년(헤이세이 15년) | 780,240 | ←←←← | 425,170 | 1,205,410 | |||
2004년(헤이세이 16년) | 780,060 | ←←←← | 449,872 | 1,229,932 | |||
2005년(헤이세이 17년) | 813,390 | ←←←← | 474,851 | 1,288,241 | 11월 8일 | 6,843 | |
2006년(헤이세이 18년) | 856,140 | ←←←← | 479,676 | 1,335,816 | |||
2007년(헤이세이 19년) | 884,130 | ←←←← | 500,947 | 1,385,077 | |||
2008년(헤이세이 20년) | 891,030 | ←←←← | 496,905 | 1,387,935 | 11월 18일 | 7,323 | |
2009년(헤이세이 21년) | 879,960 | ←←←← | 476,064 | 1,356,024 | |||
2010년(헤이세이 22년) | 868,590 | ←←←← | 480,359 | 1,348,949 | 11월 9일 | 7,058 | |
2011년(헤이세이 23년) | 868,980 | ←←←← | 483,516 | 1,352,496 | |||
2012년(헤이세이 24년) | 857,250 | ←←←← | 496,019 | 1,353,269 | 11월 13일 | 6,876 | |
2013년(헤이세이 25년) | 888,330 | ←←←← | 518,771 | 1,407,101 |
5. 역 주변
역으로서의 인지도나 거점으로서의 높이에 비해 한적한 역 주변이었지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역 주변의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마쓰사카시 전체가 인구 감소 추세에 있는 가운데, 우레시노 지역의 인구는 증가하고 있다[28]。역 서쪽에는 민영 주차장・자전거 주차장, 주택 등이 있었지만, 역전 광장과 은행・맨션이 건설되었다. 동쪽은 논 지대였지만, 버스 터미널과 맨션도 생겨 급속도로 시가지화가 진행되고 있다.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 일본우편 우레시노나카가와 우편국
- 마쓰사카 시립 우레시노 중학교
- 마쓰사카 시립 나카가와 초등학교
- 마쓰사카 시립 나카하라 초등학교
- 마쓰사카 시립 도요다 초등학교
- 마쓰사카 시립 도요치 초등학교
- 마쓰사카 시립 우레시노 도서관
- 우레시노 후루사토 회관
- 미에현 농업연구소
- 미에현 농업대학
- MEGA 돈키호테 UNY 우레시노점 (구・피아고 우레시노점, 2023년 6월 27일 리뉴얼 오픈[29])
- 곤겐마에역 - JR 도카이 메이쇼 선 (남쪽 약 2.2km)
- 이치시우레시노 IC (이세 자동차도)
마쓰사카시 커뮤니티 버스 미쿠모 지역 타케짱 하트 버스
- 코부네에・미쿠모 지역 진흥국・고슈 방면 (1일 5왕복・평일만 운행)
마쓰사카시 우레시노 오킨 버스
- 가미오가와 행 (3왕복. 요일에 따라 아래 2개 루트를 운행)
- A 루트 (월・수・금 운행): 우레시노 지역 진흥국・우레시노 중학교 경유, 당역 종점
- B 루트 (화・목・토 운행): 야쿠오도 병원 경유, 당역을 경유하여 우레시노 지역 진흥국이 기종점
2011년 8월 29일에 그 전까지의 미에 교통의 일반 노선 (72계통 우레시노선)을 커뮤니티 버스로 전환했다.
6. 인접역
(야마다 선 직통)
(상행 1대만, 나고야 선 직통)
(상행 1대만, 오사카 선 직통)
(야마다 선 직통)
(나고야 선 직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