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후는 황제의 정실 부인을 의미하며, 동양에서는 황제국만이 사용할 수 있는 칭호였다. 황후는 황제의 배우자로서 지위와 역할을 가지며, 여러 명의 황후가 있을 경우 정실 황후를 정궁황후 또는 제1 황후로 부른다. 황후는 각국의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중국, 한국, 일본 등에서 그 역할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적 요소가 존재한다. 황후는 종종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보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후 - 프랑스의 군주 배우자
    프랑스의 군주 배우자는 프랑스를 통치한 군주의 배우자를 지칭하며, 각 왕조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프랑스 역사와 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황후 - 에우도키아 마크렌보리티사
    에우도키아 마크렘보리티사는 11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황후이자 섭정으로, 콘스탄티누스 10세 두카스의 황후였으며 그의 사후 아들 미하일 7세의 섭정으로서 제국을 통치했고, 로마노스 4세 디오게네스와 재혼 후 만지케르트 전투 이후 정권을 잃고 은퇴했으며, 학자로서 "제2의 히파티아"로 칭송받았다.
  • 황족 칭호 - 카이저
    카이저는 로마 황제 칭호 카이사르에서 유래한 독일어 단어로 황제를 의미하며,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독일 제국 군주의 칭호로 사용되었고, 오스트리아에서는 최고 수준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일본 천황 지칭, 제왕절개의 어원으로도 쓰인다.
  • 황족 칭호 - 차트라파티
    차트라파티는 인도 마라타 제국의 군주들이 사용한 "황제", "왕", "지도자"를 의미하는 칭호로, 시바지 1세가 마라타 제국 건국 시 처음 사용한 이후 그의 후계자들이 계승하였으며, 현재는 우다얀라제 보살레가 칭호를 이어받고 있다.
황후
정의
설명황후(皇后)는 동아시아의 군주제 국가에서 황제의 배우자를 가리키는 칭호이다. 황제의 적처(嫡妻)만이 황후가 될 수 있었다. 황후는 남편인 황제와 동등한 지위를 누렸으며, 국모로서 국가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호칭 및 지위
존칭폐하(陛下)
자칭짐(朕) 또는 첩(妾)
지위남편인 황제와 동등한 지위를 누림
국모로서 국가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
역사적 역할
역할황실의 안주인으로서 궁궐을 관리
황제의 자녀를 양육하고 후계자를 선정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
국가의 주요 행사에서 황제를 보좌
때로는 섭정을 통해 국정을 운영
황후의 책봉
절차황제의 명에 따라 책봉례를 거행
책보(冊寶, 책과 옥으로 만든 도장)를 하사받음
자격엄격한 기준에 따라 선정
가문, 품성, 지혜, 외모 등이 고려됨
황후와 관련된 용어
태후(太后)선대 황제의 후궁 또는 황제의 생모로서 존경받는 존재
황태후(皇太后)선대 황제의 정실 황후
대비(大妃)조선 시대의 선왕의 계비
중전(中殿)조선 시대의 왕비
각국의 황후
중국중국 황후 목록 참고
한국한국의 황후 목록 참고
일본일본의 황후 목록 참고

2. 황후의 개념

황후는 황제의 정실 부인, 즉 후(后)를 의미한다. '후(后)'는 본래 중국 고대 나라와 나라 시대에 군주를 칭하는 호칭 중 하나였으나, 나라 이후 황제라는 칭호가 일반화되면서 '후'는 황제의 정비(正妃)를 가리키는 황후(皇后)나 황제의 어머니를 뜻하는 황태후(皇太后)를 지칭하는 용어로 변화하였다.

어의적으로 볼 때, 황제가 "천(天)"의 권위에 기반한 칭호인 반면, 황후는 후토(后土)와 같이 "지(地)"에 기반한 칭호로 해석되기도 한다.[1]

2. 1. 명칭 및 호칭

황후의 정식 존칭은 '''전하'''이다. 황후가 머무는 곳을 가리켜 '''중궁''', '''장추궁''', '''초방''' 등으로 부르기도 했다. 구어체에서는 '''낭낭'''이라는 존칭도 사용되었다. 황후가 자신을 낮추어 부를 때는 '''소동''', '''소군'''이라 칭했으며, 황제가 황후를 부를 때는 '''자동'''이라는 애칭을 사용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중국의 황후는 출신 가문의 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나라 제3대 황제인 고종의 두 번째 황후 무조는 황후 시절 "무황후"가 정식 이름이었다. 또한, 황후를 시호로 부르는 경우도 많았다.

일본 황실의 경우, 황실전범에 규정된 황후의 경칭은 "폐하"(제23조)이다.[2] 현대 일본의 매스 미디어나 보도 기관, 서적, 정부 기관 등에서는 정식 경칭을 붙인 '''황후폐하''' こうごうへいか|고고헤이카일본어와 함께 "황후" さま|사마일본어 こうごうさま|고고사마일본어라는 표기도 사용된다. 또한 가회시에서는 "황후궁 어가" きさいのみやのみうた|키사이노미야노미우타일본어와 야마토 말인 "황후궁" きさいのみや|키사이노미야일본어이 사용된다. 일본 매스 미디어 등에서는 남편인 천황과 함께 '''천황 황후 양 폐하''' てんのうこうごうりょうへいか|덴노 고고 료헤이카일본어 또는 단순히 '''양 폐하''' りょうへいか|료헤이카일본어라고 칭하는 것이 관례이다.

2. 2. 황후와 황비

황후는 황제의 정실 부인인 후(后)를 뜻하며, 간단히 정실(正室)이라고도 한다. 동양에서는 전통적으로 황제국의 군주만이 정실 부인을 후(后)라고 칭할 수 있었다. 예외적으로 황제의 어머니인 태후(太后)도 후(后) 칭호를 사용했으며, 서태후가 유명한 예이다.

한편, 후(后)보다 한 단계 낮은 등급으로 비(妃)가 있다. 황비(皇妃)는 황제의 정실 부인이 아닌 후궁을 가리키며, 소실(小室) 또는 부실(副室)로도 불린다.

황후를 여럿 두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때 첫 번째 황후를 정실황후, 정궁황후 또는 제1 황후라 불렀다. 그 외 황후는 순서에 따라 제2 황후, 제3 황후 등으로 칭했다. 이는 주로 원나라에서 볼 수 있었던 방식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황후는 한 명만 두는 것이 원칙이었다.

황후가 일찍 사망하거나 자격을 잃으면 새로운 황후를 세우기도 했다. 이렇게 새로 책봉된 황후 역시 정실이지만, '정실'보다는 후실(後室) 또는 계실(繼室)로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

3. 각국의 황후

"황후"라는 칭호는 본래 중국의 역대 왕조가 내세운 정치적 세계관에서 세계 전체의 지배자인 천자(황제)의 정실 부인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이에 따라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는 최고 통치자의 칭호가 황제이거나 그와 동등한 지위일 경우, 그의 정실 부인을 황후라고 칭했다. 반면, (국왕, 군왕 등)은 황제 아래에서 특정 지역이나 민족의 군주로 여겨졌다.

한자 문화권 밖의 국가에서도 여러 지역과 민족을 아우르는 상위 군주가 존재할 경우, 이 군주를 황제로 번역하는 관례가 있다. 이러한 번역 관례에 따라 '황제'로 번역되는 군주의 부인 역시 '황후'로 번역된다.

3. 1. 한국의 황후


  • 신의고황후 - 조선 태조의 정후. 사후 왕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 신덕고황후 - 조선 태조의 계후. 생전에는 조선 최초의 왕비, 왕후였고, 사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 명성태황후 - 고종의 황후. 생전에는 왕비, 왕후였고, 고종이 황제로 즉위하면서 정식 황후로 책봉되었다. 추존, 추증, 추승이 아니다.
  • 순명효황후 - 순종의 정후. 생전에는 황태자비였고, 사후 황후로 추증되었다.
  • 순정효황후 - 순종의 계후. 생전에 황후였던 유일한 인물이며,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후이다.

3. 2. 중국의 황후

중국에서는 군주의 칭호가 은· 시대의 "(王)"에서 진나라 이후 "황제(皇帝)"로 바뀌었지만, 그 이전부터 "후(后)"라는 칭호가 존재했다. 군주 칭호가 왕, 황제로 변하면서 '후'는 그 다음가는 지위의 칭호가 되었다. 황제의 정식 부인을 황후(皇后), 황제의 어머니를 황태후(皇太后)라고 부르게 된 것은 이러한 배경에서이다.

황제가 "천(天)"의 권위에 기반한 칭호라면, 황후는 후토처럼 "지(地)"에 기반한 칭호로 여겨졌다.[1] 황제의 조서를 '성지(聖旨)'라고 하는 반면, 황후의 조서는 '의지(懿旨)'라고 불렀다. 황후가 사망했을 때는 황제와 마찬가지로 '붕(崩)'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성인이 된 황제는 즉위 전에 정식 부인(적처)이 있는 경우가 보통이며, 이 적처는 기본적으로 황후로 책봉된다. 하지만 측비의 자리에 머무는 경우(허평군, 의안곽황후 등)도 있었다. 어린 황제가 즉위하여 적처가 없는 경우에는, 후궁 후보를 맞이하여 결혼과 황후 책봉(입후)을 동시에 거행했는데, 이를 "대혼(大婚)"이라고 불렀다(효철의황후 등).

황제가 전처와 사별하거나 헤어진 후 궁 밖에서 새로운 후처를 맞이하는 경우(자성광헌조황후 등)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기존의 후궁 중에서 황후로 승격시키는 방식이었다. 또한, 새로운 황후를 맞이하지 않은 황제도 많았는데, 예를 들어 의 현종은 왕황후를 폐위시킨 후에도 총애하던 후궁 무혜비양귀비를 황후로 삼지 않았다.

중국의 여러 왕조에서는 실권을 쥔 황제가 자신의 의지에 따라 황후를 세웠다. 신분이 높은 가문 출신 여성이 황후로 간택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신분이 낮은 여성이 황제의 총애를 받으면 황후가 될 수도 있었다. 심지어 기녀, 노예, 유민 출신의 여성이 황후가 된 사례(조비연, 반숙, 신민경황후 등)도 있다. 초혼이 아닌 경우도 있었는데, 왕황후(전 남편은 일반인), 장헌명숙황후(전 남편은 일반인), 측천무후 (원래 선대 황제의 후궁), 양헌용 (원래 다른 나라의 황후) 등 여러 명이 재혼하여 황후가 되었다.

한족 왕조에서는 황후의 정원이 1명이었으나, 이민족 왕조에서는 여러 명의 황후를 두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북주의 선제는 동시에 5명의 황후를 두었고, 의 세종에게도 동시에 2명의 황후(견황후, 회절소황후)가 있었다.

남편인 황제가 사망(붕어)하고 아들 세대(친아들, 서자, 양자, 조카 등)의 황제가 즉위하면 황후는 황태후가 되었다. 하지만 남편과 같은 세대의 황제가 즉위한 경우에는 황태후가 되지 않고, 선대 황제의 황후로서 존호를 받았다(효장황후, 효정하황후 등).

정식으로 황후에 책봉되지는 않았지만 사후에 황후로 추증되는 경우도 있었다. 추증된 황후는 일반적으로 정식 황후보다 예법상의 지위가 낮았다. 추증 대상은 주로 황제가 즉위하기 전에 사망한 적처, 황제의 생모, 또는 황제의 정처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던 후궁(특별히 총애받거나 후궁들을 총괄했던 후궁 등)이었다.

중국의 주요 황후
황후남편(황제)주요 특징 및 업적
고황후 여씨한 고조중국 최초의 황후, 남편 사후 황태후로서 실권 장악
문헌황후 독고씨수 문제일부일처제 주장, 정치 관여
문덕황후 장손씨당 태종현명함으로 황제 보좌, 후대 황후의 모범
측천무후당 고종계후에서 시작하여 중국 역사상 유일한 여황제가 됨 (무주 건국)
황후 위씨당 중종측천무후를 모방하여 권력 장악 시도
보현숙성황후 기씨원 혜종고려 출신, 제2황후에서 제1황후가 됨, 고려 내정 간섭에 영향
효자고황후 마씨명 태조(홍무제)빈천한 출신에서 황후가 되어 명나라 건국에 기여
효장문황후 박이제길특씨 (추존)청 태종(숭덕제)후궁 출신, 아들 순치제 즉위 후 황태후로서 청 초기 정치 안정에 기여
효흠현황후 엽혁나랍씨 (추증)청 문종(함풍제)후궁 출신, 동치제, 광서제 시기 수렴청정으로 장기 집권


기록 상의 황후들

3. 3. 일본의 황후

『고지키』와 『일본서기』에 따르면 고대 일본에서는 대왕의 아내를 "키사키"(后)라 불렀고, 그중 최고위의 자를 "오오키사키"(大后/皇后)라고 칭하여 다른 첩들과 구별했다. '황후'라는 칭호는 다이호 율령 제정 이후 명문화되었으며[5], 고묘 황후729년(덴표 원년)에 즉위한 것이 기록상 최초의 황후이다. 현 천황 나루히토의 황후는 황후 마사코이다(2019년 5월 1일 즉위).

현 천황 나루히토와 황후 마사코


현행 황실전범에 규정된 황후의 경칭은 "폐하"이다(제23조)[2]. 현대의 매스 미디어나 정부 기관 등에서는 정식 경칭인 "황후 폐하"와 함께 "황후님(さま)"이라는 표기도 사용한다. 천황과 함께 언급될 때는 "천황 황후 양 폐하" 또는 단순히 "양 폐하"라고 칭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참고로 다이호 율령 하에서의 경칭은 "전하"였다.

황후를 새로 책봉하는 립후(立后)에는 황실 회의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황실전범 제10조). 하지만 이미 황사(황태자 등)의 비(친왕비 또는 왕비)인 경우, 남편인 황사가 천황으로 즉위함에 따라 자동으로 황후가 된다. 황후는 내정 황족에 속하며, 섭정, 국사 행위 임시 대행, 황실 회의 의원의 취임 권한이 인정된다.

황후가 붕어하면 에 장사 지낸다(황실전범 제27조). 다이쇼 천황의 황후인 메이쇼 황후 이후, 황후 또는 황태후가 붕어했을 때에는 "◯◯ 황후"로 추호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3].

식전이나 의식에서는 항상 천황의 왼쪽(보는 사람 기준 오른쪽)에 위치한다. 이는 전통적으로 오른쪽이 상위였으나 근대에 들어 서양식에 따라 왼쪽이 상위로 바뀐 것에 따른 것이다.

황후의 역할 중 하나로, 근현대에 대표적인 공무인 일본 적십자사 명예 총재직 외에 양잠이 있다. 『일본 서기』에도 황후가 양잠을 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근대에 메이지 천황의 황후인 쇼켄 황태후가 이를 부활시켰다. 이후 메이쇼 황후(다이쇼 천황 후), 고준 황후(쇼와 천황 후), 미치코 상황후(아키히토 상황 후), 현 황후 마사코(나루히토 천황 후)에 이르기까지 역대 황후에게 계승되었다[4]. 1914년(다이쇼 3년) 이후에는 황거 내의 홍엽산 어양잠소에서 양잠이 행해지고 있다.

헤이안 시대에는 중궁이 황후를 가리키기도 했다. 후세에 "키사키"가 황후의 의미를 나타내게 되면서, 황후를 황후궁(きさいのみや), 후궁(きさいのみや), 하나의 후(이치노키사키) 등으로 불렀다. 이에 따라 황후를 어머니로 하는 황자녀를 후복·비복(키사이바라)이라고 한다. 당나라 풍의 별칭(당명)으로는 장추궁(長秋宮), 추궁(秋宮), 또는 한나라의 예에 따라 초방(椒房), 초정(椒庭), 초위(椒掖)라고 칭했다. 와명(和名)으로는 팔운어초나 후습유화가집에 보이는 "자색 구름(紫の雲)" 등이 있다. 그 외에는 자색 궁(紫の宮), 북궁(北宮), 북쪽 분(北の方) 등으로도 불렸다.

역사적으로는 주아이 천황의 황후인 진구 황후 등이 있으며, 근현대 인물로는 아키히토 천황의 황후였던 미치코 상황후, 현 나루히토 천황의 황후인 황후 마사코 등이 있다.

4. 황후와 관련된 문화

황후는 단순히 황제의 배우자를 넘어,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다양한 상징과 역할을 지닌 존재였다. 황후의 지위는 적의(翟衣)와 봉관(鳳冠)과 같은 고유한 복식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되었으며, 이는 황제의 예복과 짝을 이루며 위계를 나타냈다. 또한 음양오행설에서는 황후를 음의 정점으로 보아 양의 정점인 황제와 대응되는 우주론적 존재로 인식하기도 했다. 이러한 관념은 황후가 후궁 제도의 정점에서 후궁들을 다스리는 역할로 이어지기도 했다. 특히 일본에서는 황후가 뛰어난 가인(歌人)으로서 문학 활동을 주도하고 문인들의 살롱을 형성하여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독특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4. 1. 복식

송나라 황후의 적의와 봉관


황후의 전통적인 예복은 적의(翟衣)이며, 짙은 청색 바탕에 금계(金鷄)를 비롯한 여러 새 문양을 수놓았다. 머리에 쓰는 예관은 시대에 따라 달랐는데, 당나라 이전에는 십이화수관(十二花樹冠)을 착용했고 송나라 이후에는 봉관(鳳冠)을 썼다. 이는 황제의 예복인 곤의(袞衣)와 예관인 십이류 면관(十二旒 冕冠)에 각각 대응하는 것이다.

4. 2. 음양오행

음양오행설에서는 남자를 (陽), 여자를 (陰)으로 보았으며, 황제와 황후는 각각 양과 음의 정점에 위치하는 존재로 여겨졌다. 따라서 황제가 삼공(三公)과 구경(九卿) 이하의 관료 조직을 거느리는 것처럼, 황후 역시 후궁 제도 안에서 삼부인(三夫人), 구빈(九嬪), 이십칠세부(二十七世婦), 팔십일어처(八十一御妻)와 같이 3의 배수로 늘어나는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4. 3. 후궁 제도

음양오행설에서는 남자를 양, 여자를 음으로 보았으며, 각각의 정점에 황제와 황후가 위치한다고 여겼다. 이러한 관념에 따라, 황제가 삼공구경 이하의 관료 조직을 통솔하는 것처럼, 황후는 후궁 제도의 정점에서 후궁들을 다스리는 역할을 맡았다. 황후 아래에는 일반적으로 삼부인(三夫人), 구빈(九嬪), 이십칠세부(二十七世婦), 팔십일어처(八十一御妻)와 같이 3의 배수로 증가하는 계층 구조를 가진 후궁 조직이 존재했다.

4. 4. 가인(歌人) 황후

일본의 황후는 종종 뛰어난 가인(和歌를 짓는 사람)이었으며, 주변에 문인들이 모이는 살롱을 형성하여 학예를 진흥하기도 했다. 다음은 가인으로 활약한 주요 황후들이다.

참조

[1] 서적 ファーストエンペラーの遺産 秦漢帝国 講談社 2004-11
[2] 웹사이트 宮内庁公式サイト 英語版 https://www.kunaicho[...]
[3] 문서
[4] 뉴스 "蚕-皇室のご養蚕と古代裂,日仏絹の交流」展の開催について http://www.kunaicho.[...] 宮内庁 2014
[5] 문서
[6] 웹사이트 Snorql for Japan Search 持統天皇 https://jpsearch.go.[...]
[7] 웹사이트 Snorql for Japan Search 藤原定子 https://jpsearch.go.[...]
[8] 웹사이트 Snorql for Japan Search 藤原彰子 https://jpsearch.go.[...]
[9] 웹사이트 Snorql for Japan Search 藤原妍子 https://jpsearch.go.[...]
[10] 웹사이트 Snorql for Japan Search 永福門院 https://jpsearch.go.[...]
[11] 웹사이트 Snorql for Japan Search 後京極院 https://jpsearch.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