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주의적 지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주의적 지원은 국제 연합 총회 결의 46/182 및 재해 경감에 있어서의 국제 적십자 및 국제 적신월사 및 NGO에 관한 운영 규약에 따라 정부, 비정부 기구 등에 의해 제공되는 지원을 의미한다. 식량 지원, 의료 지원, 자금 조달, 지원 전달, 기술 및 데이터 활용, 젠더 관련 문제 등 다양한 유형과 측면을 포함하며, 개인, 기업, 정부 등의 기부를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 인도주의적 지원은 19세기 말부터 시작되어 20세기 초, 1980년대 이후, 2000년대 이후 등 시기를 거치면서 발전해 왔으며, 스피어 프로젝트, CHS, HAP 인터내셔널 등과 같은 표준을 통해 책임성, 질, 성과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주의 - 지진 대비
    지진 대비는 지진 발생 시 생존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생존 및 완화 대책을 마련하고, 개인, 사회, 건축물 수준에서 심리적 대비, 교육 및 훈련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 인도주의 - 인도주의적 위기
    인도주의적 위기는 자연 재해 및 인재로 인해 사회, 경제, 환경, 정신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식량 부족, 난민 발생, 질병 확산, 정신 건강 문제 등을 야기하여 국제 사회는 유엔을 중심으로 위기 대응 및 복구 노력을 기울이고 지역 사회 역량 강화를 통해 장기적인 회복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도주의적 지원

2. 인도주의적 지원의 유형

인도주의적 지원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각 유형은 특정한 필요와 상황에 대응한다.

식량 지원은 식량 공급이 긴급하게 필요한 국가, 특히 자연 재해를 겪은 국가에 제공되는 지원이다. 식량 지원 방식에는 기증국으로부터 식량을 수입하거나, 현지에서 식량을 구매하거나, 현금을 제공하는 방식 등이 있다. 식량 지원으로 인한 식량 가격 변화는 복지에 엇갈린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국제 원조 프로그램에서 긍정적인 효과만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4]

인도주의적 지원은 국제 연합 총회 결의 46/182[104] 및 재해 경감에 있어서의 국제 적십자 및 국제 적신월사 및 NGO에 관한 운영 규약에 따라 정부 당국자, 비정부 기구, 그 외 비정부 인도주의 당사자에 의해 행해진다.

2. 1. 식량 지원

식량 지원은 식량 공급이 긴급하게 필요한 국가, 특히 자연 재해를 겪은 국가에 제공되는 지원의 일종이다. 식량 지원은 기증국으로부터 식량을 수입하거나, 현지에서 식량을 구매하거나, 현금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4]

식량 지원으로 인한 식량 가격 변화는 복지에 엇갈린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국제 원조 프로그램에서 긍정적인 효과만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식량 원조가 현지 식생활에 맞지 않으면 소비 패턴을 왜곡시킬 수 있다. 식량 원조는 주로 온대 기후 지역에서 수출되는데, 수혜국은 대개 열대 기후이므로 현지에서 재배되는 주요 작물과 다를 수 있다. 식량 수출은 소비자의 선호를 바꾸고, 새로운 식품을 소개하며, 이전에는 익숙하지 않거나 식단의 작은 부분을 차지했던 식품에 대한 수요를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4]

1970년대 중반과 1980년대 중반의 식량 위기 동안 서아프리카 사헬 지역에 대량의 밀과 쌀이 수입되면서, 소비자 수요가 토착 곡물인 (millet)와 수수(sorghum)에서 (wheat)과 같은 서구 작물로 바뀌는 현상이 나타났다. 2000년 케냐 북부의 가뭄 동안에는 창가 (changaa, 현지에서 증류한 술)의 가격이 하락하여 소비가 증가했는데, 이는 곡물 식량 원조 유입으로 인해 비공식 증류 산업에 저렴한 원료가 더 많이 공급되었기 때문이다.[5]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식량 원조 배분 패턴은 소비 패턴을 변화시키고, 목축과 같은 활동의 위치 변화를 유발하여 의도치 않게 자연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케냐 북부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식량 원조 배분은 배분 지점 주변에 가축이 집중되도록 하여 지역적인 목초지 황폐화를 유발하고, 통곡물 형태의 식량 원조는 더 많은 조리가 필요하여 땔감 소비를 늘려 산림 벌채를 유발한다.[6][7]

식량 원조의 의도하지 않은 영향으로는 노동 및 생산 의욕 저하, 수혜자의 식량 소비 패턴 및 천연 자원 사용 패턴 변화, 사회 안전망 왜곡, NGO 운영 활동 왜곡, 가격 변화, 무역 대체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원조 프로그램의 비효율적인 목표 설정과 부적절한 시기에 발생한다. 식량 원조는 현지 제품의 가격을 떨어뜨려 생산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지만, 생산자는 식량 원조의 수혜자가 아니다. 의도하지 않은 피해는 식량 원조가 부적절한 시기에 도착하거나 구매될 때, 식량 원조 분배가 식량 부족 가구를 제대로 대상으로 하지 않을 때, 그리고 현지 시장이 국가, 지역 및 세계 시장과 제대로 통합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

식량 원조는 적어도 세 가지 방식으로 현지 또는 국가의 식량 가격을 떨어뜨릴 수 있다.

# 식량 원조의 현금화는 시장에 물량을 늘려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현금화 권한을 받으려면 운영 기관은 수혜 국가가 적절한 저장 시설을 갖추고 있고, 현금화된 상품이 국내 농업 또는 국내 마케팅에 큰 의욕 저하를 초래하지 않을 것임을 증명해야 한다.[28]

# 원조를 받는 가구는 받는 상품이나 현지에서 생산되는 대체재에 대한 수요를 줄이거나, 대체재 또는 받는 상품을 생산하는 경우 더 많이 판매할 수 있다. 식량 원조 수혜 지역의 인구는 식량 원조 수혜 여부(수혜자 대 비수혜자)와 식량을 순 판매자인지 순 구매자인지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순 판매자는 생산물에 대해 더 낮은 가격을 받기 때문에, 식량 원조나 다른 형태의 보상을 받지 못하면 불리하다.[29]

# 수혜자는 식량 원조를 판매하여 다른 필수품 또는 보완재를 구매할 수 있어 식량 원조 상품 및 대체재의 가격을 낮추는 동시에 보완재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수혜 경제는 취약하며, 식량 원조 유입은 대규모 가격 하락을 유발하여 생산자 이윤을 감소시키고, 생산자가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하며,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능력과 인센티브를 모두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흉작기에 북부 케냐의 가구에 직접 또는 노동-지원 식량(FFW) 프로그램을 통해 배포된 식량 원조는 개량된 종자, 비료 및 고용된 노동력과 같은 농업 투입재 구매 증가를 촉진하여 농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30][31] 노동 왜곡은 노동-지원 식량(FFW) 프로그램이 수혜자의 농장/사업장에서의 작업보다 더 매력적일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는 FFW가 즉시 지급하거나, 가구가 FFW 프로젝트의 수익을 자체 토지에서의 노동으로 얻는 수익보다 더 높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량 원조 프로그램은 현지 사적 생산에서 생산 투입물을 빼앗아 소득 효과가 아닌 대체 효과로 인한 왜곡을 초래한다.[29]

노동 의욕 저하 효과 외에도, 식량 원조는 가구 수준의 생산을 위축시키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부적절한 시기의 원조와 시장 가격보다 높은 FFW 임금은, 특히 FFW 의무가 생산 주기의 중요한 부분 동안 가구 자체의 기업에 대한 노동력을 감소시키는 경우, 현지 사적 사용으로부터 노동력을 전환하여 부정적인 의존성을 유발한다. 이러한 유형의 의욕 저하는 식량 원조 수혜자뿐만 아니라 식량 원조 유입 지역에 판매하는 생산자에게도 영향을 미친다.[32][33][34][35][36]

FFW 프로그램은 종종 무상으로 배포되는 식량과 관련된 의존 증후군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된다.[29] 그러나 제대로 설계되지 않은 FFW 프로그램은 무상 식량 배포의 이점보다 현지 생산에 더 많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취약한 경제에서는 FFW 프로그램 설계가 적절한 임금률을 결정하는 것만큼 간단하지 않다. 에티오피아 농촌 지역의 증거[37]에 따르면, 고소득 가구는 잉여 노동력이 있어 시간이 덜 소요되어 이러한 노동력을 FFW 계획에 할당했지만, 가난한 가구는 노동력 부족으로 참여할 수 없었다. 캄보디아의 FFW 프로그램은 추가적인 고용원이자 대안이 아니며, 극빈층은 노동력 제약으로 인해 거의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30]

2. 2. 의료 인도주의적 지원

의료 인도주의적 지원에는 의료 물품과 장비 제공, 피해 지역에 전문가 파견, 현지 의료진의 장기 교육 등이 있다.[8] 이러한 지원은 국제 기구들이 자연 재해, 전쟁 및 사람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국가 정부의 글로벌 지원 및 파트너십 필요성에 대응하면서 등장했다.[8] 인도주의적 지원 단체는 종종 전개되는 국내 분쟁에 대한 정부의 접근 방식과 충돌했으며, 이러한 경우 정치적 또는 민족적 소속에 관계없이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자율성을 추구해 왔다.[8]

인도주의적 의료 지원 분야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여러 조직이 종종 동일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존재한다. 특정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기보다는 조직 간 경쟁이 벌어지는 경우가 많아 치료 및 물품 공급에 병목 현상이 발생한다.[9] 둘째, 인도주의적 조직이 다음에 닥칠 일에 대한 계획 없이 특정 재해나 유행병에만 집중한다. 국제기구는 종종 해당 지역에 진입하여 단기적인 지원을 제공한 후, 이 의료 서비스를 유지하거나 지속할 수 있는 현지 역량을 확보하지 않은 채 철수한다.[10] 셋째, 인도주의적 의료 지원은 생의학적 접근 방식을 취하는데, 이는 영향을 받는 지역의 건강과 웰빙에 대한 대안적인 믿음과 관행을 항상 고려하지 않는다.[11] 이러한 문제는 대부분의 연구가 기부자 또는 서구화된 인도주의적 조직의 관점이 아닌 수혜국의 관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의 탐구되지 않는다.[12] 현지인들이 생의학적 접근 방식을 수용하도록 장려하는 동시에 특정 민족의 문화와 신념을 존중하는 방법을 찾는 것은 인도주의적 지원 조직, 특히 위기가 발생할 때마다 끊임없이 새로운 지역에 진입하는 조직에게 주요 과제로 남아 있다. 그러나 기존의 지역적 접근 방식과 함께 일관성 있게 지원을 제공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인도주의적 지원 활동에 대한 현지인들의 수용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이다.

2. 3. 기타 지원

유엔은 이주민과 난민의 재정착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다면적인 접근 방식을 시행한다.[20] 여기에는 아동의 지역 교육 시스템 통합, 식량 안보, 보건 서비스 접근성이 포함된다.[21]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인도주의적 수송을 포함하며, 이주민과 난민이 기본적인 물품과 서비스, 노동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유지하도록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0] 쉼터, 깨끗한 물, 아동 보호에 대한 접근성을 포함한 기본적인 필요는 유엔의 사회 통합 및 실향민의 법적 정착 지원 노력을 통해 보완된다.[21]

3. 인도주의적 지원의 자금 조달

인도주의적 지원은 개인, 기업, 정부 및 기타 단체의 기부를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 인도주의적 지원의 자금 조달과 제공은 점점 더 국제화되어 대규모 재난에 대한 대처를 훨씬 더 빠르고, 더 신속하게, 더 효과적으로 만들고 있다(예: 중앙긴급대응기금 참조).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유엔 총회 결의안 46/182에 따라 위기 또는 비상사태에 대한 국제적인 인도주의적 대응을 조정한다. 구호의 필요성은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이용 가능한 재정 자원을 훨씬 넘어섰다.[13]

중앙긴급대응기금은 2005년 유엔 총회에서 창설되었다.[14]

4. 인도주의적 지원의 전달

인도주의적 지원은 유엔과 같은 양자, 다자 또는 정부 간 기구에서 파견된 구호 활동가뿐만 아니라 피해 당사자, 시민 사회, 지역 비공식 최초 대응자, 디아스포라, 기업, 지방 정부, 군대, 지역 및 국제 비정부 기구 등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제공된다.[16]

지원이 전달되는 방식은 지원의 질과 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재난 상황에서 국제 구호 기관은 종종 지역 기관과 협력하며, 이들 기관 간의 협의는 제공되는 지원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17]

인도적 지원은 국제 연합 총회 결의 46/182[104] 및 재해 경감에 있어서의 국제 적십자 및 국제 적신월사 및 NGO에 관한 운영 규약에 따라 정부 당국자나 비정부 기구, 그 외 비정부 인도주의 당국자에 의해 행해진다.

4. 1. 지원 전달 방법

인도주의적 지원은 식량 지원, 쉼터, 교육, 의료 또는 보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 광범위한 활동을 포괄한다. 대부분의 지원은 현물 또는 지원 형태로 제공되며, 현금 및 바우처는 전체 인도주의 지출의 6%에 불과하다.[15] 그러나 현금 이체가 수혜자에게 선택권과 통제력을 제공하고, 비용 효율적이며, 지역 시장 및 경제에 더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15]

라이베리아에서 식량을 분배하는 세계 식량 계획


인도주의적 지원은 유엔과 같은 양자, 다자 또는 정부 간 기구에서 파견된 구호 활동가를 통해서만 제공되는 것이 아니다. 피해 당사자 자신, 시민 사회, 지역 비공식 최초 대응자, 시민 사회, 디아스포라, 기업, 지방 정부, 군대, 지역 및 국제 비정부 기구와 같은 주체는 인도주의적 지원의 적시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6]

지원이 어떻게 전달되는지는 지원의 질과 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종종 재난 상황에서 국제 구호 기관은 지역 기관과 협력하여 일한다. 이러한 기관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협의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협의는 제공되는 하드 및 소프트 지원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17]

유엔은 이주민과 난민의 재정착 과정 전반을 지원하기 위해 다면적인 접근 방식을 시행한다.[20] 여기에는 아동의 지역 교육 시스템 통합, 식량 안보, 보건 서비스 접근성이 포함된다.[21] 이 접근 방식은 또한 인도주의적 수송을 포함하며, 그 목표는 이주민과 난민이 기본적인 물품과 서비스 및 노동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유지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20] 쉼터, 깨끗한 물, 아동 보호에 대한 접근성을 포함한 기본적인 필요는 유엔의 사회 통합 및 실향민의 법적 정착 지원 노력으로 보완된다.[21]

인도적 지원은 국제 연합 총회 결의 46/182[104] 및 재해 경감에 있어서의 국제 적십자 및 국제 적신월사 및 NGO에 관한 운영 규약에 따르면 정부 당국자나 비정부 기구, 그 외 비정부 인도주의 당국자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자금은 개인, 기업, 정부 등의 조직으로부터 기부로 충당된다. 인도주의적 지원의 자금과 배분은, 점점 더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대규모 긴급 사태에 신속하고 효과적인 지원을 용이하게 하는 국제적인 단계에서 조직된다(예: 중앙긴급지원기금 참조).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유엔 총회 결의 46/182에 따라 위기나 긴급 사태에 대한 국제 인도주의 지원 조정을 실시하고 있다.

4. 2. 인도주의적 접근

인도주의적 접근은 재난, 분쟁 및 복합적인 비상사태 이후 인도주의적 지원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안전하게 접근하는 것을 확보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원조 기관들은 개입에 대한 동의를 얻기 위해 인도주의적 원칙인 인도, 공정성, 중립성을 옹호한다. 그러나 안전한 접근을 확보하는 것은 종종 협상과 인도주의적 외교를 포함한다.[18] 인도주의적 외교는 인도주의적 행위자들이 취약한 사람들의 이익을 위해 모든 상황에서 근본적인 인도주의 원칙을 존중하며 행동하도록 의사 결정권자 및 지도자들을 설득하는 데 사용된다.[19] 그러나 인도주의적 외교는 국가 행위자들에 의해 외교 정책의 일부로 사용되기도 한다.[19]

유엔은 이주민과 난민의 재정착 과정 전반을 지원하기 위해 다면적인 접근 방식을 시행한다.[20] 여기에는 아동의 지역 교육 시스템 통합, 식량 안보, 보건 서비스 접근성이 포함된다.[21] 이 접근 방식은 인도주의적 수송을 포함하며, 그 목표는 이주민과 난민이 기본적인 물품과 서비스 및 노동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유지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20] 쉼터, 깨끗한 물, 아동 보호에 대한 접근성을 포함한 기본적인 필요는 유엔의 사회 통합 및 실향민의 법적 정착 지원 노력으로 보완된다.[21]

인도적 지원은 국제 연합 총회 결의 46/182[104] 및 재해 경감에 있어서의 국제 적십자 및 국제 적신월사 및 NGO에 관한 운영 규약에 따르면 정부 당국자나 비정부 기구, 그 외 비정부 인도주의 당국자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4. 3. 기술 및 데이터 활용

2010년 아이티 지진 이후, 인도주의적 지원은 인도주의적 활동을 강화하고, 유엔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OCHA)과 같은 공식적인 인도주의 기구와 디지털 인도주의자로 알려진 비공식 자원봉사자 및 기술 커뮤니티 간의 상호 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기술을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22]

최근 빅 데이터, 고해상도 위성 이미지의 증가와 첨단 컴퓨팅 기반의 새로운 플랫폼 등장은 인도주의 기구가 재해 발생 시 생성되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위기 매핑 개발을 촉진했다. 예를 들어, 2010년 아이티 지진허리케인 샌디 동안 오픈스트리트맵과 같은 크라우드 소싱 지도 및 트위터의 소셜 미디어 메시지를 사용하여 실종된 사람, 인프라 피해에 대한 정보를 추적하고 긴급 상황에 대한 새로운 경고를 제기했다.[23]

4. 4. 젠더와 인도주의적 지원

인도주의적 위기가 발생하기 전에도 젠더 차이는 존재한다. 여성은 유급 노동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이며, 아동 결혼의 위험에 처해 있고, 강간 및 가정 폭력과 같은 성 기반 폭력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다.[24] 분쟁과 자연 재해는 여성의 취약성을 악화시킨다.[25] 따라서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할 때, 유엔과 같은 인도주의적 행위자는 인도주의적 대응에 여성 특유의 과제를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구 간 상설 위원회는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할 때 젠더를 요소로 포함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인도주의적 행위자에게 제공한다. 위원회는 어떤 집단이 어떤 유형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성별 및 연령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수집할 것을 권고한다.[26] 최근 몇 년 동안, 유엔은 성별 및 연령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점점 더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젠더 전문가와 상담하고 있다. 평가 단계에서 여러 유엔 기구가 만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도주의적 대응 계획을 수립한다.[27] 계획 전반에 걸쳐 여성 특유의 과제가 나열되고 성별 및 연령별로 분류된 데이터가 사용되므로, 인도주의적 위기에 직면한 국가에 지원을 제공할 때 소녀와 여성은 필요한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5. 인도주의적 지원의 문제점

원조#비판도 참고하십시오.

인도주의적 지원은 여러 문제점에 직면해 있다.


  • 경제 왜곡: 식량 원조는 현지 생산 의욕을 저하시키고, 소비 패턴을 변화시키며, 가격 하락을 유발하여 경제를 왜곡시킬 수 있다.[32][33][34][35][36] 특히, 식량 원조의 현금화는 시장에 식량을 과잉 공급하여 공급을 증가시키고,[28] 원조 수혜 가구는 현지 생산 대체재 수요를 줄이거나 판매를 늘려 가격을 하락시킨다.[29] 또한, 식량 원조는 노동력 배분을 왜곡하여 현지 생산에서 생산 투입물을 빼앗을 수 있다.[29]

  • 소비 패턴 변화: 온대 기후 지역에서 생산된 식량이 열대 기후 지역에 지원될 경우, 현지 재배 작물과 달라 소비자 선호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970년대와 1980년대 서아프리카 사헬 지역에서는 밀과 쌀의 대량 수입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토착 곡물인 (millet)와 수수(sorghum) 대신 (wheat)을 선호하게 되었다.[4]

  • 환경 문제: 식량 원조는 목축 활동 위치 변화를 유발하여 자연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케냐 북부에서는 식량 원조 배분 지점 주변에 가축이 집중되어 목초지가 황폐화되고, 통곡물 형태의 식량 원조는 더 많은 조리 시간을 필요로 하여 땔감 소비 증가 및 산림 벌채를 유발한다.[6][7]

  • 분쟁 심화 및 장기화: 인도주의적 지원이 무장 단체에 의해 탈취되거나 분쟁을 조장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39] 미국의 식량 원조는 평균적으로 수혜국의 내전을 촉진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민족적 양극화가 심한 국가에서 이러한 효과가 두드러졌다.[39]

  • 원조 탈취 및 분쟁 조장: 국제 원조 기구는 현장의 무장 세력에 의한 식량 원조 및 기타 인도주의적 지원의 탈취가 분쟁을 조장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본다. 예를 들어, 1990년대 초 소말리아에서는 전체 식량 원조의 20~80%가 도난, 약탈 또는 압수되었다.[41]

  • 낭비와 부패: 인도주의적 지원 과정에서 낭비, 사기, 부패는 정량화하기 어렵지만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허리케인 카트리나 구호 활동에서는 87.5억달러 이상이 낭비, 사기, 남용 및 부실 관리로 인해 손실된 것으로 추정되었다.[50]

  • 인도주의 원칙에 반하는 행위: 국가 또는 전쟁 당사자가 인도주의적 지원을 방해하는 행위는 일반적으로 만장일치로 비판받는다.[55]

5. 1. 식량 원조로 인한 경제 왜곡

식량 원조는 현지 생산 의욕 저하, 소비 패턴 변화, 가격 하락 등 여러 방식으로 경제를 왜곡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원조 프로그램의 비효율적인 목표 설정과 부적절한 시기에 발생한다.[32][33][34][35][36]

식량 원조는 현지 생산 식량 가격을 떨어뜨려 생산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지만, 생산자는 식량 원조의 직접적인 수혜자가 아니므로 보상받기 어렵다. 부적절한 시기의 식량 원조, 식량 부족 가구에 대한 지원 부족, 현지 시장과 국가 및 세계 시장 간 통합 부족은 의도치 않은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28][29][30]

식량 원조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식으로 현지 또는 국가의 식량 가격을 하락시킬 수 있다.

  • 첫째, 식량 원조의 현금화는 시장에 식량을 과잉 공급하여 공급을 증가시킨다.[28]
  • 둘째, 원조 수혜 가구는 현지 생산 대체재 수요를 줄이거나, 대체재 생산 시 더 많이 판매하여 가격을 하락시킨다. 식량 원조를 받지 못하는 순 판매자는 생산물 가격 하락으로 불리해진다.[29]
  • 셋째, 수혜자는 식량 원조를 판매해 다른 필수품을 구매하여 식량 원조 상품 및 대체재 가격을 낮추고 다른 상품 수요를 증가시킨다. 이는 생산자 이윤을 감소시키고 농업 생산성 향상 투자를 저해한다.[30][31]


식량 원조는 노동력 배분 또한 왜곡할 수 있다. 노동-지원 식량(FFW) 프로그램이 매력적일 경우, 사람들은 নিজ 농장이나 사업체 대신 FFW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이는 FFW 프로그램 임금이 즉시 지급되거나, 가구가 FFW 프로젝트에서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식량 원조 프로그램은 현지 생산에서 생산 투입물을 빼앗아 경제적 왜곡을 초래한다.[29]

식량 원조는 소비 패턴에도 영향을 미친다. 온대 기후 지역 생산 식량이 열대 기후 지역에 지원될 경우, 현지 재배 작물과 달라 소비자 선호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시:

  • 1970년대와 1980년대 서아프리카 사헬 지역: 밀과 쌀 대량 수입으로 소비자들은 토착 곡물인 (millet)와 수수(sorghum) 대신 (wheat) 선호.[4]
  • 2000년 케냐 북부 가뭄: 곡물 식량 원조로 창가(changaa, 현지 증류주) 가격 하락 및 소비 증가.[5]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식량 원조는 목축 활동 위치 변화를 유발, 자연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케냐 북부 연구: 식량 원조 배분 지점 주변 가축 집중으로 목초지 황폐화, 통곡물 형태 식량 원조는 더 많은 조리 시간 필요로 땔감 소비 증가 및 산림 벌채 유발.[6][7]

5. 2. 분쟁 심화 및 장기화

인도주의적 지원은 분쟁 지역에서 무장 단체에 의해 탈취되거나, 분쟁을 조장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39] 무장 단체가 원조를 압수하거나, 의도된 수혜자에게 도달하더라도 지역 민병대 구성원 등이 혜택을 받는 경우가 있다.[39]

최근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식량 원조는 평균적으로 수혜국의 내전을 촉진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국의 밀 원조 증가는 수혜국의 무력 내전 기간을 증가시켰으며, 민족적 양극화는 이러한 효과를 심화시켰다.[39] 그러나 이라크 연구에서는 소규모 지역 원조가 시민들의 정부 지지를 유도하여 분쟁을 감소시킨 사례도 있다.[38] 또 다른 연구에서는 원조 수입 증가가 정부의 군사 지출 증가로 이어져 분쟁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도 한다.[40]

이처럼 인도주의적 지원이 분쟁에 미치는 영향은 원조의 유형, 방식, 수혜국의 상황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국제 원조 기구는 현장의 무장 세력에 의한 식량 원조 및 기타 인도주의적 지원의 탈취가 분쟁을 조장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본다. 식량 원조는 넓은 지역을 이동해야 하므로, 특히 수도 외 지역 통제가 약한 국가에서 무장 세력의 표적이 되기 쉽다.

  • 1990년대 초 소말리아에서는 전체 식량 원조의 20~80%가 도난, 약탈 또는 압수되었다.[41]
  • 유고슬라비아에서 UN 난민 기구 (UNHCR)는 세르비아 무장 세력에게 총 원조 가치의 최대 30%를 손실했다. 크로아티아군이 보스니아로 가는 검문소를 통과하기 위해 뇌물을 요구하기도 했다.[42]


차드다르푸르에서 활동하는 국제 원조 기구인 MSF Holland는 호송 차량 및 통신 장비 도난이 무장 세력의 전쟁 수행 능력을 증가시킨다고 강조했다.[42]

1960년대 후반 나이지리아-비아프라 내전 당시, 반군 지도자 오두메구 오주쿠는 자신의 비행기로 운송하는 경우에만 비아프라 지역 지원을 허용했다. 이 지원 물품은 반군이 나이지리아 정부의 포위를 우회하는 데 사용되었고, 결과적으로 내전을 장기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42]

최근에는 소말리아에서 식량 원조가 무장 단체 샤밥으로 흘러들어가는 사례가 보고되었다. 원조 기관 계약자들이 카르텔을 형성하여 도난된 원조 이익으로 반대 세력을 무장시키는 경우도 있었다.[44]

  • 1990년대 초 르완다 정부는 식량 원조를 전용하여 여러 차례 원조 물품이 취소되었다.[45]
  • 2003년 짐바브웨에서는 휴먼 라이츠 워치가 정부 식량 원조를 받기 위해 ZANU-PF 당원 카드를 제시하도록 강요받은 사례를 기록했다.[46]
  • 동부 자이레에서는 헤마 민족 지도자들이 렌두(헤마의 반대 세력)에게 지원을 제공하지 않는 조건으로 국제 원조 기구의 도착을 허용했다.


인도주의 활동가들은 도난 위협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했지만, 지원 대상에 반군 또는 민병대가 포함되거나, 이들이 원조에 "세금"을 부과하는 경우, 원조가 성공적으로 전달되더라도 분쟁을 촉진할 수 있다.

학술 연구는 평균적으로 식량 원조가 내전을 조장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국의 식량 원조 증가는 수혜국의 무력 내전 발생률을 증가시킨다.[41] 식량 원조는 기존 분쟁을 연장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최근 내전 경험이 있는 국가에서 그러하다. 그러나 내전 경험이 없는 국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41]

공동체 주도 개발(CDD) 프로그램은 개발 원조의 인기 있는 도구 중 하나이다. 2012년 세계 은행은 94개국에서 400개의 CDD 프로그램을 지원했으며, 그 가치는 300억달러에 달했다.[47] 필리핀의 대표적인 개발 프로그램인 KALAHI-CIDSS는 폭력 분쟁 증가로 이어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로그램 시작 후, 일부 지방 자치 단체는 다른 지역에 비해 사상자가 크게 증가했으며, 반군 공격으로 인한 정부군 사상자도 증가했다.[48] 이는 반군이 정치적 이유로 CDD 프로그램을 방해하려 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성공적인 정부 지원 프로젝트는 반군의 입지를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아프가니스탄의 관련 연구에서도 성공적인 공동체 주도 개발 프로그램이 단기적으로 분쟁을 악화시켜 정부 지지를 증가시키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낳는다는 것이 밝혀졌다.[49]

5. 3. 낭비와 부패

인도주의적 지원 과정에서 낭비, 사기, 부패는 정량화하기는 어렵지만,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부분적으로 금기시되는 주제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허리케인 카트리나 구호 활동에서 낭비, 사기, 남용 및 부실 관리로 인해 87.5억달러 이상이 손실된 것으로 추정되었다.[50]

비정부 기구는 최근 몇 년 동안 원조 처리 과정에서 참여, 책임성,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인도주의적 지원은 이를 받는 사람들에게는 여전히 제대로 이해되지 않는 과정으로 남아 있다. 관련되고 효과적인 책임 시스템을 연구하고 투자하는 데 훨씬 더 많은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50]

그러나 생명을 구하고 고통을 완화해야 하는 인도주의적 의무가 부패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자원과 상충될 수 있는 긴급 상황에서는 특히 속도와 통제 사이의 상충 관계에 대한 명확한 합의가 없다.[50] 해외개발연구소의 연구원들은 부패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시했다.[50]

  • 원조를 신속하게 지출하라는 압력에 저항한다.
  • 단순한 서류 추적을 넘어 감사 역량에 지속적으로 투자한다.
  • 불만을 제기하는 데 방해가 되는 지역 권력 구조, 보안 및 문화적 요인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불만 처리 메커니즘의 효과를 설정하고 확인한다.
  • 목표 설정 및 등록 단계에서 프로세스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사람들이 포함되기 위해 지불을 해서는 안 되며, 지도자 또는 위원회가 준비한 모든 목록을 복사하여 소리 내어 읽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5. 4. 원조 활동가에 의한 권력 남용

2002년 라이베리아, 기니, 시에라리온에서 인도적 지원 활동 중 성 착취 및 학대 사례가 보고되었으며,[51] 중앙아프리카 공화국[52]콩고 민주 공화국에서도 유사한 보고가 있었다.[53]

2021년 인종 형평성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구호 활동가의 약 3분의 2가 인종 차별을 경험했으며, 설문 응답자의 98%는 인종 차별을 목격했다고 보고했다.[54]

5. 5. 인도주의 원칙에 반하는 행위

국가 또는 전쟁 당사자가 인도주의적 지원을 방해하는 행위는 일반적으로 만장일치로 비판받는다.[55] 1980년대 데르그 정권이 티그레이 지역 주민에게 구호 물품 제공을 막았던 것과,[56] 2020-2021년 티그레이 전쟁에서 아비 아흐메드 알리 정권의 에티오피아가 구호 물품을 막은 행위 또한 널리 비난받았다.[57][58]

6. 인도주의적 지원 종사자 (원조 활동가)

유니세프 구호 물품, 배치 준비


완다 브웽스카, 폴란드 출신의 나병 전문가이자 선교사우간다의 불루바 병원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방글라데시 시민들이 2007년 사이클론 시드르 이후 제11 해병 원정대 소속 미국 해병대 CH-46E 헬리콥터에서 식량을 하역하고 있다.


구호 활동가는 국제적으로 파견되어 인도주의적 구호 활동을 수행하는 사람들이다. ALNAP에 따르면, 2008년 전 세계 인도주의 지원 인력은 약 210,800명이었다. 이들은 NGO(비정부 기구)에서 약 50%, 적십자/적신월 운동에서 25%, 유엔 시스템에서 25%를 차지한다.[59] 2010년에는 인도주의 현장 근무 인구가 지난 10년간 연평균 약 6% 증가했다.[60]

6. 1. 원조 활동가의 심리적 문제

원조 활동가들은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며, 인간이 심리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유연하고, 회복력 있으며, 책임감 있게 행동해야 한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에서는 트라우마가 흔하게 발생한다.[61][62]

인도주의적 원조 활동가가 직면하는 가장 흔한 문제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이다. 국제 원조 활동가는 위기 지역을 떠날 수 있지만, 현지인은 그럴 수 없다는 단순한 사실로 인해 발생하는 죄책감과 같은 감정으로 인해 정상적인 삶에 적응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2015년 ''가디언''이 글로벌 개발 전문가 네트워크의 원조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9%가 정신 건강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63]

6. 2. 원조 활동가에 대한 공격

인도주의적 지원 활동에 참여하는 모든 조직은 지원 활동가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자체 규정, 규칙, 예방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활동에는 위험과 위협이 따르며, 각 활동 분야가 고유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활동을 최소화하기가 어렵다. 비교적 평화롭고 안정된 지역에서도 갑작스러운 폭력이 발생할 수 있다.[110]

이러한 이유로, 인도주의적 지원 활동의 주체로서 군대가 선택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군대의 전투 교리에서는 전쟁 이외의 군사 작전(MOOTW)의 일환으로 정의되며, 군대가 갖춘 자기 완결 능력과 자위 능력이 활용된다. 그러나 특히 타국의 군대에 대해서는, 그 존재 자체가 지역 주민이나 무장 세력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폭력에 직면할 빈도가 증가하고, 군대 자신과 그 주변에서 활동하는 민간 단체가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7. 인도주의적 지원의 표준

2005년 카슈미르 지진 이후 무자파라바드에서 이슬라마바드로 공수되는 어린 파키스탄 소녀에게 물을 주는 미국 군인의 모습.

미국 군인이 2005년 카슈미르 지진 이후 무자파라바드에서 이슬라마바드로 공수되는 어린 파키스탄 소녀에게 물을 주고 있다.


인도주의적 지원 단체들은 인도주의적 활동의 책임성, 질,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기관 간의 노력을 시작했다. 가장 널리 알려진 네 가지 이니셔티브는 ALNAP, CHS 얼라이언스, 스피어 프로젝트, 품질 및 책임성에 대한 핵심 인도주의 표준(CHS)이다. 이러한 이니셔티브의 대표자들은 공통의 문제를 공유하고 가능한 경우 활동을 조화시키기 위해 2003년부터 정기적으로 회의를 시작했다.[64]

인도적 지원은 국제 연합 총회 결의 46/182[104] 및 재해 경감에 있어서의 국제 적십자 및 국제 적신월사 및 NGO에 관한 운영 규약에 따라 정부 당국자나 비정부 기구, 그 외 비정부 인도주의 당국자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제네바에 본부를 둔 미국·호주 계열의 "NPO" HAP 인터내셔널(인도주의적 지원 설명 책임 국제 제휴Humanitarian Accountability Partnership International영어)은 협력자 및 피해자 등의 협력을 통해 인도주의적 지원에 대한 설명 책임 및 품질 관리에 관한 기준 HAP2007을 만들었다. 이 인증 계획은 인증된 단체가 HAP의 기준에 따라 인도주의 활동의 질을 관리하고 있음을 보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06] HAP 인증은 3년간 유효하며, 조직의 사명 선언, 자금, 관리 체제에 접근할 수 있는 외부 감사인이 있고, 운영과 전체 책임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107][108]

HAP 인터내셔널에 따르면, HAP2007 기준은 인도주의 단체를 위한 품질 보증 수단이다. 6가지 기준에 대한 조직의 프로세스, 정책, 성과를 비교함으로써, 조직이 해당 인도주의 활동에서 품질과 설명 책임을 보장하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기준에 맞는 단체는 다음과 같다.

  • HAP의 인도주의 활동 원칙 및 인도주의적 책임 체제에 대한 약속을 선언할 것
  • 인도주의적 품질 관리 체제를 발전시키고 실행할 것
  • 주요 관리자에게 품질 관리에 관한 주요 정보를 제공할 것
  • 수혜자와 대표가 프로그램 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정보에 입각한 동의를 얻을 것
  • 역량을 측정하고, 직원의 요구를 발전시킬 것
  • 불만 처리 절차를 창설하고 실행할 것
  • 개선이 지속되는 과정을 창설할 것[109]


[http://www.projetqualite.org/compas/outil 품질 범위]에 기초한 [http://projetqulite.org 품질 계획]은 지구에 대한 다면적인 계획이며, 품질 추구보다는 "최소한의 것"에 기초한 표준화의 부작용과 근접하는 부작용을 근거로 채택하고 있다. 이 계획은 [http://www.urd.org 그룹URD]가 주도하고 있다.

7. 1. 스피어 프로젝트

스피어 프로젝트 핸드북 ''인도주의 헌장 및 재난 대응 최소 기준''은 주요 비정부 인도주의 기구 연합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인도주의 활동의 다음 원칙을 열거한다.[104]

  • 존엄한 삶을 누릴 권리
  • 전투원과 비전투원의 구분
  • 강제 송환 금지 원칙


스피어 프로젝트 편람 '''재해 지원에 관한 인도주의 헌장과 최소한의 기준'''은 주도적인 비정부 인도주의 단체가 공동으로 제작한 것으로, 인도주의 활동에 관한 다음의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 존엄한 생명권
  • 전투원과 비전투원의 구분
  • 논 르풀망의 원칙

7. 2. 품질 및 책임성에 대한 핵심 인도주의 표준(CHS)

Core Humanitarian Standard 로고


품질 및 책임에 관한 핵심 인도주의 기준(CHS)은 2014년 CHS 기술 자문 그룹의 승인을 받은 인도주의적 기준이다. 인도주의적 책임 파트너십(HAP), 피플 인 에이드, 스피어 프로젝트 등 많은 인도주의 단체들이 지지했다.[65] CHS는 9가지 핵심 표준으로 구성되며, 자세한 지침과 지표가 함께 제공된다.

일부에서는 새로운 인도주의 기준 도입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 단순함을 칭찬했다.[66] 특히, 이 기준은 스피어 핸드북의 핵심 표준을 대체했으며,[67] 유엔, EU, 다양한 NGO 및 연구소 관계자들이 자주 언급하고 지원한다.[68]

8. 인도주의적 지원의 역사

인도주의적 지원은 국제 연합 총회 결의 46/182[104] 및 재해 경감에 있어서의 국제 적십자 및 국제 적신월사 및 NGO에 관한 운영 규약에 따라 정부, 비정부 기구(NGO), 기타 비정부 인도주의 단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8. 1. 기원

앙리 뒤낭


조직화된 국제 인도주의적 지원은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초기에는 나폴레옹 전쟁 중 유럽 대륙과 스웨덴의 고통받는 사람들을 돕기 위한 영국의 지원,[69][70] 1840년대 대기근 당시의 국제 구호 활동 등이 있었다.[71][72]

1854년 크림 전쟁 발발 당시, 플로렌스 나이팅게일과 38명의 간호사들은 스쿠타리 병영 병원에 도착했다.[73][74] 그곳에는 수천 명의 병들고 부상당한 군인들이 있었다. 나이팅게일과 간호사들은 열악한 위생 상태와 부족한 인력으로 어려움을 겪는 군 병원의 현실을 목격했다.[73] 부상보다 질병으로 사망하는 군인이 10배나 많았고, 장티푸스, 발진티푸스, 콜레라, 이질 등이 만연했다.[75] 나이팅게일 팀은 병원 내 부엌과 세탁소를 설치하고 위생을 개선했다. 더 많은 간호사들이 합류하여 스쿠타리 병원은 6,000명의 환자를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74]

나이팅게일은 사망률과 이환율에 대한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병원의 개선을 측정하고 계획했다.[75] 그녀는 사망자 수와 사망 원인을 기록하며 위생, 영양, 깨끗한 물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그 결과 사망률을 60%에서 42%, 그리고 2.2%까지 낮출 수 있었다.[77] 이러한 노력은 현대 인도주의적 개입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귀국 후 나이팅게일은 육군 건강에 관한 왕립 위원회 설립을 주도했으며,[76] 분쟁 지역 사람들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통계와 콕스콤(coxcomb) 그래프를 활용했다.[76][78]

솔페리노 전투에서의 앙리 뒤낭


1859년 6월, 스위스 사업가이자 사회 운동가인 앙리 뒤낭솔페리노 전투의 참혹한 현장과 부상병들이 방치되는 비인간적인 상황을 목격했다.[79] 뒤낭은 의학적 경험이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지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프랑스 등 모든 교전 당사자의 부상병들에게 음식, 물, 의약품을 제공하며 최선을 다해 도왔다. 뒤낭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솔페리노의 회상을 저술했는데, 이는 현대 인도주의의 근본적인 텍스트가 되었다.[80]

''솔페리노의 회상'' 초판 표지(1862)


''솔페리노의 회상''은 전쟁의 참상과 부상병에 대한 열악한 처우를 생생하게 묘사하여 독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81] 뒤낭은 모든 국적의 부상병을 돌보는 경험을 통해 공정성과 중립성이라는 국제 적십자 위원회와 국제 인도적 법의 핵심 원칙을 확립했다.[82] 또한, 뒤낭은 영구적인 자원봉사 구호 단체 설립과 부상병 및 구호 인력을 보호하는 조약 체결을 제안했다.[83]

1863년, 제네바 공공 복지 협회는 "전쟁 상황에서 부상자를 돕기 위한 국제 위원회"라는 상설 소위원회를 만들었다. 5명의 제네바 시민으로 구성된 이 위원회는 부상병을 돕는 의료진의 법적 중립성을 보장하려는 뒤낭의 비전을 지지했다.[84][85] 1863년 10월, 위원회는 국가 협회, 부상자 간호, 상징, 구급차, 병원, 의료진 및 부상자 자체의 중립성에 관한 결의안을 통해 국제 적십자 위원회의 법적 토대를 마련했다.[86] 1864년 8월, 제네바 공공 복지 협회는 유럽 정부, 오스만 제국, 미국, 브라질, 멕시코 등 16개국이 참석하는 회의를 개최했다.[87] 이 회의는 분쟁 해결이 아닌, 전투 중 부상자와 의료 서비스를 보호하기 위한 규칙 제정을 목표로 했다는 점에서 이전의 외교 회의들과는 달랐다.[88]

초판 제네바 협약


1864년 8월 22일, 제네바 협약의 첫 번째 협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병원, 구급차 및 관련 인력의 중립성, 분쟁 중 환자와 부상자를 돌보고 보호해야 할 의무, 국제 적십자 위원회의 상징인 적십자 엠블럼 사용 등을 규정했다.[90] 이는 역사상 처음으로 전쟁에 한계가 있음을 주요 국가들이 인정한 사건이었다. 이후 1906년, 1929년, 1949년 제네바 협약의 개정을 통해 병원선, 전쟁 포로, 전시 민간인 보호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었다.[91]

국제 적십자 위원회는 현재까지 국제 인도법의 수호자이자 세계 최대의 인도주의적 지원 제공 기관 중 하나로 활동하고 있다.[92]

마드라스 기근 당시 구호물자 분배 모습. 벨라리, 마드라스 행정구에서.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1877)에서 발췌


국제적인 인도주의적 지원 노력은 19세기 말까지 이어졌으며, 더욱 발전된 물류 관리 능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1876년, 가뭄으로 인해 중국 북부 지역에서 기근이 발생하여 1천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기아와 질병으로 사망했다.[93] 영국 선교사 티모시 리처드는 1876년 여름 산둥성의 기근 상황을 국제 사회에 알리고, 상하이의 외국인 사회에 지원을 요청했다. 곧 산둥 기근 구호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외교관, 사업가, 기독교 선교사들이 참여했다.[94] 국제적인 모금 네트워크를 통해 204,000 테일 (2012년 은 가격 기준 700만달러~1000만달러)이 모금되었다.[95]

같은 시기, 인도에서도 1876-1878년 대기근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영국령 인도 제국과 번왕국의 행정 및 식민 통치 구조 전반에 걸쳐 기근의 심각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으며, 자유방임적 태도와 적절한 정책 부재로 인한 대규모 사망과 고통에 대한 비난이 집중되었다. 기근이 끝날 무렵 의미 있는 구호 조치가 시작되었고, 영국에서는 기근 구호 기금이 설립되어 운영 첫 몇 달 만에 426,000파운드를 모금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파괴와 혼란, 1921–1922년 러시아 대기근과 관련된 노력은 적십자 및 적신월사 조직의 활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기근은 연이은 산업 전쟁, 봉쇄, 흉작, 러시아 혁명, 정치 구조 조정과 사회적 격변, 전시 공산주의로 인한 러시아 내전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 블라디미르 레닌막심 고리키에게 러시아 국민을 위한 구호를 국제 사회에 요청하는 공개 서한을 쓰도록 허락했다. 소비에트 러시아의 굶주린 사람들을 돕기 위한 노력은 집중적이고 효과적이었다. 허버트 후버가 주도한 미국의 노력과 러시아 구호 국제 위원회의 노력은 기존의 인도주의 단체와 합류하여 1921년과 1922년 동안 러시아에 식량과 의약품을 전달했으며, 한때는 매일 1천만 명 이상의 러시아인에게 식량을 제공했다.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았으며, 러시아에 대한 광범위한 민간 및 공공 노력은 국제 무대에서 미국의 새로운 최우선적 소프트 파워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8. 2. 1980년대 이후

초창기 인도주의적 지원 시도는 민간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재정적, 조직적 역량이 제한적이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전 세계적인 뉴스 보도와 유명 인사의 지지 활동이 대규모 정부 주도의 기근 구호 활동 (및 기타 형태의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동원되었다. 이는 전 세계적인 재난에 대한 대응이었다. 1983-85년 에티오피아 기근은 10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켰으며, BBC 뉴스 팀에 의해 기록되었다. 마이클 버크는 이 기근을 "20세기의 성경적 기근"과 "지구상의 지옥과 가장 가까운 곳"이라고 묘사했다.[96]

영국 공군(RAF) C-130가 1985년 기근 당시 식량을 공중 투하하고 있다


라이브 에이드밥 겔도프가 주도한 1985년 기금 모금 활동으로, 서방 세계의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에티오피아 구호 활동에 기금을 기부하고, 자국 정부에 참여를 촉구하도록 유도했다. 이 모금액 중 일부는 에리트레아의 기근 지역에도 지원되었다.[97]

8. 3. 2000년대 이후

2004년 얀 에겔란의 개혁안으로 인도적 지원 조정 체계가 만들어졌으며, 이는 동일한 문제에 관해 활동하는 인도주의 기구들 간의 조정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되었다.[98]

반기문


2016년 터키 이스탄불에서 인도주의 외교에 관한 첫 번째 글로벌 정상회의가 열렸다.[99]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주도로 열린 세계 인도주의 정상회의에는 정부, 시민 사회 단체, 민간 단체, 인도주의적 지원이 필요한 단체 등이 참석했다.

정상회의 참석자들은 원조 지출에 대한 일련의 개혁안인 그랜드 바겐에 합의했다.[100] 여기에는 원조 기금의 25%를 지역 및 국가 인도주의 원조 단체를 통해 직접 지출하겠다는 약속이 포함되었다.[101]

'''COVID-19 팬데믹'''

2019년 COVID-19 팬데믹이 발발한 후, 약 69개국에서 2억 1,600만 명이 인도주의적 지원을 필요로 했다. COVID-19 팬데믹 이후 인도주의적 지원에 대한 많은 노력과 개혁이 이루어졌다.[102] 2020년에는 인도주의적 지원의 필요성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연말까지 전 세계적으로 33명 중 1명꼴인 2억 3,500만 명이 인도주의적 지원과 보호를 필요로 했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한 해 동안 인도주의적 항공 운송이 전년 대비 85% 증가했다.[103]

9. 한국과 인도주의적 지원

한국은 한국 전쟁 이후 국제 사회의 인도주의적 지원을 받는 수혜국에서, 이제는 주요 공여국으로 성장했다. 한국은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인도적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OCHA http://www.unocha.or[...] 2018-04-28
[2] 웹사이트 Deliver Humanitarian Aid http://www.un.org/en[...] 2014-12-07
[3] 웹사이트 Global Humanitarian Overview 2024 {{!}} Humanitarian Action https://humanitarian[...] 2023-12-08
[4] 간행물 Food Aid's Intended and Unintended Consequences https://ageconsearch[...] 2006-03-01
[5] 서적 Food Aid After Fifty Years: Recasting Its Rol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5
[6] 문서 Analyzing and assessing localized degradation of the commons Land Economics
[7] 서적 Fuelwood Gathering and Use in Northern Kenya: Implications for Food Aid and Local Environments http://crsps.net/res[...] 2018-05-28
[8] 논문 Global Public-Private Health Partnerships: lessons learned from ten years of experience and evaluation 2011-08-01
[9] 논문 Moral Entanglement and the Ethics of Closing Humanitarian Medical Aid Projects 2017-04
[10] 논문 The trouble with inequalities in global health partnerships http://www.medanthro[...] 2018-05-15
[11] 간행물 Medical pluralism https://www.anthroen[...] 2021-06-17
[12] 논문 Humanitarian Medical Aid to Developing Nations: A Recipient Country's Perspective https://www.cambridg[...] 2009-02
[13] 뉴스 Aid in itself is not enough https://www.dandc.eu[...] 2018-05-20
[1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entral Emergency Response Fund (CERF) https://www.devex.co[...]
[15] 웹사이트 Doing cash differently: How cash transfers can transform humanitarian aid http://www.odi.org/p[...] 2015-09-21
[16] 서적 Leaving no one behind : humanitarian effectiveness in the age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17] 논문 Organization of Disaster Aid Delivery https://ideas.repec.[...]
[18] 웹사이트 Humanitarianism: An Overview https://www.cmi.no/p[...]
[19] 논문 Humanitarian Diplomacy: A New Research Agenda https://www.cmi.no/p[...]
[20] 웹사이트 RMRP 2022 – FOR REFUGEES AND MIGRANTS FROM VENEZUELA https://rmrp.r4v.inf[...] 2021-12-16
[21] 웹사이트 UNHCR Global Report 2020 https://reporting.un[...] 2021-12-16
[22] 논문 Humanitarian Technology: A Critical Research Agenda https://www.research[...] 2014-12
[23] 서적 Digital Humanitarians: How Big Data is Changing the Face of Humanitarian Response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24] 간행물 Women, Vulnerability and Humanitarian Emergencies 2010-05-19
[25] 논문 How sex- and age-disaggregated data and gender and generational analyses can improve humanitarian response https://onlinelibrar[...] 2013
[26] 웹사이트 The Gender Handbook for Humanitarian Action https://interagencys[...] 2018
[27] 웹사이트 Humanitarian Response Plan {{!}} HumanitarianResponse https://www.humanita[...] 2021-12-19
[28] 서적 P.L. 480 Title II Cooperating Sponsor Monetization Manual
[29] 간행물 Food Aid's Intended and Unintended Consequences https://ageconsearch[...] 2006-03-01
[30] 논문 Does Food Aid Stabilize Food Availability? http://ageconsearch.[...] 2001-01
[31] 논문 Food Aid Impacts in Rural Kenya http://ageconsearch.[...] 1988-02-01
[32] 서적 Against the grain: the dilemma of project food aid https://archive.org/[...] OXFAM 1982
[33] 서적 Feeding dependency, starving democracy: USAID policies in Haiti https://books.google[...] Grassroots International 1997
[34] 서적 Food First: Beyond the Myth of Scarcity https://books.google[...] Ballantine Books 1979
[35] 서적 Politics of food aid: case of Bangladesh https://books.google[...] Academic Publishers 1990
[36] 서적 Enhancing Development Sustainability and Eliminating Food Aid Dependency: Lessons from the World Food Programme Cornell University
[37] 간행물 Self-Targeting Accuracy in the Presence of Imperfect Factor Markets: Evidence from Food-for-Work in Ethiopia 2003-06-01
[38] 웹사이트 Effective aid in conflict zones http://voxeu.org/art[...] 2013-05-26
[39] 간행물 US Food Aid and Civil Conflict https://dash.harvard[...] 2014
[40] 간행물 Making Progress on Foreign Aid 2014-08-18
[41] 문서 US Food Aid and Civil Conflict American Economic Review 2014
[42] 서적 The Crisis Caravan: What's Wrong with Humanitarian Aid? https://books.google[...] Henry Holt and Company 2010-09-14
[43] 서적 Empire of Humanity: A History of Humanitarianism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2011-03-03
[44] 뉴스 Report of the Monitoring Group on Somalia pursuant to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853 (2008) (S/2010/91) https://reliefweb.in[...] 2018-05-28
[45] 서적 Aiding Violence: The Development Enterprise in Rwanda https://books.google[...] Kumarian Press 1998
[46] 문서 Enough: Why the World's Poorest Starve in an Age of Plenty PublicAffairs 2009
[47] 보고서 What have been the impacts of World Bank Community-Driven Development Programs? CDD impact evaluation review and operational and research implications http://documents.wor[...] 2012-03-01
[48] 간행물 Aid Under Fire: Development Projects and Civil Conflict 2014-06
[49] 보고서 Winning hearts and minds through development ? evidence from a field experiment in Afghanistan http://documents.wor[...] 2012-07-01
[50] 웹사이트 Need and greed: corruption risks, perceptions and prevention in humanitarian assistance https://www.odi.org/[...] 2008
[51] 웹사이트 SEXUAL VIOLENCE AND EXPLOITATION: THE EXPERIENCE OF REFUGEE CHILDREN IN LIBERIA, GUINEA AND SIERRA LEONE https://www.parliame[...]
[52] 간행물 Sexual Exploitation and Abuse by Intervention Forces in Central African Republic https://ajernet.net/[...] 2021-11-19
[53] 뉴스 WHO employees took part in Congo sex abuse during Ebola crisis, report says https://www.reuters.[...] 2021-11-19
[54] 웹사이트 Almost two-thirds of aid workers have experienced racism, research indicates https://www.thirdsec[...] 2021-11-19
[55] 웹사이트 Rule 55. Access for Humanitarian Relief to Civilians in Need https://ihl-database[...]
[56] 웹사이트 Ethiopia : a country study | WorldCat.org https://www.worldcat[...]
[57] 뉴스 U.S. aid chief to travel to Ethiopia in diplomatic push on Tigray https://www.reuters.[...] 2021-07-30
[58] 뉴스 Ethiopia's Tigray crisis: Why it's hard getting aid into the region https://www.bbc.com/[...] 2021-07-23
[59] 웹사이트 State of the Humanitarian System report http://www.alnap.org[...]
[60] 웹사이트 The State of the Humanitarian System https://www.odi.org/[...] 2020-09-28
[61] 뉴스 Health – The university course giving aid to aid workers https://www.bbc.co.u[...] 2015-12-11
[62] 뉴스 Health – Aid workers lack psychological support http://news.bbc.co.u[...] 2015-12-11
[63] 뉴스 Guardian research suggests mental health crisis among aid workers https://www.theguard[...] 2017-04-27
[64] 웹사이트 HAP and People In Aid merge to become CHS Alliance https://www.elrha.or[...] 2022-01-07
[65]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CHS https://corehumanita[...] 2018-11-06
[66] 웹사이트 Core Humanitarian Standard: do NGOs need another set of standards? https://www.theguard[...] 2018-11-06
[67] 웹사이트 'The Sphere Project {{!}} New online course on the Core Humanitarian Standard {{!}} News' http://www.spherepro[...] 2018-11-06
[68] 웹사이트 Statements of support – CHS https://corehumanita[...] 2018-11-06
[69] 간행물 Rationales of Humanitarianism: The Case of British Relief to Germany, 1805–1815 http://urn.kb.se/res[...]
[70] 간행물 The Good Plumpuddings' Belief: British Voluntary Aid to Sweden During the Napoleonic Wars
[71] 서적 Charity and the Great Hunger in Ireland: The Kindness of Strangers Bloomsbury
[72] 서적 Humanitarianism in the Modern World: The Moral Economy of Famine Relief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간행물 Florence Nightingale: The Mother of Nursing 2015-06
[74] 간행물 What Florence Nightingale Did for Mankind 1911-02
[75] 문서 Florence Nightingale and the Crimean War
[76] 문서 Understanding Uncertainty. Florence Nightingale and the Crimean War
[77] 간행물 Florence Nightingale: The Mother of Nursing 2015-06
[78] 서적 The Humanitarians: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9] 웹사이트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https://www.icrc.org[...] 2019-11-01
[80] 서적 Humanitarianism in Question: Politics, Power, Ethics Cornell University Press
[81] 간행물 "Birth of an Idea: The Founding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and of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From Solferino to the Original Geneva Convention (1859–1864)."
[82] 간행물 "Birth of an Idea: The Founding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and of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From Solferino to the Original Geneva Convention (1859–1864)."
[83] 간행물 "Birth of an Idea: The Founding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and of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From Solferino to the Original Geneva Convention (1859–1864)."
[84] 서적 The Humanitarians: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5] 간행물 "Birth of an Idea: The Founding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and of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From Solferino to the Original Geneva Convention (1859–1864)."
[86] 간행물 "Birth of an Idea: The Founding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and of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From Solferino to the Original Geneva Convention (1859–1864)."
[87] 간행물 "Birth of an Idea: The Founding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and of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From Solferino to the Original Geneva Convention (1859–1864)."
[88] 간행물 "Birth of an Idea: The Founding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and of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From Solferino to the Original Geneva Convention (1859–1864)."
[89] 간행물 "Birth of an Idea: The Founding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and of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From Solferino to the Original Geneva Convention (1859–1864)."
[90] 간행물 "Birth of an Idea: The Founding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and of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From Solferino to the Original Geneva Convention (1859–1864)."
[91] 간행물 "Birth of an Idea: The Founding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and of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From Solferino to the Original Geneva Convention (1859–1864)."
[92] 웹사이트 Who we are https://www.icrc.org[...] 2014-07-28
[93] 웹사이트 Pictures to Draw Tears from Iron http://www.ocw.mit.e[...] 2013-12-25
[94] 문서 "The North-China Famine of 1876–1879: Performance and Impact of a Non-Event." 2001-11-03
[95] 서적 The great famine : [Report of the Committee of the China Famine Relief Fund] http://archive.org/d[...] Shanghai :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79
[96] 뉴스 How a Report on Ethiopia's 'Biblical Famine' Changed the World https://www.nbcnews.[...] 2014-10-23
[97] 웹사이트 In 1984 Eritrea was part of Ethiopia, where some of the song's proceeds were spent http://www.alertnet.[...] 2009-05-08
[98] 웹사이트 Cluster Approach Evaluation https://www.alnap.or[...] 2007-11
[99] 서적 Humanitarian diplomacy https://www.springer[...] Palgrave Macmillan
[100] 웹사이트 Is the Grand Bargain a Big Deal? https://www.thenewhu[...] 2016-05-24
[101] 간행물 Localisation in the Context of UK Government Engagement With the Humanitarian Reform Agenda 2021
[102] 웹사이트 Humanitarian financing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coronavirus) pandemic https://devinit.org/[...]
[103] 웹사이트 "Global Annual Results Report 2020: Humanitarian Action {{!}} UNICEF" https://www.unicef.o[...] 2021-06-01
[104] 문서 A/RES/46/182 http://www.un.org/do[...]
[105] 문서 世界災害報告 2002 http://www.jrc.or.jp[...]
[106] 웹사이트 最大開発に向けた入口 http://www.capacity.[...]
[107] 뉴스 エコノミスト誌 http://www.economist[...] 2007-05-24
[108] 뉴스 認定制度は援助組織を聞き上手にできるか。 http://www.alertnet.[...] ロイター・アラートネット・サイト 2008-06-06
[109] 웹사이트 HAP2007基準 http://www.hapintern[...] HAPインターナショナルサイト
[110] 서적 Staying Alive 国際赤十字委員会 1999
[111] 뉴스 Why the nexus is dangerous https://www.dandc.eu[...] 2018-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