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좋은 세상 만들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좋은 세상 만들기는 1998년 3월 7일부터 2000년 10월 10일까지 방송된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서세원이 진행을 맡아 《서세원의 좋은 세상 만들기》라는 제목으로 1998년 3월부터 2000년 7월까지 방송되었고, 2000년 8월부터는 최성훈 외 2명이 MC를 맡아 제목을 변경하여 방송되었다. 전국 각지의 마을을 방문하여 다양한 코너를 통해 지역의 특색을 소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방송 시간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호우 특보, 프로축구 올스타전 중계, 올림픽 중계 등으로 인해 결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가을동화
    2000년 KBS에서 방영된 윤석호 감독의 멜로드라마 《가을동화》는 신생아실에서 바뀐 이름표로 운명이 뒤바뀐 준서와 은서가 재회하여 사랑에 빠지지만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 이야기로, 아름다운 영상미와 배우들의 열연으로 큰 인기를 얻으며 한류 확산에 기여한 작품이다.
  • 2000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왕과 비
    KBS 1TV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왕과 비는 조선 초 왕과 왕비들의 권력 다툼과 고뇌를 그린 작품으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역사 왜곡 논란도 있었다.
  • 1998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SBS 인기가요
    SBS 인기가요는 1991년 첫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장수 음악 프로그램으로, 순위 시스템과 형식을 변경하며 시청자 투표를 반영하고 기술적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현재는 인기가요 차트를 통해 1위를 선정하고 글로벌 투어로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 1998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삼김시대 (드라마)
    《삼김시대》는 이승만, 윤보선, 박정희, 최규하,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의 삶과 정치 활동을 그린 1998년 SBS 드라마로, 시대상황과 인물 심리 분석, 민주화 운동 긍정 평가, 권력 비판 시각을 제시하지만, 주관적 해석, 캐스팅 문제, 낮은 시청률, 평면적 구성 등으로 조기 종영 및 비판을 받았다.
  • SBS의 예능 프로그램 - SBS 인기가요
    SBS 인기가요는 1991년 첫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장수 음악 프로그램으로, 순위 시스템과 형식을 변경하며 시청자 투표를 반영하고 기술적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현재는 인기가요 차트를 통해 1위를 선정하고 글로벌 투어로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 SBS의 예능 프로그램 - 골 때리는 그녀들
    《골 때리는 그녀들》은 여성 연예인들과 축구 레전드들이 팀을 이뤄 풋살 경기를 펼치는 SBS TV 예능 프로그램으로, 여자 축구 저변 확대와 연예인들의 축구 도전기를 담아 리그전, 토너먼트전, 올스타전 등을 개최하며 인기를 얻고 있다.
좋은 세상 만들기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프로그램 정보
방송명좋은 세상 만들기
장르예능
방송 시간본문 방송 시간 참조
방송 분량본문 방송 분량 참조
방송 기간1998년 3월 7일 ~ 2000년 10월 10일
방송 채널SBS TV
음성한국어
여는 곡보비 빈턴 - Sealed With A Kiss
닫는 곡보비 빈턴 - Sealed With A Kiss

2. 방송 일정

방송 시간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98년 3월 7일부터 2000년 4월 15일까지는 매주 토요일 저녁 7시에 방송되었고, 2000년 4월 22일부터 2000년 7월 22일까지는 매주 토요일 저녁 6시 50분에, 2000년 8월 1일부터 2000년 10월 10일까지는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15분에 방송되었다.[1]

'''특집 편성'''에 대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2. 1. 정규 편성

기간요일시간비고
1998년 3월 7일 ~ 2000년 4월 15일매주 토요일저녁 7시1시간
2000년 4월 22일 ~ 2000년 7월 22일매주 토요일저녁 6시 50분1시간 10분
2000년 8월 1일 ~ 2000년 10월 10일매주 화요일저녁 7시 15분45분


2. 2. 특집 편성

1999년 6월 26일과 12월 25일에는 저녁 6시 50분부터 8시까지 10분 연장 방송되었고, 2000년 1월 1일에는 저녁 6시 30분부터 8시까지 30분 연장 방송되었다.

3. 역대 MC

역대 MC는 다음과 같다.[1]


3. 1. 서세원 체제 (1998.03.07 ~ 2000.07.22)

3. 2. 최성훈 체제 (2000.08.01 ~ 2000.10.10)

2000년 8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 최성훈, 박용진, 이남현이 진행하였다.

진행자기간
최성훈, 박용진, 이남현2000년 8월 1일 ~ 10월 10일


4. 역대 코너

4. 1. 주요 코너


  • 스타 캅스
  • 우리마을 CF
  • 고향에서 온 편지
  • 유치원에서 온 편지
  • 고향의 맛을 찾아서
  • 장수퀴즈
  • 외국인의 고향방문기

5. 에피소드 목록

1998년에는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산막리 장수마을(1회)을 시작으로, 중국 랴오닝성 조선족마을(30회, 추석특집), 제주도 북제주군 한경면 월령마을(32회) 등 다양한 지역의 이야기가 방영되었다. 연말에는 특집 왕중왕전(42회)이 방송되었다.

1999년에는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신성리(44회)를 비롯하여,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용성리(45회), 경상남도 함양군 안신마을(56회) 등 여러 지역을 방문했다. 상반기 결산 특집(67회, 68회)과 추석특집(80회)도 방영되었다.

2000년에는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신왕마을(94회)을 시작으로, 100회 특집(99회)과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오리 대룡마을(100회)이 방송되었다. 또한, 미국 애틀랜타를 방문하여 2회에 걸쳐 특집 방송(129회, 130회)을 진행하기도 했다.

5. 1. 1998년

방영일회차지역명비고
3월 7일1회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산막리 장수마을
3월 14일2회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용기리 복분자마을
3월 21일3회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 해평리
3월 28일4회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염장리 진돗개마을
4월 4일5회충청남도 서산시 안면도 누동리 장수마을
4월 11일6회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현 덕산읍) 석장리 장암마을
4월 18일7회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옥산리 누에마을
4월 25일8회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 기포리 고추마을
5월 2일9회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북리
5월 9일10회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물곡리 원물곡마을
5월 16일11회전라남도 나주시 토계동 도계마을
5월 23일12회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사월리 딸기마을
5월 30일13회충청남도 보령시 남곡동 남곡마을
6월 6일14회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서화리
6월 13일15회충청남도 연기군(현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대박리 꿩마을
6월 20일16회전라북도 순창군 인계면 갑동리 호계마을
6월 27일17회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용동리 용머리마을
7월 4일18회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영승리 영승마을
7월 11일19회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갈산리 갈산마을
7월 18일20회전라북도 군산시 나포면 주곡리 대동마을
7월 25일21회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양원리 가마실마을
8월 1일22회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사현리 사현마을
8월 15일23회
8월 22일24회
8월 29일25회
9월 5일26회
9월 12일27회
9월 19일28회
9월 26일29회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곰소마을
10월 3일30회중국 랴오닝성 조선족마을<추석특집>
10월 10일31회
10월 17일32회제주도 북제주군 한경면 월령마을
10월 24일33회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상사마을
10월 31일34회
11월 7일35회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무등마을
11월 14일36회
11월 21일37회
11월 28일38회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도계마을
12월 5일39회전라남도 무안군 해저면 신정리 응양마을
12월 12일40회
12월 19일41회
12월 26일42회<특집 왕중왕전>


5. 2. 1999년

방영일회차방송 내용(장소)
1월 2일43회내용 없음
1월 9일44회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신성리
1월 16일45회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용성리
1월 23일46회내용 없음
1월 30일47회내용 없음
2월 6일48회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노곡리
2월 13일49회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안당리(청둥오리 할머니)
2월 20일50회내용 없음
2월 27일51회내용 없음
3월 6일52회내용 없음
3월 13일53회내용 없음
3월 20일54회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마봉마을
3월 27일55회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4월 3일56회경상남도 함양군 안신마을
4월 10일57회충청남도 당진군 정미면 매방마을
4월 17일58회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무수리
4월 24일59회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금호마을
5월 1일60회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 연명, 노곡마을
5월 8일61회<어버이날 특집>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대황마을
5월 15일62회강원도 정선군 북평면 남평마을
5월 22일63회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여배마을
5월 29일64회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성당마을
6월 5일65회충청북도 청주시 월오동 월오마을
6월 12일66회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기도마을
6월 26일67회<상반기 결산 특집 1탄>
7월 3일68회<상반기 결산 특집 2탄>
7월 10일69회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마을
7월 17일70회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평촌마을
7월 24일71회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마을
7월 31일72회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유하마을
8월 7일73회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여자도
8월 14일74회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상산마을
8월 21일75회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 조곡마을
8월 28일76회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단산마을
9월 4일77회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대불마을
9월 11일78회충청북도 연기군 동면 용호마을
9월 18일79회경상북도 예천군 유천면 화지마을
9월 25일80회추석특집
10월 2일81회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청계마을
10월 9일82회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노곡마을
10월 16일83회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봉양마을
10월 23일84회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동대마을
10월 30일85회내용 없음
11월 6일86회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월길리 대리마을
11월 13일87회내용 없음
11월 20일88회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 범화리 상시마을
11월 27일89회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송월마을
12월 4일90회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노은마을
12월 11일91회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오룡마을
12월 18일92회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성동마을
12월 25일93회<송년특집>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오룡마을


5. 3. 2000년

회차날짜지역
94회1월 1일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신왕마을
95회1월 8일
96회1월 15일
97회1월 22일
98회1월 29일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백야마을
99회2월 5일100회 특집
100회2월 12일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오리 대룡마을
101회2월 19일
102회2월 26일
103회3월 4일
104회3월 11일
105회3월 18일
106회3월 25일
107회4월 1일
108회4월 8일
109회4월 15일
110회4월 22일
111회4월 29일
112회5월 6일
113회5월 13일
114회5월 20일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풍산마을
115회5월 27일
116회6월 3일
117회6월 10일
118회6월 17일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후천마을
119회6월 24일
120회7월 1일
121회7월 8일
122회7월 15일
123회7월 22일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마을
124회8월 1일경상북도 고령군 고령읍 본관 1리
125회8월 8일충청남도 천안시 북면 양곡리
126회8월 22일강원도 홍천군 내면 율전리
127회8월 29일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128회9월 5일경상북도 영주시 내죽 1리
129회9월 12일미국 애틀랜타
130회10월 3일미국 애틀랜타 2편
131회10월 10일경기도 화성시(당시 화성군) 송산면 쌍정리


6. 결방

1998년 8월 8일에는 호우 특보 편성으로, 2000년 8월 15일에는 프로축구 올스타전 중계로, 2000년 9월 19일과 26일에는 올림픽 중계 편성으로 결방되었다.[1][2]

6. 1. 1998년

1998년 8월 8일, 호우 특보가 편성되었다.[1]

6. 2. 2000년

2000년 8월 15일 오후 5시 50분부터 프로축구 올스타전 중계가 편성되었다.[1] 9월 19일과[2] 26일에는 올림픽 중계가 편성되었다.

7. 참고 사항


  • 1998년 3월 7일부터 2000년 7월 22일까지 《'''서세원의 좋은 세상 만들기'''》라는 제목으로 방송되었다.
  • 1999년 6월 26일12월 25일에 방송된 상반기 결산 특집 1탄과 1999 송년 특집은 저녁 6시 50분부터 8시까지 10분 연장 방송했다.
  • 2000년 1월 1일에 방송된 《밀레니엄 특집 서세원의 좋은 세상 만들기》는 저녁 6시 30분부터 8시까지 30분 연장 방송했다.
  • 제한된 형식 때문인지 2000년 봄 이후부터 시청률이 갈수록 떨어지자[1] 2000년 8월 1일부터 방송 시간을 화요일 오후 7시 15분으로 옮긴 동시에[2] 최성훈 외 2명으로 MC를 교체하면서 제목도 《'''좋은 세상 만들기'''》로 바뀌었으나 결국 가을 개편으로 인해 2000년 10월 10일을 기해 막을 내려야 했다.

참조

[1] 뉴스 SBS 오락프로 대폭 강화 ‘승부수’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0-07-24
[2] 뉴스 SBS 교양.오락 프로그램 부분 조정 https://www.kookje.c[...] 국제신문 2000-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