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영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영신은 1899년 금산군에서 태어나 기독교 신앙 속에서 성장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3·1 운동에 참여하고 일본 유학을 다녀오는 등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광복 후에는 대한여자국민당을 창당하고 중앙여자전문학교를 설립하여 교육자로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는 초대 상공부 장관을 역임하며 여성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또한, 중앙대학교 총장, 한국부인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 및 사회 활동에도 기여했다. 1977년에 사망했으며, 중앙대학교 교정에 유해가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대학교 총장 - 이재철 (1923년)
    이재철은 대한민국의 법학자, 교육자, 공무원으로, 외무부 입부 후 과학기술처 차관, 교통부 차관을 역임하고 인하대학교, 국민대학교, 중앙대학교 총장을 지냈으며 한국해양연구소 이사장을 역임했고 황조근정훈장과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훈했다.
  • 대한여자국민당의 정치인 - 박현숙 (1896년)
    박현숙은 숭의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군정 시기 임시 입법 의회 의원과 자유당,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제4대 및 제6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여자국민당의 정치인 - 이은혜 (교육인)
    이은혜는 대한민국의 교육인이자 사회운동가로, 이화학당 교사, 대한여자국민당 부당수, 기독교 권사로 활동하며 여성의 정치 참여를 옹호하고 이승만을 지지했다.
  • 전주기전여자고등학교 동문 - 최명희
    최명희는 1980년 등단하여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남원을 배경으로 한 대하소설 《혼불》로 주목받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전주기전여자고등학교 동문 - 조수진 (정치인)
    조수진은 1972년 익산 출생으로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미래한국당 비례대표로 제21대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과 수석최고위원을 역임했고, 언론인 시절 발언과 재산 누락 의혹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임영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어 이름승당 임영신
로마자 표기Im Yeong-sin
영문 이름Louise Yim
출생일1899년 11월 20일
출생지금산, 대한제국
사망일1977년 2월 17일
사망지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정치 경력
직책대한민국 상공부 장관
임기 시작1948년 8월
임기 종료1949년
소속 정당무소속
국회의원제헌 국회의원
학력
학교미국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대학원
전공교육학 석사
개인 정보
직업교육자, 독립운동가, 정치가, 사회운동가, 저술가
종교개신교(감리교)
배우자한순교(이혼)
부모아버지 임구환(任九桓), 어머니 김경순(金敬順)
형제임태희(남동생)
친인척임철순(조카), 유진산(사돈)
경력
주요 경력대한여자국민당 총재
상공부 장관 서리 임기1948년 8월 4일 ~ 1948년 8월 15일
초대 상공부 장관 임기1948년 8월 15일 ~ 1949년 6월 6일

2. 생애

임영신은 1899년 금산군의 부유한 농가에서 태어나,[1] 어린 시절부터 기독교 신앙 분위기 속에서 자랐다. 1919년 3·1 운동에 참여하여 투옥되기도 했다.[2] 이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정치학과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에는 여성 YMCA에서 활동했고, 중앙보육학교를 운영했다.

1945년 광복 후 대한여자국민당을 창당하고 중앙여자전문학교를 설립했다. 1946년부터 1948년까지 국제 연합에서 한국 대표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독립을 승인하는 결의안을 작성하는 데 기여했다.[3] 1948년 상공부 장관에 임명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장관이 되었으며,[1] 1949년 제헌 국회 의원에 당선되어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이 되었다.[4]

1953년부터 중앙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교육계에 헌신했다. 1961년 5·16 군사 정변 이후 민주공화당 창당에 참여하고 박정희 정권을 지지했다. 1972년부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및 운영위원을 역임했다.[1] 1977년 사망하여 유해는 중앙대학교 교정에 안장되었다.[1]

2. 1. 생애 초반

임영신은 1899년 금산군의 부유한 농가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는 독실한 개신교 장로였다. 어린 시절부터 기독교 신앙 분위기 속에서 성장했으며, 백인 선교사들의 영향을 받았다. 1909년 금산의 심광소학교(心光小學校)에 입학하였으나 집안의 반대로 학교를 그만두어야 했다. 그러나 학업에 대한 열정으로 몰래 학교를 다녔고, 1914년 심광소학교를 졸업했다.

1919년 전주시에서 3·1 운동에 참여하여 투옥되어 고문을 받았다.[2] 1919년부터 1921년까지 일본 내지의 히로시마 기독 여자 전문학교에서 수학했고, 1921년부터 1922년까지 공주시의 영명여학교와 이화학당에서 교사로 근무했다. 1925년부터 1931년까지 남캘리포니아 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수학하고 졸업했다.

2. 1. 1. 출생과 가계

승당(承堂) 임영신[9]1899년 11월 20일 충청남도 금산군[10] 금산읍 상옥리에서 아버지 풍천 임씨 임구환(任九桓)과 어머니 김경순(金敬順)의 열두 남매 중 다섯째, 딸로는 둘째 딸로 태어났다. 아버지 임구환은 독실한 개신교 장로였으며, 금산의 명문거족인 김해 김씨와 인척관계였다.

임영신의 선조 임온(任溫)은 중국 원나라 소흥부(紹興府) 자계현(慈溪縣) 출신으로, 고려에 와서 은자광록대부를 지냈다. 임온의 6대손 임주가 제국대장공주를 따라 고려로 와서 정착했다. 조선시대에는 임주의 아들 임자송의 6대손 임원준, 임사홍 부자와, 임자순의 8대손 임유겸, 9대손 임권, 임추 등을 배출하였다.

임영신의 7대조 때 금산군으로 낙향하였으나 가세는 기울었고, 아버지 임구환 대에 이르기까지 6대 독자로 겨우 이어왔다. 임구환은 10세에 아버지를 잃고 홀어머니에게서 자라 집안을 다시 일으켰다. 임구환은 '할머니의 중매로 5년 연상의 여자와 결혼했다'고 회고했다. 어머니와 할머니는 아들이 태어나게 해 달라고 오래 기도하여 오빠 상희(尙熙), 양희(亮熙), 건희(建熙), 언니 선유가 태어났고 그 다음에 다섯째인 임영신이 태어났다. 그 뒤로도 남동생 춘희(春熙), 여동생 영애(永愛), 남동생 태희(泰熙), 여동생 영실(永實)과 영선(永善)이 태어났다.

임영신은 12남매 중 둘째 딸이다. 둘째 오빠는 한국 전쟁 때 납북되었다.

  • 아버지: 임구환(任九桓)
  • 어머니: 김경순(金敬順)
  • 남동생: 임태희(任泰熙)
  • 남편: 한순교(1939년 미국에서 결혼하였으나 1940년 임영신 혼자 한국으로 돌아옴)
  • 조카 : 임철순(任哲淳, 둘째 오빠의 아들로 중앙대학교 제2대 총장이다.)

2. 1. 2. 소녀 시절

임영신은 개신교 집안에서 태어나 독실한 기독교 신앙 속에서 성장했다.[1] 아버지 임구환은 동학 농민 운동, 러시아일본의 동전 유입 등 시사 이야기를 들려주며 딸들의 교육에도 관심을 가졌다. 어린 시절, 아버지 임구환은 백인선교사들을 집으로 데려왔는데, 임영신은 이들의 영향을 받아 더욱 독실한 기독교인이 되었다.

1909년 금산의 심광소학교(心光小學校)에 입학하였다. 그러나 집안에서는 학업보다는 결혼을 강요했고, 이 때문에 학교를 그만두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영신은 몰래 담을 넘어 학교에 계속 다녔다. 키가 커서 금방 눈에 띄었고, 이 사실이 동네에 알려지면서 비웃음을 사기도 했다.

이런 어려움 속에서도 학업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고, 1914년 심광소학교를 졸업했다.

2. 2. 학창 시절

1899년 금산군의 부유한 농가에서 태어났다.[1] 1911년 12세 무렵, 일본으로 강제 결혼을 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부모가 정해준 혼사를 거절하였다. 중매쟁이들에게 "결혼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어린아이에게 강제로 혼사를 치르게 하는 것은 죄악"이라고 말하며, "제 인생은 제 것이지 가문의 것이 아닙니다."라고 주장하였다.

참조

[1] 뉴스 Louise Yim, Seoul Legislator, Dies; Educator and Women's Lead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7-02-17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s://books.google[...] 2015
[3] 웹사이트 The Chung Ang University in Seoul https://www.unmultim[...]
[4]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Women’s Political Rights https://books.google[...] 2018
[5]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8-11
[6] 웹사이트 성씨의 고향풍천임씨 https://www.joongang[...] 1983-03-19
[7] 웹사이트 임영신(任永信) https://encykorea.ak[...] 2023-08-14
[8] 웹사이트 임철순 전 국회의원 별세 https://www.yna.co.k[...] 2017-03-12
[9] 문서 임영신 자신의 말로는 이는 이승만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 한다.
[10] 문서 출생 당시는 전라북도 금산군
[11] 서적 My forty year fight for Korea - The Thrilling Personal Story of Korea's Joan of Arc A.A. Wyn 1951
[12] 뉴스 한국여성의 삶 이렇게 변해왔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1-12-05
[13] 서적 My forty year fight for Korea - The Thrilling Personal Story of Korea's Joan of Arc A. A. Wyn 1951
[14] 웹사이트 ‘대통령 상전’, 영부인 열전 :: 네이버 뉴스 https://news.naver.c[...]
[15] 웹사이트 임영신 http://www.antichris[...]
[16] 논문 임영신:이승만에 대한 애정과 반공의 신념 반민족문제연구소
[17] 서적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1993
[18] 서적 My forty year fight for Korea - The Thrilling Personal Story of Korea's Joan of Arc A. A. Wyn 1951
[19] 서적 전환기의 내막 조선일보사 1982
[20] 서적 尹致暎의 20世紀 : 東山回顧錄 삼성출판사 1991
[21] 문서 외교가에서 대령이라는 호칭이 상대방에게 신뢰감을 준다는 이승만의 의견에 따라 임시정부에서 그를 대령으로 임명하여 구미위원부 의장으로 활동할 때의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게 하였다.
[22] 서적 이승만의 삶과 꿈 중앙일보사 1996
[23] 뉴스 歷代유엔總會韓國代表團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2-08-08
[24] 뉴스 혼돈의 해방공간서 자유민주주의 초석을 놓다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