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복은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전 세계 연안 해역에 서식하는 복족류 연체동물이다. 다시마, 미역 등 해조류를 먹고, 껍데기는 귀 모양이며, 껍데기 구멍을 통해 호흡한다. 전복은 식용, 약용, 장식용으로 사용되며, 특히 식용으로 가치가 높아 전 세계적으로 양식되고 있다. 과도한 어획과 해양 산성화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한 종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복과 - 오분자기
    오분자기는 제주도 해역에 서식하는 패류로, 구이나 뚝배기 요리에 사용되는 제주 향토 음식 재료이지만 현재 분포 및 생태 정보가 부족하여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 식용 패류 - 골뱅이
    골뱅이는 얕은 바다에 사는 육식성 고둥인 큰구슬우렁이의 일반 명칭으로, 자갈 바닥에 서식하며 대한민국 동해안에서 많이 잡히고, 이매패류를 잡아먹으며, 봄에 알덩어리를 낳고, 식용으로 사용되지만 어업에 피해를 주는 유해 생물이기도 하다.
  • 식용 패류 - 조개
    조개는 껍데기를 가진 연체동물로, 다양한 종을 아우르며 전 세계 수중 생태계에 서식하고, 많은 동물의 먹이가 되며, 인류의 식량 자원으로 활용되어 왔다.
  • 연체동물 - 달팽이
    달팽이는 복족류에 속하며 배 전체를 발처럼 써서 느리게 이동하고 껍데기 유무와 서식 환경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자웅동체로 교미하여 번식하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천적에게 포식당하고 인간과 복잡한 관계를 맺으면서 문화적으로 다양한 상징성을 갖는다.
  • 연체동물 - 고둥
    고둥은 석회질 원뿔형 껍데기를 가진 나선형 연체동물로, 식용, 장식용, 화폐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조가비 수집 대상이 되고 문화적 의미도 지니지만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다.
전복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전복
스페인어abulón
생물 분류
동물계
연체동물문
복족강
미분류고복족류
상과전복상과
전복과(Haliotidae)
과 명명Rafinesque, 1815
전복속(Haliotis)
속 명명Linnaeus, 1758
하위 링크
하위Haliotis discus
전복 Haliotis gi­gantea
오분자기 Sulculus diversicolor supertexta
어원
기타
로마자 표기법abalone
영어 발음IPA: /ˈæbəloʊni/
IPA: /ˌæbəˈloʊni/
참고 문헌


2. 분포

포르투갈 포보아두바르짐의 전복에 붙어있는 살아있는 해면


전복과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남아메리카 태평양 연안, 북아메리카 대서양 연안, 북극,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연안 해역에서 서식한다.[10] 대부분의 전복 종은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북아메리카 서부, 일본 연안 등 차가운 해역에서 발견된다.[11]

3. 생태

(내용 없음)

3. 1. 먹이

주로 다시마, 대황, 미역, 감태, 파래 등의 해조류를 먹는다.

4. 형태

전복의 크기는 대부분 20mm에서 200mm 사이이며, 가장 큰 종인 빨강전복(Haliotis rufescens)은 300mm에 달하기도 한다.[6]

전복의 껍데기는 대체로 볼록하고 둥글거나 타원형이며, 귀 모양을 닮아 "귀조개"라고도 불린다. 껍데기에는 특징적인 호흡공들이 줄지어 나 있다.

몸의 머리 부분에는 술 모양의 머리엽과 측엽, 그리고 촉수가 있다. 입 안의 치설은 작은 중앙 치아 하나와 단일한 빔 모양의 측면 치아를 가지며, 약 70개의 톱니 모양 갈고리가 있는데 처음 네 개는 매우 크다. 전복의 발은 크고 근육질이다. 부드러운 몸은 축주근 주위에 감겨 있으며, 이 근육은 껍데기 안쪽 벽 중간에 붙어 있다. 아가미는 좌우 대칭이며 모두 잘 발달되어 있다.[8]

전복은 비교적 작은 크기에서 성숙기에 이르며, 산란력이 높아 크기가 커짐에 따라 한 번에 1만 개에서 1,100만 개의 알을 낳는다. 정자는 실 모양이고 한쪽 끝이 뾰족하며, 앞쪽 끝은 둥근 머리 모양이다.[9]

4. 1. 껍데기

북캘리포니아산 빨강전복 껍데기 안쪽의 진주광택 표면. 미국 쿼터 동전의 지름은 약 이다.


대부분의 전복 껍데기는 크기가 20mm(''Haliotis pulcherrima'')에서 200mm까지 다양하다. 가장 큰 종인 빨강전복(Haliotis rufescens)은 300mm에 달하기도 한다.[6]

전복의 껍데기는 볼록한 형태로 둥글거나 타원형이며, 높이 솟아 있거나 매우 납작할 수 있다. 대부분의 종은 작고 평평한 첨탑과 2~3개의 나선을 가진다. 마지막 나선인 체층은 귀 모양으로 생겨 "귀조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다만, 당나귀귀전복(Haliotis asinina)은 더 길고 늘어진 형태로 다소 다른 모양을 가진다. 검정전복(Haliotis cracherodii cracherodii)의 껍데기는 달걀 모양(난형)이고, 구멍이 없으며, 돌출된 첨탑과 가시가 있는 늑골을 가져 특이하다.

껍데기에는 외투막 가장자리가 갈라진 틈을 따라 특징적인 구멍들이 줄지어 나 있다. 이 구멍들은 아가미에서 물을 내보내고 정자을 방출하는 호흡구 역할을 한다.[7] 껍데기가 자라면서 구멍들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데, 이를 달무리구멍열(tremata)이라고 부른다. 이 구멍들은 껍데기 앞쪽 가장자리를 따라 8개에서 38개까지 나 있으며, 보통은 가장 최근에 생긴 몇 개만 열려 있다. 오래된 구멍은 껍데기가 성장함에 따라 점차 막히고 새로운 구멍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 각 종은 특징적으로 4개에서 10개의 열린 구멍을 가진다. 전복은 조개뚜껑이 없으며, 껍데기 안쪽으로 열린 개구부는 매우 넓고 진주광택이 난다.[7]

껍데기의 바깥 면은 줄무늬가 있고 광택이 없다. 껍데기 색깔은 종에 따라 매우 다양한데, 이는 먹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2] 껍데기 안쪽을 덮고 있는 진주층은 진주광택을 내며, 은백색에서 분홍색, 붉은색, 녹색을 띤 붉은색, 진한 파란색, 녹색, 자주색까지 다채로운 색을 띤다.

전복 껍데기는 매우 강하며, 벽돌처럼 쌓인 미세한 탄산칼슘 판상 결정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결정층 사이에는 접착력이 있는 단백질 물질이 채워져 있다. 껍데기가 충격을 받으면 결정들이 부서지는 대신 서로 미끄러지고, 단백질이 늘어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전 세계의 재료과학자들은 이 구조를 연구하여 방탄복과 같이 더 강한 세라믹 제품 개발에 응용하고 있다.[12] 전복 껍데기를 갈거나 자를 때 발생하는 먼지는 위험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에는 이러한 미세 입자를 흡입하지 않도록 적절한 안전 조치를 취해야 한다.[13]

4. 2. 호흡공

전복 껍데기에는 외투막의 갈라진 틈으로 인해 생긴 홈을 따라 특징적인 구멍들이 줄지어 나 있다. 이 구멍들은 호흡공 역할을 하여 아가미에서 물을 내보내고, 정자와 알을 물속으로 방출하는 통로가 된다.[7]

이 구멍들은 껍데기가 성장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이렇게 배열된 구멍들을 달무리대라고 부른다. 달무리대는 껍데기 가장자리 가까이에 위치하며, 총 8개에서 38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모든 구멍이 항상 열려 있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일부 구멍만 기능을 수행한다. 전복이 자라면서 오래된 구멍은 점차 막히고 새로운 구멍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각 종마다 특징적으로 4개에서 10개 사이의 열린 구멍을 가진다.[7] ''Haliotis cracherodii cracherodii''와 같은 일부 아종은 구멍이 없는 껍데기를 가지기도 한다.

4. 3. 발

전복의 은 둥근 모양이며, 다른 대부분의 연체동물과 비교했을 때 매우 큰 편이다.[8] 이 넓고 근육질인 발은 전복이 조하대의 바위 표면에 강하게 달라붙을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전복은 조간대보다 깊은 곳에 서식하지만, ''Haliotis cracherodii''와 같은 일부 종은 조간대에서도 발견된다.[9]

5. 생리

(내용 없음)

5. 1. 질병

전복은 다양한 질병에 취약하다. 2007년 빅토리아 1차 산업부(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Victoria))는 전복 바이러스 신경절염으로 인해 영향을 받은 지역의 전복 개체 수가 최대 90%까지 감소했다고 밝혔다. 전복은 또한 심각한 혈우병 환자와 같이 상처나 찔린 상처가 발생할 경우 체액이 응고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모류에 속하는 스피오니과는 전복의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14]

6. 인간과의 관계

전복은 오랜 시간 동안 인류에게 식용 및 장식용으로 중요한 자원이었다. 특히 그 껍데기는 진주진주광택과 함께 보석, 단추, 버클, 상감 세공 등 다양한 장식품의 재료로 활용되었다.[15][16][17]

인류가 전복을 이용한 역사는 매우 오래되어, 남아프리카 블롬보스 동굴의 10만 년 전 유적이나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채널 제도의 고대 폐기물 더미 등 전 세계 고고학 유적지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18][19] 특히 채널 제도에서는 최소 1만 2천 년 전부터 전복 채취가 활발했으며, 약 4천 년 전에는 과도한 채취로 인해 전복의 크기가 작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20]

또한, 아프리카나 북미 서해안 등 여러 지역의 원주민 문화에서 전복은 중요한 식량이자 장식품 재료였으며, 일부 문화권에서는 화폐처럼 사용되기도 했다.[56]

6. 1. 식용

전복은 오랜 시간 동안 식용 및 장식품의 재료로 인류에게 중요하게 사용되어 왔다. 전복 껍데기와 그 부산물인 진주진주광택 등은 보석, 단추, 버클, 상감 세공 등에 활용되었다.[15][16][17]

이러한 전복 사용의 역사는 고고학적 유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남아프리카 블롬보스 동굴의 10만 년 전 유적지나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채널 제도의 역사 시대 중국인들의 전복 폐기물 더미 등이 대표적이다.[18][19] 특히 채널 제도 주변에서는 최소 1만 2천 년 전부터 전복이 활발히 채취되었으며, 약 4천 년 전에는 과도한 채취로 인해 그 크기가 줄어들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0]

전 세계 여러 원주민 문화, 특히 아프리카와 미국 북서부 해안의 원주민 문화에서 전복은 중요한 주식이었다. 전복 고기는 전통 음식이며, 껍데기는 장식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역사적으로 일부 지역 사회에서는 껍데기를 화폐로 사용하기도 했다.[56]

6. 1. 1. 한국 요리

한국에서는 전복을 '전복'이라고 부르며 다양한 요리에 사용한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전복죽, 전복 버터구이, 전복 회, 전복물회 등이 있다. 특히 전복죽과 버터를 넣어 팬에 구운 전복 버터구이가 인기가 많다. 이 외에도 수프나 라면에 넣어 먹기도 한다. 전복은 동아시아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오랫동안 귀한 식재료이자 진미로 여겨져 왔다.

6. 1. 2. 외국 요리

전 세계적으로 특정 종이 풍부한 지역에서는 전복이 오랫동안 인류에게 귀중한 식량 자원이었다. 이 연체동물의 고기는 라틴 아메리카(특히 칠레), 프랑스, 뉴질랜드, 동아시아동남아시아의 특정 지역에서 진미로 여겨진다. 특히 중화권과 해외 중국인 사회에서는 전복을 보통 鮑魚|바오위중국어라고 부르며, 중국식 연회의 일부를 구성하기도 한다. 상어 지느러미 수프나 금침 수프와 마찬가지로 전복은 고급 식품으로 여겨지며, 전통적으로 축하 행사에 사용되었다.

전복이 인기를 얻고 희귀해짐에 따라 가격도 상승했다. 1920년대 미국 레스토랑에서 제공되던 약 4온스의 전복 요리는 (물가 상승을 고려한 달러로) 약 7USD였지만, 2004년에는 75USD로 상승했다.[30] 미국에서는 과거 전복을 주로 중국 이민자들이 먹고, 채취하고, 요리했다.[31] 그 이전에는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이 식용 및 기타 용도로 채취했다.[32] 1900년에는 캘리포니아에서 조간대 이상에서 전복을 채취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률이 제정되면서 중국인들이 시장에서 밀려났고, 대신 일본인들이 장비 유무에 관계없이 잠수 기술을 향상시켜 시장에 진출했다. 전복은 1915년 파나마-태평양 국제 박람회 이후 미국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했는데, 이 박람회에서는 요리 시연과 1,300석 규모의 식당을 갖추고 365가지 종류의 생선을 전시했다.[33] 현대 캘리포니아에서는 전복 고기를 피자에 넣거나, 캐러멜라이즈드 망고와 함께 볶거나, 크래커 가루와 밀가루를 뿌린 스테이크 형태로 먹기도 한다.[35]

일본에서는 활전복과 생전복을 아와비 스시에 사용하거나 찜, 소금 절임, 삶거나 다진 요리, 또는 간장에 졸인 요리로 제공한다. 소금에 절여 발효시킨 전복 내장은 혼슈 지방의 향토 음식인 とっつろ|토츠루일본어의 주요 재료이며, 주로 사케와 함께 즐긴다.[34]

영국령 채널 제도와 프랑스 인접 지역에서는 전복(Haliotis tuberculata)을 고급 요리 재료로 여기며, 현지인들은 전복을 얻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이후 치명적인 세균성 질병[52]과 남획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는 자원 보존을 위해 전복 채취가 엄격하게 규제된다. 전복 채취는 1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보름 또는 그믐, 그리고 그 이후 이틀 동안만 허용되는 특정 '전복 채취 조수'에만 제한된다. 껍데기 길이가 80mm 미만인 전복은 해변에서 채취할 수 없으며, 채취자는 잠수복을 착용하거나 머리를 물에 담그는 것조차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법률 위반은 형사 범죄이며 최대 5000GBP의 벌금 또는 6개월의 징역에 처해질 수 있다.[53] 전복에 대한 높은 수요 때문에 건지에서는 켐프쏜-리(Kempthorne-Leigh) 씨가 불법으로 전복을 채취하다가 잠수 장비를 완전히 착용한 경찰관에게 체포되는 세계 최초의 수중 체포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54]

전복 날고기


전복 사시미


찜 전복


전복 ''바오위''

6. 2. 약용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원기 회복에 도움을 준다. 또한 동맥경화, 고혈압 등 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아르기닌 성분은 지방 분해를 도와 체중 감량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밀전복의 껍질을 말려 가루로 만든 석결명은 눈을 보호하는 효능이 있어 한약재로 사용된다.

6. 3. 장식용

전 세계적으로 전복은 수 세기 동안 식용뿐 아니라 장식품의 재료로도 채취되어 왔다. 전복 껍데기와 발톱 모양의 진주, 그리고 진주광택은 보석, 단추, 버클 및 상감 세공에 사용되었다.[15][16][17] 이러한 전복 껍데기는 남아프리카 블롬보스 동굴의 10만 년 된 유적지에서부터 캘리포니아 북부 채널 제도의 역사적인 중국 전복 쓰레기 더미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된다.[18][19] 특히 채널 제도 주변에서는 최소 1만 2천 년 동안 전복이 매우 많이 채취되었으며, 이로 인해 약 4천 년 전에는 그 지역 전복 껍데기의 크기가 줄어들기도 했다.[20]

하이다 조각품에 사용된 직사각형의 전복 껍데기 장식


전복 껍데기 안쪽 면의 아름다운 광택을 내는 진주층은 전통적으로 장신구,[2] 단추, 그리고 가구나 악기(예: 기타의 프렛보드나 바인딩)의 상감 세공 장식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55] 한국의 전통 공예 기법 중 하나인 나전칠기 역시 전복 껍데기를 활용한 대표적인 예이다.

6. 4. 양식

전복 양식장


전복 부화장


다양한 어종 및 무척추동물 사육 및 부화장의 일부, (해양학 해양 연구소, 루캡, 팡가시난주 알라미노스, 필리핀, 2011)


전복 양식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일본중국에서 시작되었다.[21] 1990년대 중반 이후 소비를 목적으로 전복을 상업적으로 양식하려는 시도가 늘어나면서 점차 성공을 거두었다.[22] 남획과 불법 포획으로 야생 전복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면서, 현재 소비되는 전복 고기의 대부분은 양식 전복으로 공급되고 있다. 주요 전복 양식 지역은 중국, 대만,[23] 일본, 한국이다. 이 외에도 호주, 캐나다, 칠레, 프랑스,[24]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멕시코, 나미비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페인,[25] 태국, 미국 등에서도 전복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다.[26]

2012년 시험 양식을 거쳐,[27] 서호주 플린더스 만에는 상업적인 "해양 목장" 방식의 전복 양식장이 설립되었다. 이 양식장은 각각 400마리의 전복을 수용할 수 있는 5,000개의 콘크리트 서식지 유닛으로 구성된 인공 암초를 기반으로 한다. 육상 부화장에서 생산된 어린 전복을 이 암초에 방류하여 키운다.

양식 전복은 서식지에 자연적으로 자라는 해조류를 먹고 살며, 이러한 방식은 만의 생태계를 풍부하게 하여 두피쉬, 핑크 스내퍼, 래쓰, 샘슨피쉬 등 다른 어종의 개체 수 증가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8][29]

6. 5. 어획

전복은 세계 여러 지역에서 식용 및 장식용으로 가치가 높아 중요한 수산 자원으로 여겨진다. 주요 어획 방식은 잠수부가 직접 채취하는 방식이며, 지역에 따라 스쿠버 다이빙 또는 프리다이빙만 허용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국가는 전복 자원 보호를 위해 최소 어획 크기, 1인당 어획 가능 마릿수, 조업 시기 등을 법적으로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하지만 높은 가격 때문에 밀렵이 성행하는 경우가 많아, 각국 정부는 단속을 강화하고 관련 규제를 지속적으로 정비하고 있다. 지역별 구체적인 어획 규정과 현황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6. 5. 1. 오스트레일리아

타즈매니아는 전 세계 전복 수확량의 약 25%를 공급하는 주요 생산지이다.[36] 이곳에서는 약 12,500명의 주민들이 레저 활동으로 검은입술전복(Haliotis rubra)과 녹색입술전복(Haliotis laevigata)을 채취한다. 전복 채취에는 다음과 같은 최소 크기 제한이 적용된다.[37]

전복 종류지역최소 크기
검은입술전복주 남부138mm (약 5.4인치)
주 북부127mm (약 5인치)
녹색입술전복일반 지역145mm (약 5.7인치)
퍼킨스 만(Perkins Bay) 주변 (주 북부)132mm (약 5.2인치)



레저용 전복 채취 허가증을 가진 사람은 하루 최대 10마리, 총 20마리까지 전복을 소지할 수 있다. 스쿠버 다이빙을 이용한 전복 채취가 허용되며, 이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활동이다. 그러나 뉴사우스웨일스주와 서호주주에서는 스쿠버 다이빙을 이용한 전복 채취가 불법이며, 프리다이빙으로는 2마리까지만 잡을 수 있다.[38][39]

빅토리아주에서는 1950년대 후반부터 활발한 전복 어업이 이루어져 왔다. 이 주는 동부, 중부, 서부의 세 어업 구역으로 나뉘며, 어부들은 구역별 허가를 받아 조업한다. 채취 작업은 주로 소형 외륜선에서 수면 공급식 호흡기("후카" 시스템)를 사용하는 잠수부가 담당한다. 잠수부가 암초에서 전복 군집을 찾는 동안 선원은 보트를 운전하며 지원하는 "라이브" 방식으로 진행된다. 잠수부는 암초에서 전복을 떼어내기 전에 각 전복을 측정하며, 채취된 전복은 잠수부가 직접 수면으로 가져오거나, 선원이 무게추가 달린 로프를 내려 전복 자루를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회수된다. 선원은 회수된 전복의 크기를 다시 측정하고 껍질에 붙은 과도한 해조류를 제거한다.

2002년 이후 빅토리아주의 전복 어획량은 급격히 감소했는데, 이는 전복 개체 수 감소와 더불어 치명적인 전복 바이러스성 질병인 신경절염(ganglioneuritis)이 빠르게 확산된 탓이 크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2011/12 조업 연도의 허용 어획량은 기존 1440ton에서 787ton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6. 5. 2.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햇볕에 전복 껍질을 말리는 노동자들, 1900년경


1905년 캘리포니아의 젊은 일본인 전복 채취꾼


캘리포니아에서는 낚시 면허와 전복 카드가 있으면 홍전복의 스포츠 어획이 허용된다. 2008년에는 전복 카드에 24개의 태그가 제공되었으나, 규제가 강화되어 2014년에는 연간 18개, 2017년에는 12개로 줄었다. 2017년 기준으로는 12개의 태그 중 9개만 멘도시노 군 이남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법적 크기의 전복은 잡는 즉시 태그를 부착해야 한다.[40] 전복 채취는 잠수 장비 없이 맨몸으로 또는 해안에서만 가능하며, 스쿠버 다이빙을 이용한 채취는 엄격히 금지된다.[41] 샌프란시스코 만 입구 남쪽 지역에서는 전복 채취가 허용되지 않는다.[42] 채취 가능한 전복은 껍질 너비가 약 17.78cm 이상이어야 하며, 한 사람이 한 번에 소지할 수 있는 전복은 최대 세 개로 제한된다.[43][44]

2017년 기준 전복 조업 시즌은 7월을 제외하고 5월부터 10월까지였다. 스포츠 목적으로 채취한 전복과 그 껍질의 판매는 불법이며, 운반 시에는 반드시 껍질에 붙어 있는 상태여야 한다. 검은전복, 흰전복, 분홍전복, 납작전복, 녹색전복, 핀토전복은 법적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어 채취가 금지되며, 오직 홍전복만 채취할 수 있다.[43]

thumb 두 마리. 1996년부터 이 종의 상업 및 레크리에이션 어획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2018년, 전복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캘리포니아 어류 및 야생동물 위원회는 레크리에이션 목적의 전복 조업을 전면 금지했으며, 이 금지 조치는 2021년 4월까지 연장되었다.[45]

전복 채취꾼은 일반적으로 후드, 부츠, 장갑을 포함한 두꺼운 웨트슈트를 착용하고, 마스크, 스노클, 웨이트 벨트, 전복 채취용 쇠지렛대, 크기 측정용 게이지 등을 갖춘다. 또는 낮은 조수 때 바위 아래를 뒤져 전복을 찾기도 한다. 전복은 대부분 수심 10m 이내의 얕은 곳에서 채취되며, 이보다 더 깊은 수심에서 작업할 수 있는 프리다이버는 드물다. 전복은 주로 켈프와 같은 먹이가 풍부한 바위 지대에서 발견된다. 전복 쇠지렛대는 전복이 바위에 완전히 달라붙기 전에 재빨리 떼어내는 데 사용된다. 잠수 활동은 보트, 카약, 튜브 부표 등을 이용하거나 해안에서 직접 이루어진다.[41]

캘리포니아에서 기록된 가장 큰 전복은 약 31.34cm 크기로, 1993년 9월 존 페퍼(John Pepper)가 산 마테오 군 해안에서 잡은 것이다.[46]

한편, 미국 시장에서 "칠레 전복"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연체동물 ''Concholepas concholepas''는 실제 전복과는 다른 종으로, 소라과가 아닌 무리시과에 속한다.

6. 5. 3. 뉴질랜드

뉴질랜드에서는 전복을 '''파우아'''(pāua|파우아mi)라고 부른다. 검정발전복(''Haliotis iris'')은 뉴질랜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파우아로, 매우 광택이 나는 진주층은 눈부신 파란색, 녹색, 보라색의 이리데센스(진주광택) 때문에 기념품으로 인기가 많다. 남방전복(''Haliotis australis'')과 일반전복(''Haliotis virginea'')도 뉴질랜드 해역에 서식하지만, ''H. iris''보다 인기가 적다. ''Haliotis pirimoana''는 마나와타휘/쓰리킹스 제도에만 서식하는 소형 종으로, ''H. virginea''와 외형이 비슷하다.[47][48]

모든 뉴질랜드 조개류와 마찬가지로, 파우아의 레크리에이션 채취는 뉴질랜드 일차산업부(MPI)가 설정한 어획량 제한, 크기 제한, 계절 및 지역 제한을 준수하면 허가가 필요하지 않다. 법적으로 허용되는 레크리에이션 일일 한도는 다이버당 10마리이며, ''H. iris''의 경우 최소 껍데기 길이가 125mm, ''H. australis''의 경우 80mm이다. 또한, 어떤 사람도 육지에서 20마리 이상의 파우아 또는 2.5kg 이상의 파우아 고기를 소지할 수 없다. 파우아는 프리다이빙으로만 잡을 수 있으며, 스쿠버 장비를 사용하여 잡는 것은 불법이다.

전 세계적으로 전복 고기를 채취하고 수출하는 광범위한 암시장이 존재한다. 파우아 채취 권한이 마오리족의 관습적 권리에 따라 합법적으로 부여될 수 있는 경우 특히 문제가 되는데, 이러한 채취 허가가 남용될 경우 단속이 어렵기 때문이다. 뉴질랜드 경찰의 지원을 받는 뉴질랜드 일차산업부 수산업 담당관이 순찰하며 엄격하게 단속한다. 밀렵은 뉴질랜드에서 주요 산업이며, 수천 마리가 불법으로, 종종 규정 크기 미만으로 채취된다. 유죄 판결을 받으면 다이빙 장비, 보트, 자동차가 압수되고 벌금이 부과되며, 드물게는 징역형이 선고되기도 한다.

6. 5. 4.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공화국에는 고유종 전복 5종이 서식하는데, 이 중에는 ''Haliotis parva'', ''Haliotis spadicea'', ''Haliotis queketti'', ''Haliotis speciosa'' 등이 있다.[49] 이 중 가장 큰 종인 ''Haliotis midae''는 남아프리카공화국 해안선의 약 3분의 2에 걸쳐 분포한다.

과거 전복 채취는 주로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불법적인 상업적 채취가 성행하면서 개체 수가 크게 위협받고 있다.[50]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전복을 채취하려면 매년 발급되는 허가증이 필요하며, 스쿠버 장비를 이용한 채취는 금지되어 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허가증 발급이 중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범죄 조직까지 개입된 불법 채취와 상업적 조업은 계속되고 있다.[51] 2007년, 심각한 밀렵 문제로 인해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는 전복을 CITES 부속서 III에 등재하여 국제 사회에 거래 감시를 요청했다. 그러나 이 지정은 2010년 6월에 해제되어 더 이상 CITES의 직접적인 규제 대상은 아니지만, 수출 시에는 여전히 허가가 필요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내에서는 밀렵을 줄이기 위해 전복 고기의 국내 판매가 금지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법적으로 채취된 전복 고기의 상당수는 아시아 국가 등지로 밀수되어 판매되고 있다. 2008년 초 기준으로 전복 고기의 도매가는 킬로그램당 약 40USD였으며, 껍데기는 톤당 1400USD가 넘는 가격에 거래되었다.

6. 5. 5. 영국령 채널 제도

전복(Haliotis tuberculatalat)은 영국령 채널 제도와 프랑스 인접 지역에서 고급 요리 재료로 여겨지며, 현지인들은 전복을 얻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52] 19세기 후반 이후 치명적인 세균성 질병과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현재는 자원 보존을 위해 전복 채취가 엄격하게 규제된다. 전복 채취는 1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보름 또는 그믐, 그리고 그 이후 이틀 동안만 허용되는 특정 '전복 채취 조수'에만 제한된다. 껍데기 길이가 80mm 미만인 전복은 해변에서 채취할 수 없다. 채취자는 잠수복을 착용하거나 머리를 물에 담그는 것조차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법률 위반은 형사 범죄이며 최대 5000GBP의 벌금 또는 6개월의 징역에 처해질 수 있다.[53] 전복에 대한 수요가 높아 건지의 켐프쏜-리(Kempthorne-Leigh) 씨가 불법으로 전복을 채취하다가 잠수 장비를 완전히 착용한 경찰관에게 체포되는 세계 최초의 수중 체포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54]

6. 6. 보존

전복은 과도한 어획과 최근 이산화탄소 증가로 인한 해양 산성화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한 많은 생물 종 중 하나이다.[57] pH 감소는 전복의 껍질을 침식시킨다. 21세기에 들어 백색 전복, 분홍색 전복, 녹색 전복은 미국의 연방 멸종 위기종 목록에 올랐으며, 산 클레멘테 섬과 산타 바바라 섬 지역에 복원 가능성이 있는 지역이 제안되었다.[58] 야생으로 재도입하기 위한 전복 양식 가능성도 제기되었으며, 이러한 전복에는 개체 수 추적에 도움이 되는 특수 태그가 부착될 것이다.[59]

7. 기타

(내용 없음)

7. 1. 연구

생 전복을 액체질소 동결, 송품 동결, 반송풍 동결, 정지 공기 동결의 네 가지 방법으로 얼린 후, -20°C에서 3개월간 저장하면서 동결 방법과 저장 기간이 전복 근육의 물성 변화 및 단백질 변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61]

# 생 전복의 사후경직은 다른 어류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었다.[61]

# 압축 시험치와 전단 시험치는 액체질소 동결을 제외하고는 동결 방법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61]

# 염가용성 질소는 동결 저장 기간 동안 용출량이 완만하게 감소하였다.[61]

# 유리수의 유출량은 패주(조개 관자)와 다리 부분에서 차이가 있었고, 저장 기간 중 패주에서는 유리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61]

# 패널 테스트(관능 검사)를 통한 조직감(Texture) 평가 결과,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조직감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조직감의 변화는 유리수 변화(P<0.01), 단백질 변성(P<0.05), 압축 시험치 변화(P<0.05)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61]

7. 2. 사진

참조

[1] harvnb
[2] harvnb
[3] harvnb
[4] harvnb
[5] harvnb
[6] harvnb
[7] 웹사이트 Abalone Introduction http://www.marinebio[...] 2021-03-10
[8] harvnb
[9] harvnb
[10] harvnb
[11] 서적 National Geographic Field Guide to the Water's Edge https://books.google[...] National Geographic
[12] harvnb
[13] 웹사이트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http://www.cleveland[...] 2018-01-17
[14] harvnb
[15] 웹사이트 Haliotis Linnaeus, 1758 https://www.gbif.org[...] 2021-05-27
[16] harvnb
[17] 웹사이트 What are abalone pearls? https://pearlwise.pr[...] 2019-08-22
[18] 논문 A 100,000-Year-Old Ochre-Processing Workshop at Blombos Cave, South Africa 2011-10
[19] 논문 An Historic Chinese Abalone Fishery on California's Northern Channel Islands 2007
[20] 웹사이트 Haliotis Linnaeus, 1758 https://www.gbif.org[...] 2021-05-27
[21] harvnb
[22] harvnb
[23] harvnb
[24] harvnb
[25] 웹사이트 El marisco más exclusivo del mundo se cría en Galicia http://politica.elpa[...] PRISA 2016-07-28
[26] harvnb
[27] 웹사이트 Information Memorandum, 2013 Ranching of Greenlip Abalone, Flinders Bay – Western Australia http://www.oceangrow[...] 2016-04-23
[28] 웹사이트 First wild abalone farm in Australia built on artificial reef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08-28
[29] 웹사이트 Abalone grown in world-first sea ranch in WA 'as good as wild catch'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6-04-23
[30] harvnb
[31] harvnb
[32] 서적 Seaweed, Salmon, and Manzanita Cider: A California Indian Feast Heyday Books
[33] harvnb
[34] harvnb
[35] harvnb
[36] harvard
[37] harvard
[38] 웹사이트 FRDC blacklip abalone http://fish.gov.au/r[...] 2016-12-05
[39] 웹사이트 FRDC greenlip abalone http://fish.gov.au/r[...] 2016-12-05
[40] harvard
[41] harvard
[42] harvard
[43] harvard
[44] harvard
[45] 뉴스 California abalone season sunk until 2021 to give stressed population time to rebuild https://www.sfchroni[...] 2018-12-13
[46] harvard
[47] 저널 ''Haliotis virginea'' Gmelin, 1791 and a new abalone from Aotearoa New Zealand (Mollusca: Gastropoda: Haliotidae)
[48] 웹사이트 'The pāua that clings to the sea’: a new species of abalone found only in waters off a remote NZ island chain https://theconversat[...] 2024-09-03
[49] 웹사이트 South African abalone - SANBI https://www.sanbi.or[...] 2018-05-20
[50] 저널 Illegal and unreported fishing on abalone—Quantifying the extent using a fully integrated assessment model 2011-01-01
[51] harvard
[52] 웹사이트 Ormers « Jersey Evening Post http://jerseyevening[...] 2015-06-18
[53] harvard
[54] harvard
[55] 뉴스 A Guitar Lover's Guide to the CITES Conservation Treaty https://www.fretboar[...] 2008-09-02
[56] 서적 Abalone Tales Duke University Press
[57] harvard
[58] 저널 Using Spatially Explicit Data to Evaluate Marine Protected Areas for Abalone in Southern California 2002-10-01
[59] 웹사이트 Abalone: History and Future http://www.marinebio[...] 2016-05-06
[60] harvard
[61] 저널 전복의 동결에 관한 연구 1. 동결속도가 전복품질에 미치는 영향 http://www.papersear[...] 19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