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업은 물고기나 해산물을 잡거나 거두는 산업을 의미하며, 인류 역사와 함께 발전해왔다. 구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어구와 기술이 개발되었고, 상업적 어업, 소규모 어업, 레크리에이션 어업 등 여러 형태로 발전했다. 어업은 식량 공급, 경제 발전, 문화 형성에 기여했지만, 남획, 혼획, 불법 어업, 해양 오염, 기후 변화 등 다양한 문제점에 직면해 있다. 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어업이 발달했으며, 다양한 수산물을 어획하지만, 최근에는 자원 감소와 주변국과의 어업 갈등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해 수산 자원 관리, 불법 어업 근절, 친환경 어업 기술 개발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로 - 전기충격낚시
    전기충격낚시는 해저에 전기장을 발생시켜 어류를 포획하는 어업 방식으로, 연료 소비와 이산화 탄소 배출량 감소, 해저 생태계 파괴 최소화, 혼획 감소 등의 장점이 있지만, 동물권 논란과 해양 생태계 영향에 대한 우려로 일부 국가에서 금지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으나 지속 가능한 어업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 어로 - 어독초
    어독초는 약용, 식량 확보, 어업 활동에 사용되는 식물을 통칭하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가 활용되었으나, 수생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윤리적, 환경적 고려가 필요하다.
어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물고기를 잡으려는 활동
관련 활동수산업
주요 대상어류, 해산물
어업 유형원양 어업
연근해 어업
내수면 어업
양식업
수산 자원 조성 사업
어업 방법
어획 방법낚시
그물 어업
주낙 어업
작살 어업
가마우지 어업
어도
포경
어구어구
어망
낚싯대
작살
문어 항아리
어업 문제
문제점남획
밀어업
포경 문제
배타적 경제 수역
책임 어업
관련 기관
국제 기구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한국 기구수산업협동조합
해양수산부
법규
관련 법규어업법
어업권
수산자원보호법
TAC 법
외국인 어업의 규제에 관한 법률
어업 주권법
한일 어업 협정
유엔해양법협약
통계
세계 1인당 연간 소비량14.4 kg
개발도상국 1인당 연간 소비량7.4 kg

2. 역사

어업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적어도 4만 년 전 구석기 시대 후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고고학적 증거인 패총, 버려진 물고기 뼈, 동굴 벽화 등은 수산물이 당시 인류의 생존에 중요했음을 보여준다. 네안데르탈인도 기원전 20만 년경부터 어업을 했다는 증거가 있다.[8] 초기 인류는 물고기 덫을 위한 바구니를 만들고, 회전 기술과 초기 뜨개질 형태를 사용하여 어망을 만들어 더 많은 물고기를 잡을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8][9]

레펜스키 비르와 같은 초기 영구 정착지에서는 어업이 주요 식량 공급원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낚시는 단순한 생존 수단을 넘어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도 발전했다. 레크리에이션 낚시의 초기 발전 과정은 명확하지 않지만, 1496년 줄리아나 버너스가 쓴 ''Treatyse of Fysshynge wyth an Angle''[17]에는 낚시터, 낚싯대와 낚싯줄 제작, 미끼 사용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담겨 있었다.[18]

18세기는 이전 세기에 개발된 기술들이 통합되는 시기였다. 낚싯대에 고리가 달리기 시작하면서 낚시꾼들은 낚싯줄을 더욱 잘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낚싯대 자체도 정교해지고 다양한 역할에 맞게 특수화되었다. 대나무는 낚싯대의 상단 부분에 사용되어 강도와 유연성을 높였다. 1666년 런던 대화재 이후, 낚시 관련 제품 생산 중심지는 레디치(Redditch)로 이동했다. 오니시머스 우스톤슨은 1761년에 상점을 설립하고 왕실 임명장을 받는 등[21] 낚시 산업의 상업화가 진행되었다.

산업혁명은 낚싯줄 제조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섬유 방적기의 발명으로 다양한 굵기의 낚싯줄을 쉽게 생산하고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 19세기에는 플라이 낚시 클럽이 등장하고 관련 서적이 출판되면서 영국의 플라이 낚시는 더욱 발전했다. 19세기 중후반에는 중산층과 하층 계층의 레저 활동 기회가 확대되면서 플라이 낚시가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300px


20세기 초부터 어선의 동력화, 합성섬유 그물 보급, 어장 광역화 등 여러 요인이 겹쳐 어업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부터 세계 각지에서 수산 자원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물고기를 너무 많이 잡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수산 자원 보호의 중요성이 커졌고, 각국은 어업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수산자원보호법이 1952년부터 시행되어 수산 자원 보호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구석기 시대부터 어업이 시작되었으며, 신석기 시대에는 어구와 어업 기술이 발달하였다. 네안데르탈인도 어업을 했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었다.[8] 티엔위안인 유적에서는 민물고기 섭취 흔적이 발견되었다.[5][6] 패총, 동굴 벽화 등에서 어업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레펜스키 비르 유적에서는 어업이 주요 식량원이었다.

한국에서는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낚시바늘, 그물추 등 다양한 어구가 발견되어, 이 시기에 이미 어업이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2. 2. 근대

17세기 영국에서 트롤어업이 시작되었고, 19세기에는 브릭섬을 중심으로 크게 발전했다. 브릭섬 트롤선은 매끄러운 선체와 높은 가프 리그(gaff rig)를 갖추어 빠른 속도로 장거리 항해가 가능했고, 심해에서 큰 트롤 그물을 끌 수 있을 만큼 견고했다. 이러한 혁신적인 설계 덕분에 대규모 해양 트롤 어업이 가능해졌고, 어부들은 영국 남부 항구에서 북쪽 마을로 대규모 이동을 했다.[10]

19세기 중반, 그림즈비는 세계 최대 어항으로 성장했다.[11] 1846년 그림즈비 부두 회사가 설립되었고, 1849년 앨버트 왕자 부군이 로열 부두의 기초석을 놓았으며, 1854년 빅토리아 여왕이 최초의 현대식 어항으로 정식 개장했다. 브릭섬 트롤선은 전 세계로 퍼져나가 다른 나라 어선단에도 영향을 미쳤다.[13]

1870년대에는 최초의 증기선 어선이 등장하여 트롤 어업뿐만 아니라 낚싯줄과 자망을 사용하는 어업 기술도 발전했다. 데이비드 앨런은 1875년 스코틀랜드 리스에서 드리프터를 증기선으로 개조하여 최초의 목적 건조 어선을 설계했으며, 1877년에는 세계 최초의 스크류 추진 증기 트롤선을 건조했다.[15] 19세기 말에는 영국에서 3,000척 이상의 어선 트롤선이 운영되었고, 그중 거의 1,000척이 그림즈비에 있었다.

산업혁명은 낚싯줄 제조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낚시꾼들은 낚싯줄을 직접 꼬는 대신, 섬유 방적기를 통해 다양한 테이퍼 라인을 쉽게 제조하고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19세기에는 플라이 낚시 클럽이 등장하고 플라이 타잉 및 플라이 낚시 기술에 관한 여러 책이 출판되면서 영국의 플라이 낚시가 계속 발전했다. 19세기 중후반, 중산층과 하층 계층의 레저 기회 확대로 플라이 낚시가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노르웨이 등 해외로 낚시 여행을 가는 사람들도 증가했다.[23]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어업 기술이 도입되면서 어업 생산량이 증가했지만, 동시에 수산 자원 남획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홋카이도에서는 1910년대 메이지 말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청어 남획이 계속되어 어획량이 격감했고, 결국 청어 어업 자체가 중단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홋카이도 이시카리에 청어가 다시 돌아와 어업이 가능하게 된 것은 2010년대에 들어서였다.

2. 3. 현대

2차 세계 대전 이후, 무선 항해 보조 장치와 어군 탐지기가 널리 사용되면서 어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1950년대 초에는 저렴한 유리섬유 낚싯대, 합성 플라이 라인, 모노필라멘트 리더가 개발되어 플라이 낚시가 다시 인기를 얻었다.[25] 1905년 앨버트 일링워스(Albert Illingworth, 1st Baron Illingworth)는 현대적인 형태의 고정 스풀 스피닝 감개를 특허받았다. 일링워스 감개는 낚싯줄이 스풀의 앞쪽 가장자리에서 당겨지지만, 정지된 스풀 주위를 도는 라인 픽업 장치에 의해 제한되고 되감겨지기 때문에 기존 감개보다 훨씬 가벼운 루어를 캐스팅할 수 있었다.[25]

20세기 초부터 어선의 동력화가 진행되었고, 합성섬유 그물 보급, 어장의 광역화 등 여러 요인이 겹쳐 20세기 후반부터 세계 각지에서 수산 자원이 감소하는 경향이 증가하여 고갈될 우려가 커졌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산 자원 보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수산자원보호법이 1952년부터 시행되어 수산 자원 보호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3. 어업 방식

어업은 사용하는 도구와 기술, 대상 어종, 어획 장소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어업 방식은 크게 어구를 사용하는 방식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어구를 사용하지 않는 가장 간단한 방식은 누들링처럼 맨손으로 직접 물고기를 잡는 것이다.

어구를 사용하는 어법은 어획 대상 생물의 생태, 어장 환경, 어기 등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어구를 선택한다. 대표적인 어법으로는 어망 어업, 낚시 어업, 작살 어업, 함정 어업 등이 있다.


  • 어망 어업: 투망, 저인망, 끌그물, 지인망, 둘러치기그물, 주낙, 자망, 가두리양식, 정치망 등 다양한 종류의 그물을 사용하여 물고기를 잡는다.
  • 낚시 어업: 낚싯대를 사용하지 않는 낚시나 연승 어업을 포함한다. 참치 연승, 손낚시, 낚싯대 낚시, 기계 낚시 등이 있다.
  • 작살 어업: 육지나 선상, 잠수하여 작살, 야스(갈고리)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물고기를 직접 찌르는 방식이다.
  • 함정 어업: 물고기의 습성을 이용하거나, 미끼로 유인하거나, 수류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유인하여 특정 장치나 으로 물고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족대, 어망, 문어잡이 항아리, 붕장어 통발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잠수 어업은 잠수부나 잠수 장비를 이용하여 맨손이나 작살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수중 동물을 포획하는 방식으로, 해녀가 대표적이다.

기타 어업 방식으로는 유인 어업, 긁어내는 어업, 끼워 잡는 어업, 돌치기 어업, 동물 이용 어업(예: 가마우지를 이용한 우카이(鵜飼い)) 등이 있다.

3. 1. 어구 및 어법

어망 어업은 투망, 저인망, 끌그물, 지인망, 둘러치기그물, 주낙, 자망, 가두리양식, 정치망 등 다양한 종류의 그물을 사용하여 물고기를 잡는 방법이다.

어망 종류설명
투망(피망)
저인망
끌그물(중층끌그물)
지인망
둘러치기그물
주낙
자망
가두리양식막대받침그물, 네손그물 등
정치망
푸는 그물



낚시 어업은 낚싯대를 사용하지 않는 낚시 어업이나, 연승 어업도 포함된다.

낚시 종류설명
연승(はえなわ)참치 연승, 연어·송어 연승 등
손낚시 어업
낚싯대 낚시 어업원양 가다랑어 낚시 등
기계 낚시 어업원양 오징어 낚시 등
예망 낚시 어업
입망 낚시 어업



작살 어업은 육지나 선상, 또는 잠수하여 작살, 야스, 갈고리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물고기를 직접 찌르는 어업이다.

작살 종류설명
모리(銛)고래나 바다의 대형 어류를 찌르는 데 사용되었던 기습용 찌르는 도구
야스(簎・矠)긴 자루 끝에 여러 개의 뾰족한 철제 찌르는 도구가 달려 있음
카기(鉤)긴 자루 끝에 끝이 구부러진 갈고리 모양의 금속이 달려 있음
무쓰카케(むつかけ)아리아케해(有明海)의 갯벌(干潟)에 서식하는 짱뚱어(ムツゴロウ)를 포획하는 어업 방법



함정 어업은 어류의 습성을 이용하거나, 미끼로 유인하거나, 수류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물고기를 유인하여, 어떤 장치나 으로 물고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어업이다.

문어의 습성을 이용한 문어잡이 항아리


함정 종류설명
족대동북 지방에서는 일반적으로 "도우"라고 불리는 바구니 모양의 어구
어망(エリ)
가로막대기
문어잡이 항아리
석간미
붕장어 통발



잠수 어업은 잠수부나 잠수 장비를 이용하여 맨손이나 작살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수중 동물을 포획하는 어업 방식이다. (예: 해녀)

기타 어업:


  • 유인 어업: 뱀장어·조개류 등의 대상물을 걸어 올리는 유인 도구를 사용하는 어업.
  • 긁어내는 어업: 수저를 긁어 조개·갯지렁이류 등의 대상물을 채취하는 긁어내는 도구를 사용하는 어업.
  • 끼워 잡는 어업: 조개·해조류 등의 대상물을 끼워 잡거나 얽히게 하여 잡는 어업.
  • 돌치기 어업: 물속의 돌을 다른 돌이나 망치 등으로 쳐서 그 충격으로 물고기를 기절시킨 후 떠오른 것을 줍는 원시적인 어업 방법. 일본에서는 하천에 따라 금지되어 있다.
  • 동물 이용 어업: 길들인 동물을 이용하는 어업. 가마우지에게 물고기를 잡게 하는 우카이(鵜飼い)나 수달을 이용하여 그물로 몰이하는 등 전통 어업으로 남아 있다.

3. 2. 어획 대상

종류예시
어류고등어, 갈치, 명태, 조기, 참치, 연어
갑각류, 새우, 바닷가재
연체동물오징어, 문어, 낙지, 조개
해조류, 미역, 다시마


3. 3. 어획 장소

연안 어업은 육지에서 가까운 바다에서 이루어지는 어업이다. 근해 어업은 연안보다 멀리 떨어진 바다에서 이루어지는 어업을 뜻한다. 원양 어업은 먼 바다에서 이루어지는 어업이다. 내수면 어업은 강, 호수, 저수지 등 민물에서 이루어지는 어업을 말한다.

4. 어업의 종류

상업적 어업은 이익을 목적으로 물고기를 잡는 활동이고, 소규모 어업은 가족 단위나 소규모 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어업 활동이며, 레크리에이션 어업은 주로 즐거움이나 경쟁을 위해 하는 낚시이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어업을 레크리에이션, 생계형, 상업적 어업과 어획, 가공, 유통 부문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35]

수산업은 다음 세 가지 주요 부문으로 나뉜다.


  • '''상업 부문''': 야생 어획 또는 양식 자원과 판매를 위한 다양한 자원 변환과 관련된 기업과 개인으로 구성된다.
  • '''전통 부문''': 원주민이 전통에 따라 제품을 얻는 어업 자원과 관련된 기업과 개인으로 구성된다.
  • '''레크리에이션 부문''': 판매용이 아닌 제품을 얻는 어업 자원을 이용한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또는 생계 목적으로 관련된 기업과 개인으로 구성된다.


대한민국에서는 어촌계를 중심으로 소규모 어업이 이루어진다.

4. 1. 상업적 어업

상업적 어업은 이익을 목적으로 물고기를 잡는 활동이다. 상업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어장에서 참치, 대구, 연어, 새우, 크릴, 바닷가재, 조개, 오징어, 게 등 다양한 수생 생물을 잡는다.[35]

상업적 어업은 대형 그물과 해상 가공 공장을 이용하여 매우 효율적으로 발전하였다. 개별 어획 할당량과 국제 조약은 어획 종과 양을 통제하려고 한다. 상업 어업 기업은 소형 어선에서부터 거대한 트롤선 함대까지 다양하다.

상업 어업 장비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그물 (예: 끌어올리는 자망, 해변 자망)
  • 트롤 (예: 저층 트롤)
  • 준설기
  • 낚시 바늘과 낚싯줄 (예: 긴 낚싯줄과 손낚싯줄)
  • 들어올리는 그물
  • 자망
  • 얽히게 하는 그물
  • 통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00년 세계 전체 포획 어업 생산량은 8600만 톤이었다.[31] 최대 생산국은 다음과 같다.

2000년 세계 어업 생산량 상위 국가
순위국가
1중국 (홍콩과 대만 제외)
2페루
3일본
4미국
5칠레
6인도네시아
7러시아
8인도
9태국
10노르웨이
11아이슬란드



이들 국가는 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그중 중국은 3분의 1을 차지했다. 이 생산량 중 90% 이상이 해양에서, 10% 미만이 내륙에서 나왔다.

전 세계 어획량의 대부분은 소수의 어종이 담당한다. 주요 어종은 다음과 같다:



1999년에는 청어와 정어리가 2200만 톤 이상 어획되었으며, 마지막 네 종을 제외한 모든 종이 100만 톤 이상 어획되었다.

4. 2. 소규모 어업

소규모 어업은 가족 단위나 소규모 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어업 활동으로, 전통적인 어업 방식이 많이 사용되며, 지역 경제와 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에서는 어촌계를 중심으로 소규모 어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4. 3. 레크리에이션 어업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 낚시는 주로 즐거움이나 경쟁을 위해 하는 낚시를 말한다. 레크리에이션 낚시에는 물고기를 잡는 방법에 대한 관례, 규칙, 면허 제한 및 법률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물을 사용하거나 입에 걸리지 않은 바늘로 물고기를 잡는 것은 금지된다. 가장 일반적인 레크리에이션 낚시는 낚싯대, 낚싯줄, 낚시 바늘 및 다양한 미끼 또는 인공 미끼(예: 인공 파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바늘로 물고기를 잡거나 잡으려고 하는 행위는 낚시라고 한다. 낚시에서는 물고기를 물에 다시 돌려보내는 (캐치 앤 릴리스)이 때때로 기대되거나 요구된다. 레크리에이션 또는 스포츠 낚시꾼은 자신의 조과를 기록하거나 낚시 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33]

낚시


누카리(누르미야르비, 핀란드) 급류에서 낚시하는 사람


전 세계 레크리에이션 낚시꾼 수는 최소 2억 2천만 명에서 최대 7억 명으로 추정되며,[33] 이는 상업 낚시꾼 수의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미국에서만 5,000만 명이 바닷물민물 환경 모두에서 낚시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34]

대형 어류 낚시는 황새치, 참치, 상어, 마린과 같은 대형 해양 어종을 잡기 위해 배에서 하는 낚시이다. 스포츠 낚시(때때로 게임 낚시)는 물고기의 요리적 가치나 금전적 가치보다는 물고기를 찾고 잡는 어려움이 주된 보상인 레크리에이션 낚시이다. 찾는 물고기에는 타폰, 돛새치, 고등어, 그루퍼 등이 있다.

5. 어업 관련 요소

수산업은 어류나 수산물을 잡거나, 기르고, 가공하고, 보관하고, 운반하고, 판매하는 모든 활동을 포함한다. FAO는 레크리에이션 어업, 소규모 어업, 상업적 어업과 더불어 어획, 수산물 가공, 수산물 유통까지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정의한다.[35] 2022년 기준으로 어업 및 양식업 종사자의 24%, 수확 후 부문 근로자의 62%가 여성이었다.[36]

세이셸 제도(Seychelles Islands)의 현대 스페인 참치(tuna) 정치망 어선(purse seiner)


수산업은 크게 상업 부문, 전통 부문, 레크리에이션 부문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37]

  • 상업 부문: 야생에서 잡거나 양식한 수산물을 판매하기 위해 가공하는 기업 및 개인을 포함한다.
  • 전통 부문: 원주민들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수산물을 얻는 기업 및 개인을 포함한다.
  • 레크리에이션 부문: 판매 목적이 아닌, 여가, 스포츠, 생계 유지를 위해 수산물을 얻는 기업 및 개인을 포함한다.


수산자원 관리는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해 수산자원을 보호하는 방법을 연구하며, 수산학을 기반으로 한다. 현대 수산자원 관리는 정부의 관리 규칙 시스템을 따르며, 감시 통제 및 감시 시스템을 통해 시행된다.

수산학은 수산업을 관리하고 이해하기 위한 학문 분야이다. 해양학, 해양생물학, 해양보전, 생태학, 개체군 동태, 경제학, 경영학 등 다양한 학문을 통합하여 수산업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생물경제학과 같은 새로운 학문 분야도 등장하고 있다.

5. 1. 어부

물고기를 잡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을 '''어부'''(漁夫) 또는 '''어민'''(漁民)이라고 한다.

5. 2. 어선

어선은 어업에 사용되는 배를 말한다. 어선의 종류는 어업 방식과 어획 대상에 따라 다양하다.

현대식 어업용 트롤선은 19세기 영국 어항 브릭섬(Brixham)에서 개발되었다. 19세기 초 브릭섬 어부들은 남데번(South Devon)의 과다 어획(overfishing)으로 인해 어획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어장을 이전보다 더 넓게 확장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곳에서 발전한 브릭섬 트롤선(Brixham trawler)은 매끄러운 선체에 높은 가프 리그(gaff rig)를 갖추어, 해양 어장까지 장거리 항해를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속도를 낼 수 있었다. 또한 심해에서 큰 트롤 그물을 끌 수 있을 만큼 견고했다. 브릭섬에 형성된 대규모 트롤 어선단은 이 마을에 '심해 어업의 어머니'라는 명칭을 안겨주었다.[10]

윌리엄 아돌퍼스 넬(William Adolphus Knell)이 그린 ''브릭섬 트롤선'' 그림. 이 그림은 현재 국립해양박물관(National Maritime Museum)에 소장되어 있다.


이 혁신적인 설계는 최초로 대규모 해양 트롤 어업을 가능하게 하였고, 그 결과 영국 남부 항구에서 스카버러(Scarborough, North Yorkshire), 헐(Kingston upon Hull), 그림즈비(Grimsby), 하리치(Harwich), 야머스(Great Yarmouth)와 같이 대서양(Atlantic Ocean)의 광대한 어장에 접근할 수 있는 북쪽 마을들로 어부들의 대규모 이동이 발생했다.[10]

작은 마을 그림즈비(Grimsby)는 19세기 중반까지 세계 최대 어항으로 성장했다.[11] 1796년 최초로 의회 법안(Act of Parliament)이 통과되어 새로운 부두 건설과 항구 준설을 통해 수심을 깊게 하는 것이 승인되었다.[12] 어업 산업(fishing industry)의 엄청난 확장은 1846년에야 그림즈비 부두 회사(Grimsby Dock Company)가 설립되면서 나타났다. 로열 부두의 기초석은 1849년 알버트(Albert) 왕자 부군(Prince consort)(Prince Albert of Saxe-Coburg and Gotha)에 의해 놓였으며, 25acre에 달하는 부두는 1854년 빅토리아 여왕(Victoria of the United Kingdom)에 의해 최초의 현대식 어항으로 정식 개장되었다.

우아한 브릭섬 트롤선(Brixham trawler)은 전 세계로 퍼져 나가 전 세계 어선단에 영향을 미쳤다.[13] 19세기 말에는 영국에서 3,000척 이상의 어선 트롤선이 운영되었고, 그림즈비에는 거의 1,000척이나 있었다. 이러한 트롤선들은 네덜란드(Netherlands)와 스칸디나비아(Scandinavia)를 포함한 유럽 전역의 어부들에게 판매되었다. 12척의 트롤선은 독일 어선단의 핵심이 되었다.[14]

최초의 증기선 어선은 1870년대에 처음 등장하여 트롤(trawl) 어업 시스템뿐만 아니라 낚싯줄과 자망을 사용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길이 약 24.38m에서 약 27.43m, 너비 약 약 6.10m의 대형 선박이었으며, 무게는 40~50톤, 속도는 9kn에서 11kn였다. 데이비드 앨런은 1875년 3월 스코틀랜드 리스(Leith)에서 드리프터를 증기선으로 개조하여 최초의 목적 건조 어선을 설계하고 제작했으며, 1877년에는 세계 최초의 스크류 추진(screw propelled) 증기 트롤선(steam trawler)을 건조했다.[15]

증기 트롤선은 1880년대에 그림즈비(Grimsby)와 헐(Kingston upon Hull)에 도입되었다. 1890년 북해에는 약 20,000명의 어부들이 있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증기 드리프터는 1897년까지 청어잡이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마지막 범선 트롤선은 1925년 그림즈비에서 건조되었다. 트롤선 설계는 1차 세계 대전(World War I)까지 범선에서 석탄 증기선으로, 2차 세계 대전(World War II) 말까지 디젤 엔진(Diesel engine)과 터빈(turbines)으로 동력이 변화함에 따라 변화되었다.

1931년 로리 자렐라이넨(Laurie Jarelainen)이 최초의 동력 드럼을 만들었다. 드럼은 배의 측면에 설치된 원형 장치로 그물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World War II) 무선 항해 보조 장치(radio navigation aid)와 어군 탐지기(Fishfinder)가 널리 사용되었다. 최초의 트롤선은 선미(stern)가 아닌 선체 측면에서 그물을 끌어올렸다. 최초의 목적 건조 선미 트롤선은 1953년 스코틀랜드 애버딘(Aberdeen)에서 건조된 ''페어트라이(Fairtry)''였다. 이 배는 당시 운영 중이던 다른 어떤 트롤선보다 훨씬 컸으며 '초대형 트롤선' 시대를 열었다. 배가 선미에서 그물을 끌어올리면서 최대 60톤의 훨씬 더 많은 어획량을 얻을 수 있었다.[16] 이 배는 그 후 수십 년 동안 전 세계 '초대형 트롤선'의 확장의 기초가 되었다.[16]

북해에서 조업 중인 상업용 게잡이 어선


소형 낚시보트


FAO에 따르면, 2004년에는 4백만 척의 상업용 어선이 있었다.[31] 이 중 약 130만 척은 갑판이 있는 선박으로, 밀폐된 공간이 있다. 이러한 갑판이 있는 선박의 거의 대부분은 기계화되었으며, 4만 척은 100톤이 넘는다. 반대로, 갑판이 없는 어선의 3분의 2(180만 척)는 돛과 노로만 추진되는 다양한 유형의 전통적인 어선이다. 이러한 어선은 소규모 어업 종사자들이 사용한다.

레크리에이션 어선의 수를 추산하기는 어렵지만, 그 수는 상당히 많다. 일부 레크리에이션 보트가 때때로 낚시에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용어는 유동적이다. 대부분의 상업용 어선과 달리, 레크리에이션 어선은 낚시 전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어부가 주기적으로 타고 물고기를 잡으려고 하는 한, 떠 있을 수 있는 모든 것을 레크리에이션 어선이라고 부를 수 있다. 통나무 배, 튜브형 낚시 보트, 카약, 뗏목, 스탠드업 패들보드, 폰툰 보트, 소형 딩기에서 런어바웃, 캐빈 크루저, 크루징 요트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대형의 첨단 고급 빅 게임 장비까지 다양한 보트에서 레크리에이션 목적으로 물고기를 잡는다.[32] 레크리에이션 낚시를 염두에 두고 특별히 제작된 더 큰 보트는 보통 편리한 낚시를 위해 선미에 크고 열린 조타실을 갖추고 있다.

5. 3. 낚시 도구

낚시 도구는 낚시에 사용되는 장비들을 말한다. 낚시에 사용되는 거의 모든 장비나 도구는 낚시 장비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낚시 도구는 다음과 같다:

낚싯줄 끝에 부착되는 장비는 통틀어 '''터미널 태클'''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바늘, 봉돌, 찌, 목줄, 스위블, 스플릿 링과 스피너 블레이드를 낚시 미끼에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와이어, 스냅, 비드, 스푼, 블레이드, 스피너 및 클리비스가 포함된다. 사람들은 죽은 또는 살아있는 미끼용 물고기를 미끼의 또 다른 형태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25]

6. 수산업

수산업은 어업, 양식업, 수산물 가공 및 유통 등 수산 자원과 관련된 모든 산업 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이다.[35]

FAO는 수산업을 레크리에이션, 생계형 및 상업적 어업과 어획, 가공 및 유통 부문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35] 상업 활동은 인간 소비 또는 다른 산업 공정에서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어류 및 기타 수산물의 공급을 목표로 한다. 2022년 어업 종사자 및 양식업 종사자의 24%, 수확 후 부문 근로자의 62%는 여성이었다.[36]

수산업에는 세 가지 주요 부문이 있다.[37]


  • 상업 부문: 야생 어획 또는 양식 자원과 판매를 위한 다양한 자원 변환과 관련된 기업과 개인으로 구성된다.
  • 전통 부문: 원주민이 전통에 따라 제품을 얻는 어업 자원과 관련된 기업과 개인으로 구성된다.
  • 레크리에이션 부문: 판매용이 아닌 제품을 얻는 어업 자원을 이용한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또는 생계 목적으로 관련된 기업과 개인으로 구성된다.


어류 및 기타 수생 생물은 상어 가죽, 갑오징어의 먹물 분비물로 만든 색소, 와인과 맥주의 맑힘에 사용되는 어교(isinglass), 비료로 사용되는 어분(fish emulsion), 어유 접착제(fish glue), 어유(fish oil), 어분(fish meal)과 같이 다양한 식품 및 비식품으로 가공된다.

6. 1. 수산 자원 관리

수산자원 관리는 지속 가능한 이용이 가능하도록 수산자원을 보호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수산학을 활용한다. 현대 수산자원 관리는 종종 정의된 목표와 규칙을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관리 수단을 기반으로 하는 정부 관리 규칙 시스템으로 여겨지며, 이러한 규칙들은 감시 통제 및 감시 시스템에 의해 시행된다.

수산학은 수산업을 관리하고 이해하는 학문 분야이다. 수산업에 대한 통합적인 그림을 제공하기 위해 해양학, 해양생물학, 해양보전, 생태학, 개체군 동태, 경제학 및 경영학 등 여러 학문 분야를 활용하는 다학제적 과학이다. 경우에 따라 생물경제학과 같은 새로운 학문 분야가 등장하기도 한다.

생물학적으로 지속 가능한 수준 내에서 어획되는 어류 자원은 1974년 90%에서 2021년 62.3%로 감소했다.[39] 어업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과 관련된 문제에는 과다 어획, 혼획, 해양 오염, 어업의 환경적 영향, 유령 어업, 기후 변화, 어업 유도 진화 및 양식이 포함된다.

보존 문제는 해양 보존의 일부이며 수산 과학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진다. 포획 가능한 어류의 양과 인류의 어획 욕구 사이에는 갈수록 큰 격차가 생기고 있으며, 이 문제는 세계 인구 증가에 따라 더욱 악화되고 있다. 다른 환경 문제와 마찬가지로, 생계를 위해 어업에 의존하는 어부들과 미래의 어류 개체군을 지속 가능하게 유지하려면 일부 어장에서는 어업을 제한하거나 중단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는 수산 과학자들 사이에 갈등이 있을 수 있다.

어업의 역사적 기원은 매우 오래되었으며, 포획 대상이 되는 생물의 생태에 맞춰, 또한 시대의 기술적 제약 하에서 다양한 어구와 어법이 사용되어 왔다. 전통적인 어업에서는 어구의 재료는 기본적으로 천연 소재였으며, 그 생산성은 낮았지만, 어업의 규모와 수산 자원의 생태가 조화를 이루어 수역의 수산 자원은 재생산되었다. 어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수 명이 공동으로 어업을 하거나, 특히 근세 이후에는 그물 주인이 다수의 인원을 고용하여 어업을 하는 경우(지끌이그물이나 끌그물 등)도 나타났다.

20세기 초부터 어선의 기관, 엔진 도입 등 동력화가 진행되었고, 합성섬유 그물 보급, 어업 생산성 향상, 세계 인구의 급속한 증가, 어장의 광역화 등 여러 요인이 겹쳐, 20세기 후반부터 세계 각지에서 수산 자원이 감소하는 경향이 증가하여 고갈될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쉽게 말하면 “물고기를 너무 많이 잡는 것”으로 인해 물고기의 생존 수가 감소하여 어업을 해도 예전만큼 물고기가 잡히지 않는 일이 세계 각지에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홋카이도(특히 이시카리 만 부근)에서 청어가 대량으로 잡혔지만, 어부들이 1910년대 메이지 말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남획을 계속한 결과, 청어의 수가 줄어들어 수확량이 격감하고, 마침내 청어가 전혀 잡히지 않는 지경에 이르러 청어 어업 자체가 중단되는 비참한 사태를 초래했다. 홋카이도 이시카리에 청어가 다시 돌아와 어업이 가능하게 된 것은 2010년대이다. 즉, 홋카이도의 청어 어업에서는 수산 자원을 고갈시킨 결과, 그 복구에 백 년이나 되는 세월이 걸린 셈이다. 이러한 사례를 막기 위해, 수산 자원의 남획을 억제하는 등 수산 자원을 보호하는 것을 '''수산 자원 보호'''라고 한다.

각국에 따라 수산 자원 보호의 진전 상태는 다르지만, 어업은 장소(해역), 포획 대상(어패류의 종류), 시기(구체적인 날짜, 몇 월 며칠부터 몇 월 며칠까지), 어구 등에 관하여 법령으로 규제되는 국가가 증가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수산자원보호법이 1952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어디까지나 수산 자원의 보호가 목적이므로, 전문 어부를 포함하여 규제의 대상이다.

6. 2. 양식업

양식업은 인위적인 환경에서 수산 생물을 기르는 산업이다. 어류, 패류, 해조류 등 다양한 수산물이 양식되고 있다. 가두리 양식, 육상 수조 양식, 해상 가두리 양식 등 다양한 양식 방법이 사용된다.

수산양식의 주요 형태인 양식은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수조 또는 울타리에서 상업적으로 물고기를 기르는 것을 포함한다. 레크리에이션 낚시를 위해 또는 어종의 자연 개체 수를 보충하기 위해 어린 물고기를 야생으로 방류하는 시설은 어린이 양식장으로 불린다. 연어, 잉어, 틸라피아, 메기, 흰바다농어, 송어 등이 양식장에서 길러지는 어종이다.

야생 어업에 대한 상업 어업의 수요 증가로 인해 광범위한 어획 과잉이 발생했다. 양식은 증가하는 어류 시장 수요에 대한 대안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6. 3. 수산물 가공 및 유통

수산물 가공은 어획된 수산물을 식품이나 기타 제품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냉동, 냉장, 건조, 염장, 훈제 등 다양한 가공 방법이 사용된다. 수산물 유통은 생산된 수산물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이다.

어류 및 기타 수생 생물은 상어 가죽, 갑오징어의 먹물 분비물로 만든 색소, 와인과 맥주의 맑힘에 사용되는 어골교(isinglass), 비료로 사용되는 어분(fish emulsion), 어유 접착제(fish glue), 어유(fish oil), 어분(fish meal)과 같이 다양한 식품 및 비식품으로 가공된다.

7. 어업의 문제점 및 과제

20세기 초부터 어선의 기관, 엔진 도입 등 동력화가 진행되었고, 합성섬유 그물 보급, 생산성 향상, 세계 인구의 급속한 증가, 어장의 광역화 등 여러 요인이 겹쳐, 20세기 후반부터 세계 각지에서 수산 자원이 감소하는 경향이 증가하여 고갈될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쉽게 말하면 “물고기를 너무 많이 잡는 것”으로 인해 물고기의 생존 수가 감소하여 어업을 해도 예전만큼 물고기가 잡히지 않는 일이 세계 각지에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산 자원의 남획을 억제하는 등 수산 자원을 보호하는 것을 '''수산 자원 보호'''라고 한다. 각국에 따라 수산 자원 보호의 진전 상태는 다르지만, 어업은 장소(해역), 포획 대상(어패류의 종류), 시기(구체적인 날짜, 몇 월 며칠부터 몇 월 며칠까지), 어구 등에 관하여 법령으로 규제되는 국가가 증가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수산자원보호법이 1952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수산자원보호법의 규제 대상은 전문 어부를 포함한다.[54]

7. 1. 남획

남획은 수산 자원의 재생산 능력 이상으로 물고기를 잡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해, 물고기가 번식하여 늘어나는 속도보다 더 빨리, 더 많이 물고기를 잡는 것이다. 이는 어족 자원 고갈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20세기 초부터 어선에 엔진이 도입되고, 합성섬유로 만든 그물이 보급되면서 어업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세계 인구가 급증하고, 어장이 넓어지면서 20세기 후반부터 세계 각지에서 수산 자원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일본 홋카이도청어 어업은 남획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1910년대 메이지 말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어부들이 청어를 너무 많이 잡은 결과, 청어의 수가 급감하여 결국에는 청어 어업 자체가 중단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홋카이도 이시카리에 청어가 다시 돌아와 어업이 가능하게 된 것은 2010년대에 들어서였다. 즉, 홋카이도의 청어 어업은 수산 자원을 고갈시킨 결과, 그 복구에 무려 100년이라는 오랜 시간이 걸린 것이다.[54]

이러한 남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어업을 할 수 있는 장소(해역), 잡을 수 있는 물고기 종류(어패류), 어업 시기(몇 월 며칠부터 몇 월 며칠까지), 사용할 수 있는 어구 등을 법령으로 규제하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다. 일본에서는 1952년부터 수산자원보호법을 시행하여 수산 자원 보호에 힘쓰고 있다.

7. 2. 혼획

혼획은 어획 대상 어종이 아닌 다른 어종이나 해양 생물이 함께 잡히는 것을 말한다. 혼획은 해양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혼획 저감 장치 개발 등 혼획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7. 3. 불법 어업

불법 어업은 법규를 위반하여 이루어지는 어업 활동을 말한다. 이는 수산 자원 고갈과 해양 환경 파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어업 방식설명관련 법규
폭발 어업폭발물을 사용하여 물고기를 기절시키거나 죽여서 잡는 방법수산자원보호법 제5조에 의해 금지
독살 어업청산 등의 독극물을 사용하여 물고기를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하는 어업 방식조사 연구 목적 외에는 수산자원보호법 제6조에 의해 금지
전기 충격 어업전류를 흘려 물고기를 기절시켜 잡는 방식 (전기 고기잡이라고도 불림)유해 어종 구제 목적 외에는 원칙적으로 금지
낚시여러 개의 낚시 바늘을 단 어구를 사용하여 바닥 물고기를 잡는 어업 방식지역에 따라 금지되거나 제한



국제사회는 IUU 어업 (불법, 비보고, 비규제 어업) 근절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면허 없이 작살을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수중 안경을 착용하고 작살을 사용하면 어업권 침해가 될 수 있다.[57]

7. 4. 해양 오염

해양 오염은 어업 환경을 악화시키고 수산 자원을 감소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 플라스틱, 폐어구, 유류 유출 등이 주요 해양 오염원이다.

버려지거나 분실되는 등 여러 이유로 버려진 어구에는 그물, 낚싯줄, 낚시 바늘, 로프, 부표, 닻, 그리고 생분해되지 않는 재료로 만들어진 집어장치(FADs)가 포함된다.[47] 이러한 폐어구는 해양 생물에게 얽힘이나 섭취를 통해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47]

해양 오염 방지를 위해서는 해양 쓰레기 수거, 친환경 어구 개발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7. 5. 기후 변화

기후 변화는 해수 온도 상승, 해수면 상승, 해양 산성화 등을 일으켜 어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로 인해 어종 변화, 어장 이동, 어획량 감소 등 기후 변화에 따른 어업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과 탄소 배출 감축 노력이 필요하다.[39]

8. 한국의 어업

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풍부한 수산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예로부터 어업이 발달해 왔다. 전통적으로 연안 어업과 소규모 어업이 주를 이루었으나, 근현대 시기에는 원양어업이 크게 발전했다. 주요 어획 어종은 오징어, 멸치, 고등어, 갈치, 꽃게, 참조기 등이다.

한국의 어업은 식량 공급뿐만 아니라 경제 발전에도 크게 기여해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남획, 해양 오염,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어업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한일어업협정 결렬,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 등 주변국과의 어업 갈등 문제도 중요한 현안이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외교적 노력을 강화하고, 어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수산 자원 보호를 위해 총허용어획량(TAC) 제도 강화, 불법 어업 단속 강화, 친환경 어업 기술 개발 및 보급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9. 어업과 관련된 문화

어업은 인류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왔기 때문에,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낳았다. 어촌에는 어업과 관련된 민속, 신앙, 축제 등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풍어제, 뱃고사, 용왕제 등은 어민들의 안전과 풍어를 기원하는 전통 의례이다. 어업요는 어업 활동 중에 부르는 노동요로, 어민들의 삶과 애환을 담고 있다. 해녀 문화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낚시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레저 활동이며, 다양한 낚시 문화가 존재한다.[48]

참조

[1] 논문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20: Sustainability in Action https://doi.org/10.4[...] FAO 2020-00-00
[2] 웹사이트 Fisheries and Aquaculture in our Changing Climate http://www.fao.org/f[...] 2018-10-23
[3] 웹사이트 Fisheries and Aquaculture http://www.fao.org/f[...] FAO 2012-07-01
[4] 뉴스 African Bone Tools Dispute Key Idea About Human Evolution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News 2006-01-17
[5] 논문 Stable isotope dietary analysis of the Tianyuan 1 early modern human
[6] 뉴스 First direct evidence of substantial fish consumption by early modern humans in China https://web.archive.[...] 2011-07-15
[7] 웹사이트 Coastal Shell Middens and Agricultural Origins in Atlantic Europe https://web.archive.[...] 2009-12-26
[8] 웹사이트 History of fishing – fishing nets, shellfish, boats https://quatr.us/afr[...] 2018-05-02
[9] 논문 Fishing nets in the ancient world: the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evidence https://www.torrossa[...] 2010-00-00
[10] 웹사이트 History of a Brixham trawler http://www.kjappeal.[...] JKappeal.org 2009-03-02
[11] 뉴스 Days out: "Gone fishing in Grimsby" http://travel.indepe[...] The Independent 2002-09-08
[12]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Grimsby http://www.localhist[...] localhistories.org 2021-03-14
[13] 웹사이트 Pilgrim's restoration under full sail https://www.bbc.co.u[...]
[14] 서적 Sailing trawlers http://issuu.com/tob[...] issuu 2014-01-10
[15] 웹사이트 The Steam Trawler http://grantontrawle[...]
[16] 웹사이트 HISTORY http://www.hulltrawl[...]
[17] 웹사이트 A treatyse of fysshynge wyth an Angle http://www.luminariu[...] 2023-06-29
[18] 웹사이트 Dame Juliana Berners https://web.archive.[...] 2008-06-20
[19] 웹사이트 Fly fishing techniques in the fifteenth century https://fishingmind.[...]
[20] 서적 The Science of Fly-fish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1] 웹사이트 Welcome To Great Fly Fishing Tips http://www.greatflyf[...] 2011-12-00
[22] 웹사이트 Fishing Tackle Chapter 3 http://www.calmprodu[...]
[23] 웹사이트 Fly Fishing in the Years 1800–1850 http://www.flyfishin[...]
[24] 웹사이트 Fly Fishing in the Eighteenth Century http://www.flyfishin[...]
[25] 백과사전 fishing https://www.britanni[...] 2023-07-00
[26] 서적 A Treasury of Reels: The Fishing Reel Collection of The American Museum of Fly Fishing The American Museum of Fly Fishing
[27] 서적 The Orvis Story: 150 Years of an American Sporting Tradition The Orvis Company, Inc.
[28] 뉴스 Fishing with a drone https://www.stuff.co[...] 2021-11-12
[29] 논문 What makes fish vulnerable to capture by hooks? A conceptual framework and a review of key determinants
[30] 문서 https://web.archive.[...]
[31] 문서 FAO
[32] 웹사이트 Sport fishing boat http://www.nmfs.noaa[...] 2017-05-06
[33] 웹사이트 The role of Recreational Fisheries in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marine resources http://www.fao.org/i[...]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34] 웹사이트 Topic: Recreational Fishing in the U.S. https://www.statista[...]
[35] 웹사이트 Fishing industry http://www.fao.org/f[...] 2007-07-08
[36] 서적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24 https://openknowledg[...] FAO 2024-06-07
[37] 웹사이트 Today's Fishing Industry http://www.frdc.com.[...]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2012-07-26
[38] 문서 Tidwell, James H. and Allan, Geoff L.
[39] 서적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24 https://openknowledg[...] FAO 2024-06-07
[40] 논문 Pain perception in fish: indicators and endpoints. http://animalstudies[...] 2024-02-20
[41] 논문 Pain and suffering in fish 2001-07-08
[42] 뉴스 Do fish feel pain? Not as humans do, study suggests https://www.scienced[...] 2017-08-02
[43] 논문 Expanding the moral circle: farmed fish as objects of moral concern. 2007-05-04
[44] 논문 Physiology, behaviour and welfare of fish during recreational fishing and after release. 2006-08
[45] 뉴스 Anglers' catch-and-release method stops fish feeding properly, study finds https://www.independ[...] 2018-10-10
[46] 웹사이트 Facts {{!}} Seaspiracy Website https://www.seaspira[...] 2022-03-12
[47] 웹사이트 Drowning in Plastics – Marine Litter and Plastic Waste Vital Graphics http://www.unep.org/[...] 2022-03-23
[48]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llective in Support of Fishworkers http://www.icsf.net/ ICSF 2012-07-01
[49] 서적 Religious food laws and the seafood industry https://books.google[...] CRC Press
[50] 웹사이트 A Misunderstood Analogy for Evangelism http://www.bible.org[...]
[51] 웹사이트 American Bible Society Article http://www.americanb[...]
[52] 웹사이트 About Pisces the Fish http://www.cafeastro[...]
[53] 웹사이트 Peter: From Fisherman to Fisher of Men http://www.ucgstp.or[...]
[54] 간행물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6 http://www.fao.org/3[...]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55] 웹사이트 【見突き漁】 https://nippon.zaida[...] 일본재단 2016-01-09
[56] 웹사이트 一本釣り - マリン製品 https://www.yamaha-m[...] ヤマハ発動機
[57] 서적 あぁ、そういうことか!漁業のしくみ 恒星社厚生閣 2013
[58] 간행물 (영어)식량 농업 기구 고기잡이와 양식업 백서 http://www.fao.org/d[...]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