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울 클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울 클레는 스위스 출신의 화가로, 바우하우스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표현주의, 큐비즘, 초현실주의 등 다양한 사조에 영향을 받았다. 그는 1879년 스위스에서 태어나 음악가 집안에서 자랐으며, 음악 대신 그림을 선택하여 뮌헨 미술학교에서 수학했다. 1914년 튀니지 여행을 통해 색채에 대한 자각을 얻고 화풍을 전환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군 복무를 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1920년부터 바우하우스에서 활동하며 이론적인 저술을 남겼고, 1933년 나치의 탄압을 피해 스위스로 망명했다. 말년에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고통받으면서도 왕성한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1940년 사망했다. 그의 작품은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며, 유머와 상징성을 담고 있으며, "예술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한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판화가 - 마테우스 메리안
    마테우스 메리안은 17세기 스위스 출신으로 프랑크푸르트에서 활동한 판화가이자 출판업자로, 동판화 인쇄술을 전공하여 독립적인 출판사를 설립하고 지도 및 삽화 작품을 제작했으며 그의 업적은 후대에 영향을 주었다.
  • 스위스의 화가 - H. R. 기거
    H. R. 기거는 생체 기계적 스타일로 유명한 스위스의 화가, 조각가, 디자이너이며, 영화 《에이리언》 디자인으로 아카데미 시각 효과상을 수상했고, 1998년에는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는 박물관을 설립했다.
  • 스위스의 화가 - 장 팅겔리
    스위스의 조각가이자 화가인 장 팅겔리는 버려진 기계 부품과 산업 폐기물을 활용한 키네틱 아트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누보 레알리즘 운동에 참여, 《메타마틱》 연작과 《뉴욕 찬가》 등의 작품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니키 드 생팔과 협업하여 스트라빈스키 분수와 같은 공공 미술 작품을 제작하기도 했다.
  • 표현주의 화가 - 에밀 놀데
    독일 표현주의 화가이자 판화가인 에밀 놀데(본명 한스 에밀 한센)는 강렬한 색채와 굵은 필치로 독자적인 표현주의 양식을 확립했으며, 종교화, 풍경화, 초상화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면서 원시 미술에 대한 관심을 작품에 반영했다.
  • 표현주의 화가 - 에른스트 루트비히 키르히너
    에른스트 루트비히 키르히너는 독일 표현주의 미술 운동의 핵심 인물로서, 화가 그룹 '브뤼케' 창립 멤버였으며 강렬한 색채와 불안한 구도로 시대의 고뇌와 인간 내면을 표현했지만, 나치 정권에 의해 퇴폐 미술가로 낙인찍히고 정신적 고통을 겪다 자살로 생을 마감한 화가이자 판화가이다.
파울 클레
기본 정보
1926년의 클레
이름파울 클레
출생일1879년 12월 18일
출생지스위스, 베른 주, 뮌헨부흐제
사망일1940년 6월 29일
사망지스위스, 티치노 주, 무랄토
국적독일
분야회화, 드로잉, 수채화, 판화
교육뮌헨 미술 아카데미
사조표현주의, 바우하우스, 초현실주의
대표 작품앙겔루스 노부스 (1920년)
세네치오 (1922년)
지저귀는 기계 (1922년)
물고기 마법 (1925년)
고가도로가 대열을 깨다 (1937년)
서명
추가 정보
작품 수10,000점 이상의 회화, 드로잉, 에칭 작품

2. 생애

클레는 1879년 12월 18일 스위스 베른 근교의 뮌헨부흐제에서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한스 빌헬름 클레(Hans Wilhelm Klee)는 독일인 음악 교사였고, 어머니 이다 마리아 클레(Ida Maria Klee)는 성악가였다. 클레는 7세 때부터 바이올린을 배웠고, 11세에 베른 오케스트라의 임시 단원이 될 정도로 뛰어난 실력을 갖췄다. 1906년 결혼한 부인 릴리 슈툼프(Lilly Stumpf)도 피아니스트였다. 클레는 바흐모차르트, 베토벤의 소나타를 즐겨 연주했으며, 음악은 그의 그림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되었다.

클레는 음악 외에도 그림과 문학에도 관심을 가졌으나, 결국 그림의 길을 선택했다. 1898년 뮌헨 미술학교에 입학하여 상징주의 화가 프란츠 폰 슈투크에게 배웠다. 칸딘스키도 슈투크의 제자였다. 1901년 학교를 제적당한 후, 이탈리아로 연구 여행을 떠나 르네상스바로크 미술을 접했다. 그러나 클레에게 더 큰 영향을 준 것은 해안 도시의 풍경과 나폴리 수족관의 풍물이었다.

1906년 릴리 슈툼프와 결혼 후 뮌헨에 정착한 클레는 판화, 유리화 등을 시도하며 독자적인 화풍을 모색했다. 1910년 베른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1911년 칸딘스키, 마르크 등을 만나 청기사 그룹에 합류했다. 1912년 파리에서 로베르 들로네를 만나 빛과 색채에 대한 탐구를 시작했다.

1914년 튀니지 여행은 클레의 화풍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그는 "색채가 나를 사로잡았다"라고 일기에 적을 정도로 강렬한 인상을 받았고, 이후 색채가 풍부한 작품을 주로 그렸다. 이 무렵부터 추상회화를 시도하며 표현의 폭을 넓혔다.

제1차 세계 대전1916년부터 1918년까지 군 복무를 하면서도 꾸준히 그림을 그렸다. 1919년 뮌헨의 화상 골츠와 계약을 맺고, 1920년 대규모 회고전을 열면서 현대 미술의 주요 화가로 부상했다.

1921년부터 1931년까지 바우하우스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칸딘스키와 재회하고, 파이닝거 등과 교류했다. 1924년 파리에서 첫 개인전을 열어 초현실주의자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1928년 이집트 여행은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31년 뒤셀도르프 아카데미 교수가 되었으나, 1933년 나치 정권이 들어서면서 전위 예술 탄압의 대상이 되어 고향 베른으로 망명했다. 망명 후 피부경화증을 앓으면서도 창작 활동을 계속했고, 1939년에는 1200점이 넘는 작품을 제작하는 왕성한 활동을 보였다.

1940년 로카르노 근교에서 사망했으며, 베른의 쇼스할덴 묘지에 묻혔다. 그의 묘비에는 "이 세상에서는 결국 나는 이해받지 못한다. 왜냐하면 아직 생을 누리지 못한 자들 곁에, 죽은 자들 곁에 내가 있기 때문이다"라는 클레의 말이 새겨져 있다.

클레의 작품은 신문지, 천 등 다양한 재료에 유채, 수채, 템페라 등 다양한 기법으로 그려졌으며, 작은 크기의 작품이 많다. 2005년 베른에 그의 작품을 소장한 파울 클레 센터가 개관했다.

2. 1. 초기 생애 (1879-1906)

1879년 12월 18일 스위스수도 베른 근교의 뮌헨부흐제(Münchenbuchsee)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독일에서 이주한 주립 사범학교의 음악교사, 어머니는 음악학교에서 성악을 배우는 음악가 집안이었다. 파울 클레 스스로도 7세 때부터 바이올린 교습을 받은 프로급의 바이올린 연주자로 1906년에 결혼한 부인도 피아니스트였다. 이들 부부는 곧잘 바흐모차르트, 베토벤의 만년 작품인 소나타 등을 듣고 또 연주하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았으며, 음악이 클레의 그림을 이해하는 하나의 열쇠라고 말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1898년 뮌헨의 미술학교에서 상징주의의 대가 프란츠 폰 슈투크의 지도를 받았다. 슈투크는 또한 칸딘스키의 스승이기도 했다. 3년 후 그는 이탈리아로 연구 여행을 떠나서 제노바·나폴리·피렌체·로마 등지에 체재하였다. 그러나 이 여행의 수확은 고대 로마나 르네상스의 미술보다도 해항도시(海港都市)의 풍경과 나폴리 수족관의 풍물이었다. 내륙지방에서 자라온 그의 회화의 모티브로 배나 고기가 많이 등장하는 것은 그 여행의 체험에서 유래한 것이다.

1906년까지 베른에서 세기말적인 환상과 풍자에 입각한 동판화와 유리화 등을 시도하였고, 또한 이론적인 수법의 유화를 남겼다. 1906년 이후로는 다시 뮌헨으로 돌아갔다.

클레는 1906년 뮌헨 '분리파전'에 동판화를 출품하였고, 1910년에는 베른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칸딘스키, 마르크 등과의 '청기사전'은 제2회부터 참가하였다.

클레의 할머니가 격려한 초기 유품인 어린 시절 그림 몇 점은 그의 작품 목록에 기록되었다. 베른 시절에는 총 19점의 에칭 작품이 제작되었는데, 그중 10점은 1903년부터 1905년 사이에 "발명(Inventionen)" 연작으로 제작되었다.[69] 이 작품들은 1906년 6월 "뮌헨 미술가 협회 국제 미술 전람회 '세세션'"(Internationale Kunstausstellung des Vereins bildender Künstler Münchens 'Secession')에서 전시되었으며, 이는 그의 첫 번째 공개적인 화가로서의 등장이었다.[70]

예를 들어 1903년 작 "나무 위의 처녀/꿈꾸는 처녀(Jungfrau im Baum/Jungfrau (träumend))"와 1905년 작 "노령의 불사조(Greiser Phoenix)"와 같은 풍자적인 에칭 작품들은 클레에 의해 "초현실주의적 전초기지"로 분류되었다. "나무 위의 처녀"는 조반니 세간티니의 "나쁜 어머니들(Le cattive madri)"(1894)의 모티프와 연관된다. 이 그림은 알프레드 자리, 막스 자코브, 크리스티안 모르겐슈테른의 기괴한 서정시의 영향을 받았다.[72] 1903년 에칭 작품인 "발명 6번, 서로 더 높은 지위에 있다고 여기는 두 남자(Zwei Männer, einander in höherer Stellung vermutend)"는 두 명의 알몸 남자를 묘사하고 있는데, 아마도 헤어스타일과 수염으로 미루어 볼 때 황제 빌헬름 2세프란츠 요제프 1세일 것이다. 그들의 옷과 훈장이 없어 "두 사람 모두 상대방에게 예의를 갖추는 것이 적절한지 알 수 없다. 그들은 상대방이 더 높은 지위에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여" 굽신거린다.[73]

여섯 번째 발명: ''서로 더 높은 지위에 있다고 여기는 두 남자가 만나다(Zwei Männer, einander in höherer Stellung vermutend, begegnen sich)'', 1903, 에칭, 파울 클레 센터, 베른


클레는 1905년 새로운 기법을 도입하기 시작했는데, 검게 칠한 유리판에 바늘로 긁는 것이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는 약 57점의 에글로미제(Églomisé) 그림을 제작했는데, 그중에는 1905년 작 "정원의 풍경(Gartenszene)"과 1906년 작 "아버지의 초상(Porträt des Vaters)"이 있으며, 그는 이 작품들을 통해 회화와 긁기 기법을 결합하려고 시도했다.[74]

2. 2. 뮌헨, 청기사, 그리고 튀니지 여행 (1906-1914)

1906년 릴리 슈툼프(Lilly Stumpf)와 결혼하여 뮌헨에서 신혼 생활을 시작했고, 이듬해 아들 펠릭스가 태어났다. 무명 화가였던 클레는 수입원이 없었고, 릴리가 피아노 교사로 일하며 가계를 꾸렸다. 대신 클레는 육아를 비롯한 여러 집안일을 맡았다.[21] 1910년에는 베른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이 무렵 세잔이나 고흐 등의 작품에 감명을 받으면서 독자적인 길을 모색했다. 칸딘스키, 마르크 등과 알게 되어 특히 마르크와는 절친이 되었고, 그들이 만든 '청기사' 전에는 제2회 전부터 참가했다.[25] 1912년 파리에서 로베르 들로네를 만났고 (이때 피카소마티스 등의 작품을 접했다), 후에 그의 에세이 『빛에 관하여』를 독일어로 번역했다. 이 무렵부터 빛과 색채의 형태와 선묘에 대한 탐구가 시작되었고, 특히 선묘에 대해서는 풍경화에서 윤곽만으로 묘사하는 단순화가 진행되어, 차츰 윤곽선 자체가 중시되고, 그 자유로운 움직임이 추구되게 되었다.

1914년 봄부터 여름에 걸친 튀니지(북아프리카) 여행은 클레의 화업에 있어 전환점이 되었다. 이 여행에서 감명을 받은 클레는 선명한 색채에 눈을 뜨고 화풍이 일변했다. "색채는 나를 영원히 사로잡았다"라는 말이 튀니지에서의 경험을 간결하게 나타내는 구절로 일기에 남아 있다.[76] 클레의 화집 등에서 소개되고 있는 색채가 풍부한 작품은 거의 이 여행 이후의 것이다. 이 무렵부터 클레는 추상회화에도 발을 들여놓았고, 그 후 표현의 폭은 비약적으로 확대되었다. 1915년에는 릴케와 알게 되어 서로의 작품에 관심을 가졌다.

1914년 4월, 12일간의 튀니지 교육 여행 중 클레는 마케와 모이예와 함께 수채화 그림을 제작했다. 이 그림들은 북아프리카 시골의 강렬한 빛과 색채 자극을 폴 세잔로베르 들로네오르피즘(Orphism (art))적 입체주의 형태 개념을 활용하여 표현했다. 목표는 자연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생제르맹의 집들」(In den Häusern von Saint-Germain)과 「거리 카페」(Straßencafé)와 같이 자연의 형성 원리와 유사한 구성을 만드는 것이었다.[76] 그는 풍경을 격자로 표현하여 색채의 조화 속에 녹아들게 했다. 또한 이 시기에 「추상」(Abstract)과 「색띠로 연결된 색 원들」(Farbige Kreise durch Farbbänder verbunden)과 같은 추상 작품을 제작했다.[76]

2. 3. 제1차 세계 대전과 전후 (1914-1920)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많은 예술가들이 병사로 동원되었고, 클레의 지인인 마르크마케는 전사했다. 특히 절친 마르크의 죽음은 클레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클레 자신도 1916년부터 1918년에 걸쳐 종군했지만, 이 무렵부터 클레는 신진 화가로서 점차 인정받게 되었다.[36] 이 시기 클레는 그림에 글자를 넣는 실험을 하는 등, 구상과 추상을 구분할 수 없거나 양면을 갖춘 그림을 그렸다. 이후 클레 작품 대부분에서 보이는, 상당히 추상적이면서도 '형태'(분명 어떤 사물을 나타내기도 하고, 더욱 순화되어 특정 사물과 대응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를 항상 의식하며 그리는 경향은 이미 이 무렵에 잉태되었다.

1916년 군인으로 복무 중인 파울 클레


몇 주 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 처음에 클레는 전쟁과 다소 거리를 두고 있었는데, "나는 오래전부터 내 안에 이 전쟁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내면적으로는 전혀 나와 상관없는 일이다."라고 비꼬는 투로 적었다.[35] 1916년 3월 5일, 클레는 징집되어 프로이센 또는 독일 제국군의 예비군인 ''Landsturmsoldat''(예비군 병사)이 되었다. 전투에서 친구인 아우구스트 마케프란츠 마르크가 사망하면서 큰 충격을 받은 그는 자신의 고통을 표출하며 "관념을 위한 죽음"(1915)을 포함한 여러 전쟁 소재의 펜과 잉크 석판화를 제작했다.[36] 1916년 3월 11일에 시작된 군사 훈련 과정을 마친 후, 전선 배후에서 병사로 복무하게 되었다. 8월 20일, 클레는 오버슐라이스하임의 항공기 정비 부대로 이동하여 항공기 위장 복구와 항공기 수송 지원 등 숙련된 육체 노동을 수행했다. 1917년 1월 17일, 게르슈토펜(54년 후 미국 육군 안보국 아우크스부르크 현장 기지가 됨)의 바이에른 왕립 비행학교로 전근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회계 담당 서기로 일했다. 덕분에 그는 막사 건물 밖 작은 방에 머물면서 그림을 계속 그릴 수 있었다.[37][38]

전쟁 중에도 클레는 계속 그림을 그렸고 여러 전시회에 출품했다. 1917년까지 클레의 작품은 잘 팔렸고 미술 평론가들은 그를 새로운 독일 예술가들 중 최고로 칭찬했다.[39] 그의 작품 ''달걀에서부터''(1917)는 특히 정교한 기법으로 주목할 만하다. 석고 바탕에 거즈와 종이에 수채화를 사용하여 삼각형, 원형, 초승달 모양의 풍부한 질감을 만들어냈다. 색채와 선을 혼합하여 탐구의 폭을 보여주는 그의 작품 ''배의 경고''(1918)는 억제된 색채의 배경에 상징적인 이미지로 가득한 채색 드로잉이다.[40]

1919년 뮌헨의 화상 골츠(Goltz)와 계약을 맺고, 이듬해 1920년 골츠의 화랑에서 대규모 회고전이 열렸다. 또한 에세이 『창조적 신조 고백』을 발표하고 현대 미술의 최전선에 있는 화가 중 한 명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2. 4. 바우하우스와 뒤셀도르프 시기 (1920-1933)

1919년 한스 골츠와 3년 계약을 맺으면서 클레는 대중에게 알려지고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1920년에는 300점이 넘는 작품을 선보인 회고전이 열렸다.[42]

1921년 1월부터 1931년 4월까지 바우하우스에서 강의했다.[43] 그는 제본, 스테인드글라스, 벽화 작업실에서 "형태" 교사였으며 두 개의 작업실을 제공받았다.[44] 1922년 칸딘스키가 교수진에 합류하여 클레와의 우정을 재개했다. 같은 해 바우하우스 최초의 전시회와 축제가 열렸고, 클레는 여러 광고 자료를 제작했다.[45] 클레는 바우하우스 내의 많은 상반되는 이론과 의견을 환영했다.[46]

1923년 칸딘스키, 리오넬 파이닝거, 알렉세이 폰 야블렌스키와 함께 청색사중주(Die Blaue Vier)의 멤버가 되었다. 이들은 갈카 샤이어의 제안으로 결성되었으며, 샤이어는 미국에서 그들의 작품 전시회를 조직했다. 1924년 클레는 파리에서 첫 전시회를 열었고, 프랑스 초현실주의자들에게 인기를 얻었다.[47] 1928년 이집트를 방문했지만 튀니지보다 인상이 덜했다. 1929년 윌 그로만이 쓴 클레의 작품에 대한 최초의 주요 단행본이 출판되었다.[48]

''야행성 축제'', 1921, 뉴욕의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


클레는 1931년부터 1933년까지 뒤셀도르프 아카데미에서 가르쳤다. 나치 신문은 "그 위대한 클레가 등장했는데, 이미 데사우의 바우하우스 교사로 유명합니다. 그는 자신이 순종 아랍인이라고 모두에게 말하지만, 전형적인 갈리시아 유대인입니다."라고 지적했다.[49] 그의 집은 게슈타포에 의해 수색되었고 그는 해고되었다.[50][51] 그의 자화상 ''명단에서 삭제됨''(1933)은 이 슬픈 사건을 기념한다.

2. 5. 베른 망명과 말년 (1933-1940)

1931년부터 1933년까지 클레는 뒤셀도르프 아카데미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그러나 나치 신문은 그를 "전형적인 갈리시아 유대인"이라고 비판했다.[49] 그의 집은 게슈타포에 의해 수색되었고, 결국 해고되었다.[50][51] 1933년, 클레는 나치에 의해 자유가 억압받던 독일에서 추방되어 고향인 베른으로 돌아갔다.

''빨간 풍선'', 1922, 석회로 프라이밍한 면에 유채, 31.8 × 31.1 cm. 뉴욕의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


망명 후, 클레는 손이 잘 움직이지 않는 난치병인 피부경화증에 걸렸지만,[55] 등받침이 있는 의자에 앉아 그림을 계속 그렸다.[89] 1937년에는 피카소브라크가 클레를 방문했다.[52] 1939년에는 1200점이 넘는 작품을 제작하여 생애 최고의 창작 활동을 펼쳤다.[57]

클레는 더 단순하고 큰 디자인과 굵은 선, 기하학적 형태, 그리고 크고 적은 색상 블록을 사용했다.[57][58] 그의 작품에는 낙관적이고 비관적인 기분이 반영되었다.[58]

1937년, 독일로 돌아온 클레의 그림 17점은 "퇴폐예술" 전시회에 포함되었고, 공공 소장품에 있던 그의 작품 102점은 나치에 의해 압수되었다.[59]

1938년부터 클레는 상형 문자와 같은 요소를 더욱 집중적으로 사용했다. 같은 해에 제작된 그림 "Insula dulcamara"는 그의 가장 큰 작품 중 하나이며, 요소들 가운데 흰색 얼굴이 있으며, 검은색 원으로 둘러싸인 눈구멍으로 죽음을 상징한다.

클레는 1940년 무랄토 로카르노에서 사망했다.[89] 그의 평생 작품은 9천 점에 달한다. 베른에 돌아온 후에도 제작욕은 왕성했으며, 만년에는 독특한 천사 그림이 많이 보인다.

3. 주요 작품 및 특징

클레는 표현주의, 큐비즘, 퓨추리즘, 초현실주의, 추상 미술 등 다양한 미술 사조와 관련이 있지만, 그의 작품은 한 가지 양식으로 규정하기 어렵다. 그는 동시대 미술가들과 거리를 두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방식으로 새로운 미술 경향을 해석했다.[65]

클레는 유화, 수채화, 잉크, 파스텔, 에칭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했으며, 한 작품에 여러 기법을 혼합하기도 했다. 캔버스, 삼베, 모슬린, 리넨, 거즈, 판지, 금속박, 직물, 벽지, 신문지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했다.[65] 스프레이 페인트, 나이프 기법, 스탬핑, 글레이징, 임파스토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했으며, 수채화와 유화, 수채화와 펜, 인도 잉크, 유화와 템페라를 혼합하는 등 혼합 기법을 활용했다.[68]

그는 뛰어난 소묘 실력을 바탕으로 오랜 실험을 통해 색채와 명암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그의 작품은 이러한 기술을 결합하여, 단색에 가까운 것부터 다색에 이르는 다양한 색채를 보여준다. 그의 작품은 섬세하고 어린아이 같은 느낌을 주며, 대개 작은 크기이다. 기하학적 형태와 격자 형식 구성, 문자와 숫자를 사용하고, 동물과 사람의 형상을 장난스럽게 결합하기도 했다. 일부 작품은 완전히 추상적이다. 그의 작품과 제목은 유머와 다양한 감정을 반영하며, 일부는 정치적 신념을 드러내기도 한다. 시, 음악, 꿈을 암시하고, 단어나 악보를 포함하기도 한다. 후기 작품에는 거미줄 같은 상형문자와 같은 기호들이 나타난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는 1921년에 클레에 대해 "만약 당신이 그가 바이올린을 연주한다고 말하지 않았더라도, 나는 그의 많은 그림들이 음악의 필사본이라는 것을 알았을 것이다."라고 평했다.

클레의 작품은 “예술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한다”라는 그의 주장처럼, 일반적인 캔버스에 유채를 사용한 작품은 적고, 신문지, 두꺼운 종이, 천, 거즈 등 다양한 지지체에 유채, 수채, 템페라, 풀물감 등 다양한 화재를 사용하여 그렸다. 작품 크기가 작은 것이 특징이며, 세로·가로 모두 1미터를 넘는 『파르나소스 산으로』와 같은 작품은 예외적이다.

다음은 클레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작품명제작 연도소장처
R장1919년바젤 미술관
새로운 천사1920년
여인의 집1921년아이치현립미술관
계단 위의 아이1923년
인형극장1923년
환상희가극 「선원」 중 격투 장면1923년
노란 새가 있는 풍경1923년
나방의 춤1923년아이치현립미술관
선택된 장소1927년
고향1929년고치현립미술관
쁠룬의 모자이크1931년니가타시미술관
파르나소스 산으로1932년베른 미술관
1932년아티존 미술관[115]
건망증 천사1939년
죽음과 불꽃1940년베른 미술관



2005년 6월, 클레의 고향인 베른에 약 4000점의 작품을 소장하고 그의 업적을 집대성한 파울 클레 센터가 개관했다. 발터 벤야민은 『역사철학 테제』에서 클레의 『새로운 천사』에서 영감을 받은 “역사의 천사”론을 이야기했다. 벤야민은 독일에서 망명 중 피레네 산맥에서 자살할 때까지 이 그림을 소장했다. 일본 미야기현 미술관에는 클레의 작품 35점이 소장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List of works by Paul Klee|파울 클레 작품 목록영어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클레와 한국의 관계

파울 클레는 한국 미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그의 작품과 관련된 여러 서적은 주로 일본에서 출판되었다. Paul Klee|파울 클레de에 대한 연구는 일본에서 주로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한국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다. 일본에서는 일본 파울 클레 협회가 설립되어 관련 연구를 주도하고 있으며, 신도우 마치(新藤真知)는 일본 파울 클레 협회 대표를 맡고 있다.

4. 1. 한국 미술에 미친 영향

파울 클레는 한국 미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그의 작품과 관련된 여러 서적이 일본에서 출판되었다. 다음은 일본에서 출판된 파울 클레 관련 서적 목록이다.

저자서적명출판사출판년도
서다 히데오(西田秀穂)파울 클레의 예술: 그 화재와 기법과도호쿠대학출판회(東北大学出版会)2001년
마에다 후지오(前田富士男)파울 클레: 조형의 우주게이오기주쿠대학출판회(慶應義塾大学出版会)2012년
미야시타 마코토(宮下誠)파울 클레와 초현실주의수성사(水声社)2008년
미야시타 마코토(宮下誠)국경을 넘는 천사 파울 클레춘추사(春秋社)2009년
니시자와 치에코(西澤知恵子)일본 문학 속의 파울 클레: 문학자의 눈을 통해 본 클레 예술문예사(文芸社)2023년
편집부클레의 선물평범사(平凡社)〈코로나 북스(コロナ・ブックス)〉2001년
다카하시 후미코(高橋文子) (번역)클레의 시평범사(平凡社)〈코로나 북스(コロナ・ブックス)〉2004년
마에다 후지오(前田富士男), 미야시타 마코토(宮下誠), 이시이 신지(いしいしんじ)파울 클레: 회화의 계략신초사(新潮社)〈[잠자리책(とんぼの本)]〉2007년
신도우 신(新藤信)파울 클레의 여행평범사(平凡社)〈코로나 북스(コロナ・ブックス)〉2007년
신도우 신(新藤信)파울 클레: 지중해의 여행평범사(平凡社)〈코로나 북스(コロナ・ブックス)〉2014년
신도우 마치(新藤真知)더 알고 싶은 파울 클레: 생애와 작품도쿄미술(東京美術)〈아트 비기너스 컬렉션(アート・ビギナーズ・コレクション)〉2011년



신도우 마치(新藤真知)는 일본 파울 클레 협회 대표를 맡고 있으며, 고단샤(講談社)에서 『클레: 선과 색채』 (2006년)를 출판하기도 했다.

4. 2. 한국에서의 전시 및 연구

Paul Klee|파울 클레de에 대한 연구는 일본에서 주로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한국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편이다. 일본에서는 파울 클레 협회가 설립되어 관련 연구를 주도하고 있으며, 다양한 서적이 출판되었다.

'''일본에서의 주요 연구 서적'''

저자서적명출판사출판 연도비고
서다 히데오(西田秀穂)パウル・クレーの芸術:その画材と技法と|파울 클레의 예술: 그 화재와 기법과일본어동북대학출판회(東北大学出版会)2001년작품론 번역
마에다 후지오(前田富士男)パウル・クレー:造形の宇宙|파울 클레: 조형의 우주일본어게이오기주쿠대학출판회(慶應義塾大学出版会)2012년
미야시타 마코토(宮下誠)パウル・クレーとシュルレアリスム|파울 클레와 초현실주의일본어수성사(水声社)2008년
미야시타 마코토(宮下誠)国境を越える天使 パウル・クレー|국경을 넘는 천사 파울 클레일본어춘추사(春秋社)2009년
니시자와 치에코(西澤知恵子)日本文学の中のパウル・クレー:文学者の眼を通してみたクレー芸術|일본 문학 속의 파울 클레: 문학자의 눈을 통해 본 클레 예술일본어문예사(文芸社)2023년
편집부クレーの贈り物|클레의 선물일본어평범사(平凡社)〈코로나 북스(コロナ・ブックス)〉2001년다수 작가 참여, 소책자
다카하시 후미코(高橋文子) (번역)クレーの詩|클레의 시일본어평범사(平凡社)〈코로나 북스(コロナ・ブックス)〉2004년
마에다 후지오(前田富士男), 미야시타 마코토(宮下誠), 이시이 신지(いしいしんじ)パウル・クレー:絵画の策略|파울 클레: 회화의 계략일본어신초사(新潮社)〈[잠자리책(とんぼの本)]〉2007년
신도우 신(新藤信)パウル・クレーの旅|파울 클레의 여행일본어평범사(平凡社)〈코로나 북스(コロナ・ブックス)〉2007년
신도우 신(新藤信)パウル・クレー:地中海の旅|파울 클레: 지중해의 여행일본어평범사(平凡社)〈코로나 북스(コロナ・ブックス)〉2014년
신도우 마치(新藤真知)もっと知りたい パウル・クレー:生涯と作品|더 알고 싶은 파울 클레: 생애와 작품일본어도쿄미술(東京美術)〈아트 비기너스 컬렉션(アート・ビギナーズ・コレクション)〉2011년일본 파울 클레 협회 대표 저술 (고단샤(講談社)에서 クレー:線と色彩|클레: 선과 색채일본어, 2006년 출간)


5. 평가

파울 클레는 매우 권위적인 예술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동료였던 오스카 슐레머는 "그는 최소한 한 줄로 자신의 지혜를 드러낼 수 있다. 그는 모든 것이다. 심오하고, 온화하고, 그리고 더 많은 좋은 것들, 그리고 이것은 그가 혁신적이기 때문이다."라고 평가했다.[91]

클레의 친구이자 소설가인 빌헬름 하우젠슈타인은 클레의 예술이 음악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그는 "아마도 클레의 태도는 음악하는 사람들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클레가 지상을 걸었던 가장 즐거운 바흐와 헨델을 연주하는 바이올리니스트 중 한 명이기 때문이다. […] 입체파의 독일 고전 화가인 클레에게 세상의 음악은 그의 동반자가 되었고, 심지어 그의 예술의 일부가 되었을 것이다."라고 썼다.[92]

1925년 클레가 파리 초현실주의 전시회를 방문했을 때, 막스 에른스트는 그의 작품에 감명을 받았다. 앙드레 브르통은 클레의 작품을 초현실주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했지만, 이후에는 그를 경멸하기도 했다.[93]

한스 프린츠혼의 책 ''정신병자의 예술''은 클레를 포함한 여러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러나 1937년 나치는 "타락한 예술" 전시회를 통해 클레 등의 작품을 정신병자의 작품과 비슷하다고 폄하했다.[94]

마르셀 뒤샹은 클레의 그림에 대해 "우리 모두가 어린 시절처럼 그림을 그려볼 수 있었거나 그려볼 수 있었던 것을 매우 즐겁게 발견하는 것이다."라고 평했다. 또한 "수채화를 다루는 깊은 이해는 유화에서 개인적인 방법을 그리는 장식적인 형태로 구조화하여 클레를 현대 미술에서 돋보이게 하고 비교할 수 없게 만들었다."라고 덧붙였다.[95]

클레의 그림 ''안젤루스 노부스''는 발터 벤야민의 "역사철학 테제"에서 역사의 천사로 해석되기도 했다.[96]

클레의 작품은 로베르토 가르시아 모릴로, 데이비드 다이아몬드, 귄터 슐러, 베네트 카사블랑카스 등 여러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음악에도 영향을 미쳤다.[98][99][100][101] 기젤허 클레베는 ''지저귀는 기계''를, 앙상블 소르티사티오는 ''Paul Klee에 관한 8개의 작품''을 발표했다.

6. 어록

제시된 자료에는 파울 클레의 어록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해당 자료는 클레의 작품 활동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특정 어록을 발췌하기는 어렵다.

참조

[1] 서적 Disegno e progettazione
[2] 서적 Paul Klee, The Thinking Eye Lund Humphries
[3] 서적 Klee Praeger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웹사이트 Paul Klee https://www.theartst[...] 2022-08-09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웹사이트 Paul Klee http://www.abcgaller[...]
[16] 서적
[17] 서적
[18] 웹사이트 “Invention” Paul Klee at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San Francisco http://artinvestment[...] 2009-04-18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Chronologie einer Freundschaft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Der Blaue Reiter
[25] 서적 Expressionismus
[26] 서적 Paul Klee in Jena 1924. Der Vortrag. Minerva Jenoptik AG, print house Gera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Zeit-Echo 1915
[37] 서적 Chronologie einer Freundschaft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Paul Klee and the Decorative in Modern A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서적
[43] 서적 Paul Klee und das Bauhaus DuMont Schauberg, Köln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웹사이트 The private Klee: Works by Paul Klee from the Bürgi Collection http://www.studio-in[...] 2000-08-12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웹사이트 Paul Klee und das innere Schauen https://rundfunk.eva[...] Deutschlandfunk Kultur 2021-03-30
[61] 논문 Case Report on the Illness of Paul Klee (1879–1940) 2014-04-18
[62] 웹사이트 Ein Berner, aber kein Schweizer Künstler https://www.swissinf[...] 2019-03-08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웹사이트 Paul Klee 1933 http://www.cultureki[...]
[68] 서적 Paul Klee
[69] 서적 Paul Klee. Leben und Werk https://books.google[...] München
[70] 서적 Chronologie einer Freundschaft
[71] 서적 Paul Klee: Inventionen Reimer 1996
[72] 서적 Klee
[73] 서적 Paul Klee. Leben und Werk 2004
[74] 서적 Klee
[75] 웹사이트 Klee, Paul Oxford University Press
[76] 웹사이트 Paul Klee http://www.drklaas.d[...] Meisterwerke der Kunst, Isis Verlag 2008-09-25
[77] 서적 Der Blaue Reiter
[78] 서적 Klee
[79] 웹사이트 Kunst öffnet Augen http://www.drklaas.d[...] augen.de 2008-10-26
[80] 웹사이트 The Twittering-Machine http://www.moma.org/[...] 2011-01-10
[81] 서적 Das tönende Museum https://books.google[...] Gorz Verlag 2004
[82] 뉴스 Paul Klee hinterließ kunstvolle Handpuppen. Berliner Spieler bringen sie auf die Bühne in einem Stück über das Malerleben https://www.berliner[...] DuMont.next GmbH & Co. KG 2008-09-30
[83] 웹사이트 Über den Klee oder Der Knochen in meinem Kopf https://www.tabulara[...] Dr. Dr. Stefan Groß, M.A. 2009-04-28
[84] 웹사이트 Collection Online | Paul Klee – Guggenheim Museum http://www.guggenhei[...] 2015-05-19
[85] 서적 Paul Klee at the Guggenheim Museum Guggenheim Museum Library 2003
[86] 서적 Klee
[87] 서적 Paul Klee – In Search of Natural Signs Pushkin Press 2011
[88] 서적 Klee
[89] 서적 Klee
[90] 서적 Klee
[91] 서적 Klee
[92] 서적 Klee
[93] 뉴스 Klees feine kleine Klumpgeister http://g26.ch/memo/p[...] 2007-01-04
[94] 웹사이트 Sammlung Prinzhorn der Psychiatrischen Universitätsklinik Heidelberg http://www.jena.de/s[...] Städtische Museen Jena 2011-01-02
[95] 서적 The Société Anonyme and the Dreier Bequest at Yale University. A Catalogue Raisonné 1984
[96] 학술지 An Interview with Frieder Nake 2019-05-31
[97] 서적 Chronologie einer Freundschaft
[98] 웹사이트 Concluye la gira europea de "Alter Klang" | el Blog de Tritó http://blog.trito.es[...] 2013-03-24
[99] 웹사이트 Alter Klang, Impromptu per a orquestra http://www.trito.es/[...] 2013-06-03
[100] 웹사이트 Composers http://www.chesterno[...] 2018-12-23
[101] 웹사이트 Stradivarius – The leading italian classical music label http://www.stradivar[...] 2011-04-15
[102] 서적 Das tönende Museum. Musik des 20. Jahrhunderts interpretiert Werke bildender Kunst http://home.vrweb.de[...] Edition Gorz
[103] 음반 Vinyl LP Philips
[104] 학술지 Ekphrasis em música: os quadrados mágicos de Paul Klee na Sonata para violão solo de Leo Brouwer 2009
[105] 웹사이트 クローズアップ サカナクション http://www.excite.co[...] Excite 2015-03-18
[106] 간행물 ForSchUngsmagazin. Friedrich-Schiller-Universität Jena Alma Mater Jenensis 1995
[107] 웹사이트 Thüringer Universitäts – und Landesbibliothek – Zweigbibliothek Kunstgeschichte https://web.archive.[...] 2011-04-19
[108] 웹사이트 Die Paul Klee-Bestände im Zentrum Paul Klee http://www.zpk.org/d[...] Zentrum Paul Klee 2012-10-24
[109] 웹사이트 Owner's son gets Klee artwork stolen by Nazis back https://www.lootedar[...] 2022-06-30
[110] 웹사이트 Munich Mayor Rejects Claim for Klee Painting Seized by Nazis https://lootedart.co[...] 2022-06-30
[111] 웹사이트 Stolen Paul Klee Painting Nazi Restitution Case Settled After 26 Years – Artlyst https://www.artlyst.[...] 2017-07-27
[112] 웹사이트 Paul Klee: A man made in Switzerland http://www.swissinfo[...] 2006-09-05
[113] 웹사이트 A Swiss without a red passport https://web.archive.[...] 2006-09-05
[114] 웹사이트 パウル・クレー・センター http://www.mmm-ginza[...] 「メゾン・デ・ミュゼ・デュ・モンド」Webサイト 2018-05-04
[115] 웹사이트 アーティゾン美術館 https://www.artiz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