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펜에틸아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네틸아민은 다양한 생물체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유기 화합물로, 다양한 방법으로 화학적 합성이 가능하다. 페네틸아민은 벤질 시아나이드 환원법, ω-니트로스티렌 환원법, 벤질 시아나이드 음극 환원법, 페닐 고리 치환 반응 등을 통해 합성할 수 있다. 페네틸아민은 치환된 페네틸아민 계열의 유도체를 가지며, 이들은 중추 신경계 자극제, 환각제, 식욕 억제제 등 다양한 약물로 사용된다. 또한, ADHD 환자에게서 소변 펜에틸아민 농도가 낮게 나타나며, 운동이나 스카이다이빙과 같은 활동이 펜에틸아민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펜에틸아민 알칼로이드 - 메스칼린
    메스칼린은 페네틸아민 계열 환각 물질로, 특정 선인장에서 발견되어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에서 종교 의식에 사용되었으며,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하여 환각 등의 효과를 일으키고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나 현재 많은 국가에서 규제 물질로 지정되었다.
  • 펜에틸아민 알칼로이드 - 티라민
    티라민은 티로신의 탈카복실화로 생성되는 모노아민으로, 발효 및 부패 식품에 많으며, 인체 내에서 MAO에 의해 대사되지만, MAO 억제제 복용 시 고혈압 위기를 유발하고 편두통과 신경조절물질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 미량 아민 - 티라민
    티라민은 티로신의 탈카복실화로 생성되는 모노아민으로, 발효 및 부패 식품에 많으며, 인체 내에서 MAO에 의해 대사되지만, MAO 억제제 복용 시 고혈압 위기를 유발하고 편두통과 신경조절물질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 미량 아민 - 트립타민
    트립타민은 트립토판의 구조적 유사체이자 다양한 생체 활성 물질의 기본 골격으로, 일부 유도체는 환각, 각성, 항우울 효과를 나타내며 뇌 기능 및 정신 질환과의 연관성을 가진다.
  • VMAT 억제제 - 메스암페타민
    메스암페타민은 강력한 중추신경 자극제로, 필로폰 또는 히로뽕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각성 및 피로 해소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중독성과 심각한 부작용 때문에 엄격히 규제되는 물질이다.
  • VMAT 억제제 - 암페타민
    암페타민은 페네틸아민 계열의 각성제로, 기면증이나 ADHD 치료에 사용되기도 했으나 중독성 문제로 현재는 규제 물질로 지정되었으며, 수행 능력 향상 효과로 스포츠 도핑 금지 약물로도 지정되었다.
펜에틸아민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개요
페네틸아민 골격 이미지
페네틸아민 골격
페네틸아민 볼-앤-스틱 모델
페네틸아민 볼-앤-스틱 모델
IUPAC 명칭2-페닐에탄-1-아민
발음IPA: /fɛnˈɛθələmiːn/
투여 경로경구 (입으로 섭취)
분류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 분비 촉진제
미량 아민 관련 수용체 1 (TAAR1) 작용제
정신 자극제
교감신경 흥분제
의존성 책임심리적: 낮음–중간 정도
신체적: 없음
중독 책임없음–낮음 (MAO-B 억제제 없을 시)
생체 내 원천 조직흑색질 치밀부
배쪽피개영역
청반
기타 다수
표적 조직전신
수용체종에 따라 크게 다름. 인간 수용체: hTAAR1, hTAAR2
전구체L-페닐알라닌
생합성방향족 L-아미노산 탈카르복실화효소 (AADC)
법적 규제 현황
오스트레일리아미정
캐나다미정
뉴질랜드미정
영국미정
유엔미정
미국미정
약물학
생체 이용률알 수 없음
단백질 결합알 수 없음
대사주 대사 효소: MAO-B
기타 효소: MAO-A, SSAOs (AOC2 & AOC3), PNMT, AANAT, FMO3 등
발현 시점알 수 없음
제거 반감기외인성: 5–10분
내인성: ~30초
작용 시간알 수 없음
배설신장 (콩팥)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64-04-0'
PubChem CID1001
IUPHAR 리간드2144
DrugBankDB04325
KEGGC05332
ChemSpider ID13856352
UNII327C7L2BXQ
ChEBI18397
ChEMBL610
NIAID 화학 데이터베이스018561
ATC 코드해당 없음
동의어페닐에틸아민
PEA
β-페닐에틸아민
β-PEA
2-페닐에틸아민
2-PEA
페타민
속성
분자식C₈H₁₁N
SMILESNCCc1ccccc1
표준 InChI1S/C8H11N/c9-7-6-8-4-2-1-3-5-8/h1-5H,6-7,9H2
표준 InChIKeyBHHGXPLMPWCGHP-UHFFFAOYSA-N
끓는점195 °C
녹는점-60 °C
밀도0.9640

2. 자연적 발생

페닐에틸아민은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식물 및 동물계 종에서 생성되며,[3][9] 특정 균류와 세균(''락토바실러스'', 클로스트리디움, 슈도모나스'' 및 장내세균과 속)에서도 생성된다. 충분한 농도에서는 특정 병원성 균주인 ''대장균'' (예: O157:H7 균주)에 대한 강력한 항균제 역할을 한다.[10]

3. 화학적 특성

펜에틸아민은 아미노기가 에틸기를 통해 벤젠 고리에 부착된 1차 아민이다.[11] 실온에서 무색 액체이며, 생선 냄새가 나고, , 에탄올, 에테르에 녹는다.[11] 밀도는 0.964 g/ml, 끓는점은 195 °C이다.[11] 공기에 노출되면 이산화 탄소와 결합하여 고체 탄산염 염을 형성한다.[12] 펜에틸아민은 강한 염기이며, pKb = 4.17 (HCl 염을 사용하여 측정, pKa = 9.83)이고, 녹는점이 217 °C인 안정적인 결정성 염산염을 형성한다.[11][13] log P는 1.41이다.[11]

3. 1. 치환된 유도체

치환된 페네틸아민은 페네틸아민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화학 계열유기 화합물이다. 이 계열은 페네틸아민 핵심 구조에서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를 치환기로 대체하거나 치환 반응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페네틸아민의 모든 유도체 화합물로 구성된다.

많은 치환된 페네틸아민은 정신 활성 물질이며, 중추 신경계 자극제(예: 암페타민), 환각제(예: 2,5-디메톡시-4-메틸암페타민), 엔타코겐(예: 3,4-메틸렌디옥시암페타민), 식욕 억제제(예: 펜터민), 비강 충혈 완화제 및 기관지 확장제(예: 슈도에페드린), 항우울제(예: 부프로피온), 항파킨슨 제제(예: 셀레길린), 혈관 수축제(예: 에페드린) 등 다양한 약물 계열에 속한다. 이러한 정신 활성 화합물 중 다수는 주로 모노아민 신경 전달 물질 시스템을 조절하여 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낸다.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아드레날린, 티라민 등 많은 미량 아민은 호르몬이자 모노아민 신경 전달 물질인 내인성 화합물이면서 치환된 페네틸아민이다. 도파민은 벤젠 고리의 3번과 4번 위치에 수산화기를 부착한 페네틸아민이다. MDMA (엑스터시), 메스암페타민, 카티논과 같은 여러 가지 주목할 만한 레크리에이션 약물도 이 계열에 속한다.

페네틸아민의 ''N''-메틸화 유도체는 ''N''-메틸페네틸아민이다. 페닐기, 측쇄, 아미노기에 화학적 수식을 받은 유도체가 페네틸아민 유도체로 알려져 있다.

암페타민은 페네틸아민의 유사체이며, 측쇄상에 아미노기에 인접한 α-메틸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질소상에 메틸화가 되면 메스암페타민이 된다.

카테콜아민은 페닐기의 3위와 4위에 히드록시기 (−OH)를 가진 페네틸아민 유도체이다. 호르몬 및 신경 전달 물질인 레보도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은 카테콜아민류이다.

방향족 아미노산페닐알라닌티로신은 α위에 카복실기 (−COOH)를 갖는 페네틸아민 유도체이다.

3. 2. 합성

β-페네틸아민을 제조하는 한 가지 방법은 J. C. 로빈슨과 H. R. 스나이더의 ''유기 합성''(1955년 출판)에 제시된 방법으로, 액체 암모니아 속에서 벤질 시아나이드를 수소로 라니 니켈 촉매 존재 하에 130°C 온도와 13.8 MPa 압력에서 환원시키는 것이다.[14]

β-페네틸아민을 합성하는 더 편리한 방법은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로 ω-니트로스티렌을 에테르에서 환원시키는 방법이며, 이는 1948년 R. F. 뉘스트롬과 W. G. 브라운이 처음으로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15]

페네틸아민은 분리된 전해조에서 벤질 시아나이드의 음극 환원을 통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16]



페닐 고리에 베타-아미노에틸 측쇄를 첨가하여 에피네프린, 암페타민, 티로신도파민과 같은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페네틸아민 구조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아렌이 활성화되었을 때 N-보호된 아실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프리델-크래프츠 아실화, N-비닐옥사졸론과 페닐의 헥 반응 후 수소화, 베타-아미노 유기아연 시약과의 교차 결합, 브롬화된 아렌과 베타-아미노에틸 유기리튬 시약을 반응, 스즈키 교차 결합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17]

4. 생물학적 활성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과 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에, 치환된 페네틸아민류의 대부분은 약리 활성을 갖는다.

페네틸아민은 암페타민과 유사하게 생체분자 표적에 작용하여 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의 모노아민 방출제로 작용한다.[34][37][38] ''시험관 내''에서 페네틸아민은 암페타민과 거의 동등한 효능을 보인다.[30] 또한 모노아민 산화 효소 (MAO)에 의해 빠르게 약물 대사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정신 자극제로 작용하지 않지만,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 (MAOI)가 존재하면 활성화될 수 있다.[30]

인간 미량 아민 관련 수용체 1(hTAAR1)의 작용제로 결합하며,[39] 쥐의 냄새 결합 TAAR4에도 작용하여 포식자 회피를 매개한다.[40]

카테콜아민 방출 활성 외에도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의 모노아민 활성 증강제(MAE)로, 이러한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의 활동 전위 매개 방출을 강화한다.[41][42][43] 카테콜아민 방출 유도 농도보다 훨씬 낮은 농도에서 MAE로 활성화되며, 페네틸아민 및 기타 MAE의 MAE 작용은 TAAR1 작용제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44][45] 페닐프로필아미노펜탄 (PPAP) 및 셀레길린 (L-데프레닐)과 같은 강력한 MAE는 페네틸아민에서 화학적 유도체로 파생되었다.[41][42]

노르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 및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 유도체와 달리, α- 및 β-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작용제로서 활성이 없다.[46]

알렉산더 슐긴의 PiHKAL에 따르면, 최대 1,600mg 경구 투여 및 50mg 정맥 주사 용량에서 인간에게 완전히 비활성인데, 이는 약력학적 비활성보다는 매우 빠른 분해 때문이다.[47]

외인성 페네틸아민은 단독으로는 비활성이지만,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 (MAOI), 특히 모노아민 산화 효소 B (MAO-B) 효소 억제제인 셀레길린과 병용하면 대사가 강력하게 억제되어 활성화되어 정신 자극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48][49] L-페닐알라닌 (전구체) 경구 투여 및/또는 페네틸아민 자체를 셀레길린과 함께 사용하여 우울증 치료에 연구되었으며 효과가 보고되었다.[41][50][51][52][53] 셀레길린과 병용한 페네틸아민의 오용 가능성도 보고되었다.[54][55]

4. 1. 모노아민 방출제

페네틸아민은 암페타민과 유사하게 생체분자 표적에 작용하여 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의 모노아민 방출제로 작용한다.[34][37][38] ''시험관 내''에서 페네틸아민은 암페타민과 거의 동등한 효능을 보인다.[30]

페네틸아민의 모노아민 방출 (반수 유효 농도, nM)
화합물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세로토닌
페네틸아민10.939.5>10,000



페네틸아민은 모노아민 산화 효소 (MAO)에 의해 빠르게 약물 대사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정신 자극제로 작용하지 않지만,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 (MAOI)가 존재하면 활성화될 수 있다.[30]

4. 2. TAAR1 작용제

페네틸아민은 인간 미량 아민 관련 수용체 1(hTAAR1)의 작용제로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9] β-PEA는 또한 포식자 회피를 매개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쥐의 냄새 결합 TAAR4이다.[40]

4. 3. 모노아민 활성 증강제

페네틸아민은 카테콜아민 방출 활성 외에도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의 모노아민 활성 증강제(MAE)이다.[41][42][43] 즉, 이러한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의 활동 전위 매개 방출을 강화한다.[41][42][43] 이 화합물은 카테콜아민의 방출을 유도하는 농도보다 훨씬 낮은 농도에서 MAE로 활성화된다.[41][42][43] 페네틸아민 및 기타 MAE의 MAE 작용은 TAAR1 작용제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44][45] 합성 화합물인 페닐프로필아미노펜탄 (PPAP) 및 셀레길린 (L-데프레닐)과 같은 보다 강력한 MAE가 페네틸아민에서 화학적 유도체로 파생되었다.[41][42]

4. 4. 기타 활성

노르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 및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 유도체와 달리, 페네틸아민은 α- 및 β-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작용제로서 활성이 없다.[46]

4. 5. 동물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

알렉산더 슐긴의 저서 PiHKAL에 따르면, 페네틸아민은 최대 1,600mg 경구 투여 및 50mg 정맥 주사 용량에서 인간에게 완전히 비활성이다.[47] 이는 약력학적 비활성보다는 매우 빠른 분해 때문일 수 있다.[47]

외인성 페네틸아민 단독으로는 비활성이지만,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 (MAOI), 특히 모노아민 산화 효소 B (MAO-B) 효소 억제제인 셀레길린과 병용하면 대사가 강력하게 억제되어 활성화되어 정신 자극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48][49] L-페닐알라닌 (페네틸아민의 전구체) 경구 투여 및/또는 페네틸아민 자체를 셀레길린과 함께 사용하여 우울증 치료에 연구되었으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1][50][51][52][53] 셀레길린과 병용한 페네틸아민의 오용 가능성도 보고되었다.[54][55]

페네틸아민의 중간 치사량(LD50) 및 최저 치사량(LDLo)는 다음과 같다.[11]

투여 경로LD50 (mg/kg)LDLo (mg/kg)
마우스복강 내175-
마우스피하320-
마우스정맥 내100-
마우스비경구100-
마우스자궁 내39-
기니피그복강 내200-
랫트경구-800
랫트복강 내-100
랫트피하-0.45
마우스(명시되지 않음)-300


5. 약물 동태학

경구 투여 시 펜에틸아민의 반감기는 5–10분이다.[11] 내인성으로 생성된 펜에틸아민은 카테콜아민 뉴런에서 약 30초의 반감기를 갖는다.[19] 사람의 경우, 펜에틸아민은 페닐에탄올아민 N-메틸트랜스퍼라제 (PNMT),[19][22][4][56] 모노아민 산화 효소 A (MAO-A),[4][5] 모노아민 산화 효소 B (MAO-B),[19][22][4][6] 세미카바지드-민감성 아민 산화 효소 (SSAOs) AOC2 및 AOC3,[4][57] 플라빈 함유 모노옥시게나제 3 (FMO3),[58][59] 및 아랄킬아민 N-아세틸트랜스퍼라제 (AANAT)에 의해 대사된다.[4][60] N-메틸페네틸아민은 PNMT에 의한 펜에틸아민의 대사를 통해 생성된다.[19][22][56] β-페닐아세트산은 펜에틸아민의 주요 요 대사산물이며, 모노아민 산화 효소 대사 및 후속 알데히드 탈수소 효소 대사를 통해 생성된다.[4] 페닐아세트알데히드는 모노아민 산화 효소에 의해 생성된 중간 생성물이며, 알데히드 탈수소 효소에 의해 β-페닐아세트산으로 추가 대사된다.[4][61]

뇌의 초기 펜에틸아민 농도가 낮을 때,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 (MAOI), 특히 MAO-B 억제제를 복용하면 뇌 수준이 1000배 증가할 수 있으며, 초기 농도가 높을 때는 3–4배 증가할 수 있다.[62]

6. 페네틸아민 유도체

페네틸아민 유도체는 페닐기, 곁사슬, 아미노기에 화학적 수식을 통해 만들어진 다양한 화합물을 말한다.

주요 치환된 페네틸아민으로는 도파민,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신경전달물질과 메스암페타민(필로폰), MDMA(엑스터시)와 같은 향정신성의약품 등이 있다.[1] 암페타민은 페네틸아민의 곁사슬에 메틸기가 붙은 형태이며, 여기에 질소가 메틸화되면 메스암페타민이 된다. 카테콜아민은 페닐기의 3번과 4번 위치에 히드록시기가 붙은 유도체로,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등이 이에 속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페네틸아민 유도체들이 항우울제, 기관지 확장제 등으로 사용된다.

6. 1. 페네틸아민 유도체 목록

슈도에페드린OHN-메틸-α-히드록시암페타민카친OHα-히드록시암페타민카티논=Oα-케토암페타민메토카티논=ON-메틸-α-케토암페타민부프로피온=OCl3-클로로-N-tert-부틸-α-케토암페타민펜플루라민CF33-트리플루오로메틸-N-에틸암페타민펜터민α,α-디메틸페네틸아민메스칼린3,4,5-트리메톡시페네틸아민MDAcolspan=2 |3,4-메틸렌디옥시암페타민MDMAcolspan=2|3,4-메틸렌디옥시-N-메틸암페타민DOM2,5-디메톡시-4-메틸암페타민DOBBr2,5-디메톡시-4-브로모암페타민DONNO22,5-디메톡시-4-니트로암페타민2C-BBr2,5-디메톡시-4-브로모페네틸아민2C-CCl2,5-디메톡시-4-클로로페네틸아민DOII2,5-디메톡시-4-아이오도암페타민2C-II2,5-디메톡시-4-아이오도페네틸아민2C-D2,5-디메톡시-4-메틸페네틸아민2C-E2,5-디메톡시-4-에틸페네틸아민2C-NNO22,5-디메톡시-4-니트로페네틸아민2C-T-22,5-디메톡시-4-에틸티오페네틸아민2C-T-42,5-디메톡시-4-이소프로필티오페네틸아민2C-T-72,5-디메톡시-4-프로필티오페네틸아민2C-T-82,5-디메톡시-4-시클로프로필메틸티오페네틸아민2C-T-92,5-디메톡시-4-tert-부틸티오페네틸아민2C-T-212,5-디메톡시-4-(2-플루오로에틸티오)페네틸아민


7. 약학적 응용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과 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에, 치환된 펜에틸아민류는 대부분 약리 활성을 갖는다. 펜에틸아민 유도체는 각성제, 환각제, 엠파소젠·엔타코젠, 식욕 저하제, 기관지 확장제, 항우울제 등 다양한 약물로 사용된다.

7. 1. 주요 약물 종류

8. ADHD와의 연관성

여러 연구에서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환자의 소변 내 펜에틸아민 농도가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다.[18] 암페타민메틸페니데이트는 치료에 반응하는 사람들의 소변 펜에틸아민 농도를 크게 증가시킨다.[18] ADHD 생체 지표 연구에 따르면 소변 펜에틸아민 수치는 ADHD 진단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18]

9. 운동과의 연관성

30분간의 중등도에서 고강도 신체 운동은 펜에틸아민의 주요 대사 산물인 페닐아세트산의 소변 내 증가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20][21] 두 연구 검토에 따르면, 단 30분간의 격렬한 운동 후 평균 24시간 소변 페닐아세트산 농도가 기준치보다 77% 상승했다고 한다.[19][20][21] 이 검토에서는 펜에틸아민이 30초 정도의 짧은 반감기로 인해 신체 운동 중에 급격히 대사되면서 합성이 급증한다고 시사한다.[19][20][21][22]

휴식 상태에서 펜에틸아민은 카테콜아민 뉴런에서 L영어-페닐알라닌으로부터 방향족 아미노산 탈카복실화 효소에 의해 도파민이 생성되는 것과 거의 같은 속도로 합성된다.[22] 펜에틸아민과 암페타민 간의 약리학적 관계 때문에, 원래 논문과 두 리뷰에서는 펜에틸아민이 펜에틸아민과 암페타민 모두 강력한 행복감 유발 물질이므로 기분 개선 행복감 효과를 매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시사한다.[19][20][21]

스카이다이빙 또한 소변 펜에틸아민 농도의 현저한 증가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23]

10. 스카이다이빙과의 연관성

스카이다이빙은 소변의 펜에틸아민 농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1][23]

참조

[1] 논문 Trace Amines and the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 1: Pharmacology, Neurochemistry, and Clinical Implications 2016-04
[2] 논문 Biochemical plasticity of synaptic transmission: a critical review of Dale's Principle 1976-08
[3] 논문 Mammalian central nervous system trace amines. Pharmacologic amphetamines, physiologic neuromodulators 2004-07
[4] HMDB Showing metabocard for Phenylethylamine (HMDB0012275) https://hmdb.ca/meta[...]
[5] 논문 Oxidation of beta-phenylethylamine by both types of monoamine oxidase: examination of enzymes in brain and liver mitochondria of eight species 1981-03
[6] 논문 Beta-phenylethylamine: a specific substrate for type B monoamine oxidase of brain http://jpet.aspetjou[...] 1973-11
[7] 논문 The Shapes of Neurotransmitters by Millimeter-Wave Spectroscopy: 2-Phenylethylamine https://doi.org/10.1[...] 1995-08-01
[8] 논문 Hormonal changes when falling in love 2004-08
[9] 논문 Phenethylamine and related compounds in plants
[10] 논문 β-Phenylethylamine as a novel nutrient treatment to reduce bacterial contamination due to Escherichia coli O157:H7 on beef meat 2014-01
[11] 웹사이트 Phenethylamine https://pubchem.ncbi[...] 2024-11-10
[12] 서적 The Merck Index – An Encyclopedia of Chemicals, Drugs, and Biologicals. Merck and Co., Inc. 2001
[13] 논문 Dissociation Constants of Adrenergic Amines
[14] 논문 β-Phenylethylamine http://www.orgsyn.or[...]
[15] 논문 Reduction of organic compounds by lithium aluminum hydride; halides, quinones, miscellaneous nitrogen compounds 1948-11
[16] 논문 The electroreduction of benzyl cyanide on iron and cobalt cathodes
[17] 논문 Beta-aminoethyltrifluoroborates: efficient aminoethylations via Suzuki-Miyaura cross-coupling 2007-01
[18] 논문 Biomarkers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2012-10
[19] 논문 A renaissance in trace amines inspired by a novel GPCR family 2005-05
[20] 논문 Phenylethylamine, a possible link to the antidepressant effects of exercise? 2001-10
[21] 논문 The potential of trace amines and their receptors for treating neurological and psychiatric diseases 2007-01
[22] 논문 The vascular effects of trace amines and amphetamines 2010-03
[23] 논문 Excretion of beta-phenethylamine is elevated in humans after profound stress 1982-02
[24] 논문 Behavioral, biological, and chemical perspectives on atypical agents targeting the dopamine transporter 2015-02
[25] 논문 Interaction of psychoactive tryptamines with biogenic amine transporters and serotonin receptor subtypes 2014-10
[26] 논문 Alpha-ethyltryptamines as dual dopamine-serotonin releasers 2014-10
[27] 논문 Amphetamine-type central nervous system stimulants release norepinephrine more potently than they release dopamine and serotonin 2001-01
[28] 논문 Powerful cocaine-like actions of 3,4-methylenedioxypyrovalerone (MDPV), a principal constituent of psychoactive 'bath salts' products
[29] 웹사이트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Rigid Analogues of Methamphetamines https://scholarworks[...] 2024-11-04
[30] 서적 Dopamine Transporters: Chemistry, Biology and Pharmacology https://books.google[...] Wiley 2008-07
[31] 논문 The designer methcathinone analogs, mephedrone and methylone, are substrates for monoamine transporters in brain tissue
[32] 논문 Monoamine transporters and psychostimulant drugs 2003-10
[33] 논문 Therapeutic potential of monoamine transporter substrates https://zenodo.org/r[...]
[34] 논문 Vesicular monoamine transporters: structure-function, pharmacology, and medicinal chemistry 2011-07
[35] 논문 Distinct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distribution in neurons and endocrine cells of two isoforms of the human vesicular monoamine transporter 1996-05
[36] 서적 Encyclopedia of Molecular Pharmacology Springer
[37] 논문 The emerging role of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 1 in the functional regulation of monoamine transporters and dopaminergic activity 2011-01
[38] 논문 Anatomical and functional evidence for trace amines as unique modulators of locomotor function in the mammalian spinal cord
[39] 논문 The emerging roles of human trace amines and human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s (hTAARs) in central nervous system 2016-10
[40] 논문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s: ligands, neural circuits, and behaviors null 2015-10
[41] 논문 Pharmacological studies with endogenous enhancer substances: beta-phenylethylamine, tryptamine, and their synthetic derivatives 2004-05
[42] 논문 Enhancer regulation/endogenous and synthetic enhancer compounds: a neurochemical concept of the innate and acquired drives null 2003-08
[43] 논문 Phenylethylamine and tyramine are mixed-acting sympathomimetic amines in the brain null 1996
[44] 논문 Enhancer Regulation of Dopaminergic Neurochemical Transmission in the Striatum null 2022-08
[45] 논문 Striking Neurochemical and Behavioral Differences in the Mode of Action of Selegiline and Rasagiline null 2023-08
[46] 논문 In Vitro Activation of Human Adrenergic Receptors and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 1 by Phenethylamine Analogues Present in Food Supplements null 2024-05
[47] 웹사이트 "#142 - Phenethylamine" https://isomerdesign[...] 2024-11-10
[48] 서적 Deprenyl — Past and Future 1996-01-01
[49] 논문 A review of the pharmacology of selegiline 1991
[50] 논문 Does phenylethylamine act as an endogenous amphetamine in some patients? null 1999-09
[51] 논문 L-deprenyl plus L-phenylalanine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null 1984
[52] 논문 Rapid treatment of depression with selegiline-phenylalanine combination https://psycnet.apa.[...] 1991-03
[53] 논문 Sustained antidepressant effect of PEA replacement null 1996
[54] 논문 The Perils of Illegitimate Online Pharmacies: Substance-Induced Panic Attacks and Mood Instability Associated With Selegiline and Phenylethylamine null 2015
[55] 논문 Availability of prescription drugs for bipolar disorder at online pharmacies null 2016-03
[56] 논문 Studies on lung N-methyltransferases, a pharmacological approach 1980-09
[57] 논문 The unique substrate specificity of human AOC2, a semicarbazide-sensitive amine oxidase 2009-08
[58] 논문 Mammalian flavin-containing monooxygenases: structure/function, genetic polymorphisms and role in drug metabolism 2005-06
[59] 논문 Association of FMO3 Variants and Trimethylamine N-Oxide Concentration, Disease Progression, and Mortality in CKD Patients 2016-08
[60] 웹사이트 "EC 2.3.1.87 – Aralkylamine N-acetyltransferase" http://www.brenda-en[...] 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 2014-07
[61] 웹사이트 Aldehyde dehydrogenase – Homo sapiens http://www.brenda-en[...] 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 2015-01
[62] 논문 Phenylethylamine and brain function
[63] 논문 Trace Amines and the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 1: Pharmacology, Neurochemistry, and Clinical Implications 2016-04
[64] 논문 A renaissance in trace amines inspired by a novel GPCR family
[65] 논문 The vascular effects of trace amines and amphetamines 2010-03
[66] 백과사전 Phenylethylamine http://www.hmdb.ca/m[...] Human Metabolome Database 2016-02-11
[67] 논문 Oxidation of beta-phenylethylamine by both types of monoamine oxidase: examination of enzymes in brain and liver mitochondria of eight species null
[68] 논문 The unique substrate specificity of human AOC2, a semicarbazide-sensitive amine oxidase
[69] 논문 Mammalian flavin-containing monooxygenases: structure/function, genetic polymorphisms and role in drug metabolism 2005-06
[70] 논문 Association of FMO3 Variants and Trimethylamine N-Oxide Concentration, Disease Progression, and Mortality in CKD Patients 2016-08
[71] 백과사전 Phenethylamine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72] 백과사전 Phenethylamine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