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발레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 발레리는 프랑스의 시인, 작가, 사상가로, 1871년 프랑스 세트에서 태어나 1945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그는 상징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며, 1917년 시 "젊은 파르크"를 발표하며 문단에 복귀했다. 발레리는 "해변 묘지", "구(舊)시첩", "매혹" 등의 시집과 "테스트 씨와의 저녁", "레오나르도 다 빈치론" 등의 산문집을 썼다. 그는 1925년 프랑스 학술원에 선출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프랑스 문화계에서 활동했으며, 노벨 문학상 후보로 여러 번 지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수필가 - 마르셀 프루스트
마르셀 프루스트는 20세기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 소설가이자 비평가이며, 대표작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기억, 시간, 자의식을 다루는 독특한 장편소설로 평가받는다. - 프랑스의 수필가 - 볼테르
볼테르는 이성, 자유, 관용을 옹호하며 종교적 불관용과 전제 정치를 비판하고 프랑스 사회 개혁을 촉구한 프랑스의 계몽주의 사상가, 작가, 역사가이다. - 명언가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명언가 - 플라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하여 철학, 수학 등을 가르치고 이데아론, 영혼론 등을 주요 사상으로 삼아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 프랑스의 시인 - 마르그리트 당굴렘
마르그리트 당굴렘은 프랑스 왕족이자 작가, 예술 후원가로서, 나바라 왕비가 되어 르네상스 시대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종교 개혁에도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프랑스의 시인 - 파블로 피카소
파블로 피카소는 스페인 태생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입체파 화가이자 조각가로서 조르주 브라크와 함께 입체주의 미술 양식을 창시했으며 《아비뇽의 처녀들》, 《게르니카》 등의 대표작과 함께 회화, 조각, 판화, 도자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방대한 작품을 남긴 20세기 최고의 예술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폴 발레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앙브루아즈 폴 투생 쥘 발레리 |
| 출생 | 1871년 10월 30일 |
| 출생지 | 프랑스 세트 |
| 사망 | 1945년 7월 20일 |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16구 |
| 묘지 | 프랑스 세트 |
| 국적 | 프랑스 |
| 활동 기간 | 미상 |
| 직업 | |
| 직업 | 저술가 시인 소설가 평론가 |
| 학력 | |
| 모교 | 몽펠리에 대학교 법학부 |
| 교육 | 콜레주 드 프랑스 |
| 작품 활동 | |
| 장르 | 시 철학 에세이 |
| 영향 | 미상 |
| 영향을 받은 인물 | 미상 |
| 대표작 | 《젊은 파르크》 |
| 수상 | |
| 수상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 가족 관계 | |
| 배우자 | 잔니 고빌라르 |
| 파트너 | 카트린 포치 |
| 자녀 | 아가트 루아르-발레리 |
| 서명 | |
![]() | |
2. 생애
폴 발레리는 1871년 코르시카인 아버지와 제노바-이스트리아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에로의 지중해 연안 마을인 세트에서 태어났지만, 인근의 더 큰 도시인 몽펠리에에서 자랐다.[2] 로마 가톨릭 교육을 받은 후, 몽펠리에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평생의 대부분을 파리에서 보냈다. 그곳에서 그는 한동안 스테판 말라르메의 모임의 일원이었다.
1900년 스테판 말라르메 가족의 친구이자 화가 베르트 모리조의 조카인 잔닌 고비야르와 결혼했다. 결혼식은 신부의 사촌인 베르트 모리조의 딸 줄리 마네가 화가 에르네스트 루아르와 결혼하는 이중 결혼식이었다.[2] 발레리와 고비야르는 슬하에 클로드, 아가트, 프랑수아 세 자녀를 두었다.
1917년 앙드레 지드의 영향을 받아 시 창작에 복귀, 갈리마르에서 〈젊은 파르크〉를 출간했다. 4년간 몰두하여 집필한 512행의 이 장편시로 "긴 침묵"을 깼다.[2] 갈리마르 출판사와 친구 앙드레 지드의 부탁을 받아 시를 쓰게 되었는데, 처음 계획의 방대함에 압도당하여 결국 이 시를 자신의 걸작으로 여기게끔 썼다. 신체와 정신의 대립에 사로잡힌 처녀의 내적 독백인 〈젊은 파르크〉는 스승이었던 스테판 말라르메의 형식주의에 의거하여 쓰였다.
1920년에는 동료 시인 카트린 포치와 8년 동안 지속된 격정적인 관계를 시작했다.
1925년 프랑스 학술원에 선출된 후, 유럽을 순회하며 문화 및 사회 문제에 대한 강연을 하고, 여러 공식 직책을 맡으면서 프랑스 사회에서 지칠 줄 모르는 연설가이자 지식인으로 활동했다. 국제 연맹에서 문화 문제에 대해 프랑스를 대표했고, 지적 협력 국제 위원회의 예술 및 문학 소위원회 등 여러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1931년 프랑스어와 문명을 가르치는 사립 기관인 칸 국제 대학을 설립했다. 이 대학은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1932년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사망 100주년을 기념하는 독일의 국가 기념 행사에서 기조 연설을 했다. 발레리가 괴테처럼 과학(특히, 생물학 및 광학)에 매료되었기 때문에 이 선택은 적절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비시 정권은 비시 정권 및 독일 점령과의 협력을 조용히 거부한 그에게서 니스 대학교 최고 경영자 직책과 콜레주 드 프랑스 시학 교수직을 박탈했지만,[4] 이 어려운 시기에도 특히 프랑스 학술원 회원으로서 프랑스 문화 생활에 계속 출판하고 활동했다.
노벨 문학상 후보로 12번이나 지명되었다. 스웨덴 한림원은 1945년에 사망하지 않았다면 그에게 상을 수여할 의도였던 것으로 여겨진다.[4]
1945년 7월 파리에서 사망했다. 고향인 세트의 묘지에 묻혔으며, 이 묘지는 그의 유명한 시 ''바다 묘지''에서 찬양받았다.[5]
2. 1. 유년 시절과 교육
폴 발레리는 1871년 코르시카인 아버지와 제노바-이스트리아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에로의 지중해 연안 마을인 세트에서 태어났지만, 인근의 더 큰 도시인 몽펠리에에서 자랐다.[2] 로마 가톨릭 교육을 받은 후, 몽펠리에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18]5세에 도미니코회 학교에 입학했고, 7세에 세트의 초등학교에 입학, 11세에 고등과에 진학했다. 소년기에는 독서를 좋아했다. 1884년에 몽펠리에로 이주하여 리세에 입학했다. 조부처럼 선원이 되기를 동경했지만, 아버지의 반대와 수학에 약했기 때문에 좌절했다. 또한 종종 어머니 쪽 고향인 제노바에서의 체류를 즐겼다. 이때부터 문학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시를 쓰기 시작했고, 회화와 건축에도 흥미를 가졌다. 1887년 3월, 아버지 발텔레미가 사망했다.
1888년 몽펠리에 대학교 법학부에 입학했다. 포와 보들레르의 시에 열중했으며, 상징주의, 고답파 시인들을 알게 되었다. 1889년경, 위스망스의 『거꾸로』를 탐독하고, 거기에 인용된 베를렌, 랭보와 말라르메의 미완성 시 『에로디아드』의 단편에 매료되었다.
18세에 쓴 시 "꿈('Rève')"을 형이 마르세유의 잡지 『Revue maritime』지에 보내 처음으로 작품이 게재되었고, 이어서 『쿠리에 리브르』지에 보낸 소네트 "달의 출현('Elévation de la lune')"이 게재되었다. 그 해, 지원병으로 몽펠리에 보병 제122연대에서 1년간 병역에 종사했다.
1890년 5월, 몽펠리에 대학교 창립 600주년 기념 축하 행사에서, 파리에서 온 시인 피에르 루이스와 알게 되어 친교를 깊게 했다. 루이스는 발레리와의 서신 교환 중에 말라르메의 『에로디아드』 시 30행 정도를 써서 보내 발레리를 감격시켰다(1890년 9월경). 12월, 루이스를 통해 앙드레 지드와도 알게 되어, 평생 우정 관계를 맺었다. 또한 이 무렵, 말라르메에게 편지를 써서 보내 답장을 받았다.
1891년경, 시작이 활발해져, 루이스가 지드, 레옹 블룸, 앙리 드 레니에 등과 동인지 『라 콩크』를 발행할 때 초대를 받아, 창간호에 "나르시스 말하다('Narcisse parle')"를 투고했다. 그 외 『에르미타주』『라 시랑크스』지에서도 요청을 받아 시와 논문을 기고했다. "나르시스 말하다"는 일간지 『데바』에서 격찬을 받아, 루이스, 지드와 함께 "가장 재능 있는 세 명의 젊은 작가"로도 평가받게 되었다.[18] 대학교를 졸업하고 문학으로 성공하고자 파리로 나가, 루이스의 권유로 말라르메의 매주 화요일 모임에 참석했다.
2. 2. 제노바의 밤과 문학적 침묵
1892년 9월부터 11월까지, 외가 친척이 사는 제노바에 머물렀다. 이 무렵 시인으로서의 재능을 의심하고 문학적인 활동에 대해 격렬한 혐오감을 갖게 된 발레리는 점차 문학에서 멀어졌다. 그리고 짝사랑 등 잡다한 사고를 버리고 지성만을 숭배하기로 결심했다. 이 결심은 제노바 체류 중 기록적인 폭풍이 있던 밤과 같은 시기라고 여겨져 "제노바의 밤"이라고 불린다. 1894년부터 『카이에』(수첩)라고 불리는, 공표를 전제로 하지 않는 사색의 기록을 쓰기 시작했고, 그 양은 약 2만 6천 페이지에 달했다. 1895년에 평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방법 서설』을 발표하고, 1896년에 소설 『테스트 씨와의 야회』를 발표한 후, 『카이에』 집필을 기축으로 한 20년에 걸친 문학적 침묵기에 들어간다.[6]1896년, 런던에 체류했을 때, 스테판 말라르메로부터 소개받은 시인 윌리엄 어니스트 헨리를 만나 그가 주최하는 잡지 『더 뉴 리뷰』에 실린 독일 산업의 영국(대영 제국)에 대한 압박에 관한 논문에 대해, 철학적 결론을 프랑스어로 써달라는 의뢰를 받았다. 당시 "방법(''méthode'')"에 관심을 갖고 있었기에, "독일적 정복(''La Conquête allemande'')"을 집필하여 1897년에 게재되었다. 이것은 1915년에 프랑스 잡지에 재수록되었고, 1924년에 "방법적 정복(''Une Conquête méthodique'')"으로 개제되어 간행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 후발 국가의 번영 방법에 대해 언급했으며, 훗날 추축국을 시사했다는 말도 있다.[19]
2. 3. 문단 복귀와 왕성한 활동
1917년, 발레리는 앙드레 지드의 영향을 받아 시 창작에 복귀, 갈리마르에서 <젊은 파르크>를 출간했다. 4년간 몰두하여 집필한 512행의 이 장편시로 "긴 침묵"을 깼다.[2] 발레리는 갈리마르 출판사와 친구 앙드레 지드의 부탁을 받아 시를 쓰게 되었는데, 처음 계획의 방대함에 압도당하여 결국 이 시를 자신의 걸작으로 여기게끔 썼다. 신체와 정신의 대립에 사로잡힌 처녀의 내적 독백인 <젊은 파르크>는 스승이었던 스테판 말라르메의 형식주의에 의거하여 쓰였다.1920년, 발레리는 아바스 통신사의 전 최고 경영자인 에두아르 르베이가 파킨슨병으로 사망할 때까지 전업 작가가 되지 않았다. 그전까지 발레리는 육군성에서 생계를 유지하다가 르베이의 조수가 되는 비교적 유연한 직책을 맡았으며, 약 20년 동안 이 직책을 맡았다. 또한 1920년에 그는 동료 시인 카트린 포치와 8년 동안 지속된 격정적인 관계를 시작했다.
1925년 프랑스 학술원(Académie française프랑스어)에 선출된 후, 발레리는 유럽을 순회하며 문화 및 사회 문제에 대한 강연을 하고, 여러 공식 직책을 맡으면서 프랑스 사회에서 지칠 줄 모르는 연설가이자 지식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국제 연맹에서 문화 문제에 대해 프랑스를 대표했고, 지적 협력 국제 위원회의 예술 및 문학 소위원회 등 여러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1931년, 그는 프랑스어와 문명을 가르치는 사립 기관인 칸 국제 대학을 설립했다. 이 대학은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1932년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사망 100주년을 기념하는 독일의 국가 기념 행사에서 기조 연설을 했다. 발레리가 괴테처럼 과학(특히, 생물학 및 광학)에 매료되었기 때문에 이 선택은 적절했다.
그는 프랑스 학술원(Académie française프랑스어) 회원으로서의 활동 외에도, 리스본 과학 아카데미와 ''전국 작가 전선''의 회원이기도 했다. 1937년, 그는 나중에 니스 대학교가 된 기관의 최고 경영자로 임명되었다. 그는 콜레주 드 프랑스(Collège de France프랑스어)에서 시학 교수의 초대 재임자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비시 정권은 비시 정권 및 독일 점령과의 협력을 조용히 거부한 그에게서 이러한 직책과 훈장을 박탈했지만, 발레리는 이 어려운 시기에도 특히 프랑스 학술원(Académie française프랑스어)의 회원으로서 프랑스 문화 생활에 계속 출판하고 활동했다.
발레리는 노벨 문학상 후보로 12번이나 지명되었다. 스웨덴 한림원은 그가 1945년에 사망하지 않았다면 그에게 상을 수여할 의도였던 것으로 여겨진다.[4]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죽음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비시 정권은 비시 정권 및 독일 점령과의 협력을 조용히 거부한 그에게서 니스 대학교 최고 경영자 직책과 콜레주 드 프랑스 시학 교수직을 박탈했지만,[4] 발레리는 이 어려운 시기에도 특히 프랑스 학술원 회원으로서 프랑스 문화 생활에 계속 출판하고 활동했다.발레리는 노벨 문학상 후보로 12번이나 지명되었다. 스웨덴 한림원은 그가 1945년에 사망하지 않았다면 그에게 상을 수여할 의도였던 것으로 여겨진다.[4]
발레리는 1945년 7월 파리에서 사망했다. 그는 고향인 세트의 묘지에 묻혔으며, 이 묘지는 그의 유명한 시 ''바다 묘지''에서 찬양받았다.[5]
3. 작품 세계
폴 발레리는 시, 산문, 수필, 희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작품을 남겼다. 특히 자신의 "진정한 작품"은 산문이라고 묘사했을 정도로 방대한 양의 글을 남겼는데, 평생 28,000쪽이 넘는 노트를 작성했다.[7] 그의 산문 작품은 인간 본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내며 냉소주의에 가까운 경구와 "명언"들로 가득 차 있다.[8]
1895년 레오나르도 다 빈치 방법 서설을 발표했고, 1896년 소설 Monsieur Teste프랑스어 (테스트 씨와의 저녁)를 발표했다.[19] 1894년부터는 공표를 전제로 하지 않는 사색을 기록한 『카이에』(수첩)를 쓰기 시작했는데, 그 양은 약 2만 6천 페이지에 달했다. 그의 가장 인상적인 업적으로 평가받는 『카이에』는 매일 아침 일찍 작성되었으며, 과학과 수학에 대한 성찰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발레리는 "나는 정신의 삶에 그 시간을 바침으로써, 그날의 나머지 시간은 멍청하게 보낼 권리를 얻는다."라고 썼다. 『카이에』는 피터 랭(Peter Lang) 출판사에서 『카이에/노트』(Cahiers/Notebooks)라는 제목으로 5권으로 영어 번역되었다.
1897년에는 "독일적 정복(''La Conquête allemande'')"을 집필하여 게재하였고, 1915년 프랑스 잡지에 재수록되었고, 1924년 "방법적 정복(''Une Conquête méthodique'')"으로 개제되어 간행되었다.[19] 레몽 푸앵카레, 루이 드 브로이, 앙드레 지드, 앙리 베르그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2] 등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사상을 교류했다. 그는 종종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주제에 대해 기사를 써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며, 그 결과물은 "Variétés"라는 제목의 5권으로 묶여 출판되었다.
1917년 앙드레 지드의 영향을 받아 갈리마르에서 〈젊은 파르크〉를 출간하며 시 창작에 복귀한다.[32] 512행의 장편시인 이 작품은 약 4년간 집필했으며, 신체와 정신의 대립에 사로잡힌 처녀의 내적 독백을 다룬 시로, 스승 말라르메의 형식을 따랐으며 프랑스 알렉상드랭으로 구성되었다.
1891년경, 피에르 루이스가 앙드레 지드, 레옹 블룸 등과 동인지 『라 콩크』를 발행할 때 초대를 받아, 창간호에 "나르시스 말하다('Narcisse parle')"를 투고했다. 『에르미타주』, 『라 시랑크스』지에서도 요청을 받아 시와 논문을 기고했다. 1920년과 1922년에는 《Album des vers anciens》(옛 시의 앨범)과 《Charmes》(라틴어 carmina에서 유래, "노래"이자 "주문"을 의미) 두 권의 시집을 출판했다. 《Charmes》에는 〈해변의 묘지〉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를 주요 프랑스 시인으로 확고히 했다. 1891년부터 1893년까지의 작품을 수록한 『구시첩』, 장편 시 『젊은 파르크』, 1917년부터 1922년까지의 작품을 수록한 『매혹』이 있으며, 이들을 묶어 『폴 발레리 시집』이 1929년에 간행되었다.[20]
3. 1. 시
폴 발레리는 시인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프랑스 상징주의의 마지막 주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그는 100편 미만의 시를 출판했으며, 그 중 어느 것도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발레리의 기법은 매우 정통적이다. 그의 시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운율과 음절을 맞추며, 말라르메의 작품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의 시 "야자나무(Palme)"는 제임스 메릴의 1974년 시 "실어증"에 영감을 주었으며, 그의 지적인 서정성은 미국의 시인 에드가 바워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1892년 10월 4일 밤, 폭풍우가 몰아치는 동안 폴 발레리는 실존적 위기를 겪었는데, 이 사건은 그의 작가 경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98년경, 그는 글쓰기를 완전히 중단하고 거의 20년 동안 한 마디도 출판하지 않았다. 이 중단은 스승 스테판 말라르메의 죽음이 부분적인 원인이었다.
1891년경, 피에르 루이스가 앙드레 지드, 레옹 블룸 등과 동인지 『라 콩크』를 발행할 때 초대를 받아, 창간호에 "나르시스 말하다('Narcisse parle')"를 투고했다. 『에르미타주』, 『라 시랑크스』지에서도 요청을 받아 시와 논문을 기고했다. "나르시스 말하다"는 일간지 『데바』에서 격찬을 받아, 루이스, 지드와 함께 "가장 재능 있는 세 명의 젊은 작가"로도 평가받았다.[18] 대학교 졸업 후, 루이스의 권유로 말라르메의 매주 화요일 모임에 참석했다.
1920년과 1922년에 두 권의 시집을 출판했다. 《Album des vers anciens》(옛 시의 앨범)은 1900년 이전에 출판되었던 초기 작품들을 개정한 것이다. 《Charmes》(라틴어 carmina에서 유래, "노래"이자 "주문"을 의미)는 그를 주요 프랑스 시인으로 확고히 했다. 이 시집에는 〈해변의 묘지〉 등이 포함되어 있다.
1891년부터 1893년까지의 작품을 수록한 『구시첩』, 장편 시 『젊은 파르크』, 1917년부터 1922년까지의 작품을 수록한 『매혹』이 있으며, 이들을 묶어 『폴 발레리 시집』이 1929년에 간행되었다.[20]
발레리는 말라르메에 경도되었고, 보들레르, 호세 마리아 드 에레디아(José-Maria de Heredia), 베를렌, 랭보에게 영향을 받았다. 음악적 재능을 보였지만, 고전적 전통 형식으로 시를 창작하여[23] 상징주의 시인으로 여겨지지 않는다.[24] 시론에서는 말라르메 실험의 이론화를 시도하여 근대 시학을 창설한 것으로도 평가받는다.[23]
호리 다쓰오의 소설 『바람 불어오다』 서두에 발레리의 시 『해변의 묘지』의 한 구절 "바람이 분다, 자, 살아가자(Le vent se lève, il faut tenter de vivre.)"가 인용되었으며, 소설 제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3. 1. 1. 젊은 파르크
1917년, 발레리는 앙드레 지드의 영향을 받아 갈리마르에서 〈젊은 파르크〉를 출간하며 시 창작에 복귀한다. 512행의 장편시인 이 작품을 집필하는데 약 4년이 걸렸으며, 이 작품으로 발레리는 "긴 침묵"을 깼다.[32] 발레리는 갈리마르와 친구 앙드레 지드의 부탁으로 시를 쓰기 시작했으나, 방대한 계획에 압도당하여 결국 이 시를 자신의 걸작으로 만들게 된다.〈젊은 파르크〉는 신체와 정신의 대립에 사로잡힌 한 처녀의 내적 독백을 다룬 시로, 스승 말라르메의 형식을 따랐으며 알렉상드랭으로 구성된 장편시이다.
한밤중에 깨어난 처녀는 괴물의 도래를 불안과 기대로 예감하며 꿈꾸는 듯한 상태에서 독백한다. 처녀신 파르크를 통해 ‘의식하는 의식’의 눈부신 빛이 던져진 ‘관능, 정서, 신체의 감각, 기억의 깊이’가 연출하는 내면극이 펼쳐진다. 순수하지만 서로 메마른 미와 생명의 약동이 투쟁하는 드라마이기도 하다. 그러나 최후에는 〈해변의 묘지〉의 “바람이 일다. 이제 살고지고”와 같이 허무와 죽음이 아닌 동(動)과 생(生)이 승리한다. 이는 젊은 발레리의 이상이었던 순수정신이 무대에서 결별하는 것을 의미한다.
512행의 각운을 맞춘 프랑스 알렉상드랭으로 구성된 난해하지만 매우 아름다운 이 걸작은 완성하는 데 4년이 걸렸으며, 발표와 함께 그의 명성을 굳혔다.[32] 〈해변의 묘지〉, 〈뱀의 초고〉와 함께 20세기 가장 위대한 프랑스 시 중 하나로 꼽힌다.
제목은 시가 완성되기 직전에 선택되었다. 세 명의 파르카이(운명의 여신) 중 막내를 가리키지만, 일부 독자들에게는 그 신화적 인물과의 연관성이 미약하고 문제적이다.
이 시는 1인칭으로 쓰여졌으며, 바다, 하늘, 별, 바위 절벽, 떠오르는 해가 지배하는 환경 속에서 삶과 죽음, 참여와 철수, 사랑과 소외를 성찰하는 젊은 여성의 독백이다. 그러나 이 시는 운명이 인간사를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한 우화로, 또는 시가 쓰여질 당시 유럽의 끔찍한 폭력을 이해하려는 시도로 읽을 수도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에 대한 것은 아니지만, 파괴와 아름다움의 관계를 다루려고 시도하며, 고대 그리스 문학의 성찰과 공명한다. 따라서, 비슷한 주제에 대한 해변에서의 성찰을 담은 〈해변의 묘지〉와도 뚜렷한 연관성을 보인다.
〈젊은 파르크〉를 각색한 만화가 있다.[32]
3. 1. 2. 해변의 묘지
Le Cimetière marin프랑스어은 1920년에 발표된 폴 발레리의 시이다. "해변의 묘지"는 "뱀의 초고"와 함께,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프랑스 시 중 하나로 여겨진다.[32] 이 시는 바다, 하늘, 별, 바위 절벽, 떠오르는 해가 지배하는 환경 속에서 삶과 죽음, 참여와 철수, 사랑과 소외를 성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에 대한 것은 아니지만 파괴와 아름다움의 관계를 다루려고 시도하며, 이러한 주제는 소포클레스와 아이스킬로스의 연극에서 볼 수 있는 고대 그리스 문학의 성찰과 공명한다.[32]"해변의 묘지"의 마지막 구절은 "바람이 일다. 이제 살고지고"인데, 이는 허무와 죽음이 아닌 동(動)과 생(生)의 승리를 의미하며, 젊은 발레리의 이상이었던 순수정신이 무대에서 결별하는 것을 뜻한다.
3. 2. 산문
발레리는 자신의 "진정한 작품"을 산문이라고 묘사했으며, 평생 28,000쪽이 넘는 노트를 작성했다.[7] 그의 방대한 산문 작품은 많은 경구와 "명언"으로 가득 차 있으며, 인간 본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내며 냉소주의에 가깝다. 그는 국가 권력과 개인에 대한 침해가 엄격히 제한되어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국가 권력에 대한 그의 견해는 자유주의적이었다.[8] 1890년대에 민족주의적 사상과 잠시 교류했지만 1899년까지 그 사상에서 벗어났고, 로마 제국의 민족적 다양성과 보편주의 덕분에 유럽 문화가 위대함을 얻었다고 믿었다.[9] 그는 "인종 순수성"에 대한 신화를 비난했고, 그러한 순수성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단지 정체로 이어질 뿐이므로, 진보와 문화 발전을 위해서는 인종 혼합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10] "유럽 정신의 투영으로서의 미국"에서 발레리는 유럽의 상황에 절망할 때마다 "신세계를 생각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희망을 되찾을 수 있다"고 말했고, 유럽의 "미적 아이디어가 멕시코 원주민 예술의 강력한 특성으로 스며들면서" 생길 수 있는 "행복한 변주"에 대해 숙고했다.[11]레몽 푸앵카레, 루이 드 브로이, 앙드레 지드, 앙리 베르그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2] 모두 발레리의 사상을 존경했으며 친밀한 서신을 주고받았다. 발레리는 종종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주제에 대해 기사를 써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며, 그 결과물인 지적 저널리즘은 "Variétés"라는 제목의 5권으로 묶여 출판되었다.
1894년부터 공표를 전제로 하지 않는 사색을 기록한 『카이에』(수첩)를 쓰기 시작했고, 그 양은 약 2만 6천 페이지에 달했다.
3. 2. 1. 테스트 씨와의 저녁
Monsieur Teste프랑스어는 1896년에 발표된 소설이다.[17] 이 소설은 2024년에 샬롯 만델(Charlotte Mandell)이 번역하여 뉴욕 리뷰 북스에서 출판되었다.3. 2. 2. 레오나르도 다 빈치 방법 서설
1895년 레오나르도 다 빈치 방법 서설을 발표했고, 1896년 소설 『테스트 씨와의 야회』를 발표했다. 그 후, 『카이에』(수첩)를 중심으로 20년에 걸친 문학적 침묵기에 들어갔다.[19]3. 2. 3. 정신의 위기
1896년 런던에 체류했을 때, 말라르메에게 소개받은 시인 윌리엄 어니스트 헨리가 주최하는 잡지 『더 뉴 리뷰』에 실린 독일 산업의 영국(대영 제국) 압박에 관한 논문에 대해, 철학적 결론을 프랑스어로 써달라는 의뢰를 받았다. 당시 "방법(''méthode'')"에 관심을 갖고 있었기에, "독일적 정복(''La Conquête allemande'')"을 집필하여 1897년에 게재하였다. 1915년 프랑스 잡지에 재수록되었고, 1924년 "방법적 정복(''Une Conquête méthodique'')"으로 개제되어 간행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 후발 국가의 번영 방법에 대해 언급했으며, 훗날 추축국을 시사했다는 말도 있다.[19]3. 3. 카이에 (공책)
폴 발레리의 가장 인상적인 업적은 아마도 그의 방대한 지적 일기인 『카이에』(Cahiers)일 것이다. 성인이 된 후 그는 매일 아침 일찍 『카이에』에 무언가를 기고했으며, 그로 인해 그는 "나는 정신의 삶에 그 시간을 바침으로써, 그날의 나머지 시간은 멍청하게 보낼 권리를 얻는다."라고 썼다.그의 『카이에』 항목의 주제는 놀랍게도 과학과 수학에 대한 성찰이 많았다. 사실, 이 분야의 난해한 주제들이 그의 유명한 시보다 훨씬 더 많은 그의 사려 깊은 관심을 끌었던 것으로 보인다. 『카이에』에는 그가 나중에 자신의 책에 포함한 많은 경구의 초고도 담겨 있다. 현재까지 『카이에』는 사진 복사본으로만 전부 출판되었으며, 1980년 이후에야 학문적인 연구를 받기 시작했다. 『카이에』는 피터 랭(Peter Lang) 출판사에서 『카이에/노트』(Cahiers/Notebooks)라는 제목으로 5권으로 영어 번역되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발레리의 사상은 장 루이 르 모안이 구성주의 역사를 설명한 것과 같이 구성주의 인식론 분야에서 시금석으로 여겨져 왔다.[13]
4. 영향
코맥 매카시의 소설 ''피의 자오선''의 머리말 세 개 중 하나는 발레리의 『압록강에서 쓰는 글』(1895)에서 따온 것이다.[14]
옥타비오 파스의 저서 "고독의 미로"에는 발레리의 시 구절 세 줄이 인용되어 있다.
레이 브래드버리의 ''화씨 451''에서, 책을 태우는 소방서장 비티는 발레리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방법 입문』의 다음 구절을 인용한다.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일본의 영화감독 미야자키 하야오의 2013년 영화 《바람이 분다》와 이 영화의 부분적인 원작이 된 호리 다쓰오의 동명의 일본 소설은 발레리의 시 "Le Cimetière marin"("해변 묘지")에 등장하는 "Le vent se lève... il faut tenter de vivre !" ("바람이 분다... 우리는 살아가도록 노력해야 한다!")라는 구절에서 제목을 따왔다.[15][16] 이 인용구는 앤서니 버지스의 1962년 소설 《The Wanting Seed》의 마지막 문장에서도 사용되었다. "Le Cimetière marin"은 1980년에 만드리 카가 저술한 프랑스 만화 "Le concombre masqué: Comment devenir maître du monde?"에서도 인용되었다.
5. 작품 목록
| 제목 | 출판 연도 | 비고 |
|---|---|---|
| 밤의 이야기 | 1888년 | |
| 건축가에 대한 역설 | 1891년 | |
| 레오나르도 다 빈치 방법론 소개 | 1895년 | |
| 테스트 씨와의 저녁 | 1896년 | |
| 젊은 파르크 | 1917년 | La Jeune Parque프랑스어[1] |
| 고대 시집 | 1920년 | |
| 해변 묘지 | 1920년 | Le Cimetière marin프랑스어 |
| 매력 | 1922년 | Charmes프랑스어 |
| 유팔리노스, 또는 건축가 | 1923년 | Eupalinos ou l'Architecte프랑스어 |
| 다양성 I | 1924년 | Variété I프랑스어 |
| 정신의 위기 | 1924년 | |
| 영혼과 춤 | 1925년 | L'Âme et la danse프랑스어 |
| 다양성 II | 1930년 | Variété II프랑스어 |
| 현대 세계에 대한 시선 | 1931년 | Regards sur le monde actuel프랑스어 |
| 고정 관념 | 1932년 | Idée Fixe프랑스어 |
| 도덕 | 1932년 | Moralités프랑스어 |
| 다양성 III | 1936년 | Variété III프랑스어 |
| 드가, 춤, 드로잉 | 1936년 | Degas, danse, dessin프랑스어 |
| 다양성 IV | 1938년 | Variété IV프랑스어 |
| 나쁜 생각과 기타 | 1942년 | Mauvaises pensées et autres프랑스어 |
| 있는 그대로 | 1943년 | Tel quel프랑스어 |
| 다양성 V | 1944년 | Variété V프랑스어 |
| 관점 | 1948년 | |
| 작품 I | 1957년 | 장 이티에르 편집 및 주석, 플레아드 문고 / nrf 갈리마르 |
| 작품 II | 1960년 | 장 이티에르 편집 및 주석, 플레아드 문고 / nrf 갈리마르 |
| 산문과 시 | 1968년 | |
| 노트 I | 1973년 | 주디스 로빈슨-발레리 편집, 발표 및 주석, 플레아드 문고 / nrf 갈리마르 |
| 노트 II | 1974년 | 주디스 로빈슨-발레리 편집, 발표 및 주석, 플레아드 문고 / nrf 갈리마르 |
| 노트(1894–1914) | 1987년 | 니콜 셀레레트-피에트리와 주디스 로빈슨-발레리의 지휘 하에 출판, 장 셀레레트, 마리아 테레사 지아베리, 폴 기포드, 잔닌 잘라, 베르나르 라코르, 위게트 로렌티, 플로랑스 드 뤼시, 로베르 피커링, 레진 피에트라 및 위르겐 슈미트-라데펠트 협력, 1-9권, 콜렉시옹 블랑쉬, 갈리마르 |
참조
[1]
웹사이트
Nomination Archive
https://www.nobelpri[...]
2020-04-01
[2]
서적
Growing Up with the Impressionists: The Diary of Julie Manet
Sotheby's Publications
1987
[3]
웹사이트
Florence Meyer Blumenthal
http://jwa.org/encyc[...]
Jewish Women's Archive, Michele Siegel
[4]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 Nominations and reports 1901-1950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5]
웹사이트
Remembering Paul Valéry
https://www.thedaily[...]
2011-07-23
[6]
웹사이트
La jeune Parque | Koninklijke Bibliotheek
https://www.kb.nl/en[...]
[7]
웹사이트
Poet's Dance: On "The Idea of Perfection: The Poetry and Prose of Paul Valéry"
https://www.clerevie[...]
2021-12-07
[8]
서적
Reading Paul Valéry: Universe in Mi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9]
웹사이트
Extreme Diamonds: Paul Valéry and the Last Centennial of 1917
https://www.tabletma[...]
2017-12-19
[10]
서적
Reading Paul Valéry: Universe in Mi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1]
서적
Reflections on the World Today
Pantheon
1948
[12]
웹사이트
Paul Valéry
http://www.academie-[...]
[13]
서적
Les épistémologies constructivistes
PUF
1995
[14]
서적
Blood Meridian, or, The Evening Redness in the West
Random House
1985
[15]
뉴스
The Wind Rises: a flight into Hayao Miyazaki's magic and poet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02-21
[16]
웹사이트
Le Cimetière marin
http://homepages.wmi[...]
[17]
웹사이트
Collected Works of Paul Valery
https://press.prince[...]
2024-04-12
[18]
간행물
現代世界文學全集25
[19]
간행물
精神の危機 他十五篇
岩波文庫
2010
[20]
서적
ヴァレリー詩集
岩波文庫
1968
[21]
웹사이트
Nomination Database
http://nobelprize.or[...]
[22]
서적
ヴァレリー文学論
角川文庫
1955
[23]
서적
ヴァレリー詩集
岩波文庫
1968
[24]
서적
文學大概
中公文庫
1976
[25]
서적
レオナルド・ダ・ヴィンチ論
筑摩叢書
1975
[26]
간행물
私の「本の世界」 中井久夫コレクション
ちくま学芸文庫
2013
[27]
서적
私の見るところ
筑摩叢書
1966
[28]
서적
ドガに就て
筑摩書房
1977
[29]
서적
ポオル・ヴァレリイ全集/ヴァレリー全集
筑摩書房
1942-1947, 1950-1951, 1967-1968, 1971, 1973-1974, 1977-1979
[30]
웹인용
5 MI 12/11 - Naissances 5 MI 12/11 - 1871
http://archives-pier[...]
2018-08-14
[31]
문서
현재의 철자법은 세트(Sète)이나 당대는 세트(Cette)로 표기했다.
[32]
문서
사이렌 만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