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나님의 속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나님의 속성은 기독교 신학에서 하나님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특성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속성은 크게 '공유적 속성'과 '비공유적 속성'으로 나뉘며, 하나님의 위대함과 선하심을 나타낸다. 주요 속성으로는 자존성, 영원성, 불변성, 무한성, 전지성, 편재성, 전능성이 있으며, 주권, 지식, 지혜, 선, 사랑, 거룩성, 공의, 진실성, 단순성, 내재성, 초월성, 삼위일체 등 다양한 측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속성들은 하나님의 본질과 그분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나님 - 독력주의
    독력주의는 기독교 신학에서 구원이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로만 이루어지며 인간의 의지나 협력이 필요 없다는 교리로서, 도르트 신조, 벨기에 신앙고백, 일치신조 등 다양한 신앙고백 표준에서 정의되고, 특히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통해 강조되며, 인간의 전적 타락과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선택을 강조하며, 루터교와 칼뱅주의를 포함한 일부 교파에서 옹호된다.
  • 하나님 - 성령론
    성령론은 기독교 신학에서 성령의 인격과 역사에 관해 연구하며, 성경에서 창조, 지도자 선택, 인간의 거듭남 등에 관여하는 성령에 대한 다양한 신학적 논의를 포함한다.
  • 성격 - 인격장애
    성격장애는 사고방식, 감정, 대인관계, 행동 양식의 지속적인 패턴이 사회적 기대에서 벗어나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고통이나 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를 말하며, 세계보건기구(WHO)의 ICD-11과 미국정신의학회(APA)의 DSM-5는 정의와 진단 기준을 제시하고, 정신치료(변증법적 행동치료, 정신화 기반 치료, 스키마 치료 등)가 중심적인 치료 방법이다.
  • 성격 - 5가지 성격 특성 요소
    5가지 성격 특성 요소는 인간의 성격을 설명하는 모델로, 경험에 대한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우호성, 신경성 등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며, 개인의 행동과 성향을 예측하는 데 활용되지만 비판도 존재한다.
  • 삼위일체 - 아타나시우스 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은 기독교의 주요 신조로, 삼위일체와 그리스도의 신인성을 강조하며, 전통적으로 아타나시우스의 저작으로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남부 골 지방에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서방 교회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영원한 저주"와 같은 구절로 논쟁을 일으키기도 한다.
  • 삼위일체 - 가톨릭 신학
    가톨릭 신학은 가톨릭교회의 교리와 신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설명하는 학문으로, 하느님과의 만남을 통해 드러나는 계시를 바탕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된 계시를 중심으로 하느님을 향한 인간의 갈망, 삼위일체, 성사, 구원론, 사후 세계 등을 다루며 현대 사회 문제에 대한 교회의 입장을 제시하고 다른 교파와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하나님의 속성
기독교에서 하나님의 속성
삼위일체 방패
기독교의 삼위일체 상징
개요
유형신학적 속성
특징완전성
초월성
내재성
불변성
무한성
영원성
전능성
전지성
편재성
거룩함
정의
사랑
진실
논쟁
관련된 논쟁하나님의 본질
삼위일체
예정설
자유 의지
악의 문제
주요 속성 (기독교적 관점)
완전성하나님은 모든 면에서 완벽하고 결함이 없다.
초월성하나님은 세상과 구별되며 그 위에 존재한다.
내재성하나님은 세상에 현존하며 활동하신다.
불변성하나님은 변하지 않는다.
무한성하나님은 제한이 없다.
영원성하나님은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전능성하나님은 모든 것을 할 수 있다.
전지성하나님은 모든 것을 안다.
편재성하나님은 어디에나 존재한다.
거룩함하나님은 죄가 없고 순수하다.
정의하나님은 공정하고 의롭다.
사랑하나님은 모든 사람을 사랑한다.
진실하나님은 진실하시고 거짓이 없다.
추가 정보
관련 주제하나님의 이름
신의 섭리
기독교 신학

2. 분류

많은 개혁주의 신학자는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공유적 속성'과 오직 하나님께만 속한 '비공유적 속성'을 구별한다.[1] 도널드 맥클라우드는 이런 구분이 인위적이며 잘못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2]

하나님의 속성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 그의 무한한 힘

# 그의 인격은 거룩이나 사랑 같은 속성을 가지고있다.

밀러드 J. 에릭슨은 이러한 범주를 각각 하나님의 위대함과 선하심이라고 부른다.[3] 싱클레어 퍼거슨은 "본질적인" 신적 속성을 "삼일성의 세 위격 사이에서 가장 강렬하고 역동적인 형태로 표현되고 경험된, 다른 어떤 것도 존재하지 않았던 때"로 구분한다. 이런 식으로 하나님의 진노는 "영원한 삼일성의 세 위격들 사이의 내적 친교에서 자리를 차지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질적인 속성이 아니다. 그러나 퍼거슨은 진노가 하나님의 영원한 의의 표현이며, 이는 본질적인 속성이라고 지적한다.[4]

2. 1. 아퀴나스

아퀴나스의 사상에서 바티스타 몬딘은 신이라는 실존적 존재의 실체적 속성과 인격적 속성을 구분한다.[5] 실체적 속성은 하느님 안에서 본질존재가 일치한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신에 관한 것이다. 무한성, 단순성, 불가분성, 유일성, 불변성, 영원성, 영성(즉, 물질의 부재)이 이에 해당한다.[5] 하나님의 인격적 속성은 생명(충만, 행복, 완전), 사유, 의지와 자유, 사랑과 우정이다. 하느님의 사유와 의지의 대상은, 말하자면, 하느님 자신, 즉 그분의 본질인데, 이는 그분이 최고의 선이자 모든 완전성의 완성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느님은 또한 인간 피조물들의 선을 위해 자신의 사유와 의지를 그들에게 향하신다.[5]

2. 2. 토저

토저는 하나님의 속성을 '완전'(perfection)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무한한 존재이신 하나님께서는 인간이 도저히 알 수 없는 속성들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토저는 거룩한 존재의 심연에는 인간이 알지 못하고, 스랍이나 그룹과 같은 존재들에게도 의미가 없을 수 있는 속성들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한다. 이들은 죄를 짓지 않아 하나님의 자비와 은혜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속성들을 마음으로 느낄 수 없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본질 중에는 피조물이나 천사들도 온전히 알 수 없는, 하나님만이 아는 숨겨진 면모가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2. 3.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한국 장로교의 신앙고백인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은 하나님의 속성을 "영이시며, 그의 존재하심과 지혜와 권능과 거룩심과 공의와 선하심과 진실하심이 무한하시고, 영원하시며, 변함이 없으신 분"으로 정의한다.[63][6] 웨스트민스터 대요리 문답은 "자족", "이해할 수 없음", "모든 곳에 현존함", "모든 것을 앎"과 같은 특정 속성을 추가하여 설명한다.[8][64]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기독교적이지 않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7][65]

3. 비공유적인 속성

3. 1. 자존성(Aseity)

하나님은 다른 피조된 존재의 도움이 필요없이 스스로 존재하며, 독립하며 자존하는 분이시다.[9] 이는 하나님의 존재 속성 중 하나로, 하나님은 존재하기 때문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은 자신의 생각(롬 11:33-34), 뜻(롬 9:19, 엡 1:5), 능력(시 115:3), 도모(시 33:10-11)를 위해 어떤 것이나 어떤 존재에게도 의존하지 않는다.

신의 자존성은 "하나님은 우리를 필요로 하지 않을 정도로 독립적이시다"라는 의미를 지닌다.[9] 이는 사도행전 17장 25절에 근거하며, 해당 구절은 하나님께서 "무엇이 부족한 것처럼 사람의 손으로 섬김을 받으시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10] 이는 종종 하나님의 '자기 존재'와 '자족성'과 관련된다.[10]

3. 2. 영원성

하나님의 영원성은 시간을 초월한 그의 존재에 관한 것이다. 하나님은 시간 속에 있지 않으며, 존재하지 않던 때가 없다.[66] 시편 90:2는 "산이 생기기 전, 주께서 땅과 세계를 창조하시기 전, 영원부터 영원까지 주는 하나님이십니다"라고 묘사한다.[11] 웨인 그루뎀은 하나님은 자신의 존재에 시작, 끝, 일련의 순간이 없으며, 모든 시간을 똑같이 생생하게 보시지만, 시간 속의 사건을 보고 시간 속에서 행동한다고 말한다.[11]

요한계시록에서는 그를 알파와 오메가라고 표현한다.[66] 이사야 44장 6절은 "이스라엘의 왕인 여호와, 이스라엘의 구원자인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나는 처음이요 나는 마지막이라 나 외에 다른 신이 없느니라"라고 말한다. 시편 102편 11절은 "내 날이 기울어지는 그림자 같고 내가 풀의 시들어짐 같으니이다"라고 묘사한다. 요한복음 8장 56절은 "너희 조상 아브라함은 나의 때 볼 것을 즐거워하다가 보고 기뻐하였느니라"라고 말하며, 57절은 "유대인들이 이르되 네가 아직 오십 세도 못되었는데 아브라함을 보았느냐"라고 묻는다.

하나님은 어제나 오늘이나 동일하신 분이시다. 하나님의 영원성은 그의 무한성의 한 측면으로 볼 수 있다.

3. 3. 불변성

하나님의 불변성은 하나님이 변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경 야고보서 1장 17절은 "변함도 없고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신 빛들의 아버지"를 언급한다.[17] 헤르만 바빙크는 성경이 하나님의 행동의 변화나 분노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이것은 하나님의 백성의 마음의 변화의 결과라고 언급한다(민수기 14장). "성경은 이 모든 다양한 관계와 경험 속에서 하나님은 항상 동일하게 머무른다고 증언한다."[18] 밀라드 에릭슨은 이 속성을 하나님의 ''불변성''이라고 부른다.[3]

하나님의 불변성은 열린 신학의 옹호자들에 의해 점점 더 비판받고 있으며,[19] 열린 신학은 하나님이 사람들의 기도, 결정, 행동을 통해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한다. 열린 신학의 주요 지지자로는 클라크 피녹, 토마스 제이 오어드, 존 E. 샌더스, 그레고리 보이드 등이 있다.

3. 4. 무한성

하나님은 그 본질과 뜻에 의해서만 얽매이며, 공간, 시간, 능력, 지식 등 모든 면에서 제한이 없다. "야훼는 영원한 하나님이시"라는 이사야의 언급과[31] "하늘과 하늘들의 하늘도 주를 담을 수 없"다는 솔로몬의 인정은 하나님의 무한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무한성은 하나님의 선함, 사랑, 능력 등 다른 모든 속성에도 적용된다.

하나님의 무한성과 수학적 무한 사이의 관계는 논의의 대상이었다. 게오르크 칸토어는 자신의 수학적 무한성 연구가 하나님의 무한성을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았으나, 하나님의 무한성은 다른 형태의 무한성을 초월하는 절대 무한이라고 주장했다.

3. 5. 전지성

하나님은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것을 알고 있으며, 가능한 모든 것까지도 알고 있다.[47] 이러한 하나님의 전지성은 그분의 신성과 인성, 그리고 편재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47] 성경 이사야 40장 12-14절과 요한일서 3장 20절은 하나님의 광대한 지식을 보여주는 구절이다.[47]

벌코프는 하나님의 ''지혜''를 "그분의 지식의 특정한 측면"으로 간주한다.[47]

한편, 전지성과 자유 의지의 양립 문제는 신학적 논쟁거리이다.[47] 전지하신 하나님은 미래에 대한 완전한 지식을 갖고 있으므로, 인간이 어떤 선택을 할지 이미 알고 있으며, 이는 인간의 자유 의지와 충돌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47]

3. 6. 편재성

하나님의 편재성은 하나님이 모든 곳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벌코프는 하나님의 ''무한성''과 그의 ''편재성''을 구별하며, 전자는 "하나님이 모든 공간을 초월하고 그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사실을 가리킨다"고 말하며, 그의 ''초월성''을 강조하는 반면, 후자는 하나님이 "그의 모든 존재로 공간의 모든 부분을 채운다"고 말하며, 그의 ''내재성''을 강조한다.[45]

위대한 신학자 스트롱(A. H. Strong)은 하나님의 속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하나님께서는 그분의 전체적인 본성에 있어 분산이나 팽창, 증식이나 분열없이 우주 구석구석을 관통하시고 채우신다”(「조직 신학」, p.279).

따라서 하나님의 편재(遍在)는 동일한 시간에 그분의 전(全) 존재로 도처에 임재하심을 나타낸다. 하나님의 이러한 속성을 올바로 이해함에 있어 피해야 할 중대한 위험은 신은 도처에 있으며 만물(萬物)이 곧 신이라고 말하는 범신론의 크나큰 잘못이다. 이것은 완전한 잘못이다. 하나님의 편재하심을 연구할 때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명심해야 한다.

  • 하나님의 내재성(內存性): 이 말은 하나님이 창조를 통해서, 그리고 창조 안에서 역사하시면서 세상에 계심을 뜻한다.
  • 하나님의 초월성 : 이 말은 하나님이 자신의 창조물 위에 그리고 그것을 넘어서 계심을 뜻한다.


시편 139편에서 다윗은 "내가 하늘에 올라갈지라도 거기 계시며, 내가 음부에 자리를 펼지라도 거기 계시니이다"라고 말한다(, NIV).[46]

3. 7. 전능성

하나님은 전능하며, 이는 "전능하신 하나님" (엘 샤다이)이라는 문구로 전달된다.[44] C. S. 루이스는 "하나님의 전능은 본질적으로 불가능한 것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가능한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라고 설명했다.[44] 예를 들어, 하나님은 자신이 들 수 없을 만큼 무거운 바위를 만들 수 없다. 왜냐하면 이 일은 본질적으로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어떤 일이 행해질 수 있고 그것이 자신의 본성에 어긋나지 않는다면 하나님은 능히 그 일을 하실 수 있다.

4. 공유적인 속성

4. 1. 주권

하나님의 주권은 하나님이 최고의 권위자이며, 모든 일들이 하나님의 통치하에 있다는 것을 성경적으로 가르치는 교리이다.[67][68] 하나님의 허락 없이는 아무 일도 일어날 수 없으며, 하나님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 모든 일을 행하신다. 주권은 하나님이 천지의 창조주로서 그가 원하는 것에 대한 행사의 절대적 권리와 권위를 가진다는 개념에 근거한 하나님의 속성이다.[69]

하나님의 주권 교리는 전능, 섭리, 왕권과 관련이 있으며, 동시에 그의 ''자유''를 포함하고 그의 선하심, 의로우심, 거룩함, 그리고 무죄함과 일치한다. 하나님은 모든 일을 다스리시며, 어떤 세력도 하나님의 뜻을 막을 수 없다. 칼뱅주의 작가 A. W. 핑크는 이사야/Isaiah영어 46:10을 인용하며, "아무에게도 종속되지 않고, 아무에게도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절대적으로 독립적이신 하나님은 그가 기뻐하시는 대로, 오직 그가 기뻐하시는 대로, 항상 그가 기뻐하시는 대로 행하신다"고 주장한다.[53]

4. 2. 지식

하나님의 전지성은 하나님이 "모든 것을 아는" 존재임을 의미한다.[47] 벌코프는 하나님의 ''지혜''를 "그분의 지식의 특정한 측면"으로 간주한다.[47]

자유 의지 논증은 전지성과 자유 의지가 양립할 수 없으며, 그 결과 하나님이 존재하지 않거나 이 두 가지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님에 대한 개념은 잘못되었다고 주장한다. 전지하신 하나님은 미래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그분이 어떤 선택을 할지 알고 있다. 하나님의 미래에 대한 지식은 완벽하기 때문에, 그분은 다른 선택을 할 수 없고 따라서 자유 의지가 없다. 또는 자유 의지를 가진 하나님은 미래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다른 선택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나님의 미래에 대한 지식은 불완전하거나 제한적이다.

4. 3. 지혜

4. 4. 선

하나님의 선이란 하나님은 모든 선의 최종 기준이 되시며 하나님 자체와 하나님이 행하시는 모든 것들은 선하신 것으로 인정받으시는 것을 의미한다.[71] 로마서 11장 22절은 "그러므로 하나님의 인자하심(Goodness)과 준엄하심을 보라"고 한다. 루이스 벌코프와 같은 많은 학자들은 하나님의 선을 친절, 사랑, 은혜, 자비 그리고 오래참으심과 같은 속성과 겹친다고 본다.[72] 하나님의 전적인 선을 전능한 은혜라고 불린다.

하나님의 선하심은 "하나님은 선의 최종적인 기준이며, 하나님이 존재하고 행하는 모든 것은 칭찬받을 만하다"는 것을 의미한다.[12] 많은 신학자들은 하나님의 선하심을 포괄적인 속성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루이스 벌코프는 이를 ''친절'', ''사랑'', ''은혜'', ''자비'' 및 ''오래 참음''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13] 하나님이 "모든 선"이라는 생각은 그의 전선성이라고 불린다.

모든 선하시고, 모든 것을 아시며, 전능하신 하나님에 대한 기독교적 개념의 비판자들은 세상에 악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 세 가지 속성이 모두 참일 수 없다는 증거로 제시한다. 이러한 명백한 모순은 악의 문제로 알려져 있다. 악한 하나님 도전은 하나님이 악할 수 있다는 가설이 선한 하나님과 대칭적인 결과를 갖는지, 그리고 하나님이 선할 가능성이 높은지, 악할 가능성이 높은지, 아니면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지를 탐구하는 사고 실험이다.

4. 5. 사랑

하나님의 사랑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다. 출애굽기 34장 5-6절에서 야훼 하나님은 자비와 은혜의 하나님이라고 선언한다.[70] D. A. 카슨은 "하나님의 사랑의 어려운 교리"에 대해 언급하면서, 이는 기독교인이 하나님의 사랑을 이야기할 때 주변 문화에서 의미하는 것과는 매우 다른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36] 그는 성부성자를 향한 사랑, 하나님이 창조하신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사랑, 타락한 세상에 대한 "구원의 입장", 예정된 자들을 향한 "특별하고 효능 있는, 선택적인 사랑", 그리고 순종에 따라 조건 지어진 사랑 등을 구별한다.

하나님의 사랑은 사회적 삼위일체 신학 학파에서 특히 강조된다. 케빈 비드웰은 위르겐 몰트만미로슬라브 볼프를 포함하는 이 학파가 "주권과 다른 모든 신성한 속성을 희생하여 의도적으로 자기 헌신적인 사랑과 자유를 옹호한다"고 주장한다.[37]

4. 6. 거룩성

하나님의 거룩하심은 그가 죄와 부패로부터 분리되어 있다는 것이다. R. C. 스프로울은 과 에서 "거룩하고 거룩하고 거룩하다"는 후렴구를 언급하면서, "성경에서 하나님의 속성이 세 번째로 언급된 것은 단 한 번뿐이다... 성경은 하나님이 사랑, 사랑, 사랑이라고 말하지 않으며, 자비, 자비, 자비, 또는 진노, 진노, 진노, 또는 정의, 정의, 정의라고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는 거룩하고, 거룩하고, 거룩하시며, 온 세상에 그의 영광이 충만하다고 말한다."라고 설명한다.[15]

4. 7. 공의

하나님의 정의는 그분의 거룩함, 공의, 또는 구원 활동을 가리킬 수 있다. 마르틴 루터는 이것이 하나님의 속성, 즉 그분의 분배적 정의를 의미한다고 믿으며 자랐다. 루터의 생각의 변화와 그 구절을 하나님이 신자에게 전가하는 정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한 것은 종교 개혁의 주요 요인이었다. 최근에는, N. T. 라이트와 같은 학자들이 이 구절이 결국 하나님의 속성을, 이번에는 그분의 언약적 신실함을 가리킨다고 주장해 왔다.

4. 8. 진실성

하나님의 진실성은 그분이 진실을 말함을 의미한다. 디도서 1장 2절은 "거짓말을 하지 않으시는 하나님"을 언급한다.[3]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하나님의 진실성은 종종 성경 무오설 교리의 기초로 여겨진다. 그레그 바흐센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오직 무오한 원본을 통해서만 우리는 진리의 하나님께 오류를 돌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원본의 오류는 하나님 자신에게 귀속될 것인데, 그분은 성경의 페이지에서 성경 저자들의 바로 그 말씀에 대한 책임을 지시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본의 오류는 관련된 필사자들의 전적인 책임이며, 이 경우 하나님의 진실성은 훼손되지 않는다.[60]


5. 기타 속성

5. 1. 단순성

하나님의 단순성은 하나님이 순수한 존재로 다른 어떤 것들로 혼합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통일성과 관련되어 있다.[73] 이 개념은 일반적으로 신의 존재가 신의 속성들과 동일하다고 보는 것이다. 편재, 선하심, 진리, 그리고 영원성과 같은 특징들은 하나님의 존재의 본질을 보여주지만, 존재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니며, 본질적으로 신 안에서 내재한 어떤 요소들이 아니다.[73] 달리 말하면 하나님은 본질과 존재가 하나이며 동일하다는 것이다. 즉, 하나님은 선하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은 선하시다고 말할 수 있다.[73]

이 교리의 다양성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철학적 신학자들에게서 발견되는데, 특히 스콜라주의 교리의 기원을 통해 고대 그리스 사상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단순성은 플로티노스의 아파테시스에서 발견된다.[74][75][76]

그리덤(Grudem)은 이것이 "단순하다"는 단어의 덜 일반적인 용법, 즉 "부분으로 구성되지 않음"이라고 언급한다. 그는 하나님의 "단일성의 통일성"(하나님이 한 분이신 하나님이라는 점에서)과 그의 "단순성의 통일성"을 구별한다.[52]

5. 2. 내재성

신의 내재성은 신이 세상 안에 존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의 초월성과 대조되지만, 기독교 신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이 두 속성이 모순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초월성은 지지하지만 내재성은 지지하지 않는 것은 자연신론이며, 내재성은 지지하지만 초월성은 지지하지 않는 것은 범신론이다. 웨인 그루뎀에 따르면, "성경의 신은 그의 창조물로부터 분리되어 무관심한 추상적인 신이 아니다".[16] 그루뎀은 계속해서 성경 전체가 "하나님의 창조 세계와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라고 말하며, In him we live and move and have our being영어, "우리가 그 안에서 살며, 움직이며, 존재한다" (사도행전 17:28)와 같은 구절을 강조한다.[16]

5. 3. 초월성

하나님의 초월성은 하나님이 시공간 밖에 존재하며, 따라서 영원하고 우주 내의 힘에 의해 변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56] 이는 하나님의 ''불변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하나님의 ''내재성''과 대조된다.

5. 4. 삼위일체

기독교의 삼위일체아버지, 아들, 성령이 한 분 안에 세 위격(또는 [https://en.m.wiktionary.org/wiki/triune 삼위일체])으로 존재한다는 교리이다.[57] 삼위일체 방패(Shield of the Triunity) 도표는 삼위일체 교리의 측면을 상징한다.

삼위일체 방패


삼위일체 교리는 성경의 여러 구절과 신약의 삼위일체 공식에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의 대위임령에는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라고 기록되어 있다. 킹 제임스 성경(KJV)의 요한일서 5장 7절에는 "...하늘에서 증언하시는 분이 세 분 계시니, 곧 아버지와 말씀과 성령이시라. 이 세 분은 하나이시다"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이 ''요한의 콤마''(Comma Johanneum)는 라틴어 오염으로 거의 보편적으로 거부된다.[58]

''쉐마 이스라엘(Shema Yisrael)''로 알려진 "이스라엘아, 들으라: 주 우리 하나님, 주는 한 분이시다"()라는 진술이 있다. 신약에서 예수는 에서 이 말씀을 인용함으로써 하나님의 단일성을 옹호한다. 사도 바울 역시 과 같은 구절에서 하나님의 단일성을 긍정한다.[59]

하나님의 단일성은 그의 ''단순성''과 관련이 있다.

참조

[1] 서적 The Doctrine of God The Banner of Truth Trust 1979
[2] 서적 Behold Your God Christian Focus Publications 1995
[3] 서적 Christian Theology Baker Books 1985
[4] 서적 Some Pastors and Teachers: Reflecting a Biblical Vision of What Every Minister is Called to Be Banner of Truth Trust 2017
[5] 서적 Ontologia e metafisica Edizioni Studio Domenicano
[6] 문서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7] 간행물 What is God? http://www.biblicalh[...] Biblical Horizons Newsletter
[8] 문서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9] 서적 The Gagging of God Zondervan 1996
[10] 웹사이트 The Eternality and Aseity of God https://www.thegospe[...] The Gospel Coalition 2022-06-26
[11] 서적 Systematic Theology
[12] 서적 Systematic Theology
[13] 서적 Systematic Theology
[14] 웹사이트 Middot, Shelosh-'Esreh http://jewishencyclo[...]
[15] 서적 The Holiness of God Scripture Press Foundation 1986
[16] 서적 Systematic Theology
[17] 웹사이트 The Immutability of God https://banneroftrut[...] Banner of Truth Trust 2022-06-26
[18] 서적 The Doctrine of God
[19] 서적 The Difficult Doctrine of the Love of God
[20] 서적 Divine Impassibility and the Mystery of Human Suffering Eerdmans 2009
[21] 서적 The Westminster Confession for the Church Today
[22] 서적 A New Systematic Theology of the Christian Faith Thomas Nelson 1998
[23] 서적 The Difficult Doctrine of the Love of God
[24] 서적 The Difficult Doctrine of the Love of God
[25] 서적 The Nature of God: An Inquiry Into Divine Attributes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1989
[26] 서적 Exploring The Attributes Of God https://books.google[...]
[27] 서적 None Greater: The Undomesticated Attributes of God https://books.google[...] Baker Books 2022-06-26
[28] 서적 Systematic Theology Banner of Truth 1949
[29] 서적 Reformed Systematic Theology, Volume 1: Revelation and God https://books.google[...] Crossway 2022-06-26
[30] 서적 A New Systematic Theology of the Christian Faith Thomas Nelson 1998
[31] 서적 Divine Attributes: Knowing the Covenantal God of Scripture https://books.google[...] Baker Books 2022-06-26
[32] 서적 Basic Theology: A Popular Systematic Guide to Understanding Biblical Truth https://books.google[...] Moody Publishers 2022-06-26
[33] 간행물 God and Mathematical Infinity http://www.asa3.org/[...] Perspectives on Science and Christian Faith 1998
[34] 서적 The Existence of God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1
[35] 서적 Knowing God
[36] 서적 The Difficult Doctrine of the Love of God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37] 간행물 Losing the Dance: is the 'divine dance' a good explanation of the Trinity? Evangelical Press
[38] 서적 Transforming Mission Orbis Books
[39] 서적 The Mission of God: Unlocking the Bible's Grand Narrative https://books.google[...]
[40] 서적 The Mystery of God: Karl Barth and the Postmodern Foundations of Theology Westminster John Knox
[41] 간행물 Reflections on Methodology in Theology Darton, Longman & Todd Ltd.
[42] 웹사이트 A Consideration Concerning Theodicy http://www.berdyaev.[...] 1927
[43] 서적 Models and Mystery
[44] 서적 The Problem of Pain Fontana
[45] 서적 Systematic Theology Banner of Truth
[46] 웹사이트 Psalm 139 — A Magnificent Portrait of God https://www.christia[...] Christian Courier 2022-06-26
[47] 서적 Systematic Theology Banner of Truth
[48] 웹사이트 Divine Attributes: Providence http://www3.nd.edu/~[...] University of Notre Dame 2013-02-17
[49] 서적 God as Creator in Acts 17:24: An Historical-Exegetical Stud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2017
[50] 백과사전 Providence http://www.encyclope[...]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51] 서적 What St Paul Really Said https://books.google[...] Lion Books
[52] 서적 Systematic Theology
[53] 웹사이트 The Sovereignty Of God http://www.pbministr[...]
[54] 웹사이트 Why Keep Praying? http://www.faithgate[...] 2019-01-21
[55] 웹사이트 Prayer and Its Place in God's Sovereign Plan http://www.focusonth[...] 2019-01-22
[56] 서적 God Transcendent Banner of Truth publishers
[57] 서적 Understanding the Trinity
[58] 서적 1, 2, and 3 John https://books.google[...]
[59] 서적 The IVP Women's Bible Commentary https://books.google[...]
[60] 웹사이트 The Inerrancy of the Autographa http://www.cmfnow.co[...]
[61] 서적 The Doctrine of God The Banner of Truth Trust
[62] 서적 Behold Your God Christian Focus Publications
[63] 문서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64] 문서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65] 간행물 What is God? http://www.biblicalh[...]
[66] 서적 Systematic Theology
[67] 웹인용 Sovereignty of God http://www.theopedia[...] 2017-07-07
[68] 웹인용 SOVEREIGNTY OF GOD – Holman Bible Dictionary http://www.studyligh[...] Studylight.org 2018-04-19
[69] 웹인용 Sovereignty of God http://www.christian[...] ChristianAnswers.net 2017-05-07
[70] 백과사전 Middot, Shelosh-'Esreh http://jewishencyclo[...] Jewish Encyclopedia
[71] 서적 Systematic Theology
[72] 서적 Systematic Theology
[73] 서적 Our idea of God : an introduction to philosophical theology Regent College Pub.
[74] 간행물 Plotinus's metaphysics of the One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Plotinus http://www.sacred-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 웹사이트 Plotinus, Fifth Ennead, Fourth Tractate, Section 1 (MacKenna's translation, Sacred Texts) http://www.sacred-te[...]
[76] 웹사이트 Plotinus, Second Ennead, Ninth Tractate, Section 1 (MacKenna's translation, Sacred Texts). http://www.sacred-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