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르크 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부르크 항은 1189년 설립된 독일 함부르크에 위치한 항구로, 함부르크의 역사와 함께 해상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한자 동맹 시대에는 뤼벡에 이어 두 번째로 중요한 항구였으며, 대서양 무역의 부상으로 독일 주요 항구로 성장했다. 19세기에는 세계 최대의 커피, 코코아, 향료, 융단 취급 항구가 되었고, 자유 항 설립과 슈파이허슈타트 건설을 통해 입지를 강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으나, 재건 후 유럽의 주요 물류 중심지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현재는 다양한 컨테이너 터미널, 다목적 및 벌크 화물 터미널, 크루즈 터미널을 갖추고 있으며, 매년 항구 생일 축제가 열리는 등 문화적 명소로도 기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부르크의 교통 - 하파크로이트
하파크로이트는 함부르크 아메리카 라인과 노르트도이처 로이드의 합병으로 1970년 탄생한 독일 해운 회사로, 대서양 횡단 여객 운송으로 시작해 컨테이너 운송 사업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세계적인 컨테이너 운송 선사이자 THE Alliance의 주요 회원사이다. - 엘베강 - 킬 운하
킬 운하는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를 가로지르며 북해와 발트해를 연결하는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인공 수로 중 하나로, 과거 "빌헬름 황제 운하"로 불렸으며 현재 독일의 행정하에 관리되고 있다. - 엘베강 - 2013년 유럽 홍수
2013년 유럽 홍수는 기록적인 강수량과 저기압 시스템의 영향으로 2013년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중부 유럽에서 발생한 대규모 홍수로, 특히 다뉴브강과 엘베강 유역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여 인명 피해와 유럽 연합 연대 기금 발동 등의 대응을 야기했다.
함부르크 항 | |
---|---|
개요 | |
국가 | 독일 |
위치 | 함부르크 |
개항 | 1189년 5월 7일 프리드리히 1세에 의해 개항 |
운영 | 함부르크 항만청 함부르크 하펜 운트 로지스틱 AG (HHLA) |
소유 | 함부르크 항만청 |
유형 | 개방 조류 항구 |
면적 (수역) | 43.31 제곱킬로미터 |
면적 (육지) | 73.99 제곱킬로미터 |
선석 | 알 수 없음 |
부두 | 알 수 없음 |
교각 | 알 수 없음 |
직원 수 | 10,000명 (2004년) |
통계 (2013년) | |
입항 선박 수 | 9,681척 |
통계 (2014년) | |
화물 처리량 | 1억 4570만 톤 |
컨테이너 처리량 | 973만 TEU |
여객 수 | 589,000명 |
재정 (2018년) | |
수익 | 12억 9천만 유로 |
이익 | 알 수 없음 |
주요 교역 품목 | |
기타 정보 | |
별칭 | de(세계로 가는 문) |
웹사이트 | 함부르크 항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함부르크 항의 역사는 함부르크 시의 역사만큼이나 길다. 1189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가 엘베강 하구의 전략적 요충지에 항구를 세우고 무역 특권을 부여하면서 함부르크는 무역 도시로 빠르게 성장하는 기반을 마련했다.[8]
중세 한자 동맹 시대에는 뤼벡과 함께 북해 연안의 중요한 해상 무역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아메리카 대륙 발견 이후 대서양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함부르크는 독일의 다른 항구들을 제치고 유럽의 주요 무역항으로 부상했다.
19세기 후반, 세계 무역의 팽창과 함께 함부르크는 중앙 유럽의 핵심적인 여객 및 화물 운송 거점으로 자리 잡았다. 이 시기 늘어나는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해 대규모 창고 지구인 슈파이허슈타트가 건설되었고, 통관 절차 없이 상품을 보관하고 운송할 수 있는 자유 항(Freihafen)이 설치되어 항구의 경쟁력을 높였다.[8] 1895년 킬 운하 개통은 발트해로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항구의 중요성을 더욱 키웠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항구는 큰 피해를 보았고, 특히 연합군의 함부르크 공습으로 인해 심각하게 파괴되었다. 전후 복구 과정을 거쳤으나, 냉전 시기 독일 분단으로 인해 배후지의 상당 부분을 잃고 침체기를 겪기도 했다.
1989년 혁명과 독일 재통일, 그리고 유럽 연합 확대 이후, 함부르크 항은 다시 활기를 되찾아 유럽의 주요 물류 중심지이자 세계적인 항만으로 재도약했다. 오늘날에도 국제적인 물류 허브로서의 역할을 이어가고 있으며, 시대 변화에 맞춰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9][10][11][22]
2. 1. 설립과 한자 동맹 시대
함부르크 항은 함부르크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1189년 5월 7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에 의해 엘베강 어귀 근처의 전략적 요충지에 설립되었다.[8] 프리드리히 1세는 함부르크에 엘베강에서의 관세 징수 특권을 부여하였으며, 이는 함부르크가 무역의 선도적인 도시로 발전하고 부유한 부르주아 계급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이어진 한자 동맹 시대 동안 함부르크는 해상 무역의 중심지로서, 항구 도시 뤼벡에 이어 두 번째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특히 북해 연안 항구 중에서는 가장 중요한 곳으로 여겨졌으며, 곡물, 직물, 모피, 청어, 향료, 목재, 금속 등 다양한 상품의 적환지 역할을 수행하며 발전을 이루었다.[8]
2. 2. 대서양 무역과 성장
아메리카 대륙 발견과 대서양 횡단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함부르크는 다른 독일 항구들을 능가하는 중요한 항구로 부상했다. 16세기 중반 이후에는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무역항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19세기 후반, 세계 무역이 급격히 팽창함에 따라 함부르크는 중앙 유럽의 대서양 횡단 여객 및 화물 운송의 핵심 거점이 되었다. 1871년부터는 독일의 주요 무역항으로 기능했으며, 당시 함부르크 아메리카 라인은 세계에서 가장 큰 해운 회사였다.
늘어나는 물동량과 원양선 운항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항만 시설 확충이 이루어졌다. 1881년부터 1888년까지 대규모 창고 지구가 건설되었고, 이후 수십 년간 항구는 엘베강 반대편으로 확장되었다. 특히 1880년대에는 오늘날 함부르크의 건축적 상징 중 하나인 ''슈파이허슈타트''가 건설되었다. 이곳은 강 북쪽 기슭에 위치한 350000m2 규모의 창고 구역으로, 증가하는 상품 보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어졌다.
1888년 10월 15일에는 자유 항(Freihafen)이 설립되어 상인들이 통관 절차 없이 상품을 운송하고 보관할 수 있게 되면서, 함부르크의 해상 무역 경쟁력은 더욱 강화되었다.[8] 이를 통해 함부르크는 세계 최대의 커피, 코코아, 향료, 융단 취급 항구로 발전했다. 또한 1895년 킬 운하가 개통되면서 발트해로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어 항구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2. 3. 자유 항과 슈파이허슈타트
1888년 10월 15일에 설립된 자유 항(Freihafende)은 상인들이 통관 절차 없이 상품을 운송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함부르크가 주변 국가와의 해상 무역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이 자유 항은 2013년 1월 1일에 영구적으로 폐쇄되었다.[8] 체코 공화국과 관련된 유사한 시설로는 몰다우하펜이 있다.오늘날 함부르크의 건축적 상징 중 하나인 슈파이허슈타트는 강 북쪽 기슭에 위치한 350000m2 규모의 대형 부두 구역이다. 이곳은 자유 항의 일부로서 1880년대에 건설되었으며, 항구에 보관되는 상품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수용하기 위해 지어졌다.
2. 4.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냉전
함부르크 조선소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두 번이나 선단을 잃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함부르크 항은 함부르크 아메리카 라인의 핵심 목적지였으며, 나치 독일의 전쟁 물자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시기 함부르크 아메리카 라인은 미국과의 연결을 통해 나치당이 석유와 철강을 수입하고 제조 상품을 수출하는 것을 도왔다.[8]전쟁 중 연합군의 함부르크 공습으로 함부르크 항은 완전히 파괴되었다. 전후 함부르크는 영국 점령 지구, 브레머하펜은 미국 점령 지구로 지정되었다. 이러한 분할은 항구의 운영에도 영향을 미쳐, 함부르크 항은 주로 아시아 및 아프리카 항로에, 브레머하펜은 북미 및 남미 항로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다.
1945년부터 1990년까지 이어진 독일 분단 기간 동안 함부르크 항은 배후지의 상당 부분을 상실했으며, 이는 많은 무역 연결의 손실로 이어졌다.
2. 5. 통일 이후와 현재
1945년부터 1990년까지 독일 분단 기간 동안 함부르크 항은 배후지의 상당 부분을 잃었고, 그 결과 많은 무역 연결이 끊어졌다. 그러나 독일 재통일, 1989년 혁명으로 인한 철의 장막 붕괴 및 유럽 연합 확대를 거치면서 함부르크는 유럽의 주요 물류 중심지 중 하나이자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번잡한 해상 항구 중 하나로서의 입지를 다졌다.2020년대 들어 중국으로부터의 화물 수입량이 증가하면서, 중국 국영 기업인 중국원양해운그룹(COSCO Shipping)이 함부르크 항의 트렐로 컨테이너 터미널(CTT) 지분 참여를 추진했다.[21] 독일 정부 내부에서는 중국이 국가 중요 기반 시설에 관여하는 것에 대한 강한 우려와 신중론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이미 중국이 유럽의 여러 항만에 독자적인 거점을 확보하고 있는 상황 등을 고려하여, 2022년 독일 정부는 COSCO의 출자 비율을 25% 미만으로 제한하고, 인사 등 주요 경영 결정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지분 참여를 허가했다.[9][10][11][22]
한편, 함부르크 항은 대규모 마약 밀수 사건으로 주목받기도 했다. 2021년, 함부르크 항 세관은 파라과이에서 온 해상 컨테이너에서 16ton의 코카인을 적발했는데, 이는 당시 유럽 최대 규모의 마약 밀수 사건이었다.[23] 이 기록은 2023년에 다시 경신되었다. 함부르크 항과 네덜란드의 로테르담 항 등지에서 총 35.5ton의 코카인이 압수되었으며, 이는 시가 약 26억유로에 달하는 규모였다.[24]
3. 터미널
함부르크 항은 다양한 종류의 화물과 여객을 처리하기 위한 여러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컨테이너선을 위한 대규모 컨테이너 터미널들이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화물을 취급하는 다목적 터미널, 석유 제품과 같은 액체 화물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터미널, 곡물이나 광석 등 포장되지 않은 벌크 화물을 처리하는 터미널이 있다. 또한, 증가하는 크루즈 여행 수요에 맞춰 현대적인 시설을 갖춘 여객 터미널도 운영 중이다.
3. 1. 컨테이너 터미널
함부르크 항의 주요 컨테이너 터미널은 다음과 같다.
터미널 | 운영사 | 선석 수 | 안벽 길이 | 수심 | 안벽 크레인 수 | 면적 (ha) | 연간 처리 능력 (kTEU) | 주요 이용 선사 |
---|---|---|---|---|---|---|---|---|
유로게이트 컨테이너 터미널 함부르크 (CTH) | 유로게이트 | 6 | 2050m | 16.7m | 21 | 140ha | 2,900 [15] | 머스크, 한진해운, 양밍 해운, MSC |
알텐베르더 컨테이너 터미널 (CTA) | 함부르크 항만 물류회사 | 4 | 1400m | 16.7m | 26 | 110ha | > 3,000 [16] | Grand Alliance (하팍로이드, 일본우선, OOCL) |
부르차르트카이 컨테이너 터미널 (CTB) | HHLA | 10 | 2850m | 16.5m | 22 | 140ha | 5,200 [17] | COSCO, 에버그린 해운, MISC, CMA CGM, Senator Lines |
톨레르토 컨테이너 터미널 (CTT) | HHLA | 4 | 1240m | 15.2m | 12 | 40ha | 950 [18] | K라인, MSC, 양밍 해운 |
3. 2. 기타 터미널
wikitext항만 | 운영사 | 화물 종류 | 선석 수 | 안벽 길이 | 안벽 크레인 수 | 면적 | 처리능력 |
---|---|---|---|---|---|---|---|
부스 한자 터미널 | 다목적 | 840m | 9 | 30ha | |||
부스 로스 터미널 | 다목적 | 230m | 1 | ||||
레누스 미드가르트 함부르크 | 레누스 미드가르트 함부르크 GmbH | 다목적 | 3 | 500m | 2 | ||
G.T.H. 곡물 터미널 함부르크 | Getreide AG | 벌크 화물 | 1 | 270m | |||
칼리 | K+S Transport GmbH | 벌크 화물 | |||||
루이스 하겔 | 루이스 하겔 GmbH & Co. KG | 벌크 화물 | 2 | 300m | 1 | ||
슈타인베크 | 벌크 화물 | 1150m | 4 | 250 | |||
부스 한자 터미널 | 액체 화물 | 840m | |||||
엘베 미네랄외르케 | 로열 더치 쉘(Royal Dutch Shell) | 액체 화물 | 8/선박 | ||||
보팍 터미널 함부르크 | 보팍(Vopak) | 액체 화물 | 840m | 9 | 720k, 5,000 | ||
함부르크 크루즈 센터 알토나 | 여객 | 1 | 326m | ||||
함부르크 크루즈 센터 하펜시티 | 여객 | 2 | 345m | ||||
함부르크 크루즈 센터 슈타인베르더 | 여객 | 1 | 330m |
3. 3. 크루즈 터미널
함부르크는 주요 크루즈 목적지이며, 대서양, 노르웨이해 및 발트해를 여행하는 크루즈 승객을 위한 유럽의 주요 기항지 중 하나이다.함부르크에는 크루즈 선박을 위한 세 개의 여객 터미널이 있다.
- 함부르크 크루즈 센터 하펜시티
- 함부르크 크루즈 센터 알토나
- 함부르크 크루즈 센터 슈타인베르더
이 세 터미널 모두 세계 최대 규모의 크루즈 선박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4. 접근성 및 관리
대형 선박의 운항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엘베강의 수심을 더 깊게 하는 계획은 생태학적인 문제로 인해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2001년 정부 교체 이후, 함부르크는 니더작센주 및 브레멘과 협력하여 빌헬름스하펜의 깊은 바다인 야데부젠에 새로운 컨테이너 항만(JadeWeserPort)을 건설하려던 공동 계획에서 철수하였다.
함부르크 항은 함부르크 항만청(Hamburg Port Authority)에 의해 관리된다.[12] 함부르크 항만청은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13] 일례로 2016년 11월, 함부르크 항만청은 1600만유로 예산 규모의 현대적인 소방정을 주문하기도 했다.[14]
5. 문화
함부르크 항은 산업과 물류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현대 문화와 항구 역사를 배경으로 하는 도시의 주요 명소 중 하나이다. 항구 지역에는 여러 척의 박물관 선박, 뮤지컬 극장, 바, 레스토랑, 호텔 등이 자리 잡고 있으며, 심지어 물 위에 떠 있는 Flussschifferkirche|플루스쉬퍼키르헤de(뱃사공 교회)도 찾아볼 수 있다.[19]
매년 5월 첫째 주말에 열리는 항구 생일 축제인 하펜게부르츠탁(Hafengeburtstag|하펜게부르츠탁de)은 함부르크에서 가장 큰 대중 행사 중 하나로 꼽힌다. 이 축제를 경험하기 위해 독일 국내외에서 많은 방문객이 찾아온다. 축제 기간에는 예인선들이 "발레" 공연을 펼치고, 오래된 갤리선과 최신 크루즈선이 일반에 공개되어 둘러볼 수 있으며, 밤에는 화려한 불꽃놀이가 펼쳐진다.
항구에서 보트 투어를 진행하는 가이드들은 때때로 he lücht(he lücht|헤 뤼히트nds, 저지 독일어로 "그는 거짓말하고 있다"는 뜻)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는 과거 부두 노동자들이 관광객들에게 들려주는 과장된 이야기를 엿듣고 외치던 말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참조
[1]
웹사이트
Welcome to the Port of Hamburg
http://www.hafen-ham[...]
[2]
웹사이트
Welcome to the Port of Hamburg
http://www.hafen-ham[...]
[3]
간행물
Anzahl der Kreuzfahrtpassagiere im Hamburger Hafen in den Jahren 2000 bis 2015
http://de.statista.c[...]
Statistisches Bundesamt
2016
[4]
뉴스
Als Hamburg das "Tor zur Welt" wurde
https://www.welt.de/[...]
2020-07-25
[5]
웹사이트
Größte Seehäfen Deutschlands - Güterversand bis 2019
https://de.statista.[...]
2020-07-25
[6]
웹사이트
Welcome to the Port of Hamburg
http://www.hafen-ham[...]
[7]
웹사이트
Seezollhafen Hamburg: The dissolution of Freihafen Hamburg
https://www.owlaw.co[...]
2020-07-25
[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Freihafen, by NDR
https://www.ndr.de/g[...]
[9]
웹사이트
Scholz criticized over China's Cosco bid in Hamburg port – DW – 10/20/2022
https://www.dw.com/e[...]
[10]
웹사이트
Germany agrees to controversial sale of Hamburg port terminal
https://www.euronews[...]
2022-10-26
[11]
웹사이트
COSCO buys 24.9% stake in Hamburg terminal
https://www.chinadai[...]
[12]
웹사이트
Hamburg Port Authority
https://www.hafen-ha[...]
Government of Hamburg
2016-11-03
[13]
뉴스
Hamburg Port Authority
http://www.bpoports.[...]
Baltic Port Organization
2016-11-03
[14]
뉴스
Super fire-fighting boat for Hamburg
http://www.maritimej[...]
Maritime Journal
2016-11-03
[15]
웹사이트
Hafen Hamburg - Container Terminals in the Port of Hamburg
http://www.hafen-ham[...]
2008-11-02
[16]
웹사이트
HHLA Hamburger Hafen und Logistik AG: Technical Data
http://www.hhla.de/T[...]
2008-11-02
[17]
웹사이트
HHLA Hamburger Hafen und Logistik AG: TECHNICAL DATA
http://www.hhla.de/T[...]
2008-11-02
[18]
웹사이트
HHLA Hamburger Hafen und Logistik AG: Technische Daten
http://hhla.de/de/co[...]
[19]
웹사이트
Die ev.-luth. Flussschifferkirche zu Hamburg
http://www.flussschi[...]
[20]
웹사이트
China’s megaports strengthen grip on box trade
https://www.lloydslo[...]
Lloyd's Loading List
2021-02-23
[21]
웹사이트
ドイツの「コンテナ港」運営権を中国企業が買収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22-10-28
[22]
웹사이트
ショルツ政権、独ハンブルク港への中国出資を容認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10-28
[23]
웹사이트
ドイツとベルギーの港で23トンの密輸コカイン発見 欧州最多を記録
https://www.bbc.com/[...]
BCC
2024-06-18
[24]
웹사이트
ドイツなどでコカイン35トン押収 4000億円相当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4-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