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허수 단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수 단위 i는 제곱하면 -1이 되는 수로 정의되며, 이차 방정식 x² + 1 = 0의 근 중 하나이다. 허수 단위는 실수가 아니며, 실수와 함께 복소수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i의 거듭제곱은 순환하며, 오일러 공식을 통해 삼각 함수와 지수 함수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허수 단위는 16세기에 3차 방정식 풀이 과정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복소수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데카르트 좌표계, 행렬 등)이 사용된다. 복소수를 일반화한 수 체계에서도 허수 단위의 개념이 사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복소수 - 아이젠슈타인 정수
    아이젠슈타인 정수는 1의 원시 세제곱근 ω를 사용하여 a + bω 꼴로 나타낼 수 있는 대수적 정수이며, 유클리드 정역을 이루어 유일 소인수분해를 갖는다.
  • 복소수 - 복소평면
    복소평면은 복소수의 실수부를 x좌표, 허수부를 y좌표로 하여 복소수를 직교 좌표계 평면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복소수의 연산을 기하학적으로 이해하고 복소해석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극좌표를 통해 복소수의 절댓값과 편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 대수적 수 - 황금비
    황금비는 전체 길이와 긴 부분의 길이의 비가 긴 부분과 짧은 부분의 길이의 비와 같아지는 약 1.618의 비율로, 기하학, 예술,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수학 상수이다.
  • 대수적 수 - 1의 거듭제곱근
    1의 n제곱근은 n제곱이 1이 되는 복소수이며, 삼각함수, 지수 함수, 원분 다항식 등을 통해 표현되고, 곱셈에 대해 순환군을 이루며 푸리에 해석과 관련된다.
  • 수학 상수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수학 상수 -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gamma는 조화급수와 자연로그 함수의 차이의 극한으로 정의되는 수학 상수로, 감마 함수, 리만 제타 함수 등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관련되어 있으며 유리수인지 무리수인지 밝혀지지 않은 미해결 문제이다.
허수 단위
수학적 정의
정의실수부를 0으로 하는 복소수
기호i 또는 j
성질i² = -1
대수적 성질
방정식x² + 1 = 0 의 해
제곱근-1의 제곱근
물리적 의미
전기공학교류 회로 계산에서 위상 표현에 사용
역사
기원16세기 제롬 카르다노의 연구
표기법레온하르트 오일러가 i로 표기 (1777년)
성질
주기성i⁴ = 1
관계식e^(iπ) + 1 = 0 (오일러의 공식)
표현
순서쌍(0, 1)
극좌표크기 1, 각도 90°
주의사항
-i-1의 또 다른 제곱근
복소해석학i와 -i를 구별하지 않음

2. 정의

허수 i는 제곱해서 -1이 되는 수로 정의한다. 즉,

:i^{2}=-1 또는 i= \sqrt{-1}

이다.

i-i 모두 -1의 제곱근이다. 그러나 순서체실수에서만 정의되기 때문에 양수를 찾을수 없다.

i를 미지수로 여기고, i^2이 나타나면 -1로 바꾸는 것을 통해 실수의 연산을 허수와 복소수로 확장할 수 있다. i의 거듭제곱은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다.

:i^{3}=i^{2}i = (-1) i = -i

:i^{4}=i^{3}i = (-i) i = -(i^2) = -(-1) = 1

:i^{5}=i^{4}i = (1) i = i

또한, 임의의 0이 아닌 실수처럼 다음이 성립한다.

:i^{0}=i^{1-1} = i^1 i^{-1} = i^1 \frac{1}{i} = i \frac{1}{i} = \frac{i}{i} = 1

허수 단위 i의 거듭제곱은 순환한다.
\ \vdots
\ i^{-4} = \phantom-1\phantom{i}
\ i^{-3} = \phantom-i\phantom1
\ i^{-2} = -1\phantom{i}
\ i^{-1} = -i\phantom1
\ \ i^{0}\ = \phantom-1\phantom{i}
\ \ i^{1}\ = \phantom-i\phantom1
\ \ i^{2}\ = -1\phantom{i}
\ \ i^{3}\ = -i\phantom1
\ \ i^{4}\ = \phantom-1\phantom{i}
\ \ i^{5}\ = \phantom-i\phantom1
\ \ i^{6}\ = -1\phantom{i}
\ \ i^{7}\ = -i\phantom1
\ \vdots



복소수 i직교 형식으로 나타내면 0+i로, 허수 성분은 1, 실수 성분은 0이다. 극 형식으로 i를 나타내면 1 e^{i \pi /2}이다. 즉, 절대값이 1이고 편각{\pi}/{2}이다. 복소 평면에서 i는 원점으로부터 허수 축을 따라 1 단위 위치에 있는 점이다.

허수 단위 i이차 방정식 x^2 + 1 = 0의 근 중 하나이다.

:i^2 =-1

이차 방정식 x^2 + 1 = 0의 해는 (x + i)(x - i) = 0이므로 x = ±i이다. 따라서 허수 단위의 값을 지정하는 것은 서로 반수인 두 값의 차이일 뿐이다.

허수 단위 i는 의 제곱근 중 하나이며, 1의 원시 4승근이기도 하다.

허수 단위 i는 실수가 아니다. 실수 단위 1, 허수 단위 i실수 위에서 일차 독립이다.

이외의 음수의 제곱근의 값은 허수 단위 i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지정한다.

:a > 0에 대해서, '''\sqrt{a}i'''

실수 체에 허수 단위 i를 추가하여 얻는 확대체원소를 '''복소수'''라고 한다. 특히 실수가 아닌 복소수를 '''허수'''라고 한다.

허수 단위 i의 도입은, 실계수 삼차 방정식이 서로 다른 3개의 실수해를 가질 경우, 계수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과 실 멱근으로는 해를 나타낼 수 없고(귀약 불가능), 음수의 제곱근을 취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된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2. 1. i와 -i

이차 방정식 x^{2}=-1은 중근을 갖지 않고 서로 다른 두 근을 갖는다.[5] 이 두 근은 덧셈곱셈 역원의 관계를 갖는다.[5] 두 수는 각각 서로 다른 수의 음수이지만, 대수적으로 구별할 수 없다.[5] 즉, 한 해가 가지는 성질을 다른 해가 가지지 않는 경우는 없다.[5] 이 두 해 중 하나는 +i (또는 간단히 i)로 표기하고, 다른 하나는 -i로 표기하지만, 어느 것이 어느 것인지는 본질적으로 모호하다.

+i-i의 유일한 차이점은 표기법에서 비롯된다.[5] 예를 들어, 관례적으로 +i는 편각이 +\tfrac\pi2이고, -i는 편각이 -\tfrac\pi2라고 한다. 이는 양의 x축을 기준으로 직교 좌표계의 방향을 표기하는 관례와 관련이 있으며, 양의 각도는 양의 y축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5]

복소 체는 실수의 확장으로서 일의적이지만, 유일한 동형사상까지는 일의적이지 않다.[5] 즉, 각 실수를 고정하는 복소수 \C의 두 개의 체 자동 동형사상이 있는데, 그것은 항등 사상과 복소 공액이다.[5]

3. 성질

허수 단위 i의 거듭제곱은 다음 패턴으로 표현되는 순환을 이룬다.

:i4n = 1

:i4n+1 = i

:i4n+2 = -1

:i4n+3 = -i (n은 정수)

따라서 곱셈에 대해 i는 크기가 4인 순환군의 생성원이며, 곱셈에 대한 단위 복소수의 연속적인 원군의 이산 부분군이다.

정수 n에 대한 오일러의 공식의 특수한 경우로 in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in = exp(½πi)n = exp(½nπi) = cos(½nπ) + isin(½nπ)

복소평면에서 i의 두 제곱근


0이 아닌 모든 복소수와 마찬가지로, i = eπi/2는 서로 덧셈의 역원인 두 개의 서로 다른 제곱근을 갖는다. 극형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11]

:\sqrt{i} = exp(½(πi))1/2 = exp(¼πi)

:-√i = exp(¼πi-πi) = exp(-¾πi)

직교좌표 형태로는 다음과 같다.[11]

:\sqrt{i} = (1 + i)/√2 = √2/2 + √2/2i

:-√i = -(1 + i)/√2 = -√2/2 - √2/2i

복소평면에서 i의 세제곱근


i의 세 세제곱근은 다음과 같다.[12]

:\sqrt[3]i = exp(⅙πi) = √3/2 + ½i, exp(5/6πi) = -√3/2 + ½i, exp(-½πi) = -i

일반적인 양의 정수 n에 대해, i의 n제곱근은 k = 0, 1, ..., n − 1에 대해 다음과 같다.

:exp(2πi(k+¼)/n) = cos((4k+1)/2nπ) + isin((4k+1)/2nπ)

4. 오일러 공식

오일러 공식은 허수 단위를 포함한 지수 함수삼각 함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다음과 같다.[13]

:e^{i\theta} = \cos(\theta) + i\sin(\theta)

그로부터 다음과 같은 공식도 얻을 수 있다.

:x^{i\theta} = \cos({\theta \ln x}) + i\sin({\theta \ln x})

:\sqrt[i\theta]{x} = x^ = \cos() - i\sin()

복소지수함수는 정의역에서의 복소수 덧셈을 공역에서의 복소수 곱셈으로 연결하며, 허수 방향에서 주기가 2πi인 주기함수이다. 복소지수함수는 짝함수와 홀함수 성분인 쌍곡선 함수 또는 삼각함수로 분해될 수 있다.

\exp z = \cosh z + \sinh z = \cos(-iz) + i\sin(-iz)

복소지수함수를 기반으로 하는 다른 함수들은 허수 입력값으로도 잘 정의된다. 예를 들어, n i 제곱으로 올린 수는 다음과 같다.

x^{n i} = \cos(n\ln x) + i \sin(n\ln x ).

지수함수는 주기적이기 때문에, 그 역함수인 복소 로그는 다가함수이며, 정의역의 각 복소수는 공역의 여러 값에 대응하며, 서로 2πi의 정수 배만큼 떨어져 있다.[15]

5. i의 i제곱

오일러 공식[20]

:e^{i\theta}=\cos(\theta)+i \sin(\theta)

\theta=\frac{\pi}{2}+2\pi n (여기서 n은 정수)를 대입하면

:e^{i(\frac{\pi}{2}+2\pi n)}=\cos(\frac{\pi}{2}+2\pi n))+i\sin(\frac{\pi}{2}+2\pi n))=0+1i=i

이 된다. 이제 양변에 i제곱을 취하면 지수법칙에 의해

:i^i=e^{i\cdot i(\frac{\pi}{2}+2\pi n))}

이라고 할 수 있다.(복소수에서 지수법칙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엄밀한 논증을 거쳐야 하지만, 이곳에서는 그냥 넘어가기로 한다.)

정의에 의해 i\cdot i=-1이므로,

:i^i=e^{-\frac{\pi}{2}-2\pi n}

을 얻는다.

여기에 주 분지n=0을 대입한다면, i^i의 수치적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i^i=e^{-\frac{\pi}{2}}=\frac{1}{\sqrt{e^{\pi}}}\approx 0.207879576...

모든 가능한 분지에 대해, i^i의 값은 실수이며, 또한 초월수이다.[20] 주값에서의 값은 = e}} = 0.20787957…}}이다.

6. 계승

허수 단위 ''i''에 대한 계승 ''i!''은 감마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16]

: ''i!'' = Γ(1+''i'') ≈ 0.4980 - 0.1549''i''

''i!''의 절댓값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6][17]

: |Γ(1+''i'')| = √(π/sinhπ)/sqrt영어 ≈ 0.5216

7. 표현

실수체 의 직적집합 }}에 합과 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이때, 는 복소수 에 대응되며, 허수 단위 는 에 대응된다.

사원수는 }}의 원소에 대응하며, 실수 단위 , 3개의 허수 단위 는 }}의 정규직교기저에 대응한다. 실수체 R 위의 다항식환 R[X]에 대해, X² + 1로 나눈 잉여환 R[X]/(X² + 1)은 복소수체 C와 체 동형이다. 이 대응에서, 허수 단위는 동치류 [X]이다.

==== 행렬 표현 ====

복소수는 2x2 행렬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허수 단위 i는 다음과 같은 행렬에 대응한다.

:J = \begin{pmatrix}

0 &-1 \\

1 &0

\end{pmatrix}

이때 J2 = -E (E는 2차 단위행렬)이다.

==== 기하학적 표현 ====

복소수는 실수를 수평축으로, 허수를 수직축으로 하는 데카르트 평면복소평면에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이 표현에서 수 1 과 ''i'' 는 0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으며, 서로 직각을 이룬다. 복소수를 더하는 것은 평면에서의 이동에 해당하고, 단위 크기의 복소수를 곱하는 것은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해당한다. 허수 단위 ''i''를 곱하면, 복소평면의 임의의 복소수는 4분의 1회전 (90°)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i''를 곱하면 임의의 복소수는 4분의 1회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극형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i \, re^{\varphi i} = re^{(\varphi + \pi/2)i}, \quad


  • i \, re^{\varphi i} = re^{(\varphi - \pi/2)i}.


직교좌표 형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i(a + bi) = -b + ai, \quad -i(a + bi) = b - ai.

7. 1. 행렬 표현

복소수는 2x2 행렬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허수 단위 i는 다음과 같은 행렬에 대응한다.

:J = \begin{pmatrix}

0 &-1 \\

1 &0

\end{pmatrix}

이때 J2 = -E (E는 2차 단위행렬)이다.

7. 2. 기하학적 표현

복소수는 실수를 수평축으로, 허수를 수직축으로 하는 데카르트 평면복소평면에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이 표현에서 수 1 과 ''i'' 는 0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으며, 서로 직각을 이룬다. 복소수를 더하는 것은 평면에서의 이동에 해당하고, 단위 크기의 복소수를 곱하는 것은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해당한다. 허수 단위 ''i''를 곱하면, 복소평면의 임의의 복소수는 4분의 1회전 (π 라디안) 또는 90°)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i''를 곱하면 임의의 복소수는 4분의 1회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극형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i \, re^{\varphi i} = re^{(\varphi + \pi/2)i}, \quad

  • i \, re^{\varphi i} = re^{(\varphi - \pi/2)i}.


직교좌표 형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i(a + bi) = -b + ai, \quad -i(a + bi) = b - ai.

실수체 의 직적집합 }}에 합과 곱을

:

:

으로 정의하면, 는 복소수 에 대응한다. 이 대응에서 허수 단위 ''i''는 이다.

8. 역사

허수 단위는 16세기 이탈리아에서 3차 방정식을 푸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근세 수학 초기에는 물리적 측정이나 기본적인 산술 연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실수만이 숫자로 간주되었고, 심지어 음수조차 회의적으로 다뤄졌기 때문에 음수의 제곱근은 무의미한 것으로 여겨졌다.[2][3] 르네 데카르트는 1637년 허수를 "Nombre imaginaire"(“상상의 수”)라고 명명하며, 실수축 위에 존재하지 않는 수의 도입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아이작 뉴턴은 1670년대 초에 이 용어를 사용했다.[2][3] 1770년경,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허수 단위를 이마기나리우스/imaginariusla의 첫 글자를 따 ''i'' 로 표기했다.[18][19][4]

9. 일반화

복소수를 일반화한 이원수, 분해형 복소수 및 이중수에 대해서도, ''j''2 = +1 또는 ''ε''2 = 0을 만족하는 (실수가 아닌) 요소를 허수 단위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참조

[1] 서적 Elementary vectors for electrical engineers https://archive.org/[...] I. Pitman
[2] 학술지 The New Language of Mathematics https://www.american[...] 2017-11-01
[3] OED imaginary number
[4] 서적 A History of Mathematic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5] 서적 Circles Disturbed: The interplay of mathematics and narrativ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서적 Hermann Günther Graßmann (1809–1877) Springer
[7] 서적 Mathematical Fallacies and Paradoxes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8] 서적 Math for Electricity & Electronic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9] 서적 Algebra: Themes, tools, concepts https://books.google[...] Henri Picciotto
[10] 서적 An Imaginary Tale: The story of "{{mvar|i}}" [the square root of minus on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What is the square root of {{mvar|i}} ? http://www.math.utor[...] 2007-03-26
[12] 서적 A first course in complex analysis with applications https://www.worldcat[...] Jones and Bartlett
[13] 웹사이트 i to the i is a Real Number – Math Fun Facts https://math.hmc.edu[...] 2024-08-22
[14] 학술지 Euler and his Work on Infinite Series
[15] 서적 Mathematical Methods for Optical Physics and Engineering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학술지 Arggh! Eye factorial . . . Arg(i!)
[17] 웹사이트
[18] 서적 数学用語と記号ものがたり 裳華房 2003-08-25
[19] 서적 ビジュアル数学全史 人類誕生前から多次元宇宙まで 岩波書店 2017-05-26
[20] 서적 虚数の話 青土社
[21] 서적 理工系の数学入門コース5 複素関数 岩波書店
[22] 서적 複素関数論 学術図書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