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포메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포메트는 11세기 말부터 12세기에 걸쳐 라틴어 서간 등에 등장하는 이름으로, 기독교인들이 상상한 이교 신이나 무슬림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템플 기사단 탄압 과정에서 숭배 대상 중 하나로 언급되었으나, 그 진위는 논란의 대상이다. 19세기 프랑스 마술사 엘리파스 레비의 그림을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현대에는 오컬트, 사타니즘, 대중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으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포메트 - 핸섬가이즈
    핸섬가이즈는 이성민, 이희준, 공승연 주연의 2024년 대한민국 영화로, 이사 온 첫날부터 오해를 받게 된 두 남자가 악령과 непрошенные 손님들로 인해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 바포메트 - 심야의 공포
    1990년 클라이브 바커 감독의 영화 《심야의 공포》는 악몽 속 도시 미디언을 찾아 나선 주인공이 연쇄 살인범으로 몰리는 이야기를 통해 인간과 괴물의 경계, 정상과 비정상의 의미를 탐구하는 공포 영화로, 엇갈린 평가 속 컬트적인 인기를 얻으며 속편 제작 및 TV 시리즈화가 진행되었다.
  • 남녀 양성을 지닌 신 - 헤르마프로디토스
    헤르마프로디토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헤르메스와 아프로디테 사이에서 태어난 양성의 신으로, 살마키스와의 결합 신화로 유명하며 고대 그리스 사회에서 숭배받고 문학과 예술에서 양성성 또는 여성성의 상징으로 묘사되었다.
  • 남녀 양성을 지닌 신 - 아프로디토스
    아프로디토스는 그리스 신화의 아프로디테의 남성형으로 추정되며, 달과 동일시되어 남녀가 옷을 바꿔 입고 제물을 바치는 숭배 의식이 종교 축제에서 행해졌다.
  • 날조한 민속 - 킬트
    킬트는 스코틀랜드 고지대에서 유래한 남성용 스커트 형태의 전통 의상으로, 타탄 무늬와 함께 스코틀랜드 문화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행사나 군대 등에서 활용되고 현대적인 패션 아이템으로도 주목받는다.
  • 날조한 민속 - 오시안
    오시안은 제임스 맥퍼슨이 번역, 발표했다고 주장한 고대 스코틀랜드 영웅 오시안의 서사시로, 켈트 문학 부흥과 낭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나 진위성 논란이 있으며 맥퍼슨의 창작 부분이 상당한 것으로 평가받지만 유럽 문화와 예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바포메트
개요
엘리파스 레비의 바포메트
엘리파스 레비의 바포메트
유형
문화권오컬트, 프랑스
관련 인물엘리파스 레비
어원 및 역사
이름바포메트
어원고대 프랑스어: Bafomet, Baffomet
라틴어화: Baphometus
관련 역사12세기부터 14세기 초 템플 기사단에 의해 숭배되었다고 알려짐
19세기 프랑스 오컬티스트 엘리파스 레비에 의해 재해석되어 유명해짐
현대 오컬트 및 신이교주의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사용됨
엘리파스 레비의 바포메트
묘사인간과 동물의 특징을 결합한 모습
염소의 머리, 여성의 가슴, 카두케우스가 있는 배, 횃불, 펜타클 등을 포함
상징이원성: 남성과 여성, 인간과 동물, 선과 악의 결합
균형: 우주적 힘의 균형과 조화
지혜: 심판과 영감의 상징
Solve et Coagula"SOLVE" (분해)와 "COAGULA" (응고) 문구가 팔에 새겨져 있으며, 연금술의 원리를 상징한다.
템플 기사단과의 연관성
고발 내용템플 기사단은 이단 숭배 혐의로 고발되었으며, 바포메트는 그들이 숭배한 우상 중 하나로 지목됨
역사적 논쟁바포메트 숭배 혐의의 진위 여부는 역사적으로 논쟁의 여지가 있다.
현대 오컬트에서의 의미
상징적 중요성다원주의: 다양한 신념 체계와 영적 경로의 통합
자유주의: 전통적인 도덕과 권위에 대한 도전
개인주의: 자기 발견과 자기 초월의 추구
사용 예시위카
텔레마
사탄교
대중 문화
등장영화
텔레비전
비디오 게임
음악
의미금지된 지식
신비주의
사회적 전복의 상징으로 묘사됨

2. 역사

바포메트라는 이름은 11세기 말 십자군 전쟁과 관련된 기록에서 처음 등장한다. 제1차 십자군 원정 당시 앙티오크 공방전에 참가한 앙셀름 드 리베몽의 편지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6]

Sequenti die aurora apparente, altis vocibus Baphometh invocaverunt; et nos Deum nostrum in cordibus nostris deprecantes, impetum facientes in eos, de muris civitatis omnes expulimus.la

(해석: 다음 날 새벽이 밝자, 그들(앙티오크 주민)은 큰 소리로 바포메트를 불렀다. 그리고 우리는 마음속으로 하나님께 기도한 다음, 그들을 공격하여 모두 성벽 밖으로 몰아냈다.)

이후 템플 기사단이 이단 심문을 받을 때 바포메트 숭배 혐의가 제기되었고, 19세기 이후에는 오컬트와 악마주의의 상징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2. 1. 십자군 시대의 기록

11세기 말부터 12세기의 라틴어 서간 등에서 바포메트가 나타나는데, 이것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당초에는 기독교인이 상상하는 이교의 신을 가리켰으며, 십자군의 기록에도 회교 사원을 바포메트의 신전으로 묘사하는 내용이 있었다.

Baphomethla이라는 이름은 1098년 7월 프랑스 십자군의 앙티오크 공성전에 관한 앙셀름 드 리베몽의 편지에서 처음 등장한다.[6]

제1차 십자군의 연대기 작가인 아길레르의 레몽은 음유시인들이 "바포메트"라는 용어를 무함마드를 지칭하고, "바푸마리아"는 모스크를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고 기록했다.[7]

2. 2. 템플 기사단과 바포메트

14세기 초, 프랑스 왕 필리프 4세는 템플 기사단을 이단 혐의로 탄압하면서 바포메트 숭배를 주요 죄목 중 하나로 제시했다.[70][71][84] 템플 기사단원들은 고문을 통해 강요된 자백으로 바포메트 숭배를 시인했으나, 그 진위 여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70] 템플 기사단 종교 재판 기록에는 바포메트가 다양한 모습(잘린 머리, 고양이, 세 개의 얼굴을 가진 머리 등)으로 묘사되어 있다.[86]

피터 파트너는 1987년 저서 『''The Knights Templar and their Myth''』에서 "템플 기사단의 재판에서 주요 죄상 중 하나는 바포메트(=마호메트)로 알려진 이교도의 우상 머리를 숭배한 것으로 여겨진 것이었다."라고 말했다.[85] 템플 기사단은 성유물함 속에 몇 개의 은으로 도금된 머리를 소유하고 있었고[87], ''capud m''라고 적힌 것[88], 성 에우페미아라고 적힌 것[89], 그리고 기사단의 창시자인 위그 드 파앵의 실제 두개골로 추정되는 것이 있었다.[90]

일부 역사학자들은 템플 기사단이 웃레메르를 장기간 점령하면서 이슬람 사상을 그들의 신념 체계에 통합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종교 재판관들에 의해 이단으로 간주되었다고 해석한다.[96] 그러나 템플 기사단원이 적의 교리를 채택했을 가능성은 부정되고 있다.[97]

2. 3. 19세기 이후의 오컬트적 해석

19세기엘리파스 레비는 자신의 저서에서 '멘데스의 바포메트'라는 그림을 통해 바포메트를 널리 알렸다. 레비의 바포메트는 숫염소 머리에 인간의 몸, 양성, 날개 등 복합적인 상징을 지닌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레비가 묘사한 바포메트는 초기 타로 카드의 악마와 유사하다. 레비는 수성과 악마 타로 카드를 동일시하고, 그의 형상에 수성의 카두케우스를 부여하여 사타구니에서 남근처럼 솟아오르게 했다.[36]

18세기 초 마르세유 타로의 장 도달의


레비는 중세 시대 마녀들의 안식일에서 악마 숭배가 고대 이교 의식의 지속이라고 믿었다. 뿔 사이에 촛불을 든 염소는 중세 시대의 마법 기록에 등장한다.[37]

라이더-웨이트 타로 덱의 악마


레비의 바포메트는 라이더-웨이트 디자인의 악마 이미지의 근원이 되었다.[50] 그의 이마에 아래쪽을 가리키는 오각별 안의 염소의 실제 이미지는 1897년 프랑스 오컬티스트 스타니슬라스 드 구아이타가 쓴 책 La Clef de la Magie Noire프랑스어에 처음 등장했다.[1][17] 이 이미지는 나중에 사탄 교회의 공식 상징인 바포메트의 인장으로 채택되었다.[52]

이후 바포메트는 오컬트, 악마주의, 사타니즘 등과 연관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고 사용되었다. 바포메트는 때때로 사탄 또는 악마로 묘사되기도 한다. 2014년에 사탄 사원은 약 2.59m 바포메트 조각상을 의뢰하여 종교적 다양성을 주장하며 설치를 시도하기도 하였다.[57][58][59]

3. 어원

바포메트라는 이름은 1098년 7월, 제1차 십자군의 앙티오크 공성전에 참가한 프랑스 십자군 앙셀름 드 리베몽의 편지에서 처음 등장한다. 그는 편지에서 앙티오크 주민들이 "바포메트"를 불렀다고 기록했다.[6]

바포메트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 무함마드 변형설: 이슬람교를 창시한 예언자 무함마드의 고프랑스어 철자(Mohammed)가 변형되거나 잘못 표기된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아길레르의 레몽은 음유시인들이 "바포메트"는 무함마드, "바푸마리아"는 모스크를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고 기록했다.[7] 1195년경 오크어 시인 가보다운의 시와[8] 1250년경 오르약의 오스토르의 프로방스 시에서 무함마드를 "바포메트"라 칭했다.[9] 현대 학자들과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바포메트가 "마호메트"의 옛 프랑스어 표현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3][13][18]

  • 기타 어원설:
  • 휴 J. 숀필드는 "바포메트"가 아트바쉬 치환 암호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 "바포메트"를 히브리어로 표기하고 아트바쉬 암호를 적용하면 "지혜"를 뜻하는 그리스어 ''소피아''가 된다고 보았다.[27]
  • 에밀 리트레는 "바포메트"가 카발라를 통해 "모든 사람의 평화의 사원 아버지 또는 수도원장"을 뜻하는 라틴어 약자를 거꾸로 쓴 것이라고 주장했다.[25]
  • 18세기에는 프리메이슨과 템플 기사단을 연결하려는 추측성 이론들이 등장했다.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니콜라이는 템플 기사단이 영지주의이며, "바포메트"는 "지혜의 세례"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23]


템플 기사단은 바포메트를 신으로 숭배했다는 혐의를 받았으며,[3] 필리프 4세는 1307년 템플 기사단을 체포하고 고문하여 자백을 받아냈다.[4][12] 템플 기사단은 이단, 동성애, 십자가에 침 뱉기 등 다양한 혐의를 받았으나,[3] 이는 카타리파 등 필리프 4세의 적들에게 제기된 혐의와 유사하여 의심스럽다.[12]

3. 1. '무함마드' 변형설

가장 유력한 설은 '바포메트'가 이슬람교예언자 무함마드의 고프랑스어 발음이 변형된 것이라는 주장이다. 중세 유럽에서는 이슬람교를 우상 숭배로 여기는 경향이 있었고, 무함마드를 신격화하여 숭배한다고 오해했다.[3]

제1차 십자군의 연대기 작가인 아길레르의 레몽은 음유시인들이 "바포메트"라는 용어를 무함마드를 지칭하고, "바푸마리아"는 모스크를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고 기록했다.[7] 1195년경 오크어 시인 가보다운의 시와[8] 1250년경 제7차 십자군의 패배를 애도하는 오르약의 오스토르의 프로방스 시에서 무함마드를 지칭하는 데 "바포메트"라는 이름을 사용했다.[9]

현대 학자들과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바포메트라는 이름의 기원이 "마호메트"의 옛 프랑스어 표현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3][13][18] 중세 시대의 기독교인들은 무슬림이 우상 숭배를 하고 무함마드를 신으로 숭배한다고 믿었으며,[3] "마호메트"는 영어에서 mammet(우상,거짓 신)가 되었다.[20]

3. 2. 기타 어원설

휴 J. 숀필드는 사해 문서를 연구한 학자 중 한 명으로, "바포메트"라는 단어가 아트바쉬 치환 암호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 아트바쉬는 히브리 알파벳의 첫 글자를 마지막 글자로, 두 번째 글자를 뒤에서 두 번째 글자로 치환하는 방식이다. 히브리어로 표기된 "바포메트"는 (''bpwmt'')이며, 아트바쉬를 사용해 해석하면 (''šwpy‘'', "Shofya'")가 되는데, 이는 그리스어 단어 ''소피아(Sophia)'' 즉 "지혜"를 의미한다.[27]

에밀 리트레는 Dictionnaire de la langue francaise프랑스어에서 이 단어가 를 통해 거꾸로 써서 templi omnium hominum pacis abbasla, 즉 "모든 사람의 평화의 사원 아버지 또는 수도원장"의 약자인 ''tem. o. h. p. ab''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25]

18세기에 프리메이슨의 기원과 템플 기사단을 연결하려는 추측성 이론들이 등장했다.[21] 서적상, 프리메이슨이자 일루미나티였던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니콜라이는 Versuch über die Beschuldigungen welche dem Tempelherrenorden gemacht worden, und über dessen Geheimnißde (1782)에서 템플 기사단이 영지주의이며, "바포메트"는 그리스어 단어 βαφη μητȢςgrc, 에서 유래되어 Taufe der Weisheitde, 즉 "지혜의 세례"를 의미한다고 주장했다.[23]

4. 동일시

바포메트는 루치펠, 베엘제붑, 아스타로트를 시중드는 상급 육대 악마 중 하나인 사타나키아와 동일시되기도 한다.[66] 또한, '안식일의 숫염소'라 불리는 레오나르와 동일시되거나 혼동되는 경우도 많다.[67] 레오나르는 안식일을 음행의 무대로 이용하는 왜소화된 악마로 묘사되곤 한다.[68]

4. 1. 기독교 악마와의 동일시

루치펠, 벨제부브 등 기독교의 악마와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검은 미사'에 등장하는 악마 레오나르와 혼동되기도 한다.[67] 사타나키아와 동일시하는 의견도 있다.[66]

4. 2. 이집트 신과의 동일시

엘리파스 레비는 바포메트를 '멘데스의 염소'와 동일시했는데, 이는 이집트 멘데스 지역의 숫양 신앙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39] 그러나 멘데스의 주요 신은 숫양의 모습을 한 바네브제데트였으며, 염소와는 관련이 없다.[41][42] 바네브제데트는 오시리스의 바였고, 그의 배우자는 물고기 여신 하트메히트였다. 크눔은 상 이집트의 동등한 신이었다.[43]

크눔은 전형적으로 숫양의 뿔을 가지고 묘사되었는데, 이는 고대 이집트에서 숭배되는 신성한 동물 중 하나로, 다산, 부활, 재생 및 부활과 같은 측면을 나타낸다. 그는 원래 수평으로 나선형 뿔(멸종된 바바리 양의 아종인 고대 이집트 코르크스크류 뿔 양을 기반으로 함)로 묘사되었지만, 그의 묘사는 나중에 암몬의 아래로 향한 뿔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로 진화했다(멸종된 양 아종 ''Ovis platyra palaeoaegyptiacus''를 기반으로 함).[44]

E. A. 월리스 버지는 델타의 여러 장소(헤르모폴리스, 리코폴리스, 멘데스 등)에서 판 신과 염소를 숭배했다고 기록했다. 스트라보는 핀다르를 인용하여 이 장소에서 염소가 여자와 성관계를 가졌으며, 헤로도토스는 대낮에 일어났다고 하는 사례를 예로 들었다고 한다. 멘데스인들은 모든 염소에게 경의를 표했고, 암컷보다 수컷에게 더 경의를 표했으며, 특히 한 수염소에게는 온 멘데스 지역에서 공개적인 애도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들은 판과 염소를 모두 멘데스라고 불렀으며, 둘 다 생성과 다산의 신으로 숭배했다. 디오도루스는 멘데스의 염소 숭배를 프리아포스의 숭배와 비교하고, 그 신을 판과 사티로스와 함께 묶었다.[40]

5. 상징 및 도상

바포메트의 모습은 다양하게 묘사되지만, 19세기 프랑스의 마술사 엘리파스 레비가 그린 '''''멘데스의 바포메트'''''가 가장 유명하다.[34] 남녀한몸으로 흑산양의 머리와 검은 날개를 가진 모습으로 알려져 마녀들의 숭배 대상이 되었으나, 반드시 이 모습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다.[34]

"바포메트"라는 이름은 1098년 7월 프랑스 십자군의 앙티오크 공성전에 관한 앙셀름 드 리베몽의 편지에서 처음 등장한다. 제1차 십자군의 연대기 작가인 아길레르의 레몽은 음유시인들이 "바포메트"라는 용어를 무함마드를 지칭하고, "바푸마리아"는 모스크를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고 보고한다.[7]

바포메트는 중세 시대 템플 기사단이 신으로 숭배했다고 전해진다.[3] 1307년 10월 필리프 4세는 많은 프랑스 템플 기사단을 동시에 체포한 후 고문을 가해 자백을 받아냈으며,[4][12] 같은 해 템플 기사단 종교 재판 기록에 "바포메트"라는 이름이 등장했다.[12] 템플 기사단에게는 이단, 동성애 행위, 십자가에 침을 뱉고 소변을 보는 행위, 소도미 등 100가지가 넘는 다양한 혐의가 제기되었다.[3]

thumb당하는 모습; 15세기 프랑스 필사본 삽화]]

이러한 자백 중 몇 가지에서 "바포메트"라는 이름이 등장한다.[3] 템플 기사단은 여러 개의 은도금 머리를 성유물함으로 가지고 있었는데, capud 라고 표시된 머리도 있었고,[14] 또 다른 머리는 성 에우페미아의 것이라고 전해졌으며,[15] 위그 드 페앵의 실제 머리일 가능성도 있다.[15]

"바포메트"라는 이름은 템플 기사단의 탄압 이유에 대한 논쟁과 추측 속에서 19세기에 영어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었다. 현대 학자들은 바포메트라는 이름이 "마호메트"의 옛 프랑스어 변형이라는 데 동의하며,[3] 그 해석은 템플 기사단 중 일부가 오트르메르를 장기간 점령하면서 이슬람 사상을 그들의 신념 체계에 통합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종교 재판관들에 의해 이단으로 간주되고 기록되었다는 것이다.[18]

5. 1. 엘리파스 레비의 '멘데스의 바포메트'

엘리파스 레비가 그린 '''''멘데스의 바포메트'''''는 숫염소 머리에 인간의 몸, 여성의 가슴, 날개, 뿔 사이에 횃불이 있는 복합적인 상징을 지닌 형상이다.[34] 이 그림은 바포메트를 가장 잘 나타내는 표현으로 알려져 있다.[34]

레비는 이 그림을 통해 우주의 균형, 대립물의 합일, 영적 완성을 상징하는 존재로 바포메트를 해석했다.[34] 바포메트의 팔에는 라틴어로 "Solve"(용해)와 "Coagula"(응고)가 새겨져 있는데,[34] 이는 "녹여서(분해해서) 굳혀라", "분석해서 통합하라", "해체해서 통합하라"라는 의미로, 연금술의 원리를 나타낸다.[34]

레비는 멘데스의 바포메트를 타로 카드의 악마와 유사하다고 보았다. 멘데스는 고대 이집트 나일강 하류에 있던 "데데트" 또는 "제데트"라는 마을의 후기 명칭이다. 헤로도토스는 "역사"에서 "멘데스"의 성스러운 동물을 "염소"라고 기록했는데, 이것이 "멘데스의 수염소"의 유래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멘데스"의 성스러운 동물은 "양"이며, 헤로도토스가 오해한 것으로 생각된다.

기독교에서는 "양"과 "염소"는 대조되는 존재이며, '「양」은 선(=신), 「염소」는 악(=악마)'이라는 관념이 있다. 성모 마리아의 상징인 플뢰르 드 리스를 상하로 뒤집으면 "멘데스의 바포메트"의 머리가 된다. 이것은 성모 마리아(대지모신=하늘의 여왕"의 계보의 여신)와 바포메트(=악마)가, 표리일체의 동일한 존재임을 나타낸다. 또한, "성모 마리아=그노시스주의의 여신 소피아"이다. "멘데스의 바포메트"의 정수리의 촛대에는 "지혜의 불꽃"이 켜져 있다.

5. 2. 기타 도상

엘리파스 레비가 그린 ''멘데스의 바포메트''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이 그림은 한 쌍의 가슴과 뿔 사이에 머리 위에 횃불을 든 날개 달린 인간형 염소를 묘사한다.[34] 19세기 후반, 오컬트와 관련되어 바포메트라는 이름이 사용되기 시작했다.[3]

템플 기사단 재판 기록에서 바포메트는 잘린 머리, 고양이, 세 개의 얼굴을 가진 머리 등으로 묘사되었다.[13] 기독교에서는 양과 염소를 대조되는 존재로 보았으며, '양은 선(신)', '염소는 악(악마)'이라는 관념이 있었다.



19세기 말에는 거꾸로 된 오각별 안에 염소 머리를 배치한 이미지가 사탄 숭배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6. 현대적 해석 및 수용

"바포메트"라는 이름은 1098년 십자군의 앙티오크 공성전에 관한 앙셀름 드 리베몽의 편지에서 처음 등장했다.[6] 제1차 십자군의 연대기 작가인 아길레르의 레몽은 음유시인들이 "바포메트"를 무함마드를 지칭하고, "바푸마리아"는 모스크를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고 기록했다.[7]

바포메트는 중세 시대 템플 기사단이 숭배했다고 알려져 있다.[3] 1307년 필리프 4세는 프랑스 템플 기사단을 체포하고 고문하여 자백을 받아냈는데,[4][12] 이 과정에서 "바포메트"라는 이름이 템플 기사단 종교 재판 기록에 등장했다.[12] 템플 기사단에게는 이단, 동성애 행위, 십자가에 침 뱉기 등 여러 혐의가 제기되었으나,[3] 카타르파 등에게 제기된 것과 유사하여 의심스러운 부분이 있었다.

현대 학자들은 "바포메트"가 무함마드의 옛 프랑스어 변형이라는 데 동의한다.[3] 템플 기사단이 오트르메르를 점령하면서 이슬람 사상을 받아들였고, 이것이 이단으로 간주되었다는 해석이 있다.[18] 그러나 알랭 드뮈르제는 템플 기사단이 적의 교리를 채택했을 가능성을 부정한다.[19] 헬렌 니콜슨은 템플 기사단이 "동화 속의 무슬림이 되었다는 혐의를 받았다"고 지적한다.[19] 중세 시대의 기독교인들은 무슬림이 우상 숭배를 하고 무함마드를 신으로 숭배한다고 믿었으며,[3] "마호메트"는 영어에서 mammet(우상 또는 거짓 신)가 되었다.[3]

6. 1. 오컬트 및 사타니즘

엘리파스 레비를 비롯한 일부 오컬티스트들은 바포메트를 긍정적인 의미로 해석하여 자신의 신비주의 체계에 포함시켰다.[51] 레비는 중세 시대 마녀들의 안식일에서 거론되는 악마 숭배가 고대 이교 의식의 지속이라고 믿었다. 뿔 사이에 촛불을 든 염소는 중세 시대 마법 기록에 등장한다.[37]

레비의 바포메트는 브르타뉴의 랑레프와 파리의 생 메리의 템플 기사단 교회에 조각되어 있는 그로테스크 조각상에 부분적으로 영감을 받았을 수 있는데, 이 조각상은 박쥐 날개, 여성 가슴, 뿔, 짐승의 털이 많은 뒷다리를 가진 쪼그리고 앉은 수염 난 남자를 묘사한다.[38]

레비의 바포메트는 타로에서 라이더-웨이트 타로 디자인의 악마 이미지의 근원이다.[50] 아래쪽을 가리키는 오각별 안의 염소의 실제 이미지는 프랑스 오컬티스트 스타니슬라스 드 구아이타가 쓴 1897년 책 La Clef de la Magie Noire프랑스어에 처음 등장했다.[1][17]

이 이미지는 나중에 사탄 교회의 공식 상징인 바포메트의 인장으로 채택되었으며, 사탄주의자들 사이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52]

2014년에 사탄 사원은 "다양성과 종교적 소수자에 대한 존중"을 언급하며 오클라호마 주 의사당의 십계명 기념비 옆에 세울 약 2.59m 바포메트 조각상을 의뢰했다.[57][58][59] 바포메트 조각상은 2015년 7월 25일 디트로이트에서 현대 사탄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공개되었다.[61][62]

6. 2. 대중문화

엘리파스 레비가 Dogme et Rituel de la Haute Magie프랑스어(《고등 마법의 교리와 의식》)에서 묘사하고 그린 바포메트는 한 쌍의 가슴과 뿔 사이에 머리 위에 횃불을 든 날개 달린 인간형 염소의 모습으로, 현대에 가장 잘 알려진 바포메트의 이미지가 되었다.[34] 레비의 바포메트는 초기 타로 카드의 악마와 유사하며, 라이더-웨이트 디자인의 악마 이미지의 근원이 되었다.[50]

레비의 삽화에서 비롯되어 바포메트는 때때로 사탄 또는 악마로 묘사되기도 한다.[53] 잭 T. 칙과 같은 기독교 복음주의자는 바포메트가 프리메이슨이 숭배하는 악마라고 주장하기도 했는데,[54] 이는 레오 탁실의 택실 사기극에서 비롯된 주장이다. 레비의 바포메트는 1897년 탁실의 페이퍼백 "폭로" Les Mystères de la franc-maçonnerie dévoilés프랑스어의 표지에 묘사되었다.[55][56]

upright의 프리메이슨의 미스터리 공개프랑스어(1886) 홍보 포스터, 레비의 발명을 차용함]]

2014년에는 사탄 사원이 오클라호마 주 의사당에 바포메트 조각상 건립을 추진하기도 했다.[57][58][59] 비록 오클라호마 대법원의 판결로 무산되었지만,[60] 2015년 디트로이트에서 이 조각상을 공개하며 현대 사탄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하기도 했다.[61][62]

클라이브 바커의 소설 《캐벌》(1988)과 이를 영화화한 《나이트브리드》(1990)에서 바포메트는 나이트 브리드 생물들이 숭배하는 신으로 등장한다.[65] 레볼루션 소프트웨어의 어드벤처 게임 《브로큰 소드: 템플 기사단의 그림자》에서는 '바포메트의 검'이 주요 플롯의 일부를 형성하며, 템플 기사단과 관련된 내용이 등장한다.

6. 3. 사회적 논란

미국에서는 사탄 숭배자들이 공공장소에 바포메트 조각상을 설치하려는 시도가 종교의 자유와 관련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57][58][59] 2014년, 사탄 사원은 오클라호마 주 의사당의 십계명 기념비 옆에 약 2.59m 크기의 바포메트 조각상을 세우려고 했다. 이들은 다양성과 종교적 소수자에 대한 존중을 언급했지만, 오클라호마 대법원은 결국 종교적 전시를 불법으로 선언했다.[60]

바포메트 조각상은 2015년 7월 25일 디트로이트에서 현대 사탄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공개되었다.[61][62] 이후 사탄 사원은 아칸소주 리틀록에 십계명 기념비가 설치되자, 바포메트 조각상을 그곳으로 옮겼다. 이 조각상은 2018년 8월 16일 사원에서 시위를 하는 동안 공개적으로 전시되었다.[63]

7. 한국 사회와 바포메트

한국 사회에서 바포메트는 주로 대중문화와 서브컬처를 통해 악마적인 이미지를 가진 존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바포메트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특히 템플 기사단의 탄압과 관련된 정치적 맥락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필리프 4세는 1307년 10월, 프랑스 템플 기사단을 이단, 동성애, 십자가에 침 뱉기 등의 혐의로 체포하고 고문하여 자백을 받아냈다.[3][4][12] 이러한 혐의는 카타리파 등에게 제기된 것과 유사하며, 필리프 4세가 자신의 적들에게 적용했던 방식과 동일했다.[3] 말콤 바버는 역사가들이 "그렇게 엄청난 사건이 완전한 조작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언급한다.[3]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템플 기사단에 대한 탄압이 권력층의 부당한 억압이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바포메트 숭배 혐의 역시 조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시농 파피루스에 따르면, 템플 기사단이 십자가에 침을 뱉는 행위는 사라센에게 붙잡혔을 때 겪을 수 있는 굴욕과 고문을 모방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마음만이 아닌" 배교를 저지르는 방법을 가르치는 훈련이었다고 한다.[3]

이처럼 바포메트에 대한 이미지는 역사적, 정치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바포메트를 단순한 악마적 상징으로만 이해하기보다는, 그 이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역사적, 정치적 배경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학술지 Torture and Confession in the Templar Interrogations at Caen, 28–29 October 1307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6-04-01
[5] 백과사전
[6] 웹사이트 Godefridi Bullonii epistolae et diplomata; accedunt appendices https://books.google[...] 2018-03-30
[7] 논문 https://books.google[...]
[8] 서적 The Troubadours: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문서 Un frammento provenzale della ''Doctrina Pueril'' di Raimondo Lull
[10] 서적 Templars: History and Myth: From Solomon's temple to the Freemasons Profile Books
[11] 논문 https://books.google[...]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비디오자료 Knights Templar National Geographic Channel 2006-02-22
[16] 논문 https://archive.org/[...]
[17] 논문
[18] 논문
[19] 사전 Baphomet
[20] 논문
[21] 웹사이트 A Bavarian Illuminati Primer http://freemasonry.b[...]
[22] 논문 https://books.google[...]
[23] 학술지 Symbols and Symbolism https://books.google[...]
[24] 서적 Additions au dictionnaire de Littré (Lexicologie botanique) d'apres le de compositione medicamentorum de Bernard Dessen (1556) 1881
[25] 서적 The Essene Odyssey Element
[26] 잡지 Dan Brown, Hugh J. Schonfield, and the Hebrew transliteration of 'Sophia' https://www.academia[...]
[27] 학술지 Mysterium Baphometis revelatum https://books.google[...]
[28] 문서
[29] 웹사이트 Baphomet http://www.agepedia.[...]
[30] 학술지 Journal des savants https://archive.org/[...] Paris C. Klincksieck
[31] 웹사이트 The Gnostics and Their Remains: Part V. Templars, Rosicrucians, Freemasons: The Templars http://www.sacred-te[...]
[32] 학술지 The Psychology and Aesthetics of Forgery in Art 1934-08-01
[33] 논문 https://archive.org/[...]
[34] 논문 https://books.google[...]
[36] 논문 The Caduceus vs. Staff of Aesculapius – One Snake or Two? 2019
[37] 서적 (책 제목이 명시되지 않음) 1921
[38] 서적 The Pillars of Tubal Cain Capall Bann 2003
[39] 서적 Histories
[40] 서적 De Iside et Osiride http://www.sacred-te[...]
[41] 서적 History, Book II, 42
[42] 서적 Pan en Egypte et le «bouc» de Mendès Editions Labor et Fides 2011
[43] 서적 Handbook of Egyptian myth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4] 논문 God Heryshef https://journals.ekb[...] 2020
[45] 서적 777 and Other Qabalistic Correspondences 1970
[46] 서적 The Satanic Bible 1969
[47] 웹사이트 The Creed of the Gnostic Catholic Church: An Examination https://sabazius.oto[...] 2022-12-05
[48] 서적 Sex and Rockets: the Occult Life of Jack Parsons Feral House 2005
[49] 서적 The Spirit of Solitude: an autohagiography: subsequently re-Antichristened The Confessions of Aleister Crowley Mandrake Press 1929
[50] 서적 (책 제목이 명시되지 않음) http://www.sacred-te[...] 1911
[51] 서적 (책 제목이 명시되지 않음) https://books.google[...] 1861
[52] 웹사이트 Sigil of Baphomet http://www.churchofs[...] Church of Satan
[53] 서적 Imprisoned in a tesseract: The Life and Work of James Blish Kent State University Press 1987
[54] 웹사이트 That's Baphomet? http://www.chick.com[...]
[55] 웹사이트 Leo Taxil's confession http://freemasonry.b[...] Grand Lodge of British Columbia and Yukon
[56] 웹사이트 Leo Taxil's confession http://freemasonry.b[...] Grand Moshe of British Columbia and Yukon
[57] 웹사이트 First Look: The 7ft Satanic 'Baphomet' Demon Statue Is Coming Along Nicely (PICTURES) http://www.huffingto[...] 2014-05-02
[58] 웹사이트 Satanists want statue next to 10 Commandments http://religion.blog[...] 2013-12-09
[59] 웹사이트 Suspect in Ten Commandments Monument Vandalism Case Taken to Mental Health Facility http://www.patheos.c[...]
[60] 웹사이트 Protesters: Don't turn Detroit over to Satanists http://www.freep.com[...]
[61] 잡지 Hundreds Gather for Unveiling of Satanic Statue in Detroit https://time.com/397[...]
[62] 뉴스 Satanic Temple Unveils Baphomet Sculpture In Detroit http://www.huffingto[...] 2015-07-27
[63] 잡지 Satanic Temple Unveils Baphomet Statue at Arkansas Capitol https://www.usnews.c[...] 2018-08-16
[64] 서적 Sartor Resartus https://gutenberg.or[...] 2023-02-07
[65] 서적 Clive Barker's Nightbreed: The Making of the Film Fontana 1990
[66] 서적 Dunkle Legenden. Fakten, Mythen, Hintergründe – 50 Jahre Geisterjäger John Sinclair Bastei Lübbe 2023
[67] 뉴스 Robin of Sherwood: Cult show returns with fan-funded drama https://www.bbc.co.u[...] BBC News 2016-06-30
[68] 논문 The 'Baphomet' of Eliphas Lévi: Its Meaning and Historical Context https://corresponden[...] 2017-02-14
[69] 서적 2016
[70] 서적 2013
[71] 논문 Torture and Confession in the Templar Interrogations at Caen, 28–29 October 1307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6-04-00
[72] 백과사전 Templars
[73] 웹사이트 http://www.sacred-te[...]
[74] 서적 Godefridi Bullonii epistolae et diplomata; accedunt appendices https://books.google[...] 2024-02-29
[75] 서적
[76] 서적 The History of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77] 서적 The Troubadours: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78] 논문 ''Reconmenciez novele estoire'': The Troubadours and the Rhetoric of the Later Crusades 2001-09-00
[79] 논문 Un frammento provenzale della ''Doctrina Pueril'' di Raimondo Lull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Templars: History and Myth: From Solomon's temple to the Freemasons Profile Books
[84] 서적 History of France https://books.google[...] D. Appleton & Company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Le procès des Templiers http://www.gutenberg[...]
[89] 서적
[90] 서적
[91] 영상자료 Knights Templar National Geographic Channel 2006-02-22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The Worship of the Generative Powers http://www.sacred-te[...]
[95] 서적 Essais de sciences mandites https://archive.org/[...] Chamuel 1897-03-30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La vida de Sant Honorat (La vie de Saint Honorat) Légende en vers provençaux du XIIIe siècle par Raymond Féraud: Analyse et morceaux choisis avec la traduction textuelle des dits morceaux, la biographie du vieux poète [Féraud], et une notice historique sur Saint Honorat et sur les iles de Lérins, par A. L. Sardou https://books.google[...] P. Janet; & Dexoboy, E. Magdeleine & Ce. 2018-03-30
[9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