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힌디-우르두어 문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힌디-우르두어 문법은 형태론, 형용사, 대명사, 지시사, 의문사, 수사, 후치사, 동사, 음운론, 통사론 등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포함한다. 명사는 성, 수, 격에 따라 굴절하며, 형용사는 굴절 여부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 대명사는 인칭, 지시, 관계, 의문으로 나뉘며, 힌디어와 우르두어는 한국어의 조사와 유사한 후치사 체계를 가진다. 동사는 시제, 상, 법, 태를 표현하는 다양한 활용 체계를 가지며, 어순은 SOV를 기본으로 하지만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음운론적으로는 모음과 자음 체계를 가지며, 힌디어와 우르두어의 문법은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특징을 반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르두어 - 우르두 문자
    우르두 문자는 13세기 이란에서 기원한 페르시아-아랍 문자의 변형으로, 나스타리크 서체로 쓰이는 아브자드 문자이며, 우르두어의 음운 체계를 반영하여 자모가 추가되었고, 38개의 자음과 여러 모음을 표기하며,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파키스탄과 여러 국가에서 사용된다.
  • 힌디어 - 피지 힌디어
    피지 힌디어는 19세기 인도 이주민의 언어 혼합으로 형성된 인도-아리아어 방언으로, 피지 원주민어, 영어 등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특징을 가지며, 힌두스탄어 파생 단어의 의미 변화가 두드러진다.
  • 힌디어 - 하리아나어
    하리아나어는 인도 하리아나주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언어로,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사용되며 영화 《당갈》과 《술탄》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 언어별 문법 - 불가리아어 문법
    불가리아어 문법은 명사, 형용사, 대명사, 동사, 수사 등 다양한 품사의 형태와 기능을 설명하며, 명사의 성, 수, 한정성, 격 등의 문법 범주와 동사의 시제, 상, 법, 태에 따른 활용, 그리고 자유로운 어순과 결합사 이중화와 같은 구문 현상을 특징으로 한다.
  • 언어별 문법 - 러시아어 문법
    러시아어 문법은 명사의 성, 수, 격, 대명사의 인칭, 소유, 동사의 시제, 상, 인칭, 수, 형용사의 명사 수식 등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포함한다.
힌디-우르두어 문법
문법적 특징
언어 계통인도아리아어군
어족인도유럽어족
주요 사용 지역인도, 파키스탄
음운 체계국제 음성 기호 (IPA) 사용
문자 체계데바나가리 문자, 페르시아 문자
명사
남성, 여성 (두 가지 성 구별)
단수, 복수 (두 가지 수 구별)
직접격, 대격, 도구격, 여격, 속격, 처격, 호격 (총 7개 격)
대명사
인칭 대명사1인칭, 2인칭, 3인칭
지시 대명사가까운 것, 먼 것 지시
의문 대명사누가, 무엇
형용사
종류질적 형용사
양적 형용사
지시 형용사
의문 형용사
수식명사 앞에서 명사 수식
동사
시제현재, 과거, 미래
완료상, 미완료상, 습관상
능동태, 수동태
직설법, 명령법, 가정법
활용어미 변화를 통해 시제, 상, 태, 법 표현
어순
기본 어순주어-목적어-동사 (SOV)
수식어 위치수식어는 수식받는 단어 앞에 위치
문장 구조
종류단순문, 복문, 중문
접속사문장 연결에 사용
기타 특징
차용어페르시아어, 아랍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차용어 사용
존칭존칭 표현 발달
문체격식체, 평어체 구분

2. 형태론

힌디어와 우르두어는 명사, 형용사, 대명사가 성, 수, 격에 따라 굴절하며, 동사는 시제, 상, 법, 태 등에 따라 활용하는 특징을 보인다.[76][77][78]

'''명사'''는 남성/여성, 단수/복수, 직격/사격/호격에 따라 굴절하며, 굴절 방식에 따라 4가지 종류로 나뉜다.[76] 자세한 내용은 #명사를 참고.

'''형용사'''는 굴절 여부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뉘며, 굴절하는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성, 수, 격에 따라 형태가 바뀐다.[77] 자세한 내용은 #형용사를 참고.

'''대명사'''는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관계대명사, 의문대명사로 나뉘며, 인칭대명사는 성 구별이 없고, 2인칭은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다른 대명사를 사용한다.[78][79] 자세한 내용은 #대명사를 참고.

}

|rowspan="2"|ham|hi

|tū|hi

|rowspan="2"|tum|hi

|rowspan="2"|āp|hi

|colspan="2"|ye|hi||colspan="2"|vo|hi

|colspan="2"|jo|hi

|colspan="2"|kaun|hi, kyā|hi

|-

!사격

|mujh|hi||tujh|hi||is|hi||in|hi||us|hi||un|hi||jis|hi||jin|hi||kis|hi||kin|hi

|-

!여격

|mujhe|hi||hamẽ|hi||tujhe|hi||tumhẽ|hi||āp ko|hi||ise|hi||inhẽ|hi||use|hi||unhẽ|hi

|jise|hi||jinhẽ|hi||kise|hi||kinhẽ|hi

|-

!속격

|merā|hi||hamārā|hi||terā|hi

|tumhārā|hi||āp kā|hi

|is kā|hi||in kā|hi||us kā|hi||un kā|hi

|jis kā|hi||jin kā|hi||kis kā|hi||kin kā|hi

|-

!능격

|mãĩ ne|hi||ham ne|hi||tū ne|hi||tum ne|hi||āp ne|hi||is ne|hi||inhõ ne|hi

|us ne|hi||unhõ ne|hi||jis ne|hi||jinhõ ne|hi||kis ne|hi||kinhõ ne|hi

|}

'''동사'''는 시제, 상, 법, 태 등에 따라 활용하며, 존칭 표현이 발달했다.[81] 자세한 내용은 #동사를 참고.

'''후치사'''는 한국어의 조사와 유사하며, 격을 나타내는 후치사는 굴절 접사보다 독립성이 강해 교착적 접사로 분류된다.[77]

2. 1. 명사

힌디어우르두어명사는 남성/여성 두 개의 문법적 , 단수/복수 두 종류의 , 직격/사격/호격 세 종류의 을 구별한다.[76] 명사는 굴절 방법에 따라 4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굴절 방식에 따라 성마다 1군과 2군으로 나뉜다. 1군과 2군의 가장 큰 차이점은 2군 명사가 단수 직격에서 별도의 어미 변화를 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76]

명사의 굴절 패러다임은 다음과 같다.

rowspan="4"|인칭대명사지시대명사관계대명사의문대명사
1인칭2인칭3인칭
단수복수단수복수근칭원칭
친칭친칭경칭단수복수/경칭단수복수/경칭단수복수단수복수
직격{{lang|hi|mãĩ|}
rowspan="2" colspan="2"|단수복수
직격사격직격사격호격
남성1군-ā-e-õ-o
2군colspan="3"|+õ+o
여성1군-ī, -i, -iyā-iyā̃-iyõ-iyo
2군colspan="2"|++õ+o



위 표에서 '+' 표시는 무표(無標) 형태에 해당 음소를 첨가한다는 뜻이다.


  • 명사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복수 변화에서 변화 접미사를 추가하기 전에 반자음 '''-y-'''가 명사 어간 뒤에 추가된다.[8]

2. 2. 형용사

힌디어와 우르두어의 형용사는 굴절하는 형용사와 굴절하지 않는 형용사로 나뉜다.[77] 굴절하는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성, 수, 격에 따라 어미가 변한다.[9][10] 굴절하지 않는 형용사는 자음 또는 모음 ('''''ā''''' 와 '''''ī''''' 포함)으로 끝날 수 있으며, 수식하는 명사에 따라 형태가 바뀌지 않는다. 굴절하는 형용사의 어미는 명사 어미와 유사하지만 훨씬 단순하다. 주격 남성 단수 형태 ('''''-ā''''')는 표제어이다.[9]

colspan="2"|직격 단수기타 모든 경우
굴절남성-ā-e
여성-ī
비굴절colspan="2"|



모든 형용사는 수식, 서술 또는 명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명사적으로 사용될 때는 형용사가 아닌 명사처럼 활용된다. 동격격 후치사 '''''sā'''''는 형용사의 의미를 수정하거나 완화하는 데 사용되며, "-ish", "-esque", "like", 또는 "quite"의 의미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nīlā''''' "파란" → '''''nīlā sā''''' "푸르스름한".[11]

colspan="3" rowspan="2" |단수복수번역
주격목격호격주격목격호격
변화I남성-e좋은
여성
II남성-yā̃-yẽ오른쪽 (방향)
여성-yī̃
불변화빨간


  • ''변화 형용사 (I형)의 예:'' '''''baṛā''''' "큰", '''''choṭā''''' "작은", '''''acchā''''' "좋은", '''''burā''''' "나쁜", '''''kālā''''' "검은", '''''ṭhanḍā''''' "차가운".
  • ''변화 형용사 (II형)의 예:'' '''''dāyā̃''''' ''"오른쪽 (방향)", '''bāyā̃ "'''왼쪽 (방향)".''
  • ''불변화 형용사의 예'': '''''xarāb''''' "나쁜", '''''sāf''''' "깨끗한", '''''bhārī''''' "무거운", '''''murdā''''' "죽은", '''''sundar''''' "아름다운", '''''pāgal''''' "미친", '''''lāl''''' "빨간".

2. 3. 대명사

힌디어와 우르두어의 대명사는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관계대명사, 의문대명사로 나뉜다.[78] 인칭대명사는 성을 구별하지 않으며, 2인칭에서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다른 대명사를 사용한다.[79]

}

|rowspan="2"|ham|hi

|tū|hi

|rowspan="2"|tum|hi

|rowspan="2"|āp|hi

|colspan="2"|ye|hi||colspan="2"|vo|hi

|colspan="2"|jo|hi

|colspan="2"|kaun|hi, kyā|hi

|-

!사격

|mujh|hi||tujh|hi||is|hi||in|hi||us|hi||un|hi||jis|hi||jin|hi||kis|hi||kin|hi

|-

!여격

|mujhe|hi||hamẽ|hi||tujhe|hi||tumhẽ|hi||āp ko|hi||ise|hi||inhẽ|hi||use|hi||unhẽ|hi

|jise|hi||jinhẽ|hi||kise|hi||kinhẽ|hi

|-

!속격

|merā|hi||hamārā|hi||terā|hi

|tumhārā|hi||āp kā|hi

|is kā|hi||in kā|hi||us kā|hi||un kā|hi

|jis kā|hi||jin kā|hi||kis kā|hi||kin kā|hi

|-

!능격

|mãĩ ne|hi||ham ne|hi||tū ne|hi||tum ne|hi||āp ne|hi||is ne|hi||inhõ ne|hi

|us ne|hi||unhõ ne|hi||jis ne|hi||jinhõ ne|hi||kis ne|hi||kinhõ ne|hi

|}

힌두스탄어는 1인칭과 2인칭에 대한 인칭 대명사를 가지고 있으며, 3인칭에는 근칭과 비근칭으로 지시 대명사를 사용하여 지시](Deixis)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17] '''''tū''''', '''''tum''''', '''''āp'''''는 세 가지 ''2인칭'' 대명사이며, 각각 ''친밀한'', ''친근한'', ''존칭''의 세 가지 사회언어학적 격식을 구성한다. ''2인칭'' 친밀형 활용은 문법적으로 단수이며, ''2인칭'' 친근형과 존칭형 활용은 문법적으로 복수이다.[12] 비인칭 대명사(지시, 관계, 의문)의 경우, 복수형도 존칭형이다.[18][19] 힌두스탄어의

2. 4. 지시사, 의문사, 관계사

대명사 외에 시간, 장소, 양, 질, 수단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지시사, 의문사, 관계사가 있다.

rowspan="4"|인칭대명사지시대명사관계대명사의문대명사
1인칭2인칭3인칭
단수복수단수복수근칭원칭
친칭친칭경칭단수복수/경칭단수복수/경칭단수복수단수복수
직격{{lang|hi|mãĩ|}
rowspan="2"|의문사관계사지시사
근칭원칭
시간kab|언제?hijab|~할 때hiab|지금hitab|그 때hi
장소kahā̃|어디?hijahā̃|~하는 곳hiyahā̃|여기hivahā̃|저기hi
kidhar|어디로?hijidhar|~하는 곳으로hiidhar|이리로hiudhar|저리로hi
kitnā|얼마나?hijitnā|~만큼hiitnā|이만큼hiutnā|저만큼hi
kaisā|어떻게hijaisā|~처럼hiaisā|이렇게hivaisā|저렇게hi
수단kaise|어떻게hijaise|~처럼hiaise|이렇게hivaise|저렇게hi


2. 5. 수사

힌두스탄어와 네팔어를 포함한 여러 인도 아리아어의 숫자 체계는 전형적인 십진법 체계이지만, 1~99의 거의 모든 숫자가 불규칙하다는 점에서 축소되었다.[13] 처음 4개와 6번째의 서수도 불규칙하다. 5 이상과 7 이상의 서수는 접미사 ''-vā̃''를 붙여 표시한다. 서수는 변화형 형용사와 같은 방식으로 변화한다.

접미사 ''-gunā''(곱셈에서 "번"으로 번역)는 처음 세 개의 곱셈기가 숫자 어근을 변경하는 승수를 표시한다. 숫자의 집합적 형태는 남성 명사의 사격 복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취하며, 접미사 ''-õ''를 추가하여 형성된다.

부사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첫 번째 유형은 접미사 ''-bārā''를 사용하여 형성되지만 숫자 2, 3, 4에 대해서만 사용된다(3에 대해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4에 대해서는 훨씬 드물게 사용된다). 두 번째 유형의 부사는 "times"(횟수)를 의미하는 수량사 ''bār''를 사용하여 주변적으로 구성된다. 부사 ''dobārā''는 "다시" 또는 "두 번째로"로 번역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tibārā''와 ''caubārā''는 각각 "세 번째로"와 "네 번째로"를 의미한다. 그러나 주변 부사 구성 ''do bār'', ''tīn bār'' 등은 각각 "두 번", "세 번" 등으로 번역된다.

숫자영어기수서수승수집합부사분수
0śūnyaH, sifarUśūnyavā̃H, sifarvā̃Uśūnyagunāśūnya bār
1하나ekpehlā, prathamH, avvalUekgunāek bārpūrā
2dodūsrā, dvitīyaH, domUdugnā, dogunādonõdobārā, dubārādo bārādhā
3tīntīsrā, tṛtīyaH, somUtigunā, tīngunātīnõtibārātīn bārtihāī
4cārcauthā, caturthH, cahāramUcaugunā, cārgunācārõcaubārācār bārcauthāī
5다섯pā̃cpā̃cvā̃, pañcamH, pãjamUpā̃cgunā, pacgunāpācõpā̃c bār
6여섯chehchaṭhā, chaṭhvā̃, ṣaṣṭH, šašmUchehgunācheõcheh bār
7일곱sātsātvā̃, saptamH, haftamUsātgunāsātõsāt bār
8여덟āṭhāṭhvā̃, așțamH, haštamUāṭhgunāāṭhõāṭh bār
9아홉naunauvā̃, navā̃, navamH, nahamUnaugunānauõnau bār
10dasdasvā̃, dašamH, dahamUdasgunādasõdas bārdašam
100sau, šatH, sadUsauvā̃, šatatamH, sadumUsaugunāsauõsau bār
1,000sahas, sahasraH, hazārBsahasvā̃, sahasratamH, hazārumH, hazārvā̃Bsahasgunā, hazārgunāsahasõ, hazārõsahas bār, hazār bār
100,000십만lākhlākhvā̃lākhgunālākhõlākh bār
10,000,000천만karoṛ, koțiHkaroṛvā̃, koțitamHkaroṛgunakaroṛõkaroṛ bār



''H'' = 힌디어; ''U'' = 우르두어; ''B'' = 둘 다 사용되지만 페르시아어에서 유래

2. 6. 후치사

힌디어와 우르두어는 한국어조사와 비슷한 후치사 체계를 갖는다. 격을 나타내는 후치사는 굴절 접사보다 독립성이 강해 교착적 접사로 분류된다. 후치사는 일반적으로 사격을 지배한다.[77] 주요 후치사는 다음과 같다.

  • '''का''' (kā) - 속격 표지 후치사. 명사를 수식할 때 형용사처럼 곡용한다. 즉, <X> + <का (kā)/ के (ke)/ की (kī)> + <Y> 형태는 '<X>의<Y>'가 된다.[77]
  • '''को''' (ko) - 여격 표지 후치사. 주로 간접 목적어에 쓰이며, 한정적인 경우 직접 목적어에도 쓰인다.[80]
  • '''ने''' (ne) - 능격 표지 후치사.
  • '''से''' (se) - 탈격 표지 후치사. 매우 다양한 의미로 쓰인다.
  • '''में''' (mẽ) - '-의 안에'.
  • '''पर''' (par) - '-의 위에'.
  • '''तक''' (tak) - '-까지'.


굴절 격 체계는 자체적으로 한계가 있어, 첨가어의 접미사 또는 입자 체계의 기반으로 작용한다. 이것은 후치사로 알려져 있으며, 영어의 전치사와 유사하다. 명사나 동사와 함께 사용하면 명사나 동사가 사격 형태를 취해야 한다.[14] 문법적 기능이나 "격 표시"의 중심은 여기에 있다. "단어 하나"로 이루어진 주요 격 표시 후치사는 8개이다.

격 표시자
표지예시영어설명
주격laṛkāthe boy주어를 표시
능격nelaṛke nethe boy타동사의 완료형에서 주어를 표시
대격kolaṛke kothe boy직접 목적어를 표시
여격to the boy직접 목적어를 표시; 독특한 주어도 표시 가능[15] (여격 구문 § 힌두스탄어 참조)
공구격selaṛke sewith the boy행위의 도구를 표시; "with", "using", "by"
탈격from the boy탈격, 경과격 표지; "from", "through", "along"
소유격laṛke kā'boys''소유를 나타냄
내격mẽlaṛke mẽin the boy어떤 것이 안에/내부에 있음을 나타냄
부착격pe/parlaṛke peon the boy어떤 것이 위에/에 있음을 나타냄
종결격taklaṛke taktill the boy끝이나 한계를 나타냄; "until", "till", "up to"
유사격laṛke sāboy-ish유사성과 유사함을 나타냄; "like", "similar to", "resembles","-esque", "-ish"



소유격 및 유사격 표지 변화
남성여성
단수복수단수복수
'

소유격과 유사격 후치사 '''kā''' & '''sā'''는 소유를 나타내는 대상과 유사성을 묘사하는 대상의 문법적 성, 문법적 수, 문법적 격에 일치하도록 변화한다.

'''bolnā''' (말하다/말하다)와 같은 일부 동사의 경우, 화자는 공구격 표지 '''se'''와 대격/여격 표지 '''ko'''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āhul se bolo'''와 '''rāhul ko bolo'''는 모두 "라훌에게 말해."로 번역된다. 그러나 둘 다 표현하는 뉘앙스는 다르며, 공구격 표지 '''se'''는 더 부드러운 어조를 가지고 있다. '''rāhul se bolo'''는 명령형의 제안과 더 가깝고, '''rāhul ko bolo'''는 명령이다.

위의 목록 외에도, 소유격 표지 '''kā''' (간접격 '''ke''' & '''kī''''')에 부사를 더한 복합 후치사가 다양하게 존재한다. 대명사와 함께 사용될 때는, 이 모든 복합 후치사는 소유격 간접격 대명사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소유격 간접격과 결합하기 전에 소유격 '''kī/ke'''를 생략해야 한다.

2. 7. 동사

힌디어와 우르두어의 동사 체계는 여러 시제, 상, 법, 등을 표현하는 포괄적인 활용 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존칭 표현이 발달해 있다.[81]

동사는 크게 상이 표현되는 형태와 그렇지 않은 형태, 한정 형태와 비한정 형태로 나뉘며, 분사 형태를 만들 수 있다.[83]

  • 상이 표현되지 않는 형태:
  • 비한정 형태
  • 어근: (달리다)
  • 부정사/동명사: (달리기)
  • 부정사 사격: `''dauṛne''`
  • 접속법: (달리고 나서)
  • 동작주형/예정형: (달리는 사람/달릴 예정인)
  • 한정 형태
  • 부정미래: ((만약 ...) 달린다면 / (그러면 ...) 달릴 것이다)
  • 구체적 미래: (달릴 것이다)

  • 상이 표현되는 형태:
  • 비한정 형태
  • 분사
  • 완망상: (달렸다)
  • 비완망상: (달리는)
  • 부사적 형태 및 분사 사격
  • 미완망상: `''dauṛte hue''` (달리면서)
  • 한정 형태
  • 현재 시제
  • 완망상: (달렸다)
  • 습관상: (달린다)
  • 진행상: (달리고 있다)
  • 과거 시제
  • 완망상: (달렸었다)
  • 습관상: (달리곤 했다)
  • 진행상: (달리고 있었다)
  • 접속법
  • 완망상: ((만약 ...) 달렸다면)
  • 습관상: ((만약 ...) (규칙적으로) 달린다면)
  • 진행상: ((만약 ...) 달리고 있다면)
  • 추정법
  • 완망상: (아마 달렸을 것이다)
  • 습관상: (아마 달릴 것이다)
  • 진행상: (아마 달리고 있을 것이다)
  • 반사실법
  • 완망상: ((만약 ...) 달렸다면 / (그러면 ...) 달렸을 것이다)
  • 습관상: ((만약 ...) 달리곤 했다면 / (그러면 ...) 달렸을 것이다 (규칙적으로))
  • 진행상: ((만약 ...) 달리고 있었다면 / (그러면 ...) 달리고 있었을 것이다)
  • 미정형
  • 완망상: (달렸다)
  • 습관상: `''dauṛtā''` (달린다)

  • 명령법: 대상에 따라 다양한 표현이 사용된다.[84]
  • 아주 친밀한 대상: `''dauṛ''` (달려)
  • 친밀한 대상: `''dauṛo''` (달려)
  • 예의를 갖춘 표현: `''dauṛiye''` (달리세요)
  • 공손한 표현: `''dauṛnā''` (달리세요)
  • 아주 공손한 표현: `''dauṛiye gā''` (달리세요)

동사 활용 형태 (3인칭 남성 단수 기준, 'dauṛnā' (달리다)):

아래 표는 형용사적(A) 및 인칭(P) 접사를 나타낸다.

{| class="wikitable"

|-

|

(A)단수복수
남성-ā-e
여성-ī-ī( ̃)



|

(P)1인칭2인칭3인칭
단수-ū̃-e
복수--o/ẽ-



|}

3. 음운론

힌디어와 우르두어는 대칭적인 모음 체계와 다양한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페르시아어 또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차용된 외래어에서만 발견되는 소리는 괄호 안에 표시되어 있다. 힌두스탄어의 음운론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힌두스탄어 음운론 및 IPA/힌디어와 우르두어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모음

힌두스탄어는 본래 대칭적인 10개의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ə], [ɪ], [ʊ]는 항상 짧게 발음되는 반면, [ɑː], [iː], [uː], [eː], [oː], [ɛː], [ɔː]는 항상 길게 발음된다. 여기에 더해 영어 차용어에서 발견되는 11번째 모음 /æː/가 있다.

} ||ī ||ई ||اِیْ ||ɪ|hi ||i ||इ ||اِ || || || || ||ʊ|hi ||u ||उ ||اُ ||uː|hi ||ū ||ऊ ||اُوْ

|-

!반폐모음

|eː|hi ||e ||ए ||اِےْ || || || || || || || || || || || ||oː|hi ||o ||ओ ||اُوْ

|-

!반개모음

|ɛː|hi ||ai || rowspan="2" |ऐ || rowspan="2" |اَےْ||(ɛ|hi)||ê||ऍ|| اْ||ə|hi||a||अ||اَ||(ɔ|hi)||ô||ऑ|| ||ɔː|hi||au||औ||اَوْ

|-

!개모음

|(æː|hi)||æ|| || || || || || || || || || || ||ɑː|hi||ā||आ||آ

|}

3. 2. 자음

힌두스탄어는 초기 인도아리아어에서 물려받은 28개의 핵심 자음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특정 단어 중간에서 내부적으로 발전한 두 개의 자음[2]과, 차용어에서 유래된 7개의 자음이 더해진다. 이들은 신분(계급, 교육 등)과 문화적 사용 영역(현대 표준 힌디어 대 우르두어)과 같은 요인에 따라 발음이 달라진다.

와 는 힌두스탄어에서 이음(allophone)이다. 이들은 영어에서는 서로 다른 음소이지만, 힌두스탄어에서는 음소 의 두 이음(힌디어로는 वhi로, 우르두어로는 وur로 표기)이며, 아랍어페르시아어에서 차용된 단어들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들은 ''조건부 이음''이다. 즉, 문맥에 따라 वhi가 로 발음될지, 로 발음될지에 대한 규칙이 적용된다. 힌디어 화자는 वhi를 (व्रतhi – ورتur '서약')에서는 로, (पकवानhi – پکوانur '음식 요리')에서는 로 발음하며, 이를 단일 음소로 취급하고 이음 간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지만, 영어 화자에게는 이러한 차이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규칙은 자음이 시작 자음과 뒤따르는 모음 사이에 위치하는 온글라이드 위치에서 반모음 로 발음된다는 것이다.[3]

아래는 힌두스탄어의 자음을 정리한 표이다.[4][5]

힌두스탄어의 모음
rowspan="3" |전설중설후설
장모음단모음단모음장모음
IPA문자IPA문자IPA문자IPA문자IPA문자
폐모음{{lang|hi|iː|}
힌두스탄어의 자음
colspan="2" rowspan="2" |순음
rowspan="13" |치음 / 치조음
rowspan="13" |권설음
rowspan="13" |구개음
rowspan="13" |연구개음
rowspan="13" |구개수음
rowspan="13" |성문음
IPA로마자문자IPA로마자문자IPA로마자문자IPA로마자문자IPA로마자문자IPA로마자문자IPA로마자문자
비음mمnنݨ()ñنیْن٘گ
파열음무성pپtتٹcچkک()qक़ق
무성 유기음phپھthتھṭhٹھchچھkhکھ
유성bبdدڈjجgگ
유성 유기음bhبھdhدھḍhڈھjhجھghگھ
탄음유성 전동음r / rrर / र्रر/ رّड़ڑ
유성 전동음 유기음ṛhढ़ڑھ
유성 탭[6]rر
마찰음무성fफ़فsس(ʂ)شؕśش()xख़خrowspan="3" |hہ
유성~v / wوzज़ز()zhझ़ژ()ġग़غ
접근음lلyی


4. 통사론

힌디어와 우르두어의 기본 어순은 SOV(주어-목적어-동사)이다. 그러나 엄격한 규칙은 없으며, 다양한 어순 변동이 가능하다.[89]

일반적인 어순은 다음과 같다.[89]


  • 간접 목적어는 직접 목적어 앞에 온다.
  • 한정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온다.
  • 부사는 수식하는 형용사 앞에 온다.
  • 부정(否定) 표지와 의문사는 동사 앞에 온다.
  • 문장 내에서 부정 표지와 의문사가 모두 나타날 경우, 의문사는 부정 표지 앞에 온다.
  • 가부의문문 표지 'kyā'는 절의 처음에 온다.


힌두스탄어는 단어 순서가 비교적 자유로운 언어이지만, 기본적인 어순은 SOV이다.[63] 문장 구성 요소의 순서는 엄격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규범적인 어순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많다.[64]

  • 주어는 일반적으로 문장의 직접 목적어 앞에 오지만, 두 목적어가 모두 대격이나 여격으로 표시될 경우에는 순서가 고정되어 모호함을 피한다. 힌두스탄어에서는 여격과 대격이 동일한 후치사 '''''ko'''''로 표시되기 때문이다.
  • 수식 형용사는 보통 명사 앞에 오지만, 명사 뒤에 위치하여 시적인 느낌을 주거나 형용사가 나타내는 속성을 강조할 수도 있다.
  • 부사는 일반적으로 동사 앞이나 뒤에 올 수 있다.
  • 부정 표지('nahī̃', 'na', 'mat')와 의문사는 보통 동사 앞에 오지만, 뒤에 올 수도 있다. 부정의 위치는 더 유연하며, 조동사가 있는 경우 조동사 앞이나 뒤에 올 수도 있다. 부정이 동사 뒤에 올 때는 항상 부정을 강조한다. 부정은 명사 앞에는 올 수 없다.
  • 예/아니오 질문 표지인 '''kyā''' ("무엇?")는 절의 시작이나 끝에 올 수 있지만, 동사 앞을 제외한 어느 곳에나 위치할 수 있다. 동사 앞에서는 "무엇"이라는 의문사로 해석된다.[65] 구어체에서는 'kyā'가 생략되고 질문의 마지막 단어가 더 높은 음조를 갖는 경우가 많다.


간단한 문장의 경우, 형용사, 부정, 부사가 없으면 모든 단어 순서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문장 앞에 나오는 정보가 강조되고, 문장 끝에 나오는 정보가 가장 덜 강조된다.[66][67]

[maĩ].1P.NOM.SG [baccā].아이.NOM.SG.MASC [hū̃].be.1P.SG[mujhe].1P.DAT [karnā].INF.PTCP.MASC.SG [hai].be.3P.SG
문장직역번역문장직역번역
1.maĩ baccā hū̃[나] [아이] [이다]나는 아이다.2.mujhe karnā hai[나에게] [하다] [이다]나는 해야/하고 싶다.
maĩ hū̃ baccā[나] [이다] [아이]mujhe hai karnā[나에게] [이다] [하다]
baccā maĩ hū̃[아이] [나] [이다]karnā mujhe hai[하다] [나에게] [이다]
baccā hū̃ maĩ[아이] [이다] [나]karnā hai mujhe[하다] [이다] [나에게]
hū̃ maĩ baccā[이다] [나] [아이]hai mujhe karnā[이다] [나에게] [하다]
hū̃ baccā maĩ[이다] [아이] [나]hai karnā mujhe[이다] [하다] [나에게]



여격과 대격이 모두 사용되지 않는 한, 단어 순서는 유연하다. 예를 들어, 장소격과 대격이 같은 문장에서 사용되면, 단어 순서는 유연한데, 장소격과 대격의 표지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힌두스탄어에서는 대격과 여격의 표지가 동일한데, 이는 명사의 경우 '''ko'''이고, 굴절 격 대명사 또는 여격과 대격에 동일한 고유 대명사 형식을 갖는다.[67]

번역: 그는/그녀는 그것 위에 가고 싶어한다/가야 한다.
[use].he/she.DEM.DAT [uspe].that.DEM.LOC [jānā].go.INF [hai].be.3P.SG
use uspe jānā haiuspe use jānā haijānā use uspe haihai use uspe jān̄ā
use uspe hai jānāuspe use hai jānājānā use hai uspehai use jān̄ā uspe
use jānā hai uspeuspe hai use jānājānā hai use uspehai jānā use uspe
use jānā uspe haiuspe hai jānā usejānā hai uspe usehai jānā uspe use
use hai uspe jānāuspe jānā hai usejānā uspe use haihai uspe use jānā
use hai jānā uspeuspe jānā use haijānā uspe hai usehai uspe jānā use
참고: 모든 단어 순서가 말이 되지만, 각각 고유의 뉘앙스와 특정 사용 맥락이 있다.


4. 1. 소유 표현

힌디어와 우르두어에서 소유 표현은 속격 'kā'나 후치사 'ke pās'와 동사 'honā'를 조합하여 나타낸다. 힌두스탄어에는 영어의 "to have"에 해당하는 동사가 없다.[1]

소유의 대상은 힌두스탄어에서 네 가지 주요 범주로 나뉜다.[1]

  • '''기본 소유:''' 가족 관계, 신체 부위 등과 같이 자연적으로 얻어 소유할 수 없는 영구적인 성격의 소유물이다. 소유격 'kā'가 소유 주어 뒤에 나타나며, 인칭 대명사와 함께 사용될 때는 소유 대명사를 사용한다.[1]


기본 소유
문장설명
1.merī mā̃ hai.|मेरी माँ है।hi나는 어머니가 있다.어머니가 아직 살아있다는 의미로, 근본적인 방식으로 여전히 어머니를 소유하고 있다는 뜻이다. 즉, "그녀는 당신의 어머니이다"라는 관계가 사실이다.
2.uskī do ā̃khẽ haĩ.|उसकी दो आँखें हैं।hi그는 두 눈을 가지고 있다.사람이 근본적으로/자연적으로 두 눈을 가지고 태어났음을 의미한다.
3.mere do bacce haĩ.|मेरे दो बच्चे हैं।hi나는 두 아이가 있다.두 아이의 부모임을 의미하며, 이 관계는 영구적이다.
4.merī nazar acchī nahī̃ hai.|मेरी नज़र अच्छी नहीं है।hi내 시력은 좋지 않다.시력은 사람의 기본적인 속성이므로 소유할 수 없다. 따라서 기본 소유가 사용된다.


  • '''비기본 소유:''' 물건, 생물(사람 포함) 등 얻거나 소유할 수 있는 소유물이다. 복합 후치사 'ke pās' (문자 그대로 "가까이에")가 사용되지만, "가까이"로 번역될 수는 없다.[1]


비기본 소유
문장설명
1.mere pās mā̃ hai.|मेरे पास माँ है।hi나는 어머니가 있다.기본 소유와 동일한 의미이지만, 당신과 당신의 어머니가 물리적으로 함께 있거나 가깝다는 뉘앙스가 있다.
2.uske pās do ā̃khẽ haĩ.|उसके पास दो आँखें हैं।hi그는 두 눈을 가지고 있다.기본 소유와 동일한 의미(실명과 반대)에 시력의 현재 능력에 대한 강조가 더해진다. 다른 사람의 눈을 소유한다는 추가적인 의미도 있다.
3.mere pās do bacce haĩ.|मेरे पास दो बच्चे हैं।hi나는 두 아이가 있다.다른 사람의 아이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며, 학교(교사-학생), 유괴 등의 상황에서 사용된다.
4.mere pās ek idea hai.|मेरे पास एक आइडिया है।hi나는 아이디어가 있다.아이디어를 소유하고 있다는 의미로, 아이디어가 떠올랐다는 뜻이다.


  • '''근접 소유:''' 누군가 또는 무언가가 자신 근처에 무언가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중 복합 후치사 'ke pās mẽ' (문자 그대로 "가까이에")가 사용되며, "근처"로 번역된다.[1]


근접 소유
문장
1."어머니가 내 곁에 있다." 또는 "나는 어머니가 내 곁에 있다."
2."그의 곁에 개 두 마리가 있다." 또는 "그는 개 두 마리가 그의 곁에 있다."
3."나는 내 곁에 아이 두 명을 두고 있다."
4."나는 내 곁에 집이 있다."


  • '''여격/추상 소유''': 고통, 문제, 욕구, 행복 등과 같은 추상적인 소유물, 또는 아이가 몇 명 있는지(입양되지 않고 출산한 경우)를 보여주는 데 사용된다. 여격 형태의 대명사 또는 여격 후치사 'ko'가 사용된다.[1]


여격/추상 소유
문장설명
1.mujhe ek dikkat hai.|मुझे एक दिक्कत है।hi나는 문제가 있다.문제는 추상 명사이므로 여격/추상 소유가 사용된다.
2.use usse do bacce haĩ.|उसे उससे दो बच्चे हैं।hi그녀는 그와 함께 아이가 둘 있다.아이가 몇 명 있는지(입양되지 않고 출산한 경우)를 보여주는 데 사용된다.
3.tujhe itnī xušī kyõ hai?|तुझे इतनी ख़ुशी क्यों है?hi왜 그렇게 행복하니? (lit|तुझे इतनी ख़ुशी क्यों है?hi)행복은 추상 명사이므로 여격/추상 소유가 사용된다.


참고: 동사 'honā'는 문맥에 따라 "이다", "가지다/소유하다", "존재하다", "일어나다"로 번역될 수 있다. 3인칭 단수 및 복수 활용형은 각각 "있다"와 "있다"로 번역될 수도 있다.[1]

4. 2. 복합 동사

합성 동사는 힌디어-우르두어 문법의 매우 두드러진 특징으로, 동사 어간과 경동사로 구성된다. 경동사( "보조 동사", "설명 동사", "벡터"라고도 함[49])는 자체적인 독립적인 의미를 잃고 대신 메인 동사 또는 어간 동사에 "특정한 의미의 뉘앙스를 부여"하며[50], 이는 "합성어의 어휘적 핵심을 구성"한다.[49] 거의 모든 동사가 메인 동사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생산적인 경동사 집합은 제한적이다.[51]

보조 동사는 메인 동사와 결합될 때 수정하는 메인 동사에 양상적 의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jānā''''' "가다", '''ānā''' "오다", '''cuknā''''' 와 같은 경동사는 메인 동사와 결합될 때 형성된 합성 동사에 완료 양상을 부여하는 동시에 메인 동사의 원래 의미를 유지한다.

완료 양상 합성 동사
경동사설명메인 동사예시
'jānā' "가다"메인 동사의 완료 양상(완료된 동작)을 나타낸다. 즉, 동작의 완결성, 종결성을 부여한다. 또는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다.[53]
'lenā' "가져가다"(보통 계획된/예상된) 동작이 완료되었고, 동작의 이점이 행위자에게 돌아감을 암시한다.[52] 이 보조 동사는 또한 명령형(명령)의 어조를 부드럽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제안을 할 때 사용된다. 계획/예상된 동작의 뉘앙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denā' "주다"(보통 계획된/예상된) 동작이 완료되었고, 동작의 이점이 행위자로부터 멀리 돌아감을 암시한다.[52] 이 보조 동사는 또한 명령형(명령)의 어조를 부드럽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호의를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계획/예상된 동작의 뉘앙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명령형에서 "~하게 하다"를 의미할 수도 있다. - 누군가가 하도록 놔두다: karne denā (간접)
'ānā' "오다"메인 동사의 완료 양상을 나타낸다. 즉, 동작의 완결성, 종결성 또는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다. 전달되는 의미는 행위자가 무언가를 하러 어딘가에 가서 그 동작을 완료한 후 돌아왔다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불특정/습관적 현재 시제에서 "어떻게 하는지 알다"를 의미할 수 있다 - 하는 방법을 알다: karnā ānā. karnā'1. 'kar' 'ānā' "끝내고 (돌아오다)", "하다 (그리고 돌아오다)";
'cuknā' "이미 (무언가를) 완료했다"과거의 동작의 완결성을 나타내며, 동작이 과거 어느 시점에 행위자에 의해 이미 완료/끝마쳐졌음을 의미한다.



위 표의 처음 세 개의 경동사는 보조 동사 중에서 가장 흔하며, "가장 표시가 적거나" "어휘적으로 거의 무색"하다.[54] 보조 동사가 전달하는 뉘앙스는 종종 매우 미묘하며, 영어 번역에서 항상 다른 단어로 표현될 필요는 없다. '''''lenā''''' 와 '''''denā'''''는 타동사이며, 타동사와 함께 발생하고, 비타동사 '''''jānā'''''는 주로 비타동사와 함께 발생한다. 타동사와 '''''jānā'''''의 합성어는 '''''jānā'''''가 그러하듯이 문법적으로 비타동사가 된다.

경동사설명예시
'ḍālnāhi' "던지다, 붓다"강력하게, 단호하게, 폭력적으로 또는 무모하게 행해진 동작을 나타낸다.[55] 강화어로, 강도, 긴급성, 완결성 또는 폭력을 나타낸다.[56]
'baiṭhnāhi' "앉다"어리석거나 고집스럽게 행해진 동작을 의미한다.[57] 화자의 비승인을 보여준다. 또는 충동적이거나 자발적인 동작을 보여준다.[56]
'paṛnāhi' "갑자기 넘어지다", "평평하게 눕다"자발적이지 않고, 갑작스럽거나, 피할 수 없는 발생을 함축한다.;[54] 이것은 또한 완료 시제에서 "해야 한다, 해야만 한다"를 의미할 수 있다 - 해야 한다: karnā paṛnā
'uṭhnāhi' "일어나다"강화어처럼 작동한다.;[58] 동작이나 감정의 시작을 암시한다. 때로는 독립적인/문자적인 의미가 상승 운동의 의미로 나타난다.
'saknāhi' "할 수 있다"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조동사이다.
'rakhnā' "유지하다, 보존하다"동작의 확고함, 또는 장기간의 결과나 함축을 암시한다.[59] 'lenā''denā'와 함께 발생하며, "대출로 주다/가져가다"를 의미한다. 다른 적절한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미리 수행된 동작을 나타낸다.[56] 그것은 보통 'cuknā와 거의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며, 주된 차이점은 전달되는 뉘앙스이다. akhnā 는 동작이 "현재까지 계속적인 효과가 있거나"또는 "uknā 사용하여 전달되는 동일한 동작보다 더 최근이라는 것이다." uknā 는 먼 과거를 나타낸다.''1. 'dekhnā' "보다" → 'dekh rakhnā' "이미 봤다."
'rahnā' "남아있다/머무르다"지속 양상 표지 'rahā'는 분명히 'rahnā' ("남다")와의 합성 동사로 시작되었다. 따라서 'maĩ bol rahā hū̃' = "나는 말하는 상태로 남았다" → "나는 계속 말해왔다" → "나는 말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비완료형 이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능력을 잃어버렸고, 따라서 문법화된 것으로 간주된다.[60]



사건의 "방식"과 관련하여 합성 동사는 주로 완료된 동작 및 명령형과 함께 사용되며, 부정형, 접속형, 지속적 또는 추측적 맥락에서는 훨씬 덜 사용된다. 이는 비발생 사건이 특정 방식으로 발생했다고 묘사될 수 없기 때문이다.[52]

4. 3. 결합 동사

힌디어-우르두어에서 결합 동사명사형용사가 일반적인 동사화 요소와 결합된 형태이다.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동사화 요소는 타동사인 '''''karnā''''' (करना|카르나hi, "하다") 또는 자동사인 '''''honā''''' (होना|호나hi, "이다", "일어나다")이다.[61] '''''karnā'''''를 사용해 형성된 결합 동사는 타동사이며, '''''honā'''''를 사용해 형성된 결합 동사는 자동사이다.

형용사가 비동사적 요소인 경우, '''''karnā'''''는 "~하게 하다", "~하게 만들다"와 같은 의미를 추가한다.

형용사결합 동사직역의미
'sāf' (साफ़|사프hi, "깨끗한")sāf karnā (साफ़ करना|사프 카르나hi)깨끗하게 하다청소하다
'nyuktH / muqarrar'U (नियुक्त|니육트hi / مقرر|무카르라르ur, "임명된")nyukt / muqarrar karnā (नियुक्त करना|니육트 카르나hi / مقرر کرنا|무카르라르 카르나ur)임명하다임명하다
'band' (बंद|반드hi, "닫힌")band honā (बंद होना|반드 호나hi)닫히다닫히다 (자동사)
'xatam' (ख़तम|하탐hi, "끝난")xatam honā (ख़तम होना|하탐 호나hi)끝나다끝나다 (자동사)



명사가 비동사적 요소인 경우, 명사는 구문론적으로 동사의 직접 목적어로 취급되며, 결합 동사 표현의 의미론적 환자 또는 행위자는 종종 명사의 소유격 ('''''-kā'' ~ ''ke'' ~ ''kī''''')으로 표현된다.[61]

명사결합 동사결합 동사 + 환자직역의미
'intezār' (इंतज़ार|인테자르hi, "기다림")intezār karnā (इंतज़ार करना|인테자르 카르나hi)kisī kā intezār karnā (किसी का इंतज़ार करना|키시 카 인테자르 카르나hi)누군가의 기다림을 하다누군가를 기다리다
'istemāl' (इस्तेमाल|이스테말hi, "사용")istemāl karnā (इस्तेमाल करना|이스테말 카르나hi)fon kā istemāl karnā (फ़ोन का इस्तेमाल करना|폰 카 이스테말 카르나hi)전화의 사용을 하다전화를 사용하다
'bāt' (बात|바트hi, "말")bāt karnā (बात करना|바트 카르나hi)samīr kī bāt karnā (समीर की बात करना|사미르 키 바트 카르나hi)사미르의 말을 하다사미르에 대해 말하다
'gālī' (गाली|갈리hi, "욕/나쁜 말")gālī khānā (गाली खाना|갈리 카나hi)sanam kī gālī khānā (सनम की गाली खाना|사남 키 갈리 카나hi)애인의 저주를 먹다애인에게 욕을 먹다
'tasvīr' (तस्वीर|타스비르hi, "사진")tasvīr khīñcnā (तस्वीर खींचना|타스비르 킨치나hi)Ibrāhīm kī tasvīr khīñcnā (इब्राहिम की तस्वीर खींचना|이브라힘 키 타스비르 킨치나hi)이브라힘의 사진을 당기다이브라힘의 사진을 찍다



영어 동사 어간은 '''''honā''''' (자동사) 또는 '''''karnā''''' (타동사)를 사용하여 힌디어에서 복합 동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된다.

영어 동사힌디어 동사 어간결합 동사의미
checkcêk (चेक|체크hi)cêk honā (चेक होना|체크 호나hi)검사받다/확인되다
cêk karnā (चेक करना|체크 카르나hi)검사하다 (누군가/무언가를)
borebor (बोर|보르hi)bor honā (बोर होना|보르 호나hi)지루해지다/지루해하다
bor karnā (बोर करना|보르 카르나hi)지루하게 하다 (누군가를)
applyaplāi (एप्लाई|아플라이hi)aplāi honā (एप्लाई होना|아플라이 호나hi)신청되다/적용되다
aplāi karnā (एप्लाई करना|아플라이 카르나hi)신청하다 (무언가를)


4. 4. 수동태

수동태 구문은 주변형이다. 이는 완료 분사에 조동사 '''''jānā''''' "가다"를 추가하여 형성된다. 즉, '''''likhnā''''' "쓰다" → '''''likhā jānā''''' "쓰여지다"와 같다. 행위자는 도구격 조사 '''''se'''''로 표시된다. 또한, 자동사와 타동사 모두 문법적으로 수동태로 전환되어, 주로 부정문에서 신체적/심리적 무능력을 나타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동사는 종종 수동적 의미를 가지거나, 의도하지 않은 행동을 전달한다.[62]

4. 5. 관계절

힌두스탄어는 영어와 같이 명사 뒤에 관계절을 사용하는 대신, 상관 관계절을 사용한다. 힌두스탄어에서 상관 관계절은 전체 절의 앞이나 뒤, 형용사, 명사, 대명사 또는 수식하는 동사 앞에 올 수 있다.[69]

관계 대명사 위치
문장참고
1.jo laṛkī khaṛī hai vo lambī hai|서 있는 소녀, 그녀는 키가 크다.hi명사 앞 관계절[70]
2.bacca jo cillātā hai bura hai|소리 지르는 아이는 나쁘다.hi명사 뒤 관계절[69]
3.vo khātā hai jo vo khātā hai|그는 그가 먹는 것을 먹는다.hi동사 뒤 관계절[69]
4.karo jo karnā hai [tumko]|당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하세요.hi동사 앞 관계절[69]
5.jo karo sahī karo|당신이 하는 일을 제대로 하세요.hi동사 앞 관계절[69]
6.acchī̃ nahī̃ haĩ vo jo gātī̃ haĩ|노래하는 [여성들]은 좋지 않다.hi대명사 뒤 관계절[69]
7.jo tum karoge sahī karoge|당신이 할 일은 제대로 할 것입니다.hi대명사 앞 관계절[69]
8.acchī jo haī vo vo laṛkī haī|좋은 소녀는 그녀이다.hi형용사 뒤 관계절[69]
9.jo acchī haī vo vo laṛkī haī|좋은 소녀는 그녀이다.hi형용사 앞 관계절[69]


참고: 관계 대명사 '''jo'''는 "''무엇''"과 "''누구''"의 관계 대명사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4. 6. 격표시와 동사 일치

힌디어와 우르두어는 삼자 격 표시 체계를 따르는데, 이는 자동사절의 주어(S), 타동사절의 행위자(A) 및 목적어(O)가 각각 구별되는 격 형태로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71][72] 자동사절에서는 주어가 주격이며, 동사는 주어와 일치한다.[71]

타동사절에는 세 가지 패턴이 있다.[73]

1. 생물/정해진 목적어를 가진 완료 절: 행위자는 대격 표시자 ''ne''를, 목적어는 대격 표시자 ''ko''를 사용한다. 동사는 행위자나 목적어와 일치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3인칭 남성 단수('''''calāyā hai''''')로 표시된다.

2. 무생물/불확정 목적어를 가진 완료 절: 행위자는 대격 표시자를 유지하지만 목적어는 주격이다. 동사는 목적어와 일치한다.

3. 비완료 절: 행위자는 주격이며 동사에 일치를 유발한다. 목적어는 생물/정해짐에 따라 주격 또는 대격이다.

다음 표는 세 가지 기본적인 격 표시 및 일치 유형을 요약한 것이다.

colspan=2 rowspan=2 |격 표시동사 일치
S*AO타동사자동사
완료 절정해진 목적어주격대격대격없음S와 함께
불확정 목적어주격대격주격O와 함께
비완료 절주격주격주격/대격A와 함께S와 함께
*S는 자동사 절의 주어이다. AO는 각각 타동사 절의 행위자와 목적어이다.



힌두스탄어는 다른 인도 아리아어군 언어와 마찬가지로 주어(DSM)와 목적어(DOM)에 차등 격 표시를 사용한다.[74]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3] 간행물 Implications of Hindi Prosodic Structure (Current Trends in Phonology: Models and Methods) https://books.google[...] European Studies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Salford Press, 1996
[4] 간행물
[5] 간행물
[6] 문서
[7] 서적 Hindi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6
[8] 논문 Aspect, Tense, and Mood in the Hindi Verb 1975
[9] 간행물
[10] 서적 Hindi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간행물 Outline of Hindi Grammar Clarendon Press
[14] 간행물
[15] 문서
[16] 간행물
[17] 간행물
[18] 간행물
[19] 서적 A Primer of Modern Standard Hindi Motilal Banarsidass
[20] 문서
[21] 간행물
[22] 간행물
[23] 간행물
[24] 간행물
[25] 간행물
[26] 간행물
[27] 간행물
[28] 간행물
[29] 간행물
[30] 간행물
[31] 간행물
[32] 간행물
[33] 간행물
[34] 서적 A Primer of Modern Standard Hindi Motilal Banarsidass
[35] 간행물
[36] 서적 Colloquial Hindi Routledge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웹사이트 Hindi-Urduː Dative Subject Construction https://open.lib.umn[...]
[46] 학위논문 Optional ergative case marking in Hindi 2016-05
[47] 문서
[48] 문서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논문
[57] 논문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서적 Theoretical Perspectives on Word Order in South Asian Languages CSLI Publications
[64] 논문
[65] 간행물 Polar question particles: Hindi-Urdu kya 2020-11
[66] 간행물 Focus, Word Order and Intonation in Hindi https://ojs.ub.uni-k[...] 2008-11-17
[67] 서적 The Yearbook of South Asian Languages and Linguistics (2004)
[68] 서적 Case in Hindi http://csli-publicat[...] CSLI Publications 2005
[69] 서적 Locality in WH Quantification
[70] 간행물 The Hindi correlative as an overtly pronounced index https://ojs.ub.uni-k[...] 2016-11-23
[71] 서적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Online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0-06-26
[72] 서적 Alignment and Ergativity in New Indo-Aryan Languages De Gruyter Mouton
[7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rgativity Oxford University Press
[74] 서적 Competition and Variation in Natural Languages
[75] 서적 Diachrony of differential argument marking Language Science Press 2018
[76] 문서 Shapiro (2003:262–263)
[77] 문서 Shapiro (2003:264)
[78] 문서 Shapiro (2003:264–265)
[79] 문서 Shapiro (2003:265)
[80] 문서 Snell & Weightman (1989:67)
[81] 문서 Masica (1991:257)
[82] 문서 Shapiro (2003:266)
[83] 문서 Schmidt (2003:323)
[84] 문서 Shapiro (2003:268)
[85] 문서 Schmidt (2003:328)
[86] 문서 Snell & Weightman (1989:64)
[87] 문서 Snell & Weightman (1989:113, 125)
[88] 문서 Schmidt (2003:331)
[89] 문서 Shapiro (2003:2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