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아시안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4년 아시안 게임은 이란 테헤란에서 개최된 제7회 아시안 게임으로, 1968년 아시아 경기 연맹 총회에서 테헤란이 개최 도시로 선정되었다. 25개국이 참가하여 육상, 수영, 사격 등 16개 종목에서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펜싱, 체조, 여자 농구가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텔레비전 중계가 시작되었다. 이스라엘은 아랍 국가들의 보이콧으로 인해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지 못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 김중일의 금지 약물 복용, 이란의 역도 메달 수 증가, 남북한의 치열한 종합 순위 경쟁 등 다양한 사건과 논란이 있었다. 일본이 금메달 75개로 1위를, 이란이 2위를, 중화인민공화국이 3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74년 아시안 게임 | |
---|---|
대회 개요 | |
정식 명칭 | 제7회 아시아 경기 대회 |
슬로건 | 영원히 앞으로 |
개최 도시 | 이란 테헤란 |
참가국 | 26개국 |
참가 선수 | 3,010명 |
경기 종목 | 16개 종목, 200개 세부 종목 |
개막일 | 1974년 9월 2일 |
폐막일 | 1974년 9월 16일 |
개회 선언 |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이란의 샤) |
선수 선서 | 만수르 바르제가르 |
성화 점화 | 골베르디 페이마니 |
주경기장 | 아자디 스타디움(아리아메르 스타디움)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방콕 1970 |
다음 대회 | 방콕 1978 |
기타 | |
웹사이트 | ocasia.org (보관됨) |
2. 유치 신청 도시
1968년 1월 11일부터 1월 12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열린 아시아 경기 연맹(AGF) 총회에서 이란의 테헤란이 쿠웨이트 쿠웨이트시티, 이스라엘 텔아비브를 제치고 1974년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로 선정되었다.[1]
이 회의는 1970년 방콕 아시안 게임 기간 중에 열린 회의에서 틀이 마련되었으며, 아시아 9개국 국가 올림픽 위원회 대표들이 참석하였다.
2. 1. 투표 결과
1968년 1월 11일부터 1월 12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열린 아시아 경기 연맹(AGF) 총회에서 이란 테헤란이 쿠웨이트 쿠웨이트시티, 이스라엘 텔아비브를 누르고 1974년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로 선정되었다.
아미르 아바스 호베이다 당시 이란 총리가 이끄는 특별 위원회가 제7회 아시안 게임의 조직 책임을 맡았다.
3. 대회 조직
4. 경기 시설
1974년 아시안 게임의 주요 경기장은 다목적 스포츠 단지인 아리아메르 스포츠 단지 내에 있었다. 이 경기장은 압둘아지즈 파르만파르마이안과 스키드모어, 오윙스 & 메릴이 설계했으며, 1971년 4월 1일에 완공되었다. 총 건설에는 10만 명의 인력이 필요했다. 이 경기장은 당시 이란의 국왕인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를 가리키는 "아리아인의 빛"이라는 뜻의 아리아메르를 따서 명명되었다.경기장 종목 아리아메르 스포츠 단지 수영, 육상, 농구, 사이클, 펜싱, 체조, 필드하키, 축구, 배구, 사격, 탁구, 역도, 레슬링 암자디에 스포츠 단지 배드민턴, 축구 모하마드 레자 샤 스타디움 복싱 샤한샤히 클럽 사격, 테니스 아파다나 스타디움 축구 암자디에 국제 스타디움 축구
4. 1. 주요 경기장
1974년 아시안 게임의 주요 경기장은 다목적 스포츠 단지인 아리아메르 스포츠 단지 내에 있었다.
이 경기장은 압둘아지즈 파르만파르마이안과 스키드모어, 오윙스 & 메릴이 설계했으며, 총 건설에는 10만 명의 인력이 필요했고, 1971년 4월 1일에 완공되었다. 이 경기장은 당시 이란의 국왕인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를 가리키는 "아리아인의 빛"이라는 뜻의 아리아메르를 따서 명명되었다.
경기장 | 종목 |
---|---|
아리아메르 스포츠 단지 | 수영, 육상, 농구, 사이클, 펜싱, 체조, 필드하키, 축구, 배구, 사격, 탁구, 역도, 레슬링 |
암자디에 스포츠 단지 | 배드민턴, 축구 |
모하마드 레자 샤 스타디움 | 복싱 |
샤한샤히 클럽 | 사격, 테니스 |
아파다나 스타디움 | 축구 |
암자디에 국제 스타디움 | 축구 |
5. 개막식
1974년 9월 1일, 제7회 아시안 게임이 이란 테헤란의 아리아메르 스타디움에서 공식적으로 개막되었다. 개막식에는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이란 샤, 아미르 아바스 호베이다 이란 총리, 이란 정부 각료, 에프라임 카치르 이스라엘 대통령, 박정희 대한민국 대통령, 푸미폰 아둔야뎃 태국 국왕을 비롯한 외교 사절단 및 참가국 아시아 NOC 대표들이 참석했다. 스타디움에는 약 10만 명의 관중이 운집했으며, 아시아 게임 연맹 회장 야다벤드라 싱 왕자의 연설 후 모하마드 레자 샤가 대회를 공식 개막했다. 개막식에서는 태국 쭐랄롱꼰 대학교 학생들이 카드 묘기를 선보였다.[9]
6. 종목
육상, 수영, 사격, 사이클, 역도, 체조, 레슬링, 복싱, 탁구, 농구, 배구, 축구, 테니스, 배드민턴, 펜싱, 필드하키, 수구
7. 참가국
총 25개국이 참가했다. 라오스, 몽골, 바레인, 이라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쿠웨이트가 처음으로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였다. 아시아 경기 연맹(AGF)은 1973년 11월 16일에 개최된 총회에서 회원국 투표를 통해 중화인민공화국을 회원국으로 받아들이고 대만(중화민국)을 축출하는 안건을 찬성 38표, 반대 13표, 기권 5표로 통과시켰다.[13] 이를 계기로 대만은 1974년 아시안 게임부터 1986년 아시안 게임까지 불참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선수단 없이 임원만 파견하였다.
참가국은 다음과 같다.
국가 |
---|
아프가니스탄 |
바레인 |
미얀마 |
중화인민공화국 |
홍콩 |
인도 |
인도네시아 |
이란 (개최국) |
이라크 |
이스라엘 |
일본 |
크메르 공화국 |
쿠웨이트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몽골 |
네팔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파키스탄 |
필리핀 |
싱가포르 |
대한민국 |
남베트남 |
스리랑카 |
태국 |
다음 국가는 선수단이 참가하지 않았고, 임원만 파견하였다.
국가 올림픽 위원회별 선수 수는 다음과 같다. (선수 수가 많은 순서대로 정렬)
IOC 코드 | 국가 | 선수 수 |
---|---|---|
IRN | 이란 | 400 |
JPN | 일본 | 291 |
CHN | 중화인민공화국 | 269 |
KOR | 대한민국 | 206 |
PRK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62 |
IND | 인도 | 155 |
PAK | 파키스탄 | 154 |
IRQ | 이라크 | 117 |
KUW | 쿠웨이트 | 100 |
MAL | 말레이시아 | 100 |
THA | 태국 | 97 |
ISR | 이스라엘 | 61 |
PHI | 필리핀 | 47 |
SIN | 싱가포르 | 47 |
BIR | 미얀마 | 46 |
BRN | 바레인 | 37 |
HKG | 홍콩 | 37 |
SRI | 스리랑카 | 29 |
KHM | 크메르 공화국 | 25 |
INA | 인도네시아 | 21 |
NEP | 네팔 | 17 |
MGL | 몽골 | 15 |
VNM | 남베트남 | 12 |
AFG | 아프가니스탄 | 10 |
LAO | 라오스 | 4 |
8. 경기 일정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수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