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04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2단계로 진행되었다. 41개 팀이 참가했으며, 상위 21개 팀은 2차 예선에 직행하고 하위 20개 팀은 1차 예선부터 참여했다. 1차 예선은 7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2차 예선은 1차 예선 통과 팀과 직행 팀을 포함한 7개 조로 편성되어 각 조 1, 2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2차 예선에 직행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FC 아시안컵 예선 -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방식을 공유하여 4단계로 진행되었고, 총 24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하여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다퉜으며, 개최국 참가 및 동티모르 몰수패 등의 사건이 있었다.
  • AFC 아시안컵 예선 -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총 10개 조로 나뉜 조별 리그에서 각 조 1위 팀들이 본선에 진출하여 이라크,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중국, 쿠웨이트, 일본, 카타르, 대한민국, 태국, 이란이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회이다.
  • 2003년 축구 -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프랑스에서 개최되었으며, 프랑스가 결승에서 카메룬을 꺾고 우승했으며 티에리 앙리가 골든볼과 골든슈를 수상했다.
  • 2003년 축구 - 라리가 2002-03
    라리가 2002-03 시즌은 스페인 프로 축구 리그의 72번째 시즌으로, 20개 팀이 참가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우승을 차지했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라싱 산탄데르, 레크레아티보 우엘바가 승격했으며, FC 바르셀로나의 부진과 레알 마드리드의 갈락티코스 정책, 로이 마카이의 득점왕, 파블로 카바예로의 트로페오 사모라 수상 등이 주요 특징이다.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이름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영어 대회 이름2004 AFC Asian Cup qualification
일본어 대회 이름AFCアジアカップ2004 (예선)
기간2003년 3월 21일 – 2003년 12월 3일
참가 팀 수43개
연맹 수1개
이전 대회2000년
다음 대회2007년
통계
득점왕유니스 마흐무드
김도훈
유스리 알 바샤
최다 득점7골 (각 선수)

2. 진행 방식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41개 팀 가운데 상위 21개 팀은 2차 예선에 직행하고 하위 20개 팀은 1차 예선부터 참가한다.

1차 예선은 20개 팀을 7개 조로 나누어 경기를 치르는데,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서 지정한 도시에서 단일 라운드 형식으로 진행되고 G조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조 1위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한다.

최종 예선은 2차 예선에 직행한 21개 팀과 1차 예선을 통과한 7개 팀을 7개 조로 나누어 편성하며 한 팀당 6경기를 치른다. 각 조에서 1위, 2위를 차지한 팀은 본선에 진출한다.

3. 참가 팀

'''2차 예선에 직행하는 21개 팀'''

2차 예선에는 2000년 AFC 아시안컵에서 우승한 일본을 비롯한 21개 팀이 직행했다. 이들은 2000년 10월 26일부터 2003년 11월 28일까지 AFC 아시안컵 예선 성적에 따라 자동 진출하였다.



'''1차 예선부터 참가하는 20개 팀'''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1차 예선에는 다음 20개 팀이 참가했다.

  • 키르기스스탄/Кыргызстанky
  • 몰디브/ދިވެހިރާއްޖެ디베히어
  • 인도/भारतhi
  • 방글라데시/বাংলাদেশbn
  • 스리랑카/ශ්‍රී ලංකාsi
  • 파키스탄/پاکستانur
  • 네팔/नेपालne
  • 부탄/འབྲུག་ཡུལ།dz
  • 미얀마/မြန်မာmy
  • 라오스/ປະເທດລາວlo
  • 몽골/Монгол Улсmn
  • 홍콩/香港중국어
  • 캄보디아/កម្ពុជាkm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브루나이/بروني دارالسلامms
  • 동티모르/Timor-Lestept
  • 아프가니스탄/افغانستانfa
  • 마카오/澳門중국어
  • 괌/Guam영어

3. 1. 2차 예선 직행 팀 (21개 팀)

2차 예선에는 2000년 AFC 아시안컵에서 우승한 일본을 비롯한 21개 팀이 직행했다. 이들은 2000년 10월 26일부터 2003년 11월 28일까지 AFC 아시안컵 예선 성적에 따라 자동 진출하였다.

3. 2. 1차 예선 참가 팀 (20개 팀)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1차 예선에는 다음 20개 팀이 참가했다.

  • 키르기스스탄/Кыргызстанky
  • 몰디브/ދިވެހިރާއްޖެ디베히어
  • 인도/भारतhi
  • 방글라데시/বাংলাদেশbn
  • 스리랑카/ශ්‍රී ලංකාsi
  • 파키스탄/پاکستانur
  • 네팔/नेपालne
  • 부탄/འབྲུག་ཡུལ།dz
  • 미얀마/မြန်မာmy
  • 라오스/ປະເທດລາວlo
  • 몽골/Монгол Улсmn
  • 홍콩/香港중국어
  • 캄보디아/កម្ពុជាkm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브루나이/بروني دارالسلامms
  • 동티모르/Timor-Lestept
  • 아프가니스탄/افغانستانfa
  • 마카오/澳門중국어
  • 괌/Guam영어

4. 예선 추첨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조 추첨은 2002년 12월 7일에 중국 베이징에서 진행되었다.[5][6]



최종 예선 추첨 결과
A조B조C조D조
우즈베키스탄
태국
타지키스탄
1차 예선 D조 1위*
카타르
쿠웨이트
팔레스타인
1차 예선 E조 1위*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인도네시아
1차 예선 F조 1위*
이란
요르단
레바논
1차 예선 G조 1위*
E조F조G조
대한민국
오만
베트남
1차 예선 C조 1위*
이라크
바레인
말레이시아
1차 예선 A조 1위*
아랍에미리트
시리아
투르크메니스탄
1차 예선 B조 1위*



(*) 추첨 당시에는 1차 예선 각 조 1위 팀이 어느 팀인지 결정되지 않았다.

4. 1. 1차 예선 추첨 결과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조 추첨은 2002년 12월 7일에 중국 베이징에서 진행되었다.[5][6]


4. 2. 최종 예선 추첨 결과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조 추첨은 2002년 12월 7일에 중국 베이징에서 진행되었다.[5][6]

최종 예선 추첨 결과
A조B조C조D조
우즈베키스탄
태국
타지키스탄
1차 예선 D조 1위*
카타르
쿠웨이트
팔레스타인
1차 예선 E조 1위*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인도네시아
1차 예선 F조 1위*
이란
요르단
레바논
1차 예선 G조 1위*
E조F조G조
대한민국
오만
베트남
1차 예선 C조 1위*
이라크
바레인
말레이시아
1차 예선 A조 1위*
아랍에미리트
시리아
투르크메니스탄
1차 예선 B조 1위*



(*) 추첨 당시에는 1차 예선 각 조 1위 팀이 어느 팀인지 결정되지 않았다.

5. 1차 예선 결과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1차 예선은 2003년에 열렸으며, 각 조에서 1위를 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경기승점
미얀마/မြန်မာmy220070+76
몰디브/ދިވެހިރާއްޖެ디베히어201113-21
브루나이/بروني دارالسلامms201116-51



2003년 3월 21일 브루나이몰디브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2003년 3월 23일 미얀마브루나이를 5-0으로 대파했다. 2003년 3월 25일 미얀마몰디브를 2-0으로 꺾었다.



경기승점
스리랑카/ශ්‍රී ලංකාsi220053+26
중화 타이베이/中華臺北중국어210142+23
동티모르/Timor-Lestetet200226-40



2003년 3월 21일 동티모르스리랑카의 경기에서 스리랑카가 3-2로 승리했다. 2003년 3월 23일 중화 타이베이동티모르를 3-0으로 이겼다. 2003년 3월 25일 스리랑카중화 타이베이를 2-1로 제압했다.



경기승점
네팔/नेपालne210142+23
키르기스스탄/Кыргызстанky210132+13
아프가니스탄/افغانستانps210125-33



2003년 3월 16일 키르기스스탄아프가니스탄의 경기에서 아프가니스탄이 2-1로 이겼다. 2003년 3월 18일 아프가니스탄네팔에 0-4로 패했다. 2003년 3월 20일 네팔키르기스스탄에 0-2로 졌다.



경기승점
홍콩/香港중국어211073+44
라오스/ປະເທດລາວlo210136-33
방글라데시/বাংলাদেশbn201134-11



2003년 3월 25일 라오스홍콩의 경기에서 홍콩이 5-1로 대승을 거두었다. 2003년 3월 27일 방글라데시라오스에 1-2로 패했다. 2003년 3월 30일 홍콩방글라데시는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경기승점
싱가포르/新加坡중국어220050+56
파키스탄/پاکستانur21013303
마카오/澳門중국어200205-50



2003년 3월 21일 마카오파키스탄의 경기에서 파키스탄이 3-0으로 승리했다. 2003년 3월 23일 싱가포르마카오를 2-0으로 이겼다. 2003년 3월 25일 파키스탄싱가포르에 0-3으로 패했다.


  • F조에서는 부탄몽골을 상대로 각각 1승 1무를 기록했으나, 골득실에서 앞선 부탄이 1위를 차지했다. 경기는 모두 부탄 팀푸에서 열렸다.


경기승점
부탄/འབྲུག་ཡུལ།dz211060+64
몽골/Монголmn211050+54
괌/Guåhånch2002011-110



2003년 4월 23일 부탄의 경기에서 부탄이 6-0으로 크게 이겼다. 2003년 4월 25일 몽골을 5-0으로 꺾었다. 2003년 4월 27일 부탄몽골은 0-0으로 비겼다.



경기승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211031+24
인도/भारतhi201113-21



2003년 3월 2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인도를 2-0으로 이겼다. 경기는 평양에서 열렸다. 2003년 3월 30일 인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1로 비겼다. 경기는 마르가오에서 개최되었다.

6. 최종 예선 결과

wikitable

국가승점경기득실차
우즈베키스탄136411136+7
태국96303107+3
타지키스탄8622235-2
홍콩46114311-8


2003년11월 6일





2003년11월 8일





2003년11월 10일




2003년11월 17일





2003년11월 19일





2003년11월 21일





국가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쿠웨이트166510175+12
카타르116321106+4
싱가포르46114311-8
팔레스타인26024311-8


  • 모든 경기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지만, 팔레스타인의 홈 경기는 상대 국가에서 개최되었다.

2003년 9월 4일



2003년 9월 14일



2003년 9월 20일



2003년 9월 24일



2003년 9월 27일





2003년 10월 5일



2003년 10월 8일



2003년 10월 19일



2003년 10월 22일



2003년 11월 19일



2003년 11월 29일



국가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사우디 아라비아186600311+30
인도네시아106312913-4
예멘7621315150
부탄06006026-26


  • 개최지: 사우디 아라비아, 지다

2003년 10월 6일

사우디 아라비아7 - 0 예멘





2003년 10월 8일



사우디 아라비아6 - 0 부탄



2003년 10월 10일

사우디 아라비아5 - 0 인도네시아





2003년 10월 13일

예멘1 - 3 사우디 아라비아





2003년 10월 15일



부탄0 - 4 사우디 아라비아



2003년 10월 17일

인도네시아0 - 6 사우디 아라비아





국가승점경기득실차
이란156501165+11
요르단156501136+7
레바논4611428-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6015214-12



2003년9월 4일



2003년9월 5일



2003년9월 26일



2003년10월 17일



2003년10월 27일



2003년11월 3일



2003년11월 12일





이란(홈)-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전은 이란이 1-0으로 리드하고 있던 중, 61분에 관중이 경기장에 폭죽을 던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에게 맞은 것으로 인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가 경기장을 떠났다. 심판이 선수에게 경기장으로 돌아오라고 지시했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이 거부하여 몰수 경기 (이란의 3-0 승리 처리)로 처리되었다. 한편 이란에 대해서는 다음 홈 경기(AFC 또는 FIFA 관할) 3경기를 무관중 경기로 하는 처분이 내려졌다[2]

2003년11월 18일



2003년11월 19일



2003년11월 28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홈)-요르단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이 요르단 선수의 입국을 허가하지 않아 (예정대로 경기가 개최될 수 있도록 비자가 발급되지 않음) 경기가 개최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 경기를 0-3의 패배로 처리되었다[2]。또한 AFC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해 경기를 정상적으로 개최하지 않은 것에 대한 징계로 AFC가 주최하는 경기에 1년간 참가 자격 정지, 및 다음 AFC 아시안컵 참가 자격 정지를 결정했다.

국가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오만156501242+22
대한민국126402304+26
베트남96303813-5
네팔06006043-43


2003년 9월 25일





2003년 9월 27일

{| border=0 cellspacing

6. 1. 대한민국 경기 (최종 예선 E조)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E조에서 대한민국은 오만, 베트남, 네팔과 함께 최종 예선을 치렀다. 조별 리그는 2003년 9월 25일부터 9월 29일까지 인천에서, 2003년 10월 19일부터 10월 24일까지 오만 무스카트에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경기승점
오만/Oman national football team영어6501242+2215
대한민국/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한국어6402304+2612
베트남/Vietnam national football team영어6303813−59
네팔/Nepal national football team영어6006043−430



대한민국은 인천에서 열린 첫 번째 리그에서 2승 1패를 기록했다. 9월 25일 문학경기장에서 열린 베트남과의 경기에서 5-0으로 승리했고, 9월 27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오만과의 경기에서는 최성국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9월 29일에는 네팔을 상대로 16-0 대승을 거두었다.

무스카트에서 열린 두 번째 리그에서는 1승 2패를 기록했다. 10월 19일 술탄 카부스 스포츠 콤플렉스에서 열린 베트남과의 경기에서 0-1로 패배했지만, 10월 21일 오만에게 1-3으로 패배하였다. 10월 24일 로열 오만 경찰 경기장에서 열린 네팔과의 경기에서는 7-0으로 승리했다.

최종 결과 대한민국은 4승 2패(승점 12점)로 오만에 이어 조 2위를 기록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Buddy makes name for himself in Lebanon http://www.smh.com.a[...] 2003-10-31
[2] 웹사이트 北朝鮮サッカー、1年間国際大会出場停止に https://web.archive.[...] JoongAng Ilbo 2003-12-14
[3] 웹사이트 北朝鮮サッカー、1年間国際大会出場停止に http://replay.waybac[...] 2003-12-14
[4] 웹사이트 AFCアジアカップ2004 出場チーム紹介 トルクメニスタン http://www.the-afc.c[...] 아시아サッカー연맹 2011-04-01
[5] 뉴스 한국, 아시안컵축구 2차예선 자동 진출 https://sports.news.[...] 2002-12-07
[6] 뉴스 아시안컵 예선, 오만 베트남과 치러 http://star.ohmynews[...] 2002-12-07
[7] 문서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해 모든 홈 경기를 원정 지대에서 치렀다.
[8] 뉴스 북한축구, 교통사고로 아시안컵 레바논전 불참 https://sports.news.[...]
[9] 뉴스 -아시안컵축구- 북한, 레바논과 무승부 https://sports.news.[...]
[10] 뉴스 북한, 축구경기중 ‘폭죽 날벼락’ http://sports.news.n[...]
[11] 뉴스 아시아축구연맹, 이란-카타르 경기 관중없는 경기 명령 https://sports.news.[...]
[12] 뉴스 북한, 아시아축구대회 1년간 출전금지 http://sports.news.n[...]
[13] 뉴스 '[축구]‘北축구단 철수’ 징계 국제경기 1년 금지' https://sports.news.[...]
[14] 문서 스리랑카는 [[스리랑카 내전]]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해 모든 홈 경기를 원정 지대에서 치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