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66은 여러 의미로 사용되는 수이다. 수학에서는 합성수이자 과잉수이며, 쐐기수이기도 하다. 82 + 92 + 102 + 112로 표현될 수 있으며, 각 자리 숫자의 합이 15가 되는 19번째 수이다. 또한, 카시오페이아자리 방향의 산개성단, 일본 366번 국도, 제2차 세계 대전 중 사용된 독일 잠수함, 대한민국의 보물 및 사적, 366년, 윤년의 날짜, HY의 노래 제목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66 | |
|---|---|
| 정수 정보 | |
| 종류 | 정수 |
| 분해 | 2 × 3 × 61 |
| 읽기 | 삼백육십육 |
| 세기 | 삼백예순여섯 |
| 한자 | 三百六十六 |
| 약수 | 2×3×61 |
| 로마 숫자 | CCCLXVI |
| 이진수 | 101101110 |
| 팔진수 | 556 |
| 십이진수 | 266 |
| 십육진수 | 16E |
| 오일러 피 함수 | 120 |
| 시그마 함수 | 744 |
| 약수의 개수 | 8 |
| 약수의 합 | 744 |
| 뫼비우스 함수 | -1 |
| 메르텐스 함수 | 8 |
2. 수학
366은 합성수이며, 약수는 1, 2, 3, 6, 61, 122, 183, 366이고, 약수의 합은 744이다. 366은 82 + 92 + 102 + 112으로 표현 가능하다.
2. 1. 수론적 성질
- 합성수로, 그 약수는 1, 2, 3, 6, 61, 122, 183, 366이다. 진약수의 합은 378이므로, 366은 과잉수이다.
- 이며, 연속하는 네 자연수의 제곱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성질을 지닌 앞의 수는 294, 다음 수는 446이다.
- 87번째 과잉수이다. 바로 앞은 364, 다음은 368이다.
- 39번째 쐐기수이다. 바로 앞은 357, 다음은 370이다.
- 각 자리 숫자의 합이 15가 되는 19번째 수이다. 바로 앞은 357, 다음은 375이다.
- 각 자리 숫자의 제곱의 합은 32 + 62 + 62 = 81 = 92으로, 제곱수가 되는 40번째 수이다. 바로 앞은 362, 다음은 400이다.
- 각 자리 숫자의 세제곱의 합이 459가 되는 최소의 수이다. 다음은 636이다.
- 366 = 12 + 22 + 192 = 12 + 132 + 142 = 72 + 112 + 142으로, 3개의 제곱수의 합으로 3가지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는 53번째 수이다. 바로 앞은 361, 다음은 377이다.
- 서로 다른 3개의 제곱수의 합으로 3가지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는 33번째 수이다. 바로 앞은 354, 다음은 377이다.
- 366 = 6 + 6 × 5 × 4 × 3으로, ''n'' = 6일 때의 ''n'' + ''n''(''n'' − 1)(''n'' − 2)(''n'' − 3)의 값이다.
- ''n'' = 6일 때 662과 6을 나열하여 만들 수 있는 수이다.
- 366 = 2 × (132 + 13 + 1) = 2 × (142 − 14 + 1)으로, ''n'' = 13일 때 2(''n''2 + ''n'' + 1)의 값이다.
3. 과학
4. 교통
일본 366번 국도는 아이치현 한다시에서 나고야시까지 이어지는 일본의 국도이다.
5. 군사
6. 문화유산
- 대한민국의 보물 제366호: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대한민국의 사적 제366호: 남양주 안빈묘
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