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D-아미노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아미노산은 1950년대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L-아미노산과 거울상 이성질체 관계에 있는 아미노산이다. 곤충, 연체동물, 포유류, 식물 등 다양한 생물체에서 발견되며, 뇌, 배설계, 해양 무척추동물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D-아미노산은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며, 세균의 세포벽 구성, 신경전달물질, 라세미 결정법 등 다양한 생물학적, 화학적 과정에 이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쪽성 이온 - 베타인
    베타인은 질소 원자에 가동 수소 원자가 없어 이성질화되지 않는 양쪽성 이온으로, 트리메틸글리신이 대표적이며 다양한 생화학적 용도와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에 활용되지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 및 효능 논란이 있다.
  • 양쪽성 이온 - 세프타지딤
    세프타지딤은 3세대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로, 하기도 감염, 피부 감염, 요로 감염, 혈류 감염, 관절 감염, 복강내 감염 및 수막염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특히 녹농균 치료에 효과적이고 그람 음성균에 대한 활성이 높지만, 일부 세팔로스포린 알레르기 환자에게는 금기이며 신장 질환 환자는 용량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 아미노산 - 시스테인
    시스테인은 설프하이드릴기를 가진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단백질 구성 성분이며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하고 식품, 제약, 퍼스널 케어 산업에서 활용된다.
  • 아미노산 - 필수 아미노산
    필수 아미노산은 인체 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며,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고 결핍 시 건강 문제를 일으키며, 식품의 단백질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D-아미노산
일반 정보
화학식CnH2n+1NO2
분자량100 ~ 200 g 몰당
PubChem CIDD-알라닌: 6253
D-아스파라긴: 73385
D-글루탐산: 33374
D-류신: 6297
D-메티오닌: 6299
D-세린: 6295
D-발린: 6303
SMILESD-알라닌: C[C@@H](C(=O)O)N
D-아스파라긴: C([C@@H](C(=O)O)N)C(=O)N
D-글루탐산: C([C@@H](C(=O)O)N)CC(=O)O
D-류신: CC(C)C[C@@H](C(=O)O)N
D-메티오닌: CSCC[C@@H](C(=O)O)N
D-세린: C([C@@H](C(=O)O)N)O
D-발린: CC(C)[C@@H](C(=O)O)N
CAS 등록번호D-알라닌: 338-69-2
D-아스파라긴: 2058-58-4
D-글루탐산: 6893-26-1
D-류신: 328-38-1
D-메티오닌: 348-67-4
D-세린: 312-84-5
D-발린: 660-26-4
특성
카이랄성카이랄성
관련 화합물
관련 물질L-아미노산

2. 발견

D-아미노산은 일부 해양 무척추동물의 특정 조직에서 발견되어 삼투압 조절에 관여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19] 그러나 D-아미노산이 바닷물로부터 흡수되는 것인지 아니면 생물체 내에서 합성되는 것인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D-아미노산은 식물에서도 확인되었다.[20] 많은 D-아미노산은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지만, 일부 식물들은 D-아미노산을 흡수 및 대사하거나 합성할 수 있다.[21]

2. 1. 초기 발견

D-아미노산은 1950년대에 발견되었다. 오클레어(Auclair)와 패튼(Patton)은 1950년에 곤충연체동물의 혈액에서 D-아미노산의 존재를 처음으로 보고했다.[16] D-아미노산은 다양한 포유류의 조직에서도 확인되었다. 포유류에서 합성되는 D-아미노산의 두 가지 주요 종류는 D-아스파르트산(D-Asp)과 D-세린(D-Ser)이다. D-아스파르트산은 척추동물무척추동물에 존재하며 신경계내분비계의 발생에 관여한다.[17] D-세린은 에서 많은 양이 발견되며, 중추신경계 발생에 중요한 조절 역할을 하고 학습, 기억 및 포유류의 행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또한 많은 양의 D-세린이 사람의 소변에서 검출되었으며, 배설계에서 병원성 유전자 발현의 조절 역할을 한다.[18]

2. 2. 포유류에서의 발견

D-아미노산은 1950년대에 발견되었다. 오클레어(Auclair)와 패튼(Patton)은 1950년에 곤충연체동물의 혈액에서 D-아미노산의 존재를 처음으로 보고했다.[16] D-아미노산은 다양한 포유류의 조직에서도 확인되었다. 포유류에서 합성되는 D-아미노산의 두 가지 주요 종류는 D-아스파르트산(D-Asp)과 D-세린(D-Ser)이다. D-아스파르트산은 척추동물무척추동물에 존재하며 신경계내분비계의 발생에 관여한다.[17] 많은 양의 D-세린은 에서도 발견되며, 중추신경계 발생에 중요한 조절 역할을 하고, 학습, 기억 및 포유류의 행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또한 많은 양의 D-세린이 사람의 소변에서 검출되었으며, 배설계에서 병원성 유전자 발현의 조절 역할을 한다.[18]

2. 3. 기타 생물에서의 발견

D-아미노산은 1950년대에 발견되었다. 오클레어(Auclair)와 패튼(Patton)은 1950년에 곤충연체동물의 혈액에서 D-아미노산이 존재함을 처음으로 보고했다.[16] D-아미노산은 다양한 포유류의 조직에서도 확인되었다. 포유류에서 합성되는 D-아미노산의 두 가지 주요 종류는 D-아스파르트산(D-Asp)과 D-세린(D-Ser)이다. D-아스파르트산은 척추동물무척추동물에 존재하며 신경계내분비계의 발생에 관여한다.[17] 많은 양의 D-세린은 에서도 발견할 수 있으며, 중추신경계 발생에 중요한 조절 역할을 하며 학습, 기억 및 포유류의 행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또한 많은 양의 D-세린이 사람의 소변에서 검출되었으며, 배설계에서 병원성 유전자 발현의 조절 역할을 한다.[18] D-아미노산은 일부 해양 무척추동물의 특정 조직에서도 발견되었으며, 삼투압 조절에 관여할 수 있다.[19] 그러나 D-아미노산이 바닷물로부터 흡수되는 것인지 아니면 생물체 내에서 합성되는 것인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D-아미노산은 식물에서도 확인되었다.[20] 많은 D-아미노산은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지만, 일부 식물들은 D-아미노산을 흡수 및 대사 또는 합성할 수 있다.[21]

3. 구조 및 일반적인 특성

L-아미노산과 D-아미노산은 일반적으로 거울상 이성질체이다. 트레오닌아이소류신은 두 개의 입체중심을 가지고 있는 아미노산이기 때문에 예외이다. 이 두 가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L-아미노산 및 D-아미노산은 , 용해도, 녹는점 등 많은 조건에서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생물학적 맥락에서 이러한 거울상 이성질체들은 매우 다르게 행동할 수 있다. 따라서 D-아미노산은 부분적으로 잘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영양가가 낮다.[22]

D-아미노산은 한쪽 끝에 카복실기를 가지고 있고 다른 쪽 끝에 곁사슬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아미노기수소 원자를 거울상 이성질체의 반대쪽에 가지고 있다. 이들은 카이랄 탄소 중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자가 다른 입체 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으며, 라디칼기의 배향은 이러한 거울상 이성질체들에서만 다르다. 반면에 D-글리세르알데하이드카보닐기하이드록실기를 가지고 있으며 중심에 카이랄 탄소가 있다. L-글리세르알데하이드와 비교했을 때 배향이 다르다.

3. 1. 거울상 이성질체

D-알라닌의 구조


L-아미노산과 D-아미노산은 일반적으로 거울상 이성질체이다. 트레오닌아이소류신은 두 개의 입체중심을 가지고 있는 아미노산이기 때문에 예외이다. 이 두 가지 경우를 제외하고 L-아미노산 및 D-아미노산은 , 용해도, 녹는점 등 많은 조건에서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생물학적 맥락에서 이러한 거울상 이성질체들은 매우 다르게 행동할 수 있다. D-아미노산은 부분적으로 잘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영양가가 낮다.[22]

D-아미노산과 L-아미노산은 한쪽 끝에 카복실기를 가지고 있고 다른 쪽 끝에 곁사슬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아미노기수소 원자를 거울상 이성질체의 반대쪽에 가지고 있다. 이들은 카이랄 탄소 중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자가 다른 입체 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으며, 라디칼기의 배향은 이러한 거울상 이성질체들에서만 다르다. 반면에 D-글리세르알데하이드카보닐기하이드록실기를 가지고 있으며 중심에 카이랄 탄소가 있다. L-글리세르알데하이드와 비교했을 때 배향이 다르다.

3. 2. 구조적 특징



L-아미노산과 D-아미노산은 일반적으로 거울상 이성질체이다. 트레오닌아이소류신은 두 개의 입체중심을 가지고 있는 아미노산으로 예외이다. 이 두 가지 경우를 제외하고 L-아미노산 및 D-아미노산은 , 용해도, 녹는점 등 많은 조건에서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생물학적 맥락에서 이러한 거울상 이성질체들은 매우 다르게 행동할 수 있다. 따라서 D-아미노산은 부분적으로 잘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영양가가 낮다.[22]

D-아미노산은 한쪽 끝에 카복실기를 가지고 있고 다른 쪽 끝에 곁사슬을 가지고 있다. 또한 거울상 이성질체의 반대쪽에 아미노기수소 원자를 가지고 있으며, 카이랄 탄소 중심을 가지고 있다. 이것이 분자가 다른 입체 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는 이유이며, 라디칼기의 배향은 이러한 거울상 이성질체들에서만 다르다. 반면에 D-글리세르알데하이드카보닐기하이드록실기를 가지고 있으며 중심에 카이랄 탄소가 있다. L-글리세르알데하이드와 비교했을 때 배향이 다르다.

4. 생성 및 이용

D-아미노산은 라세미 결정법에서 단백질 구조 결정을 더 쉽고 강력하게 할 수 있도록 중심대칭 결정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27] 그라미시딘은 D-아미노산과 L-아미노산의 혼합물로 구성된 폴리펩타이드이다.[28] D-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 다른 화합물로는 티로시딘과 발리노마이신이 있다. 이들 화합물은 특히 그람음성세균에서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한다. 2011년 기준으로 스위스-프롯(Swiss-Prot) 데이터베이스에서 분석된 총 1억 8700만개의 아미노산들 중 D-아미노산은 837개만 발견되었다.[29] 형광성 D-아미노산(FDAA)은 그람양성세균 및 그람음성세균 모두에서 펩티도글리칸의 인시투(''in situ'') 표지에 사용되었다.[30][31]

4. 1. 자연 환경에서의 생성

D-아미노산은 살아 있는 생물에서 최소 구성 요소이지만 토양, , 호수, 바다, 얼음, 에어로졸 및 강수와 같은 광범위한 자연 환경에서 생성된다. 이들은 해양의 탄소 순환 및 에너지 순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해양 탄소 저장고의 탄소원으로 기여하는 여러 해양 미생물들에 의해 생성된다.[15]

D-아미노산 잔기는 청자고둥과 수컷 오리너구리의 독에서 생성된다.[23][24] D-아미노산은 또한 세균 세포벽의 펩티도글리칸의 풍부한 구성 요소이며,[25] D-세린은 에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26]

4. 2. 생물체 내에서의 생성 및 이용

D-아미노산은 살아 있는 생물에서의 최소 구성 요소이지만 토양, , 호수, 바다, 얼음, 에어로졸 및 강수와 같은 광범위한 자연 환경에서 생성된다. 이들은 해양의 탄소 순환 및 에너지 순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해양 탄소 저장고의 탄소원으로 기여하는 여러 해양 미생물들에 의해 생성된다.[15]

D-아미노산 잔기는 청자고둥과 수컷 오리너구리의 독에서 생성된다.[23][24] D-아미노산은 또한 세균의 세포벽의 펩티도글리칸의 풍부한 구성 요소이며[25] D-세린은 에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26] D-아미노산은 단백질에 따라 보다 쉽고 강력한 단백질 구조 결정을 허용할 수 있는 중심대칭 결정을 생성하기 위해 라세미 결정법에서 사용된다.[27]

그라미시딘은 D-아미노산과 L-아미노산의 혼합물로 구성된 폴리펩타이드이다.[28] D-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 다른 화합물로는 티로시딘과 발리노마이신이 있다. 이들 화합물은 특히 그람음성세균에서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한다. 2011년 기준으로 스위스-프롯(Swiss-Prot) 데이터베이스에서 분석된 총 1억 8700만개의 아미노산들 중 D-아미노산은 837개만 발견되었다.[29]

형광 표지된 D-아미노산, 즉 형광성 D-아미노산(FDAA)은 그람양성세균 및 그람음성세균 모두에서 펩티도글리칸의 인시투(''in situ'') 표지에 사용되었다.[30][31]

5. 세균과 D-아미노산

세균은 D-아미노산을 활용하는 능력이 뛰어날 것으로 보인다. 세균은 10가지가 넘는 종류의 D-아미노산을 합성하며, 특히 펩티도글리칸 세포벽 내의 가교 결합을 위해 D-알라닌과 D-글루탐산을 자주 사용한다. 또한, 세균에서 방출되는 세포외 D-아미노산은 세균 세포벽의 재형성을 조절하며, 자주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3]

5. 1. 세균의 D-아미노산 활용

세균은 아미노산을 활용할 수 있는 가장 큰 능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세균은 10가지 이상의 D-아미노산을 합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장 빈번하게 합성되는 D-아미노산은 세포벽의 펩티도글리칸에서의 가교 형성을 위한 D-알라닌과 D-글루탐산이다. 또한 세균에서 방출된 세포외 D-아미노산은 세균 세포벽의 리모델링을 제어하며, 세균 사이에서 자주 변화하는 환경을 수용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세균 세포벽에서의 구조적 기능 외에도 D-아미노산은 생장 적합성과 바이오필름 발달, 포자 발아 및 신호 전달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과도 관련이 있다.[15][16]

6. 생합성

L-아미노산을 D-아미노산으로 전환하는 두 가지 효소 계열이 있다. 아미노산 라세마제는 피리독살 인산(PLP) 의존성 효소로, 알파-이미노산 형성을 통해 아미노산을 라세미화하여 입체 중심을 잃게 한다. L-아미노산 산화효소는 L-아미노산을 α-케토산으로 전환하며, 이는 환원 아민화에 취약하다. 고등 생물체에서 발견되는 많은 D-아미노산은 미생물에서 유래한다.

6. 1. 효소에 의한 전환

두 가지 효소가 L-아미노산을 D-아미노산으로 전환시킨다. 피리독살 인산(PLP) 의존성 효소인 D-아미노산 라세미화효소는 입체중심이 소실되는 α-아미노산의 형성을 통해 아미노산을 라세미화한다. L-아미노산 산화효소는 L-아미노산을 환원성 아미노화에 민감한 α-케토산으로 전환시킨다. 리신은 피페콜산의 형성을 통해 라세미화되는 등, 일부 아미노산은 라세미화되기 쉽다.[22]

펩타이드에서 L-아미노산 잔기는 천천히 라세미화되어 일부 D-아미노산 잔기가 형성된다. 라세미화는 아미도기의 α 탄소인 메틸기의 탈양성자화를 통해 일어난다. 반응 속도는 pH에 따라 증가한다.[22]

고등 생물에서 발견되는 많은 D-아미노산은 미생물에서 유래한다. 세균 세포벽을 구성하는 펩티도글리칸의 D-알라닌은 단백질가수분해효소의 공격으로부터 저항하도록 돕는다. 바시트라신과 같은 여러 항생제들은 D-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고 있다.[22][4]

6. 2. 펩타이드에서의 라세미화

펩타이드에서 L-아미노산 잔기는 천천히 라세미화되어 일부 D-아미노산 잔기가 형성된다. 라세미화는 아미도기 옆 알파 위치에 있는 메틴의 탈양성자화로 발생한다. 반응 속도는 pH가 증가함에 따라 빨라진다.[22]

7. 이전 연구들

이전 연구들에서 대부분의 연구와 실험은 살아있는 생물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D-아미노산인 D-알라닌, D-아스파르트산 및 D-글루탐산을 주로 사용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이들은 바다에서 일어나는 많은 기본적인 과정에 질소 공급원으로 작용한다.[15]

7. 1. 심해 연구

남중국해의 2000m 깊이 퇴적물에서 2012년에 분리된 심해 균주인 패오박터속(''Phaeobacter'') 종인 JL2886의 전체 게놈 염기 서열이 분석되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일본 사가미만의 심해(수심 800m~1500m)에서 채집된 56개 퇴적물에서 28종의 D-아미노산을 이용하는 생물들이 분리되었다.[15] D-아미노산으로 인해 더 건강하게 생장하는 미생물을 분리하려는 독립적인 시도도 수행되었다. 대부분의 수행된 연구 및 실험은 D-알라닌, D-아스파르트산 및 D-글루탐산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살아 있는 생물에서 발견되는 가장 일반적인 D-아미노산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D-아미노산은 바다와 관련된 많은 기본적인 과정을 위한 질소 공급원으로서 도움을 준다.[15]

7. 2. D-아미노산 이용 미생물 연구

2012년 남중국해 2000m 깊이의 퇴적물에서 분리된 심해 균주인 패오박터속(''Phaeobacter'') 종 JL2886의 전체 게놈 염기 서열이 분석되었다.[15] 또 다른 연구에서는 일본 사가미만의 심해(800m~1500m)에서 채집된 56개의 퇴적물에서 28종의 D-아미노산을 이용하는 생물들이 분리되었다.[15] D-아미노산으로 인해 더 건강하게 생장하는 미생물을 분리하려는 독립적인 시도도 수행되었다. 대부분의 수행된 연구 및 실험은 살아있는 생물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D-아미노산인 D-알라닌, D-아스파르트산 및 D-글루탐산을 주로 사용한다. 게다가 D-아미노산은 바다와 관련된 많은 기본적인 과정을 위한 질소 공급원으로서 도움을 준다.[15]

참조

[1] 논문 An overview on D-amino acids 2017-09
[2] 논문 Enhanced Bacterial Growth and Gene Expression of D-Amino Acid Dehydrogenase With D-Glutamate as the Sole Carbon Source 2018
[3] 논문 Microbial D-amino acids and marine carbon storage https://link.springe[...] 2016-01-01
[4] 논문 Chemistry, nutrition, and microbiology of D-amino acids 1999-09
[5] 논문 D-Amino acid residue in the C-type natriuretic peptide from the venom of the mammal, ''Ornithorhynchus anatinus'', the Australian platypus 2002
[6] 논문 Polypeptide chains containing D-gamma-hydroxyvaline 2005-05
[7] 논문 Formation of the glycan chains in the synthesis of bacterial peptidoglycan 2001-03
[8] 논문 D-amino acids in the brain: D-serine in neurotransmission and neurodegeneration 2008-07
[9] 논문 Racemic crystallography--easy crystals and easy structures: what's not to like? 2009-06
[10] 논문 High-resolution conformation of gramicidin A in a lipid bilayer by solid-state NMR 1993-09
[11] 논문 Proteome-wide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uration of the swiss-prot database 2011-09
[12] 논문 In Situ probing of newly synthesized peptidoglycan in live bacteria with fluorescent D-amino acids null 2012-12
[13] 논문 Full color palette of fluorescent d-amino acids for ''in situ'' labeling of bacterial cell walls http://xlink.rsc.org[...] 2017-09
[14] 논문 An overview on D-amino acids 2017-09
[15] 논문 Enhanced Bacterial Growth and Gene Expression of D-Amino Acid Dehydrogenase With D-Glutamate as the Sole Carbon Source 2018
[16] 논문 Microbial D-amino acids and marine carbon storage https://link.springe[...] 2016-01-01
[17] 논문 Microbial D-amino acids and marine carbon storage https://link.springe[...] 2016-01-01
[18] 논문 Microbial D-amino acids and marine carbon storage https://link.springe[...] 2016-01-01
[19] 논문 Microbial D-amino acids and marine carbon storage https://link.springe[...] 2016-01-01
[20] 논문 Microbial D-amino acids and marine carbon storage https://link.springe[...] 2016-01-01
[21] 논문 Microbial D-amino acids and marine carbon storage https://link.springe[...] 2016-01-01
[22] 논문 Chemistry, nutrition, and microbiology of D-amino acids 1999-09
[23] 논문 D-Amino acid residue in the C-type natriuretic peptide from the venom of the mammal, ''Ornithorhynchus anatinus'', the Australian platypus 2002
[24] 논문 Polypeptide chains containing D-gamma-hydroxyvaline 2005-05
[25] 논문 Formation of the glycan chains in the synthesis of bacterial peptidoglycan 2001-03
[26] 논문 D-amino acids in the brain: D-serine in neurotransmission and neurodegeneration 2008-07
[27] 논문 Racemic crystallography--easy crystals and easy structures: what's not to like? 2009-06
[28] 논문 High-resolution conformation of gramicidin A in a lipid bilayer by solid-state NMR 1993-09
[29] 논문 Proteome-wide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uration of the swiss-prot database 2011-09
[30] 논문 In Situ probing of newly synthesized peptidoglycan in live bacteria with fluorescent D-amino acids null 2012-12
[31] 논문 Full color palette of fluorescent d-amino acids for in situ labeling of bacterial cell walls http://xlink.rsc.org[...] 201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